KR20210052772A -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 Google Patents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772A
KR20210052772A KR1020190137596A KR20190137596A KR20210052772A KR 20210052772 A KR20210052772 A KR 20210052772A KR 1020190137596 A KR1020190137596 A KR 1020190137596A KR 20190137596 A KR20190137596 A KR 20190137596A KR 20210052772 A KR20210052772 A KR 20210052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d alloy
present
alloy
entropy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375B1 (ko
Inventor
이재희
박은수
오현석
윤국노
안혜상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3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2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at least 4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0/00Alloys containing less than 50% by weight of each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원자%로, Cr: 25~45%, Ni: 40~(95-Cr)% 및 Fe: 5~(60-Cr)%,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가지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HIGH ENTROPY Ni-Fe-Cr-based ALLOY}
본 발명은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에 관한 것이다.
Ni-Fe-Cr 기반 합금계인 인코넬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은 통상적으로 높은 강도 및 내열성이 요구되는 기술분야 예를 들면, 고온의 원유 시추 혹은 수송용 파이프나 용접재료 등에 적용된다.
기존 Ni-Fe-Cr 기반 합금계인 인코넬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의 경우, 통상적으로 10~25중량%의 Cr을 함유하고 있으며, 치환형 원소를 첨가하여 규칙 격자 형태의 석출강화상(γ' 오스테나이트)을 형성시키거나, 석출물이나 개재물을 형성시켜 합금의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강도는 증가시킬 수 있으나, 상간 계면에서의 균열 발생을 야기하여 인성/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어 극저온 환경 등에서의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고강도를 가지면서도 극저온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Ni-Fe-Cr계 합금에 대한 새로운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가지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원자%로, Cr: 25~45%, Ni: 40~(95-Cr)% 및 Fe: 5~(60-Cr)%,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가지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하이엔트로피 합금은 높은 혼합 엔트로피를 갖는 합금을 의미하며, 이러한 하이엔트로피 합금은 일반적인 다성분계 합금에서 금속간 화합물이 용이하게 생성되는 것과 달리, 높은 혼합 엔트로피로 인해 다성분 원소가 단순한 고용체를 형성하여 고용 강화를 통해 우수한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Ni-Fe-Cr계 합금과 관련하여 하기 설명되는 합금조성의 단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원자%를 의미한다.
Cr: 25~45%
Cr은 고용강화 효과를 통해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식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다만, 상기 Cr이 25% 미만인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고,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γ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α 페라이트 상 등이 석출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Cr의 함량은 25~4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r의 하한은 27%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Cr의 상한은 4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4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Ni: 40~(95-Cr)%
Ni은 γ 오스테나이트 상의 안정성을 높여 합금이 γ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갖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다만, 상기 Ni이 40% 미만인 경우에는 합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거나, γ 오스테나이트 상 안정성 저하에 따른 α 페라이트 상의 형성에 의해 γ 오스테나이트 단상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는 단점이 있고, (95-C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Ni의 함량은 40~(95-Cr)%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i의 하한은 4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4%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4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Ni의 상한은 6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7%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6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Fe: 5~(60-Cr)%
Fe는 4주기 원소로서 Ni 및 Cr의 고용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원소이며, 다른 4주기 원소에 비하여 저렴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원소이다. 