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420A - 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420A
KR20210047420A KR1020190130797A KR20190130797A KR20210047420A KR 20210047420 A KR20210047420 A KR 20210047420A KR 1020190130797 A KR1020190130797 A KR 1020190130797A KR 20190130797 A KR20190130797 A KR 20190130797A KR 20210047420 A KR20210047420 A KR 20210047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vertical
vehicle
respe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53695B1 (en
Inventor
류호진
김태원
이성우
박광렬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95B1/en
Publication of KR2021004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4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23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using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gidity evaluation apparatus of a tailgate for a vehicle, which uses single mounting equipment in conducting a rigidity evaluation of tailgates of various vehicle typ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to realize a broad-range use of the rigidity evaluation apparatus for the tailgates of several vehicle types. The rigidity evaluation apparatus of the tailgate for the vehicle comprises: a hinge setting unit placed to control the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a transversal direction by meeting the position of a hinge unit of the tailgate; a latch setting unit placed to control the position in a forward/backward direction by meeting the position of a latch unit of the tailgate; a worktable which fixably holds the hinge setting unit and movably holds the latch setting unit; and a load provision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which applies a preset load to the tailgate fixed on the worktable, and measures and outputs the generated displacement to the outside.

Description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Stiffness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종별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차종의 테일게이트에 대한 강성 평가를 단일의 장비로서 범용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stiffness of a tailgat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he stiffness of a tailgate for a vehicle that enables the stiffness evaluation of the tailgates of various vehicle typ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for each vehicle type as a single device. It relates to an evaluation device.

일반적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의 후미에 구비되는 테일게이트(tail gate)는 주로 리프트-업(lift-up) 방식의 상하방향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tail gate provided at the rear of a sport utility vehicle (SUV) is mainly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 lift-up method.

이러한 리프트-업 방식의 테일게이트에 대해서는 안전 성능의 검증을 위해 각종 강성 평가를 실시하게 된다.For such a lift-up type tailgate, various stiffness evaluations are performed to verify safety performance.

종래 리프트-업 방식의 테일게이트에 대한 강성 평가는 실제 차량의 후방 차체에 대해 테일게이트의 힌지부를 조립하고 래치부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테일게이트의 표면에 대해 적정의 하중을 가해 발생되는 변형이나 변위를 계측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The stiffness evaluation of the tailgate of the conventional lift-up method is to measure the deformation or displacement caused by applying an appropriate load to the surface of the tailgate while assembling the hinge part of the tailgate to the rear body of the actual vehicle and fastening the latch part. It is achieved by measuring.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는 실제 차량의 후방 차체에 대해 테일게이트를 조립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테일게이트의 변형은 물론, 테일게이트의 변형에 따른 차체의 변형까지도 수반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tiffness evaluation of the conventional tailgat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ailgate is assembled to the rear body of the actual vehicle, not only the tailgate is deformed, but also the vehicle body is deforme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tailgate. There is a drawback of causing unnecessary economic loss because it can be used.

특히, 차종에 따라 상이한 규격의 다른 종류의 테일게이트에 대한 강성 평가를 수행할 때에도 대응하는 해당 차체를 준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험후 변형에 따른 차체의 폐기 처리에 의해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the stiffness evaluation for different types of tailgat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not only the corresponding vehicle body must be prepared, but also economic loss occurs due to the disposal of the vehicle body due to deformation after the test.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 테일게이트를 탑재한 자동차의 종류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면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강성 평가장치에 대한 개발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s the types of vehicles equipped with tailgates have increased rapidly,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stiffness evaluation device capable of solving such shortcomings.

