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239A -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239A
KR20210051239A KR1020190136233A KR20190136233A KR20210051239A KR 20210051239 A KR20210051239 A KR 20210051239A KR 1020190136233 A KR1020190136233 A KR 1020190136233A KR 20190136233 A KR20190136233 A KR 20190136233A KR 20210051239 A KR20210051239 A KR 20210051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device
door
controllin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941B9 (ko
KR102267941B1 (ko
Inventor
온정근
이호용
박기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9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941B1/ko
Publication of KR10226794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94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63Multiple on-board control systems, e.g. "2 out of 3"-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36Conductor-based, e.g. using CAN-Bus, train-line or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철도용 제어장치의 고장이나 오동작의 경우 철도차량을 정상 운행시키거나 안전측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출입문 시스템, 보조전원 시스템 및 추진장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 주 제어네트워크;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인접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제2 지역제어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고장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나머지 제어장치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MULTIPLEXING CONTROL SYSTEM OF RAILWAW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고장이나 오동작의 경우 철도차량을 정상 운행시키거나 안전측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같은 다수의 제어장치로서 운행되며, 상기한 제어장치는 운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용 제어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연결된 철도차량 출입문 각각에는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상기 엑츄에이터들 및 상기 센서들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제어장치(112)가 구비되어 출입문(DR1, DR2, DR3, DR4)의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한 제어장치(112)는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연결되어 통신에 의하여 제어정보를 인터페이스하고 센서로 정보를 수집하고 엑츄에이터로 제어동작을 실현하는 부분적인 제어시스템을 구성한다.
이처럼, 철도차량 출입문 등은 다수의 제어장치들을 통해 부분 제어를 실현하고 다수가 합쳐져 차량이나 편성의 전체 기능을 실현한다.
제어장치 중에 중요한 장치는 고장이나 오동작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은 다중화를 구현하고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연결된 철도차량 출입문 각각에는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되, 하나의 출입문에 대응하여 주제어장치(114)와 부제어장치(116)가 배치되고, 엑츄에이터들 중 중요한 엑츄에이어는 이중화되어 배치되고, 센서들 중 중요한 센서 역시 이중화되어 배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하드웨어의 다중화의 경우 시스템에 대한 비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장 개소가 증가하고 결론적으로 고장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0001)한국등록특허 제10-1610223호(2016. 04. 01.)(철도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 0002)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99153호(2015. 08. 31.)(철도차량 도어 제어시스템) 0003)한국등록특허 제10-1950695호(2019. 02. 15.)(철도차량용 전기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0004)한국등록특허 제10-1465529호(2014. 11. 20.)(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용 제어장치를 이중화나 다중화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고장이나 오동작의 경우 철도차량을 정상 운행시키거나 안전측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출입문 시스템, 보조전원 시스템 및 추진장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 주 제어네트워크;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인접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제2 지역제어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고장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나머지 제어장치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은 링형 네트워크 구조 또는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은 링형 네트워크 구조 또는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 각각은 동일한 출입문에 대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2 제어장치가 배치일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2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상기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 각각은 서로 다른 출입문에 대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 각각은 4개의 출입문에 대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2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3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2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4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제3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3 주제어프로그램과, 제4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4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3 부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4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은 서로 다른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2 제어장치의 고장시 제2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은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에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철도용 제어장치를 이중화나 다중화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고장이나 오동작의 경우 철도차량을 정상 운행시키거나 안전측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써, 철도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전을 위해 철도용 제어장치를 하드웨어적으로 이중화 또는 다중화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이중화 또는 다중화함으로써 시스템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하드웨어적 시스템 복잡도 증가에 따라 고장 개소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용 제어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어 "제어장치"는 철도차량의 부분적인 제어 기능을 구현하여 여러 개의 제어장치(ECU)로서 시스템의 기능을 달성하는 장치를 칭한다.
용어 "제어프로그램"은 제어장치에서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칭한다.
용어 "제어네트워크(Train Network)"는 철도차량의 각종 수집정보나 제어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칭한다.
