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461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461A
KR20210047461A KR1020190131082A KR20190131082A KR20210047461A KR 20210047461 A KR20210047461 A KR 20210047461A KR 1020190131082 A KR1020190131082 A KR 1020190131082A KR 20190131082 A KR20190131082 A KR 20190131082A KR 20210047461 A KR20210047461 A KR 2021004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ain
vehicle
drain hole
drai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호
김진욱
안준철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461A/en
Publication of KR2021004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4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ir-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scattering prevention drain structure to resolve a problem where condensate water produced from an evaporator is scattered to flow along a duct outlet-side wall of a lower case of an air-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to gather water on the duct or is discharged by a wind pressure during a cooling operation in a structure in which a drain hole is formed on the low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es: an air-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to discharge air flowing into an air inlet to an air outlet; a blowing device (60) which uses a blowing fan (61) to blow air into the air-conditioning case (100); an evaporator installed on a flow path in the air-conditioning case to cool heat-exchanged air; and a drain hole formed on a lower case to discharge condensate water produced from the evaporator. The air outlet and the drain hole are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air-conditioning case. A dividing wall for preventing the condensat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air outlet is formed. The drain hole for discharging the condensate water is formed on the air-conditioning case. A pocket unit is vertically installed on a sidewall of the air-conditioning case on which the air outlet is formed to guide the condensate water to the drain hole. The pocket unit has a drain path for guiding the condensate water scattered by the strong flow velocity of air to flow along a duct outlet-side wall of the lower case to the drain hole. A backflow prevention wall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pocket unit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condensate water by the wind pressure of air.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고 차량 외부로 원할히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비산방지 드레인 구조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 condensed water scattering prevention drain structure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condensate generated in an evaporator and smoothly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heating or cooling the vehicle interior by heating or cooling air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ir outside the vehicle into the vehicle interior or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The evaporator for, a heater core for heating, and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are selectively blown 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using a door for switching a blowing mod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도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조 케이스(10), 송풍장치(30), 증발기(2) 및 히터코어(3), 템프도어(18) 및 다수의 모드도어(16, 17)로 이루어져 있다. 공조 케이스(10)의 입구 측에는 공기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17)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 토출구인 디프로스트 벤트(12), 페이스 벤트(13), 플로어 벤트(14)가 형성된다. 아울러, 송풍장치(30)는 공기 유입구(11) 측에 설치되어 송풍팬(31)을 구비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illustrated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 a blower 30, an evaporator 2 and a heater core 3, a temp door 18, and a plurality of mode doors. It consists of (16, 17). The air inlet 11 is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and the defrost vent 12, face vent 13, and floor vent, which are air outlets whose openings are adjusted by mode doors 16 and 17, respectively, are formed at the outlet side. (14) is formed. In addition, the blowing device 3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ir inlet 11 and includes a blowing fan 31.

또한, 증발기(2) 및 히터코어(3)는 공조 케이스(10)의 내부 공기 통로 상에 설치되고, 템프도어(20)는 공조 케이스(10) 내의 냉풍유로(F1) 및 온풍유로(F2)의 개도를 조절하며, 모드도어(16)는 공조 모드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12), 페이스 벤트(13), 플로어 벤트(14)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12)는 차량의 앞 유리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페이스 벤트(13)는 탑승자의 얼굴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플로어 벤트(14)는 탑승자의 하체 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 케이스(10)에는 플로어 벤트(14)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17)가 구비된다. 공조 케이스(10)의 하부에는 증발기(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19)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are installed on the internal air passag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and the temp door 20 is a cold air passage F1 and a warm air passage F2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he opening degree of is adjusted, and the mode door 16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defrost vent 12, the face vent 13, and the floor vent 14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mode. In this case, the defrost vent 12 discharges air toward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 face vent 13 discharges air toward the face of the occupant, and the floor vent 14 discharges air toward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s provided with a floor door 17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loor vent 14. A drain hole 19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2 is formed under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전술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전석 측에 설치되는 프론트 공조장치로서, 드레인 홀(19)이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2)의 하류 측에 형성된다. 이 경우, 증발기(2)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자체 하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여 드레인 홀(19)을 통해 배출되거나, 공기의 유동에 의해 낙하하여 드레인 홀(19) 측으로 배출된다. 하지만, 차량 후석 측에 설치되는 리어 공조장치의 경우, 설계 레이아웃 상 드레인 홀이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의 상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FIG. 1 described above is a front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front seat side of the vehicle, and a drain hole 19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2 in the air flow direction. In this cas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2 falls freely by its own loa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hole 19, or falls by the flow of air and discharged to the drain hole 19 side.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ar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the drain hole may be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in the air flow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sign layout.

