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840A - 식물성 세탁비누 - Google Patents

식물성 세탁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840A
KR20210051840A KR1020190137639A KR20190137639A KR20210051840A KR 20210051840 A KR20210051840 A KR 20210051840A KR 1020190137639 A KR1020190137639 A KR 1020190137639A KR 20190137639 A KR20190137639 A KR 20190137639A KR 20210051840 A KR20210051840 A KR 2021005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soap
laundry
laundry soap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순호
Original Assignee
전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호 filed Critical 전순호
Priority to KR102019013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840A/ko
Publication of KR2021005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8Shaping by extrusion or pr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세탁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적 함량의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감초뿌리 및 천궁을 포함하여 피부질환을 유발하지 않음과 동시에 냄새 제거력이 탁월한 친환경적인 식물성 세탁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성 세탁비누{Laundry Soap Having Vegetable Property}
본 발명은 식물성 세탁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 함량의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및 감초뿌리의 식물성 재료를 포함하여 피부질환을 유발하지 않음과 동시에 몸냄새 제거력이 탁월한 친환경적인 식물성 세탁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 중 땀과 유분 뿐만 아니라 나날이 증가하는 미세먼지, 화학 물질 등으로 인한 오염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른 피부질환 환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록된 2010년 이후 만성 두드러기 진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0년에 2.6%(3만6천910명)이던 유병률이 2013년에는 3.5%(5만405명)로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면활성제, 빌더(세정보조제), 표백성분, 화학향료, 합성방부제 등 수많은 화학 물질이 들어가는 일반 세탁 세제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며 특히 면역력과 피부가 약한 아이들이나 노년층에게는 가려움증, 천식, 비염, 알러지 등의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다른 화학물질과 결합해서 발암물질을 생성한다. 합성방부제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생식기에 악영향을 미치며 어린 아이들의 성조숙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등 위험요소가 상당히 많으며 씻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항상 피부와 접촉하고 있는 속옷, 의류 등이 이런 위험요소가 된다는 것은 매우 우려할 만한 상황이다.
각종 세정제품 및 합성세제의 유해성에 관한 논문이나 연구는 수없이 많으며 발암의 촉진인자로까지 보고되는 등 그 유해성이 계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합성세제나 섬유유연제, 세정제나 염소계표백제에도 내분비계 장애물질이 들어 있어 이들의 사용을 줄일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세제나 섬유유연제를 사용한 옷감은 충분히 헹궈야 한다. 합성세제에 사용되는 라우릴황산나트륨이 혀의 미뢰 세포를 통해 심장으로 침투, 즉각적으로 온몸에 해를 끼치는 것이 보고되었다.
중앙대학교 병원 산부인과 팀에 의하면 중, 고교 여학생의 30%가 자궁내막증에 걸려 있으며, 합성세제 등 환경호르몬을 유발하는 제품을 일체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더니 한두 달 사이 생리통이 줄어드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리고 말똥성게를 이용한 세제류의 수독학적 평가 실험에서 말똥성게의 난소와 정소에 샴푸를 농도별로 처리해 수정률과 생존율을 조사했더니 샴푸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정률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김선영, 군산대 대학원). 또한, 샴푸와 린스에 많이 사용되는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이라는 방부제에서 쥐 배아 뇌신경세포를 배양시킨 결과, 축색돌기로 불리는 신경세포가 연결을 멈추는 것을 확인하였다(미국 피츠버그대 엘리아스 아이젠만 교수팀). 또한, 건국대 최완수 교수팀에 의하면 샴푸와 바디클렌저 등에 널리 쓰이는 세정성분이 아토피를 유발할 수 있는데, SLS(Sodium Lauryl Sulfate, 라우릴 황산나트륨)와 SLES (Sodium Lauryl Ethylene Sulfate, 라우릴 에틸렌 황산 나트륨)가 아토피유발 가능성이 높은 물질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화학물질을 최대한 멀리하고 자연의 힘으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면 건강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나, 피부가 이미 망가져 버려 트러블이 심하거나 피부질환까지 생겨버린 경우에는 독한 약을 사용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 피부 질환은 내적질환과 다르게 바깥으로 노출이 되어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씻을 때 사용하는 세정제품과 씻고 난 후 바르는 보습 용도 등의 제품뿐 아니라 세탁을 마친 옷이나 이불에 남은 잔여 세제들 역시 영향을 미친다. 