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753A -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753A
KR20210048753A KR1020190132795A KR20190132795A KR20210048753A KR 20210048753 A KR20210048753 A KR 20210048753A KR 1020190132795 A KR1020190132795 A KR 1020190132795A KR 20190132795 A KR20190132795 A KR 20190132795A KR 20210048753 A KR20210048753 A KR 20210048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weight
glitt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850B1 (ko
Inventor
이성민
우수연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8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기재의 글리터 파우더를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판상 구조인 폴리에스터 글리터를 다량 포함하면서도 성형성, 발림성, 광택감, 피부 밀착력이 높은 압축분말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Powder cosmetic composition of Glitter type pressed powder containing Polyester based pearl pigments}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파우더를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글리터(glitter)는 반짝이는 표면 효과를 생산하여 미적인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글리터는 작고 납작하며 반사성을 갖는 입자를 통칭하는 것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빛을 반사하여 물체의 표면에서 반짝거리거나 빛이 일렁이는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글리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은 금속으로, 알루미늄, 구리, 은, 금 및 놋쇠와 같은 금속의 입자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투명하거나 착색된 고체 유기물질의 입자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부티랄이 글리터의 구성 물질이 될 수 있다.
이 중에서 금속성 글리터는 가장 반사성을 갖는 글리터로, 반짝이는 표면 효과라는 용도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은 및 금과 같이 글리터에 사용되는 일부 반사성 금속은 비교적 고가이다. 또한,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그 밖의 입자는 공기 및/또는 물에 노출되었을 때 부식되거나 산화될 가능성이 있어 보호용 피복물의 추가를 필요로 하므로 비교적 고가이다. 이에 더하여, 고체 금속 글리터는 글리터-함유 화장료 제조 시 사용되는 설비를 마모시킬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한편, 금속성 글리터 외에 저렴하며 큰 반사성이 있는 편평-필름 글리터가 화장료 제조 시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편평-필름 글리터를 다량 배합한 제품의 경우, 사용 시 페이오프(pay-off)조작에 의해서 판상인 글리터가 수평으로 나열되고, 그로 인해 케이킹(caking) 현상이 유발되어 글리터 발림성이 좋지 않게 된다.
특히 판상 구조의 폴리에스터 글리터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일반 보로실리케이트 기재의 펄과 달리 공정 제조적 특이성으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게 되고, 이러한 높은 두께로 인하여 화장료 사용 시 거친 사용감을 나타내며 떠짐성이 좋지 않다는 원료적 특성을 갖는다.
한국공개특허 KR 10-2014-0090990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판상 구조의 폴리에스터 글리터 파우더를 다량 포함하면서도 성형성, 발림성, 광택감, 피부 밀착력이 높은 압축분말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polyester) 글리터를 포함하는 판상 파우더,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구상 파우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폴리에스터 글리터는 상기 판상 파우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초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판상 파우더 20 내지 50 중량%,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구상 파우더 1 내지 10 중량%, 및 오일 바인더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폴리에스터 글리터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상 파우더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 copolyme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스터(ester) 오일 및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바인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 35 내지 45 중량%, 상기 에스터 오일 55 내지 65 중량%이 포함될 수 있다.