등록실용신안 제20-0148251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4825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종별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차종의 테일게이트에 대한 강성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단일의 마운팅 설비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차종의 테일게이트에 대한 강성 평가를 위한 장치의 범용적 활용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 of a single mounting facility in performing stiffness evaluation for tailgates of various vehicle typ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for each vehicle type. It is to provide a stiffness evaluation device of a tailgate for a vehicle that can be used for general us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바디와의 개폐 가능한 조립을 위한 힌지부, 및 차체 바디와의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래치부를 갖춘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를 위한 장치로서, 상기 힌지부의 위치에 맞춰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힌지 세팅부, 상기 래치부의 위치에 맞춰 전후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 세팅부, 상기 힌지 세팅부와 상기 래치 세팅부를 각각 고정 및 이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에 고정된 테일게이트에 대해 설정된 하중을 가한 다음, 발생된 변위를 측정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rigidity of a tailgate having a hinge portion for assembling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vehicle body, and a latch portion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vehicle body. Hinge setting unit provided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latch setting unit provided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atch unit, the hinge setting unit and the latch sett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orktable for fixing and movably mounting parts, and a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generated displacement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after applying a set load to the tailgate fixed to the worktable.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 세팅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직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방향 이동대,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방향 이동대, 및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 힌지 고정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etting unit is a vertical moving platform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table, and a horizontal moving platform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tand, and a hinge fixing stand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moving stand to detachably assemble the hinge pa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 세팅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직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의 상하방향 위치 조절을 위한 상하방향 위치조절부, 및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에 대한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의 좌우방향 위치 조절을 위한 좌우방향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setting unit is a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uni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 table,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units of the horizontal movement uni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ement uni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direction pos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하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직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방향 리드스크류,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리드스크류에 체결되는 상하방향 너트슬라이더, 및 상기 상하방향 리드스크류에 설치되어 회전량을 조절하는 상하방향 회전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is a vertical lead screw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 table, the vertical direction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table and fastened to the vertical lead screw.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ut slider, and an up-down rotation handle that is installed on the up-down lead screw and controls the amount of rot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하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방향 슬라이더블록, 및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한 상기 상하방향 슬라이더블록의 위치를 구속 가능하게 하는 상하방향 위치 세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guide shaft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 table,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ement platform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vertical guide shaft. It is preferable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lider block, and a vertical position setting unit configured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slider block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guide shaf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좌우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방향 리드스크류,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방향 리드스크류에 체결되는 좌우방향 너트슬라이더, 및 상기 좌우방향 리드스크류에 설치되어 회전량을 조절하는 좌우방향 회전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position control unit is a left and right lead screw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form and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lead screw.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ut slider, and a left-right rotation handle that is installed on the left-right direction lead screw and controls the amount of rot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좌우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에 설치되는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방향 슬라이더블록, 및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한 상기 좌우방향 슬라이더블록의 위치를 구속 가능하게 하는 좌우방향 위치 세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position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guide shaft installed on the vertical movement platform, and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platform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guide shaft. It is preferable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lider block, and a left-right position setting part for restraining the position of the left-right slider block with respect to the left-right direction guide shaf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래치 세팅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평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방향 이동대, 및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부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 래치 고정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setting unit is a front-rear moving platform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forward-rea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of the worktable, and a latch mounted on the front-rearward moving platform to detachably assemble the latch part. It is preferable to have a fix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래치 세팅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평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평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방향 리드스크류,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향 리드스크류에 체결되는 전후방향 너트슬라이더, 및 상기 전후방향 리드스크류에 설치되어 회전량을 조절하는 전후방향 회전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set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of the work table, and the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i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of the work table. A front-rear lead screw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ront-rear nut slid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and fastened to the front-rear lead screw, and a front-rear rotation handle installed on the front-rear lead screw to control the amount of rota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후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는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방향 슬라이더블록, 및 상기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한 상기 전후방향 슬라이더블록의 위치를 구속 가능하게 하는 전후방향 위치 세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rear direction position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guide shaf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of the worktable,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rear moving table so as to be movably coupled to the front-rear guide shaf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lider block, and a front-rear position setting part configured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front-rear slider block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guide shaf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표면에 하중을 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표면에 하중을 가하는 가압로드, 및 상기 가압로드의 변위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변위 또는 변형량을 계측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an actuator for applying a load to the surface of the tailgate, a pressure rod for applying a load to the surface of the tailg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and the displacement of the pressure ro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displac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r deformation amount of the tailgate according to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에 대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중 인가를 위한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 및 상기 테일게이트에 대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중 인가를 위한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is an angle adjusting unit for variably adjusting an angle for applying the load of the actuator to the tailgate, and the load application of the actuator to the tailgat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variably adjusting the height f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는 단일의 마운팅 설비를 이용하여 차종별로 규격이 다른 여러 차종의 테일게이트에 대한 강성 평가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범용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관련 설비의 구축 및 실제 차량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 stiffness evalu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tail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stiffness evaluation on the tailgates of various vehicle typ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for each vehicle type using a single mounting facility, thus enabling universal use of the equip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economic effect that can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related facilities and the actual vehicle purcha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는 단일의 마운팅 설비에 대해 여러 차종의 테일게이트를 장착하고 강성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정확한 위치 설정을 기반으로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작업인원으로도 힌지 세팅부에 의한 힌지부의 구속과 래치 세팅부에 의한 래치부의 구속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강성 평가의 실시에 필요로 하는 인원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2명 이상의 작업 인원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명의 작업자로도 충분히 테일게이트에 대한 강성 평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tiffness evaluation device for a vehicle tail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based on accurate positioning in performing stiffness evaluation by mounting tailgates of several vehicle types for a single mounting facility.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restraint of the hinge part by the hinge setting part and the restraint of the latch part by the latch setting part with a minimum number of worke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ersonnel required to perform the stiffness evaluation. For example, conventionally, two or more working personnel were required,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one operator can sufficiently perform the stiffness evaluation work on the tailg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에 적용되는 마운팅 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설비를 배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운팅 설비에서 힌지 세팅부에 대한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운팅 설비에서 래치 세팅부에 대한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에 적용되는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테일게이트를 장착한 실제 사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테일게이트의 힌지부를 고정한 실제 사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테일게이트의 래치부를 고정한 실제 사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facility applied to the stiffness evaluation apparatus of a tail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facility shown in FIG. 1 from the rea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a hinge setting unit in the mounting facility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a latch setting unit in the mounting facility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applied to the stiffness evaluation apparatus of a vehicle tail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ctual case in which a tailgate is mounted using the stiffness evaluation device of a tail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actual case of fixing the hinge portion of the tailgate using the stiffness evaluation device of the tail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actual case in which the latch part of the tail gate is fixed using the stiffness evaluation device of the tail 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elem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itution of the claims. Embodiments including elements that can be substituted as equivalents in el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에 적용되는 마운팅 설비(1)는 차체의 바디를 대신하는 작업대(10) 상에 차종별로 규격이 상이한 여러 차종의 테일게이트(40)를 범용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to 5, the mounting facility 1 applied to the stiffness evalu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tail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specifications for each vehicle type on a worktable 10 that replaces the body of the vehicl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tailgate 40 of various vehicle types can be universally fixed and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는 상기 테일게이트(40)의 힌지부(42)의 위치에 맞춰 상기 작업대(10)에 대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 세팅부(20), 상기 테일게이트의 래치부(44)의 위치에 맞춰 상기 작업대(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세팅부(30), 및 상기 작업대(10)에 고정된 테일게이트(40)에 대해 설정된 하중을 가한 다음, 발생된 변위를 측정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rigidity of a tailgat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osition of the worktable 10 to be adjust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inge portion 42 of the tailgate 40. The hinge setting unit 20 to be installed, the latch setting unit 30 installed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ork table 1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atch unit 44 of the tailgate, and the work table (10) After applying a set load to the tailgate 40 fixed to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50 for measuring the generated displacement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상기 작업대(10)는 작업장 바닥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 세팅부(20)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수직 프레임(12), 및 작업장 바닥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기 래치 세팅부(30)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수평 프레임(14)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 프레임(12)과 수평 프레임(14) 사이의 결합 구조는 규격이 서로 다른 여러 차종의 테일게이트(40)의 힌지부(42)와 래치부(44)에 대한 범용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The work table 10 is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of the work place and a vertical frame 12 for movably mounting the hinge setting part 20, and the work table 10 is instal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floor of the work place and includes the latch setting part 30. It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frame 14 mounted to be movable. In this case,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vertical frame 12 and the horizontal frame 14 allows for universal installation of the hinge portion 42 and the latch portion 44 of the tailgate 40 of various vehicle typ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If possible, it may be made in any form.

