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647A -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647A
KR20210049647A KR1020190169527A KR20190169527A KR20210049647A KR 20210049647 A KR20210049647 A KR 20210049647A KR 1020190169527 A KR1020190169527 A KR 1020190169527A KR 20190169527 A KR20190169527 A KR 20190169527A KR 20210049647 A KR20210049647 A KR 2021004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lamping
space
post pole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214B1 (ko
Inventor
김인호
한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CN202080073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651373A/zh
Priority to EP20879037.8A priority patent/EP4050729A4/en
Priority to JP2022521214A priority patent/JP7285372B2/ja
Priority to PCT/KR2020/014367 priority patent/WO2021080299A1/ko
Priority to CN202022402042.1U priority patent/CN215299483U/zh
Publication of KR2021004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14B1/ko
Priority to US17/717,018 priority patent/US2022023898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단부에 안테나 기기가 장착되고, 상기 안테나 기기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하여 틸팅 회동 또는 로테이팅 회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후단부가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안테나용 클램핑부, 상기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삽입 고정을 매개하고,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삽입형 클램핑부 및 상기 지주 폴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부를 포함함으로써, 현장 설치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CLAMPING APPARATUS FOR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비교적 중량이 큰 안테나 기기를 간단하게 지주 폴의 상단부에 삽입 안착시키는 동작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설치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 예를 들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로서, 송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적절한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 데이터들을 구분해 내는 Spatial multiplexing 기법이다.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동시에 증가시킴에 따라 채널 용량이 증가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수를 10개로 증가시키면 현재의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0배의 채널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4G LTE-advanced에서는 8개의 안테나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pre-5G 단계에서 64 또는 128개의 안테나를 장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5G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비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Massive MIMO 기술이라고 한다. 현재의 Cell 운영이 2-Dimension인데 반해 Massive MIMO 기술이 도입되면 3D-Beamforming이 가능해지므로 FD-MIMO(Full Dimension)라고도 부른다.
Massive MIMO 기술에서는 ANT(안테나)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transmitter와 Filter의 숫자도 함께 증가한다. 그럼에도 설치장소의 리스비용이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RF 부품(Antenna/Filter/Power Amplifier/Transceiver etc.)을 작고 가벼우며, 값싸게 만드는 것이 현실이고, Massive MIMO는 Coverage 확장을 위해서 고출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고출력으로 인한 소모전력과 발열량은 무게 및 사이즈를 줄이는데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RF 소자들과 디지털 소자들이 구현된 모듈들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MIMO 안테나를 한정된 공간에 설치시, 설치 용이성이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에 대한 컴팩트화 및 소형화 설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하나의 지주 폴(support pole)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의 자유로운 방향 조절에 관한 필요성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43068호(2004.03.0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에 직접 안착 설치가 가능하고, 별도의 고정 장치가 없이도 지주 폴의 상단 내측 공간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 실시예는, 선단부에 안테나 기기가 장착되고, 상기 안테나 기기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하여 틸팅 회동 또는 로테이팅 회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후단부가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안테나용 클램핑부, 상기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삽입 고정을 매개하고,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삽입형 클램핑부 및 상기 지주 폴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형 클램핑부는, 상기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 내측으로 걸림되게 삽입 고정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되, 상기 내부 공간이 구획판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분된 클램핑 바디,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고정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동작으로 상기 클램핑 바디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형 클램핑부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외주면에 개재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용 볼트를 상기 클램핑 바디의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에 걸쳐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고정용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너트는, 상기 상부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외주면에 개재되되, 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지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은,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핑 바디에는,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 측에 접촉되도록 개구된 한 쌍의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 측에 접촉되는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의 외측면은, 접지력이 증가하도록 세레이션 가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형 클램핑부는,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하단부 외주에 개재되어 연동되는 