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489A - 송아지용 축사 - Google Patents

송아지용 축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489A
KR20210051489A KR1020190136829A KR20190136829A KR20210051489A KR 20210051489 A KR20210051489 A KR 20210051489A KR 1020190136829 A KR1020190136829 A KR 1020190136829A KR 20190136829 A KR20190136829 A KR 20190136829A KR 20210051489 A KR20210051489 A KR 2021005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lf
passage
fixing member
b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442B1 (ko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102019013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4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88Animal shelters especially adapted for keeping young cattle, i.e. cal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아지용 축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미소 축사의 외측에 배치되는 휀스를 포함하고 어미소와 공유하는 사료통 또는 물통(W)에 인접 설치된 게이트(100)의 통로 면적이 다단계로 조절 가능하며 게이트(100)가 개폐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 가능하여 송아지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송아지용 축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어미소 축사의 외측에 배치되어 어미소 축사의 휀스와 어미소 축사의 사료통 또는 물통(W)을 공유하는 송아지용 축사에 있어서, 상기 휀스(F)는, 상기 사료통 또는 물통(W)에 인접배치되어 송아지의 머리가 사료통 또는 물통(W) 측으로 통과할 수 있는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되, 송아지의 생육 과정에 따라 변하는 송아지의 머리 크기에 맞게 다단계의 통로면적을 구비하는 게이트(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송아지용 축사{STALL FOR CALF}
본 발명은 송아지용 축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미소 축사의 외측에 배치되어 어미소 축사의 휀스와 어미소 축사의 사료통 또는 물통을 공유하고, 사료통 또는 물통에 인접 배치된 게이트의 통로 면적이 다단계로 조절 가능하며 게이트의 개폐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 가능하여 송아지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어미소 축사로 이동할 수 있는 송아지용 통로를 구비하는 송아지용 축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우농가에서는 일정한 장소에 개방형의 축사를 짓고, 그 축사 내에 여러 마리의 소를 집단으로 수용하여 사육시키고 있다.
축사는 여러 마리의 가축들을 한 장소에서 집단적으로 사육하기 때문에 전염병 발생시에 순식간에 모든 가축들에 전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송아지는 면역력이 약해 질병에 더욱 치명적이고, 수컷 소로부터 위협을 받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분만이 이루어진 송아지는 축사 내부의 별도의 공간에 격리되어 건강하고 안전하게 사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송아지는 일반 축사의 바로 옆에 별도의 송아지 방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송아지가 어미 소를 찾아 일반 축사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수컷 소가 송아지용 축사로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송아지가 수컷 소로부터 안전하도록 보호 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의 송아지 방은 송아지를 격리하여 안전하게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 이루어졌으나, 송아지가 일반 축사로 이동할 수 없고, 농장의 관리인이나 수의사가 출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아지 방에는 송아지가 물, 사료 등을 먹을 수 있도록 사료통으로 송아지의 머리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게이트가 구비되어 있으나, 송아지의 성장에도 사료통으로 통과하는 게이트의 크기는 고정적인 한계가 있다.
