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491A -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491A
KR20210046491A KR1020190130259A KR20190130259A KR20210046491A KR 20210046491 A KR20210046491 A KR 20210046491A KR 1020190130259 A KR1020190130259 A KR 1020190130259A KR 20190130259 A KR20190130259 A KR 20190130259A KR 20210046491 A KR20210046491 A KR 20210046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suction
exhaust
connector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남
Original Assignee
유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남 filed Critical 유춘남
Priority to KR102019013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6491A/ko
Publication of KR2021004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력선, 컴프레서, 흡입펌프, 부유겸흡입처리구,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 침전물수집함 및 축전지를 포함함으로써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수분을 최소화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Sediment treatment devices for lakes and reservoirs}
본 발명은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선, 컴프레서, 흡입펌프, 부유겸흡입처리구, 침전물탈수유닛,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 침전물수집함 및 축전지를 포함함으로써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수분을 최소화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수 및 저수지 등과 같이 고여있는 수중에는 질소, 인 등의 영양염이 지나치게 유입되어 수질이 오염됨으로써 각종 물이끼나 조류 등이 지나치게 번식되는 것이었고, 이러한 각종 물이끼나 조류 등은 결국 호수 및 저수지의 바닥면에 침전되어 수질을 크게 오염시키는 한 요인이 되었다.
이와 같이 호수 및 저수지에 침전되는 각종 이물질 또는 찌꺼기 등은 장기간동안 수중에 침전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강제적으로 수거하지 않는 한 수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가 없는 것이었으며, 이에 따라 종래에도 작업선박을 이용하여 침전물 수거기를 물속에 넣고 이를 통해 바닥면의 침전물을 강제적으로 수거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실제로 사용되고 있었다.
즉, 작업선박의 흡입펌프와 흡입호스로 연결되는 수거기를 물속의 바닥면에 설치하고, 이의 수거기 내에 구비되는 모터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의 모터 축에 구비되는 스크루가 회전되어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교반시키게 됨과 동시에 작업선박이 구비되는 흡입펌프가 작동되어 교반되는 침전물을 흡입호스를 통해 물과 함께 선박으로 강제 흡입하게 되는 것이고, 이의 흡입되는 침전물은 다시 여과장치를 거치는 동안 물은 다시 호수로 환수됨과 아울러 찌꺼기는 여과되어 수거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물속에 설치되는 수거기 내에 스크루를 구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의 모터를 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수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것이었으며, 이에 따라 그 구성이 복잡해져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 외에 무엇보다도 수거기를 수심이 깊은 곳에 설치할 경우 이의 방수장치가 수압에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어 모터가 고장이 나는 등 일정한 수심 이상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거기를 탑재하기 위한 별도의 선박이 요구되므로 수거를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수거기를 통해 수거된 침전물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므로 후처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수거된 침전물에 대한 처리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수분을 최소화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3-0023725호 1993.11.26.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57383호 2005.11.05.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9741호 2008.04.24.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력선, 컴프레서, 흡입펌프, 부유겸흡입처리구,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 침전물수집함 및 축전지를 포함함으로써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부력선, 컴프레서, 흡입펌프, 부유겸흡입처리구,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 침전물수집함 및 축전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거된 침전물의 수분을 최소화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는 호수 및 저수지에 부유토록 설치되어 호수 및 저수지의 수중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수거 처리하는 것으로, 수면에 부상되도록 상판의 하부에 대한 폭 방향 양측에 부구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으로 통공이 관통형성되는 부력선; 상기 부력선의 전방 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통공 중 어느 하나의 통공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는 배기연결관의 타단이 연결되며, 배기연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작동되는 컴프레서; 상기 부력선의 후방 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통공 중 다른 하나의 통공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는 흡입연결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서의 배기에 의해 수중 바닥면에 침전된 상태에서 부유하는 침전물을 흡입연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상부로부터 일 측으로 절곡연장되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흡입펌프; 상부에 배기연결관과 흡입연결관이 연통연결되며, 상기 배기연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출시켜 수중 바닥으로부터 부유하는 침전물을 흡입연결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부유겸흡입처리구; 상기 흡입펌프의 배출구 하부에 배치되며, 흡입펌프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침전물의 수분을 압착 탈수처리하여 하향 안내되도록 하는 침전물탈수유닛; 상기 흡입펌프 일 측에 설치되되, 상기 침전물탈수유닛이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흡입펌프의 배출구로 배출되어 