승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편은,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된 상기 고정용 볼트의 하단부 외주에 개재되되, 상기 고정용 볼트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볼트 머리부에 의하여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편의 외측면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의 내측면은 상기 승강편의 외측면에 평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의 외측면은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에 평행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은 하부 플레이트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승강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은, 상면이 상기 구획판의 하면에 밀착되고, 하면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승강편의 승강에 따라 상기 구획판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바디의 상단부는 상기 지주 폴의 상단부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방사상 연장된 걸림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의 상면에는,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후단부 하면 일부와 마찰력을 형성하는 하부 마찰링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클램핑 바디의 하부 마찰링 패드와 면접되어 마찰력을 형성하는 상부 마찰링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마운팅 홈이 구비된 마운팅 축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는, 상기 마운팅 축이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의 상단부는, 상기 마운팅 축을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홈의 내측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지지 브라켓부에 볼팅 체결되는 볼팅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부는, 상기 지주 폴의 외주 일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 체결 플레이트, 상기 체결 플레이트에 형성된 유볼트 체결공을 관통하되, 상기 지주 폴의 외주 타측에서 상기 지주 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유자형 볼트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볼팅 체결부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는,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볼팅 체결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볼트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플레이트 및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가 상기 지주 폴 상단부에 고정된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될 때 상기 볼팅 체결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종래 대비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고정을 위한 부품수를 대폭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고정을 위하여 지주 폴의 내부 공간에 삽입형 클램핑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외측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비교적 중량이 많이 나가는 안테나용 클램핑부 및 안테나 기기의 설치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A-A선을 따라 취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삽입형 클램핑부 및 지지 브라켓부의 지주 폴에 대한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삽입형 클램핑부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 중 지지 브라켓부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구성 중 삽입형 클램핑부의 외부 구성 및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절개 사시도로써, 지주 폴의 외부에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도 3의 삽입형 클램핑부의 구성 중 잠금 가압편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A-A선을 따라 취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미도시의 안테나 기기가 장착되고, 안테나 기기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하여 틸팅 회동 또는 로테이팅 회동 중 어느 하나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구비된 안테나용 클램핑부(10)와,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지주 폴(1) 상단부에 대한 삽입 고정을 매개하는 삽입형 클램핑부(100) 및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부(50)를 포함한다.
안테나용 클램핑부(10)는, 실질적으로 안테나 기기의 장착을 매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기기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틸팅 회동 또는 로테이팅 회동 중 어느 하나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용 클램핑부(10)는, 전단부에 안테나 기기가 설치되고, 안테나 기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틸팅 축(TS, Tilting Shaft)을 중심으로 상하 소정각도 틸팅 회동되는 틸팅 유닛(11)과, 틸팅 유닛(11)의 후단부가 결합되고, 안테나 기기를 로테이팅 축(RS, Rotating Shaft)을 중심으로 좌우 소정각도 로테이팅 회동시키는 로테이션 유닛(12)과, 로테이션 유닛(12)의 후단부가 결합되고, 지주 폴(1)에 대한 삽입 고정을 매개하기 위한 결합 유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안테나용 클램핑부(10)에 장착된 안테나 기기는, 틸팅 유닛(11)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틸팅 회동되어 방향성이 조절됨과 아울러, 로테이션 유닛(12)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로테이팅 회동되어 방향성이 조절됨으로써, 안테나 기기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구성 중 결합 유닛(13)의 후단부(15) 상부는 지주 폴(1)의 상단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결합 유닛(13)의 후단부(15)에는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마운팅 홈(16)이 구비된 마운팅 축(17)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의 마운팅 축(17)은,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에 설치된 삽입형 클램핑부(100)의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 측으로 삽입 안착되고, 미도시의 체결 너트를 이용하여 마운팅 홈(16)의 상측으로 관통되어 노출된 후술하는 삽입형 클램핑부(100)의 고정용 볼트(140)의 상단부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 유닛(13)의 마운팅 축(17)은, 삽입형 클램핑부(100)의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에 형합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삽입형 클램핑부(100)에 안착 고정된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전체적인 유격(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 유닛(130)의 후단부 하측에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지지 브라켓부(50)에 체결 고정되도록 밀착되는 볼팅 체결부(18)가 구비되고, 볼팅 체결부(18)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 체결공(19)이 형성될 수 있다. 볼팅 체결부(18)의 볼트 체결공(19)에는 지지 브라켓부(50)의 고정 볼트(58)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동작으로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결합 유닛(13)의 후단부에 형성된 볼팅 체결부(18)를 결합시킬 수 있다.
