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731A -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731A
KR20210050731A KR1020190135128A KR20190135128A KR20210050731A KR 20210050731 A KR20210050731 A KR 20210050731A KR 1020190135128 A KR1020190135128 A KR 1020190135128A KR 20190135128 A KR20190135128 A KR 20190135128A KR 20210050731 A KR20210050731 A KR 20210050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fixed
hook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백용
박기범
Original Assignee
황백용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백용, 박기범 filed Critical 황백용
Priority to KR102019013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731A/ko
Publication of KR2021005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01K91/10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for automatic hook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는 낚시줄의 결속이 대량의 낚시바늘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낚시줄 결속작업을 위한 인력의 대폭적인 감축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작업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Automatic binding machine of fishing line}
본 발명은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낚시줄의 결속이 대량의 낚시바늘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낚시줄 결속작업을 위한 인력의 대폭적인 감축이 가능해질 수 있고, 작업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는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바늘은 어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낚시바늘은 낚시줄을 묶어 사용하게 되나, 대부분의 낚시바늘은 낚시줄 없이 시판되어 사용자가 직접 사용과정에서 낚시줄을 낚시바늘에 묶게 된다.
하지만 낚시줄을 낚시바늘에 묶는 작업은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고, 또한 숙련자라 하더라도 묶는 작업이 불편하거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낚시줄을 자동 결속시킬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86064호 "낚시줄 결속장치", 등록번호 제10-1366381호 "낚시바늘 자동 결속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0-0012358호 "낚시바늘에 낚싯줄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의 경우, 낚시 현장에서 사용자가 낚시줄을 개별적으로 낚시바늘에 자동 결속시키는 구조가 대부분이어서 대량의 낚시바늘에 대한 낚시줄 자동결속에 적용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86064호 "낚시줄 결속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66381호 "낚시바늘 자동 결속장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0-0012358호 "낚시바늘에 낚싯줄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파츠 피더(part's feeder)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낚시바늘 피더를 통해 대량의 낚시바늘이 단속적으로 순차 공급되고, 연속적으로 풀려나오는 낚시줄이 작업테이블의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 낚시줄 가이드블록, 낚시줄 안내구, 낚시줄 걸림대, 낚시줄 전단 클램퍼를 거쳐 설정패턴으로 고정되며, 회전 원판체, 회전 결속단에 의해 낚시줄이 낚시바늘에 감겨지면서 결속되는 장치구성을 통해 낚시줄의 결속이 대량의 낚시바늘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작업테이블(1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고, 자유회전하는 하부 롤러(510)와 상부 롤러(520) 사이를 낚시줄(2)이 통과하게 되는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상기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홀(621)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줄 안내관(620)이 설정높이로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낚시줄 가이드블록(500)을 통과한 낚시줄(2)이 상기 내부홀(621)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이동경로를 안내받게 되는 낚시줄 안내구(600); 상기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낚시줄 안내관(620)이 통과하게 되는 중심홀(710)을 가지며, 낚시줄 배출슬릿(720)이 가장자리 부위에 호형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 원판체(700); 설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원판체(700)를 회전시키게 되는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 설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게 되는 낚시줄(2)에 대한 클램핑 동작과 언클램핑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 일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낚시바늘(3)의 후크 부위(3a)를 걸림고정하는 한편 상기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를 수평으로 정위치 고정시킨 다음,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로 돌출되는 상기 낚시줄 안내관(620)의 측방으로 상기 낚시바늘(3)을 이동시키게 되는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 상기 회전 원판체(700) 전방에 이격 배치되고,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단(1310)이 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낚시줄 걸림대(1300); 및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전면 가장자리 부위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 원판체(700)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낚시줄(2)이 상기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에 결속되도록 하는 회전 결속단(1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낚시줄 안내관(620)을 통과한 낚시줄(2)이 상기 낚시줄 걸림대(1300)의 고정단(1310)에 걸쳐진 다음, 상기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에 클램핑된 상태로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낚시줄 걸림대(1300)와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 사이의 낚시줄(2)이 회전하는 상기 회전 결속단(1400)에 걸린 상태로 상기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에 복수회 감기면서 상기 낚시줄(2)과 낚시바늘(3)의 결속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는 상기 작업테이블(100) 길이방향 후단 부위에 고정되고, 