다만, 상기 Fe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비용절감 효과가 적다는 단점이 있고, (60-C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시켜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Fe의 함량은 5~(60-Cr)%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e의 상한은 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의 Ni-Fe-Cr계 합금은 추가로 V, Mo, Nb, Ti 및 Al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그 합계량이 10%이하가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 Mo, Nb, Ti 및 Al은 치환형 원소로서 원자 반경 차이로 인한 고용강화효과가 높아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다만, 상기 V, Mo, Nb, Ti 및 Al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합계량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석출물이나 개재물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V, Mo, Nb, Ti 및 Al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합계량의 하한은 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V, Mo, Nb, Ti 및 Al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합계량의 상한은 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Ni-Fe-Cr계 합금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제조공정상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Ni-Fe-Cr계 합금은 하기 식 1의 H값이 14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 1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에 의해 도출된 회귀식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소재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는 (1) 결정립계 강화, (2) 원자 반경 차이 제어에 의한 강화, (3) 전단 탄성률 차이 제어에 의한 강화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미세조직을 FCC 단상으로 유지하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상기 강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중 미세조직 관련 인자들을 배제하였다. 아울러, 여러 실험을 통해 전기 음성도가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전기 음성도, 전단 탄성률 및 원자 반경과 강도와의 관계를 밝혀내기 위하여, 하기 식 1을 도출하였으며, 하기 식 1의 H값이 140 이상인 경우 FCC 단상으로 유지하면서도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전기 음성도 차이, 전단 탄성률 차이 및 원자 반경 차이는 합금에 포함되는 합금원소들간의 차이를 의미하며, 상기 합금원소들 각각의 차이에 대해서 하나라도 식 1의 H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FCC 단상 및 고강도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Ni-Fe-Cr 3원계일 경우, Ni-Fe, Fe-Cr, Ni-Cr 각각의 차이를 계산한 뒤, 상기 차이의 절대값을 하기 식 1에 반영할 때, 상기 각각의 경우 모두 하기 식 1의 H값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FCC 단상 및 고강도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하기 식 1은 합금원소들간의 종류에 따른 차이만을 고려하면 되며, 그 분율에 대해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식 1] H = 5556*ΔX - 636*ΔG - 400*ΔR + 60
(상기 [식 1]에서, ΔX는 전기음성도 차이를 의미하고, ΔG는 전단 탄성률 차이를 의미하며, ΔR은 원자 반경 차이를 의미함)
본 발명이 제공하는 Ni-Fe-Cr계 합금은 γ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γ 오스테나이트는 비교적 불규칙적인 격자 형태를 갖는 조직으로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 확보에 유리한 조직이며,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γ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을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극저온에서 발생하는 상간계면에서의 균열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인코넬 합금의 경우에는 규칙 격자 형태의 석출강화상인 γ'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γ' 오스테나이트는 강도 확보에는 유리하나, 연성이나 인성 확보에는 불리한 조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Ni-Fe-Cr계 합금은 140Hv이상의 경도, 400MPa 이상의 항복강도, 700MPa 이상의 인장강도, 30% 이상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Ni-Fe-Cr계 합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용탕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연속주조하여 강괴의 형태로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상기 강괴를 압연하여 판재의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합금조성을 갖는 용탕을 준비한 뒤, 상기 용탕을 주조하여 강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강괴로부터 시편을 추출한 뒤, 미세조직 및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합금조성(원자%)
Ni Cr Fe V Mo Nb Ti Al Mn++C+Si
비교예1 100 - - - - - - - -
비교예2 60 20 20 - - - - - -
비교예3 30 25 45 - - - - - -
비교예4 10 18.5 69.98 - - - - - 1.52
비교예5 55 21 14.05 - 3.3 5.5 1.15 - -
발명예1 65 30 5 - - - - - -
발명예2 55 35 10 - - - - - -
발명예3 50 35 15 - - - - - -
발명예4 45 35 20 - - - - - -
발명예5 45 40 15 - - - - - -
발명예6 40 45 15 - - - - - -
발명예7 40 40 20 - - - - - -
발명예8 40 35 25 - - - - - -
발명예9 40 30 30 - - - - - -
발명예10 40 27 30 - 3 - - - -
발명예11 40 27 30 - - - 3 - -
발명예12 40 25 30 5 - - - - -
발명예13 40 25 30 - - - - 5 -
발명예14 40 30 27 - - - 1 2 -
발명예15 40 30 25 - 3 2 - - -
발명예16 40 30 25 2 1 2 - - -
발명예17 40 30 20 10 - - - - -
구분 미세조직 기계적 물성
경도(Hv) 항복강도(MPa) 인장강도(MPa) 연신율(%)
비교예1 γ 79 75 381 79
비교예2 γ 134 267 623 64
비교예3 γ 124 273 564 71
비교예4 γ+α 160 175 480 40
비교예5 γ+γ' 220 1100 1375 25
발명예1 γ 159 420 740 40
발명예2 γ 168 416 754 42
발명예3 γ 150 423 747 39
발명예4 γ 154 512 807 36
발명예5 γ 163 448 751 39
발명예6 γ 205 579 926 38
발명예7 γ 202 570 919 37
발명예8 γ 160 514 787 39
발명예9 γ 157 570 737 42
발명예10 γ 159 469 770 48
발명예11 γ 230 655 997 38
발명예12 γ 152 476 796 37
발명예13 γ 156 477 813 43
발명예14 γ 171 475 822 42
발명예15 γ 219 622 952 44
발명예16 γ 288 934 989 31
발명예17 γ 256 728 982 32