한편 도2를 참고하면, 종래의 리어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의 내부 공기 유로 상에 증발기(2)가 배치되어 있다. 공조케이스의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A)는 증발기(2)를 통과하여 열 교환 후 공기 토출구(30)를 통해 차량 후방 측 실내로 토출된다.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W)는 공조케이스의 하부로 낙하하여 드레인 홀(19)을 통해 드레인 호스(22)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종래의 리어 공조장치는 내부의 강한 유속에 의해 일부 응축수가 토출 유로 전단의 케이스(10) 내측 벽까지 비산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처럼 벽으로 비산된 미스트가 모여 중력에 의해 토출 유로로 낙하하게 되는 경우 덕트로 유입된 미스트가 덕트 매칭부(21)에 고여 형성된 물이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거나, 냉방 공조 시 블로어 풍압에 의해 토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in a conventional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 evaporator 2 is disposed on an internal air flow path of an air conditioning case. The air (A)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 exchanges heat,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interior of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through the air outlet 30. The condensed water (W) generated in the evaporator fall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passes through the drain hose 22 through the drain hole 19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ar air conditioner, some condensed water is frequently scatter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10 at the front end of the discharge passage due to the strong internal flow velocity. When the mist scattered on the wall is collected and falls into the discharge passage due to gravity, the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duct accumulates in the duct matching unit 21 and causes an unpleasant odor, or is discharged by the blower wind pressure during air conditioning and air conditioning. There was a problem.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리어 공조장치에 한해, 내부에서 강한 유속에 의해 비산되는 응축수의 비 이상적인 배수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for improving the abnormal drainage phenomenon of condensate scattered by a strong flow velocity inside the rear air conditioner only.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공기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조케이스, 송풍팬(61)을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60),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 유로 상에 설치되어 열 교환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하부 케이스에는 증발기로부터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와 상기 드레인 홀이 공조케이스의 동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로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획벽이 형성된다.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lows air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by us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Blower 60, an evaporator installed on the inne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cool the heat exchanged air, and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is formed in the lower case, and the air discharge port and the drain hole It is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partition wall is formed to prevent the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into the air outlet.

상기에서, 공기 토출구는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고, 구획벽은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air outlet is formed in the lower case, and the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case.

상기에서, 구획벽은 증발기 최하단부 보다 높게 형성되고, 증발기 중심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공기 토출구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above,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evaporator and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vaporator to prevent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into the air outlet.

상기에서,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의 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응축수를 드레인 홀로 가이드 하는 포켓부가 구비된다.In the above, a pocket part is provided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on a side wall of the air-conditioning case in which the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and guides the condensed water to the drain hole.

상기에서, 포켓부는 공조케이스에서 공기 토출구와 접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연속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포켓부에 형성된 홈은 드레인 패스를 이룬다.In the above, the pocket portion is formed by being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in contact with the air discharge port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groove formed in the pocket portion forms a drain path.

상기에서, 드레인 패스는 제1 측벽에 구비되어 포켓부를 형성하는 제1드레인 패스 및 제2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드레인 패스와 연결되며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제2드레인 패스로 이루어진다.In the above, the drain path includes a first drain path provided on the first sidewall to form a pocket portion and a second drain path provided on the second sidewall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ath and forming the pocket portion.

상기에서, 공조케이스에는 응축수를 드레인 홀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드레인 홀과 연결되는 제3드레인 패스가 추가된다.In the above, a third drain path connected to the drain hole is add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guide the condensed water to the drain hole.

