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217A -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217A
KR20210050217A KR1020190134563A KR20190134563A KR20210050217A KR 20210050217 A KR20210050217 A KR 20210050217A KR 1020190134563 A KR1020190134563 A KR 1020190134563A KR 20190134563 A KR20190134563 A KR 20190134563A KR 20210050217 A KR20210050217 A KR 20210050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tic hydrocarbons
polycyclic aromatic
benzo
supernatant
processed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176B1 (ko
Inventor
장애라
김혜진
김동욱
허선진
진상근
박태선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4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1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01N30/7206Mass spectrometers interfaced to gas chromatograp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12Meat; Fis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2030/062Preparation extracting sample from raw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4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organic compounds
    • G01N2030/8854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organic compounds involving hydr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잡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이 어려운 양념가공육류도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 {Simultaneous analysis method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processed meat}
본 발명은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불조리된 육류에 유도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를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5년 세계보건기구가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구분하면서 육가공품에 대해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확대되었다. 특히 육가공품을 숯불 등을 통해 직화조리할 경우 생성될 수 있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일부 물질이 발암과의 연관성이 있어 정확한 분석이 동반되어야 한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는 2개 이상의 벤젠고리가 선형으로 각을 지어 있거나 밀집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화합물로, 화학연료나 유기물의 불완전 연소시 부산물로 발생하는 물질이다. 동종 화합물잉 수백 종에 이르며, 일부는 환경 및 인체에 치명적인 유기 오염원이 된다. 독성이 알려진 화합물로는 benzo[a]pyrene 외 50종이 밝혀졌으며, 특히 benzo[a]pyrene, benzo[a]anthracene, dibenso[a,h]anthracene, chrysene 등은 유전독성과 발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를 분석하는 방법은 기존에도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나 비교적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1034호(2013.10.16.)에는 생체 시료 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대사체 분석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3925호(2017.05.31)에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다환 방향족탄화수소의 이온화 및 검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복잡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방법을 개선한 새로운 분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이 어려운 양념가공육류에 대하여 신속히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포함하는 가공육 시료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뒤 원심분리하여 1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회수한 1차상등액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재추출한 뒤 원심분리하여 2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회수한 2차상등액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c)의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및 증류수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용출함으로써 용출액을 회수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회수한 여과액에, 상기 단계 (d)에서 회수한 용출액, 증류수 및 아이소옥테인(isooctane)을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여 3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e); 및 상기 단계 (e)에서 회수한 3차상등액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로 분석하는 단계 (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바람직하게는 증류수에 첨가하기 전에 2차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바람직하게는 3차상등액을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로 분석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및 단계 (b)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토나이트릴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1 부피에 대하여 아세토나이트릴이 2~4 부피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는, 바람직하게는 나프탈렌(naphthalene), 아세나프틸렌(acenaphthylene), 아세나프텐(acenaphthene), 플루오렌(fluorene), 페난트렌(phenanthrene), 안트라센(anthracene), 플로란센(fluoranthene), 피렌(pyrene), 벤조[a]안트라센(benzo[a]anthracene), 크리센(chrysene), 벤조[b]플로란센 (benzo[b]fluoranthene), 벤조[k]플로란센 (benzo[k]fluoranthene), 벤조[a]피렌(benzo[a]pyrene), 인데노[1,2,3-cd]피렌(indeno[1,2,3-cd]pyrene), 다이벤조[a,h]안트라센(dibenzo[a,h]anthracene) 및 벤조[g,h.i]퍼릴렌(benzo[g,h.i]perylen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공육은, 바람직하게는 양념된 고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16종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를 동시에 정량분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잡한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이 어려운 양념가공육류도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를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16가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에 대한 표준검량곡선이다.
도 3은 16가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표준물질에 대한 GC/MS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는 16가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표준물질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이다.
도 5는 숯불바비큐 고추장삼겹살과 가장 낮은 STD 농도와의 GC/MS 크로마토그램 비교 결과이다.
도 6은 농축방법에 따른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전처리 모식도이다.
도 7은 농축방법에 따른 숯불바비큐 고추장삼겹살 GC/MS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8은 농축방법에 따른 안트라센(anthracene) GC/MS 크로마토그램 및 질량스펙트럼이다.
도 9는 농축방법에 따른 플로란센(fluoranthene) GC/MS 크로마토그램 및 질량스펙트럼이다.
도 10은 농축방법에 따른 피렌(pyrene) GC/MS 크로마토그램 및 질량스펙트럼이다.
