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260A -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260A
KR20210051260A KR1020190136286A KR20190136286A KR20210051260A KR 20210051260 A KR20210051260 A KR 20210051260A KR 1020190136286 A KR1020190136286 A KR 1020190136286A KR 20190136286 A KR20190136286 A KR 20190136286A KR 20210051260 A KR20210051260 A KR 20210051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terial
block
beam structure
water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민
이종준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260A/ko
Publication of KR2021005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보의 기능과 더불어 수질 정화 기능을 갖는 보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보 구조물은 수질 정화 기능을 갖는 다방향 블록을 결합시켜 형성함으로써 하천이 다방향 블록에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을 늘려 보 기능과 더불어 동시에 수질 정화 기능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A RESERVOIR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본 발명은 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단순 콘크리트로 구성된 보 구조물이 아닌 수질 정화 기능을 갖는 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洑)는 각종 용수의 취수, 주운 등을 위하여 수위를 높이고 조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물로 제방의 기능을 갖지 않은 시설을 말한다. 보는 댐과 구별이 명확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① 기초지반에서 고정보 마루까지의 높이가 15m 미만인 경우, ② 유수 저류에 의한 유량조절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 ③ 양끝부분을 제방이나 하안에 조정시키는 경우에는 보 구조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은 보는 설치목적에 따라 취수보, 분류보, 방조보로 구분될 수 있다. 취수보는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여 생활용수, 공업용수, 발전용수 등을 취수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보이고, 분류보는 하천의 홍수를 조절하고 저수를 유지하기 위해 하천의 분류점 부근에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 또는 분류함으로써 수위를 조절하는 보이다. 방조보는 하구 또는 감조구간에 설치하여 조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유수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하천에 설치되는 보 구조물로 인해 하천의 수질이 악화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물의 체류시간 증가에 따라 식물성 플랑크톤이 증가되어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이 늘어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정화장치를 설치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시공성, 관리 비용 등의 문제로 적극적으로 실현되고 있지는 못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5293호(2018.12.20 공개)
본 발명은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복수의 다방향 블록을 보 형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천이 다방향 블록에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을 늘려 보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하천의 수질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다방향 블록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보(reservoir) 구조물이고, 상기 다방향 블록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다면체로 하천 유수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면을 포함하여 2 이상의 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블록체와, 블록체 내부에 배치되는 망상 구조의 여재 수용망과, 여재 수용망 내부에 충진되는 복수의 여재를 포함하고, 여재 수용망은 하부분이 도넛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중앙부에 유수 체류공간이 형성되는 보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보 구조물은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다방향 블록을 결합시켜 보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하천이 다방향 블록에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을 늘려 보 구조물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수질정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방향 블록은 내부에 배치되는 망상 구조의 여재 수용망의 중앙부에 인위적으로 유수체류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유수의 유입 효율이 높아지고, 나아가 유입된 유수가 유수체류 공간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소정 시간 체류하게 되므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보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보 구조물을 이루는 다방향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방향 블록에서 여재 수용망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여재 수용망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고 있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보 구조물(1000A,1000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 구조물(1000A,1000B)은 복수의 다방향 블록(100)이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보 구조물(1000A,1000B)은 하천(10)에 폭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저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천(10)의 기초지반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보 구조물(1000A,1000B)의 양측은 제방이나 하안에 결합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1에서는 보 구조물(1000A,1000B)의 상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보 구조물(1000A,1000B)은 하천(10)의 기초지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다방향 블록(100)을 하천(10)의 기초지반에 고정 설치하는 방법은 통상의 앵커 부재 등을 사용하여 다방향 블록(100)의 하부면을 하천의 기초지반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 구조물(1000A,1000B)은 상류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유수)을 일정 높이가 될 때까지 가두어 둔 후 일정 수위가 넘으면 물이 보 구조물(1000A,1000B)을 넘어 하류로 흘러내려가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보 구조물(1000A,1000B)이 직선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보 구조물(1000A,1000B)은 직선형(유수방향에 직각으로 설치하는 형태) 이외에도 경사형(평면형상은 일직선이나 유수방향과 경사지게 설치하는 형태), 굴절형(절선형식으로 월류하는 유수를 유심부로 모으는 형태), 원호형(아치 Arch 형태) 등 다양한 통상의 보 구조물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서는 보 구조물(1000A,1000B)이 하천(10)의 유수 진행 방향에 대해 하천(10)의 폭방향으로 2열로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1열 또는 3열 이상으로 겹합될 수도 있다.