저렴하며 큰 반사성이 있고 광범한 색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글리터를 과량 포함하면서도, 광택감, 성형성, 발림성, 피부 밀착력이 높은 압축분말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파우더를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로서,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구상 파우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판상 파우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판상 파우더 20 내지 50 중량%,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구상 파우더 1 내지 10 중량%, 및 오일 바인더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펄(pearl)" 또는 "글리터(glitter)"란, 파우더 입자 중 반사성을 갖는 입자로서 광택을 나타내는 안료를 의미하며, 특정 입자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판상 파우더는 폴리에스터(polyester) 글리터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스터 글리터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 글리터는 판상 파우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초과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판상 파우더는 상기 폴리에스터 글리터와 반응 또는 혼합될 수 있는 중합체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 copolymer) 및/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중합체는 폴리에스터 글리터와 혼합되어 편평-필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상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 포함되며,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광택감이 미미하며 5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케이킹(caking) 현상이 두드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상 파우더는 탄성이 있는 구상 파우더로서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한다. 구상 파우더는, 판상 글리터가 수평으로 나열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판상 글리터 사이에 도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나일론(nylon 12), 실리카(silica),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등과 같은 구상 파우더는 화장료의 구름성을 향상시키지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떠짐성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비해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는 가교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중합체로, 구상이면서 탄성을 가지고 표면 처리나 표면 피복이 되어있지 않아,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품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응집력으로 화장료 사용 시 떠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상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포함되며,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케이킹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며 1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화장료 도포 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제형 안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바인더(binder)로서 오일 성분을 포함한다. 바인더란 성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성분으로, 일반적으로 프레스드 타입(pressed type) 제품인 아이섀도우, 블러셔, 팩트 등의 제조 시에 바인더로서 오일을 첨가한다. 오일 바인더는 화장료의 성형성을 높이고 피부밀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오일 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포함되며,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성형성 및 피부 부착력이 저하되며 3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파우더끼리의 응집력이 높아져 덩어리지며 피부 부착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인더로서 에스터(ester) 오일 및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hydrogenated castor oil dimer dilinoleat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스터 오일의 경우 극성이 낮은 에스터(low polar ester) 계열과 극성이 높은 에스터(high polar eater) 계열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극성이 낮은 에스터 계열의 오일은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아이소트라이데실아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에틸헥실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네오펜틸글라이콜아이에틸헥사노에이트(neopentyl glycol diethylhexanoate), 트라이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트라이아이소스테아린(triisostearin), polyglyceryl-2 tetraisostearate, polyglyceryl-6 ocracaprylate,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Neopentyl Glycol Diethylhexanoate),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극성이 높은 에스터 계열의 오일로는, 옥틸도데실락테이트(octyldodecyl lactate), 다이아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폴리글리세릴-2 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2 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2 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등)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인더로서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 오일을 일정 비율로 모두 포함함으로써 안료 분산성이 좋으며 높은 광택력을 갖는 오일부를 구성하여, 글리터 광택감을 높여주며 동시에 우수한 사용감과 떠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일 바인더는, 오일 바인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 35 내지 45 중량%, 에스터 오일 55 내지 65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과 에스터 오일의 중량비는 4:6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저점도 에스터 오일:고점도 에스터 오일=4:5: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부패 등을 막기 위해 산화 방지제 또는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색소, 향료 및 증점제 등의 보조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보조 성분의 총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구상 파우더의 종류에 따른 비교
하기 표 1와 같은 조성(중량%)으로 압축분말상의 반제품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표기되어 있는 비교예 1, 2, 3, 4, 5의 경우, 구상 파우더 중 에서도 1 ~ 8 μm의 크기를 갖는 파우더를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 10 중량% 첨가하여 실시예와 비교 분석하였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원료 2)는 Sigmund Lindner사의 SiLiglam Pure 2610-422-3hex, Pure 2610-423-3hex제품을 사용하였으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입자 크기는 200 ㎛, 두께는 30 ㎛이다.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원료 22)는 Dow Chemical 사의 DOWSIL™EP-9610 제품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에스터 오일은 높은 극성과 점도(448mPa·s at 20℃)를 갖는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triisostearate)과 낮은 극성과 점도(30mPa·s at 20℃)를 갖는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표 1의 원료 1 ~ 22를 헨셀 믹서에 넣고 1500 rpm으로 2분간 2번 혼합하였다.
2) 표 1의 원료 23 ~ 28를 65℃로 가온하고 1)에 미세 분사 후, 1200rpm으로 1분간 2번 혼합하고 분쇄 처리하였다.
3) 색과 디자인을 위해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적량의 배합으로 믹싱 후 6가지 반제품을 제조하였다.
4) 믹싱된 내용물을 알루미늄 팬에 충진하여 압축 성형하였다.