도 11은 농축방법에 따른 벤조[b]플로란센 (benzo[b]fluoranthene) GC/MS 크로마토그램 및 질량스펙트럼이다.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 2-1와 기존의 실험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포함하는 가공육 시료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뒤 원심분리하여 1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회수한 1차상등액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재추출한 뒤 원심분리하여 2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회수한 2차상등액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c)의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및 증류수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용출함으로써 용출액을 회수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회수한 여과액에, 상기 단계 (d)에서 회수한 용출액, 증류수 및 아이소옥테인(isooctane)을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여 3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e); 및 상기 단계 (e)에서 회수한 3차상등액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로 분석하는 단계 (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방법을 제공한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을 위한 식품공전법에 기재된 기존 방법에 의하면, 시료에 1 M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과 내부표준물질(Benzo[a]pyrene-d12, Chrysene-d12)을 함께 넣고 환류냉각장치를 부착시킨 후 알칼리 분해한 뒤, 신속히 냉각하여 헥산을 환류냉각관을 통하여 주입하고, 알칼리 분해액을 분액깔때기에 옮긴 후 에탄올:헥산(1:1) 용액으로 세척하여 분액깔때기에 합친 뒤, 증류수를 넣고 흔들어 헥산층을 분리하여 헥산층을 다른 분액깔때기에 모은다. 아래의 물층에 헥산을 넣고 재추출하며 이 과정을 2번 반복한다. 모은 헥산층에 증류수를 넣고 세척하여 헥산층을 회수하며 이 과정을 3번 반복한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헥산층에 무수황산나트륨을 넣어 탈수시킨다. 이후 37℃ 수욕상에서 감압하여 2 mL로 농축시킨다. 실리카 카트리지(Sep-Pak silica cartridge, Agilent)에 농축액 넣고 초당 1방울의 속도로 여과한 후 헥산과 헥산:디클로로메탄(3:1)으로 용출시킨다. 용출액을 질소가스로 휘발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에 녹여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 후 GC/MS 분석을 진행한다. 상기의 기존 방법 이외에도 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를 이용한 분석방법(Viegas), 가속용매추출방법(Jira W) 등이 알려져 있으나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방법을 단순화하면서도 정확하게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
본 발명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포함하는 가공육 시료를, 에틸아세테이트 1 부피에 대하여 아세토나이트릴이 2~4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진탕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한 후 1차상등액을 회수하고, 상기 1차상등액을 새로운 에틸아세테이트 1 부피에 대하여 아세토나이트릴이 2~4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진탕추출하여 재추출한 뒤 이를 원심분리하여 2차상등액을 수득한다. 상기 2차상등액에 증류수를 혼합한 후,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지질 간섭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는데, 바람직하게는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로 여과하는 것이 좋다.
또한,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로 여과한 여과액을 수득한 후, 바람직하게는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에 남아있는 잔여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용출시키는 것이 좋다. 즉,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에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나이트릴 및 증류수가 혼합된 혼합물을 넣어 잔여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용출시킨 용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여과액, 상기 용출액, 증류수 및 아이소옥테인(isooctane)을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3차상등액을 수득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GC/MS)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이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분석방법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분석은, 16종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인 나프탈렌(naphthalene), 아세나프틸렌(acenaphthylene), 아세나프텐(acenaphthene), 플루오렌(fluorene), 페난트렌(phenanthrene), 안트라센(anthracene), 플로란센(fluoranthene), 피렌(pyrene), 벤조[a]안트라센(benzo[a]anthracene), 크리센(chrysene), 벤조[b]플로란센 (benzo[b]fluoranthene), 벤조[k]플로란센 (benzo[k]fluoranthene), 벤조[a]피렌(benzo[a]pyrene), 인데노[1,2,3-cd]피렌(indeno[1,2,3-cd]pyrene), 다이벤조[a,h]안트라센(dibenzo[a,h]anthracene) 및 벤조[g,h.i]퍼릴렌(benzo[g,h.i]perylene)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기 본 발명에서 수행한 분석 결과, 16개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에 대한 표준 검량선 상관계수는 모두 0.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5분의 짧은 시간에 16개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를 효과적으로 분리함을 확인하였으며, 표준물질의 질량 스펙트럼은 기존에 알려진 물질의 정보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방법대로 분석할 경우, 양념이 포함된 가공육에서는 크로마토그램의 강도(intensity)가 기기의 최소 분석 감도와 유사하여 반복수 별로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단점이 일부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 감도 증가를 위하여, 농축과정을 추가로 포함하였으며, 감압농축, 질소농축, 감압농축 및 질소농축 과정을 각각 포함하는 실험방법을 설계하였다(도 6).