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989A -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989A
KR20210045989A KR1020217003694A KR20217003694A KR20210045989A KR 20210045989 A KR20210045989 A KR 20210045989A KR 1020217003694 A KR1020217003694 A KR 1020217003694A KR 20217003694 A KR20217003694 A KR 20217003694A KR 20210045989 A KR20210045989 A KR 20210045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distribution
tempered glass
glass
obtaining
tem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994B1 (ko
Inventor
사토시 오가미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 G01L1/241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material when it is stressed, e.g. by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using infrared, visible light, ultraviol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은, 사전 준비로서, 강화 조건이 다른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강화 유리에 대하여 응력 분포를 측정하고, 상기 응력 분포가 굴곡되는 위치의 유리 깊이보다 유리 표층측의 제1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와, 상기 유리 깊이보다 유리 심층측의 제2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응력 분포와 상기 제2 응력 분포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과,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으로 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를 구하는 스텝을 갖고, 상기 응력 분포를 구하는 스텝은, 측정 대상으로 되는 상기 강화 유리에 대하여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측정하는 스텝과,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표시부나, 하우징 본체에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유리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유리 표면에 이온 교환에 의한 표면층(이온 교환층)을 형성한, 소위 강화 유리가 사용된다.
근년은, 리튬을 함유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리튬을 함유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에 있어서, 유리 중의 리튬 이온과 용융염 중의 나트륨 이온의 이온 교환과, 유리 중의 나트륨 이온과 용융염 중의 칼륨 이온의 이온 교환을 양쪽 행한 화학 강화 유리가 알려져 있다.
리튬을 포함하고, 2종류의 이온 교환이 이루어진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는, 소정의 유리 깊이(DOL_TP)에 있어서 굴곡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굴절률 분포는 도 3과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강화 유리에 있어서, DOL_TP보다 유리 표층측의 응력 분포와, DOL_TP보다 유리 심층측의 응력 분포를, 동일한 장치에 의해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강화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강화 유리 하나하나에 대하여, DOL_TP보다 유리 표층측의 응력 분포와, DOL_TP보다 유리 심층측의 응력 분포를 다른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면, 측정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게 된다.
그래서, 강화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는 DOL_TP보다 유리 표층측의 응력 분포만을 측정하고, DOL_TP보다 유리 심층측의 응력 분포에 대해서는, 동일한 강화 조건에서 제작된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를 사전에 측정하고, 사전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있었다. 이에 의해, DOL_TP보다 유리 심층측의 응력 분포에 대해서는, 강화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측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측정 시간의 단축이 실현되고 있었다.
국제 공개 제2018/056121호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는, 강화 조건이 변동된 경우, DOL_TP보다 유리 심층측의 응력 분포의 산출 결과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밀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강화 유리에 있어서, DOL_TP보다 유리 심층측의 응력 분포의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은, 사전 준비로서, 강화 조건이 다른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강화 유리에 대하여 응력 분포를 측정하고, 상기 응력 분포가 굴곡되는 위치의 유리 깊이보다 유리 표층측의 제1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와, 상기 유리 깊이보다 유리 심층측의 제2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응력 분포와 상기 제2 응력 분포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과,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으로 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를 구하는 스텝을 갖고, 상기 응력 분포를 구하는 스텝은, 측정 대상으로 되는 상기 강화 유리에 대하여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측정하는 스텝과,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요건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강화 유리에 있어서, DOL_TP보다 유리 심층측의 응력 분포의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강화 유리의 깊이 방향의 응력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3은 강화 유리의 깊이 방향의 굴절률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강화 유리의 깊이 방향의 응력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CS2는 최표면의 응력값, CS_TP는 응력 분포가 굴곡되는 위치의 응력값, CT는 유리 최심부(즉, 판 두께 방향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응력값이다. 또한, DOL_TP는 응력 분포가 굴곡되는 위치의 유리 깊이, DOL_zero는 응력값이 제로로 되는 유리 깊이, DOL_tail은 응력값이 CT와 동일한 값으로 되는 유리 깊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DOL_TP보다 유리 표층측의 응력 분포를 제1 응력 분포, DOL_TP보다 유리 심층측의 응력 분포를 제2 응력 분포라고 하자.
