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413B1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413B1
KR102470413B1 KR1020150180837A KR20150180837A KR102470413B1 KR 102470413 B1 KR102470413 B1 KR 102470413B1 KR 1020150180837 A KR1020150180837 A KR 1020150180837A KR 20150180837 A KR20150180837 A KR 20150180837A KR 102470413 B1 KR102470413 B1 KR 10247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vaporator
vehicle
conditioning cas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2987A (en
Inventor
오승규
김용호
김학규
정재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413B1/en
Publication of KR2017007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9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증발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측에 공기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200)와, 상기 공기 유입구(202)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유닛(100)과, 상기 공조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300)와,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21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210)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22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apable of quickly discharging condensate generated by an evaporator of an air conditioning case to a lower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back flow of condensed water from an air conditioning case to a blower unit. An air conditioning case 200 having an air inlet 202 formed on the inlet side and an air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utlet side, an air blower unit 100 connected to the air inlet 202 to blow indoor or outdoor air,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 200) and an evaporator 300 installed inside the evaporator 300 and a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300 to discharge condensed water, wherein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a drain induction path 220 formed on the surface and guiding condensed water from the air inlet 202 side to the condensed water outlet 210; It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Vehicle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증발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an evaporator of an air conditioning case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and at the same time, condensed water in an air conditioning cas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a blower unit.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내, 외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실내로 유입 또는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시켜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주기 위하여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inside a vehicle to heat or cool internal and external air and introduce or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vehicle to maintain the indoor temperature in an appropriate state and provide a comfortable riding experience to passengers.

도 1은 종래에 따른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모드에 따라 내/외기를 도입하여 차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기유닛(10)과, 상기 송풍기유닛(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30)가 내장되고, 출구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다수의 벤트(미도시)가 설치된 공조케이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조케이스(20)에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미도시)가 더 내장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s shown in the figure, a blower unit (10)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internal/external air according to an air intake mode, and an evaporator (30) for cooling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unit (10) is built in and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20 in which a plurality of vents (not shown) are installed at the outlet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air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has a heater core for heating air. (not shown) may be further embedded.

상기 송풍기유닛(10)은 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내기 유입구(11a) 및 외기 유입구(11b)를 가진 에어 인테이크 덕트(11)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11) 하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11)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벨마우스(12a)를 가진 스크롤 케이스(12)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에어 인테이크 덕트(1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스크롤 케이스(12)의 토출구(12b) 쪽으로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3)과, 상기 송풍팬(13)을 회전시키는 모터(14)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11)의 하단에 설치된 필터(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lower unit 10 is installed in an air intake duct 11 having an inside inlet 11a and an outside air inlet 11b, the opening of which is controlled by a switching door (not shown), and a lower portion of the air intake duct 11 and a scroll case 12 having a bell mouth 12a communicating the inside with the air intake duct 11 at the top, and disposed inside the scroll case 12 to rotate the air intake duct 11 A blowing fan 13 for suck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axial direction and blowing it radially toward the discharge port 12b of the scroll case 12, a motor 14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13, and the air It includes a filter 15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ake duct 11.

그리고, 상기 증발기(30)와 대응하는 공조케이스(20)의 바닥에는, 증발기(3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corresponding to the evaporator 30, a condensate outlet 21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30 is formed.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20)와 증발기(30)와의 사이에는, 완충재, 씨일(Seal)재 또는 단열재로 기능을 하는 인슐레이션(Insulation,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슐레이션(40)에는 증발기(3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구(21)로 유도하는 배수공(4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and the evaporator 30, an insulation 40 functioning as a buffer material, a seal material, or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and the insulation 40 has the evaporator 30 ) A drain hole 41 is formed to guide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condensate outlet 21 to the condensate outlet 21.