여기서, 사료통으로 통과하는 게이트의 크기가 매우 크게 이루어진다면, 송아지가 틀을 통과하며 사료통으로 이동하여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송아지의 발육상태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게이트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송아지의 생장과정에서 송아지의 머리둘레에 적합한 통과면적을 갖는 게이트로 매번 교체하기에는 교체비용이 발생하고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2121호(2011.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통 또는 물통에 인접하게 설치된 게이트가 송아지의 머리둘레에 적합한 통과면적으로 이루어져 송아지가 사료통 또는 물통에 빠질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송아지의 생육 과정에 따라 송아지의 머리 크기가 변하여도 게이트의 교체 작업 없이 게이트의 통과면적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송아지용 축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아지가 어미소 축사로 이동 가능한 통로를 구비하되, 송아지의 성장상태에 따라 통로의 너비 조정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우수한 송아지용 축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어미소 축사의 외측에 배치되어 어미소 축사의 휀스와 어미소 축사의 사료통 또는 물통을 공유하는 송아지용 축사에 있어서, 상기 휀스는, 상기 사료통 또는 물통에 인접배치되어 송아지의 머리가 사료통 또는 물통 측으로 통과할 수 있는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되, 송아지의 생육 과정에 따라 변하는 송아지의 머리 크기에 맞게 다단계의 통로면적을 구비하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 큰 면적인 제1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통로프레임과, 상기 통로프레임의 통로를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중간 면적인 제2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제1문과, 상기 제1문의 통로를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가장 작은 면적인 제3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제2문을 포함하고, 상기 제1문과 제2문은 폐쇄시에 상기 통로프레임에 고정되고 개방시에 상기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문 및 제2문에는 개폐 시 상기 통로프레임 또는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 고정되기 위해 걸쇠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사선으로 동축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통로프레임 및 상기 제1문에는, 상기 제1문 및 제2문의 폐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동축 배열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잠금고정부재 및 제2잠금고정부재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는, 상기 제1문 및 제2문의 개방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문 및 제2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동축 배열되고 걸쇠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개방고정부재 및 제2개방고정부재가 각각 부착되며, 한 쌍의 걸쇠가 상기 제1고정부재, 제1잠금고정부재, 제1개방고정부재 중에서 선택된 두개와, 상기 제2고정부재, 제2잠금고정부재, 제2개방고정부재 중에서 선택된 두개를 각각 통과하며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휀스는, 송아지가 어미소 축사로 이동 가능하도록 송아지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되 폭 조절이 가능한 송아지용 통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아지용 통로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이 결합되어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에는, 어느 한쪽의 수직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되 어느 한쪽의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에 의하면, 송아지의 성장에 따라 변하는 송아지 머리크기에 맞게 사료통 또는 물통에 인접하게 설치된 게이트의 통과 면적을 다단계로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송아지의 성장에도 별도의 게이트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가 개방될 경우 휀스에 고정하여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송아지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송아지가 편리하게 물 또는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강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의 개방과 폐쇄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수단이 사선방향의 동축 배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송아지가 부딪히며 가해지는 충격에도 삽입된 걸쇠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폭 조절이 가능한 송아지용 통로를 구비함으로써, 수컷 소의 출입은 불가능하여 송아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송아지의 성장에 따라 별도의 교체작업 없이 폭을 간단한 동작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축사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송아지용 축사의 외측에 출입문을 구비하여, 축사 관리자나 수의사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의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의 개폐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통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통로의 폭 조절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을 도시한 사시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의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의 개폐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통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통로의 폭 조절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아지용 축사(10)에 관한 것으로, 어미소 축사(4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어미소 축사의 휀스와 어미소 축사의 사료통 또는 물통(W)을 공유하는 송아지용 축사(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10)는 상기 어미소 축사(400)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수소가 송아지용 축사(10)로 이동할 수 없도록 격리된 공간으로 구성하여 송아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휀스(F)는, 다수 개의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휀스(F)는 상기 사료통 또는 물통(W)에 인접배치되어 송아지의 머리가 사료통 또는 물통(W) 측으로 통과할 수 있는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는 게이트(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100)가 일반 소의 게이트와 동일하게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송아지가 게이트를 타고 사료통 또는 물통(W) 측으로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험하다.
