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486A - 단말 장비 - Google Patents

단말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486A
KR20210050486A KR1020207007603A KR20207007603A KR20210050486A KR 20210050486 A KR20210050486 A KR 20210050486A KR 1020207007603 A KR1020207007603 A KR 1020207007603A KR 20207007603 A KR20207007603 A KR 20207007603A KR 20210050486 A KR20210050486 A KR 20210050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creen
module
terminal equipm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903B1 (ko
Inventor
창위 순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4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단말 장비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위치한 스크린;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상기 스크린의 배면의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모듈 -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과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은 서로 다름 - ;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장비
본원은 출원번호가 201911019753.6이고 출원일자가 2019년 10월 24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인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자 장비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 장비에 관한 것이다.
단말 기술의 발전 및 지능형 단말 장비의 보급에 따라, 사람들은 점점 높은 스크린 대 바디 비율(Screen to Body ratio)을 갖는 전면 디스플레이를 추구하고 있다. 단말 장비에 구비된 전방 카메라는 일정한 스크린 공간을 차지하며, 단말 장비의 스크린 대 바디 비율을 감소시킨다. 현재, 전방 카메라를 팝업 스크린 카메라 또는 언더 스크린 홀 타입 카메라로 설정하는 것은 단말 장비가 전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중요한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면 디스플레이 구현 방식은 모두 단말 장비에 구멍을 뚫어 카메라를 노출시킴으로써 환경광을 수집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구현해야 한다. 예를 들어, 팝업 스크린 카메라는 단말 장비의 인접한 스크린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 카메라를 노출시키고, 언더 스크린 홀 타입 카메라는 단말 장비의 스크린에 구멍을 뚫어 카메라를 노출해야 하므로,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준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단말 장비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위치한 스크린;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상기 스크린의 배면의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변경하는 회전 모듈 -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과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은 서로 다름 - ;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한 것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한 것이며;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하고; 상기 단말 장비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환경광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렌즈에 입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회전 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에 따라 방향을 변경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검출 모듈 및 구동 모듈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이 목표 방향인지 여부를 확정하고, 상기 현재 방향과 상기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으면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처리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조정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교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1 렌즈에 위치한 제1 자력 컴포넌트;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자력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자기장 센서;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제1 렌즈의 끝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렌즈와 일체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렌즈를 통해 입사된 환경광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감광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초점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조정 모듈은,
상기 제1 렌즈에 배치되는 제2 자력 컴포넌트;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감광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전력공급 신호와 상기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흡인을 기반으로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며, 제2 전력공급 신호와 상기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배척을 기반으로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증가하는 제3 자력 컴포넌트;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은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 이외의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환경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을 향한 경우 오프 상태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밑부분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측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제3 개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는 상기 제3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3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동일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예에 언급된 단말 장비에 적용되며, 렌즈 조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의 하우징 내에 위치한 스크린 배면의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제1 렌즈의 목표 방향과 상기 현재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경우, 회전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의 목표 방향은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을 향하는 것 및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을 향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과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은 서로 다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의 현재 촬영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촬영 모드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단계;
상기 현재 촬영 모드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환경광은 상기 하우징의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렌즈에 입사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반대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구동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 모듈에 장착된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된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경우,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정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된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모듈 중의 자기장 센서와 상기 제1 렌즈에 배치된 상기 검출 모듈 중 제1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렌즈와 일체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의 끝부분에 위치한 감광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환경광을 수신하고, 상기 환경광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초점 조정 모듈을 통해,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초점 조정 모듈은 상기 제1 렌즈에 배치된 제2 자력 컴포넌트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감광 모듈 사이에 배치된 제3 자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초점 조정 모듈을 통해,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전력공급 신호가 공급된 상기 제3 자력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흡인을 기반으로,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는 단계;
제2 전력공급 신호가 공급된 상기 제3 자력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배척을 기반으로,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증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3측면에 따르면,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매체는
단말 장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단말 장비가 상술한 제2 측면의 렌즈 조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기술방안은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회전 모듈을 통해 제1 렌즈의 방향을 변경하여, 동일한 제1 렌즈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촬영 대상을 수집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단말 장비가 서로 다른 방향의 촬영 대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 배치로 인해 차지하는 단말 장비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 내부에 카메라를 배치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렌즈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전방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할 때 제1 렌즈가 노출되도록 단말 장비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며, 단말 장비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 제1 렌즈를 노출함으로 인한 손상을 줄이고 스크린에 구멍을 뚫어 제1 렌즈를 노출함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제한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이해할 것은,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의 첨부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 1이다.
도 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 2이다.
도 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감광 모듈과 제1 렌즈의 개략적인 위치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감광 모듈, 제1 렌즈 및 적외선 필터의 개략적인 위치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말 장비 중 초점 조정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 3이다.