상기에서, 제1드레인 패스와 제2드레인 패스는 직각으로 연결된다.In the above, the first drain path and the second drain path are connected at right angles.

상기에서, 제1드레인 패스는 제1측벽과 제2측벽이 이루는 모서리 방향으로 제1하향 경사로를 형성하고, 제2드레인 패스는 상기 송풍장치 방향으로 제2하향 경사로를 형성하며, 제3드레인 패스는 상기 드레인 홀 방향으로 제3하향 경사로를 형성한다.In the above, the first drain path forms a first downward slope in the direction of a corner formed by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the second drain path forms a second downward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blower, and the third drain path Forms a third downward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hole.

상기에서, 응축수의 가이드를 위해 제2드레인 패스는 제1하향 경사로보다 더 가파른 제2하향 경사로를 형성하고, 제3드레인 패스는 제2하향 경사로보다 더 가파른 제3하향 경사로를 형성한다.In the above, for guiding the condensate, the second drain path forms a second downward slope that is steeper than the first downward slope, and the third drain path forms a third downward slope that is steeper than the second downward slope.

상기에서, 제2드레인 패스와 제3드레인 패스가 연결되는 제2드레인 패스의 끝단 지점에는, 포켓부 맞은편에 위치한 송풍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풍압에 의한 응축수의 역류방지가 가능한 역류 방지벽이 형성된다.In the above, at the end point of the second drain path where the second drain path and the third drain path are connected, a backflow prevention wall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of condensate due to the wind pressure of the air moved by a blower located opposite the pocket part. Is formed.

상기에서 역류 방지벽은 송풍장치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두개의 가림 벽이 직각으로 접합되어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backflow prevention wall is positioned so as to face the air blower, and is formed by joining two shielding walls at a right angle.

상기에서, 제3드레인 패스를 통해 드레인 홀로 가이드 되는 응축수가 하부케이스의 타 측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이 드레인 홀을 향해 하향 경사면을 이룬다.In the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forms a downward slope toward the drain hole so that condensed water guided to the drain hole through the third drain path does not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도1은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압축기를 지나 공기가 토출되는 종래 차량용 공조장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하부를 위에서 정면으로 내려다본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현상 개선을 위한 포켓형상이 반영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획벽이 형성된 위치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켓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푹 파인 수로를 볼 수 있도록 비산수가 흐르는 방향의 정면에서 바라본 포켓부의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스의 경사 기울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벽을 확대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in which air is discharged through a compresso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an air conditioning cas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an air conditioning cas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reflecting a pocket shape for improving a drainage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ation where a partition wall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cke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pocket portion viewed from the front in a direction in which scattered water flows so that a concave water channel can be s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howing an inclination slope of a drai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backflow preven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하부를 위에서 정면으로 내려다본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현상 개선을 위한 포켓형상이 반영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획벽이 형성된 위치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reflecting the pocket shape for improving the drainage phenomen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location where a partition wall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도3 내지 도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200)는 차량 후방에 설치되어 후석 측 실내의 공조를 수행하는 리어 공조장치로서, 공조케이스(100)와, 송풍장치(60) 및 증발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조케이스(100) 내부에는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A)가 토출구(70)로 토출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유로 상에 증발기(150)를 구비한다. 송풍장치(60)는 송풍팬(61)을 이용하여 공조케이스(100)의 내부로 공기(A)를 강제 송풍하는 기능을 한다. 증발기(150)는 공조케이스(100)의 내부 유로 상에 설치되어, 열 교환된 공기(A)를 냉각시킨다. 3 to 6,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o perform air conditioning in the interior of the rear seat, and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00 and a blower. 60) and an evaporator 150.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A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ort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70 is form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and an evaporator 150 is provided on the internal flow channel. The blowing device 60 functions to forcibly blow air (A)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by using the blowing fan 61. The evaporator 150 is installed on the inne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to cool the heat-exchanged air (A).