그러나 상기 게이트(100)를 분만 직후의 송아지의 크기에 맞게 구성한다면, 송아지의 성장으로 인하여 송아지의 머리 크기가 변하기 때문에 게이트의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10)에서는 상기 게이트(100)가 송아지의 생육 과정에 따라 변하는 송아지의 머리 크기에 맞게 다단계의 통로면적을 구비하여 송아지의 생육 과정에 따른 통로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100)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 큰 면적인 제1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통로프레임(110)과, 상기 통로프레임(110)의 통로를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중간 면적인 제2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제1문(120)과, 상기 제1문(120)의 통로를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가장 작은 면적인 제3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제2문(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문(120)은, 상기 통로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수직부재(121)와, 상기 제1수직부재(121)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수평부재(122)와, 상기 제1수평부재(12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재(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문(120)은 상기 제1수평부재(122)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제2수평부재(124)를 포함하여 송아지의 머리 둘레에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문(130)은, 상기 제1수직부재(12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세로부재(131)와, 상기 제1세로부재(131)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가로부재(132)와, 상기 제1가로부재(13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세로부재(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문(130)은 상기 제1문(120)으로부터 개별적인 개폐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문(120)과 제2문(130)이 모두 폐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문(120)은 폐쇄되고 제2문(130)만 개방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문(120)과 상기 제2문(130)이 같이 개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문(120)과 제2문(130)은 폐쇄시에 상기 통로프레임(110)에 고정되고 개방시에 상기 어미소 축사의 휀스(F)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에는 개폐 시 상기 통로프레임(110) 또는 어미소 축사의 휀스(F)에 고정되기 위해 걸쇠(H)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사선으로 동축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가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프레임(110) 및 상기 제1문(120)에는,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의 폐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와 동축 배열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잠금고정부재(160) 및 제2잠금고정부재(170)가 각각 부착된다.
또한, 상기 어미소 축사의 휀스(F)에는,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의 개방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와 동축 배열되고 걸쇠(H)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개방고정부재(180) 및 제2개방고정부재(190)가 각각 부착된다.
여기서 한 쌍의 걸쇠(H)가 상기 제1고정부재(140), 제1잠금고정부재(160), 제1개방고정부재(180) 중에서 선택된 두개와, 상기 제2고정부재(150), 제2잠금고정부재(170), 제2개방고정부재(190) 중에서 선택된 두개를 각각 통과하며 배치되며 개방 또는 폐쇄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문(120)에는 걸쇠(H)가 통과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사선으로 동축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1고정부재(140)가 부착되고, 상기 제1문(12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통로프레임(110)에 상기 제1고정부재(140)와 사선으로 동축 배열되는 제1잠금고정부재(160)가 부착되어, 걸쇠(H)가 상기 제1고정부재(140)와 제1잠금고정부재(160)를 통과하면서 제1문(120)의 폐쇄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문(120)의 개방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문(12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문(120)과 접촉되는 어미소 축사의 휀스(F)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140)와 동축 배열되는 제1개방고정부재(180)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걸쇠(H)가 상기 제1고정부재(140)와 제1개방고정부재(18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통과되며 상기 제1문(120)의 개방 상태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문(130)에는 걸쇠(H)가 통과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사선으로 동축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제2고정부재(150)가 부착되고, 상기 제2문(13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문(120)에 상기 제2고정부재(150)와 동축 배열되는 제2잠금고정부재(170)가 부착되어, 걸쇠(H)가 상기 제2고정부재(150)와 제2잠금고정부재(170)를 통과하면서 제2문(130)의 폐쇄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문(130)의 개방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2문(13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문(130)과 접촉되는 어미소 축사의 휀스(F)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150)와 동축 배열되는 제2개방고정부재(190)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걸쇠(H)가 상기 제2고정부재(150) 및 제2개방고정부재(190)의 내부공간에 모두 삽입되어 통과되며 제2문(130)의 개방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은 개별적인 개폐가 가능하면서 개방과 폐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송아지가 물 또는 사료를 먹는 동안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의 임의적인 이동이 제한되어 송아지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쇠(H)는 끝단이 구부러져 "┏━" 또는 "J"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끝단이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보다 큰 둘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끝단이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에 각각 걸리면서 고정이 이루어지며 걸쇠(H)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걸쇠(H)는 사선방향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되며 한 쌍의 걸쇠(H)의 상단이 가장 상측에 