도 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 4이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렌즈 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말 장비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그 실예를 첨부 도면에 나타내었다. 아래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을 언급할 때,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서로 다른 첨부 도면 중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비슷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방식이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방식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도 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 1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우징(101);
하우징(101)에 위치한 스크린(102);
하우징(101) 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102)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 렌즈(103);
스크린(102)의 배면의 하우징(101)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렌즈(103)가 상기 스크린(102)의 제1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스크린(102)의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렌즈(103)의 방향을 변경하는 회전 모듈(104) - 상기 스크린(102)의 제2 방향과 상기 스크린(102)의 제1 방향은 서로 다름 - ; 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03) 및 회전 모듈(104)은 점선 박스 안에 있으며, 이는 제1 렌즈(103) 및 회전 모듈(104)이 스크린(102)의 배면에 숨겨져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도 1 중의 제1 렌즈(103) 및 회전 모듈(104)의 배치는 단지 이해의 편리를 위한 것이며, 실제로 스크린(102) 밖에서 제1 렌즈(103) 및 회전 모듈(104)을 직접 볼 수 없다.
상술한 단말 장비는 웨어러블 전자 장비 및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동 통신 장비, 노트북 및 태블릿 PC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비는 스마트 워치를 포함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스크린은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본 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스크린(102)은 상기 하우징(101)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1)이 6 개의 표면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102)은 6 개 표면 중 두 개의 인접한 표면에 장착되거나, 6 개 표면 중 두 개의 서로 대향 표면에 장착되거나, 6 개 표면 중 임의의 복수 개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제1 렌즈(103)는 광학 소자이며, 하나 또는 복수 개 세트의 렌즈로 구성된다. 제1 렌즈(103)는 환경광의 입사를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환경광은 촬영 대상에 의해 반사된 후의 환경광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렌즈(103)는 프라임 렌즈, 줌 렌즈를 포함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프라임 렌즈는 줌 기능이 없는 렌즈일 수 있으며, 초점을 맞추는 속도가 빠르고 이미징 품질이 안정적인 특징을 구비한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렌즈이며, 촬영 과정에서, 촬영 대상과 단말 장비 사이의 거리에 따라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여 더 좋은 촬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회전 모듈(104) 자체는 고정되었으나 하우징(101) 내에서 제1 렌즈(10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103)는 하우징(101) 내에 고정된 것이 아니며, 회전 모듈(104)을 통해 제1 렌즈(103)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 모듈(104) 자체는 회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렌즈(103)가 회전되도록 구동한다. 회전 모듈(104)의 회전 방식은 축형 회전 또는 구형 회전을 포함한다. 축형 회전은 X축을 따른 회전, Y축을 따른 회전, 또는 기타 방향 축을 따른 회전을 포함한다. 구형 회전은 임의의 각도 또는 임의의 방향을 따른 회전을 포함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렌즈(103)는 스크린(102)의 제1 방향을 향하거나 스크린(102)의 제2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스크린(102)이 하우징(101)의 두 개의 인접한 표면에 장착되는 경우, 제1 렌즈(103)가 스크린(102)의 제1 방향을 향하는 것은 제1 렌즈(103)가 두 개의 인접한 표면의 제1 표면을 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렌즈가 스크린(102)의 제2 방향을 향하는 것은 제1 렌즈(103)가 두 개의 인접한 표면의 제2 표면을 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02)이 하우징(101)의 두 개의 대향 표면에 장착되는 경우, 제1 렌즈(103)가 스크린(102)의 제1 방향을 향하는 것은 제1 렌즈(103)가 두 개의 대향 표면의 제3 표면을 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렌즈가 스크린(102)의 제2 방향을 향하는 것은 제1 렌즈(103)가 두 개의 대향 표면의 제4 표면을 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할 것은, 제1 렌즈(103)가 스크린(102)의 제1 방향을 향하는 경우, 제1 방향에 위치한 환경광은 제1 렌즈(103)에 입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방향에 위치한 촬영 대상에 대한 촬영을 구현한다. 제1 렌즈(103)가 스크린의 제2 방향을 향하는 경우, 제2 방향에 위치한 환경광은 제1 렌즈(103)에 입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2 방향에 위치한 촬영 대상에 대한 촬영을 구현한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렌즈(103)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 동일한 제1 렌즈(103)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촬영 대상을 수집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로 다른 방향의 촬영 대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배치된 카메라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카메라 배치로 인해 차지하는 단말 장비의 공간을 줄이고, 또한 단말 장비 내부에 렌즈를 배치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1)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고, 제2 개구부 및 제1 개구부는 각각 하우징(101)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스크린(102)은 제1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며;
제1 방향은 스크린(102)의 정방향을 향한 것이고;
제2 방향은 스크린(102)의 반대 방향을 향한 것이며;