상기한 구성에 따르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20)의 증발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유닛(10)과 공조케이스(20)는 높이차가 형성된다. 즉, 공조케이스(20)의 하단부는 송풍기유닛(10)의 하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며, 송풍기유닛(10)의 토출구(12b)로부터 공조케이스(20)의 공기 유입구(22)를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며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the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lower unit 10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are provided to prevent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3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from flowing back to the blower unit 10. height difference is formed.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is form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blower unit 10, and forms a downward slope from the discharge port 12b of the blower unit 10 toward the air inlet 2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configured to connect.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20)의 하부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엔진룸과 차량 내부 사이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의 레이아웃에 큰 제약을 미치게 된다. 특히, 후륜 구동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 전방의 엔진룸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으로 이어지는 구동 샤프트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공조케이스의 하단부의 높이차에 의한 돌출 구조는 레이아웃 측면의 문제점을 더욱 심화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protrudes, thereby placing great restrictions on the layout of various parts installed between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and the inside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ear wheel drive vehicle, since a drive shaft extending from an engine room at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he rear of the vehicle must be installed, the protruding structure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further intensifies the layout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송풍기유닛(10)과 공조케이스(20)의 하단부 높이를 동일하게 구성하여 공조케이스(20)의 돌출 구조를 삭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공조케이스(2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구(21)가 충분한 깊이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증발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차량 운행 중 공조장치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에는 공조케이스(20) 하부측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으로 역류되어 블로어 모터(14)의 침수 손상을 발생시키거나, 조수석으로 물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s one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deleting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by configuring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blower unit 10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to be the same.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ondensate outlet 2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cannot have a sufficient depth,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evaporator 30 cannot be discharged smoothly, and the air conditioning during vehicle operation cannot be smoothly discharged. When the tilting of the device occurs, the condensate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 flows back to the blower unit 10, causing flooding damage to the blower motor 14 or water falling into the passenger seat. There is a problem.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170322호(공개일자: 2005.06.30)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5-170322 (published on 2005.06.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입구측과 공기 유입구 주위에 체류하는 응축수를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부로 신속하게 유도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에 의해 공조장치가 기울어지는 상황에서도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조케이스의 하단부 돌출 구조를 대폭 삭제하여 공조장치 하부의 공간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condensate remaining around the inlet side of the evaporator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air inlet is quickly guided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be discharg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k flow of condensate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the blower unit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tilted due to vehicle operation, and through this, the protruding structure at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largely eliminated to secure the lower part of the air conditio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at enabl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구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기 유입구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유닛과,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inlet on the inlet side and an air outlet on the outlet side, a blower unit connected to the air inlet to blow internal or external air,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ing an evaporator installed inside the evaporator and a condensate discharge unit formed under the evaporator to discharge condensate, which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condensate is discharged from the air inlet side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drainage induction path for inducing is included.

상기 배수 유도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A backflow prevention rib may be formed in the drain guideway to prevent backflow of condensate toward the air inlet.

상기 배수 유도로는 응축수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로 내의 절곡된 부위에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 induction passage may be rounded at a bent portion of the passage to facilitate the flow of condensed water.

상기 증발기와 상기 배수 유도로 사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배수 유도로로 공조 공기 및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배플이 구비될 수 있다.A backflow prevention baffle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to prevent backflow of air conditioning air and condensate from a lower end of the evaporator to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상기 배수 유도로는 적어도 2 이상의 복수로 분기될 수 있다.The drainage induction path may be branched into at least two or more pluralities.

상기 배수 유도로는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구비되는 드레인 홀을 향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 guideway may be formed at an angle toward a drain hole provided in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에 체류되는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부로 신속하게 유도 및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운행에 의한 공조케이스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에도 공조케이스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ensate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quickly induced and discharged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thereby preventing the condensate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from flowing backward to the blower unit, and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tilted by the air conditioning ca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ndensed wate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from flowing into the blower unit.

또한, 응축수의 역류에 의한 블로어 모터의 침수 손상과, 차량의 조수석 측으로 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송풍기유닛과 공조케이스의 하단부 높이를 수평하게 형성하여 공조케이스 하부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ubmersion damage of the blower motor due to reverse flow of condensate and the phenomenon of water falling to the passenger seat side of the vehicle, and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blower unit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formed horizontally to increase the space under the air conditioning case. .