위치한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에 각각 걸려 고정됨으로써, 삽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걸쇠(H)가 사선방향이 아닌 가로방향으로 부착된다면, 제1문(120)과 제2문(130)에 부착되는 제1고정부재(140)와 제2고정부재(150)의 개수에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송아지가 머리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며 걸쇠(H)가 제1잠금고정부재(160) 또는 제2잠금고정부재(170)로부터 의도치않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걸쇠(H)는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선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료통 또는 물통(W)은 사각형의 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료통 또는 물통(W)의 둘레를 따라 휀스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사료통 또는 물통(W)에 설치된 휀스는 상기 사료통 또는 물통(W)의 둘레를 따라 직사각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어미소와 송아지가 같이 사료 또는 물을 섭취하면서 부딪히지 않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문(130)에는 가이드프레임(134)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34)은 상기 제2문(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뿔이 나지 않은 분만 직후의 송아지의 머리 둘레에 적합하면서 한 마리의 송아지만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사료통 또는 물통(W) 측으로 통과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34)은 제2수평부재(124) 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료통 또는 물통(W)의 둘레를 따라 사다리꼴 형상으로 설치되면서 발생하는 휀스와 사료통 또는 물통(W) 사이의 빈 공간이 아닌 사료통 또는 물통(W) 측으로 송아지의 머리가 바로 통과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쇠(H)의 하단은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한 제1잠금고정부재(160) 및 제2잠금고정부재(170)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송아지가 걸쇠(H)에 부딪히거나 찔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게이트(100)는 관리자의 손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가로부재와 세로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휀스 형태이기 때문에, 축사의 관리자가 손을 넣어 손쉽게 걸쇠를 삽입 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잠금동작과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100)가 판 부재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을 개방하여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 고정할 경우 손이 통과할 수 없고 보이지 않는 공간에 손을 넣어 걸쇠(H)를 고정시켜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10)에서 게이트(100)가 설치되는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사료통 또는 물통(W)의 각 둘레를 따라 한 개 이상의 게이트(1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휀스(F)는, 송아지가 어미소 축사(400)로 이동 가능하도록 송아지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되 폭 조절이 가능한 송아지용 통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는, 어미소 축사(400)의 소가 송아지용 축사(10)로 통과할 수 없되 송아지는 어미소 축사(400)로 이동 가능한 폭으로 이루어져 송아지가 안전하게 분리되어 사육되면서 어미소를 찾아 어미소 축사(4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21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220)이 결합되어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210)에는, 어느 한쪽의 수직프레임(2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210)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재(230)가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부재(230)를 통해 어느 한쪽의 수직프레임(220)이 상기 수평프레임(2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됨을 통해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의 폭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30)는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수평프레임(210)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231)와, 상기 고정부(231)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되 어느 한 측의 수직프레임(2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장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232)는 상기 어느 한 측의 수직프레임(220)의 양단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어느 한쪽의 수직프레임(220)은 상기 수평프레임(210)으로부터 이격공간을 가지며 배치되며 이동부재(230)를 통해 결합되므로 상기 한 쌍의 연장부(23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연장부(232)에는 상기 공간이 형성된 위치에 체결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하나의 볼트가 한 쌍의 체결공을 통과하여 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공간이 좁혀지며 상기 고정부(231)가 상기 수평프레임(210)에 더욱 밀착되고 상기 연장부(232)가 수평프레임(210)에 밀착되며 지지하여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재(23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연장부(232)의 체결공(미도시)을 볼트가 통과하면서 상기 고정부(231)가 상기 수평프레임(210)의 둘레에 밀착되면서 고정되고, 송아지의 성장으로 인하여 폭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232)의 너트를 풀어 상기 고정부(231)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한 뒤 볼트와 널트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에는 통로문(240)이 구비되어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 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통로문(24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210) 중에서 상기 이동부재(230)가 설치되지 않은 수직프레임(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로문(240)과 상기 통로문(240)과 인접한 휀스(F)에는 봉 형상의 제1잠금수단(241)이 삽입 가능한 원통형의 제1삽입부(242)가 동축으로 각각 배열되고, 제1잠금수단(241)이 두 개 이상의 제1삽입부(242)를 통과하며 어느 하나의 제1삽입부(242)에 걸리면서 통로문(240)의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로문(240)과 인접한 휀스(F)에는 상기 제1삽입부(242)의 설치 개수가 제한적이지 않으면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판형상의 보강부재(243)가 부착되고 상기 보강부재(243)에 제1삽입부(242)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 개의 제1삽입부(242)는 상기 제1잠금수단(24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사선방향으로 