삽입형 클램핑부(100)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용 클램핑부(10)가 지주 폴(1)의 상단에 대하여 싱글 빔 형태로 장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이의 결합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상, 안테나용 클램핑부(1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주 폴(1)의 외주면을 감싸는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 또는 마운팅 아암을 선 장착한 후 이에 결합시키는 방식에 의한다. 그러나, 마운팅 브라켓 또는 마운팅 아암이 지주 폴(1)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 안테나 기기가 설치되는 지주 폴(1)의 외측 미관을 해치는 한편, 비교적 중량이 많이 나가는 안테나용 클램핑부(10) 및 안테나 기기에 의하여 중력 방향의 지지를 위하여 복잡하고도 견고한 구성의 조합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지주 폴(1)의 외측 미관을 해칠 수 있는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대신 안테나용 클램핑부(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의 일부를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 내부로 은닉시키면서 보다 견고한 지지 구조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주 폴(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외주면에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좌우 방향의 유격(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단순한 구성인 지지 브라켓부(50)만이 설치된다. 또한,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 내측에는 안테나용 클램핑부(10)와의 연결 및 고정을 매개하는 삽입형 클램핑부(100)가 내장된다. 여기서, 안테나용 클램핑부(10)는, 간단하게 결합 유닛(13)의 후단부(15)를 삽입형 클램핑부(100)의 상단에 안착 고정시킨 후 지지 브라켓부(50)를 이용하여 안테나용 클램핑부(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삽입형 클램핑부 및 지지 브라켓부의 지주 폴에 대한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삽입형 클램핑부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성 중 지지 브라켓부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용 클램핑부(10)를 지주 폴(1)에 고정하기 전에,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에는 삽입형 클램핑부(100)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지주 폴(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지주 폴(1)의 외주면에는 지지 브라켓부(50)를 가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브라켓부(5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주 폴(1)의 외주 일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 체결 플레이트(51)와, 체결 플레이트(51)에 형성된 유볼트 체결공(52)을 관통하되, 지주 폴(1)의 외주 타측에서 지주 폴(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유자형 볼트(53)와, 체결 플레이트(52)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볼팅 체결부(18)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56)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51)는, 대략 지주 폴(1)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라운드진 형태의 곡면 형상을 포함하고, 일측과 타측에 유자형 볼트(53)의 선단부가 관통되는 유볼트 체결공(52)이 형성될 수 있다.
유볼트 체결공(52)을 관통한 유자형 볼트(53)의 선단부는, 체결 플레이트(51)의 전면에 탄성 와셔(55)가 개재된 채로 유볼트 체결 너트(54)를 통해 견고하게 체결된다. 유볼트 체결 너트(54)의 조임력에 의해 유자형 볼트(53)가 지주 폴(1)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밀착 플레이트(56)는, 체결 플레이트(51)의 상측으로 절곡 연장 형성된 것이나, 반드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필요는 없고,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밀착 플레이트(56)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볼트 관통공(57)이 형성될 수 있다. 밀착 플레이트(56)에 형성된 볼트 관통공(57)으로는 밀착 플레이트(56)의 후방에서 고정 볼트(58)가 관통하여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구성 중 결합 유닛(13)의 후단부 하측에 형성된 볼팅 체결부(18)의 볼트 체결공(19)에 체결되는 동작으로,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결합 유닛(13)의 후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플레이트(51) 및 밀착 플레이트(56)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용 클램핑부(10)가 지주 폴(1) 상단부에 고정된 삽입형 클램핑부(100)의 클램핑 바디(100)의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될 때 볼팅 체결부(18)와 밀착 플레이트(56)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구성 중 삽입형 클램핑부의 외부 구성 및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절개 사시도로써, 지주 폴의 외부에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3의 삽입형 클램핑부의 구성 중 잠금 가압편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삽입형 클램핑부(100)는, 도 6a 내지 도 9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주 폴(1)의 개구된 상단 내측으로 걸림되게 삽입 고정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되, 내부 공간이 구획판(120)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분된 클램핑 바디(110)와,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고정용 볼트(140)와, 고정용 볼트(140)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지주 