실험예 1-1. 외관 관찰
하기 표 2에 실시예 1과 비교예 1 ~ 5의 외관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1과 비교예 2, 3, 4, 5의 경우 1 ~8 μm의 크기의 구상 파우더를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하고 있는 제품으로서 외관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는 유사한 사이즈의 구상 파우더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시각적 효과가 유사하여 외관 또한 유사한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구상 파우더는 난반사로 인한 블러링(blurring) 효과가 나타나므로,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5의 외관이 상대적으로 낮은 색상 선명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1-2. 제형 안정도 측정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아이섀도에 대하여 경도 측정과 낙하테스트를 실시하여 제형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TECLOCK브랜드의 JIS K 3601 C모델 경도계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시험하였다. 낙하테스트는 높이 70cm에서 고무판에 3회 떨어뜨려 측정하였다.
하기 표 3 및 표 4를 보면, 6가지 타입 모두 글리터 섀도우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도와 높은 낙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실험예 1-3. 사용감 발림성 측정
하기 표 5에 사용감 및 발림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용감은 오름차순으로 표기하여, 숫자가 높을수록 판상 폴리에스터 글리터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거친 사용감이 낮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발림성은 글리터 발림성이 좋은 순서대로 오름차순으로 표기하였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피부 부착율이 높아진다.
Figure pat00005
비교예 1은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5는 1 ~ 8 μm의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이 사용감 및 발림성이 모두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5는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예 1보다 퍼짐성 및 발림성이 향상되었으며, 안료끼리의 마찰을 감소시켜 부드러운 감촉을 부여하였다.
상이한 종류의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1의 사용감 및 발림성 모두가 좋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같은 사이즈의 구상 파우더일지라도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구름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부여하여 거친 사용감을 줄여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구름성을 높게 부여할 수 있었던 이유는 해당 원료는 실리콘 3차원 가교물로 이루어진 구상 파우더이기 때문에 응집이 적어 다른 분체에 분산이 잘되어 압축 분말상의 퍼짐성과 부드러운 사용감을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표 3 및 표 4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5는 모두 0% loss로 높은 제형안정도를 보여주고 있으나(표 4 참조), 실시예 1의 경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것으로 보아(표 3 참조), 보다 부드러운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1 ~ 8 μm 크기의 구상의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파우더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이 안정성이 뛰어나고 사용감이 좋으며 글리터 발림성이 종합적으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제형 안정도는 증가되고 부드럽고 매끄러운(슬라이딩) 사용감을 갖는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오일 배합 비율에 따른 비교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으로 압축분말상 반제품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6의 실시예 1, 비교예 6, 비교예 7의 경우 오일 종류별로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오일 바인더 원료는 합성 에스터 오일 중에서도 다이머엑시드에스터(Dimer Acid Ester)계열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viscosity; 2000mPa·s, 25℃), 폴리글리세롤이스터(Polyglycerol Ester)계열인 트리에칠헥사노인(viscosity; 28~34mPa·s, 25℃)과 높은 점성을 갖는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로 구성하였다.
Figure pat00006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표 6의 원료 1 ~ 18을 헨셀 믹서에 넣고 1500 rpm으로 2분간 2번 혼합하였다.
2) 표 6의 원료 19 ~ 24를 65℃로 가온하고 1)에 미세 분사 후, 1200rpm으로 1분간 2번 혼합하고 분쇄 처리하였다.
3) 색과 디자인을 위해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적량의 배합으로 믹싱 후 3가지 반제품을 제조하였다.
4) 믹싱된 내용물을 알루미늄 팬에 충진하여 압축 성형하였다.
실험예 2-1. 외관 관찰
하기 표 7에 실시예 1과 비교예 6, 7의 외관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오일 바인더로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의 비율을 달리하여 조성물을 만들었을 때 외관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실험예 2-2. 제형 안정도 측정
이와 같이 제조된 아이섀도에 대하여 경도측정과 낙하테스트를 실시하여 제형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은 TECLOCK브랜드의 JIS K 3601 C모델 경도계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시험하였다. 낙하테스트는 높이 70cm에서 고무판에 3회 떨어뜨려 측정하였다.
하기 표 8 및 표 9를 보면, 3가지 타입 모두 글리터 섀도우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도와 높은 낙하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실험예 2-3. 사용감 발림성 측정
오일 바인더의 배합 비율에 따른 사용감 및 발림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10에 사용감 및 발림성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용감은 오름차순으로 표기하여, 숫자가 높을수록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거친 사용감이 낮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주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발림성은 글리터 발림성이 좋은 순서대로 오름차순으로 표기하였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피부 부착율이 높아진다.