도 1은 종래의 공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하부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하부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바닥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조케이스 바닥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바닥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utting it;
3 is a side view showing a lower shap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shap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bottom surface of an air conditioning cas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hown in FIG. 5;
7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n air conditioning cas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참고로, 도 2는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하부 형상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상부 형상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조장치와의 큰 차이점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부 형상에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설명에 갈음한다.For reference,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shapes of the blower unit 100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are disassemble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vices.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will be replaced with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pper shap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로 구성된다.2 to 4,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lower unit 100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200.

상기 송풍기유닛(100)은 공기흡입모드에 따라 내, 외기를 도입하여 차량의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전환도어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를 가진 에어 인테이크 덕트(미도시함; 도 1을 참조)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에어 인테이크 덕트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스크롤 케이스(120)와, 상기 스크롤 케이스(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에어 인테이크 덕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스크롤 케이스(120)의 토출구(122) 쪽으로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팬(130)과, 상기 송풍팬(130)을 회전시키는 모터(140)를 포함한다.The blower unit 100 adjusts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introducing internal and external air according to the air intake mode, and an air intake duct having an internal inlet and an external air inlet whose opening is controlled by a switching door (not shown; see FIG. 1), a scroll case 12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air intake duct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with the air intake duct at the top, and disposed inside the scroll case 120 A blowing fan 130 that sucks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take duct in the axial direction as it rotates and blows it radially toward the outlet 122 of the scroll case 120, and a motor that rotates the blowing fan 130 (140).

상기 공조케이스(200)는 송풍기유닛(100)에서 공급되는 내, 외기가 유동되는 것으로, 내부에 내,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300)가 내장됨과 아울러 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flows internal and external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unit 100, and an evaporator 300 for cool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is built-in, as well as a heater core for hea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not shown). ) is installed.

증발기(300)와 히터코어에서 열교환된 공조 공기는 공조케이스(200)의 출구에 형성된 각각의 토출구(미도시)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냉, 난방하게된다.Air conditioning air that has undergone heat exchange between the evaporator 300 and the heater core is discharged through outlets (not shown) formed at the outle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to cool and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증발기(300)는 내, 외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표면에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결되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에 응축수 배출부(210)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evaporator 300,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300 in the process of heat exchang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to generate condensate. ) is formed.

응축수 배출부(210)는 하부로 깊이를 가지는 홈 형태로 구비되어 제일 깊은 부위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212)로 응축수를 유도하여 공조케이스(20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having a depth at the bottom, and guides the condensate to the drain hole 212 formed at the deepest part to discharge the condensate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한 증발기(300)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상기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220)가 포함된다.2 to 4 togethe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in which the evaporator 300 is installed, and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at the air inlet 202 side. A drainage induction path 220 leading condensed water to 210 is included.

배수 유도로(220)는 공조케이스(200)의 일측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증발기(300)의 하단부보다 높이가 낮은 홈으로 형성되어,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응축수 배출부(2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drainage passage 220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and condensate is discharged from the air inlet 202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It is form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portion 21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평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structur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blower unit 100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

이러한 수평형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공조케이스(200)에 설치되는 증발기(300) 입구측과 연통되는 송풍기유닛(100)의 토출구(122)가 서로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공조장치의 작동 시 증발기(300)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는 배수 유도로(220)로 흘러내려 응축수 배출부(210)로 유도됨으로써, 공조케이스(200)의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formed in such a horizontal structure, the evaporator (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by 300 flows down the drainage induction path 220 and is guided to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unit 210, thereby preventing the condensed wate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from flowing back to the blower unit 100.

그러나,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평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공조케이스(200)가 송풍기유닛(100)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단차 또는 경사를 이루는 일반적인 구조에 적용하여 응축수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시키도록 하거나, 차량 운행에 의해 공조장치가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Howeve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horizontal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blower unit 100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have the same height. That is, in a situation where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blower unit 100 to discharge condensate more quickly by applying it to a general structure with a step or slope, or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ilted by vehicle operation It may serve to prevent condensate from flowing back to the blower unit 10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200) 하부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조케이스(200) 하부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hap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shap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shown in FIG. 5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배수 유도로(220)는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부터 증발기(300)의 전방의 일측으로 이어지는 전방 유로(220a)와, 상기한 전방 유로(220a)의 후단에 형성되는 절곡부(225)와, 상기 절곡부(225)에서 증발기(30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후방 유로(2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5 and 6, the drainage induction path 220 includes a front flow path 220a extending from the air inlet 202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to one front side of the evaporator 300, It may consist of a bent part 225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passage 220a, and a rear passage 220b extending from the bent part 225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300 and leading to the condensate discharge part 210. have.