동축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수단(241)은 상기 통로문(240) 폐쇄시 상기 통로문(240)에 설치된 제1삽입부(2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야 하지만, 상기 통로문(2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송아지의 안전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잠금수단(241)이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의 폭 조절으로 인하여 상기 통로문(2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수단(241)이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에 돌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잠금수단(241)은 송아지용 통로(2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잠금수단(24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일례로 상기 제1잠금수단(241)에는 상기 제1잠금수단(241)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가이드부재(2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44)의 어느 한쪽 끝단은 구부러지거나 구멍을 갖는 고리로 이루어지고, 어미소 축사의 휀스(F)에는 고리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245)가 높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44)는 어느 한쪽은 고리를 통해 어미소 축사의 휀스(F)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돌출부(245)에 걸리고 다른 한쪽은 제1잠금수단(241)에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244)가 고정되는 돌출부(245)의 높이에 따라서 상기 제1잠금수단(241)이 송아지용 통로(20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개방 또는 폐쇄 등의 상황에 따라 제1잠금수단(241)의 위치를 가이드하며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44)를 통해 상기 제1잠금수단(241)의 위치를 조절할 수 방법은 본 발명의 일례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10)는 어미소 축사의 휀스(F)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휀스(F)를 더 포함하고, 연장형성된 휀스(F)에 배치되어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출입문(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송아지용 축사에는 별도의 출입문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축사의 관리자가 송아지용 축사(10)에 출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어미소 축사(400)를 거쳐야만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10)는 외측에 출입문(300)을 구비함으로써, 어미소 축사(4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송아지용 축사(10)의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축사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상기 출입문(300)과 상기 출입문(300)과 인접한 휀스(F)에는, 봉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제2잠금수단(310)이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2삽입부(320)가 사선방항으로 동축 배열되며 부착되어 선택적인 잠금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잠금수단(310)은 두 개 이상의 상기 제2삽입부(320) 내부에 사선으로 통과되며 배치되어 잠금동작이 이루어져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잠금수단(310)이 상측으로 갈수록 둘레가 커지는 봉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져 가장 상측의 제2삽입부(320)에 걸리면서 잠금이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봉 형상의 파이프의 둘레가 일정하고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된 제2삽입부(320)의 하단 둘레가 작게 이루어지거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제2잠금수단(310)이 상기 제2삽입부(320)의 하단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잠금수단(310)의 어느 한쪽 끝단이 구부러져 제2삽입부(320)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출입문(300)의 고정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송아지용 축사(10)의 게이트(100), 송아지용 통로(200)의 작동에 대해 도면과 더불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는 게이트(100)의 통로 면적의 조절을 위해 제1문(120), 제2문(130)의 개별적인 개폐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의 (a)는 가장 작은 면적의 통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제1문(120)과 제2문(130)이 모두 닫힌 상태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상기 제1문(120)은 상기 통로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문(130)은 상기 제1문(120)에 고정되어 제1문(120) 및 제2문(130)의 폐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만 직후의 송아지에게 적합한 통과면적을 갖는 게이트(100)를 가질 수 있다.
도 3의 (b)는 중간 면적인 제2단계의 통로를 나타낸 것으로, 제2문(130)은 개방되어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 고정되고 제1문(120)은 통로프레임(110)에 고정되어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제2단계의 면적으로 조절된 통로에는 중간 단계의 생장 과정에 포함되는 송아지에 활용할 수 있다.
도 3의 (c)는 가장 큰 면적으로 이루어진 통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1문(120) 및 제2문(130)이 모두 개방되어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 고정됨으로써 통로프레임(110)이 완전히 개방되면서 가장 큰 면적의 통로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문(120) 및 제2문(130)이 모두 개방되어 통과면적이 가장 큰 게이트(100)는 성장이 많이 이루어진 송아지용 게이트(100)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송아지의 생장 과정에 따라 도 3의 (a), 도 3의 (b), 도 3의 (c)로 순차적으로 게이트(100)의 통과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100)의 통과면적을 너무 크게 형성하여 송아지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면서 송아지의 생장 단계에 따라 게이트(100)의 별도 교체없이 간단한 동작에 의해 통과면적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축사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이동부재(230)를 통해 송아지용 통로(200)의 폭을 조절한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가 작은 송아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송아지용 통로(200)의 폭이 작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잠금수단(241)이 송아지용 통로(200) 공간에 돌출되지 않도록 제1잠금수단(241)을 송아지용 통로(2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부재(244)가 통로문(240)이 닫혀있는 상태의 돌출부(245)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245)에 고정된다.
