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468A -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7468A KR20210047468A KR1020190131103A KR20190131103A KR20210047468A KR 20210047468 A KR20210047468 A KR 20210047468A KR 1020190131103 A KR1020190131103 A KR 1020190131103A KR 20190131103 A KR20190131103 A KR 20190131103A KR 20210047468 A KR20210047468 A KR 20210047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layer
- biodegradable
- microplastic
- precursor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3/00—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81/00
- C08G83/001—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and inorganic sequences, e.g. organic polymers grafted onto silica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촉매로 구성되는 코어층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층 표면을 둘러싸며, 상기 코어층에 의해 분해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촉매로 구성되는 코어층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층 표면을 둘러싸며, 상기 코어층에 의해 분해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해속도가 향상된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미세플라스틱(또는, 마이크로비즈)은 5㎜ 이하의 크기를 갖는 플라스틱을 의미하며, 주로, 화장품, 스크럽(Scrub)제, 치약 등과 같은 생활용품에 첨가된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매우 작아 하수처리시설에서 걸러지지 않고 그대로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심각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스타이렌(PS) 등과 같은 석유 화학물질로 구성되며, 시간이 지나도 분해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은 표면적이 넓은 특성을 가지므로, 수중의 다른 화학물질(예를 들어, 폴리염화 바이페닐(PCB), 디클로로-디페닐-디클로로-에틸렌(DDE), 노닐페놀(NPEs) 등)을 흡착함으로써 새로운 오염물질을 생성한다. 해양생물이 먹이로 오인하여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경우, 먹이사슬의 축적에 따라 인간에게까지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들어, 미세플라스틱의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광, 미생물, 가수분해, 온도 및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는 물질을 미세플라스틱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미생물 및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은 일반적인 화학물질과 강도, 내수성, 성형가공성 및 내열성 등이 유사하며, 이산화탄소, 물 및 무기염류로 분해됨에 따라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생분해성 수지가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에는 4,000kcal 이상의 열량 또는 290~315㎚ 파장의 UV-B(Ultraviolet B)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생분해성 수지가 분해되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적은 에너지로도 비교적 빠른 속도로 분해될 수 있는 소재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해속도가 향상된,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광촉매로 구성되는 코어층;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층 표면을 둘러싸며, 상기 코어층에 의해 분해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코어층은, 구형의 TiO2 입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코어층은, 기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이 조사됨에 따라 광촉매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지층은, PLA(Poly Lactic Acid 또는, Polylactid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지층은, 미생물 또는 효모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지층은,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서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코어층 및 수지층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을 준비하는 코어층 준비과정; 상기 코어층을 NH4OH 수용액에 침지하는 수용액 침지과정; 기 설정된 제1 환경에서 상기 수용액을 가열하는 제1 가열과정; 상기 코어층을 건져내고,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 및 건조과정; 상기 코어층을 유기용매에 침지하는 유기용매 침지과정; 상기 유기용매에 상기 수지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폴리머의 전구체를 첨가하는 전구체 첨가과정; 상기 유기용매,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 및 상기 코어층이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서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의 중합반응을 촉진하는 촉매를 첨가하는 촉매 첨가과정; 및 상기 유기용매,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 상기 코어층 및 상기 촉매가 혼합된 혼합물을 기 설정된 제2 환경에서 가열하는 제2 가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코어층은, 구형의 TiO2 입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용액 침지과정은,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수산화기(-OH)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산화기는,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와 중합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는, Lactid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촉매 첨가과정은,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서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가 PLA로 중합되는 반응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가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서 PLA로 중합됨에 따라,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상기 수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TiO2 입자로 구성된 코어층을 포함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분해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층 내 광촉매 반응 및 수지층이 분해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층 표면에 수지층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층 내 광촉매 반응 및 수지층이 분해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층 표면에 수지층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100, 이하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으로 약칭함)은 코어층(110) 표면에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층(120, 이하 '수지층'으로 약칭함)이 껍질(Shell)과 같이 둘러싸인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지층(120)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며, 미생물 또는 효모 등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및 무기염류로 분해된다. 즉, 고분자 상태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는 가수분해 또는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 등에 의해 저분자로 분해되고, 생분해에 의해 최종적으로, 저분자에서 물, 이산화탄소 및 무기염류로 완전히 분해된다. 통상적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가 고분자에서 물, 이산화탄소 및 무기염류로 완전히 분해되기까지는 종류에 따라 최대 6개월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100)은 광촉매로 구성된 코어층(110)을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가 분해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코어층(110) 내 광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부산물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된 수지층(120)의 분해를 가속화하며, 강이나 바다로 유입된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100)이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100)은 코어층(110) 및 수지층(120)을 포함한다.
