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63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633A
KR20210048633A KR1020190132110A KR20190132110A KR20210048633A KR 20210048633 A KR20210048633 A KR 20210048633A KR 1020190132110 A KR1020190132110 A KR 1020190132110A KR 20190132110 A KR20190132110 A KR 20190132110A KR 20210048633 A KR20210048633 A KR 2021004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pattern film
display
display panel
lef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633A/ko
Priority to US16/907,689 priority patent/US11662775B2/en
Priority to CN202010903038.5A priority patent/CN112701142A/zh
Publication of KR2021004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01L51/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01L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표시 장치는 발광 구조물을 포함하고, 메인 표시 영역,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는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우측 엣지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엣지 표시 영역들에 중첩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 패널 보다 높은 강도(stiffness)를 갖는 제1 패턴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턴 필름은 응력 분산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소형, 경량화 되면서 성능은 더욱 뛰어난 디스플레이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기존 브라운관 텔레비전(cathode ray tube: CRT)이 성능이나 가격 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널리 사용되었으나, 소형화 또는 휴대성의 측면에서 CRT의 단점을 극복하고,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 등의 장점을 갖는 표시 장치, 예를 들면 플라즈마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인 베젤부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제시되었으며, 상기 표시 장치의 일부를 구부려 배치시키는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구부림에 의한 파손 또는 크랙 발생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부러지는 부분에서의 파손 또는 크랙 발생을 줄이고, 비표시 영역인 베젤부를 줄인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구조물을 포함하고, 메인 표시 영역,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는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우측 엣지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엣지 표시 영역들에 중첩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 패널 보다 높은 강도(stiffness)를 갖는 제1 패턴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턴 필름은 응력 분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력 분산부는 슬릿 형태의 개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곡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동일한 중심을 갖는 복수의 슬릿 형태의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접하는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각각 접하는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력 분산부는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력 분산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하는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상기 제1 패턴 필름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동일한 중심을 갖는 복수의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각각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곡면에서의 중립면(neutral plane)은 상기 표시 패널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패턴 필름에는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는 벤딩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벤딩 영역의 일부는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배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 아래 부착되는 제2 패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상기 발광 구조물은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 영역,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고, 상기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구부러진 곡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부착되는 패턴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패턴 필름의 상기 곡면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부분에는 그루브 또는 슬릿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면 표시 영역에서의 중립면(neutral plane)은 상기 표시 패널 내에 위치하여, 상기 패턴 필름에는 압축력이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면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그루브 또는 상기 슬릿 개구는 상기 곡면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면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양 끝단은 라운드된 가장자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루브 또는 상기 슬릿 개구는 상기 라운드된 가장자리 형상에 인접하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는 발광 구조물을 포함하고, 메인 표시 영역,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는 곡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곡면 표시 영역에 중첩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 패널 보다 높은 강도(stiffness)를 갖는 제1 패턴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턴 필름에는 슬릿 개구 또는 그루브인 응력 분산부에 의해 응력이 분산되어, 상기 제1 패턴 필름을 이루는 물질들이 밀려나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모서리 부분에서 표시 패널의 손상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제2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패턴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의 패턴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우측 엣지 표시 영역,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벤딩 영역을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5a의 표시 장치가 구부러진 상태에서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2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a의 표시 장치가 구부러진 상태에서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2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엣지 표시 영역을 구부림에 따른 제1 패턴 필름(PFL1)의 슬릿(SL)의 변화를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패턴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표시 장치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패턴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표시 장치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엣지 표시 영역의 끝단에서의 파손 또는 크랙 발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패턴 필름의 구부러짐에 따른, 가장자리에서의 밀려남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제2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PN), 제1 패턴 필름(PFL1) 및 제2 패턴 필름(PFL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PN)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메인 표시 영역(MDA),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 및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은 제1 방향(D1) 및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을 따라 형성되는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이 배치되는 상기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과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구부러진 곡면 표시 영역일 수 있다. (도 4 참조)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은 제1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1),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1)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상기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은 각각 상기 제1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1)의 길이 방향의 양 끝단, 즉,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양 끝단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이 배치되는 상기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과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구부러진 곡면 표시 영역일 수 있다. (도 4 참조)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은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1),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및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1)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및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은 각각 상기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1)의 길이 방향의 양 끝단, 즉,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양 끝단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 및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를 포함하는 상기 표시 영역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에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및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LEA3) 및 상기 제2 및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REA3)은 라운드된 가장자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PN)은 벤딩 영역(B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 영역(BA)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PN)에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에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구부러져, 상기 벤딩 영역(BA)의 일부가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의 배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과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딩 