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2차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과정과, 본 발명의 상기 3차상등액을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과정을 추가하였는데, 하기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농축과정을 추가할 경우 크로마토그램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16종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모두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2차상등액의 감압농축 및 3차상등액의 질소농축을 모두 포함하는 실험에 따른 결과에서는 안트라센(anthracene), 플로란센(fluoranthene), 피렌(pyrene), 벤조[b]플로란센 (benzo[b]fluoranthene)의 정량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과정과, 본 발명의 상기 3차상등액을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과정을 둘 중 어느 하나만 수행하는 것으로 바람직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실시예 1 : GC/MS를 이용한 식육 내의 PAHs 분석]
식육 시료 2.5g을 정밀히 취한 후 5ml의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20:80, v/v)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새로운 5ml의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20:80, v/v)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추출한 재추출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최종 수득한 상등액에 2.5ml의 증류수를 넣고 혼합한 후, 2.5ml를 취하여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Agilent, USA)에 여과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지질 간섭 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상기 카트리지에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증류수가 16:64:2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 0.625ml을 넣어 카트리지에 남아있을 수 있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용출시켜 용출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상기 여과액에 상기 용출액 1.875ml, 증류수 2.625ml, 아이소옥테인(isooctane) 1.2ml를 넣고 강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이를 GC/MS 분석에 이용하였다. GC/MS 분석 조건은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Elements Condition
GC/MS Agilent 8890 GC, Agilent 5977B GC/MSD
Column DB-EUPAH (20m × 0.18mm id, 0.14㎛)
Carrier gas He, 1.2ml/min, constant flow
Injection Splitless, 1㎕
Oven Initial temperature 70℃, Hold 1 min
30℃/min to 190℃
10℃/min to 290℃, Hold 5 min
30℃/min to 320℃, Hold 1min
Injector Temp. 300℃
MS Detector Electron ionization : 70eV
MS Inlet lin temp. : 310℃
Source temp. : 290℃
Selective ion monitoring mode
표준물질은 9.375, 18.75, 37.5, 75, 150, 300, 600, 1200 ng/ml로 희석하여 정량에 이용하였다. 표준물질과 내부표준물질(Naphthalene-d8, Acenaphthene-d10, Phenanthrene-d10, Chrysene-d12, Perylene-d12)의 피크에 대한 면적비를 y축으로 표준물질의 농도를 x축으로 하여 검량곡선을 작성하였다.
도 2에서 보듯이, 16개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에 대한 표준 검량선 상관계수는 모두 0.99 이상으로 높은 직선상을 보였다. 또한,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기기분석 조건은 25분의 짧은 시간에 16개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를 효과적으로 분리함을 확인하였으며, 도 4에서 보듯이, 표준물질의 질량 스펙트럼은 기존에 알려진 물질의 정보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PAHs 머무름시간
(min)
정성이온
(m/z)
정량이온
(m/z)
정확도(%) 회수율(%)
Naphthalene 3.707 128 129, 102 110.29 116.53
Acenaphthylene 5.134 152 151, 153 115.95 131.87
Acenaphthene 5.248 153 152, 154 111.43 116.12
Fluorene 5.729 166 165, 167 129.27 108.47
Phenathrene 7.115 178 176, 152 107.86 109.59
Anthracene 7.163 178 176, 152 108.39 112.61
Fluoranthene 9.312 202 200, 203 116.62 108.55
Pyrene 9.893 202 200, 203 117.39 88.71
Benzo[a]anthracene 12.586 228 226, 229 103.03 110.29
Chrysene 12.777 228 226, 229 103.26 107.32
Benzo[b]fluoranthene 15.090 252 250, 253 102.83 93.32
Benzo[k]fluoranthene 15.153 252 250, 253 101.98 113.89
Benzo[a]pyrene 16.110 252 250, 253 96.96 96.56
Indeno[1,2,3-cd]pyrene 19.861 276 274, 277 94.62 86.78
Dibenzo[a,h]anthracene 19.957 278 276, 279 99.06 110.75
Benzo[ghi]perylene 20.936 276 138, 277 98.39 76.67
표준물질을 상기 시료와 동일하게 전처리과정을 거친 후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정확도를 산출한 결과, 94.62~129.27%로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시료에 소량의 표준물질을 첨가 후 아래 수학식 2에 의해 회수율을 산출한 결과, 76.67~131.87%로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정확도(accuracy, %) = {실제분석농도(ng/ml) / 첨가한 표준물질의 농도(ng/ml)} × 100
[수학식 2]
회수율(recobery, %) = {실제분석농도(ng/ml) / 시료에 첨가한 표준물질의 농도(ng/ml)} × 100
[실험예 1 : 숯불바비큐 고추장삼겹살(양념가공육) 내의 PAHs 분석]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설정된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숯불바비큐 고추장삼겹살(양념가공육) 내에 존재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함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추장삼겹살은 일반 가정용 화로(가로 55cm × 세로 34cm)에 달궈진 숯(약 600℃, 1kg)을 넣고 그릴판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3분, 2분 가열하였다. 그릴에 고추장삼겹살을 조리(과조리인지 확인)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분석방법에 의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함량을 분석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PAHs 함량 (㎍/kg)