로드가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길이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형성되는 이송레일(300); 상기 이송레일(30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와 결합되며, 낚시줄(2)이 클램핑된 상태로 통과하게 되는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낚시줄(2)과 낚시바늘(3)의 결속 완료후, 상기 낚시줄(2)이 상기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에 클램핑된 상태로 상기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상기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이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낚시바늘(3)에 결속된 낚시줄(2)의 길이가 설정크기로 확보되도록 한 다음, 낚시줄(2)이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는 복수의 낚시바늘(3)이 수용되고, 상기 낚시바늘(3)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로(1010)를 통해 순차 배출되도록 하는 낚시바늘 피더(1000); 상기 낚시바늘 피더(1000)의 배출로(1010) 끝단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낚시바늘(3)을 전달받게 되며, 하향 경사진 설정길이의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낚시바늘 피더(1000)의 배출로(1010)로부터 하나의 낚시바늘(3)을 단속적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낚시바늘 안내대(1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상기 낚시바늘 안내대(1100)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낚시바늘 안내대(1100)로부터 하나의 낚시바늘(3)을 전달받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에서 상기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구동모터(810); 상기 구동모터(810)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820);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후단부위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820)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8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에서 상기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상기 낚시바늘 안내대(1100)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고정관체(1210);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 상기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의 로드에 연결되어 전후진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의 내부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며, 끝단부위에 고정플랜지(1231)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평 이동관체(1230);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로드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 상기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의 로드 끝단 부위에 결합되고, 박판체로 이루어지는 낚시바늘 푸싱편(1250);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가 고정되는 고정블록(1260); 및 상기 고정블록(1260)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블록(1260)을 이동시키는 고정블록 구동실린더(12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의 의해 전진이동한 상기 수평 이동관체(1230)에 상기 낚시바늘 안내대(1100)로부터 전달되는 낚시바늘(3)이 걸리게 되고, 상기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에 의해 후진이동한 상기 수평 이동관체(1230)의 고정플랜지(1231)와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 사이에 상기 낚시바늘(3)이 끼움고정되며, 상기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에 의해 상기 낚시바늘 푸싱편(1250)이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가 수평배치되며, 상기 고정블록 구동실린더(1270)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1260)이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로 돌출되는 상기 낚시줄 안내관(620)의 측방으로 상기 낚시바늘(3)을 이동시키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에 의하면, 낚시줄의 결속이 대량의 낚시바늘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구성을 제공하므로, 낚시줄 결속작업을 위한 인력의 대폭적인 감축이 가능해지고, 작업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와 낚시줄 후단 클램프블록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가이드블록과 낚시줄 안내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원판체와 낚시바늘 걸림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고정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전단 클램퍼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안내대와 스톱퍼용 구동실린더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와 낚시바늘 푸싱편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걸림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낚시줄, 낚시바늘, 낚시줄-낚시바늘 자동 결속장치, 실린더, 모터, 센서, 기어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작업테이블(100),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 이송레일(300),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낚시줄 안내구(600), 회전 원판체(700),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 낚시바늘 피더(1000), 낚시바늘 안내대(1100),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 낚시줄 걸림대(1300), 회전 결속단(1400), 낚시줄 절단기(1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작업테이블(100)은 설정높이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장치 관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 이송레일(300),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낚시줄 안내구(600), 회전 원판체(700),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 낚시바늘 피더(1000), 낚시바늘 안내대(1100),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 낚시줄 걸림대(1300), 회전 결속단(1400), 낚시줄 절단기(1600)가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테이블(100)은 길이방향으로 길다랗게 배치된다.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는 작업테이블(100) 길이방향 후단 부위에 고정되는 것으로,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로드에 낚시줄 후단 클램프블록(400)이 결합된다.