영역(BA)에는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 및 외부 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패드 전즉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참조)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은 상기 표시 패널(PN)의 하부에 상기 메인 표시 영역(MDA)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엣지 표시 영역들(LEA, REA)에 중첩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은 상기 표시 패널 보다 높은 강도(stiffness)를 갖질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은 합성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턴 필름(PFL2)은 상기 표시 패널(PN)의 하부에 상기 벤딩 영역(BA)의 일부와 중첩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턴 필름(PFL2)은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과 이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PN)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 가요성 베이스 기판, 상기 가요성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회로 배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회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 패널은 가요성의 표시 패널로, 알려진 다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패턴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네 모서리, 즉,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 상기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상기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응력 분산부인 슬릿 개구(SL)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릿 개구(SL)는 상기 표시 패널(PN)의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 상기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상기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과 중첩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 개구(SL)는 곡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슬릿 개구(SL)는 상기 엣지 표시 영역들 가장자리의 라운드된 가장자리 형상에 인접하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릿 개구(SL)는 동일한 중심을 갖는 복수의 슬릿 형태의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릿 개구(SL)는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에 레이저 컷팅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릿 개구(SL)가 곡선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제1 방향(D1)과 소정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의 패턴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PN) 및 패턴 필름(PF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패턴 필름(PFL)이 나뉘어지지 않고, 하나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3의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턴 필름(PFM)은 메인 표시 영역(MDA),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 및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은 제1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1),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은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1),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및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필름(PFM)의 네 모서리, 즉,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 상기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상기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응력 분산부인 슬릿 개구(SL)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우측 엣지 표시 영역,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벤딩 영역을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5a의 표시 장치가 구부러진 상태에서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2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7a의 표시 장치가 구부러진 상태에서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2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엣지 표시 영역을 구부림에 따른 제1 패턴 필름(PFL1)의 슬릿(SL)의 변화를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7a, 8a 및 9a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PN)이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에는 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각 모서리 부부, 즉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 상기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상기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슬릿 개구(SL)에는 응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상기 슬릿 개구(SL)는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도 6, 7b, 8b 및 9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PN)의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이 구부러짐에 따라,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아래 위치하는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상기 슬릿 개구(SL)에 의해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PN)의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이 구부러질 때, 압축 응력(compression) 또는 인장 응력(expansion)이 작용하지 않는 중립면(NP)은 상기 표시 패널(PN)의 구성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표시 패널(PN) 내에 위치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에는 압축 응력이 작용하고, 상기 압축 응력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3 방향(D3)의 절단면 상에서뿐만 아니라(도 5b 참조),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을 밀어 내는 방향으로도 작용한다. (도 4 및 도 6b의 굵은 화살표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상기 제2 방향(D2) 끝단에서는 상기 압축 응력에 따라,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을 이루는 물질들이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밀려나 부풀어 오를 수 있으며(도 15 참조), 이에 따라, 가장자리 부분에서 표시 패널의 손상 및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4 참조) 상기 슬릿 개구(SL)는 제1 폭(w1) 보다 작은 제2 폭(w2)을 갖는 상태(또는 슬릿 개구의 벽면이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아래 위치하는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상기 슬릿 개구(SL)에 의해 응력이 분산되어,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을 이루는 물질들이 상기 제2 방향(D2)으로 밀려나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PN)의 모서리 부분에서 표시 패널의 손상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 상기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상기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슬릿 개구도 이와 같은 작용을 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PN)의 모서리 부분에서 표시 패널의 손상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패턴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표시 장치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11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응력 분산부가 슬릿 개구 대신 그루브(GR)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9b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제1 패턴 필름(PFL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메인 표시 영역(MDA),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 및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은 제1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1),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은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1),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및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네 모서리, 즉,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 상기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상기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응력 분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력 분산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GR)일 수 있다. 상기 그루브(GR)는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하는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서 상기 그루브(GR)는 곡선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패턴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표시 장치의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주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그루브(GR)가 형성된 면의 위치를 제외하면 도 10 및 11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제1 패턴 필름(PFL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메인 표시 영역(MDA),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 및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은 제1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1),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은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1),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및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네 모서리, 즉,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2),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LEA3), 상기 제2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2) 및 상기 제3 우측 엣지 표시 영역(REA3)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응력 분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력 분산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GR)일 수 있다. 