Figure pat00010
상기 표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와 같이 높은 페이스트 상 오일의 비율이 어느 정도 증가함에 따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글리터의 피부 밀착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실시예 1> 비교예 6). 하지만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과량 함유될 경우(비교예 7), 파우더 간의 밀착력이 높아져 오히려 펄 발림성 및 밀착력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표 10의 사용감 및 글리터 발림성, 밀착력 평가표를 종합해보았을 때, 본발명의 조성물의 경우 트리에칠헥사노인: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의 비율이 실시예 1과 같이 비율이 5:4:1인 경우 안정성이 뛰어나고 사용감이 좋으며 글리터 발림성이 종합적으로 가장 좋은 것으로 결과를 얻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제형 안정도는 증가되고 부드럽고 매끄러운(슬라이딩) 사용감을 갖는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7)

  1. 폴리에스터(polyester) 글리터를 포함하는 판상 파우더,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를 포함하는 구상 파우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글리터는 상기 판상 파우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스터 글리터를 포함하는 판상 파우더 20 내지 50 중량%,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구상 파우더 1 내지 10 중량%, 및
    오일 바인더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글리터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alate)인,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파우더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 copolymer),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로 구성되는 군에서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스터(ester) 오일 및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페이스트상 식물성 오일 35 내지 45 중량%, 상기 에스터 오일 55 내지 65 중량%이 포함된,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32795A 2019-10-24 2019-10-24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KR10241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95A KR102416850B1 (ko) 2019-10-24 2019-10-24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95A KR102416850B1 (ko) 2019-10-24 2019-10-24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53A true KR20210048753A (ko) 2021-05-04
KR102416850B1 KR102416850B1 (ko) 2022-07-05

Family

ID=7591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795A KR102416850B1 (ko) 2019-10-24 2019-10-24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5542A1 (en) * 2022-08-12 2024-02-15 Elc Management Llc Binder for use in powdery cosmetic composi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064A (ko) * 1998-01-13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색상전이필름 글리터
KR20140090990A (ko) 2011-11-03 2014-07-18 로레알 콤팩트 파우더 형태의 고형 화장용 조성물
KR20180017811A (ko) * 2016-08-11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064A (ko) * 1998-01-13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색상전이필름 글리터
KR20140090990A (ko) 2011-11-03 2014-07-18 로레알 콤팩트 파우더 형태의 고형 화장용 조성물
KR20180017811A (ko) * 2016-08-11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5542A1 (en) * 2022-08-12 2024-02-15 Elc Management Llc Binder for use in powdery cosmetic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850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8749B (zh) Solid powder cosmetic
CN114929186B (zh) 嘴唇用固体化妆品
CN101125117A (zh) 粉状形式的化妆品组合物
TW201804982A (zh) 具有改善敷塗特性以及成形性的壓粉化妝品組成物
CN108366924A (zh) 包含特定填料组合和成膜聚合物以提高持久效果的化妆品组合物
CN106913472A (zh) 轻薄亚光唇彩
JP5080919B2 (ja) 液状油性口唇化粧料
KR102416850B1 (ko) 폴리에스터 기재의 펄 안료를 포함하는 글리터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KR102562426B1 (ko) 발색력 및 글리터 효과가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용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WO2011122087A1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KR20180052590A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598490B1 (ko)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38478B1 (ko) 고함량의 글리터 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9562052B (zh) 同时提高了贴合性和涂展性的彩妆品组合物
KR20160001139A (ko) 세리사이트를 과립화한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15400035A (zh) 珠光眼影及其制备方法
JP2008007536A (ja) 複合粒子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100941496B1 (ko) 번들거림 및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6976633B2 (ja) しっとり感に優れた色調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285192B2 (ja) ゲル状口唇化粧料
JP5416371B2 (ja) 油性リップコート
KR20130101384A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276447B1 (ko) 펄(pearl) 광택 안료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7655A (ko)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1562537A1 (en)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