침전물탈수유닛을 거쳐 압착 탈수되어 하향 낙하하는 침전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부력선의 후방 폭 방향 일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탈수처리된 침전물을 수집하는 침전물수집함; 및 상기 부력선의 통공 사이인 상판에 대한 중앙 상면에 설치되며, 축전수단을 통해 축전되어 컴프레서, 흡입펌프,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부유겸흡입처리구는 상부에 배기연결관과 흡입연결관이 연통연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부 중앙에 배기연결관이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배기연결구가 돌출구비되고, 상부의 배기연결구 일 측에 흡입연결관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흡입연결구가 돌출구비되는 본체커버 및 상기 본체커버의 중앙에 상기 배기연결구와 연통되게 하단이 역 삼각형 타입으로 볼록한 중공의 원기둥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단이 배기연결구와 연통되게 본체커버의 하면 중앙부분과 연결되는 배기분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기연결관과 상기 본체커버의 배기연결구는 한 쌍의 원터치 타입 커넥팅 구조를 갖는 배기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한편, 상기 흡입연결관과 상기 본체커버의 흡입연결구는 한 쌍의 원터치 타입 커넥팅 구조를 갖는 흡입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침전물탈수유닛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를 감싸도록 부력선의 상판 상부에 안착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 폭 방향 중앙에 대하여 상,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설치함과, 상기 설치함의 상단으로부터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으로 연통연결되며, 상부로부터 상기 흡입펌프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침전물이 유입되는 유입호퍼 및 상기 설치함 내부에 구동수단을 통해 한 쌍으로 상호 맞닿아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압출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침전물탈수유닛의 유입호퍼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내포하는 침전물로부터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 측 중앙부분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둘레를 따라 배출관이 외향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침전물을 제외한 수분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침전물탈수유닛의 유입호퍼는 내부의 상기 압출롤러와 인접하는 개방된 하단이 긴밀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의 표면과 근접되는 내부의 양측 하단에 기밀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부력선이 선택적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부력선의 상판 후단 측에 설치되되, 부력선 후단 중앙에 설치되어 축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 및 부력선의 방향조절을 위해 모터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향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기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배기연결관 및 흡입연결관은 일정길이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력선, 컴프레서, 흡입펌프, 부유겸흡입처리구,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 침전물수집함 및 축전지를 포함함으로써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다.
둘째, 부력선, 컴프레서, 흡입펌프, 부유겸흡입처리구,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 침전물수집함 및 축전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거된 침전물의 수분을 최소화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의 요부인 탈수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의 요부인 탈수유닛을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는 호수 및 저수지에 부유토록 설치되어 호수 및 저수지의 수중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수거 처리하는 것으로, 부력선(100), 컴프레서(200), 흡입펌프(300), 부유겸흡입처리구(400), 침전물탈수유닛(500), 이송 컨베이어(600), 침전물수집함(700) 및 축전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선(100)은 수면에 부상되도록 상판(110)의 하부에 대한 폭 방향 양측에 부구(120)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판(11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으로 통공(111, 112)이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컴프레서(200)는 상기 부력선(100)의 전방 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통공(111, 112) 중 어느 하나의 통공(111)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는 배기연결관(200a)의 타단이 연결되며, 배기연결관(200a)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펌프(300)는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통공(111, 112) 중 다른 하나의 통공(112)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는 흡입연결관(300a)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서(200)의 배기에 의해 수중 바닥면에 침전된 상태에서 부유하는 침전물을 흡입연결관(300a)을 통해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상부로부터 일 측으로 절곡연장되는 배출구(310)를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유겸흡입처리구(400)는 상부에 배기연결관(200a)과 흡입연결관(300a)이 연통연결되며, 상기 배기연결관(200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출시켜 수중 바닥으로부터 부유하는 침전물을 흡입연결관(300a)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은 상기 흡입펌프(300)의 배출구(310) 하부에 배치되며, 흡입펌프(300)의 배출구(310)로부터 배출되는 침전물의 수분을 압착 탈수처리하여 하향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600)는 상기 흡입펌프(300) 일 측에 설치되되,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이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흡입펌프(300)의 배출구(310)로 배출되어 침전물탈수유닛(500)을 거쳐 압착 탈수되어 하향 낙하하는 침전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수집함(70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600)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부력선(100)의 