단말 장비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제1 렌즈(103)는 스크린(102)의 정방향을 향하고; 단말 장비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제1 렌즈(103)는 스크린(102)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환경광은 제2 개구부를 통해 제1 렌즈(103)에 입사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스크린(102)은 하우징(101) 중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표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1 개구부의 면적 및 형태는 스크린(102)의 표시면의 면적 및 형태에 대응된다. 다시 말하면, 제1 개구부의 형태는 스크린(102)의 표시면 형태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102)의 표시면의 형태가 구형인 경우, 제1 개구부의 형태는 구형으로 설정될 수 있고, 스크린(102)의 표시면의 형태가 정방향인 경우, 제1 개구부의 형태는 정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제1 개구부의 면적도 스크린(102)의 표시면의 면적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스크린(102)의 표시면의 면적을 제1 개구부의 면적과 같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스크린(102)의 표시면의 면적을 제1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스크린(102)을 향한 정방향은 스크린(102)의 표시면을 향한 방향일 수 있고, 상술한 스크린(102)을 향한 반대 방향은 스크린(102)의 표시면에 대한 배면 방향일 수 있다. 제1 렌즈가 스크린(102)의 반대 방향을 향한 경우, 환경광은 제2 개구부를 통해 제1 렌즈(103)에 입사한다. 상기 제2 개구부의 면적 및 형태는 제1 렌즈(103)의 투광면의 면적 및 형태에 대응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1)에 제2 개구부를 배치하는 경우, 제1 렌즈(103)의 투광면의 면적 및 형태에 따라, 제2 개구부의 면적 및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개구부의 면적은 제1 렌즈(103)의 투광면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개구부의 형태는 제1 렌즈(103)의 투광면의 형태와 같거나 비슷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제1 렌즈(103)는 스크린(102)의 정방향을 향한다. 이때, 제1 렌즈(103)의 이미지를 수집하는 과정은, 스크린(102) 리프레시 주기의 표시 갭 내에서 제1 렌즈(103)를 이용하여 이미지 수집을 수행하거나, 제1 렌즈(103)가 향한 표시 영역이 표시를 정지한 경우, 제1 렌즈(103)를 이용하여 이미지 수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할 것은, 기존의 단말 장비에는 두 개의 카메라가 배치된다. 한 카메라는 렌즈가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하는 바, 전방 카메라로 칭하며, 다른 한 카메라는 렌즈가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바, 후방 카메라로 칭한다. 상기 전방 카메라는 스크린 정방향의 촬영 대상을 수집하고, 상기 후방 카메라는 스크린 반대 방향의 촬영 대상을 수집한다.
단말 장비에 두 개의 카메라를 배치하는 것을 감안하면, 한편으로는 스크린에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표시가 제한을 받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단말 장비가 비교적 큰 공간을 점용하므로, 단말 장비의 소형화 설계 방향과 충돌되며, 단말 장비의 비용도 증가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스크린(102)을 통과한 정방향의 환경광이 입사되도록 제1 렌즈(103)가 스크린(102)의 정방향을 향하는 것을 제출한다. 이에 따라, 제1 렌즈(103)의 방향을 조정하여, 렌즈가 스크린 정방향에 위치한 촬영 대상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방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단말 장비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환경광이 입사되도록 제1 렌즈(103)는 스크린(102)의 반대 방향을 향한다. 이에 따라, 제1 렌즈(103)의 방향을 조정하여, 렌즈가 스크린(102)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촬영 대상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으며, 후방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촬영 모드는 전방 촬영 모드일 수 있고, 제2 촬영 모드는 후방 촬영 모드일 수 있다.
이해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는 회전 모듈을 통해 제1 렌즈(103)의 방향을 변경하여, 서로 다른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단말 장비가 한 촬영 모드를 위해 대응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전문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 배치로 인해 차지하는 단말 장비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 내부에 카메라를 배치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렌즈(103)가 하우징(101) 내에 배치되어, 전방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할 때 제1 렌즈(103)가 노출되도록 단말 장비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며, 단말 장비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 제1 렌즈(103)를 노출함으로 인한 손상을 줄이고 스크린(102)에 구멍을 뚫어 제1 렌즈(103)를 노출함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제한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는
회전 모듈(104)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모듈(105);
회전 모듈(104)에 장착되어 회전 모듈(104)의 회전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렌즈(103);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105)은 회전 모듈(104)에 연결되며,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도록 회전 모듈(104)을 구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 모듈(105)은 자력 타입 구동 모듈 또는 모터 타입 구동 모듈일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구동 모듈(105)은 모터이고, 모터는 고정자 및 회전자를 포함하며, 고정자는 하우징(101) 내에 고정되고, 회전자는 회전 모듈에 연결되며, 회전자는 고정자에 대해 회전되고, 회전자의 회전을 통해 회전 모듈의 회전을 구동한다.
설명할 것은, 모터 중 고정된 부분은 고정자이고, 모터 중 회전되는 부분은 회전자이다. 회전자는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회전자는 모터에서 회전되는 중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터는 서보 모터, 비동기 모터, 스텝 모터일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렌즈(103)는 회전 모듈(104)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렌즈(103)의 방향은 회전 모듈(104)의 회전을 통해 변경된다. 상기 제1 렌즈(103)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은, 제1 렌즈(103)의 방향을, 스크린(102)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스크린(10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 또는 제1 렌즈(103)의 방향을, 스크린(10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부터 스크린(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구동 모듈(105)을 통해 회전 모듈(104)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것은 제1 렌즈(103)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렌즈(103)가 서로 다른 촬영 모드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제1 렌즈(103)에 연결되어 제1 렌즈(103)의 위치를 측정하는 검출 모듈;
검출 모듈 및 구동 모듈(105)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렌즈(103)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1 렌즈(103)의 현재 방향이 목표 방향인지 여부를 확정하고,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으면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처리 모듈;
조정 명령을 기반으로 회전 모듈(104)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제1 렌즈(103)의 방향을 교정하는 구동 모듈(105);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검출 모듈은 제1 렌즈(103)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렌즈(103)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은 제1 렌즈(103)의 방향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렌즈(103)가 스크린(102)을 향하는지, 스크린(10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지, 아니면 두 방향 사이의 기타 방향을 향하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상술한 처리 모듈은 검출 모듈 및 구동 모듈(105)과 각각 통신하고, 검출 모듈로부터 송신된 제1 렌즈(103)의 위치를 수신하며, 제1 렌즈(103)의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을 비교할 수 있으며, 제1 렌즈(103)의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때, 즉 일치하지 않을 때에만 조정 명령을 생성한다.