전방 유로(220a)는 배수 유도로(220)의 상류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부터 증발기(300)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어져 증발기(300)의 좌우 방향의 대략적인 중앙 부위로 연장된다.The front passage 220a is a part located upstream of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220, and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air inlet 202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to the front of the evaporator 3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evaporator 300. It extends to the approximate central part of the

그리고, 후방 유로(220b)는 배수 유도로(220)의 하류에 위치되는 부분으로, 증발기(300)의 전방으로 이어지는 전방 유로(220a) 후단의 절곡부(225)에서 대략 90°로 절곡되어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진다.Further, the rear passage 220b is a portion located downstream of the drain induction passage 220, and is bent at approximately 90° at the bent portion 225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passage 220a leading to the front of the evaporator 300 to condensate water. It leads to the discharge part 210.

이와 같은 배수 유도로(220)는 전방 유로(220a)로부터 후방 유로(220b)로 갈수록 점차 하향하는 경사가 형성되어 응축수 배출부(210)로 배수를 유도하며, 전방 유로(220a)에서 후방 유로(220b)로 절곡되는 부위에는 각각 라운드(R)가 형성되어 응축수의 흐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rain induction path 220 has a gradient gradually descending from the front flow path 220a to the rear flow path 220b to induce drainage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and from the front flow path 220a to the rear flow path ( 220b)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low of condensed water is more easily achieved by forming rounds R at each bent portion.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는, 증발기(300)와 증발기(300)의 전방에 위치되는 배수 유도로(220) 즉, 상기한 전방 유로(220a)사이의 공조케이스(200) 바닥면에는 증발기(300)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유로(220a) 측으로 공조 공기 및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폐하는 역류방지 배플(23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vaporator 300 and a drainage induction path 220 locat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300, that is, the above-described front flow path ( A backflow prevention baffle 23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between 220a to block the reverse flow of air conditioning air and condensate from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toward the front flow path 220a.

역류방지 배플(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00)의 하단부 입구측을 차폐하여 배수 유도로(220)와 연통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증발기(3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배수 유도로(2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증발기(300)의 하단부를 통해 배수 유도로로 공조 공기가 바이패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 배플(230)은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 측에 위치되는 증발기(300)의 모서리 측에서 'ㄱ' 자 형상으로 절곡을 이루어 배수 유도로(220)와 공기 유입구(202)를 향하는 양 방향을 동시에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backflow prevention baffle 230 shields the inle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to prevent it from communicating with the drainage induction path 22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300 from flowing into the drainage passage 220 and, in particular, to prevent air conditioning air from being bypassed to the drainage passag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 The backflow prevention baffle 230 is bent in a 'L' shape at the corner of the evaporator 300 located at the side of the air inlet 20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so that the drainage guideway 220 and the air inlet It can be formed to simultaneously block both directions towards (202).

또한, 역류방지 배플(230)은 증발기(300) 하단부를 통한 공조 공기의 바이패스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증발기(300)의 하단부 전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ckflow prevention baffle 230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preventing air conditioning air from bypassing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의 바닥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수 유도로(220)의 절곡부(225)에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후방 유로(220b)는 응축수 배출부(210)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212)을 향하는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7 is a plan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the rear flow path 220b extending from the bent portion 225 of the drainage passage 220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is at an angle toward the drain hole 212 formed in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can be formed as

참고로, 이러한 드레인 홀(212)은 응축수 배출부(210)의 정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고, 좌우 어느 일측으로 치우친 임의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drain hole 21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or may be formed at an arbitrary portion biased to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그리고, 후방 유로(220b)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복수가 일정 각도를 사이에 두고 분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 개 이상 복수의 후방 유로(220b) 중 어느 하나는 후단이 응축수 배출부(210)에 형성되는 드레인 홀을 향하도록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후단이 응축수 배출부(210)를 향해 수직하게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rear passage 220b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m diverge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between. At this time, one of the two or more plurality of rear passages 220b is formed so that its rear end faces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and the other has its rear end vertically toward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It can be formed to be connected.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한 배수 유도로(220)에는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 a backflow prevention rib 222 may be formed in the drain guideway 220 to prevent the backflow of condensate toward the air inlet 202 .