공조케이스(100)의 하단을 구성하는 하부케이스(101)에는 드레인 홀(80)이 형성된다. 토출구(70)와 드레인 홀(80)은 공조케이스(100)의 동일 측면에 형성된다. 토출구(70)는 하부케이스(101)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 홀(80)은 드레인 호스(81)를 통해 외부로 응축수(W)를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송풍장치(60)를 통해 유입된 공기(A)는 증발기(150)를 통과한 후 토출구(70)로 토출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증발기(150)를 통해 형성된 응축수(W)는 수직 낙하하여 드레인 홀로 배출되나 일부는 내부 강한 유속에 의해 비산되어 덕트(71) 토출구 측 케이스(100)의 벽면을 타고 흐르게 된다. 상기 벽면을 타고 흐르는 비산된 응축수(W)는 상기 토출구(70)와 접하는 하부케이스(101) 측벽에 설치된 구획벽(86)에 의해 토출구(70)로의 유입이 제한된다. 구획벽(86)은 하부케이스(10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벽(86)의 높이가 높다면 마주하는 유입 공기(A)에 대해 저항체의 역할을 하여 토출구(70)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구획벽(86)은 증발기(150)의 중심부(C)보다 낮게 형성되어야 한다. A drain hole 80 is formed in the lower case 101 constituting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The discharge port 70 and the drain hole 80 are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The discharge port 70 may be formed in the lower case 101. The drain hole 80 functions to discharge condensed water W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se 81. The air (A) introduced through the blower 6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50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70. In this case, in general, the condensed water W formed through the evaporator 150 falls vertically and is discharged into the drain hole, but some of it is scattered by the internal strong flow rate and flows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case 100 at the outlet side of the duct 71. The scattered condensed water (W) flowing along the wall is restricted from entering the discharge port 70 by the partition wall 86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101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70. The partition wall 86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lower case 101. In this case, if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86 is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70 is reduced by acting as a resistor with respect to the inflow air A facing each other. Therefore, the partition wall 86 must be formed lower than the center C of the evaporator 150.

또한 구획벽(86)의 높이가 너무 낮을 경우, 비산된 응축수(W)가 구획벽(86)을 넘어 토출구(70)로 토출되어 차 실내로 응축수(W)가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구획벽(86)의 높이는 최소 최하단부 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비산된 응축수(W)는 구획벽(86)에 구비된 포켓부(90)를 통해, 드레인 홀(80)로 흘러가게 된다.In addition, if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86 is too low, the scattered condensate (W) crosses the partition wall 86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70, causing a problem that the condensate water (W)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height of the wall 86 should be made higher than the minimum lowermost end. Accordingly, the scattered condensed water W flows into the drain hole 80 through the pocket portion 90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86.

공조케이스(100)는 송풍장치(60)와 마주보는 제1측벽(100a) 및 이와 연결되어 모서리를 이루는 제2측벽(100b)을 포함한다. 포켓부(90)는 제1측벽(100a)과 제2측벽(100b)에 연결되어 유로형태로 형성된다.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includes a first side wall 100a facing the blowing device 60 and a second side wall 100b connected thereto to form a corner. The pocket portion 90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100a and the second side wall 100b to form a flow path.