용어 "지역제어통신(Local Network)"는 부분 제어장치의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지역적인 부분이나 주 제어네트워크의 하위부분에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칭한다.
용어 "엑츄에이터"는 제어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전기적이나 기계적인 물리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칭한다.
용어 "센서"는 제어를 위한 물리적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를 칭한다.
용어 "제어선"은 엑츄에이터와 센서의 정보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연결로서 통신이 아닌 전기적이나 기계적으로 직접적인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특히, 주 제어네트워크(110)와 이웃 제어장치에 의한 다중화가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주 제어네트워크(110), 제1 지역제어통신(120) 및 제2 지역제어통신(130)을 포함한다.
주 제어네트워크(110)는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출입문 시스템, 보조전원 시스템 및 추진장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문 시스템을 예로 설명한다.
제1 지역제어통신(120)은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한다. 도 3에서 제1 지역제어통신(120)은 링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 지역제어통신(120)은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지역제어통신(130)은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고, 제1 지역제어통신(120)에 인접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한다. 도 3에서 제2 지역제어통신(130)은 링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2 지역제어통신(130)은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지역제어통신(120) 및 제2 지역제어통신(130) 각각은 동일한 출입문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출입문 시스템의 경우, 철도차량 10량 편성에서 차량 1량의 한쪽편의 4개의 출입문이 있으며 양쪽 8개의 출입문이 있다. 1편성에 총 80개의 출입문이 있고, 1개 출입문 당 1개의 제어장치(DCU, Door Control Unit)가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역제어통신(120)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140)가 배치되고, 제2 지역제어통신(130)에 대응하여 제2 제어장치(150)가 배치된다. 제1 제어장치(140)가 고장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제2 제어장치(150)는 주 제어네트워크(110)를 통하여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1 제어장치(140)의 동작을 대체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고, 제2 제어장치(150)가 고장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장치(140)는 주 제어네트워크(110)를 통하여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2 제어장치(150)의 동작을 대체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제1 제어장치(140)에는,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142)과, 제2 제어장치(150)의 고장시 주 제어네트워크(110)를 경유하여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144)이 탑재된다.
제2 제어장치(150)에는,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152)과, 제1 제어장치(140)의 고장시 주 제어네트워크(110)를 경유하여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154)이 탑재된다.
동작시, 제1 제어장치(140)가 고장나거나 제2 제어장치(150)가 고장하더라도 이웃하는 제어장치(제2 제어장치(150) 또는 제1 제어장치(140))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므로써, 철도차량을 정상 운행시키거나 안전측으로 운행할 수 있어 철도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주 제어네트워크(110)와 지역제어통신으로 구성되는 제어시스템에서 근처에 있는 제어장치를 활용하여 다중화의 목적으로 달성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즉, 출입문의 경우 한 개의 차량에 8개의 제어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한 개의 제어장치가 고장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근처에 있는 다른 제어장치가 주 제어네트워크(110)를 통하여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기능을 담당하여 다중화 기능을 달성한다. 이 경우 제어장치와 독립적으로 통신모듈이 동작해야 하며, 근처의 제어장치는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제어동작을 대신할 제어프로그램이나 제어기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특히, 지역제어통신과 이웃 제어장치에 의한 다중화가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주 제어네트워크(110), 제1 지역제어통신(220) 및 제2 지역제어통신(230)을 포함한다.
주 제어네트워크(110)는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출입문 시스템, 보조전원 시스템 및 추진장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문 시스템을 예로 설명한다.
제1 지역제어통신(220)은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링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한다. 도 4에서 제1 지역제어통신(220)은 링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 지역제어통신(220)은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다.본 실시예에서, 제1 지역제어통신(220)은 2개의 출입문을 커버하도록 설정된다.
제2 지역제어통신(230)은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고, 제1 지역제어통신(220)에 인접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링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한다. 도 4에서 제2 지역제어통신(230)은 링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2 지역제어통신(230)은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다.본 실시예에서, 제2 지역제어통신(230)은 2개의 출입문을 커버하도록 설정된다.