후방 폭 방향 일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6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탈수처리된 침전물을 수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전지(800)는 상기 부력선(100)의 통공(111, 112) 사이인 상판(110)에 대한 중앙 상면에 설치되며, 축전수단을 통해 축전되어 컴프레서(200), 흡입펌프(300), 침전물탈수유닛(500), 이송 컨베이어(60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축전지(800)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컨대 일 측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유닛이나 풍력발전유닛 등의 발전유닛(미도시)을 통해 전기를 축전시켜 앞서 설명한 구성들에 대한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에서의 요부인 상기 부유겸흡입처리구(400)는 본체커버(410) 및 배기분출구(43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본체커버(410)는 상부에 배기연결관(200a)과 흡입연결관(300a)이 연통연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부 중앙에 배기연결관(200a)이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배기연결구(411)가 돌출구비되고, 상부의 배기연결구(411) 일 측에 흡입연결관(300a)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흡입연결구(413)가 돌출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분출구(430)는 상기 본체커버(410)의 중앙에 상기 배기연결구(200a)와 연통되게 하단이 역 삼각형 타입으로 볼록한 중공의 원기둥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출공(431)이 관통형성되며, 상단이 배기연결구(200a)와 연통되게 본체커버(410)의 하면 중앙부분과 연결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기분출구(430)는 호수나 저수지의 수중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에 대하여 부유시켜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수중 바닥면에 하단부분이 일정길이 박힐 수 있도록 상기 배기분출구(430)의 하단부분에 대한 형상이 역 삼각형으로 볼록한 중공의 원기둥 타입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기분출구(430)는 역 삼각형의 뾰족한 하단부분은 일정 지름을 가지고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연결관(200a)과 상기 본체커버(410)의 배기연결구(411)는 한 쌍의 원터치 타입 커넥팅 구조를 갖는 배기커넥터(200b)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기커넥터(200b)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세탁호스를 수도꼭지에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와 같은 구조의 커넥터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흡입연결관(300a)과 상기 본체커버(410)의 흡입연결구(413)도 상기 배기커넥터(200b)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원터치 타입 커넥팅 구조를 갖는 흡입커넥터(300b)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흡입커넥터(300b)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세탁호스를 수도꼭지에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와 같은 구조의 커넥터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배기연결관(200a) 및 흡입연결관(300a)은 일정길이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의 요부인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은 크게 설치프레임(510)과, 설치함(520)과, 유입호퍼(530) 및 압출롤러(55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설치프레임(51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600)의 상부를 감싸도록 부력선(100)의 상판(110) 상부에 안착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함(520)은 상기 설치프레임(510)의 상부 폭 방향 중앙에 대하여 상,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호퍼(530)는 상기 설치함(520)의 상단으로부터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으로 연통연결되며, 상부로부터 상기 흡입펌프(300)의 배출구(310)로 배출되는 침전물이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출롤러(550)는 상기 설치함(520) 내부에 구동수단을 통해 한 쌍으로 상호 맞닿아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미도시)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압출롤러에 대한 구동수단인 구동모터 및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에서, 특히 상기 유입호퍼(530)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내포하는 침전물로부터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 측 중앙부분에 배출구(53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531) 둘레를 따라 배출관(535)이 외향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출구(531)는 침전물을 제외한 수분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필터(53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의 유입호퍼(530)는 내부의 상기 압출롤러(550)와 인접하는 개방된 하단이 긴밀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550)의 표면과 근접되는 내부의 양측 하단에 기밀 패드(53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는 부력선(100)이 선택적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부력선(100)의 상판(110) 후단 측에 설치되는 기동수단(900)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동수단(900)은 부력선(100) 후단 중앙에 설치되어 축전지(8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910)와, 상기 모터(910)의 축에 연결설치되어, 모터(9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920) 및 부력선(100)의 방향조절을 위해 모터(9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향조작레버(9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동수단(900)은 부력선(100)의 상판 후단에 대한 폭 방향 중앙부분에 대하여 후향 판 상으로 돌출되는 설치판(미부호) 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상기 설치판(미부호)이 없이 부력선(100)의 상판 후단에 대한 폭 방향 중앙부분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부력선, 컴프레서, 흡입펌프, 부유겸흡입처리구,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 침전물수집함 및 축전지를 포함함으로써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다.