설명할 것은, 제1 렌즈(103)의 목표 방향은 제1 렌즈(103)가 스크린(102)을 향하는 것 또는 제1 렌즈(103)의 방향이 스크린(102)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 장비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제1 렌즈(103)의 목표 방향은 제1 렌즈(103)가 스크린(102)을 향하는 것이고, 단말 장비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제1 렌즈(103)의 목표 방향은 제1 렌즈(103)의 방향이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은 생성된 조정 명령을 구동 모듈에 송신하여, 구동 모듈(105)을 통해 회전 모듈(104)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제1 렌즈(103)의 방향을 교정한다.
상술한 조정 명령은 회전 모듈(104)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회전 각도 또는 회전 변이를 포함하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검출 모듈, 처리 모듈 및 구동 모듈(105)의 상호 조합을 통해, 제1 렌즈(103)의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경우, 제1 렌즈(103)의 방향을 제때에 교정하여, 제1 렌즈(103)가 더 정확하게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 오차를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검출 모듈은
제1 렌즈(103)에 위치한 제1 자력 컴포넌트;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제1 자력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1 렌즈(103)의 위치를 측정하는 자기장 센서;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자력 컴포넌트는 자기장을 생성하고, 자기장 센서는 자기장을 검출한다. 제1 렌즈(103)가 회전 모듈을 따라 회전되는 경우, 제1 자력 컴포넌트와 자기장 센서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변경되며, 자기장 센서에 의해 검출된 자기장도 상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자기장 센서에 의해 제1 자력 컴포넌트와의 자기장 변화를 검출하여 제1 렌즈(103)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술한 제1 자력 컴포넌트는 자석으로 구성된 자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자기장 센서는 hall(홀) 센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자기장 센서를 통해 제1 자력 컴포넌트와의 자기장 변화를 검출하여 제1 자력 컴포넌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렌즈(103)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과정에 제1 렌즈(103)의 현재 방향을 효과적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제1 렌즈(103)의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때 제1 렌즈(103)의 방향을 제때에 교정하는데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자력 컴포넌트의 배치 위치는 제1 렌즈(103)의 머리 부분 및 끝부분에 관하여, 제1 자력 컴포넌트가 머리 부분에 더 가깝다. 제1 렌즈(103)의 머리 부분은 환경광의 입사를 위한 부분이고, 제1 렌즈(103)의 끝부분은 환경광이 제1 렌즈(103)를 통해 감광 모듈에 전송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1 자력 컴포넌트와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하면, 제1 렌즈(103)의 방향을 정확히 확정할 수 있으며,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제1 렌즈(103)의 끝부분에 위치하며 제1 렌즈(103)와 일체로 배치되어, 제1 렌즈(103)를 통해 입사된 환경광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감광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렌즈(103)는 촬영 대상에 의해 반사된 환경광이 입사될 수 있게 하고, 입사된 환경광은 감광 모듈에 집중되며, 감광 모듈은 입사된 환경광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시적으로, 감광 모듈은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또는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로 형성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 모듈(106)은 제1 렌즈(103)의 끝부분에 배치되며, 감광 모듈(106)은 회로기판(107)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수집 모듈은 제1 렌즈(103) 및 감광 모듈(106)을 포함하는 외에, 적외선 필터(10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필터(108)는 제1 렌즈(103)와 감광 모듈(106)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렌즈(103)로부터 입사된 환경광 중의 적외선을 여과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하우징(101) 내에 배치되어,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제1 렌즈(103)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초점 조정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회전 모듈을 통해 제1 렌즈(103)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점 조정 모듈을 통해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설명할 것은,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가 긴 것은 제1 렌즈의 초점 거리가 긴 것을 나타내고,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것은 제1 렌즈(103)의 초점 거리가 짧은 것을 나타낸다. 단말 장비의 촬영 시, 촬영 대상이 비교적 멀면, 제1 렌즈(103)의 초점 거리를 짧게 조정할 수 있고, 촬영 대상이 비교적 가까우면, 제1 렌즈(103)의 초점 거리를 길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렌즈(103)의 초점 거리는 조정될 수 있으며, 제1 렌즈(103)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여 서로 다른 거리의 촬영 대상을 촬영함으로써 촬영 효과가 더 우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초점 조정 모듈은 회전 모듈을 변경하여, 제1 렌즈(103)와 감광 모듈(106)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초점 조정을 구현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초점 조정 모듈은 제1 렌즈(103)가 회전 모듈 상에서의 위치를 변경하여, 제1 렌즈(103)와 감광 모듈(106)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초점 조정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조정 모듈은
제1 렌즈(103)에 배치되는 제2 자력 컴포넌트(201);
제1 렌즈(103)와 감광 모듈(106)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전력공급 신호와 제2 자력 컴포넌트(201)의 상호 흡인을 기반으로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며, 제2 전력공급 신호와 제2 자력 컴포넌트(201)의 상호 배척을 기반으로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를 증가하는 제3 자력 컴포넌트(202);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전력공급 신호 중 전류의 방향과 제2 전력공급 신호 중 전류의 방향은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제1 전력공급 신호를 기반으로 제1 자기장 방향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전력공급 신호를 기반으로 제2 자기장 방향의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자력 컴포넌트(201)는 서로 다른 자기장 방향의 자기장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자력을 생성하며, 이러한 자력은 제1 렌즈(103)와 감광 모듈(106)이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3 자력 컴포넌트는 코일을 포함하며, 코일 중 제1 전력공급 신호의 제1 방향 전류를 기반으로, 제1 자기장 방향을 가진 자기장을 생성하고, 코일 중 제2 방향 전류를 기반으로, 제2 자기장 방향을 가진 자기장을 생성한다.