제1 지역제어통신(220) 및 제2 지역제어통신(230) 각각은 서로 다른 출입문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역제어통신(220)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240) 및 제2 제어장치(250)가 배치될 때, 제1 제어장치(240)에는,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242)과, 제1 제어장치(240)의 고장시 제1 지역제어통신(220)을 경유하여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244)이 탑재되고, 제2 제어장치(250)에는,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252)이 탑재되고, 제1 제어장치(240)의 고장시 제1 지역제어통신(220)을 경유하여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254)이 탑재된다.
한편, 제1 지역제어통신(220)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240) 및 제2 제어장치(250)가 배치될 때, 제1 제어장치(240)에는,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제2 제어장치(250)에는, 제1 제어장치(240)의 고장시 제1 지역제어통신(220)을 경유하여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제1 제어장치(240)의 고장시 제1 지역제어통신(220)을 경유하여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될 수도 있다.
동작시, 제1 제어장치(240)가 고장나거나 제2 제어장치(250)가 고장나더라도 이웃하는 제어장치가 고장난 제어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므로써, 철도차량을 정상 운행시키거나 안전측으로 운행할 수 있어 철도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부분시스템, 즉 2개의 출입문을 묶어서 네트워크로서 지역제어통신을 구성한 경우이며 같은 네트워크에 두 개의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상호 보완적인 다중화를 구현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제어장치에는 이웃하는 제어장치의 제어기능이나 제어프로그램모듈이 포함되어야 한다.
지역제어통신으로 묶인 두 개의 제어장치 각각은 자기 해당 부분의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가 하나의 제어장치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제어 기능까지 담당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고, 두 개의 제어장치 중 한 개의 제어장치가 이웃까지 총괄하여 제어하다가 해당 제어장치가 고장의 경우 다른 제어장치로 전환되는 스탠바이-바이패스 형식의 다중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특히, 지역제어통신 확장에 의한 다중화가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주 제어네트워크(110) 및 제1 지역제어통신(310)을 포함한다.
주 제어네트워크(110)는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출입문 시스템, 보조전원 시스템 및 추진장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문 시스템을 예로 설명한다.
제1 지역제어통신(310)은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링형 네트워크 구조 또는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한다.
제1 지역제어통신(310)은 4개의 출입문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제1 제어장치(320) 및 제2 제어장치(330)가 배치된다. 제1 제어장치(320) 및 제2 제어장치(330)에는 출입문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프로그램들과 이웃하는 제어장치의 고장시 고장난 제어장치의 역할로서 출입문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제어프로그램들이 탑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어장치(320)에는,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322)과,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324)과, 제2 제어장치(330)의 고장시 제3 출입문(DR3)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326)과, 제2 제어장치(330)의 고장시 제4 출입문(DR4)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328)이 탑재될 수 있다.
제2 제어장치(330)에는, 제3 출입문(DR3)의 제어를 위한 제3 주제어프로그램(332)과, 제4 출입문(DR4)의 제어를 위한 제4 주제어프로그램(334)과, 제1 제어장치(320)의 고장시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3 부제어프로그램(336)과, 제1 제어장치(320)의 고장시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4 부제어프로그램(338)이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장치(320)에는,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322)과,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324)과, 제3 출입문(DR3)의 제어를 위한 제3 주제어프로그램(332)과, 제4 출입문(DR4)의 제어를 위한 제4 주제어프로그램(334)이 탑재될 수 있다.
제2 제어장치(330)에는, 제1 제어장치(320)의 고장시 제1 출입문(DR1)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326)과, 제1 제어장치(320)의 고장시 제2 출입문(DR2)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328)과, 제1 제어장치(320)의 고장시 제3 출입문(DR3)의 제어를 위한 제3 부제어프로그램(336)과, 제1 제어장치(320)의 고장시 제4 출입문(DR4)의 제어를 위한 제4 부제어프로그램(338)이 탑재될 수 있다.