그리고 송아지가 성장하여 몸체가 더 커지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30)를 수평프레임(2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켜 어느 한 측의 수직프레임(220)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송아지용 통로(200)의 폭을 최대로 넓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44)에 형성된 고리는 가장 상측에 위치한 돌출부(245)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잠금수단(241)이 가이드부재(244)를 따라 송아지용 통로(200)의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잠금수단(241)이 폭조절이 이루어진 송아지용 통로(200)에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송아지의 통행의 불편 또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아지용 통로(200)를 통해 송아지가 송아지용 축사(10)에서 어미소 축사(400)로 이동할 수 있되 수컷 소는 송아지용 축사(10)로 이동할 수 없는 폭으로 이루어져 송아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송아지용 통로(200)의 폭 조절이 가능함을 통해 송아지의 몸체에 따라 통로를 교체할 번거로움이 줄어 관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송아지용 축사 100 : 게이트
110 : 통로프레임 120 : 제1문
121 : 제1수직부재 122 : 제1수평부재
123 : 제2수직부재 124 : 제2수평부재
130 : 제2문 131 : 제1세로부재
132 : 제1가로부재 133 : 제2세로부재
134 : 가이드프레임 140 : 제1고정부재
150 : 제2고정부재 160 : 제1잠금고정부재
170 : 제2잠금고정부재 180 : 제1개방고정부재
190 : 제2개방고정부재 200 : 송아지용 통로
210 : 수평프레임 220 : 수직프레임
230 : 이동부재 231 : 고정부
232 : 연장부 240 : 통로문
241 : 제1잠금수단 242 : 제1삽입부
243 : 보강부재 244 : 가이드부재
245 : 돌출부 300 : 출입문
310 : 제2잠금수단 320 : 제2삽입부
400 : 어미소 축사 F : 휀스
H : 걸쇠 W : 사료통 또는 물통

Claims (7)

  1. 어미소 축사(4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어미소 축사의 휀스와 어미소 축사의 사료통 또는 물통(W)을 공유하는 송아지용 축사에 있어서,
    상기 휀스(F)는,
    상기 사료통 또는 물통(W)에 인접배치되어 송아지의 머리가 사료통 또는 물통(W) 측으로 통과할 수 있는 폭과 높이로 이루어지되, 송아지의 생육 과정에 따라 변하는 송아지의 머리 크기에 맞게 다단계의 통로면적을 구비하는 게이트(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용 축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100)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장 큰 면적인 제1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통로프레임(110)과,
    상기 통로프레임(110)의 통로를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중간 면적인 제2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제1문(120)과,
    상기 제1문(120)의 통로를 개폐 가능하고 내부에 가장 작은 면적인 제3단계의 통로를 구비하는 제2문(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문(120)과 제2문(130)은 폐쇄시에 상기 통로프레임(110)에 고정되고 개방시에 상기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용 축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에는 개폐 시 상기 통로프레임(110) 또는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 고정되기 위해 걸쇠(H)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사선으로 동축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통로프레임(110) 및 상기 제1문(120)에는,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의 폐쇄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와 동축 배열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잠금고정부재(160) 및 제2잠금고정부재(170)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용 축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미소 축사의 휀스에는,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의 개방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문(120) 및 제2문(13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140) 및 제2고정부재(150)와 동축 배열되고 걸쇠(H)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개방고정부재(180) 및 제2개방고정부재(190)가 각각 부착되며,
    한 쌍의 걸쇠(H)가 상기 제1고정부재(140), 제1잠금고정부재(160), 제1개방고정부재(180) 중에서 선택된 두 개와, 상기 제2고정부재(150), 제2잠금고정부재(170), 제2개방고정부재(190) 중에서 선택된 두 개를 각각 통과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용 축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휀스(F)는,
    송아지가 어미소 축사(400)로 이동 가능하도록 송아지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되 폭 조절이 가능한 송아지용 통로(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용 축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아지용 통로(200)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210)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220)이 결합되어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210)에는, 어느 한쪽의 수직프레임(2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210)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이동부재(2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용 축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230)는,
    상기 수평프레임(210)의 둘레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부(231)와, 상기 고정부(231)의 양단에서 연장형성되되 어느 한쪽의 수직프레임(2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연장부(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아지용 축사.
