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696A -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696A
KR20210051696A KR1020190137275A KR20190137275A KR20210051696A KR 20210051696 A KR20210051696 A KR 20210051696A KR 1020190137275 A KR1020190137275 A KR 1020190137275A KR 20190137275 A KR20190137275 A KR 20190137275A KR 20210051696 A KR20210051696 A KR 2021005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control unit
spray
sterilizer
dis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333B1 (ko
Inventor
김연호
김태문
유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테크
Priority to KR102019013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3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율적인 소독액의 분무가 가능하여 상주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소독관리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군데 위치한 사육실을 통합관리할 수 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은, 실험동물 사육실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소독액통(150)에 저장된 소독액을 노즐(141)을 통해 분무하는 소독기(100); 상기 소독기(100)에 설치되어 관리서버(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소독액을 분무하도록 소독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하며, 제어부(200)로부터 소독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관리서버(300); 상기 제어부(200) 또는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소독정보를 수신받는 휴대단말기(4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Disinfection system for breeding room of experimental animal}
본 발명은 자율적인 소독액의 분무는 물론 모니터링이 가능한 IOT형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적인 여러 실험이나 검증을 위해 사용되는 마우스, 래트, 모르모트, 햄스터 등 실험용의 소형동물은 실험동물의 세균감염 또는 실험동물로부터의 세균누출에 대해 관리를 도모하도록 설비가 갖추어진 실험동물 사육실에서 사육되고 있다.
이러한 사육동물 사육시에 발생되는 악취 및 박테리아 등은 기존에 사용된 필터만으로는 그 제거가 어려워 쾌적한 환경에서 실험동물을 사육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실험동물의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정확한 검증자료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통상 사육실의 살균소독 방법으로서, 초고온 증기살균, 훈증처리, 방사선 또는 자외선 조사, 마이크로파 조사, 초고압처리, 고주파 가열법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세균의 침입 및 사육장치내 발생되는 오염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다양한 실험동물 사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예로서, 사육장치내에 발생되는 오염원의 발생 및 확산을 방지시키는 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0608호(수직 층류형 기류 방식의 무균 동물 사육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또한 세균의 침입이나 배출에 대한 배리어를 사육케이지마다 구축해 놓은 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0170호(실험동물 사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은 연구원이나 관리자가 사육실에 상주한 상태에서 소독장치를 제어하여 사육실 내부를 소독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며, 각각의 사육실마다 따로따로 소독관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통합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연구원이나 관리자가 사육실내에 상주하여야 하는 관계로 소독관리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실험동물의 수용률, 유지보수, 오염방지 등의 이유로 무인 실험동물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무인 실험동물실에 대한 자율적인 소독시스템의 도입이 필요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0170호(2006.12.18, 실험동물 사육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455호(2008.04.04., 실험동물용 항균 사육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무선통신을 이용한 IOT형 살균장치임에 따라 연구원이나 관리자가 사육실내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자율적인 소독액의 분무가 가능하며, 연구원이나 관리자가 외부활동을 하면서도 여러군데 위치한 사육실을 통합관리할 수 있으며, 분무량 및 시간 등 분무 관련정보를 상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등의 소독액을 마이크로/나노 단위의 미립자로 형성하여 분무하여 이슬맺힘현상의 발생없이 소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확산분사시켜 줌으로써 소독액이 분무되지 않는 곳 없이 사육실 내부 전체를 효과적으로 소독할 수 있도록 한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은 실험동물 사육실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소독액통(150)에 저장된 소독액을 노즐(141)을 통해 분무하는 소독기(100); 상기 소독기(100)에 설치되어 관리서버(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소독액을 분무하도록 소독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하며, 제어부(200)로부터 소독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관리서버(300); 상기 제어부(200) 또는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소독정보를 수신받는 휴대단말기(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소독기(100)는, 상기 제어부(2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외표면 일측에는 제어부(200)와 전선연결되어 제어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11)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경사지게 안착홈(112)이 형성된 소독기 몸체(110); 상기 소독기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공급부(120); 상기 에어공급부(120)의 에어배출구에 연결되는 진공이젝터(130); 상기 진공이젝터(13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소독액의 분무를 위해 노즐(141)이 구비된 분사체(140); 상기 안착홈(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체(140)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독액통(150);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에 따르면, 원격제어를 통해 소독액을 분무함에 따라 사육장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자율관리가 가능하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분무 관련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육장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립자형태로 만들어져 분무되는 소독액을 확산시켜주어 사육실 내부 전체에 소독액을 고루 분무할 수 있어 소독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액의 분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소독기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체에 구비되는 소독액 확산부재를 보인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액 확산안내구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은 연구원이나 관리자가 사육실에 상주하지 않고도 사육실을 자율적으로 살균소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실험동물 사육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사육실 내부를 소독하는 소독기(100)와, 소독기(100)에 설치되어 소독기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관리서버(300)와, 상기 제어부(200) 또는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소독정보를 수신받는 휴대단말기(400)로 이루어진다.