보 구조물(1000A,1000B)은 다방향 블록(100) 복수개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다방향 블록(100)은 수질정화 기능을 갖도록 제조된다. 이 때 다방향 블록(100)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미도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다방향 블록(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인접하는 다방향 블록(100)들의 모서리를 상호 연결시키는 금속 소재의 결합 바(bar) 또는 결합 봉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 짜여진 프레임(frame)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다방향 블록(100)은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되므로 상기 연결부재는 고력볼트-너트 등과 같은 통상의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인접한 다방향 블록(100)을 상호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방향 블록(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보 구조물(1000A,1000B)을 이루는 다방향 블록(10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방향 블록(100)은 블록체(110)와, 여재 수용망(120)과, 여재(130)를 포함한다.
블록체(110)는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다. 공간부에는 여재 수용망(120)이 위치한다. 블록체(110)는 다면체로 형성된다. 도 2에서 블록체(110)는 정육면체 형태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블록체(110)는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수도 있으며 그 외 육각기둥, 팔각기둥 등 다양한 다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체(110)의 2 이상의 면에는 관통구(111)가 형성된다. 관통구(111)는 블록체(110)의일면에 하나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구(111)의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110)의 일면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구(111)의 크기는 클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2 이상의 관통구(111)의 가상의 중심축은 블록체(110)의 공간부의 일점에 겹치거나 공유되도록 관통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2 이상의 관통구(111)는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관통구(111)가 2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관통구(111)는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의 관통구(111)는 유수가 유출되는 유출구로 기능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관통구(111)가 4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관통구(111)는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로 기능하고 다른 세 개의 관통구(111)는 유수가 유출되는 유출구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다방향 블록(100)으로 보 구조물(1000A,1000B)을 형성하는 경우에 하천(10) 유수가 최대한 다방향 블록(100)과 접촉할 수 있도록 다방향 블록(100)의 각 면에서 하천(10) 유수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 면에 관통구(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관통구(111)가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관통구(111) 중 일부 관통구는 차단막(1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록체(110)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모든 면에 관통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즉, 관통구는 총 6개). 이 때, 관통구(111)들 중 일부는 차단막(1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차단막(112)은 표면이 도금된 금속 소재, 플라스틱 소재 또는 석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체(110)의 내부면에 위치하되 관통구(111)를 완전히 막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고). 차단막(112)의 고정은 통상의 결합부재(11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113)는 볼트-너트 등의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막(112)으로 일부 관통구(111)를 차단함으로써 블록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수의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다방향 블록(100)으로 보 구조물(1000A,1000B)을 형성하는 경우에 하천(10) 유수가 보 구조물(1000A,1000B)을 관통하면 안되므로, 다방향 블록(100)에서 하천(10) 유수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면(도 1에서 Ⅰ로 표기함)은 차단막(112)에 의해 폐쇄되거나 또는 해당 면에는 관통구(111)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하여 도 1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방향 블록(100)의 일부는 차단막(112)으로 관통구(111)가 폐쇄되거나 또는 관통구(111)가 없는 경우를 도시하였고(도 1에서 부호 1001로 표기함), 나머지 다방향 블록(100)은 관통구(111)를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유수의 흐름을 최종적으로 막는 다방향 블록 들에서는 유수가 보 구조물(1000A,1000B)을 관통하지 않도록 부호 1001에서와 같이 차단막(112)으로 관통구(111)가 폐쇄되거나 관통구(111)가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부호 1000A로 표기된 보 구조물의 경우). 물론 유수의 흐름을 최종적으로 막지 않는 다방향 블록(100)에 있어서는 여재 수용망(120)과 유수의 접촉을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 블록체(110)의 모든 면에 관통구(111)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부호 1000B로 표기된 보 구조물의 경우).
블록체(110)는 콘크리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블록체(110)는 물/시멘트 비 0.45 기준으로 굵은 골재 30~40wt%, 잔골재 25~35wt%, 시멘트 10~15wt% 물 5~10wt%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거푸집을 통해 양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여재 수용망(120)은 블록체(110)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된다. 여재 수용망(120)은 망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재 수용망(120)의 내부에는 복수의 여재(130)가 배치된다.