상기 힌지 세팅부(20)는 상기 테일게이트(40)의 힌지부(42)의 위치에 따라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대(10)의 수직 프레임(12)에 대해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방향 이동대(21),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에 대해 좌우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대(22), 및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22)에 대해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테일게이트(40)의 힌지부(42)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 한 쌍의 힌지 고정대(22a)를 구비한다. The hinge setting unit 20 is configured to be freely adjust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inge unit 42 of the tailgate 40, and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 table 10 (12) A pair of left and right moving platforms (21)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12),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moving platform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21) ( 22), and a pair of hinge holders 22a that are individually mounted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platforms 22 to detachably assemble the hinge portion 42 of the tailgate 40.

이 경우,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는 상기 수직 프레임(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22)는 상하방향 이동대(21)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고정대(22a)는 상기 테일게이트(40)의 힌지부(42)를 나사 체결로서 고정시키기 위한 좌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vertical movement platform 21 is made of a member in the form of a flat plat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frame 12,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latform 22 is Consists of a member in the form of a flat plat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hinge holder 22a is a seating surface for fixing the hinge portion 42 of the tailgate 40 by screwing Consists of

또한, 상기 힌지 세팅부(20)는 상기 작업대(10)의 수직 프레임(12)에 대한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상하방향 위치조절부(210), 및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에 대한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22)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좌우방향 위치조절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inge setting unit 20 is a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210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table 2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2 of the work table 10, and th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eft-right position control unit 220 for adjusting the left-right position of the left-right moving platform 2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21.

이 경우, 상기 상하방향 위치조절부(210)는 상기 작업대(10)의 수직 프레임(12)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방향 리드스크류(211),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리드스크류(211)에 체결되는 상하방향 너트슬라이더(212), 및 상기 상하방향 리드스크류(211)의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리드스크류(211)에 대한 회전량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상하방향 회전 손잡이(213)를 구비한다.In this case, the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210 is a vertical lead screw 211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capable of idl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12 of the work table 10, the vertical movement platform ( 21)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nut slider 212 fastened to the vertical lead screw 211, and the vertical lead screw 211 is installed at the free end of the vertical lead screw 211 It includes an up-down rotation handle 213 for manually adjusting the amount of rotation.