코어층(110)은 구형의 TiO2(또는, 이산화티타늄)입자로 구성됨으로써, 기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이 조사됨에 따라 ·OH(또는, OH 라디칼(Radical)) 및 ·O2 -(또는, O2 - 라디칼)을 생성한다. 코어층(110) 내 광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된 ·OH 및 ·O2 -는 수지층(120)과 반응함으로써,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100)의 분해를 촉진한다. 전술한 대로, 코어층(110)은 구형의 TiO2 입자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ZnO, ZrO2, WO3 등과 같이 기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에 의해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코어층(110) 내 광촉매 반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수지층(120)은 PLA(Poly Lactic Acid 또는, Polylactide)로 구성되며, 코어층(110)의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전술한 대로, 수지층(120)은 미생물 또는 효모 등에 의해 물, 이산화탄소 및 무기염류로 분해되는 성질을 갖는다. 나아가, 수지층(120)은 코어층(110) 내 광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과 반응함으로써, 폴리머(Polymer)에서 모노머(Monomer)로 분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층(120)은 PLA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L(Polycaprolactone), AP(Aliphatic Polyester), PHB(Poly Hydroxy Butyrate) 등과 같이 미생물 또는 효모 등에 의해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지층(120)이 폴리머에서 모노머로 분해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층 내 광촉매 반응 및 수지층이 분해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10) 내에서는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며, 광촉매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부산물은 수지층(120)과 작용한다. 즉, 수지층(120)은 미생물 또는 효모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됨과 동시에, 코어층(110)에 의해 폴리머에서 모노머로 분해된다. 코어층(110) 내 광촉매 반응 및 수지층(120)이 폴리에서 모노머로 분해되는 반응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TiO2 + hv(>3.2eV) → TiO2(eCB - + hVB +)
(2) TiO2(hVB +) + H2O(ads) → TiO2 + H+ + ·OH
(3) TiO2(eCB -) + O2(ads) → TiO2 + ·O2 -
(4) ·OH or ·O2 - + Organic → Oxidative Products
기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이 조사됨에 따라 광자는 코어층(110) 내 전자(Electron, e-)를 가전자대(Valence Band, VB)로부터 전도대(Conduction Band, CB)로 여기시키고, 가전자대(VB)에는 정공(Hole, h+)을 남긴다. 여기서, 가전자대(VB)의 정공(h+)은 H2O와 반응하여 ·OH을 생성하고, 전도대(CB)의 전자(e-)는 O2와 반응하여 ·O2 -을 생성한다. 그리고 ·OH 및 ·O2 -가 수지층(120)과 반응함에 따라 수지층(120) 내 PLA(즉, 폴리머)는 Latic Acid(젖산, 즉, 모노머)로 분해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코어층(110)을 준비한다(S310). 제조장치(미도시) 등은 구형의 TiO2 입자로 구성된 코어층(110)을 준비한다.
코어층(110)을 NH4OH 수용액에 침지한다(S320). 제조장치(미도시) 등은 코어층(110)을 NH4OH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코어층(110) 표면에 복수 개의 -OH(또는, 수산화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코어층(110) 표면에 형성되는 -OH의 갯수는 NH4OH 수용액의 농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코어층(110)이 침지되는 NH4OH 수용액의 농도는 1 내지 4M(Mol, 몰)로 구성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제1 환경에서 가열한다(S330). 제조장치(미도시) 등은 NH4OH 수용액에 침지된 코어층(110)을 기 설정된 제1 환경에서 가열함으로써, 후속되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조장치(미도시) 등은 환류기(Reflux Condenser, 미도시) 등을 구비함으로써, NH4OH 수용액이 가열됨에 따라 발생된 증기를 응축시켜 액체로 되돌린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NH4OH 수용액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NH4OH 수용액으로부터 코어층(110)을 걸러내고, 세척 및 건조한다(S340). 제조장치(미도시) 등은 코어층(110)을 가열된 NH4OH 수용액으로부터 걸러내고(즉, 필터링), 세척한 후에 건조시킨다.
