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282A -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282A
KR20210051282A KR1020190136344A KR20190136344A KR20210051282A KR 20210051282 A KR20210051282 A KR 20210051282A KR 1020190136344 A KR1020190136344 A KR 1020190136344A KR 20190136344 A KR20190136344 A KR 20190136344A KR 20210051282 A KR20210051282 A KR 2021005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eparation system
schlieren
separated
nozz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958B1 (ko
Inventor
박기환
조민재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36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9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07C5/365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using a single separation means
    • B07C5/36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using a single separation means during free fall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은 분리대상객체에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장치;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분사된 유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조사된 광을 집광하여 반사시키는 오목 거울 및 상기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분사된 유체에 대한 유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슐리렌 장치; 및 상기 획득된 유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장치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Object separation system using schlieren device}
본 발명은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슐리렌 장치에 의해 획득된 유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노즐 장치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하기 위한 객체 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금속 선별 시스템 등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선별 방식은 접촉 방식인 키커와 비접촉방식인 공압을 이용하는 것들이 있다. 공압을 이용하는 방법은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된 폐금속이 낙하할 때 노즐 장치를 통해 유체를 분사하여 폐금속을 원하는 거리로 날려 보내는 방법이다.
그러나, 노즐 장치의 밸브의 개폐 시각을 폐금속이 낙하하는 시간에 정확하게 맞춰 제어하지 않으면 폐금속 중앙에 유량이 분사되지 않아 정확한 거리로 날려 보낼 수 없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모터에 있는 엔코더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어느 특정한 위치에서 노즐 장치 앞까지 가는 거리를 예측하여 밸브를 열어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센서의 선형성 문제나 부정확성으로 인해 밸브 제어의 정확도를 보장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센서가 정확하다 하더라도 컨베이어벨트가 정속 제어 되지 않으면, 이송 속도 오차로 인해 밸브 개폐 시각 제어가 부정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의 근본적인 원인은 폐금속이 노즐 장치 위에 위치하는 곳과 측정센서의 위치가 동일하지 않은 문제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43152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 분사 시각에 따라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에 정확히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객체 분리 시스템을 제공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 이미지로부터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과 분사 기준선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따라 노즐 장치의 밸브의 개폐 시각을 조절하기 위한 객체 분리 시스템을 제공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은 분리대상객체에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장치;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분사된 유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조사된 광을 집광하여 반사시키는 오목 거울 및 상기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분사된 유체에 대한 유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슐리렌 장치; 및 상기 획득된 유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장치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유체를 분사하기 위해 이용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유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장치의 밸브의 개폐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체 이미지에 포함된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과 상기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기준선을 결정하고, 상기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과 분사 기준선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노즐 장치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거리를 시간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시간에 따라 상기 노즐 장치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조절된 유체 분사 시각에 따라 상기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에 상기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조사된 광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상기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분사 시각에 따라 상기 유체가 분사된 분리대상객체는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대응하는 저장소에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대상객체는 컨베이어벨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 흐름의 시각화를 통해 노즐 장치의 밸브의 개폐시각을 조절함으로써 유체를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에 정확히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에 대한 유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미리 분사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늦게 분사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에 분사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schlieren)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100)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1c를 참고하면, 객체 분리 시스템(100)은 노즐 장치(110), 슐리렌 장치(120) 및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대상객체는 컨베이어벨트 상에 위치하며, 컨베이어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유체가 분사되는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대상객체는 폐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리, 알루미늄 및 황동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노즐 장치(110)는 분리대상객체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 장치(110)는 유체를 분사하기 위해 이용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슐리렌 장치(120)는 분리대상객체에 분사된 유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122), 조사된 광을 집광하여 반사시키는 오목 거울(124) 및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분리대상객체에 분사된 유체에 대한 유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12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광원(122)을 통해 조사된 광이 오목 거울(124)에 반사되고 반사된 광이 카메라(126)의 초점에 집광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이미지는 분사된 유체를 시각화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이미지는 광원(122)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유체를 통과하면서 광의 굴절률 변화를 명암의 차이로 변환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 장치(110)는 조사된 광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분리대상객체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즉, 노즐 장치(110)는 광원(122)과 오목 거울(124)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대상객체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획득된 유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노즐 장치(110)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획득된 유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노즐 장치(110)의 밸브의 개폐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객체 분리 시스템(100)은 유체 흐름의 시각화를 통해 노즐 장치(110)의 밸브의 개폐시각을 조절함으로써 유체를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에 정확히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분사 시각에 따라 유체가 분사된 분리대상객체는 분리대상객체에 대응하는 저장소에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또는 제어부라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 분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에 대한 유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미리 분사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늦게 분사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가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에 분사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a 내지 3c를 참고하면, 객체 분리 시스템(100)의 프로세서는 유체 이미지에 포함된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210)과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기준선(220)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210)과 분사 기준선(22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따라 노즐 장치(110)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리는 중심점(210)과 분사 기준선(220)의 수직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210)과 분사 기준선(22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가 0이 아닌 경우, 유체가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에 정확히 분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산출된 거리에 따라 노즐 장치(110)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유체가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210) 보다 미리 분사된 경우와 도 3b와 같이 유체가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210) 보다 늦게 분사된 경우, 프로세서는 해당 거리를 산출하여 노즐 장치(110)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210)과 분사 기준선(220) 사이의 수직 거리가 0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는 중심점(210)으로부터 분사 기준선(220)까지의 수직선과 분사 기준선(220)의 교점 좌표와 중심점(210)의 좌표를 비교하여, 유체가 미리 분사된 것인지 늦게 분사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중심점(210)의 좌표를 기준으로 교점 좌표가 중심점(210)의 좌표보다 큰 경우는 미리 분사된 것이고, 작은 경우는 늦게 분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산출된 거리를 시간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시간에 따라 노즐 장치(110)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대상객체가 컨베이어벨트를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노즐 장치(110)가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분사 시각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된 유체 분사 시각에 상기 산출된 거리로부터 변환된 시간을 추가함으로써, 노즐 장치(110)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 장치(110)는 유체 분사 시각에 따라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210)에 정확히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된 유체 분사 시각에 따라 다음에 분리되는 분리대상객체에 정확히 유체를 분사하여 점차적으로 분사 정확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객체 분리 시스템(100)은 오목 거울(124)과 노즐 장치(110)의 거리를 가깝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거리를 멀리 설치해야하는 기존의 시스템(측정 장비)보다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노즐 장치(110)의 유체 분사 시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객체 분리 시스템
110: 노즐 장치
120: 슐리렌 장치
122: 광원
124: 오목 거울
126: 카메라
210: 중심점
220: 분사 기준선