동작시, 제1 제어장치(320)가 고장나거나 제2 제어장치(330)가 고장하더라도 이웃하는 제어장치(제2 제어장치(330) 또는 제1 제어장치(320))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므로써, 철도차량을 정상 운행시키거나 안전측으로 운행할 수 있어 철도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지역제어통신을 이웃하는 부분시스템에 확장하여 두 개 이상의 부분시스템을 포함한 제어영역을 구성하며 포함된 부분시스템의 제어장치 중에 다중화를 요구하는 수량만큼의 제어장치만을 채용하는 방식이다.
즉, 4개의 부분시스템에 2개의 제어장치만을 채용하고 2개의 제어장치를 제거함에 따라 이중화를 달성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어장치의 중요도가 상승하며 3중화나 4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역시 한 개의 제어장치가 전체를 담당하는 스탠바이-바이패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 간에 부분적으로 제어영역을 분할하고 고장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다른 제어장치가 역할을 담당하는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
상술된 원리와 유사하게 일정 지역에 주 제어네크워크나 지역제어통신으로 연결되고 다른 기능을 갖는 시스템 각각에 구비되는 제어장치 간에 다른 기능의 제어프로그램을 보유함으로 이종 제어시스템 간의 다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이종 제어시스템간의 다중화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특히, 이종 제어시스템 간의 다중화가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은 주 제어네트워크(110) 및 제1 지역제어통신(410)을 포함한다.
주 제어네트워크(110)는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출입문 시스템, 보조전원 시스템 및 추진장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전원 시스템의 보조전원장치와 추진장치 시스템의 추진장치가 제1 지역제어통신(410)으로 묶인 예를 설명한다.
제1 지역제어통신(410)은 주 제어네트워크(110)에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되고, 보조전원 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제1 제어장치(420)와, 추진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제2 제어장치(430)가 서로 연결되어 링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어장치(420)에는, 보조전원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422)과, 제2 제어장치(430)의 고장시 추진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424)이 탑재되고, 제2 제어장치(430)에는 추진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426)과, 제1 제어장치(420)의 고장시 보조전원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428)이 탑재된다.
동작시, 제1 제어장치(420)의 제1 주제어프로그램(422)은 보조전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제어장치(430)의 제2 주제어프로그램(426)은 추진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제1 제어장치(420)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제2 제어장치(430)의 제2 부제어프로그램(426)이 제1 제어장치(420)의 역할을 대신하여 보조전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제어장치(430)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장치(420)의 제1 부제어프로그램(424)이 제2 제어장치(430)의 역할을 대신하여 추진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1 제어장치(420)가 고장나거나 제2 제어장치(430)가 고장하더라도 이웃하는 제어장치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므로써, 철도차량을 정상 운행시키거나 안전측으로 운행할 수 있어 철도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과 기능이 복잡화함에 따라 제어장치의 기능과 수량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제어장치를 분산화하고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의 제작비용이 감소하여 경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스템이 단순화함에 따라 시스템의 설계/제작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주 제어네트워크 120, 220, 310, 410 : 제1 지역제어통신
130, 230 : 제2 지역제어통신 140, 240, 320, 420 : 제1 제어장치
150, 250, 330, 430 : 제2 제어장치
142, 242, 322, 422 : 제1 주제어프로그램
144, 244, 326, 424 : 제1 부제어프로그램
252, 324, 426 : 제2 주제어프로그램
254, 328, 428 : 제2 부제어프로그램
332 : 제3 주제어프로그램 334 : 제4 주제어프로그램
336 : 제3 부제어프로그램 338 : 제4 부제어프로그램

Claims (13)

  1.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출입문 시스템, 보조전원 시스템 및 추진장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 주 제어네트워크;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인접하고, 복수의 엑츄에이터들, 복수의 센서들 및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제2 지역제어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고장 또는 오동작하는 경우 나머지 제어장치가 고장난 또는 오동작하는 제어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은 링형 네트워크 구조 또는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은 링형 네트워크 구조 또는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 각각은 동일한 출입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2 제어장치가 배치일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2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상기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 각각은 서로 다른 출입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 각각은 4개의 출입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2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3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2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4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제3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3 주제어프로그램과, 제4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4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3 부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제2 