이송레일(300)은 작업테이블(10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형성된다.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은 이송레일(30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와 결합되어 전후진 이동하게 된다. 외부의 설정지점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낚시줄(2)은 낚시줄 후단 클램프블록(400)에 클램핑된 상태로 낚시줄 후단 클램프블록(40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후단 클램프블록(400)은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410), 하부 블록체(420), 상부 블록체(430), 블록체 승강용 실린더(4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프레임(410)은 이송레일(30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이동하는 바닥면체(411), 블록체 승강용 실린더(440)가 고정되는 상부면체(412), 낚시줄(2)이 통과하는 관통홀(4131)이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전후면체(413)로 이루어지고, 고정프레임(410)의 내측공간(414)에 하부 블록체(420)와 상부 블록체(430)가 배치된다.
여기서 하부 블록체(420)와 상부 블록체(430)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블록체(420)는 낚시줄 후단 클램프블록(400)을 통과하는 낚시줄(2)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 블록체(430)는 낚시줄 후단 클램프블록(400)을 통과하는 낚시줄(2)의 상측에 배치된다.
블록체 승강용 실린더(440)는 고정프레임(410)의 상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배치된다. 블록체 승강용 실린더(440)의 로드는 상부 블록체(430)와 결합되어 상부 블록체(430)의 상하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상부 블록체(430)는 하향 이동하면서 하부 블록체(420)와 함께 낚시줄(2)을 클램프하게 된다.
낚시줄 가이드블록(500)은 작업테이블(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유회전하는 하부 롤러(510)와 상부 롤러(520) 사이를 낚시줄(2)이 통과하게 된다. 하부 롤러(510)와 상부 롤러(520)는 낚시줄(2)에 밀착되는데, 이에 따라 낚시줄(2)은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낚시줄 가이드블록(500)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가이드블록(500)은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530), 상부 롤러 고정편(540), 롤러 승강용 실린더(550)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530)은 상부면체(532)의 좌우측단으로부터 한쌍의 측면체(531)가 수직으로 하향 연장형성된 "∩"형 수직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작업테이블(10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 롤러(510)와 상부 롤러(52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부 롤러 고정편(540)은 "∩"형 수직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 롤러(520)가 하향 돌출되게 끼움고정되는 것으로, 상부 롤러 고정편(540)의 하부에 상부 롤러(52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부 롤러 고정편(540)의 상부는 롤러 승강용 실린더(550)와 연결된다.
롤러 승강용 실린더(550)는 지지프레임(53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530)의 상부면을 통과하여 배치되는 로드에 상부 롤러 고정편(54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롤러 승강용 실린더(550)의 구동시 상부 롤러(520)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부 롤러(520)는 하향 이동함으로써 하부 롤러(510)와 상부 롤러(520)가 낚시줄(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낚시줄 안내구(600)는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전방에 배치되어 낚시줄(2)이 통과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안내구(600)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고정대(610)와 낚시줄 안내관(6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대(610)는 작업테이블(10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고정대(610)의 상부에 낚시줄 안내관(620)이 고정된다.
낚시줄 안내관(620)은 길이방향으로 내부홀(6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고정대(610)에 고정되어 설정높이로 수평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낚시줄 가이드블록(500)을 통과한 낚시줄(2)은 낚시줄 안내관(620)의 내부홀(621)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이동경로를 안내받게 된다.
회전 원판체(700)는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낚시줄 안내관(620)이 통과하게 되는 중심홀(710)을 가진다. 이에 따라 회전 원판체(700)의 회전시 낚시줄 안내관(620)은 회전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 원판체(700)에는 낚시줄 배출슬릿(720)이 가장자리 부위에 호형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회전 원판체(700)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외곽 부위를 이루는 원형 링(730), 원형 링(730) 내측에 이격 배치되고 중심홀(710)이 형성된 원판(740), 원형 링(730)과 원판(740)을 연결시키는 연결편(75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원형 링(730)과 원판(740) 사이에 낚시줄 배출슬릿(7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원판체(700)의 원형 링(730)은 원판체 고정판(1500)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원판체 고정판(1500)은 작업테이블(100) 상부면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는 설정위치에 고정되어 회전 원판체(7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는 도 8에서와 같이 구동모터(810), 구동기어(820), 종동기어(8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모터(810)는 작업테이블(100)의 설정지점에 고정되고, 구동기어(820)는 구동모터(810)의 모터축에 결합된다.