Naphthalene 86.62±11.665
Acenaphthylene 277.19±41.966
Acenaphthene 7.59±1.38
Fluorene 68.23±9.61
Phenathrene 300.65±43.781
Anthracene 53.62±8.233
Fluoranthene 141.07±21.191
Pyrene 172.64±26.03
Benzo[a]anthracene 29.98±4.863
Chrysene 0±0
Benzo[b]fluoranthene 21.45±3.447
Benzo[k]fluoranthene 12.6±2.355
Benzo[a]pyrene 40.47±7.206
Indeno[1,2,3-cd]pyrene 26.74±4.775
Dibenzo[a,h]anthracene 0±0
Benzo[ghi]perylene 38.32±6.973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과조리된 고추장삼겹살 내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함량은 평균 0~227.19 ㎍/kg이었으나, 크로마토그램의 강도(intensity)가 기기의 최소 분석 감도와 유사하여 반복수 별로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났다(도 5). 이에 따라,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 감도 증가를 위해 농축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실시예 2-1 : 감압농축 과정을 통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 감도 증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식육 시료 2.5g을 정밀히 취한 후 5ml의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20:80, v/v)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새로운 5ml의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20:80, v/v)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추출한 재추출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최종 수득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여 2ml로 제조한 뒤, 0.5ml의 증류수를 넣고 혼합한 후,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Agilent, USA)에 여과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지질 간섭 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상기 카트리지에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증류수가 16:64:2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 0.625ml을 넣어 카트리지에 남아있을 수 있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용출시켜 용출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상기 여과액에 상기 용출액 1.875ml, 증류수 2.625ml, 아이소옥테인(isooctane) 1.2ml를 넣고 강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이를 GC/MS 분석에 이용하였다. GC/MS 분석 조건은 상기 표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2-2 : 질소농축 과정을 통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 감도 증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식육 시료 2.5g을 정밀히 취한 후 5ml의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20:80, v/v)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새로운 5ml의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20:80, v/v)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추출한 재추출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최종 수득한 상등액에 2.5ml의 증류수를 넣고 혼합한 후, 2.5ml를 취하여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Agilent, USA)에 여과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지질 간섭 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상기 카트리지에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증류수가 16:64:2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 0.625ml을 넣어 카트리지에 남아있을 수 있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용출시켜 용출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상기 여과액에 상기 용출액 1.875ml, 증류수 2.625ml, 아이소옥테인(isooctane) 1.2ml를 넣고 강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하여 수득한 상등액을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200㎕로 농축한 후 이를 GC/MS 분석에 이용하였다. GC/MS 분석 조건은 상기 표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2-3 : 감압농축 및 질소농축 과정을 통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 감도 증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식육 시료 2.5g을 정밀히 취한 후 5ml의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20:80, v/v)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새로운 5ml의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20:80, v/v)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추출한 재추출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최종 수득한 상등액을 감압농축하여 2ml로 제조한 뒤, 0.5ml의 증류수를 넣고 혼합한 후,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Agilent, USA)에 여과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지질 간섭 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상기 카트리지에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나이트릴:증류수가 16:64:20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물 0.625ml을 넣어 카트리지에 남아있을 수 있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용출시켜 용출액을 수득하였다. 그 후, 상기 여과액에 상기 용출액 1.875ml, 증류수 2.625ml, 아이소옥테인(isooctane) 1.2ml를 넣고 강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원심분리(3,000 xg, 7분)하여 수득한 상등액을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200㎕로 농축한 후 이를 GC/MS 분석에 이용하였다. GC/MS 분석 조건은 상기 표 1과 동일하였다.