KR1020190136829A 2019-10-30 2019-10-30 송아지용 축사 KR10231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829A KR102315442B1 (ko) 2019-10-30 2019-10-30 송아지용 축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829A KR102315442B1 (ko) 2019-10-30 2019-10-30 송아지용 축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89A true KR20210051489A (ko) 2021-05-10
KR102315442B1 KR102315442B1 (ko) 2021-10-19

Family

ID=7591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829A KR102315442B1 (ko) 2019-10-30 2019-10-30 송아지용 축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290A (ko) * 2021-07-19 2023-01-26 조남희 잠금해제장치를 구비한 축사용 회전도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9217A1 (en) * 2005-02-01 2006-08-03 Kaytee Products, Inc. Bird cage with small door within large door
KR101012121B1 (ko) 2008-06-05 2011-02-07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송아지 사육 케이지
KR101066405B1 (ko) * 2008-11-10 2011-09-21 정진원 송아지용 사료공급통
KR20140020586A (ko) * 2012-08-09 2014-02-19 송재해 도어 잠금장치
US20180055000A1 (en) * 2016-08-30 2018-03-01 Poly Dome Ontario Inc. Animal pen with removable divid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9217A1 (en) * 2005-02-01 2006-08-03 Kaytee Products, Inc. Bird cage with small door within large door
KR101012121B1 (ko) 2008-06-05 2011-02-07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송아지 사육 케이지
KR101066405B1 (ko) * 2008-11-10 2011-09-21 정진원 송아지용 사료공급통
KR20140020586A (ko) * 2012-08-09 2014-02-19 송재해 도어 잠금장치
US20180055000A1 (en) * 2016-08-30 2018-03-01 Poly Dome Ontario Inc. Animal pen with removable divi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290A (ko) * 2021-07-19 2023-01-26 조남희 잠금해제장치를 구비한 축사용 회전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442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2703B2 (en) Pet kennel
US20230014342A1 (en) Animal crate with swing or drop door assembly
US20210329882A1 (en) Animal crate with swing or drop door
US7540109B2 (en) Humane trap for small animals
US10697213B2 (en) Animal crate with swing or drop door assembly
KR20210051489A (ko) 송아지용 축사
CA1295895C (en) Passage device for cattle
US10760305B2 (en) Self-locking guillotine door
KR200494284Y1 (ko) 송아지의 출입 통제가 가능한 축사 출입문
DE60117833T2 (de) Box für haustiere, insbesondere säue
US20140225384A1 (en) Automatic unlatching device
KR20020076446A (ko) 쥐덫
GB2569988A (en) An improved animal dwelling ventilation system, in particular for horse stables
KR20210152257A (ko) 쥐 퇴치용 먹이통
US11737448B1 (en) Poison bait st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AU2017101320B4 (en) Modular pet enclosure
JP6808866B1 (ja) アシナガバチ類用飼育容器
JPH0333255Y2 (ko)
KR200234404Y1 (ko) 쥐덫
JP2002142650A (ja) 屋根開閉式獣類捕獲、飼育オリ
WO2001083927A1 (de) Automatisches tor zum durchlassen eines tieres
KR20230084397A (ko) 출입문 자동 제어형 동물 피신처
JP2004229622A (ja) 鳥かご類用の小鳥などの生き物の飛出防止カバー
IE20180003A1 (en) An improved animal dwelling ventilation system, in particular for horse stables
EP2661172A1 (en) Fenc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