코어층(110)을 유기용매에 침지한다(S350). 제조장치(미도시) 등은 세척 및 건조된 코어층(110)을 유기용매에 침지한다. 코어층(110)이 유기용매에 침지됨에 따라, 코어층(110)의 표면에 수지층(120)이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다. 유기용매는 톨루엔(Toluene)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용매에 Lactide를 첨가한다(S360). 제조장치(미도시) 등은 코어층(110)이 침지된 유기용매 내에 Lactide(락티드)를 첨가한다. Lactide는 PLA(즉, 폴리머)의 전구체(前驅體, Precursor)로서, Lactide가 첨가됨에 따라 후술할 중합반응에 의해 코어층(110)의 표면에 PLA가 형성된다.
코어층(110), 유기용매 및 Lactide가 혼합된 혼합물에 촉매를 첨가한다(S370). 제조장치(미도시) 등이 코어층(110), 유기용매 및 Lactide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 내에 촉매를 첨가함에 따라 Lactide는 코어층(110) 표면에서 -OH와 반응함으로써 PLA로 중합된다. 즉, 코어층(110) 표면에서 PLA가 중합됨에 따라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수지층(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지층(120)의 두께는 Lactide 및 촉매의 농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촉매는 4-Dimethylaminopyridine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 설정된 제2 환경에서 가열한다(S380). 제조장치(미도시) 등이 혼합물을 기 설정된 제2 환경에서 가열함에 따라, 코어층(110) 표면에서 일어나는 중합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조과정에 의해 코어층(110) 및 수지층(120)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100)이 제조된다.
제조된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100)을 세척 및 건조한다(S39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층 표면에 수지층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술한 대로, 코어층(110)이 NH4OH 수용액에 침지됨에 따라 코어층(110)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OH가 형성된다. 코어층(11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OH는 Lactide와 중합반응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에 의해 코어층(11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OH와 Lactide가 중합반응함에 따라, PLA가 형성된다. 즉, 수지층(120)은 PLA로 구성되며, 코어층(110)의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도 3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110: 코어층
120: 수지층
110: 코어층
120: 수지층
Claims (13)
- 광촉매로 구성되는 코어층;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층 표면을 둘러싸며, 상기 코어층에 의해 분해되는 수지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구형의 TiO2 입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기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이 조사됨에 따라 광촉매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PLA(Poly Lactic Acid 또는, Polylactid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미생물 또는 효모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서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 코어층 및 수지층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을 준비하는 코어층 준비과정;
상기 코어층을 NH4OH 수용액에 침지하는 수용액 침지과정;
기 설정된 제1 환경에서 상기 수용액을 가열하는 제1 가열과정;
상기 코어층을 건져내고, 세척 및 건조하는 세척 및 건조과정;
상기 코어층을 유기용매에 침지하는 유기용매 침지과정;
상기 유기용매에 상기 수지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폴리머의 전구체를 첨가하는 전구체 첨가과정;
상기 유기용매,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 및 상기 코어층이 혼합된 혼합물에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서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의 중합반응을 촉진하는 촉매를 첨가하는 촉매 첨가과정; 및
상기 유기용매,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 상기 코어층 및 상기 촉매가 혼합된 혼합물을 기 설정된 제2 환경에서 가열하는 제2 가열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구형의 TiO2 입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 침지과정은,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수산화기(-OH)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기는,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와 중합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는,
Lactid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첨가과정은,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서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가 PLA로 중합되는 반응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의 전구체가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서 PLA로 중합됨에 따라, 상기 코어층의 표면에 상기 수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1103A KR102249837B1 (ko) | 2019-10-22 | 2019-10-22 |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1103A KR102249837B1 (ko) | 2019-10-22 | 2019-10-22 |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7468A true KR20210047468A (ko) | 2021-04-30 |
KR102249837B1 KR102249837B1 (ko) | 2021-05-10 |
Family