여재 수용망(120)은 하부분이 도넛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재 수용망(120)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망상 소재의 상단 테두리와, 상기 망상 소재의 내측 경로를 통해 상측으로 끌어올려진 하단 테두리와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다(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여재 수용망(120)의 중앙부에는 유수체류공간(121)이 인위적으로 형성된다. 유수체류공간(121)은 도 2에서 여재 수용망(120)의 하단 중앙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이다(위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
이와 같이 인위적으로 형성된 유수체류공간(121)은 유수의 유입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유수를 소정 시간 체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여재(130)는 여재 수용망(120)의 내부에 충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재(130)는 유수체류공간(121)을 제외한 여재 수용망(120)의 내부에 충진된다.
여재(130)는 다공성 세라믹 여재, 활성탄 여재 및 이들의 혼합 여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세라믹 여재는 수산화아파타이트세라믹, 황첨가 세라믹, 황토 세라믹, 패각첨가 세라믹, 규조토 세라믹, 은첨가 세라믹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세라믹 여재일 수 있다. 활성탄 여재는 당 업계에서 상용되는 것으로 노출된 활성화 자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미세기공이 발달된 활성탄이 이용될 수 있다. 활성탄 여재를 구성하는 활성탄은 석탄계, 야자계 또는 목탄계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다방향 블록(100)에서 여재 수용망(120)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여재 수용망(120)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우선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망상 소재를 마련한다(도 3a). 이러한 망상 소재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천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망상 소재의 망 크기는 내부에 채워지는 여재(130)의 평균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여재(130)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망상 소재의 상단 테두리(120a)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단 테두리(120b)를 망상 소재의 내측 경로를 통해 상측으로 끌어올린다(도 3b). 일 구체예에 있어서, 망상 소재의 상단 테두리(120a)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예컨대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이용하여 상단 테두리(120a)를 고정시키고, 망상 소재의 내부로 하단 테두리(120b)를 끌어올릴 수 있는 상승 부재(마찬가지로 갈고리 형태의 부재일 수 있음)를 이용하여 하단 테두리(120b)를 상승시킨다. 이 경우 도 2b에서와 같이 하단 테두리(120b)가 망상 소재의 내측 경로를 통해 끌어올려지면서 망상 소재의 내측에는 여재(130)를 수용할 수 있는 도넛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나아가 망상 소재의 외측에는 하단 중앙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하단 테두리(120b)를 상단 테두리(120a)의 위치만큼 끌어올린 후에 망상 소재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는 여재(130)를 투입하여 충진한다. 이후, 망상 소재의 상단 테두리(120a)와 하단 테두리(120b)를 벤딩부재(122)를 통해 여재(130)가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 벤딩시킴으로써 여재 수용망(120)의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분이 도넛 형상을 가지며, 상부분이 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벤딩부재(122)는 망상 소재의 상부분을 벤딩시켜 여재(130)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면 충분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벤딩부재(122)의 예로는 끈, 클램프 등이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과정에 따른 여재 수용망(120)의 형태 형성은 원통 형태의 망상 소재를 블록체(111)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블록체(111)의 외부에서 여재 수용망(120)의 형태가 형성되고, 이후 여재 수용망(120)을 블록체(111)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재 수용망(120)은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천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만 후자의 경우에는 여재 수용망(120)을 블록체(111)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여재 수용망(120)의 형태가 일그러질 수 있으므로, 전자의 방식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여재 수용망(120)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여재 수용망(12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짐으로써 여재 수용망(120)이 블록체(111)의 내부 공간부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공간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생긴다. 구체적으로 여재 수용망(120)의 하부분 중앙부에 형성되는 유수체류공간(121)에 따라 공간이 생기고, 여재 수용망(120)의 상부분은 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즉, 상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짐), 뿔의 양측으로 공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블록체(111)의 내부에 여재가 온전히 채워지는 경우보다 유수(10)가 보다 원활히 유입될 수 있다.