역류방지 리브(222)는 유로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상류측 대각선 방향의 측벽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가 일정 간격 전후로 이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ackflow prevention rib 22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channel in the width direction to contact the side wall in the upstream diagon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따라서, 배수 유도(220)로 상에 상기한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됨으로써, 배수 유도로(220)로부터 응축수 배출부(210)로 유도되는 응축수는 유로의 중앙을 통해 흐름이 형성되는 반면, 응축수 배출부(210)로부터 배수 유도로(220)로 역류되는 응축수는 역류방지 리브(222)에 의해 배수 유도로(220)의 측벽 쪽의 막힌 공간에 갇히게 되어 배수 유도로(220)로 역류되는 것이 차단된다. Therefore, since the backflow prevention rib 222 is formed on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220, the condensate flowing from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220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flows through the center of the passage. , Condensate flowing back from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to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220 is trapped in the clogged space on the side wall side of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220 by the backflow prevention rib 222 and flows back into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220 being blocked

이러한 역류방지 리브(222)는 공조케이스의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배수 유도로(220)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수 유도로(220)의 절곡부(225)로부터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후방 유로(220b)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The backflow prevention ribs 222 may be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rain guideway 220 leading from the air inlet 202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or a bent portion of the drain guideway 220. It may be formed only in the rear flow path (220b) leading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from (225).

이와 같이, 후방 유로(220b) 상에 상기한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되면, 응축수 배출부(210)를 이루는 홈의 깊이를 짧게 제작하더라도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부(210)를 넘어 배수 유도로(220)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로부터 하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backflow prevention rib 222 is formed on the rear flow path 220b, even if the depth of the groove constituting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is made short, the condensate goes beyond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to the drain guideway. Since back flow to 220 can be prevented, the length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차량용 공조장치는 냉방모드로 가동될 경우, 상기한 송풍기유닛(10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증발기(300)를 거치면서 증발기(3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꾼 뒤 차량의 내부로 토출하여 차량의 실내 냉방을 수행한다.Whe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unit 10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300 and exchanges heat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side the evaporator 300 to change it to cold air, and then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cool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이러한 냉방모드에서는 증발기(300)의 표면 온도 저하에 의해 이슬이 뭉쳐져 하부로 떨어지는 응축수가 발생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부(210)로 유입되어 드레인 호스를 통해 배출된다.In this cooling mod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300 is reduced so that dew is aggregated and condensed water falls to the bottom, and this condensed water flows in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to is emitted through

그러나, 공조장치가 작동되는 중에 차량의 운행에 의한 기울어짐이 발생되는 경우 등에서는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으로 떨어진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부(210)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체류되며, 증발기(300)의 전방에 체류되는 응축수는 인접하는 송풍기유닛(100)으로 역류될 가능성이 있다.However,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ilted due to driving of the vehicle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the condensate that has fallen to the bottom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is not quickly discharged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The condensate remain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vaporator 300 and in front of the evaporator 300 may flow backward to the adjacent blower unit 100 .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로부터 증발기(300)의 전방을 지나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도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배수 유도로(220)를 통해 증발기(300) 주위에 체류되는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부(210)로 신속하게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rainage guideway 220 slopes downward from the air inlet 20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through the front of the evaporator 300. ), the condensed water remaining around the evaporator 300 may be rapidly induced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and discharged.