소독기(100)는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소독액통(150)에 저장된 소독액을 노즐(141)을 통해 사육실 내부공간으로 분사시켜 사육실 내부를 살균소독시키게 된다.
소독액은 공지의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액상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소독기(100)는 소독액을 마이크로 또는 나노단위의 미립자로 형성하여 분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독기(100)의 실시예로서, 상부에 경사지게 안착홈(112)이 형성된 소독기 몸체(110)와, 에어공급부(120)와, 상기 에어공급부(120)의 에어배출구에 연결되는 진공이젝터(130)와, 상기 진공이젝터(130)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분사체(140)와, 상기 안착홈(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체(140)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독액통(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독기 몸체(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로서, 안착홈(112)이 형성된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소독액통(150)이 안착홈(112)에 경사진 상태로 안착되게 구비되도록 한다.
소독기 몸체(110)의 상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면서 이 경사면에 안착홈(112)을 형성한 이유는, 소독액통(150)에 수용된 소독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상당한 중량을 갖는 소독액통을 효과적으로 지지시키면서 분사체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소독기 몸체(110)의 내부에 제어부(200)가 설치되는 것이고, 외표면 일측에는 제어부(200)와 전선연결되어 제어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111)가 구비된다.
조작부(111)는 전원의 온오프 버튼이나 시간 및 분사량 등의 각종 설정버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공급부(120)는 상기 소독기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되면서 에어를 생성하여 공급하게 된다.
에어공급부(120)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크기의 미립자로 분무할 수 있도록 에어를 공급해 주기 위한 수단으로, 예로서 고압 블러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어공급부(120)의 에어배출구에는 제어부에 의해 온오프동작되면서 에어를 분사체로 공급하거나 차단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121)가 구비될 수 있다.
진공이젝터(130)는 에어공급부(120)의 에어배출구에 연결되는 것으로, 에어배출구에 에어배출관이 연결된 경우에는 이 에어배출관에 진공이젝터가 설치된다.
분사체(140)는 상기 진공이젝터(130)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소독액의 분무를 위해 노즐(141)이 구비되어 있다.
노즐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시켜 주도록 분사체(140)의 하부 일측에 소독액통(150)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소독기 몸체(110)의 상부 일측에는 운반 및 이동을 위해 손잡이(160)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손잡이(160)는 안착홈(112)에 안착되어 있는 소독액통(150)이 세워진 상태로 운반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소독기 몸체(110)를 들어 올렸을 경우에 상기 소독액통(15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분사체(140)의 위쪽 근방에 설치되어 진다.
제어부(200)는 관리서버(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소독액을 분무하도록 소독기(100)를 제어하게 되며, 제어명령은 소독액의 분무 관련정보로서 사전에 설정해놓을 수 있다.
분무 관련정보는 분무시간, 분무량, 분무 간격 등일 수 있다.
관리서버(300)는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2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에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원격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제어부(200)로부터 소독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게 되며, 모니터가 구비되어 전달받은 소독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원격지에서도 해당 사육실의 소독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무선통신을 통한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제어부(200)와 관리서버(300)에는 각각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휴대단말기(400)는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는 단말기이다.
또한, 정보의 수신외에 송신이 가능하도록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플릿 등과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휴대성 또는 이동성을 갖는 단말기이면 모두 가능하다.