[실험예 2 : 실시예 2-1 내지 2-3에 따른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2-1 내지 2-3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분석방법에 따른 분석 감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도 7 및 아래 표 4(평균±SD, *:분석불가)에서, 농축과정을 추가하여 GC/MS 분석할 경우 크로마토그램의 강도가 증가하여 반복수별 오차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PAHs 함량(μg/kg)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Naphthalene 95.82±0.240 100.94±0.137 122.15±2.040
Acenaphthylene 312.86±4.793 311.93±4.064 354.33±1.043
Acenaphthene 8.69±0.078 9.42±0.041 13.19±0.392
Fluorene 78.86±1.132 86.47±4.996 102.4±1.275
Phenathrene 328.26±6.640 340.35±1.606 358.39±13.868
Anthracene 59.8±1.486 62.38±0.372 *
Fluoranthene 153.56±2.859 165.71±0.023 *
Pyrene 186.9±3.586 205.16±0.489 *
Benzo[a]anthracene 33.59±0.947 35.21±0.468 45.11±1.105
Chrysene 0 0 0
Benzo[b]fluoranthene 23.99±0.449 25.7±0.221 *
Benzo[k]fluoranthene 14.92±0.126 15.55±0.051 17.96±0.775
Benzo[a]pyrene 45.38±1.259 47.98±0.999 59.53±0.953
Indeno[1,2,3-cd]pyrene 31.98±0.693 34.37±0.170 43.97±0.998
Dibenzo[a,h]anthracene 0 0 0
Benzo[ghi]perylene 43.07±0.323 48.28±0.818 59.06±0.851
그러나, 농축으로 인해 매트릭스의 영향이 증가하여 농축방법별로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함량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2-3의 경우,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함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경우 매트릭스의 영향으로 검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듯이, 안트라센(anthracene), 플로란센(fluoranthene), 피렌(pyrene), 벤조[b]플로란센 (benzo[b]fluoranthene)의 경우, 실시예 2-3에 따른 농축 결과, 질량 스펙트럼이 표준물질과 일치하지 않아 정량하지 못하였으나, 실시예 2-1 및 2-2에 따른 분석방법으로는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실시예 2-1에 다른 분석방법이 실시예 2-2의 방법에 비해 전처리과저이 더욱 간단하고 편리한 이점이 있었다. 도 12에서 보듯이, 기존의 식품공전법에 따른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분석방법에 비해 전처리 과정이 훨씬 간단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농축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므로, 낮은 농도로 존재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로 검출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포함하는 가공육 시료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뒤 원심분리하여 1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회수한 1차상등액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재추출한 뒤 원심분리하여 2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에서 회수한 2차상등액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c)의 Captiva EMR-Lipid 카트리지 (Agilent, USA)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및 증류수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용출함으로써 용출액을 회수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회수한 여과액에, 상기 단계 (d)에서 회수한 용출액, 증류수 및 아이소옥테인(isooctane)을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여 3차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 (e); 및
    상기 단계 (e)에서 회수한 3차상등액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로 분석하는 단계 (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분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증류수에 첨가하기 전에 2차상등액을 감압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3차상등액을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및 단계 (b)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토나이트릴 혼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1 부피에 대하여 아세토나이트릴이 2~4의 부피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는,
    나프탈렌(naphthalene), 아세나프틸렌(acenaphthylene), 아세나프텐(acenaphthene), 플루오렌(fluorene), 페난트렌(phenanthrene), 안트라센(anthracene), 플로란센(fluoranthene), 피렌(pyrene), 벤조[a]안트라센(benzo[a]anthracene), 크리센(chrysene), 벤조[b]플로란센 (benzo[b]fluoranthene), 벤조[k]플로란센 (benzo[k]fluoranthene), 벤조[a]피렌(benzo[a]pyrene), 인데노[1,2,3-cd]피렌(indeno[1,2,3-cd]pyrene), 다이벤조[a,h]안트라센(dibenzo[a,h]anthracene) 및 벤조[g,h.i]퍼릴렌(benzo[g,h.i]perylen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육은,
    양념된 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분석방법.