더욱이, 부력선, 컴프레서, 흡입펌프, 부유겸흡입처리구, 침전물탈수유닛, 이송 컨베이어, 침전물수집함 및 축전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호수나 저수지에 부유하면서 수상에 설치된 흡입수단을 통하여 수중의 침전물을 흡입하여 탈수 처리한 후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거된 침전물의 수분을 최소화하여 수거된 침전물의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부력선 110: 상판
111, 112: 통공 120: 부구
200: 컴프레서 200a: 배기연결관
200b: 배기커넥터 300: 흡입펌프
310: 배출구 300a: 흡입연결관
300b: 흡입커넥터 400: 부유겸흡입처리구
410: 본체커버 411: 배기연결구
413: 흡입연결구 430: 배기분출구
431: 분출공 500: 침전물탈수유닛
510: 설치프레임 520: 설치함
530: 유입호퍼 531: 배출구
533: 배출필터 535: 배출관
537: 기밀패드 550: 압출롤러
600: 이송 컨베이어 700: 침전물수집함
800: 축전지 900: 기동수단
910: 모터 920: 프로펠러
930: 방향조작레버

Claims (8)

  1. 호수 및 저수지에 부유토록 설치되어 호수 및 저수지의 수중 바닥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수거 처리하는 것으로,
    수면에 부상되도록 상판(110)의 하부에 대한 폭 방향 양측에 부구(120)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판(11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의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한 쌍으로 통공(111, 112)이 관통형성되는 부력선(100);
    상기 부력선(100)의 전방 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통공(111, 112) 중 어느 하나의 통공(111)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는 배기연결관(200a)의 타단이 연결되며, 배기연결관(200a)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작동되는 컴프레서(200);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측 상부에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통공(111, 112) 중 다른 하나의 통공(112)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는 흡입연결관(300a)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컴프레서(200)의 배기에 의해 수중 바닥면에 침전된 상태에서 부유하는 침전물을 흡입연결관(300a)을 통해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상부로부터 일 측으로 절곡연장되는 배출구(310)를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되는 흡입펌프(300);
    상부에 배기연결관(200a)과 흡입연결관(300a)이 연통연결되며, 상기 배기연결관(200a)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출시켜 수중 바닥으로부터 부유하는 침전물을 흡입연결관(300a)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부유겸흡입처리구(400);
    상기 흡입펌프(300)의 배출구(310) 하부에 배치되며, 흡입펌프(300)의 배출구(310)로부터 배출되는 침전물의 수분을 압착 탈수처리하여 하향 안내되도록 하는 침전물탈수유닛(500);
    상기 흡입펌프(300) 일 측에 설치되되,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이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흡입펌프(300)의 배출구(310)로 배출되어 침전물탈수유닛(500)을 거쳐 압착 탈수되어 하향 낙하하는 침전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600);
    상기 이송 컨베이어(600)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부력선(100)의 후방 폭 방향 일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6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탈수처리된 침전물을 수집하는 침전물수집함(700); 및
    상기 부력선(100)의 통공(111, 112) 사이인 상판(110)에 대한 중앙 상면에 설치되며, 축전수단을 통해 축전되어 컴프레서(200), 흡입펌프(300), 침전물탈수유닛(500), 이송 컨베이어(60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축전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겸흡입처리구(400)는 상부에 배기연결관(200a)과 흡입연결관(300a)이 연통연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돔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부 중앙에 배기연결관(200a)이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배기연결구(411)가 돌출구비되고, 상부의 배기연결구(411) 일 측에 흡입연결관(300a)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흡입연결구(413)가 돌출구비되는 본체커버(410) 및
    상기 본체커버(410)의 중앙에 상기 배기연결구(200a)와 연통되게 하단이 역 삼각형 타입으로 볼록한 중공의 원기둥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분출공(431)이 관통형성되며, 상단이 배기연결구(200a)와 연통되게 본체커버(410)의 하면 중앙부분과 연결되는 배기분출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연결관(200a)과 상기 본체커버(410)의 배기연결구(411)는 한 쌍의 원터치 타입 커넥팅 구조를 갖는 배기커넥터(200b)를 통해 연결되는 한편,
    상기 흡입연결관(300a)과 상기 본체커버(410)의 흡입연결구(413)는 한 쌍의 원터치 타입 커넥팅 구조를 갖는 흡입커넥터(300b)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600)의 상부를 감싸도록 부력선(100)의 상판(110) 상부에 안착설치되는 설치프레임(510)과,
    상기 설치프레임(510)의 상부 폭 방향 중앙에 대하여 상,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설치함(520)과,