제1 응력 분포와 제2 응력 분포는, 동일한 측정 원리에 의해 고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제1 응력 분포와 제2 응력 분포를 고정밀도로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측정 원리에 의해 별개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제1 응력 분포와 제2 응력 분포의 측정 원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응력 분포는, 예를 들어 광 웨이브 가이드 효과를 이용하여 유리 표면을 따라 광을 전반시켜, 광 탄성 기술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표면을 따라 전반시킨 광의, 출사면에 대하여 평행 및 수직으로 진동하는 2종의 광 성분(P 편광과 S 편광)에 대하여,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휘선을 갖는 2종의 휘선열로서 변환시킨다. 그리고, 2종의 휘선열을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에 의해 촬상하고, 2종의 휘선열의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휘선의 위치로부터, 2종의 광 성분에 대응한 강화 유리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에 걸친 굴절률 분포를 산출한다. 그리고, 2종의 광 성분의 굴절률 분포의 차와 유리의 광 탄성 상수에 기초하여, 강화 유리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에 걸친 제1 응력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응력 분포는, 예를 들어 오리하라 세이사쿠쇼제의 유리 표면 응력계 FSM-6000LE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단, 제1 응력 분포는, 상기 이외의 임의의 방법으로 측정해도 되며, 예를 들어 주지의 inverse WKB법(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9140543호 명세서 참조)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광 웨이브 가이드 효과를 이용한 측정은, 그 원리상, 유리 표면으로부터 유리 심층을 향하여 굴절률이 저하되는 부분밖에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제1 응력 분포의 측정에만 사용할 수 있다.
제2 응력 분포는, 예를 들어 레이저광의 편광 위상차와 산란광을 이용한 광 탄성 응력 측정의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광의 편광 위상차를, 레이저광의 파장에 대하여 1파장 이상 가변하고, 편광 위상차를 가변된 레이저광이 강화 유리에 입사됨으로써 발하는 산란광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복수회 촬상하여, 복수의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복수의 화상을 사용하여 산란광의 주기적인 휘도 변화를 측정하여, 휘도 변화의 위상 변화를 산출하고, 위상 변화에 기초하여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응력 분포는, 예를 들어 오리하라 세이사쿠쇼제의 산란광 광 탄성 응력계 SLP-1000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단, 제2 응력 분포는, 상기 이외의 임의의 방법으로 측정해도 된다. 제2 응력 분포는, 예를 들어 오리하라 세이사쿠쇼제의 산란광 광 탄성 응력계 SLP-2000, 유리 단면 응력계 SCALP-04 또는 SCALP-05나, 미국 CRi사제의 복굴절 이미징 장치 abrio 등을 사용하여 측정해도 된다. 또한, 산란광을 이용한 측정의 경우, 그 원리상, 유리 표면의 반사광이나 산란광이 유리 내부로부터의 산란광과 겹쳐 방해하게 되어 버려, 유리 표면 근방의 측정 정밀도가 낮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제2 응력 분포의 측정에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강화 유리의 제조 공정은, 제1 응력 분포 및 제2 응력 분포를 측정하고, 제1 응력 분포 및 제2 응력 분포에 기초하여 출하 판단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강화 유리 하나하나에 대하여, 제1 응력 분포 및 제2 응력 분포를 다른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면, 측정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화 조건이 다른 복수의 강화 유리에 대하여, 사전에 제1 응력 분포 및 제2 응력 분포를 각각에 적절한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고, 제1 응력 분포와 제2 응력 분포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도출한다. 그리고, 강화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는, 제1 응력 분포만을 측정하고, 제2 응력 분포는, 사전에 도출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일례이다. 도 2의 스텝 S10은, 강화 유리의 제조 공정과는 독립적으로 행하는 사전 준비의 공정이다. 스텝 S10에서는, 우선, 강화 조건이 다른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강화 유리에 대한 응력 분포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FSM-6000LE를 사용하여 제1 응력 분포를 측정하고, SLP-1000을 사용하여 제2 응력 분포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1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와 제2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응력 분포와 제2 응력 분포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도출한다.
제1 응력 분포는, 예를 들어 σ1(x, Bn)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강화 유리의 깊이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Bn은 피팅 파라미터를 의미하고 있다. Bn은 복수개여도 된다. 제1 응력 분포는, 예를 들어 직선 근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응력 분포는, 최표면의 응력값을 CS2, 강화 유리 표면에서의 응력의 기울기를 a라 하여, σ1(x, Bn)=CS2+aㆍx로 나타낼(피팅할) 수 있다. 여기서, B1=CS2, B2=a를 의미하고 있다.
제1 응력 분포는, 1차 이상의 함수에서, 2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있다면, 어떤 피팅 함수로 나타내도 된다. 스텝 S10에서 제1 응력 분포의 피팅에 사용하는 피팅 함수 σ1(x, Bn)은, 예를 들어 σ1(x, Bn)=B1ㆍerfc(B2ㆍx)로 해도 된다. 또한, σ1(x, Bn)=B1/B2 2ㆍ(x-B2)2로 해도 되고, σ1(x, Bn)=B1+B2ㆍx+B3ㆍx2+B4ㆍx3으로 해도 된다. 이들의 어느 경우에도 B1=CS2로 해도 된다. 또한, erfc는, 주지의 상보 오차 함수이다.