또한, 상기 상하방향 위치조절부(210)는 상기 작업대(10)의 수직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이동대(21)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214), 및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214)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방향 슬라이더블록(215)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210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12 of the work table 10, the vertical guide shaft 214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movement table 21, and the A vertical slider block 215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21 and movably coupled to the vertical guide shaft 214.

또한, 상기 상하방향 위치조절부(210)는 상기 작업대(10)의 수직 프레임(12)에 대한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의 위치를 구속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속을 해제하는 상하방향 위치 세팅부(21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상하방향 위치 세팅부(216)는 상하방향 슬라이더블록(215)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214)에 대한 상하방향 슬라이더블록(215)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 가능한 형태의 체커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외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210 is a vertical position setting unit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restraint so that the vertical frame 12 of the work table 10 can be moved or restrained. It has 216. In this case, the vertical position setting unit 216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slider block 215 to constrain or release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slider block 215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guide shaft 214. It may be configured as,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other modified embodiments.

한편, 상기 좌우방향 위치조절부(220)는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방향 리드스크류(221),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22)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방향 리드스크류(221)에 체결되는 좌우방향 너트슬라이더(222), 상기 좌우방향 리드스크류(221)의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좌우방향 리드스크류(221)에 대한 회전량을 조절하는 좌우방향 회전 손잡이(223)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ft and right position control unit 220 is a left-right lead screw 221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idl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21, the rea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form 22 It is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nut slider 222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lead screw 221, and is installed at the free end of the left and right lead screw 221 to adjust the amount of rotation for the left and right lead screw 221 It is provided with a left and right rotation handle (223).

또한, 상기 좌우방향 위치조절부(220)는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에 설치되어 좌우방향 이동대(22)의 좌우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224), 및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22)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224)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방향 슬라이더블록(225)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osition control unit 220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movement platform 21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platform 2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guide shaft 224,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It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22 and includes a left and right slider block 225 that is mov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guide shaft 224.

또한, 상기 좌우방향 위치조절부(220)는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에 대한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22)의 위치를 구속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속을 해제하는 좌우방향 위치 세팅부(22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좌우방향 위치 세팅부(226)는 좌우방향 슬라이더블록(225)에 설치되어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224)에 대한 좌우방향 슬라이더블록(225)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 가능한 형태의 체커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외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osition adjustment unit 220 is a left and right position setting unit 226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restrain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form 22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21 is restrained or movable. It is equipped with. 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position setting unit 226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lider block 225 to constrain or release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slider block 225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guide shaft 224 It may be configured as,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other modified embodiments.

아울러, 상기 힌지 세팅부(20)는 좌우방향 이동대(22)와 함께 상하방향 이동대(21)에 대해 좌우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리프트 지지대는 차체에 대해 테일게이트(40)의 개방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가스 리프터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hinge setting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lift support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ement platform 21 together wit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platform 22, the lift The support is for installation of a gas lifter for supporting a load when the tailgate 40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한편, 상기 래치 세팅부(30)는 상기 테일게이트(40)의 래치부(44)의 위치에 따라 전후방향의 위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대(10)의 수평 프레임(1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방향 이동대(31), 및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31)에 장착되어 상기 테일게이트(40)의 래치부(44)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 래치 고정대(31a)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latch setting part 30 is configured to be freely adjus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atch part 44 of the tail gate 40, and the horizontal frame 14 of the work table 10 ), a front-rear moving platform 31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latch mounted on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31 to attach and detach the latch part 44 of the tailgate 40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table (31a).

이 경우,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31)는 상기 수평 프레임(1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 고정대(31a)는 상기 테일게이트(40)의 래치부(44)와 체결되는 스트라이커(46; 도 8에 도시)의 설치를 위한 좌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31 is made of a plate-shaped member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14, and the latch holder 31a is It is made in the form of a seating surface for installation of the striker 46 (shown in FIG. 8) that is fastened to the latch part 44.

또한, 상기 래치 세팅부(30)는 상기 작업대(10)의 수평 프레임(14)에 대한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31)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atch setting unit 3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31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ront-rear moving table 31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14 of the work table 10. .

이 경우, 상기 전후방향 위치조절부(310)는 상기 작업대(10)의 수평 프레임(14)에 대해 공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방향 리드스크류(311),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31)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향 리드스크류(311)에 체결되는 전후방향 너트슬라이더(312), 및 상기 전후방향 리드스크류(311)의 자유단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리드스크류(311)에 대한 회전량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전후방향 회전 손잡이(313)를 구비한다.In this case, the front-rear position adjusting part 310 is a front-rear lead screw 311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capable of idling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14 of the work table 10,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 31)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rear nut slider 312 and fastened to the front-rear lead screw 311, and the front-rear lead screw 311 is installed at the free end of the front-rear lead screw 311. It is provided with a front-rear rotation handle 313 for manually adjusting the amount of rotation.