이 또한 대부분 화학물질이라 피부에 좋지 않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세탁 후 의류에 세균 곰팡이 등이 남아있으면 호흡기 질환 및 감염으로 인한 트러블이 생길 수 있고, 고온 다습한 날씨에는 모아놓은 빨랫감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 세탁과 건조시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나 노약자의 경우 의류에 남아있는 세균뿐만 아니라 세탁 세제 잔여물이 트러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더욱이 고령화로 인해서 노년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데, 대부분 세탁기를 잘 다루지 못하는 것과 세탁기로 1회 헹굼으로 충분하다는 생각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2~3회를 헹궈도 화학 세제 잔여물이 남기 때문에 아이와 노인이 사용할 세탁물은 여러 차례 헹궈야 하는데 노인들이 매번 세탁 시 얼마나 헹굼 설정을 해야 하는지 판단하기도 쉽지 않고 대부분 노인층은 여러 번 헹굼 설정을 하면 물을 많이 쓰니 돈이 더 든다는 생각에 깨끗하게 여러 번 헹구려고 하지 않아 젊은 층보다 화학 세제 잔여물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섬유유연제 및 합성세제의 미세 플라스틱 역시 최근 들어서 크게 이슈가 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피부뿐 아니라 호흡기를 통해서도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앞으로 안전한 세제에 대한 요구는 폭발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섬유유연제 및 합성세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최적 함량의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및 감초뿌리를 포함하는 식물성 세탁비누를 제조할 경우 피부질환을 유발하지 않음과 동시에 친환경적이고 화학합성세제의 성분 없이 자연의 식물성 재료만으로도 냄새 제거력이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6263호(2018.1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6606호(2010.12.3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28315호(2006.12.1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7089호(2016.01.1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9031호(2001.11.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2285호(2005.08.2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13301호(1997.03.2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9120호(2004.02.04.)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질환을 유발하지 않음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자연적 재료만으로도 냄새 제거력이 탁월한 식물성 세탁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및 감초뿌리를 포함하는 식물성 세탁비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비누 베이스칩을 1차 배합·분쇄하는 단계; (b)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및 감초뿌리를 포함하는 식물성 원료를 혼합하고 숙성시킨 다음, 1차 분쇄된 베이스칩과 혼합하고 2차 배합 분쇄하는 단계; 및 (c) 2차 분쇄된 비누원료를 배합·압출하고 8~1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세탁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약용비누는 화학첨가물 대신에 자연첨가물을 첨가할 경우에도 글리세린과 알칼리제품을 첨가하나, 본 발명에 따른 세탁비누는 글리세린 및 가성소다와 같은 별도의 알칼리 제품을 첨가하지 않는 천연 순 채소 및 식용재료로 이루어진 친환경적인 비누이다. 또한, 100% 식물성이라 물에 생분해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수질 정화에도 일조할 것이다.
안전한 성분만으로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등과 같은 생활 속 각종 유해 세균을 99.9% 살균하고, 집먼지 진드기도 100% 박멸 가능해 생활환경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감염성 질환자의 의류나 내의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화학 합성 세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학 세제에 비해 젖은 빨래 냄새가 확연하게 적고, 섬유유연제를 따로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부드러운 것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질환 요소를 제거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이런 안전성과 더불어 노년층의 큰 고민인 '노인냄새' 제거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신진대사가 감소해 노네날 호르몬이 증가하며 노인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게 되는데, 식물성 비누는 이런 악취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노화로 인해 진피층이 얇아지고 저하되는 면역력과 보습기능이 떨어지고 건조해져 다양한 피부질환이 증가하며 잘 낫지도 않고 2차 감염까지 우려해야 하는 노인들의 피부를 안전하게 보호해 피부질환으로 인한 스트레스도 낮출 수 있다.
세탁 잔여물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식물성 세탁비누는 어린이나 노인들뿐만 아니라 피부가 매우 민감하고 연약하고, 면역력에 문제가 있는 모든 사람들의 피부와 건강 보호에도 큰 역할을 할 것이며, 1회 헹굼으로도 충분하여 헹굼에 들어가는 시간과 물의 양도 줄어들기 때문에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세탁비누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 함량의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감초뿌리 및 천궁을 포함하는 식물성 세탁비누를 제조할 경우 피부질환을 유발하지 않음과 동시에 친환경적이고 자연적인 식물성 재료만으로도 냄새 제거력이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및 감초뿌리를 포함하는 식물성 세탁비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성 세탁비누는 천궁뿌리, 씨앗과 수분을 제거한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및 감초뿌리의 식물성 원료를 각각 급속냉각분말로 제조하여 무게비율로 혼합한다.
식물성 세탁비누의 베이스를 100중량부로 하는 경우 천궁뿌리는 20~30중량부, 탱자(씨앗과 수분은 제거) 35~45중량부, 석창포 100~200중량부, 고삼 800~1000중량부, 누에가루 800~1000중량부 및 감초뿌리 60~70중량부의 배합비율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천궁뿌리는 25중량부, 탱자(씨앗과 수분은 제거) 43중량부, 석창포 150중량부, 고삼 900중량부, 누에가루 900중량부 및 감초뿌리 67중량부의 배합비율을 가진다.