    상기 설치함(520)의 상단으로부터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으로 연통연결되며, 상부로부터 상기 흡입펌프(300)의 배출구(310)로 배출되는 침전물이 유입되는 유입호퍼(530) 및
    상기 설치함(520) 내부에 구동수단을 통해 한 쌍으로 상호 맞닿아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압출롤러(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의 유입호퍼(530)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내포하는 침전물로부터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 측 중앙부분에 배출구(53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531) 둘레를 따라 배출관(535)이 외향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출구(531)는 침전물을 제외한 수분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필터(53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탈수유닛(500)의 유입호퍼(530)는 내부의 상기 압출롤러(550)와 인접하는 개방된 하단이 긴밀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550)의 표면과 근접되는 내부의 양측 하단에 기밀 패드(53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부력선(100)이 선택적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부력선(100)의 상판(110) 후단 측에 설치되되,
    부력선(100) 후단 중앙에 설치되어 축전지(8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910)와,
    상기 모터(910)의 축에 연결설치되어, 모터(9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920) 및
    부력선(100)의 방향조절을 위해 모터(9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향조작레버(930)를 포함하는 기동수단(9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연결관(200a) 및 흡입연결관(300a)은 일정길이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KR1020190130259A 2019-10-18 2019-10-18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KR20210046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59A KR20210046491A (ko) 2019-10-18 2019-10-18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59A KR20210046491A (ko) 2019-10-18 2019-10-18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491A true KR20210046491A (ko) 2021-04-28

Family

ID=7572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259A KR20210046491A (ko) 2019-10-18 2019-10-18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64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450A1 (en) * 2022-10-05 2024-04-11 Gantzer Water, LLC Method and systems for oxygenation of water bodi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725A (ko) 1992-05-22 1993-12-21 제이. 제프리 홀리 도어가 장착된 세정 스테이션
KR100439741B1 (ko) 2002-06-14 2004-07-12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컨벡션 오븐
KR100457383B1 (ko) 2002-03-14 2004-11-16 김남천 호수 및 저수지의 수질 정화를 위한 퇴적물 처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725A (ko) 1992-05-22 1993-12-21 제이. 제프리 홀리 도어가 장착된 세정 스테이션
KR100457383B1 (ko) 2002-03-14 2004-11-16 김남천 호수 및 저수지의 수질 정화를 위한 퇴적물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0439741B1 (ko) 2002-06-14 2004-07-12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컨벡션 오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450A1 (en) * 2022-10-05 2024-04-11 Gantzer Water, LLC Method and systems for oxygenation of water bod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093B1 (ko)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CN103407555A (zh) 水上除藻设备
WO2019085419A1 (zh) 一种淤泥抽除设备
KR20210046491A (ko) 호수 및 저수지의 침전물 처리장치
KR100391034B1 (ko) 수상 부유물 제거장치
CN109939522A (zh) 一种除尘机组
CN113101727A (zh) 一种吸吹过滤系统及应用其的吸吹过滤方法
CN208412057U (zh) 吸入式漂浮物打捞船
CN208135929U (zh) 一种水上清污机器人浮油收集装置
KR102009621B1 (ko) 수중오염물 제거용 드론
CN215361771U (zh) 一种间歇式小型自动化一体式高效深度脱水清淤船
CN216640518U (zh) 一种表层取水设备
CN214597610U (zh) 一种矿山生活污水过滤装置
CN214061869U (zh) 一种具有疏通机构的土地整治用排水装置
CN115735843A (zh) 一种池塘底泥清理机器人
CN212685865U (zh) 水面垃圾自动清理机器人
CN212425479U (zh) 一种环保型污水悬浮物收集装置
CN212772534U (zh) 自然水源淤泥清理装置
CN211644889U (zh) 一种用于干湿交替水体净化处理的除藻装置
CN112554156A (zh) 一种自动式水面打捞漂浮物装置及其工作方法
KR0123407Y1 (ko) 조류 제거선의 조류 제거장치
CN209468775U (zh) 一种水利水电施工用排水装置
KR102602298B1 (ko) 녹조 제거용 자율주행 선박
CN219931199U (zh) 一种具有生活垃圾自回收功能的一体化提升泵站
CN212610208U (zh) 一种污水污泥一体化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