상기 표 1 및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17의 경우에는 γ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을 가질 뿐만 아니라, 140Hv이상의 경도, 400MPa 이상의 항복강도, 700MPa 이상의 인장강도, 30% 이상의 연신율을 확보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합금조성을 만족하지 않음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양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비교예 4 및 5의 경우에는 γ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이 아닌 α 페라이트 상 또는 γ' 오스테나이트 상이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원자%로, Cr: 25~45%, Ni: 40~(95-Cr)% 및 Fe: 5~(60-Cr)%,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i-Fe-Cr계 합금은 추가로 V, Mo, Nb, Ti 및 Al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그 합계량이 10%이하가 되도록 포함하는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i-Fe-Cr계 합금은 하기 식 1의 H값이 140이상인 것을 만족하는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식 1] H = 5556*ΔX - 636*ΔG - 400*ΔR + 60
    (상기 [식 1]에서, ΔX는 전기음성도 차이를 의미하고, ΔG는 전단 탄성률 차이를 의미하며, ΔR은 원자 반경 차이를 의미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i-Fe-Cr계 합금은 γ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을 갖는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i-Fe-Cr계 합금은 140Hv이상의 경도, 400MPa 이상의 항복강도, 700MPa 이상의 인장강도, 30% 이상의 연신율인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KR1020190137596A 2019-10-31 2019-10-31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KR10231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596A KR102319375B1 (ko) 2019-10-31 2019-10-31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596A KR102319375B1 (ko) 2019-10-31 2019-10-31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772A true KR20210052772A (ko) 2021-05-11
KR102319375B1 KR102319375B1 (ko) 2021-11-02

Family

ID=7591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596A KR102319375B1 (ko) 2019-10-31 2019-10-31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6795A (zh) * 2022-11-24 2023-03-14 陕西科技大学 一种CrFe2Ni2NbxMy共晶中熵合金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83A (ja) * 1992-03-09 1994-01-25 Sumitomo Metal Ind Ltd 高vオーステナイト耐熱合金
KR20130143601A (ko) * 2010-11-19 2013-12-31 슈미트+클레멘즈 게엠베하+콤파니.카게 니켈-크롬-철-몰리브덴 합금
CN106086486A (zh) * 2016-08-12 2016-11-09 北京理工大学 一种强韧性匹配良好的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US20190024225A1 (en) * 2016-09-30 2019-01-24 Arconic Inc. Nickel-iron-aluminum-chromium based alloy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83A (ja) * 1992-03-09 1994-01-25 Sumitomo Metal Ind Ltd 高vオーステナイト耐熱合金
KR20130143601A (ko) * 2010-11-19 2013-12-31 슈미트+클레멘즈 게엠베하+콤파니.카게 니켈-크롬-철-몰리브덴 합금
CN106086486A (zh) * 2016-08-12 2016-11-09 北京理工大学 一种强韧性匹配良好的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US20190024225A1 (en) * 2016-09-30 2019-01-24 Arconic Inc. Nickel-iron-aluminum-chromium based alloy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6795A (zh) * 2022-11-24 2023-03-14 陕西科技大学 一种CrFe2Ni2NbxMy共晶中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786795B (zh) * 2022-11-24 2024-01-26 陕西科技大学 一种CrFe2Ni2NbxMy共晶中熵合金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375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6108B1 (en) Heat resistant alloy for exhaust valves durable at 900°C and exhaust valves made for the alloy
JP3838216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EP2885440B1 (en) High-chromium heat-resistant steel
EP2935640B1 (en) Austenitic twip stainless steel, its production and use.
EP3492618A1 (en) 1500 mpa-grade steel with high product of strength and elongation for veh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889390B1 (en) Highly strong, highly tough and highly corrosion-resistant martensitic stainless steel
EP3719161B1 (en) High-strength high-toughness and wear-resistant composite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2799582B1 (en) Wear resistant austenitic steel having superior duct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208354B1 (en) Ni-based superalloy for hot forging
WO2011081393A2 (ko) 연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 강재
EP3722448B1 (en) High-mn st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208355B1 (en) Ni-based superalloy for hot forging
US4765955A (en) Co-base alloys for engine valves and valve seats
KR101903181B1 (ko) 내식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23242B1 (ko) 초내식성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6160787B2 (ja) 薄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19375B1 (ko) 하이 엔트로피 Ni-Fe-Cr계 합금
KR20020070815A (ko) 꼬임특성이 개선된 고강도, 저열팽창 합금 및 합금선
KR101836715B1 (ko) 고온 내산화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KR102002301B1 (ko) 내식성과 비강도가 뛰어난 경량철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4322A (ko) 내식성 및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4487257B2 (ja) 変寸抑制特性に優れた冷間ダイス鋼
JP6690499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3403B1 (ko) 내공식성이 향상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1614623B1 (ko) 고내식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