해발 600미터 이상 고산지대 다랭이 밭에서 재배 및 자생하는 나무열매, 가지, 잎, 꽃, 뿌리 등을 채집하며 더치커피 내리듯 추출하고 오랜 시간 숙성하여 화학성분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 식물성 테라피 세탁비누를 개발하게 되었다.
단순하게 제품에 식물성분을 넣는 게 아닌 검증된 효능을 가진 식물 성분을 오랜 연구기간 끝에 밝혀낸 최적의 비율로 배합하여 만들었으며 전 과정이 자연친화적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안정성이 보장되고, 지성, 건성, 중복합성, 민감성 피부 등 모든 타입의 피부에 효능이 있다.
식물성 세탁비누의 종류는 노인전용(안전함 + 노인냄새 제거), 영, 유아용(약한 피부를 보호하는 식물성 , 숙박업 및 업소용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a) 비누 베이스칩을 1차 배합·분쇄하는 단계; (b)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감초뿌리 및 천궁을 포함하는 식물성 원료를 혼합하고 숙성시킨 다음, 1차 분쇄된 베이스칩과 혼합하고 2차 배합 분쇄하는 단계; 및 (c) 2차 분쇄된 비누원료를 배합·압출하고 8~1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세탁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세탁비누의 제조과정을 다음과 같다.
1. 비누 베이스칩을 1차 배합압출(40매시)시키고 분쇄한다.
2. 기능성(식물성) 원료를 배합한 후 3시간 정도 숙성시키고 1차 분쇄된 베이스칩과 기능성(식물성) 원료를 배합하고 50매시로 2차 분쇄시 냉각수 압출만 한다.
3. 2차 분쇄된 비누원료를 배합·압출하고 냉각단계로 8~10℃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능성 비누바의 압축 공정에 해당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성 세탁비누의 제조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다음과 같다.
1. 비누 베이스칩을 1차 배합·압출시키고 분쇄한다.
2. 기능성(식물성) 원료를 배합한 후 3시간 정도 숙성시키고 1차 분쇄된 베이스칩과 기능성(식물성) 원료를 2차 배합·압출시키고 분쇄한다.
3. 2차 분쇄된 비누원료를 배합·압출한다.
4. 3차 분쇄된 비누원료를 배합·압출하고 8~10℃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5. 압출된 비누원료를 진공상태에서 최종 압축하고 가열한다.
6. 비누원료를 넣고 압축성형하고(형타기), 성형된 비누를 포장, 이송 및 출하한다.
지방으로 된 원료 베이스칩을 지방산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는 팜유, 코코넛유 등을 포함한 약 30종 유지를 지방산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알카리를 넣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원료 오일에 열을 가하지 않고 냉각상태에서 오일을 추출한다.
3차 분쇄시 공기가 발생한 것을 진공으로 하기 위해 공기를 배출하는 것은 산화를 줄이는 과정으로, 압축된 비누 원료를 진공상태에서 지방을 분해하여 산성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제조 1: 식물성 세탁비누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대로 각 구성성분과 사용량을 혼합하여 식물성 세탁비누를 제조하였다.
1만개 생산기준 베이스 1톤에 원료 60L(20L x 3) ~ 80L(20L x 4) 비누중량 100g 기준
구성성분 사용량
증류수 8L
오일 2L
각종 분말(20여종) 600g
각종 액상(30여종) 10L
기존 원료 7종 외에 2차 3차 추가 배합 후 비누 생산된다.
비누 베이스는 딱딱하고 원료 액상과 함께 반죽된다.
실시예 1: 비누의 냄새 제거 효과 확인
아침 입었던 속옷을 저녁 샤워 전에 벗어 냄새 맡아 보면 몸냄새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5년 동안 남자 및 여자 대상으로 40,50,60,70대 연령별로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확인하였다.
- 장기 입원 환자 목욕 후 몸냄새가 사라졌다.
- 겨드랑이 암내 발냄새 등이 제거되었다.
- 비누를 의류에 (물에 담근 후 5~10분) 묻혀 세탁을 하는데 1~2회 (약 5분 세탁)만 하여도 때가 제거되었다.
- 식물성 세탁비누로 세탁 후 7일을 착용해도 의류에 냄새가 나지 않았다.