KR1020190134563A 2019-10-28 2019-10-28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 KR10226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63A KR102264176B1 (ko) 2019-10-28 2019-10-28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63A KR102264176B1 (ko) 2019-10-28 2019-10-28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217A true KR20210050217A (ko) 2021-05-07
KR102264176B1 KR102264176B1 (ko) 2021-06-14

Family

ID=7591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563A KR102264176B1 (ko) 2019-10-28 2019-10-28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0440A (zh) * 2021-07-21 2021-12-21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四地质大队(山东省第四地质矿产勘查院) 一种基于tg-5silms快速分析色谱柱的分析土壤中多环芳烃的分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34B1 (ko) 2012-02-24 2013-10-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 시료 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대사체 분석 방법
KR20140036849A (ko) * 2012-09-18 2014-03-26 학교법인 선목학원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토니트릴의 유기용매 혼합액을 이용한 액체-액체 추출법을 포함하는 약물 검출법
KR20170011591A (ko) * 2015-07-23 2017-02-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다환 방향족탄화수소의 이온화 및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034B1 (ko) 2012-02-24 2013-10-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 시료 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대사체 분석 방법
KR20140036849A (ko) * 2012-09-18 2014-03-26 학교법인 선목학원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토니트릴의 유기용매 혼합액을 이용한 액체-액체 추출법을 포함하는 약물 검출법
KR20170011591A (ko) * 2015-07-23 2017-02-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다환 방향족탄화수소의 이온화 및 검출 방법
KR101743925B1 (ko) 2015-07-23 2017-06-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분무/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다환 방향족탄화수소의 이온화 및 검출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terina Mastovska 등, Journal of aoac international, 2015, 98권(2), 페이지 477-505.(2015.12.31.)* *
Magdalena Surma 등, eur food res technol, 2014, 238권, 페이지 1029-1036.(2014.12.3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0440A (zh) * 2021-07-21 2021-12-21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四地质大队(山东省第四地质矿产勘查院) 一种基于tg-5silms快速分析色谱柱的分析土壤中多环芳烃的分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176B1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 et al. Nontargeted screening of chemical contaminants and illegal additives in food based on liquid chromatography–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Tamura et al. Development of a multi-mycotoxin analysis in beer-based drinks by a modified QuEChERS method and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Jung et al. A simpl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 in edible oil employing solid phase extraction (SPE) cartridge purification
Yoshioka et al.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method for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coffee beverages and dark beer using novel high-sensitivity technique of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Carro et al. Multi-residue screening of chlorinated and brominated compounds from aquaculture samples using matrix solid-phase dispers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Chiu et al. Comparison of GC-MS and HPLC for overcoming matrix interferences in the analysis of PAHs in smoked food
Tuzimski et al. Comparison of SPE/d-SPE and QuEChERS-based extraction procedures in terms of fungicide residue analysis in wine samples by HPLC–DAD and LC-QqQ-MS
Xia et al. Resolving mass fractions and congener group patterns of C8− C17 chlorinated paraffins in commercial products: Associations with source characterization
KR102264176B1 (ko) 가공육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동시분석방법
CN106124674A (zh) 一种快速测定茶叶中农药残留的前处理方法及定量分析方法
CN111830141A (zh) 一种农药残留质谱数据库筛查药食同源性食品中的农药残留的方法
de Vilhena Araújo et al. Determination of tryptoquialanines A and C produced by Penicillium digitatum in oranges: Are we safe?
Cheng et al. A target screening method for detection of organic pollutants in fruits and vegetables by atmospheric pressure gas chromatography quadrupole-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combined with informatics platform
CN106645444A (zh) 一种检测无烟气烟草制品中多环芳烃类物质含量的方法
Fretheim Carcinogen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Norwegian smoked meat sausages
Varriale et al. Development of a data dependent acquisition-based approach for the identification of unknown fast-acting toxins and their ester metabolites
Yang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118 pesticide residues in Chinese tea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ómez-Caravaca et al. Bioactive phenolic compounds from Olea europaea: A challenge for analytical chemistry
Jiménez et al. CGC/AED and CGC/ECD/NPD comparison for the determination of acaricides in honey after hexane/acetone extraction
Pangallo et al. Expanding the range of halogenated 1′-methyl-1, 2′-bipyrroles (MBPs) using GC/ECNI-MS and GC× GC/TOF-MS
Chung et al. Single laboratory validation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ingle extraction and cleanup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our priorit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edible oils and fats
CN109655538A (zh) 一种同时检测奶粉中多氯联苯和邻苯二甲酸酯的方法
CN110702816B (zh) 一种检测动物性水产干制品中酸性偶氮类着色剂的液质联用检测方法
CN111679007A (zh) 一种同时检测饮用水中13种卤代酰胺类消毒副产物的方法
Pirard et al. Suitability of tandem-in-time mass spectrometry for polybrominated diphenylether measurement in fish and shellfish samples: comparison with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