종동기어(830)는 회전 원판체(700)의 후단부위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구동기어(820)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동기어(830)는 회전 원판체(700)의 후측 표면과 연결되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회전 원판체(700)와 종동기어(830)는 일체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는 설정위치에 고정되어 회전 원판체(700)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 원판체(700)의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게 되는 낚시줄(2)에 대한 클램핑 동작과 언클램핑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는 도 9에서와 같이 원판체 고정판(1500)의 전면 상단부위에 고정되는 실린더 본체(910), 실린더 본체(910)의 하단 부위에 배치되는 한쌍의 핑거(9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실린더 본체(910)는 한쌍의 핑거(920)가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는 낚시줄(2)을 향하여 90°회전하도록 하거나, 한쌍의 핑거(920)가 낚시줄(2)의 좌우측으로 90°회전하도록 한다.
한쌍의 핑거(920)는 실린더 본체(910)의 하단 부위 좌우측에 대칭되게 배치되어 동작하게 된다. 각 핑거(920)는 90°각도범위에서 회전동작하게 되는데, 한쌍의 핑거(920)는 회전동작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는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는 낚시줄(2)을 사이에 두고 한쌍의 핑거(920)가 낚시줄(2)을 향하여 90°회전하도록 하여 낚시줄(2)이 한쌍의 핑거(920)에 의해 클램핑되도록 하거나, 한쌍의 핑거(920)이 좌우측으로 90°회전하도록 하여 낚시줄(2)이 한쌍의 핑거(920)로부터 언클램핑되도록 한다.
낚시바늘 피더(1000)는 복수의 낚시바늘(3)이 수용되는 것으로, 낚시바늘(3)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로(1010)를 통해 순차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낚시바늘 피더(1000)로는 파츠 피더(part's feeder)가 사용될 수 있다.
낚시바늘 안내대(1100)는 낚시바늘 피더(1000)의 배출로(1010) 끝단 부위에 배치되어 낚시바늘(3)을 전달받게 되는 것으로, 낚시바늘 안내대(1100)의 상단 부위는 낚시바늘 피더(1000)의 배출로(1010) 끝단 부위 하측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안내대(1100)는 하향 경사진 설정길이의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낚시바늘 피더(1000)의 배출로(1010)로부터 낚시바늘(3)을 전달받은 후, 낚시바늘(3)을 설정시간 간격으로 하나씩 단속적으로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낚시바늘 안내대(1100)의 설정지점 부위 측방으로 스톱퍼(1110)가 배치된다. 낚시바늘(3)은 스톱퍼(1110)에 걸림고정되어 하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데, 스톱퍼(1110)는 단속적으로 낚시바늘 안내대(1100)의 설정지점 부위로 이동하여 낚시바늘(3)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거나, 낚시바늘 안내대(1100)의 설정지점 부위로부터 이격되어 하나의 낚시바늘(3)을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스톱퍼(1110)는 스톱퍼용 구동실린더(1120)의 로드로 이루어지거나, 스톱퍼용 구동실린더(1120)의 로드와 연결되는 것으로, 스톱퍼용 구동실린더(1120)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게 된다.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낚시바늘 안내대(1100) 하측에 배치되어 낚시바늘 안내대(1100)로부터 하나의 낚시바늘(3)을 전달받게 된다. 또한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 일측에 배치되는데, 낚시바늘 안내대(1100)로부터 공급되는 낚시바늘(3)의 후크 부위(3a)를 걸림고정하는 한편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를 수평으로 정위치 고정시킨다. 그리고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로 돌출되는 낚시줄 안내관(620)의 측방으로 낚시바늘(3)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도 7에서와 같이 수평 고정관체(1210),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 수평 이동관체(1230),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 낚시바늘 푸싱편(1250), 고정블록(1260), 고정블록 구동실린더(12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평 고정관체(1210)는 낚시바늘 안내대(1100)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통로가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다.