폴(1)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동작으로 클램핑 바디(110)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바디(110)는, 도 6a 내지 도 9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1a)의 내주면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관 형태로 형성되되, 구획판(120)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클램핑 바디(110)의 상단부는, 지주 폴(1)의 상단부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방사상 연장된 걸림 플랜지(12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 바디(110)는, 걸림 플랜지(125)의 하면이 지주 폴(1)의 상단면에 걸림되는 동작으로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1a) 내부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클램핑 바디(110)의 외주면은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1a)의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근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클램핑 바디(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 플랜지(125)의 상면에는,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후단부(15) 하면 일부와 마찰력을 형성하는 하부 마찰링 패드(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 바디(110)의 걸림 플랜지(125)의 상단면에는, 하방으로 형성된 다수의 나사 체결공(190)이 형성되고, 하부 마찰링 패드(200)에도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나사 관통공(290)이 형성되며, 하부 마찰링 패드(2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나사 관통공(290)을 관통하여 걸림 플랜지(125)의 상단면에 형성된 나사 체결공(190)에 접시 머리 나사부재(210)가 체결되는 동작으로 하부 마찰링 패드(2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구성 중 결합 유닛(13)의 후단부(15)의 하면(보다 상세하게는, 마운팅 축(17)의 둘레부 하면)에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하부 마찰링 패드(200)와 면접되어 마찰력을 형성하는 상부 마찰링 패드(20)가 접시 머리 나사부재(21)에 의하여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안테나용 클램핑부(10)의 상부 마찰링 패드(20)와 삽입형 클램핑부(110)의 하부 마찰링 패드(200)가 상호 면접되어 소정의 마찰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잔진동(예컨대, 바람 등에 따른 유동)에 따른 유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은, 그 중간 부분에 수평되게 일체로 배치된 구획판(120)에 의하여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공간과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은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은 하부 플레이트(13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클램핑 바디(110)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은, 고정용 볼트(140)가 관통되는 고정볼트 관통홀(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하여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용 볼트(140)는, 클램핑 바디(110)에 형성된 고정볼트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클램핑 바디(110)의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용 볼트(140)는, 클램핑 바디(110)의 상부 공간에 위치된 고정용 볼트의 외주면에 개재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용 볼트(140)를 클램핑 바디(110)의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걸쳐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고정용 너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용 너트(150)는 상부 공간에 위치되는 고정용 볼트의 외주면에 개재되되, 구획판(120)의 상면에 지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용 너트(150)와 구획판(120)의 상면 사이에는 고정용 와셔(160)가 더 개재되어 고정용 볼트(140)의 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고정용 볼트(140)가 임의 풀림되면, 고정용 볼트(140)가 하방으로 유동될 가능성이 있고, 고정용 볼트(140)의 하방으로 이동되면 후술하는 잠금 가압편(180a,180b)에 따른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1a)의 내주면에 대한 클램핑 바디(110)의 고정력이 약화될 우려가 생길 수 있다.
한편, 클램핑 바디(110)에는, 그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이 절개되어 개구된 한 쌍의 관통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관통부(115)는,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된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 각각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지주 폴(1)의 내주면 측에 접촉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삽입형 클램핑부(100)는,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되는 고정용 볼트(140)의 하단부 외주에 개재되어 연동되는 승강편(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용 볼트(140)는 그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볼트 머리부(145)가 구비되고, 승강편(170)은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된 고정용 볼트(140)의 볼트 머리부(145)에 의하여 상방으로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용 볼트(140)가 고정용 너트(150)에 의하여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될 때 승강편(170)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동 이동될 수 있다.