또한, 상기 전후방향 위치조절부(310)는 상기 작업대(10)의 수평 프레임(14)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이동대(31)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314), 및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31)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314)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방향 슬라이더블록(315)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31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14 of the work table 10, a front-rear guide shaft 314 for guiding the front-rearward movement of the front-rear moving table 31, and the It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31 and includes a front-rear slider block 315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front-rear guide shaft 314.

또한, 상기 전후방향 위치조절부(310)는 상기 작업대(10)의 수평 프레임(14)에 대한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31)의 위치를 구속 또는 이동 가능하게 구속을 해제하는 전후방향 위치 세팅부(31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전후방향 위치 세팅부(316)는 전후방향 슬라이더블록(315)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314)에 대한 전후방향 슬라이더블록(315)의 이동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 가능한 형태의 체커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외 다른 변형된 실시예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310 is a front-rear position setting unit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restrain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ront-rear moving table 31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14 of the work table 10 can be restrained or moved. It has 316. In this case, the front-rear position setting part 316 is installed on the front-rear slider block 315 to constrain or release the movement of the front-rear slider block 315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guide shaft 314 It may be configured as,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other modified embodiments.

한편, 상기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50)는 상기 마운팅 설비(1)의 작업대(10)에 고정된 테일게이트(40)에 대해 설정된 하중을 가하고, 가해진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테일게이트의 변위 또는 변형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변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50 applies a set load to the tailgate 40 fixed to the work table 10 of the mounting facility 1, and the displacement or deformation of the tailgate generated by the applied load It is configured to accurately measure, including a contact type or non-contact type displacement sensor.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50)는 상기 작업대(10)에 고정된 테일게이트(40)에 대해 설정된 하중을 가한 다음, 발생된 변위를 측정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테일게이트(40)의 표면에 국부적인 하중을 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작동력을 인가받는 액츄에이터(51), 상기 액츄에이터(51)의 동작에 따라 전방으로 출몰하게 테일게이트(40)의 표면에 국부적인 하중을 가하는 가압로드(52), 상기 가압로드(52)의 변위에 따른 테일게이트(40)의 변위 또는 변형량을 계측하는 변위센서(미도시), 상기 테일게이트(40)에 대한 상기 액츄에이터(51)의 하중 인가를 위한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53), 및 상기 테일게이트(40)에 대한 상기 액츄에이터(51)의 하중 인가를 위한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50 applies a set load to the tailgate 40 fixed to the work table 10, and then measures the generated displacement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In order to apply a local load to the surface of the tailgate 40, a local load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ailgate 40 so that the actuator 51 is applied with an operating force from the outside. The pressure rod 52 to be applied, a displacement sensor (not shown) that measures the displacement or deformation of the tailgate 40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pressure rod 52, and the actuator 51 with respect to the tailgate 40 An angle adjusting part 53 for variably adjusting an angle for applying a load, and a height adjusting part 54 for variably adjusting a height for applying a load of the actuator 51 to the tailgate 40 Consists of including.

이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51)는 유압 구동식이나, 전원의 인가에 따라 동작하는 서보 모터류의 전동식 등 다양한 방식의 작동기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actuator 51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actuators, such as a hydraulic drive type or an electric servo motor typ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또한, 상기 가압로드(52)는 액츄에이터(51)의 동작에 따라 전후방향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테일게이트(40)의 표면에 대해 직접적인 하중을 가하는 부재이다.In addition, the pressure rod 52 is a member that directly applies a load to the surface of the tailgate 40 as being installed to be protruding and protru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51.

또한, 상기 각도 조절부(53)는 상기 액츄에이터(51)를 지지하는 마운팅브라켓트(53a)와 상기 높이 조절부(54)를 구성하는 승강로드(54a) 사이의 상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53a)에는 각도 조절을 위한 원호형 슬롯(53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원호형 슬롯(53b)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는 별도의 체결핀(미도시)을 매개로 상기 각도 조절부(53)에 의한 액츄에이터(51)의 설치각도가 가변적으로 구속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ngle adjustment unit 53 is for adjust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the mounting bracket (53a) supporting the actuator (51) and the lifting rod (54a) constitut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the The mounting bracket (53a) is configured to form an arc-shaped slot (53b) for angle adjustment.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actuator 51 by the angle adjustment unit 53 can be variably constrained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pin (not shown)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arc-shaped slot 53b. do.