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는 수평 고정관체(12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는 수평 고정관체(1210)의 일측 끝단 부위 좌우측에 결합되어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브래킷(1211)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수평 고정관체(1210)와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는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수평 이동관체(1230)는 수평 고정관체(1210)의 내부통로를 통과하여 수평 고정관체(12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의 로드에 연결되어 전후진이동하게 된다. 수평 이동관체(1230)는 낚시바늘 안내대(1100)의 하단부위 하측에 배치되어 낚시바늘 안내대(1100)로부터 낚시바늘(3)을 전달받게 되는데, 수평 이동관체(1230)의 끝단부위에는 고정플랜지(1231)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고정플랜지(1231)와 수평 고정관체(1210)의 끝단 부위 사이에 낚시바늘(3)이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는 수평 고정관체(12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의 로드는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는 도 11에서와 같이 수평 고정관체(1210)와 수평 이동관체(1230)의 길이방향 전단 부위 측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낚시바늘 푸싱편(1250)은 박판체로 이루어져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의 로드 끝단 부위에 결합되는 것으로, 낚시바늘 푸싱편(1250)은 수평 고정관체(1210)와 수평 이동관체(1230)의 길이방향 전단 부위의 측방 근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수평 이동관체(1230)의 고정플랜지(1231)와 수평 고정관체(1210)의 끝단 부위 사이에 걸림고정되는 낚시바늘(3)이 낚시바늘 푸싱편(1250)에 의해 밀리면서 수평배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푸싱편(1250)은 "ㄱ"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블록(1260)은 수평 고정관체(1210)가 고정되는 것으로, 작업테이블(100)의 상부면에 좌우 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블록 이송레일(128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블록 구동실린더(1270)는 작업테이블(100)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고정블록(1260)과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블록(1260)을 이동시켜 수평 고정관체(1210)와 수평 이동관체(1230)의 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먼저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의 의해 전진이동한 수평 이동관체(1230)에 낚시바늘 안내대(1100)로부터 전달되는 낚시바늘(3)이 걸리도록 하고,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에 의해 후진이동한 수평 이동관체(1230)의 고정플랜지(1231)와 수평 고정관체(1210) 사이에 낚시바늘(3)이 끼움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에 의해 낚시바늘 푸싱편(1250)이 전진이동하면서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가 수평배치되도록 하고, 고정블록 구동실린더(1270)에 의해 고정블록(1260)이 전진이동하면서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로 돌출되는 낚시줄 안내관(620)의 측방에 근접하여 낚시바늘(3)이 배치되도록 한다.
낚시줄 걸림대(1300)는 회전 원판체(700) 전방에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단(1310)이 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데, 낚시줄 걸림대(1300)의 고정단(1310)에 낚시줄(2)이 설정패턴으로 걸쳐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걸림대(1300)는 도 12에서와 같이 일측면 전후방향 중앙부위에 상하방향으로 3개의 중단측 고정단(1310a)을 배치하는 한편, 일측면의 후방 하단부위에 1개의 후단측 고정단(1310b)을 배치하게 된다.
낚시줄(2)은 낚시줄 안내구(600)를 통과한 후, 1개의 후단측 고정단(1310b)과 3개의 중단측 고정단(1310a)에 외측에서 걸쳐진 다음, 회전 원판체(700)의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게 되는 패턴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낚시줄(2)은 회전하는 회전 결속단(1400)에 걸려 회전 결속단(1400)과 함께 회전하면서 낚시줄 안내구(600)의 측방에 위치한 낚시바늘(3)에 결속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걸림대(1300)는 작업테이블(10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걸림대용 이송레일(132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작업테이블(100)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걸림대용 구동실린더(1330)와 결합되어 걸림대용 구동실린더(1330)의 동작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게 된다.