포켓부(90)는 가운데가 움푹 패인 모양의 유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켓부(90)는 하부케이스(101) 측벽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90)의 수로는 비산된 응축수(W)를 드레인 홀(80)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드레인 패스(82,83)로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 패스(82,83)는 송풍장치(60)와 마주보게 형성되어 토출구(70)와 접하는 제1 측벽(100a)에 구비된 제1드레인 패스(82), 제1 측벽(100a)과 연결되고 토출구(70)와 접하는 제2 측벽(100b)에 구비된 제2 드레인 패스(83)가 서로 연결된다. The pocket portion 90 is formed as a channel having a hollow shape in the center. Preferably, the pocket portion 90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idewall of the lower case 101. The water channel of the pocket portion 90 is formed with drain paths 82 and 83 to guide the scattered condensate water W to the drain hole 80. The drain paths 82 and 83 are formed to face the blower 6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ath 82 and the first side wall 100a provided on the first side wall 100a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70 The second drain path 83 provided in the second side wall 100b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70 is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하부케이스(101)에는 제2 드레인 패스(83)와 연결되어 드레인 홀(80)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3드레인 패스(84)가 추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드레인 패스(82,83,84)들은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drain path 84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ath 83 to form a flow path moving to the drain hole 80 may be added to the lower case 101. Preferably, each of the drain paths 82, 83, 84 may be connected at right angles.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켓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움푹 파인 수로를 볼 수 있도록 비산수가 흐르는 방향의 정면에서 바라본 포켓부의 정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스의 경사 기울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류 방지벽을 확대한 사시도이다.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cke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of a pocket portion viewed from the front in a direction in which scattering water flows so that a hollow water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9 is a graph showing the inclination of a drai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backflow preven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 내지 도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패스(82,83,84)는 경사로를 형성한다. 제1드레인 패스(82)는 제2드레인 패스(83)에 연결되는 제1하향 경사로를 형성하고, 제2드레인 패스(83)는 제3드레인 패스(84)와 연결되는 제2하향 경사로를 형성하며, 제3드레인 패스(84)는 드레인 홀(80)과 연결되는 제3하향 경사로를 형성한다. 특히 제2하향 경사로는 제1하향 경사로보다 더 가파른 경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3하향 경사로는 제2하향 경사로보다 더 가파른 경사를 형성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더욱 원활한 응축수(W)의 가이드가 가능해진다.7 to 10, the drain paths 82, 83, and 8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ramp. The first drain path 82 forms a first downward slope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path 83, and the second drain path 83 forms a second downward slope connected to the third drain path 84 In addition, the third drain path 84 forms a third downward slope connected to the drain hole 80. In particular, the second downward slope can form a steeper slope than the first downward slope, and the third downward slope can form a steeper slope than the second downward slope, thereby enabling more smooth guide of the condensate (W). .

이와 같이 드레인 패스(82,83,84)를 통해 증발기(150)에서 형성되는 비산 응축수(W)를 드레인 홀(80)이 형성된 하부 방향으로 원활한 안내가 가능함과 동시에 일반 응축수(W)의 배수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고, 비산된 응축수(W)가 중력에 의해 토출구(70)로 낙하하게 되어 덕트 매칭부(72)의 물고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it is possible to smoothly guide the scattered condensate (W) formed in the evaporator 150 through the drain paths (82, 83, 84) to the lower direction where the drain hole 80 is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drainage structure of the general condensate (W). Can be improved, and the scattered condensed water (W) is dropped to the discharge port 70 by grav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retention phenomenon of the duct matching unit 72.

제2드레인 패스(83)와 제3드레인 패스(84)가 연결되는 상기 제2드레인 패스(83)의 끝단 지점에는 역류 방지벽(85)이 형성된다. 포켓부(90)의 맞은편에는 송풍장치(60)가 위치하고 있어 송풍팬(61)을 통과한 공기는 토출구(70)로 향하며 이때 응축수도 하부케이스(101) 벽면으로 비산되어 벽면을 타고 아래로 흐른다. 벽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 포켓부(90)로 떨어진 응축수(W)는 제1드레인 패스(82)를 지나 제2드레인 패스(83)로 향한다. A backflow prevention wall 85 is formed at an end point of the second drain path 83 to which the second drain path 83 and the third drain path 84 are connected. A blower 60 is located opposite the pocket 90, so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lowing fan 61 is directed to the discharge port 70, and at this time, the condensed water is also scattered to the wall of the lower case 101 and goes down through the wall. Flows. The condensed water (W) that flows down the wall and falls into the pocket portion (90) passes through the first drain path (82) and goes to the second drain path (83).