제1 자기장 방향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2 자력 컴포넌트(201)와 제3 자력 컴포넌트(202)는 상호 흡인하는 자력을 생성하며, 상기 상호 흡인하는 자력을 통해 제2 자력 컴포넌트(201)가 제3 자력 컴포넌트(202)의 배치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제2 자기장 방향의 자기장의 작용 하에, 제2 자력 컴포넌트(201)와 제3 자력 컴포넌트(202)는 상호 배척하는 자력을 생성하며, 상기 상호 배척하는 자력을 통해 제2 자력 컴포넌트(201)가 제3 자력 컴포넌트(202)로부터 멀어지는 배치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자력 컴포넌트(201)는 자석으로 구성된 자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촬영 모드의 표시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초점 조정 버튼을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초점 조정 버튼을 작용하여 초점 조정 기능을 트리거한 경우, 단말 장비는 자신의 거리 검출 장치에 의해 단말 장비와 촬영 대상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고, 단말 장비와 촬영 대상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제3 자력 컴포넌트에 서로 다른 전력공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거리 검출 장치는 레이저를 통해 단말 장비와 촬영 대상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고, 초음파를 통해 단말 장비와 촬영 대상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소정의 거리는 실제 설계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거리는 1 미터 또는 3 미터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제2 자력 컴포넌트(201)와 제3 자력 컴포넌트(202)의 상호작용을 통해 감광 모듈(106)과 제1 렌즈(103)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말 장비가 촬영 효과가 더 좋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제1 렌즈(103)의 초점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02)은 제1 표시 영역(102a) 및 제1 표시 영역 이외의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제1 렌즈(103)는 제1 표시 영역(102a)의 배면에 위치하며;
제1 표시 영역(102a)은 환경광이 입사되도록 제1 렌즈(103)가 스크린을 향한 경우 오프 상태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제1 렌즈(103)가 제1 표시 영역(102a)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동 모듈(105)은 회전 모듈(104)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며, 제1 렌즈(103)가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이때, 제1 표시 영역(102a)은 오프 상태에 있으며, 오프 상태에 있는 제1 표시 영역(102a)은 환경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설명할 것은, 제1 표시 영역(102a)이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표시 영역은 미리보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하여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미리보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촬영 대상을 미리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영역(102a)의 면적 및 제2 표시 영역의 면적을 설계하는 경우, 제1 표시 영역(102a)의 면적을 제2 표시 영역의 면적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영역(102a)이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스크린 표시에 대한 영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 영역(102a)의 면적은 제1 렌즈(103)의 투광면의 면적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102a)의 면적을 제1 렌즈(103)의 투광면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은 제1 표시 영역(102a)의 밑부분에 설정되거나, 제2 표시 영역은 제1 표시 영역(102a)의 상부에 설정되거나, 제2 표시 영역은 제1 표시 영역(102a)의 측면에 설정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은 제1 표시 영역(102a)의 밑부분, 상부 또는 측면에 설정될 수 있으므로, 제1 표시 영역(102a)과 제2 표시 영역 사이의 위치는 서로 다른 수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스크린이 구형 스크린인 경우, 제1 표시 영역(102a)을 구형 스크린의 짧은 변 위치에 설정하고 제2 표시 영역을 상기 짧은 변의 측면에 설정할 수도 있고, 제1 표시 영역(102a)을 구형 스크린의 긴 변 위치에 설정하고 제2 표시 영역을 상기 긴 변의 측면에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를 더 포함하며,
하우징에는 제3 개구부가 더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는 제3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고; 제3 개구부와 제2 개구부는 하우징의 동일면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는 하나의 제1 렌즈(103)를 배치하는 외에,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109)를 더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109)는 스크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배치된다.