휴대단말기(4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각기 다른 위치의 실험동물 사육실에 설치된 소독기(100)의 소독정보를 확인함은 물론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구원이나 관리자가 사육실에 상주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소독기의 자율소독을 통해 사육실 내부의 살균소독이 가능함은 물론, 원격지의 관리서버에서 소독기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관리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해서도 소독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인 사육실 관리가 가능함으로써 관리자로부터 병균의 감염사고를 원천 예방할 수 있게 되며, 보다 엄격한 관리하에 사육실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노즐(141)을 통해 분사되는 소독액을 보다 확산시켜 준 상태로 분사하여 사육실 내부를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사체(140)의 타단부에는 소독액 확산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독액 확산부재(170)는 노즐(141)의 전방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케이스(171)와 소독액 확산안내구(174) 및 소독액 유도홈(176)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71)는 분사체(140)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결합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에는 분사홀(172)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이 분사홀(172)의 형성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소독액 확산안내구(174)는 케이스(17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노즐(141)을 통해 분사되는 소독액의 확산을 위해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경사면(175)으로 형성된다.
소독액 유도홈(176)은 소독액의 유도를 위해 상기 소독액 확산안내구(174)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사선 또는 호형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소독액 유도홈(176)이 사선 또는 호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노즐을 통해 소독액이 분사될 경우 그 분사되는 소독액에 의해 소독액 확산안내구(174)가 회전되며, 이와 함께 소독액이 소독액 유도홈을 통해 유도되어 회오리형상으로 분사되면서 확산되어 진다.
이때, 소독액 확산안내구(174)의 외주면에 안내되어 확산되어진 소독액의 일부는 분사홀(172)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지 않고 케이스(171)의 단부 내주면에 부딪힌 후 분사홀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진다. 이렇게 분사된 일부 소독액은 회오리형상으로 분사되는 소독액의 중심방향으로 분사되어 진다.
따라서, 다면적으로 소독액을 분사시킬 수 있는 것이며, 마이크로 또는 나노크기의 미립자로 분무됨에 따라 빈틈없는 균일한 분무가 가능하여 사육실 내부를 효과적으로 살균소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고도 사육실 내부를 자율소독할 수 있으며, 무인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관리자에 의한 감염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언제 어디서든지 여러 장소의 각 사육실에 설치된 소독기의 소독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소독기 110: 소독기 몸체
111: 조작부 112: 안착홈
120: 에어공급부 125: 솔레노이드밸브
130: 진공이젝터 140: 분사체
141: 노즐 150: 소독액통
160: 손잡이 170: 소독액 확산부재
171: 케이스 172: 분사홀
174: 소독액 확산안내구 175: 경사면
176: 소독액 유도홈 200: 제어부
300: 관리서버 400: 휴대단말기

Claims (4)

  1. 실험동물 사육실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소독액통(150)에 저장된 소독액을 노즐(141)을 통해 분무하는 소독기(100);
    상기 소독기(100)에 설치되어 관리서버(3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소독액을 분무하도록 소독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하며, 제어부(200)로부터 소독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관리서버(300);
    상기 제어부(200) 또는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소독정보를 수신받는 휴대단말기(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기(100)는, 상기 제어부(2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외표면 일측에는 제어부(200)와 전선연결되어 제어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11)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경사지게 안착홈(112)이 형성된 소독기 몸체(110);
    상기 소독기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공급부(120);
    상기 에어공급부(120)의 에어배출구에 연결되는 진공이젝터(130);
    상기 진공이젝터(13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 소독액의 분무를 위해 노즐(141)이 구비된 분사체(140);
    상기 안착홈(11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체(140)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독액통(15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기 몸체(110)의 상부 일측에는 운반 및 이동을 위해 손잡이(16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손잡이(160)는 안착홈(112)에 안착되어 있는 소독액통(150)이 세워진 상태로 운반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체(140)의 타단부에는 노즐(141)의 전방에 위치되게 소독액 확산부재(170)가 구비되어 지되,