따라서, 공조케이스(200)의 공기 유입구(202)를 통해 송풍기유닛(100)으로 응축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backward to the blower unit 100 through the air inlet 20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

그리고, 증발기(300)의 전방에 위치되는 배수 유도로(220)와 증발기(300) 사이에는 역류방지 배플(230)이 형성되어 증발기(300)의 하단부와 배수 유도로(220)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증발기(300)의 응축수는 물론, 증발기(300)로 유입되는 공조 공기가 배수 유도를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backflow prevention baffle 230 is formed between the drain induction passage 220 located in front of the evaporator 300 and the evaporator 3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and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2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preventing this, condensate in the evaporator 300 as well as air conditioning air flowing into the evaporator 300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drain induction.

또한, 응축수 배출부(210)로 이어지는 배수 유도로(220)의 후방 유로(220b)를 2 이상의 복수로 형성하고, 응축수 배출부(210)의 드레인 홀(2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응축수를 유도하여 응축수를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동시에, 역류방지 리브(222)의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응축수가 배수 유도로(220)의 상류 및 송풍기유닛(100)의 내부로 역류될 가능성은 최소화 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ar passages 220b of the drainage induction path 220 leading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two or more, and condensate is induced in a direction toward the drain hole 212 of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Condensate can be discharged more quickly, and at the same time, by ad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nti-backflow rib 222, the possibility that the condensate will flow back upstream of the drain induction path 220 and into the inside of the blower unit 100 can be minimized. .

특히, 상기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유닛(100)과 공조케이스(200)의 하단부가 수평 구조로 형성되는 각 경우와, 차량의 운행에 의해 공조케이스(200)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경우에 응축수가 송풍기유닛(100)으로 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has each case in which the blower unit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are formed in a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 solution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condensate from flowing back to the blower unit 100 in the case of tilting may be present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So far,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송풍기유닛 122: 토출구
200: 공조케이스 202: 공기 유입구
210: 응축수 배출부 220: 배수 유도로
220a: 전방 유로 220b: 후방 유로
222: 역류방지 리브 225: 절곡부
230: 역류방지 배플 300: 증발기
100: blower unit 122: discharge port
200: air conditioning case 202: air inlet
210: condensate discharge unit 220: drain induction path
220a: front flow path 220b: rear flow path
222: backflow prevention rib 225: bent portion
230: backflow prevention baffle 300: evaporator

Claims (13)

입구측에 공기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200)와, 상기 공기 유입구(202)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유닛(100)과, 상기 공조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300)와, 상기 증발기(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21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210)로 응축수를 유도하는 배수 유도로(220);가 포함되며,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증발기(300) 전방의 일측으로 이어지는 전방 유로(220a)와; 상기 전방 유로(220a)의 후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이어지는 후방 유로(22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유로(220a)는 송풍기유닛(100)에서 공기 유입구(202)로 부는 공기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 유로(220b)는 상기 전방 유로(220a)에서 수직으로 굴곡되어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 air conditioning case 200 having an air inlet 202 formed on the inlet side and an air outlet formed on the outlet side, an air blower unit 100 connected to the air inlet 202 to blow internal or external air,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 200), an evaporator 300 installed inside, and a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300 to discharge condensed water,
A drain guideway 22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00 and guiding condensate water from the air inlet 202 side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included,
The drain induction path 220 includes a front flow path 220a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air inlet 202 to one front side of the evaporator 300; A rear flow path 220b bent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flow path 220a and leading to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The front flow passage 220a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air flowing from the blower unit 100 to the air inlet 202, and the rear flow passage 220b is bent vertically in the front flow passage 220a.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continuous flow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단부보다 높이가 낮은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age induction path 220,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s a groove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2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age induction passage 2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ondensed water outlet 210 from the air inlet 202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induction path (220) is form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rib (222) to prevent the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backward toward the air inlet (202).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유도로(220)는, 응축수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로 내의 절곡된 부위에 라운드(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induction path 220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round (R) is formed at a bent portion in the flow path to facilitate the flow of condensed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유로(220b)는,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으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리브(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flow passage (220b) is form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rib (222) to prevent the condensed water from flowing backward toward the air inlet (20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0)와 상기 전방 유로(220a) 사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30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전방 유로(220a)로 공조 공기 및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방지 배플(2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the bottom surface between the evaporator 300 and the front flow path 220a, a backflow prevention baffle 230 is provided to block the back flow of air conditioning air and condensate from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to the front flow path 220a.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배플(230)은, 상기 공기 유입구(202) 측에 위치되는 상기 증발기(300)의 모서리 측을 감싸도록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backflow prevention baffle (230)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bent in a 'L' shape to surround the corner side of the evaporator (300) located on the side of the air inlet (20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배플(230)은, 상기 증발기(300)의 하단부 전방의 전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backflow prevention baffle (230)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ver the entire area in front of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유로(220b)는, 상기 전방 유로(220a)의 후단으로부터 적어도 2 이상의 복수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flow path (220b) is a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or more branches from the rear end of the front flow path (220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유로(220b)는, 상기 응축수 배출부(210)에 구비되는 드레인 홀(212)을 향하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flow passage (220b) is formed at an angle toward the drain hole (212) provided in the condensate discharge unit (210).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 리브(222)는, 유로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상류측 대각선 방향의 측벽에 접하도록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가 일정 간격 전후로 이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ccording to claim 4 or 7,
The backflow prevention rib 222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w path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upstream diagon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spaced back and fort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KR1020150180837A 2015-12-17 2015-12-1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470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837A KR102470413B1 (en) 2015-12-17 2015-12-1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837A KR102470413B1 (en) 2015-12-17 2015-12-1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987A KR20170072987A (en) 2017-06-28
KR102470413B1 true KR102470413B1 (en) 2022-11-28