승강편(170)은,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서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 사이에 위치되되, 일측은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 중 일측 잠금 가압편(180a)에 접촉되고, 타측은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 중 타측 잠금 가압편(180b)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14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동 이동될 때, 각각의 잠금 가압편(180a,180b)을 하부 공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승강편(170)의 외측면 중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에 접촉되는 외측면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의 내측면은 승강편(170)의 외측면에 평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편(170)이 상승되면, 승강편(170)의 경사진 외측면과 접촉되는 잠금 가압편(180a,180b)이 상호 외측으로 밀리면서,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1a)의 내주면 측에 밀착 가압된다. 여기서,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의 외측면은,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1a)의 내주면에 대한 접착력이 증대되도록 세레이션 가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의 외측면은 지주 폴(1)의 내주면에 평행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주 폴(1)은 원형의 빈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 그 내주면은 원형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에 의한 접촉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의 외측면은 지주 폴(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승강편(170)은, 고정용 볼트(140)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되, 그 하부에 위치된 하부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131)의 안내를 받아 승강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131)는 대략 승강편(170)의 외측면 중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에 접촉되지 않는 양단 외측면의 상호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9a 및 도 9b)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삽입형 클램핑부(100)를 지주 폴(1)의 상단 개구부(1a)에 삽입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9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140)를 고정용 너트(150)의 잠금 방향의 회전에 따라 클램핑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서 상부로 회전 이동시키면, 고정용 볼트(140)의 볼트 머리부(145)에 개재된 승강편(170)이 한 쌍의 가이드 리브(131)의 안내를 따라 상부로 승강되고, 승강편(170)의 상부 승강에 의해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이 각각 한 쌍의 관통부(115)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한 쌍의 잠금 가압편(180a,180b)의 세레이션 가공 형성된 외측면이 지주 폴(1)의 내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임의로 클램핑 바디(110)가 지주 폴(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지주 폴 1a: 상단 개구부
10: 안테나용 클램핑부 11: 틸팅 유닛
12: 로테이션 유닛 13; 결합 유닛
15: 후단부 16: 마운팅 홈
17: 마운팅 축 18: 볼팅 체결부
19: 볼트 체결공 20: 상부 마찰링 패드
21: 접시 머리 나사부재 50: 지지 브라켓부
51: 체결 플레이트 52 유볼트 체결공
53: 유자형 볼트 54: 유볼트 체결 너트
55: 탄성 와셔 56: 밀착 플레이트
57: 볼트 관통공 58: 고정 볼트
100: 삽입형 클램핑부 110: 클램핑 바디
115: 관통부 120: 구획판
125: 걸림 플랜지 130: 하부 플레이트
131: 가이드 리브 140: 고정용 볼트
145: 볼트 머리부 150: 고정용 너트
160: 고정용 와셔 170: 승강편
180a,180b: 잠금 가압편 190: 나사 체결공
200: 하부 마찰링 패드 210: 접시 머리 나사부재

Claims (19)

  1. 선단부에 안테나 기기가 장착되고, 상기 안테나 기기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하여 틸팅 회동 또는 로테이팅 회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후단부가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안테나용 클램핑부;
    상기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삽입 고정을 매개하고,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삽입형 클램핑부; 및
    상기 지주 폴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부; 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클램핑부는,
    상기 지주 폴의 개구된 상단 내측으로 걸림되게 삽입 고정되고,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지되, 상기 내부 공간이 구획판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구분된 클램핑 바디;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고정용 볼트; 및
    상기 고정용 볼트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동작으로 상기 클램핑 바디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잠금 가압편; 을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클램핑부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외주면에 개재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용 볼트를 상기 클램핑 바디의 상기 상부 공간 및 상기 하부 공간에 걸쳐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고정용 너트;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너트는,
    상기 상부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외주면에 개재되되, 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지지 체결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은,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핑 바디에는,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 측에 접촉되도록 개구된 한 쌍의 관통부가 형성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 측에 접촉되는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의 외측면은, 접지력이 증가하도록 세레이션 가공 형성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클램핑부는,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하단부 외주에 개재되어 연동되는 승강편; 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승강편은,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에 위치된 상기 고정용 볼트의 하단부 외주에 개재되되, 상기 고정용 볼트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볼트 머리부에 의하여 걸림 지지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승강편의 외측면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의 내측면은 상기 승강편의 외측면에 평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의 외측면은 