    상기 소독액 확산부재(170)는, 단부에 분사홀(172)이 형성되며 내주면이 분사홀(172)의 형성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진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의 내부에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기 노즐(141)을 통해 분사되는 소독액의 확산을 위해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경사면(175)으로 형성된 소독액 확산안내구(174)와, 상기 소독액 확산안내구(174)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사선 또는 호형으로 복수개 형성된 소독액 유도홈(17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KR1020190137275A 2019-10-31 2019-10-31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KR102344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275A KR102344333B1 (ko) 2019-10-31 2019-10-31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275A KR102344333B1 (ko) 2019-10-31 2019-10-31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696A true KR20210051696A (ko) 2021-05-10
KR102344333B1 KR102344333B1 (ko) 2021-12-29

Family

ID=7591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275A KR102344333B1 (ko) 2019-10-31 2019-10-31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717A (zh) * 2021-05-26 2021-08-06 深圳净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动物用无菌隔离器
CN114272424A (zh) * 2021-12-15 2022-04-05 禹泓冠品环保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消毒设备控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170A (ko) 2004-02-27 2006-12-18 다이단 가부시끼가이샤 실험동물 사육장치
KR200439455Y1 (ko) 2007-03-14 2008-04-15 (주) 쓰리샤인 실험동물용 항균 사육장치
KR100930102B1 (ko) * 2009-05-11 2009-12-07 (주)에코인토트 스팀 살균 소독기
KR20190065569A (ko) * 2017-12-04 2019-06-12 (주) 한호기술 자율주행 소독 로봇 시스템
KR20190079539A (ko) * 2017-12-27 2019-07-05 최윤구 핸드형 무선 방역기
KR20200057889A (ko) * 2018-11-16 2020-05-27 메타로보틱스 주식회사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한 무인주행 소독 로봇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170A (ko) 2004-02-27 2006-12-18 다이단 가부시끼가이샤 실험동물 사육장치
KR200439455Y1 (ko) 2007-03-14 2008-04-15 (주) 쓰리샤인 실험동물용 항균 사육장치
KR100930102B1 (ko) * 2009-05-11 2009-12-07 (주)에코인토트 스팀 살균 소독기
KR20190065569A (ko) * 2017-12-04 2019-06-12 (주) 한호기술 자율주행 소독 로봇 시스템
KR20190079539A (ko) * 2017-12-27 2019-07-05 최윤구 핸드형 무선 방역기
KR20200057889A (ko) * 2018-11-16 2020-05-27 메타로보틱스 주식회사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한 무인주행 소독 로봇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717A (zh) * 2021-05-26 2021-08-06 深圳净拓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动物用无菌隔离器
CN114272424A (zh) * 2021-12-15 2022-04-05 禹泓冠品环保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消毒设备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333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029B1 (ko) 살균 장치의 내측 및 외측의 상이한 소독 모드들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살균 장치
KR101676007B1 (ko) 출입구 방역장치
KR101534817B1 (ko) 이중제트노즐을 구비하는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이온화 발생장치
KR101263488B1 (ko) 축산 농장용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90097647A (ko) 무인자동 살균 소독 분사장치
KR102344333B1 (ko) 실험동물 사육실 살균소독 시스템
CN104271199A (zh) 冷雾除污机构及其操作方法
KR20110134049A (ko) 축사출입용 인체 살균장치
EP2759309A1 (en) Sterilization device for large rooms
KR101860078B1 (ko) 건축시설물내의 전염병원균의 살균장치
KR20090100329A (ko) 살균장치가 장착된 살균처리 부스제작 방법과 그 이용 방법
US20160219859A1 (en) Organism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05772272B (zh) 一种环保健康绿色高压喷杀器
US20210299308A1 (en) Disinfection System
CN112451712A (zh) 一种传染病房用自消毒式医用机器人
KR200398315Y1 (ko) 사람 소독 시스템
KR102345583B1 (ko) 비가열식 방제기 시스템
KR102355430B1 (ko) 마이크로버블 고압분무기
KR102304882B1 (ko)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CN212877094U (zh) 一种圈舍空气净化装置和圈舍系统
KR200399262Y1 (ko) 공중 부유균 살균기
KR101870811B1 (ko) 자기장을 이용한 ihpa 제어 장치
KR102406278B1 (ko) 오존분사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4206726U (zh) 供水系统和养殖系统
CN209500341U (zh) 兽医消毒所用熏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