- 노네날이라는 물질이 신진대사가 떨어지면서 생기는데, 환자가 약물치료 등으로 몸 냄새가 심각할 때 비누 샤워하고 냄새가 심한 부위는 비누를 물에 묻혀 로션처럼 발랐을 때 더욱 효과가 좋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감초뿌리 및 천궁을 포함하는 식물성 세탁비누.
  2.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세탁비누의 제조방법:
    (a) 비누 베이스칩을 1차 배합·분쇄하는 단계;
    (b) 천궁뿌리, 탱자, 석창포, 고삼, 누에가루, 감초뿌리 및 천궁을 포함하는 식물성 원료를 혼합하고 숙성시킨 다음, 1차 분쇄된 베이스칩과 혼합하고 2차 배합 분쇄하는 단계; 및
    (c) 2차 분쇄된 비누원료를 배합·압출하고 8~10℃의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KR1020190137639A 2019-10-31 2019-10-31 식물성 세탁비누 KR20210051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39A KR20210051840A (ko) 2019-10-31 2019-10-31 식물성 세탁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39A KR20210051840A (ko) 2019-10-31 2019-10-31 식물성 세탁비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840A true KR20210051840A (ko) 2021-05-10

Family

ID=7591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639A KR20210051840A (ko) 2019-10-31 2019-10-31 식물성 세탁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840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31A (ko) 2001-08-14 2001-11-09 윤사원 약용비누
KR100419120B1 (ko) 2000-07-19 2004-04-03 주식회사 중외제약 컨디셔닝제를 함유하는 약용비누 조성물
KR100512285B1 (ko) 1998-04-29 2006-04-17 (유)키토산메디신테크 천연무화과분리성분을함유한약용비누조성물
KR20060128315A (ko) 2005-06-10 2006-12-14 김해숙 한약재인 어성초와 감초 그리고 티트리 오일을 첨가란여드름 피부질환 예방용 약용비누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006606B1 (ko) 2008-11-20 2011-01-07 한갑현 유황을 함유하는 약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1587089B1 (ko) 2014-02-27 2016-01-28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생약 추출물 또는 천연 색소가 첨가된 비누 칩을 이용한 맞춤형 수제비누의 제조방법
KR101906263B1 (ko) 2018-06-22 2018-10-10 전순호 식물성 자연 비누와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285B1 (ko) 1998-04-29 2006-04-17 (유)키토산메디신테크 천연무화과분리성분을함유한약용비누조성물
KR100419120B1 (ko) 2000-07-19 2004-04-03 주식회사 중외제약 컨디셔닝제를 함유하는 약용비누 조성물
KR20010099031A (ko) 2001-08-14 2001-11-09 윤사원 약용비누
KR20060128315A (ko) 2005-06-10 2006-12-14 김해숙 한약재인 어성초와 감초 그리고 티트리 오일을 첨가란여드름 피부질환 예방용 약용비누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006606B1 (ko) 2008-11-20 2011-01-07 한갑현 유황을 함유하는 약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1587089B1 (ko) 2014-02-27 2016-01-28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생약 추출물 또는 천연 색소가 첨가된 비누 칩을 이용한 맞춤형 수제비누의 제조방법
KR101906263B1 (ko) 2018-06-22 2018-10-10 전순호 식물성 자연 비누와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5898B (zh) 板蓝根洗手液
CN102277244A (zh) 一种天然植物驱蚊香皂
CN105779165A (zh) 一种洗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2199500A (zh) 一种无患子手工皂配方及制作方法
CN105754751A (zh) 一种纯天然中草药植物抑菌节水洗涤剂及其制备方法
GB2537649A (en) Composition
KR101064419B1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542974A (zh) 一种护肤洗衣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9010178A (zh) 一种沐浴露及其生产工艺
CN105647685A (zh) 一种含有天然中药成分的抑菌衣物洗涤剂及其制备方法
KR100862586B1 (ko) 히말라야 암염추출물을 첨가한 비누
KR20160011247A (ko)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를을 이용한 천연 유아용 물비누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CN107216960A (zh) 一种草本洗涤皂及其制备方法
KR20210051840A (ko) 식물성 세탁비누
CN106566683A (zh) 清洁液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0539992C (zh) 凹凸棒假牙清洗剂
KR100684366B1 (ko) 스코리아가 포함된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0830125B1 (ko) 황토비누 제조방법과 그 황토비누
CN102920381A (zh) 一种厨房专用湿纸巾的制备方法
CN104510643A (zh) 一种睡莲根草本提取物保湿洗手液
KR101633184B1 (ko)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CN107828562A (zh) 硅藻美容皂
KR20190017178A (ko) 바디 워시 원액
DE19737072A1 (de) Reinigungsmittel mit hohem Reinigungserfolg und vernachlässigbarer allergener Wirk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