회전 결속단(1400)은 회전 원판체(700)의 전면 가장자리 부위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회전 원판체(700)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낚시줄(2)이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에 결속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결속단(1400)은 회전 원판체(700) 표면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연결단(1410), 연결단(1410)의 끝단부위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단(1420)으로 이루어지고, 걸림단(1420)은 삼각형 요홈(1421)을 형성하여 낚시줄(2)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회전 결속단(1400)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낚시줄 절단기(1600)는 원판체 고정판(1500)의 상측에 고정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절단기(1600)는 절단용 구동실린더(1610)와 커터(16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절단용 구동실린더(1610)는 원판체 고정판(1500)의 전방측 상단 부위에 고정되는 것으로, 로드가 하향 수직배치된다. 커터(1620)는 절단용 구동실린더(1610)의 로드에 결합되는 것으로,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의 전방에 이격 배치된다. 커터(1620)는 하강 동작하면서 낚시줄(2)을 절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1)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낚시줄(2)이 낚시바늘(3)에 결속되도록 한다.
먼저 낚시줄 안내관(620)을 통과한 낚시줄(2)이 낚시줄 걸림대(1300)의 고정단(1310)에 걸쳐진 다음,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에 클램핑된 상태로 회전 원판체(700)의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여 회전 원판체(7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에 의해 회전 원판체(700)와 회전 결속단(1400)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데, 이 과정에서 낚시줄 걸림대(1300)와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 사이의 낚시줄(2)이 회전하는 회전 결속단(1400)에 걸린 상태로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에 복수회 감기면서 낚시줄(2)과 낚시바늘(3)의 결속이 완료되도록 한다.
낚시줄(2)과 낚시바늘(3)의 결속 완료후, 낚시줄(2)이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에 클램핑된 상태로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이 전진이동하면서 낚시바늘(3)에 결속된 낚시줄(2)의 길이가 설정크기로 확보되도록 한 다음, 낚시줄(2)이 절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1)는 파츠 피더(part's feeder)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낚시바늘 피더(1000)를 통해 대량의 낚시바늘(3)이 단속적으로 순차 공급되고, 연속적으로 풀려나오는 낚시줄(2)이 작업테이블(100)의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낚시줄 안내구(600), 낚시줄 걸림대(1300),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를 거쳐 설정패턴으로 고정되며, 회전 원판체(700), 회전 결속단(1400)에 의해 낚시줄(2)이 낚시바늘(3)에 감겨지면서 결속되는 장치구성을 통해 낚시줄(2)의 결속이 대량의 낚시바늘(3)에 대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2 : 낚시줄
3 : 낚시바늘
3a : 후크 부위
3b : 낚시줄 연결부위
100 : 작업테이블
200 :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
300 : 이송레일
400 :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
410 : 고정프레임
411 : 바닥면체
412 : 상부면체
413 : 전후면체
4131 : 관통홀
414 : 내측공간
420 : 하부 블록체
430 : 상부 블록체
440 : 블록체 승강용 실린더
500 : 낚시줄 가이드블록
510 : 하부 롤러
520 : 상부 롤러
530 : 지지프레임
531 : 측면체
532 : 상부면체
540 : 상부 롤러 고정편
550 : 롤러 승강용 실린더
600 : 낚시줄 안내구
610 : 고정대
620 : 낚시줄 안내관
621 : 내부홀
700 : 회전 원판체
710 : 중심홀
720 : 낚시줄 배출슬릿
730 : 원형 링
740 : 원판
750 : 연결편
800 :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
810 : 구동모터
820 : 구동기어
830 : 종동기어
900 : 낚시줄 전단 클램퍼
910 : 실린더 본체
920 : 핑거
1000 : 낚시바늘 피더
1010 : 배출로
1100 : 낚시바늘 안내대
1110 : 스톱퍼
1120 : 스톱퍼용 구동실린더
1200 : 낚시바늘 고정유닛
1210 : 수평 고정관체
1211 : 고정브래킷
1220 : 이동관체 구동실린더
1230 : 수평 이동관체
1231 : 고정플랜지
1240 :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
1250 : 낚시바늘 푸싱편
1260 : 고정블록
1270 : 고정블록 구동실린더
1280 : 고정블록 이송레일
1300 : 낚시줄 걸림대
1310 : 고정단
1310a : 중단측 고정단
1310b : 후단측 고정단
1320 : 걸림대용 이송레일
1330 : 걸림대용 구동실린더
1400 : 회전 결속단
1410 : 연결단
1420 : 걸림단
1421 : 삼각형 요홈
1500 : 원판체 고정판
1600 : 낚시줄 절단기
1610 : 절단용 구동실린더
1620 : 커터
1700 : 컨트롤러

Claims (5)