설명할 것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109)는 단말 장비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렌즈(103)와 같이 단말 장비의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할 것은, 단말 장비에 복수 개의 카메라를 배치하는 것은 서로 다른 촬영 효과 및 촬영 기능의 수요를 만족하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출된 렌즈 조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조정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1: 단말 장비의 하우징 내에 위치한 스크린 배면의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을 검출한다.
S12: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제1 렌즈의 목표 방향과 상기 현재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경우, 회전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을 조정한다.
상기 제1 렌즈의 목표 방향은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을 향하는 것 및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을 향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과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은 서로 다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렌즈는 단말 장비의 하우징 내의 스크린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렌즈는 은폐 카메라이며, 환경광은 스크린을 통해 제1 렌즈에 입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 기능을 구현한다.
스크린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 구동 모듈은 제1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여, 제1 렌즈를 통해 스크린의 서로 다른 방향의 환경광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여 촬영 기능을 구현한다.
이해할 것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동일한 렌즈를 이용하여 스크린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것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촬영 모드의 촬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단말 장비가 한 촬영 모드를 위해 대응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전문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 배치로 인해 차지하는 단말 장비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 내부에 카메라를 배치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제1 렌즈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전방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할 때 제1 렌즈가 노출되도록 단말 장비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며, 단말 장비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 제1 렌즈를 노출함으로 인한 손상을 줄이고 스크린에 구멍을 뚫어 제1 렌즈를 노출함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제한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비의 현재 촬영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현재 촬영 모드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현재 촬영 모드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환경광은 상기 하우징의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렌즈에 입사되며;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반대면에 위치한다.
상술한 단말 장비의 촬영 모드는 제1 촬영 모드 및 제2 촬영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스크린 정방향의 촬영 대상을 수집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스크린 반대 방향의 촬영 대상을 수집한다.
단말 장비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스크린을 통과한 정방향의 환경광이 입사되도록 제1 렌즈가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한다. 이에 따라, 제1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여, 렌즈가 스크린 정방향에 위치한 촬영 대상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방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단말 장비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제2 개구부를 통과한 환경광이 입사되도록 제1 렌즈는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한다. 이에 따라, 제1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여, 렌즈가 스크린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촬영 대상을 수집하도록 할 수 있으며, 후방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해할 것은, 회전 모듈을 통해 제1 렌즈의 방향을 변경하며,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동일한 제1 렌즈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촬영 모드에서의 촬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비는 한 촬영 모드를 위해 대응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전문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 배치로 인해 차지하는 단말 장비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 내부에 카메라를 배치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모듈을 기반으로 제1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구동 모듈을 기반으로 하우징 내의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회전 모듈의 회전을 기반으로, 회전 모듈에 장착된 제1 렌즈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구동 모듈을 통해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제1 렌즈가 회전 모듈의 회전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촬영 모드에서 촬영을 구현하는 것을 완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렌즈에 연결된 검출 모듈을 통해,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제1 렌즈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경우,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조정 명령을 기반으로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제1 렌즈의 방향을 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1 렌즈의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을 비교하여 제1 렌즈의 방향을 제때에 교정할 수 있으며, 조정 오차를 효과적으로 줄이며, 제1 렌즈를 조정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에 연결된 검출 모듈을 통해,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검출 모듈 중의 자기장 센서와 제1 렌즈에 배치된 검출 모듈 중 제1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자기장 센서를 통해 제1 자력 컴포넌트와의 자기장 변화를 검출하여 제1 자력 컴포넌트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과정에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을 효과적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제1 렌즈의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때 제1 렌즈의 방향을 제때에 교정하는데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렌즈와 일체로 배치되고 제1 렌즈의 끝부분에 위치한 감광 모듈을 기반으로, 제1 렌즈를 통과한 환경광을 수신하고, 환경광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하우징 내에 배치된 초점 조정 모듈을 통해, 감광 모듈과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
거리를 기반으로,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여 서로 다른 거리의 촬영 대상을 촬영함으로써 촬영 효과가 더 우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점 조정 모듈은 제1 렌즈에 배치된 제2 자력 컴포넌트 및 제1 렌즈와 감광 모듈 사이에 배치된 제3 자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초점 조정 모듈을 통해, 감광 모듈과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전력공급 신호가 공급된 제3 자력 컴포넌트와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흡인을 기반으로, 감광 모듈과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는 단계;
제2 전력공급 신호가 공급된 제3 자력 컴포넌트와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배척을 기반으로, 감광 모듈과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증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해할 것은, 제2 자력 컴포넌트와 제3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작용을 통해 감광 모듈과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말 장비가 촬영 효과가 더 좋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제1 렌즈의 초점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 실시예의 설명은 상술한 장치 실시예의 설명과 비슷하며, 장치 실시예와 비슷한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원의 방법 실시예에 개시되지 않은 기술적 세부는 본원의 장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하면 된다.