따라서 본 발명의 마운팅 설비(1)는 차체 바디를 대체하는 작업대(10), 상기 작업대(10)에 대해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힌지 세팅부(20), 및 상기 작업대(10)에 대해 전후방향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래치 세팅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세팅부(20)를 매개로 힌지 고정대(22a)에 대해 상기 테일게이트(40)의 힌지부(42)를 나사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mounting facilit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table 10 replacing a vehicle body, a hinge setting part 20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orktable 1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 worktable 10 Sin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tch setting unit 30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hinge holder 22a is provided with the hinge setting unit 20 as a medium. It is possible to fix the hinge portion 42 of the tailgate 40 by screwing or the like.

이 경우, 상기 상하방향 위치조절부(210)는 상기 테일게이트(40)의 힌지부(42)의 상하방향 높이에 맞춰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21)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unit 210 can variably adjust the height of the vertical movement platform 21 according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hinge portion 42 of the tailgate 40.

또한, 상기 좌우방향 위치조절부(220)는 상기 테일게이트(40)의 힌지부(42)의 좌우방향 위치에 맞춰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22)의 좌우방향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eft-right position adjusting part 220 can variably adjust the left-right position of the left-right moving platform 22 according to the left-right position of the hinge part 42 of the tail gate 40.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세팅부(30)를 매개로 래치 고정대(31a)에 결합되는 스트라이커(46)에 대해 상기 테일게이트(40)의 래치부(44)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latch part 44 of the tail gate 40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striker 46 coupled to the latch holder 31a via the latch setting part 30. It becomes possible to conclude.

이 경우, 상기 전후방향 위치조절부(310)는 상기 테일게이트(40)의 래치부(44)의 전후방향 위치에 맞춰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31)의 전후방향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ront-rear position control part 310 can variably adjust the front-rear position of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31 according to the front-rear position of the latch part 44 of the tail gate 40. .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는 차종별로 규격이 서로 다른 여러 차종의 테일게이트에 대한 강성 평가를 단일의 마운팅 설비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범용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관련 설비의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since the stiffness evalu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tail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stiffness evaluation for tailgates of various vehicle typ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for each vehicle type, using a single mounting facility, the general purpose of the equipment This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and thereby greatly reduces the cos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related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는 단일의 마운팅 설비에 대해 여러 차종의 테일게이트를 장착하고 강성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정확한 위치 설정을 기반으로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n addition, the stiffness evaluation device for a vehicle tail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based on accurate positioning in performing stiffness evaluation by mounting tailgates of several vehicle types for a single mounting facility. As well as,

최소한의 작업인원으로도 힌지 세팅부에 의한 힌지부의 구속과 래치 세팅부에 의한 래치부의 구속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강성 평가의 실시에 필요로 하는 인원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Sin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restraint of the hinge part by the hinge setting part and the restraint of the latch part by the latch setting part with a minimum number of worke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eople required to perform the stiffness evaluation.

1-마운팅 설비 10-작업대
12-수직 프레임 14-수평 프레임
20-힌지 세팅부 21-상하방향 이동대
22-좌우방향 이동대 22a-힌지 고정대
210-상하방향 위치조절부 211-상하방향 리드스크류
212-상하방향 너트슬라이더 213-상하방향 회전 손잡이
214-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 215-상하방향 슬라이더블록
216-상하방향 위치 세팅부
220-좌우방향 위치조절부 221-좌우방향 리드스크류
222-좌우방향 너트슬라이더 223-좌우방향 회전 손잡이
224-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 225-좌우방향 슬라이더블록
226-좌우방향 위치 세팅부
30-래치 세팅부 31-전후방향 이동대
31a-래치 고정대
310-전후방향 위치조절부 311-전후방향 리드스크류
312-전후방향 너트슬라이더 313-전후방향 회전 손잡이
314-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 315-전후방향 슬라이더블록
316-전후방향 위치 세팅부
40-테일게이트
42-힌지부 44-래치부
50-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
51-액츄에이터 52-가압로드
53-각도 조절부 54-높이 조절부
1- Mounting equipment 10- Workbench
12-vertical frame 14-horizontal frame
20-Hinge setting part 21-Up and down moving platform
22-left/right moving base 22a-hinge fixing base
210-Up and down position control unit 211-Up and down lead screw
212-up and down nut slider 213-up and down rotation knob
214-Up and down guide shaft 215-Up and down slider block
216-up/down position setting part
220-left/right positioning part 221-left/right lead screw
222-left/right nut slider 223-left/right rotation knob
224-left/right guide shaft 225-left/right slider block
226-left/right position setting part
30-latch setting part 31-forward/rear moving platform
31a-latch holder
310-Forward/rear positioning part 311-forward/rear lead screw
312-forward/rear nut slider 313-forward/rear rotation knob
314-forward/rear guide shaft 315-forward/rear direction slider block
316-forward/rear position setting part
40-tailgate
42-hinge part 44-latch part
50-load supply and displacement measuring section
51-actuator 52-pressurized rod
53-angle adjuster 54-height adjuster

Claims (13)