  1. 작업테이블(1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설치되고, 자유회전하는 하부 롤러(510)와 상부 롤러(520) 사이를 낚시줄(2)이 통과하게 되는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상기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홀(621)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줄 안내관(620)이 설정높이로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낚시줄 가이드블록(500)을 통과한 낚시줄(2)이 상기 내부홀(621)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이동경로를 안내받게 되는 낚시줄 안내구(600);
    상기 낚시줄 가이드블록(50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낚시줄 안내관(620)이 통과하게 되는 중심홀(710)을 가지며, 낚시줄 배출슬릿(720)이 가장자리 부위에 호형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 원판체(700);
    설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원판체(700)를 회전시키게 되는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
    설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게 되는 낚시줄(2)에 대한 클램핑 동작과 언클램핑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 일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낚시바늘(3)의 후크 부위(3a)를 걸림고정하는 한편 상기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를 수평으로 정위치 고정시킨 다음,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로 돌출되는 상기 낚시줄 안내관(620)의 측방으로 상기 낚시바늘(3)을 이동시키게 되는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
    상기 회전 원판체(700) 전방에 이격 배치되고,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단(1310)이 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낚시줄 걸림대(1300); 및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전면 가장자리 부위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 원판체(700)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낚시줄(2)이 상기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에 결속되도록 하는 회전 결속단(1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낚시줄 안내관(620)을 통과한 낚시줄(2)이 상기 낚시줄 걸림대(1300)의 고정단(1310)에 걸쳐진 다음, 상기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에 클램핑된 상태로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낚시줄 배출슬릿(720)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낚시줄 걸림대(1300)와 낚시줄 전단 클램퍼(900) 사이의 낚시줄(2)이 회전하는 상기 회전 결속단(1400)에 걸린 상태로 상기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에 복수회 감기면서 상기 낚시줄(2)과 낚시바늘(3)의 결속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100) 길이방향 후단 부위에 고정되고, 로드가 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
    상기 작업테이블(100)에 길이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형성되는 이송레일(300);
    상기 이송레일(30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와 결합되며, 낚시줄(2)이 클램핑된 상태로 통과하게 되는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낚시줄(2)과 낚시바늘(3)의 결속 완료후, 상기 낚시줄(2)이 상기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에 클램핑된 상태로 상기 클램프블록 구동실린더(200)에 의해 상기 낚시줄 후단 클팸프블록(400)이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낚시바늘(3)에 결속된 낚시줄(2)의 길이가 설정크기로 확보되도록 한 다음, 낚시줄(2)이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낚시바늘(3)이 수용되고, 상기 낚시바늘(3)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출로(1010)를 통해 순차 배출되도록 하는 낚시바늘 피더(1000);
    상기 낚시바늘 피더(1000)의 배출로(1010) 끝단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낚시바늘(3)을 전달받게 되며, 하향 경사진 설정길이의 스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낚시바늘 피더(1000)의 배출로(1010)로부터 하나의 낚시바늘(3)을 단속적으로 하향 이동시키는 낚시바늘 안내대(1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상기 낚시바늘 안내대(1100)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낚시바늘 안내대(1100)로부터 하나의 낚시바늘(3)을 전달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체 회전 액추에이터(800)는,
    상기 작업테이블(100)의 설정지점에 고정되는 구동모터(810);
    상기 구동모터(810)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820);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후단부위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820)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8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 고정유닛(1200)은,