Claims (9)

  1. 분리대상객체에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장치;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분사된 유체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조사된 광을 집광하여 반사시키는 오목 거울 및 상기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분사된 유체에 대한 유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슐리렌 장치; 및
    상기 획득된 유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장치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유체를 분사하기 위해 이용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유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 장치의 밸브의 개폐 시각을 조절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체 이미지에 포함된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과 상기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기준선을 결정하고,
    상기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과 분사 기준선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 따라 상기 노즐 장치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거리를 시간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시간에 따라 상기 노즐 장치의 유체 분사 시각을 조절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조절된 유체 분사 시각에 따라 상기 분리대상객체의 중심점에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조사된 광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 시각에 따라 상기 유체가 분사된 분리대상객체는 상기 분리대상객체에 대응하는 저장소에 분리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상객체는 컨베이어벨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체가 분사되는 위치로 전달되는,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KR1020190136344A 2019-10-30 2019-10-30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KR102315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344A KR102315958B1 (ko) 2019-10-30 2019-10-30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344A KR102315958B1 (ko) 2019-10-30 2019-10-30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282A true KR20210051282A (ko) 2021-05-10
KR102315958B1 KR102315958B1 (ko) 2021-10-21

Family

ID=7591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344A KR102315958B1 (ko) 2019-10-30 2019-10-30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2260A1 (zh) * 2022-04-19 2023-10-26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物料分选系统及分选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241A (ja) * 1998-12-11 2000-06-30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圧縮性流体の可視化法、可視化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軸合わせ装置
KR101431526B1 (ko) 2014-02-18 2014-11-04 주식회사 세라메탈 폐원자재 재활용 처리 장치
JP2017080732A (ja) * 2015-10-29 2017-05-1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鉱石選別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80269080A1 (en) * 2017-03-17 2018-09-20 Tel Fsi,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reatment of microelectronic substrates with fluid sprays such as cryogenic fluid spray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241A (ja) * 1998-12-11 2000-06-30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圧縮性流体の可視化法、可視化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軸合わせ装置
KR101431526B1 (ko) 2014-02-18 2014-11-04 주식회사 세라메탈 폐원자재 재활용 처리 장치
JP2017080732A (ja) * 2015-10-29 2017-05-1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鉱石選別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80269080A1 (en) * 2017-03-17 2018-09-20 Tel Fsi,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reatment of microelectronic substrates with fluid sprays such as cryogenic fluid spray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2260A1 (zh) * 2022-04-19 2023-10-26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物料分选系统及分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958B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89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vable object distance detection, and aerial vehicle
US11550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eld calibrating video and lidar subsystems using independent measurements
CN107894767B (zh) 一种自动驾驶车辆横向运动控制对象选择方法
KR101926322B1 (ko) 차량 위치 추정 장치, 차량 위치 추정 방법
CN106292653B (zh) 基于视觉传感器系统的管道车辆纠偏方法
ES2107306T3 (es) Dispositivo para guia del piloto de un avion que se aproxima a su posicion de estacionamiento.
CN105676572A (zh) 用于移动机器人配备的投影仪的投影校正方法和设备
US20130229643A1 (en) Rotating laser
US104179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landing of an aircraft
CN107544534A (zh) 一种基于bds、ins的植保无人机自动精细作业及避障方法
CN104182095B (zh) 移动式自定位激光3d投影系统
US20100129541A1 (en) Control method for producing ground markings, and reference beam generator
CN104075656A (zh) 激光干涉仪的准直偏差检测及消除方法
CN109798874B (zh) 一种高铁桥梁竖向动扰度测量方法
KR20210051282A (ko) 슐리렌 장치를 이용한 객체 분리 시스템
US20220097411A1 (en) Robotic livery printing system
CN104315981A (zh) 一种激光跟踪仪位置敏感器跟踪零点的标定方法
CN104464384A (zh) 在进场阶段期间辅助驾驶飞行器的方法和装置
CN110596715B (zh) 一种水线智能识别系统及定位方法
KR20190003884A (ko) 지도 정보 갱신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0223981B1 (ko) 주탕용기용 비디오 위치제어 장치 및 방법
JP6406894B2 (ja) 環境地図生成制御装置、移動体、及び環境地図生成方法
JPS5745406A (en) Three-dimensional coordinate measuring device
CN114235639A (zh) 一种基于无人机的复合绝缘子憎水性检测系统及方法
CN109604086B (zh) 一种工件的自动喷涂方法及其自动喷涂装置、喷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