상기 그루브(GR)는 상기 제1 패턴 필름(PFL1)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서 상기 그루브(GR)는 곡선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500)는 프로세서(510), 메모리 장치(520), 스토리지 장치(530), 입출력 장치(540), 파워 서플라이(550) 및 표시 장치(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 장치(560)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500)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기기(500)는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500)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전자 기기(500)는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500)는 휴대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smart 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태블릿(tablet)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5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5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등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5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을 통해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510)는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520)는 상기 전자 기기(5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 장치(520)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장치,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피램(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장치, 알램(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RRAM) 장치, 엔에프지엠(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장치, 폴리머램(Polymer Random Access Memory; PoRAM) 장치, 엠램(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에프램(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장치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장치, 모바일 DRAM 장치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장치(5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54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 서플라이(550)는 상기 전자 기기(500)의 동작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560)는 상기 버스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560)는 상기 입출력 장치(5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560)는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는 발광 구조물을 포함하고, 메인 표시 영역,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는 곡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곡면 표시 영역에 중첩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 패널 보다 높은 강도(stiffness)를 갖는 제1 패턴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패턴 필름에는 슬릿 개구 또는 그루브인 응력 분산부에 의해 응력이 분산되어, 상기 제1 패턴 필름을 이루는 물질들이 밀려나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모서리 부분에서 표시 패널의 손상 및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엣지 표시 영역의 끝단에서의 파손 또는 크랙 발생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패턴 필름의 구부러짐에 따른, 가장자리에서의 밀려남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엣지 표시 영역의 끝단에서, 패턴 필름의 구부러짐에 따라 가장자리에서의 밀려남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표시 패널의 크랙 및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릿 개구에 의해 응력이 분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크랙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표시 장치 PN: 표시 패널
MDA: 메인 표시 영역
LEA: 좌측 엣지 표시 영역
REA: 우측 엣지 표시 영역
PFL1: 제1 패턴 필름
SL: 슬릿 개구

Claims (19)

  1. 발광 구조물을 포함하고, 메인 표시 영역,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는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우측 엣지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상기 메인 표시 영역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엣지 표시 영역들에 중첩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 패널 보다 높은 강도(stiffness)를 갖는 제1 패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필름에는 응력 분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분산부는 슬릿 형태의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곡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동일한 중심을 갖는 복수의 슬릿 형태의 원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접하는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좌측 엣지 표시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각각 접하는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력 분산부는 상기 제2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상기 제3 좌측 엣지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분산부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 패턴 필름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하는 면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상기 제1 패턴 필름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동일한 중심을 갖는 복수의 원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엣지 표시 영역 및 상기 우측 엣지 표시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각각이 곡면을 이루고,
    상기 곡면에서의 중립면(neutral plane)은 상기 표시 패널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패턴 필름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는 벤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벤딩 영역의 일부는 상기 메인 표시 영역의 배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메인 표시 영역과 중첩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 영역 아래 부착되는 제2 패턴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상기 발광 구조물은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메인 표시 영역, 상기 메인 표시 영역에 접하고, 상기 평면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구부러진 곡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부착되는 패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필름의 상기 곡면 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부분에는 그루브 또는 슬릿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표시 영역에서의 중립면(neutral plane)은 상기 표시 패널 내에 위치하여, 상기 패턴 필름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그루브 또는 상기 슬릿 개구는 상기 곡면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표시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양 끝단은 라운드된 가장자리 형상을 갖고, 상기 그루브 또는 상기 슬릿 개구는 상기 라운드된 가장자리 형상에 인접하는 곡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132110A 2019-10-23 2019-10-23 표시 장치 KR20210048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10A KR20210048633A (ko) 2019-10-23 2019-10-23 표시 장치
US16/907,689 US11662775B2 (en) 2019-10-23 2020-06-22 Display apparatus
CN202010903038.5A CN112701142A (zh) 2019-10-23 2020-09-0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10A KR20210048633A (ko) 2019-10-23 2019-10-23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33A true KR20210048633A (ko) 2021-05-04

Family

ID=7550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110A KR20210048633A (ko) 2019-10-23 2019-10-23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2775B2 (ko)
KR (1) KR20210048633A (ko)
CN (1) CN1127011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68706A1 (en) * 2022-05-16 2023-1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CN115421606A (zh) * 2022-08-10 2022-1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890B1 (ko)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151634B1 (ko) * 2013-11-28 2020-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3943788B (zh) 2014-04-02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其封装方法
US9515099B2 (en) 2014-07-31 2016-12-06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wire having reinforced por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22103B1 (ko) 2015-05-28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10651247B2 (en) * 2018-06-05 2020-05-1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Curved display, display module and display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01142A (zh) 2021-04-23
US11662775B2 (en) 2023-05-30
US20210124399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524B2 (en) Sliding display device
KR10247629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90713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41105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87504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252835B2 (en) Bendable cover, bendable display module, and bendable terminal device
KR20210022189A (ko) 표시 장치
KR102534599B1 (ko)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0466841B2 (en) Curve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106548711B (zh) 显示设备和智能手表
KR102332519B1 (ko)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CN113039648A (zh) 显示装置
CN111755476A (zh) 显示装置
CN114902317A (zh) 可折叠显示装置
US11515369B2 (en) Display device
CN108932907B (zh) 显示装置
KR20210048633A (ko) 표시 장치
KR20230014793A (ko) 표시장치
US20210043697A1 (en) Display apparatus
US9740345B2 (en) Touch panel
CN114008790A (zh) 显示设备
CN111146253A (zh) 显示装置
CN114787900A (zh) 显示装置及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CN113767321A (zh) 显示装置
KR20220159538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