상기 지주 폴의 내주면에 평행되는 곡면으로 형성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하부 공간은 하부 플레이트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승강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가 구비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잠금 가압편은, 상면이 상기 구획판의 하면에 밀착되고, 하면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승강편의 승강에 따라 상기 구획판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바디의 상단부는 상기 지주 폴의 상단부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방사상 연장된 걸림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플랜지의 상면에는,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후단부 하면 일부와 마찰력을 형성하는 하부 마찰링 패드가 더 구비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클램핑 바디의 하부 마찰링 패드와 면접되어 마찰력을 형성하는 상부 마찰링 패드가 더 구비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마운팅 홈이 구비된 마운팅 축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는, 상기 마운팅 축이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볼트의 상단부는, 상기 마운팅 축을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홈의 내측에 볼팅 체결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지지 브라켓부에 볼팅 체결되는 볼팅 체결부가 구비된,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부는,
    상기 지주 폴의 외주 일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된 체결 플레이트;
    상기 체결 플레이트에 형성된 유볼트 체결공을 관통하되, 상기 지주 폴의 외주 타측에서 상기 지주 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유자형 볼트;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의 볼팅 체결부에 밀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는,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볼팅 체결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 및 상기 밀착 플레이트는,
    상기 안테나용 클램핑부가 상기 지주 폴 상단부에 고정된 상기 클램핑 바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될 때 상기 볼팅 체결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1020190169527A 2019-10-25 2019-12-18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10226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73925.2A CN114651373A (zh) 2019-10-25 2020-10-21 天线用夹紧装置
EP20879037.8A EP4050729A4 (en) 2019-10-25 2020-10-21 ANTENNA TENSIONING DEVICE
JP2022521214A JP7285372B2 (ja) 2019-10-25 2020-10-21 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PCT/KR2020/014367 WO2021080299A1 (ko) 2019-10-25 2020-10-21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N202022402042.1U CN215299483U (zh) 2019-10-25 2020-10-26 天线用夹紧装置
US17/717,018 US20220238982A1 (en) 2019-10-25 2022-04-08 Antenna clam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3520 2019-10-25
KR1020190133520 2019-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47A true KR20210049647A (ko) 2021-05-06
KR102269214B1 KR102269214B1 (ko) 2021-06-28

Family

ID=7591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527A KR102269214B1 (ko) 2019-10-25 2019-12-18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366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소형 기지국 안테나 장치용 멀티펑션 링크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068Y1 (ko) 2003-08-28 2004-03-0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 클램핑 장치
KR100892138B1 (ko) * 2007-08-16 2009-04-07 (주)텔콤코리아 안테나 클램프 장치
KR101063936B1 (ko) * 2011-05-12 2011-09-08 (주)협신통신 안테나 고정 장치
KR102004004B1 (ko) * 2013-07-24 2019-07-25 에어 차이나 리미티드 항공기 보조 파워 유니트 스타터의 성능 검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068Y1 (ko) 2003-08-28 2004-03-0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 클램핑 장치
KR100892138B1 (ko) * 2007-08-16 2009-04-07 (주)텔콤코리아 안테나 클램프 장치
KR101063936B1 (ko) * 2011-05-12 2011-09-08 (주)협신통신 안테나 고정 장치
KR102004004B1 (ko) * 2013-07-24 2019-07-25 에어 차이나 리미티드 항공기 보조 파워 유니트 스타터의 성능 검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214B1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871B1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EP3998677A1 (en) Clamping apparatus for antenna
US20200340548A1 (en) Low-PIM Angle Adapters and Cable Hanger Assemblies
KR20200119699A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US20220238982A1 (en) Antenna clamping device
JP2022526268A (ja) アンテナ用クランピング装置
US11784390B2 (en) Mounting configuration for small cell antenna assembly
KR200456433Y1 (ko) 스피커형 위장 안테나 고정장치
CN217009530U (zh) 用于基站天线的夹持装置
KR20210049647A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US20120256809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cable connector
AU2022219981B2 (en) Low-pim multi-function mounting system
US6762731B1 (en) Dish antenna rotation apparatus
KR101455691B1 (ko) 설치방향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 고정장치
CN109546287B (zh) 一种5g单支点天线支架
KR102355616B1 (ko) 기지국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US11326666B2 (en) Low-PIM rod receiver angle adapters and cable hanger assemblies
KR102293341B1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N107834193A (zh) 用于轨道应用的多天线和方法
KR101912637B1 (ko) 통신 안테나 지지대
KR20200111606A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N218101673U (zh) 通信塔用可调天线支架
KR102660872B1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20220132343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통신장비 브라켓
KR20200111090A (ko)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