이전에 설시한 도3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제2드레인 패스(83)는 송풍장치(60)와 마주보고 위치하기 때문에 제2드레인 패스(83)를 따라 흐르는 응축수(W)는 송풍팬(61)을 통과하는 공기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동하는 공기의 풍합에 의해 진행하는 역방향 즉, 하부케이스(101)의 측벽 방향으로 응축수(W)가 역류하는 문제점을 역류 방지벽(85) 설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역류 방지벽(85)은 두개의 가림벽이 직각으로 접합되어 "ㄱ"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역류 방지벽(85)은 제2드레인 패스(83)와 제3드레인 패스(84)가 연결되는 상기 제2드레인 패스(83)의 끝단 지점에서 송풍장치(60)를 마주보고 위치하여 제2드레인 패스(83) 및 이곳을 통과하는 응축수(W)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완벽히 차단한다. 이를 통해 응축수(W)는 역방향으로 역류하지 않고 제2드레인 패스(83)를 무사히 통과하여 드레인 홀(80)과 연결된 제3드레인 패스(84)에 진입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역류 방지벽(85) 및 드레인 패스(82,83,84)는 모두 공조케이스(100)의 하부케이스(101) 사출 성형 시 일체로 형성 가능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키지 않는다.As can be seen from FIG. 3 previously installed, since the second drain path 83 is located facing the blowing device 60, the condensed water W flowing along the second drain path 83 is the blowing fan 61 ) Is affected by the air passing through it. A problem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W flows backward in the reverse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101 due to the fusion of the moving air, can be solved by installing the backflow prevention wall 85. Preferably, the backflow prevention wall 85 may be formed in a "L" shape by joining two shielding walls at a right angle. The backflow prevention wall 85 is located facing the blower 60 at the end of the second drain path 83 to which the second drain path 83 and the third drain path 84 are connected to It completely blocks the flow of air to the path 83 and the condensate (W) passing through it. Through this, the condensed water W does not flow backward in the reverse direction, but safely passes through the second drain path 83 and enters the third drain path 84 connected to the drain hole 80. In addition, the backflow prevention wall 85 and the drain paths 82, 83, and 84 can all be integrally formed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lower case 10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so as not to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도 11을 참고하면, 제3드레인 패스(84)는 포켓부(90)에서 드레인 홀(80) 방향으로 하향 경사면을 이루어, 응축수(W)가 경사면을 따라 드레인 홀(80)로 가이드 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케이스(101)의 바닥면 또한, 제3드레인 패스를 통해 낙하한 응축수(W)가 하부케이스(101)의 타 측으로 흘러가지 않고 원활한 배수를 돕기 위해 바닥면이 드레인 홀(8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1, the third drain path 84 forms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from the pocket portion 90 toward the drain hole 80 so that the condensed water W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to the drain hole 80. Likewise,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101 also allows the condensed water W that has fallen through the third drain path to not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101 and allows the bottom surface to form the drain hole 8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이처럼 드레인 홀(80)로 흘러 들어간 응축수(W)는 최종적으로 드레인 호스(8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n this way, the condensed water (W) flowing into the drain hole 80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se 81.

종합적으로 상기 과정 등을 통해 포켓부를 통해 하부 케이스(101) 측벽으로 비산된 응축수(W)를 드레인 홀(80)로 가이드 하면서 상기 응축수(W)가 중력에 의해 토출구(70)로 낙하하여 덕트 매칭부(72)에 고여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거나 냉방 공조모드 작동 시 그릴 및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Comprehensively, while guiding the condensed water (W) scattered to the side wall of the lower case 101 through the pocket through the above process to the drain hole 80, the condensed water W falls to the discharge port 70 by gravity and matches the duc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from accumulating in the unit 72, generating an unpleasant odor, or being discharged to the grill an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hen the cooling and air conditioning mode is operat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Until now,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60: 송풍장치 61: 송풍팬
70: 토출구 71: 덕트
72: 덕트 매칭부
80: 드레인 홀 81: 드레인 호스
82: 제1드레인 패스 83: 제2드레인 패스
84: 제3드레인 패스 85: 역류 방지벽
86: 구획벽 90: 포켓부
100: 공조케이스 100a: 제1 측벽
100b: 제2 측벽 101: 하부케이스
102: 플로어벤트 103: 센터벤트
104: 필터
150: 증발기 200: 공조장치
A: 공기 W: 응축수
60: blower 61: blower fan
70: discharge port 71: duct
72: duct matching part
80: drain hole 81: drain hose
82: first drain pass 83: second drain pass
84: third drain pass 85: backflow prevention wall
86: partition wall 90: pocket portion
100: air conditioning case 100a: first side wall
100b: second side wall 101: lower case
102: floor vent 103: center vent
104: filter
150: evaporator 200: air conditioner
A: Air W: Condensate