설명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 중의 '제1' 및 '제2'는 단지 진술 및 구분의 편리를 위한 것이며, 기타 특정된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도 9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단말 장비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비, 게임기, 태블릿, 의료장비, 운동기구, PDA 등 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장비는 처리 컴포넌트(802), 메모리(804), 전력 컴포넌트(8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 오디오 컴포넌트(8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컴포넌트(814), 및 통신 컴포넌트(816) 중 하나 또는 복수 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일반적으로 단말 장비의 전반적 조작을 제어하는바,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상술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명령을 수행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컴포넌트(802)는 처리 컴포넌트(802)와 기타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에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컴포넌트(802)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와 처리 컴포넌트(802) 간의 상호작용을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단말 장비에서의 조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실예는 단말 장비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메시지, 그림,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적 램(SRAM), 이이피롬(EEPROM), 이피롬(EPROM), 피롬(PROM), 롬(ROM), 자기저장장치, 플래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이다.
전력 컴포넌트(806)는 단말 장비의 각종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컴포넌트(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 개 전원, 및 기타 단말 장비를 위해 전력을 생성, 관리 및 할당하는 것과 관련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단말 장비와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미끄럼 및 터치 패널 상의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미끄럼 조작의 변계를 검출할 뿐 만 아니라 터치 또는 미끄럼 조작과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도 검출한다.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하나의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단말 장비가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식별 모드와 같은 조작 모드인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또한 메모리(8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816)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처리 컴포넌트(802)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click wheel), 버튼 등 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음량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단말 장비에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814)는 단말 장비의 온/오프 상태,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단말 장비의 표시장치 및 키패드이며, 센서 컴포넌트(814)는 단말 장비 또는 단말 장비의 한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단말 장비의 접촉여부, 단말 장비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단말 장비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아무런 물리적 접촉도 없이 부근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8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컴포넌트(816)는 단말 장비와 기타 장비 간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장비는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8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8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하여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통신(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로 구현되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저장매체 중의 명령은 단말 장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전자 장비로 하여금 상술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방법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여기서 개시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를 포함하고자 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에 따르며 본 개시의 실시예가 개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상용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아래의 청구항에 의해 지적된다.
이해할 것은, 본 발명은 위에서 이미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각종 수정과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0)

  1. 단말 장비로서,
    상기 단말 장비는 적어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위치한 스크린;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상기 스크린의 배면의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을 향하거나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모듈 -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과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은 서로 다름 - ; 을 포함하는 단말 장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며;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한 것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한 것이며;
    상기 단말 장비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하고; 상기 단말 장비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환경광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렌즈에 입사되는 단말 장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회전 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는 단말 장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
    상기 검출 모듈 및 구동 모듈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이 목표 방향인지 여부를 확정하고, 상기 현재 방향과 상기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으면 조정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조정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교정하는 단말 장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제1 렌즈에 위치한 제1 자력 컴포넌트;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자력 컴포넌트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자기장 센서; 를 포함하는 단말 장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끝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렌즈와 일체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렌즈를 통해 입사된 환경광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감광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단말 장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초점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단말 장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정 모듈은,
    상기 제1 렌즈에 배치되는 제2 자력 컴포넌트;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감광 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전력공급 신호와 상기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흡인을 기반으로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고, 제2 전력공급 신호와 상기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배척을 기반으로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제3 자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단말 장비.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 이외의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환경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을 향한 경우 오프 상태에 있는 단말 장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제2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밑부분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측면에 배치되는 단말 장비.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제3 개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는 상기 제3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3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동일면에 위치하는 단말 장비.
  12. 렌즈 조정 방법으로서,
    단말 장비의 하우징 내에 위치한 스크린 배면의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확정된 상기 제1 렌즈의 목표 방향과 상기 현재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경우, 회전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의 목표 방향은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을 향하는 것 및 상기 제1 렌즈가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을 향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의 제2 방향과 상기 스크린의 제1 방향은 서로 다른 렌즈 조정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의 현재 촬영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촬영 모드가 제1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정방향을 향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의 제1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단계;
    상기 현재 촬영 모드가 제2 촬영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스크린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환경광은 상기 하우징의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렌즈에 입사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개구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반대면에 위치하는 렌즈 조정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구동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하우징 내의 상기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단계;
    상기 회전 모듈의 회전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 모듈에 장착된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 조정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된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현재 방향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방향과 목표 방향이 매칭되지 않을 경우, 조정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조정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회전 모듈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제1 렌즈의 방향을 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정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에 연결된 검출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모듈 중의 자기장 센서와 상기 제1 렌즈에 배치된 상기 검출 모듈 중 제1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제1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조정 방법.
  17.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일체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의 끝부분에 위치한 감광 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한 환경광을 수신하고, 상기 환경광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정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초점 조정 모듈을 통해,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정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정 모듈은 상기 제1 렌즈에 배치된 제2 자력 컴포넌트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감광 모듈 사이에 배치된 제3 자력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초점 조정 모듈을 통해,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단계는,
    제1 전력공급 신호가 공급된 상기 제3 자력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흡인을 기반으로,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는 단계;
    제2 전력공급 신호가 공급된 상기 제3 자력 컴포넌트와 상기 제2 자력 컴포넌트의 상호 배척을 기반으로, 상기 감광 모듈과 상기 제1 렌즈 사이의 거리를 증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렌즈 조정 방법.
  20.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저장매체 중의 명령이 단말 장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단말 장비로 하여금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조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매체.