차체 바디와의 개폐 가능한 조립을 위한 힌지부, 및 차체 바디와의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한 래치부를 갖춘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를 위한 장치로서,
상기 힌지부의 위치에 맞춰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힌지 세팅부;
상기 래치부의 위치에 맞춰 전후방향으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 세팅부;
상기 힌지 세팅부와 상기 래치 세팅부를 각각 고정 및 이동 가능하게 거치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에 고정된 테일게이트에 대해 설정된 하중을 가한 다음, 발생된 변위를 측정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A device for evaluating the rigidity of a tailgate having a hinge portion for assembling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the vehicle body, and a latch portion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vehicle body,
A hinge setting unit provided to enable position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inge unit;
A latch setting unit provided to enable position adjust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atch unit;
A worktable for fixing and movably mounting the hinge setting unit and the latch setting unit, respectively; And
Apparatus for stiffness evaluation of a tailgate for a vehicle, comprising: a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that applies a set load to the tailgate fixed to the work table and then measures the generated displacement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세팅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직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방향 이동대;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방향 이동대; 및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부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 힌지 고정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setting part
A vertical moving table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 table;
A left-right moving platform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And
A rigidity evaluation apparatus for a tailgate for a vehicle, comprising: a hinge fixing unit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form to detachably assemble the hinge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 세팅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직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의 상하방향 위치 조절을 위한 상하방향 위치조절부; 및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에 대한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의 좌우방향 위치 조절을 위한 좌우방향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hinge setting part
A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vertical moving t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 table; And
A device for evaluating the rigidity of a tailgat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ft-right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left-right position of the left-right moving t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직 프레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방향 리드스크류;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리드스크류에 체결되는 상하방향 너트슬라이더; 및
상기 상하방향 리드스크류에 설치되어 회전량을 조절하는 상하방향 회전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A vertical lead screw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table;
A vertical nut slid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and fastened to the vertical lead screw; And
A device for evaluating the rigidity of a tailgat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up-down rotation handle installed on the up-down lead screw to control the amount of rot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방향 슬라이더블록; 및
상기 상하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한 상기 상하방향 슬라이더블록의 위치를 구속 가능하게 하는 상하방향 위치 세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A vertical guide shaft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of the worktable;
A vertical slider block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table and movably coupled to the vertical guide shaft; And
And a vertical position setting unit configured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slider block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guide shaf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방향 리드스크류;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방향 리드스크류에 체결되는 좌우방향 너트슬라이더; 및
상기 좌우방향 리드스크류에 설치되어 회전량을 조절하는 좌우방향 회전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eft and right position control unit
A left-right lead screw installed in a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form;
A left and right nut slid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form and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lead screw; And
A stiffness evaluation apparatus for a tailgate for a vehicle, comprising: a left-right rotation handle installed on the left-right direction lead screw to adjust the amount of rota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상하방향 이동대에 설치되는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
상기 좌우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방향 슬라이더블록; 및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한 상기 좌우방향 슬라이더블록의 위치를 구속 가능하게 하는 좌우방향 위치 세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eft and right position control unit
A left and right guide shaft installed on the vertical movement platform;
A left and right slider block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platform and mov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guide shaft; And
A device for evaluating the rigidity of a tailgat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ft-right position setting unit configured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left-right slider block with respect to the left-right direction guide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세팅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평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후방향 이동대; 및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에 장착되어 상기 래치부를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는 래치 고정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setting part
A front-rear moving table installed to be movable in a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of the work table; And
A rigidity evaluation apparatus for a tailgate for a vehicle, comprising: a latch holder mounted on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to detachably assemble the latch par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세팅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평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전후방향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latch setting part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stiffness of a tailgat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ront-rear moving platform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of the worktabl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평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방향 리드스크류;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향 리드스크류에 체결되는 전후방향 너트슬라이더; 및
상기 전후방향 리드스크류에 설치되어 회전량을 조절하는 전후방향 회전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A front-rear lead screw installed in a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of the worktable;
A front-rear nut slid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rear moving table and fastened to the front-rear lead screw; And
A vehicle tailgate stiffness evaluation apparatus, comprising: a front-rear rotation handle installed on the front-rear lead screw to adjust the amount of rota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위치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는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
상기 전후방향 이동대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방향 슬라이더블록; 및
상기 전후방향 가이드 샤프트에 대한 상기 전후방향 슬라이더블록의 위치를 구속 가능하게 하는 전후방향 위치 세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A front-rear guide shaf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of the worktable;
A front-rear slider block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rear moving table and movably coupled to the front-rear guide shaft; And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rigidity of a tailgat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ront-rear position setting unit configured to constrain the position of the front-rear slider block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guide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표면에 하중을 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표면에 하중을 가하는 가압로드; 및
상기 가압로드의 변위에 따른 테일게이트의 변위 또는 변형량을 계측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An actuator for applying a load to the surface of the tailgate;
A pressure rod for applying a load to the surface of the tailg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And
A stiffness evaluation apparatus for a tailgate for a vehicle, comprising a displacement sensor that measures the displacement or deformation amount of the tailgate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pressure ro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제공 및 변위 계측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에 대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중 인가를 위한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 및
상기 테일게이트에 대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중 인가를 위한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강성 평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load providing and displacement measuring unit
An angle adjusting unit for variably adjusting an angle for applying a load of the actuator to the tailgate; And
A device for evaluating stiffness of a tailgat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variably adjusting a height for applying a load of the actuator to the tailgate.
KR1020190130797A 2019-10-21 2019-10-21 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KR1022536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797A KR102253695B1 (en) 2019-10-21 2019-10-21 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797A KR102253695B1 (en) 2019-10-21 2019-10-21 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20A true KR20210047420A (en) 2021-04-30
KR102253695B1 KR102253695B1 (en) 2021-05-24