Claims (13)

공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공기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조케이스,
송풍팬(61)을 이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0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60),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 유로 상에 설치되어 열 교환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하부 케이스에는 증발기로부터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이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와 상기 드레인 홀이 공조케이스의 동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로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획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 air conditioning case with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A blowing device 60 for blowing air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0 using a blowing fan 61,
An evaporator installed on the inne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cool the heat exchanged air, and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n which a drain hol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is formed in the lower case,
The air discharge port and the drain hole are formed on the sam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partition wall is formed to prevent the condensate from flowing into the air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구는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벽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outlet is formed in the lower case,
The partition wall i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증발기 최하단부 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 중심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evaporator and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vaporator to prevent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into the air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를 상기 드레인 홀로 가이드 하는 포켓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ocket portion installed vertically on a side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the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and guides the condensed water to the drain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상기 공조케이스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와 접하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연속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에 형성된 홈은 드레인 패스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pocket portion is formed by being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in contact with the air outlet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groove formed in the pocket portion forms a drain pa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패스는 상기 제1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제1드레인 패스,
상기 제2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드레인 패스와 연결되며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제2드레인 패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drain path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wall to form the pocket portion;
And a second drain path provided on the second sidewall,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ath, and forming the pocket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에는 상기 응축수를 상기 드레인 홀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홀과 연결되는 제3드레인 패스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a third drain path connected to the drain hole to guide the condensed water to the drain hole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레인 패스와 제2드레인 패스는 직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drain path and the second drain path are connected at a right ang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레인 패스는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이 이루는 모서리 방향으로 제1하향 경사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드레인 패스는 상기 송풍장치 방향으로 제2하향 경사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3드레인 패스는 상기 드레인 홀 방향으로 제3하향 경사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drain path forms a first downward slope in a direction of a corner formed by the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side wall, and the second drain path forms a second downward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blower, and the third drain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herein the path forms a third downward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의 가이드를 위해 상기 제2드레인 패스는 상기 제1하향 경사로보다 더 가파른 상기 제2하향 경사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3드레인 패스는 상기 제2하향 경사로보다 더 가파른 상기 제3하향 경사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o guide the condensate, the second drain path forms the second downward slope, which is steeper than the first downward slope, and the third drain path forms the third downward slope, which is steeper than the second downward slope.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레인 패스와 상기 제3드레인 패스가 연결되는 상기 제2드레인 패스의 끝단 지점에는, 상기 포켓부 맞은편에 위치한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의 풍압에 의한 상기 응축수의 역류방지가 가능한 역류 방지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t the end point of the second drain path where the second drain path and the third drain path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kflow of the condensed water due to the wind pressure of the air moving by the blower located opposite the pocket part.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flow prevention wall is form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벽은 상기 송풍장치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두개의 가림 벽이 직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flow prevention wall is positioned to face the air blower, and is formed by joining two shielding walls at a right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드레인 패스를 통해 상기 드레인 홀로 가이드 되는 상기 응축수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타 측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이 상기 드레인 홀을 향해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forms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toward the drain hole so that the condensed water guided to the drain hole through the third drain path does not flow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ase.
KR1020190131082A 2019-10-22 2019-10-2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100474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82A KR20210047461A (en) 2019-10-22 2019-10-2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82A KR20210047461A (en) 2019-10-22 2019-10-2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61A true KR20210047461A (en) 2021-04-30

Family

ID=7574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082A KR20210047461A (en) 2019-10-22 2019-10-22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46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0753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20210075427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209035B1 (en) Louver assembly for fan discharge duct
KR10247041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1004746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11667173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4007251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132633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s
KR20070039281A (en) Air conditioning case for car air conditioner
KR101703663B1 (en) Apparatus for air conditioning
JP2007045326A (en) Air conditioner
KR2021001020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133389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00005924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3926952B2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s
KR102512337B1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3791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30146264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08676B1 (en) Air flow distributing devic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859733B1 (en) Air-conditioning unit for a vehicle
KR101149283B1 (en) Case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10197194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7004081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03670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3014581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