ID=7574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1103A KR102249837B1 (ko) | 2019-10-22 | 2019-10-22 |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983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5473B1 (ko) | 2021-08-04 | 2023-07-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실제 수계환경에 적용되는 미세플라스틱 생물막 형성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06A (ja) * | 1994-06-24 | 1996-01-09 | Goyo Paper Working Co Ltd | 光・生分解性ポリマー成型品 |
CN101215411A (zh) * | 2008-01-21 | 2008-07-09 | 南京大学 | 一种光降解抗菌聚乳酸材料及制备方法 |
KR20110053686A (ko) * | 2009-11-16 | 2011-05-24 | (주)바이오제닉스 | 다중 코팅층을 갖는 복합기능성 이산화티탄 입자의 제조방법 |
-
2019
- 2019-10-22 KR KR1020190131103A patent/KR1022498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06A (ja) * | 1994-06-24 | 1996-01-09 | Goyo Paper Working Co Ltd | 光・生分解性ポリマー成型品 |
CN101215411A (zh) * | 2008-01-21 | 2008-07-09 | 南京大学 | 一种光降解抗菌聚乳酸材料及制备方法 |
KR20110053686A (ko) * | 2009-11-16 | 2011-05-24 | (주)바이오제닉스 | 다중 코팅층을 갖는 복합기능성 이산화티탄 입자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Polyhedron, vol.46, pp.1-7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9837B1 (ko) | 2021-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cKeown et al. | The chemical recycling of PLA: A review | |
Siddiqui et al. | Chemical recycling of pet in the presence of the bio-based polymers, pla, phb and pef: A review | |
Melinte et al. | Polymer nanocomposites for photocatalytic applications | |
Hu et al. | Newly developed techniques on polycondensation, ring-opening polymerization and polymer modification: Focus on poly (lactic acid) | |
Schirmeister et al. | Closing the carbon loop in the circular plastics economy | |
Ainali et al. | Insights into biodegradable polymer-supported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s for environmental remediation | |
Johnston et al. | Mass spectrometry reveals molecular structure of polyhydroxyalkanoates attained by bioconversion of oxidized polypropylene waste fragments | |
Sakarkar et al. | Tailoring the effects of titanium dioxide (TiO2) and polyvinyl alcohol (PVA) in the separation and antifouling performance of thin-film composit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embrane | |
Amorim et al. |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polypyrrole/TiO2 composites in photocatalytic processes: a review | |
KR102249837B1 (ko) | 광촉매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 및 그의 제조방법 | |
Antunes et al. | Effects of rutile–TiO2 nanoparticles on accelerated weathering degradation of poly (lactic acid) | |
Attallah et al. | Macro and micro routes to high performance bioplastics: Bioplastic biodegradability and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 |
Yadav et al. | Carbon dot-trigger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ellulose acetate | |
Galloni et al. | Olive mill wastewater remediation: from conventional approaches to photocatalytic processes by easily recoverable materials | |
Silva et al. | An overview of polymer-supported catalysts for wastewater treatment through light-driven processes | |
Kim et al. |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 (butylene sebacate-co-terephthalate) | |
Muszyński et al. | Comparsion of catalyst effectiveness in different chemical depolymerization methods of poly (ethylene terephthalate) | |
Kaur et al. | A study on ZnO nanoparticles catalyzed ring opening polymerization of L-lactide | |
Kim et al. | Biodegradation Studies of Polyhydroxybutyrate and Polyhydroxybutyrate-co-Polyhydroxyvalerate Films in Soil | |
Borjigin et al. | Low-cost and recyclable photocatalysts: Metal oxide/polymer composites applied in the catalytic breakdown of dyes | |
Venkatesan et al. |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biodegradable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composites reinforced with novel AgSnO2 microparticles for application in food packaging | |
Attallah et al. | Progressing ultragreen, energy-efficient biobased depolymerization of poly (ethylene terephthalate) via microwave-assisted green deep eutectic solvent and enzymatic treatment | |
Vasiljević et al. | Graphitic carbon nitride as a new sustainable photocatalyst for textile functionalization | |
Singh et al. | Bioplastics: a green approach toward sustainable environment | |
Zope et al. | Kinetics of neutral hydrolytic depolymerization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waste at higher temperature and autogenious press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