만약 블록체(111)의 내부에 여재가 온전히 채워지는 경우, 여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기공에 의해 유입구가 급격히 작아지게 되는 바, 유수(10)가 블록체(111)의 내부로 제대로 유입되지 못하고 블록체(111)의 외면을 따라 흐르게 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다방향 블록(100)에서는 인위적으로 블록체(11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유수(10)의 유입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여재 수용망(120)의 상부분은 뿔 형상을 가지므로, 블록체(111)의 상부로 흐르는 유수(10)에 대해 저항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111)의 상부로 흐르는 유수(10)의 유속을 다소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에 의해서도 유수(10)의 유입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블록체(111)이 내부로 유입된 유수(10)는 유수체류공간(121)에서 소정 시간 체류하게 된다. 유수(10)는 블록체(11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여재 수용망(120)에 수용된 여재(130)들에 의해 1차적으로 저항을 받게 되고, 이어서 유수체류공간(121)으로 진입한다. 이 때 유수체류공간(121)에는 여재(130)가 존재하지 않아 유수(10)에 대한 저항이 상대적으로 급격히 낮아지게 되는 바, 유수체류공간(121)에서는 유수(10)의 와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와류 현상은 유수(10)를 소정 시간동안 유수체류공간(121)에 체류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유수(10)가 여재(130)에 접촉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늘어나며, 이에 따라 정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보 구조물은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다방향 블록을 결합시켜 보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하천이 다방향 블록에 접촉하는 시간과 면적을 늘려 보 구조물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수질정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방향 블록은 내부에 배치되는 망상 구조의 여재 수용망의 중앙부에 인위적으로 유수체류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유수의 유입 효율이 높아지고, 나아가 유입된 유수가 유수체류 공간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소정 시간 체류하게 되므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다방향 블록 110: 블록체
120: 여재 수용망 130: 여재
1000A,1000B: 보 구조물

Claims (5)

  1. 복수의 다방향 블록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보(reservoir) 구조물이고,
    상기 다방향 블록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다면체로 하천 유수의 진행방향과 마주보는면을 포함하여 2 이상의 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블록체와, 블록체 내부에 배치되는 망상 구조의 여재 수용망과, 여재 수용망 내부에 충진되는 복수의 여재를 포함하고, 여재 수용망은 하부분이 도넛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중앙부에 유수 체류공간이 형성되는 보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블록에서 하천 유수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면은 차단막에 의해 폐쇄되는 보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재 수용망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망상 소재인 상단 테두리와, 상기 망상 소재의 내측 경로를 통해 상측으로 끌어올려진 하단 테두리와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 보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방향 블록은 굵은 골재 30~40wt%, 잔골재 25~35wt%, 시멘트 10~15wt% 및 물 5~10wt%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보 구조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여재는 다공성 세라믹 여재, 활성탄 여재 및 이들의 혼합 여재 중에서 선택되는 보 구조물.
KR1020190136286A 2019-10-30 2019-10-30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 KR20210051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86A KR20210051260A (ko) 2019-10-30 2019-10-30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86A KR20210051260A (ko) 2019-10-30 2019-10-30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260A true KR20210051260A (ko) 2021-05-10

Family

ID=7591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286A KR20210051260A (ko) 2019-10-30 2019-10-30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2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93A (ko) 2017-06-12 2018-12-20 다주건설 (주) 보 우회 구조의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93A (ko) 2017-06-12 2018-12-20 다주건설 (주) 보 우회 구조의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53163A (zh) 河流碎屑截留结构
CN101148866A (zh) 一种排水系统入海口墩栅涡流室复合消能方法
CN107190712B (zh) 一种趾坎跌坎消力池式底流消能工和设计方法
CN103225292B (zh) 一种坝面消能工
CN211504605U (zh) 一种阶梯状波浪水槽消波装置
KR20210051260A (ko) 수질 정화용 보 구조물
CN208949834U (zh) 一种生态护岸结构
CN102747713A (zh) 鱼道
CN202899094U (zh) 一种大型水闸工程闸墩
CN114370036B (zh) 一种琴键堰组合孔口式新型鱼道结构
CN101538841B (zh) 消力池内的差动式挑流消能工
CN209429033U (zh) 多级人造跌水景观
JP4376264B2 (ja) 燃料集合体用スペーサ
KR102046816B1 (ko) 수질정화용 다방향 블록
KR200461559Y1 (ko) 세굴방지용 블록 조립체
CN208429938U (zh) 一种应用于城市河道可适应水位变化的生态驳岸单体
KR20190056004A (ko)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호안구조물
CN104556353B (zh) 地埋式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14883392U (zh) 一种用于河道的水利生态墙
JP2004176436A (ja) 河川構造物
CN110258460B (zh) 堰体结构
CN219032820U (zh) 一种水利工程用急流槽
KR101326216B1 (ko)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JP2006063656A (ja) 魚道ブロック及びこの魚道用ブロックを使用した魚道施工工法
CN115852910B (zh) 一种模块化鱼坡结构、及其设计方法和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