KR1020207007603A 2019-10-24 2020-02-04 단말 장비 KR102365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19753.6A CN112714237B (zh) 2019-10-24 2019-10-24 一种终端设备、镜头调整方法及可读存储介质
CN201911019753.6 2019-10-24
PCT/CN2020/074265 WO2021077645A1 (zh) 2019-10-24 2020-02-04 一种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486A true KR20210050486A (ko) 2021-05-07
KR102365903B1 KR102365903B1 (ko) 2022-02-23

Family

ID=6996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603A KR102365903B1 (ko) 2019-10-24 2020-02-04 단말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98929B2 (ko)
EP (1) EP3813349A1 (ko)
JP (1) JP2022511142A (ko)
KR (1) KR102365903B1 (ko)
CN (1) CN112714237B (ko)
WO (1) WO2021077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059B2 (en) * 2021-03-22 2023-01-03 Himax Technologies Limi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to blur borderline in CUD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32A (ko) * 2015-07-03 2017-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각 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20170057058A (ko) * 2015-11-16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9232B (en) 2003-08-08 2005-03-11 Benq Corp Lens control apparatus for a digital camera
JP2005275126A (ja) * 2004-03-25 2005-10-06 Nec Saitama Ltd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の多方向撮影システム及び方法
CN100430770C (zh) 2005-05-27 2008-11-05 黄金泉 一种照相手机镜头转向装置
US20070002130A1 (en) * 2005-06-21 2007-01-04 David Hartkop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eye contact during person-to-person video telecommunication
KR100703512B1 (ko) * 2005-07-08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N100592132C (zh) * 2006-11-22 2010-0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JP2015142317A (ja) 2014-01-30 2015-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6791391A (zh) * 2016-12-20 2017-05-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旋转摄像头的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6921767A (zh) * 2017-03-07 2017-07-04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高屏占比的移动终端
CN111314521A (zh) 2017-03-07 2020-06-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CN110268703A (zh) 2017-03-15 2019-09-2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成像方法和成像控制装置
CN113132534B (zh) * 2018-02-12 2022-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及其显示控制方法、计算机存储介质
CN208092591U (zh) * 2018-03-09 2018-11-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8094613U (zh) * 2018-03-09 2018-11-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8900676A (zh) * 2018-08-13 2018-11-27 华南理工大学 一种全面屏手机及实现全面屏显示的方法
CN208956102U (zh) * 2018-09-19 2019-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209419663U (zh) * 2018-11-12 2019-09-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09379465A (zh) * 2018-11-28 2019-02-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9584741A (zh) * 2018-12-04 2019-04-05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式屏下光学模组及电子设备
CN209089023U (zh) * 2018-12-26 2019-07-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液晶显示面板和图像采集模组
CN109639869A (zh) * 2019-03-01 2019-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全面屏显示装置
CN109922243B (zh) * 2019-03-26 2021-01-26 田朋军 一种新型屏下摄像头的安装方法
CN110213408B (zh) * 2019-05-28 2021-0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转动组件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209897106U (zh) * 2019-08-16 2020-01-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0581909A (zh) * 2019-09-10 2019-12-17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拍摄方法
CN110602289A (zh) * 2019-10-16 2019-12-20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32A (ko) * 2015-07-03 2017-0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각 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20170057058A (ko) * 2015-11-16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3349A1 (en) 2021-04-28
JP2022511142A (ja) 2022-01-31
CN112714237B (zh) 2023-03-24
US20210124141A1 (en) 2021-04-29
US11598929B2 (en) 2023-03-07
CN112714237A (zh) 2021-04-27
KR102365903B1 (ko) 2022-02-23
WO2021077645A1 (zh)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8089B (zh) 微距成像的方法及终端
US11516377B2 (en) Terminal,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60020791A (ko) 촬영 장치,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촬영 시스템 및 그 촬영 방법
WO2021103737A1 (zh) 拍照方法及电子设备
CN106331438A (zh) 镜头对焦方法、装置及移动设备
JP2010183378A (ja)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593736A (zh) 摄像装置及对焦控制方法
CN106385534A (zh) 一种对焦方法及终端
WO2018133388A1 (zh) 智能飞行设备的拍摄方法及智能飞行设备
CN216217081U (zh) 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112351209B (zh) 用于移动终端的外置镜头、控制镜头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4506770A (zh) 拍摄图像的方法及装置
KR102365903B1 (ko) 단말 장비
JP2013168854A (ja) 撮影装置、サーバ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KR20160095457A (ko) 촬상 장치, 이를 작동하는 작동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CN107241535B (zh) 闪光灯调节装置及终端设备
KR2016003840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002469A1 (en) Lens barrel and camera
CN208386740U (zh) 电子装置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CN113965668A (zh) 光处理装置、相机模组、电子设备、拍摄方法及存储介质
CN112927641B (zh) 屏幕亮度的调整方法及装置、终端设备、存储介质
CN113079310B (zh) 自动对焦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890964B (zh) 光处理装置、相机模组、电子设备、拍摄方法及存储介质
CN213690106U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112788207B (zh) 摄像头模组、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