Family

ID=7574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797A KR102253695B1 (en) 2019-10-21 2019-10-21 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95B1 (e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725A (en)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Door frame strain measuring device
KR19990040803A (en) * 1997-11-19 1999-06-05 정몽규 Sliding door open / close durability test device for vehicle
KR19990040800A (en) * 1997-11-19 1999-06-05 정몽규 Vehicle door closing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KR200148251Y1 (en) 1996-11-16 1999-06-15 양재신 Tailgate hinge plate strength test jig
KR20020009952A (en) * 2000-07-28 2002-02-02 이계안 Automotive door rigidity-testing device
KR20020050599A (en)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Bending test system of side door impact bar for vehicle
KR20020054799A (en)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Door trim impact test system
KR20050025752A (en) * 2003-09-08 2005-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est device of open angle and press by door handle
KR20080113582A (en) * 2007-06-25 2008-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Open and close feeling measurement apparatus of tail gate for car
KR20100024615A (en) * 2008-08-26 2010-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ig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tail gate in vehicles
KR20110013021A (en)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assive side impact test device for door module of vehicles
CN207408113U (en) * 2017-10-31 2018-05-25 上海驰助汽车零部件有限公司 Parameterize adjustable tail-gate rack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251Y1 (en) 1996-11-16 1999-06-15 양재신 Tailgate hinge plate strength test jig
KR19990021725A (en)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Door frame strain measuring device
KR19990040803A (en) * 1997-11-19 1999-06-05 정몽규 Sliding door open / close durability test device for vehicle
KR19990040800A (en) * 1997-11-19 1999-06-05 정몽규 Vehicle door closing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KR20020009952A (en) * 2000-07-28 2002-02-02 이계안 Automotive door rigidity-testing device
KR20020050599A (en)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Bending test system of side door impact bar for vehicle
KR20020054799A (en)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Door trim impact test system
KR20050025752A (en) * 2003-09-08 2005-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est device of open angle and press by door handle
KR20080113582A (en) * 2007-06-25 2008-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Open and close feeling measurement apparatus of tail gate for car
KR20100024615A (en) * 2008-08-26 2010-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ig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tail gate in vehicles
KR20110013021A (en) *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assive side impact test device for door module of vehicles
CN207408113U (en) * 2017-10-31 2018-05-25 上海驰助汽车零部件有限公司 Parameterize adjustable tail-gate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95B1 (en)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874B1 (en) Mounting device for vehicle door hinge
CN109781438B (en) Vehicle body fatigue test device and test method
KR20130039957A (en) Mounting device for vehicle door hinge
JP4737287B2 (en) Material testing machine
KR101730834B1 (en) Test apparatus for durability of assist handle of vehicle
CN105619292A (en) Vehicle door hinge positioning device
KR102253695B1 (en) Strength evaluation device of tailgate for vehicle
KR101607449B1 (en) Assembling device of torsion spring for automobile seat
CN111220376A (en) Automobile seat armrest durability test equipment and test method
KR101371459B1 (en) Mounting device for vehicle door hinge
CN214096613U (en) Backrest skeleton rigidity endurance test frock
CN214702770U (en) Passenger car body torsional rigidity test device
CN110711990B (en) Vehicle door hinge mounting mechanism
CN111380701B (en) Method for measuring unlocking performance of vehicle door
CN113884311A (en) Evaluation test board and evaluation method
KR100600162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to the car body
KR101976806B1 (en) Steering column performance test device
KR20180001127A (en) Apparatus for testing chassis module of vehicle
JP5613706B2 (en) Bush press-fitting device
CN110181436B (en) Tool fixture for automobile
CN213658269U (en) Durable testing arrangement of passenger car side door
CN218725346U (en) Test bench for adjusting vehicle seat
CN218885438U (en) Test platform for vehicle verification
CN220626158U (en) Correction tape coating performance test equipment
CN219005865U (en) Tool for assembling automobile door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