    상기 낚시바늘 안내대(1100)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고정관체(1210);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
    상기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의 로드에 연결되어 전후진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의 내부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며, 끝단부위에 고정플랜지(1231)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수평 이동관체(1230);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로드가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
    상기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의 로드 끝단 부위에 결합되고, 박판체로 이루어지는 낚시바늘 푸싱편(1250);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가 고정되는 고정블록(1260); 및
    상기 고정블록(1260)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블록(1260)을 이동시키는 고정블록 구동실린더(12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의 의해 전진이동한 상기 수평 이동관체(1230)에 상기 낚시바늘 안내대(1100)로부터 전달되는 낚시바늘(3)이 걸리게 되고, 상기 이동관체 구동실린더(1220)에 의해 후진이동한 상기 수평 이동관체(1230)의 고정플랜지(1231)와 상기 수평 고정관체(1210) 사이에 상기 낚시바늘(3)이 끼움고정되며, 상기 낚시바늘 푸싱용 구동실린더(1240)에 의해 상기 낚시바늘 푸싱편(1250)이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낚시바늘(3)의 낚시줄 연결부위(3b)가 수평배치되며, 상기 고정블록 구동실린더(1270)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1260)이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회전 원판체(700)의 전방부위로 돌출되는 상기 낚시줄 안내관(620)의 측방으로 상기 낚시바늘(3)을 이동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KR1020190135128A 2019-10-29 2019-10-29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KR20210050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28A KR20210050731A (ko) 2019-10-29 2019-10-29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28A KR20210050731A (ko) 2019-10-29 2019-10-29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31A true KR20210050731A (ko) 2021-05-10

Family

ID=7591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28A KR20210050731A (ko) 2019-10-29 2019-10-29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07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5913A (zh) * 2022-06-27 2022-08-12 惠州市科力达科技有限公司 全自动绑鱼钩设备
KR102489259B1 (ko) * 2022-08-02 2023-01-18 주식회사 선우하이테크 낚싯줄 자동 결속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358U (ko) 2009-06-04 2010-12-14 김정화 낚시바늘에 낚싯줄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
KR101366381B1 (ko) 2012-10-25 2014-02-24 전태숙 낚시바늘 자동 결속장치
KR101586064B1 (ko) 2013-11-20 2016-01-15 주식회사 태성 낚시줄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358U (ko) 2009-06-04 2010-12-14 김정화 낚시바늘에 낚싯줄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
KR101366381B1 (ko) 2012-10-25 2014-02-24 전태숙 낚시바늘 자동 결속장치
KR101586064B1 (ko) 2013-11-20 2016-01-15 주식회사 태성 낚시줄 결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5913A (zh) * 2022-06-27 2022-08-12 惠州市科力达科技有限公司 全自动绑鱼钩设备
CN114885913B (zh) * 2022-06-27 2024-01-26 惠州市科力达科技有限公司 全自动绑鱼钩设备
KR102489259B1 (ko) * 2022-08-02 2023-01-18 주식회사 선우하이테크 낚싯줄 자동 결속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0731A (ko) 낚시줄 자동 결속장치
CN105057968A (zh) 全自动电容包胶纸机
CN110855101B (zh) 一种发电机定子自动扎线装置
CN210084602U (zh) 一种线缆定长拉线装置
JPH0616001U (ja) 合板端縁切断装置
JP5977127B2 (ja) ステータコイルのレーシング結束方法及びレーシング結束装置
JP5144435B2 (ja) 鉄筋の結束装置
US4403557A (en) Apparatus for letting out furskins
CN208245955U (zh) 一种带锯床的定位装置
CN105755693A (zh) 自动换底线机构及其自动换底线方法
CN216684966U (zh) 一种多工位螃蟹捆扎机
CN114229072B (zh) 一种自动化酒瓶飘带打结和胶帽安装系统
TWM518601U (zh) 螺栓自動焊接機
CN219598322U (zh) 一种慢走丝切割机床钳丝导正装置
CN219902385U (zh) 一种斑痕贴片裁切装置
KR200493617Y1 (ko) 팁-결속장치
CN210066114U (zh) 一种便于上料的圆盘缝合机
JPH0353765Y2 (ko)
US1651918A (en) Cheese cutter
JP4108157B2 (ja) 木口切削用加工装置
JPH0333415Y2 (ko)
JP3021065B2 (ja) 切断機
US1432130A (en) Slicing machine
JPH0542908A (ja) 細長い植物の自動結束方法及び装置
JPH02400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