Family

ID=5928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837A KR102470413B1 (en) 2015-12-17 2015-12-1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4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9573A (en) * 2019-08-12 2019-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conditioner set
CN111284298B (en) * 2020-03-27 2024-05-03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Integrated inductive cabi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11993863B (en) * 2020-09-15 2024-05-03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Embedded air-cooled heat exchange equip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539A (en) 2000-10-13 2002-04-23 Calsonic Kansei Corp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JP2003072359A (en) 2001-09-03 2003-03-12 Japan Climate Systems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5170322A (en) * 2003-12-15 2005-06-30 Denso Corp Air-conditioner for vehicle
JP2006082725A (en) 2004-09-16 2006-03-30 Denso Corp Air-conditioner
KR100859733B1 (en) * 2002-08-06 2008-09-23 한라공조주식회사 Air-conditioning unit for a vehicle
US20100071398A1 (en) 2008-09-19 2010-03-25 Christoph Hipp-Kalthoff Evapor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26Y2 (en) * 1987-10-30 1994-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970057392U (en) * 1996-04-27 1997-11-10 Structure of lower case for car evaporator
KR101235041B1 (en) * 2006-09-25 2013-02-21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KR20080060879A (en) * 2006-12-27 2008-07-02 한라공조주식회사 Drain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539A (en) 2000-10-13 2002-04-23 Calsonic Kansei Corp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JP2003072359A (en) 2001-09-03 2003-03-12 Japan Climate Systems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0859733B1 (en) * 2002-08-06 2008-09-23 한라공조주식회사 Air-conditioning unit for a vehicle
JP2005170322A (en) * 2003-12-15 2005-06-30 Denso Corp Air-conditioner for vehicle
JP2006082725A (en) 2004-09-16 2006-03-30 Denso Corp Air-conditioner
US20100071398A1 (en) 2008-09-19 2010-03-25 Christoph Hipp-Kalthoff Evapo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987A (en)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41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70060877A (en) Air conditioner
EP2420753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20080081759A (en) Air-conditioner
JP4708199B2 (en) Air conditioner
KR101235041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s
JP7090045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20070033531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JP6302795B2 (en) Air curtain device
JP4386904B2 (en) Air conditioner
KR2014007251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50109036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8215724A (en) Air curtain device and its housing
JP6081955B2 (en) Air conditioner
JP2017015270A (en) Air conditioner
TWI660647B (en) Heating conditioner
JP5588533B2 (en) Air conditioner
KR10219284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170082669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03663B1 (en) Apparatus for air conditioning
KR20210010208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034049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7156552B2 (en) Two-layer flow blower for vehicle air conditioner
KR20210055886A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070501B2 (en) Unit structure of vehicl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