출입문의 제어를 위한 제4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은 서로 다른 시스템에 채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에 대응하여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에는, 제1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1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2 제어장치의 고장시 제2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1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상기 제2 제어장치에는 상기 제2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2 주제어프로그램과, 상기 제1 제어장치의 고장시 상기 제1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2 부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역제어통신 및 상기 제2 지역제어통신은 상기 주 제어네트워크에 버스형 네트워크 구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KR1020190136233A 2019-10-30 2019-10-30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KR102267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33A KR102267941B1 (ko) 2019-10-30 2019-10-30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33A KR102267941B1 (ko) 2019-10-30 2019-10-30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239A true KR20210051239A (ko) 2021-05-10
KR102267941B1 KR102267941B1 (ko) 2021-06-23
KR102267941B9 KR102267941B9 (ko) 2021-09-17

Family

ID=7591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233A KR102267941B1 (ko) 2019-10-30 2019-10-30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242B1 (ko) 2023-07-10 2023-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독립객체 모델 기반 개발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945A (ko) * 2013-05-02 2014-11-12 한국산업은행 자동 출입문 제어 장치
KR101465529B1 (ko) 2013-01-31 2014-11-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KR20150099153A (ko) 2014-02-21 2015-08-31 한국산업은행 철도차량 도어 제어시스템
KR101610223B1 (ko) 2015-11-27 2016-04-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134607A (ko) * 2017-06-09 2018-1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차량의 통신 모니터링 장치
KR101950695B1 (ko) 2017-08-18 2019-02-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전기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29B1 (ko) 2013-01-31 2014-11-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출입문 제어장치
KR20140130945A (ko) * 2013-05-02 2014-11-12 한국산업은행 자동 출입문 제어 장치
KR20150099153A (ko) 2014-02-21 2015-08-31 한국산업은행 철도차량 도어 제어시스템
KR101610223B1 (ko) 2015-11-27 2016-04-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134607A (ko) * 2017-06-09 2018-1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차량의 통신 모니터링 장치
KR101950695B1 (ko) 2017-08-18 2019-02-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전기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941B9 (ko) 2021-09-17
KR102267941B1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5410B2 (ja) 冗長構成の車両用制御装置
US8639428B2 (en)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with a failsafe energy supply and method for failsafe energy supply in an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for vehicles
EP1625061B1 (de) Bremsanlage für fahrzeuge, insbesondere nutzfahrzeuge mit mindestens zwei separaten elektronischen bremssteuerkreisen
US9994241B2 (en) Rail vehicle
DE112008003120B4 (de) Elektronisches System zum Betreiben einer elektromechanischen Parkbremse
EP1454747B1 (d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sicherheitsrelevanten Vorgängen an Maschinen
EP2445771B1 (de) Verfahren zum erstellen eines elektronischen stellwerks als ersatz eines bestehenden stellwerks
DE102013020177A1 (de) Kraftfahrzeug
CN102177060B (zh) 站台门的控制
DE10064673B4 (de) Fehlertolerante elektromechanische Stelleinrichtung
CN112061104B (zh) 制动控制系统
EP2705994A1 (en) Control arrangement for a rail vehicle
DE102005014804A1 (de) Bordne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Steuergerät und intelligentes Energieversorgungsgerät für ein Bordnetzsystem eines Kraftfahrzeugs
DE102008022895B4 (de) Aktiver Helikopterrotor mit verteilten Redundanzen
WO2018046691A1 (de) Mehrteilig ausgeführte bremsregelung
CN112660158B (zh) 辅助驾驶控制系统
EP3049304B1 (en) Pneumatic brake system redundancy in locomotive consists
KR102267941B1 (ko) 철도용 제어장치의 다중화 제어 시스템
JP5089693B2 (ja) 制御装置および機能制御方法
JP2009522116A (ja) 少なくとも1つの機械を制御する装置
RU2491597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управляющее вычис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DE102018220605A1 (de) Kraftfahrzeugnetzwerk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netzwerks
JP7298015B2 (ja) スマート制御ユニットに基づく列車ドアロジックスマート制御システム
KR102624433B1 (ko) 전동차 출입문용 통합형 출입문 제어장치
US7581617B2 (en) Method for triggering a coupl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