또한, 제2 응력 분포는, 예를 들어 σ2(x, Cm, CT)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강화 유리의 깊이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Cm은 스텝 S10에서 도출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파라미터 Cm은 복수개(C1, C2, …)여도 된다. 파라미터 Cm은, 예를 들어 강화 유리의 판 두께마다 도출할 수 있다. 혹은, 강화 유리의 판 두께를 파라미터에 포함시켜도 된다.
제1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와 제2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CS2와 Cm의 상관도나, a와 Cm의 상관도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을 사용하여 CS2 및 a와 Cm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m은, CS2와 a의 1차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Cm은 CS2와 a의 2차 이상의 함수로 나타내도 된다. 즉, Cm은, Bn의 1차 이상의 함수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20에서는, 측정 대상으로 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를 구한다. 스텝 S20은, 강화 유리의 제조 공정에 포함할 수 있다.
스텝 S20은, 측정 대상으로 되는 강화 유리에 대하여 제1 응력 분포를 측정하는 스텝 S201과, 스텝 S10에서 도출한 파라미터 Cm에 기초하여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하는 스텝 S202를 포함한다.
스텝 S201에서는, 측정 대상으로 되는 강화 유리에 대하여, 예를 들어 FSM-6000LE를 사용하여 제1 응력 분포를 측정한다. FSM-6000LE에 의해 CS2 및 a를 얻을 수 있다.
스텝 S202에서는,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한다(제2 응력 분포의 측정은 행하지 않음). 제2 응력 분포를 σ2(x, Cm, CT)로 나타낸 경우, Cm은 CS2와 a의 1차 이상의 함수이지만, CS2와 a는 스텝 S201에서 기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Cm도 기지이다. 그렇게 되면, σ2(x, Cm, CT)에 있어서 미지인 값은 CT뿐이므로, 스텝 S202에 있어서 CT를 구함으로써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
CT는, 스텝 S201에서 측정한 제1 응력 분포와, σ2(x, Cm, CT)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응력 분포의 적분값(x=0 내지 t/2, t는 측정 대상으로 되는 강화 유리의 판 두께)이 제로로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응력의 총합이 0인 것에 기초하는 것이다.
상기 적분에 의해, σ2(x, Cm, CT)에 있어서 미지의 값은 없어지고, 제2 응력 분포가 산출된다. 이에 의해, 제1 응력 분포와 제2 응력 분포를 합성한 강화 유리 전체의 응력 분포가 얻어진다. 얻어진 전체의 응력 분포(제1 응력 분포 및 제2 응력 분포)에 기초하여 강화 유리의 출하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전 준비로서, 강화 조건이 다른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강화 유리에 대한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응력 분포와 제2 응력 분포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한다.
이에 의해, 사전에 측정한 동일 조건의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에 기초하여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강화 조건의 변동에 기인하는 오차를 저감 가능하게 되어, 제2 응력 분포의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강화 횟수가 많아지면 오차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을 채용하는 장점이 커진다.
[실시예, 비교예]
처음에, 도 2에 도시하는 스텝 S10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 두께 0.7mm의 리튬 함유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를 표 1에 나타내는 4개의 강화 조건(조건 1 내지 조건 4)에서 화학 강화하여 강화 유리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 강화 유리에 대하여, 제1 응력 분포를 FSM-6000LE(오리하라 세이사쿠쇼제: 이후, FSM이라고 함)로 측정하고, 또한 제2 응력 분포를 SLP-1000(오리하라 세이사쿠쇼제: 이후, SLP라고 함)으로 측정하여, 도 1에 도시한 응력 분포의 특성값을 얻었다. 얻어진 특성값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특성값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파라미터를 도출한다. FSM으로 측정한 제1 응력 분포의 측정값은, σ1(x, Bn)=CS2+aㆍx로 피팅하였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SLP로 측정하는 제2 응력 분포는, 측정 결과에 식 (1)을 피팅한다. 그래서, 비교를 위해, 조건 1 내지 조건 4에서 화학 강화한 4개의 강화 유리의 SLP에 의한 측정 결과(제2 응력 분포)를 식 (1)로 피팅하여, 평균 파라미터 CS0과 c를 얻었다(표 3의 비교예).
Figure pct00003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조건 1 내지 조건 4에서 화학 강화한 4개의 강화 유리의 SLP에 의한 측정 결과(제2 응력 분포)를 식 (2)로 피팅하여, 파라미터 C1 내지 C6을 얻었다(표 3의 실시예). 응력의 기울기 a는, FSM으로 측정되는 CS값과 DOL의 제산으로 얻어도 된다. 또한, 피팅은 최소 제곱법 등에 의해 오차가 최소로 되도록 구해도 된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다음에, 도 2의 스텝 S2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화염의 농도를 변경한 샘플을 8종류 준비하고, FSM으로 제1 응력 분포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FSM으로 측정한 제1 응력 분포의 결과와 표 3의 비교예의 파라미터로부터 도출되는 제2 응력 분포로부터 CT를 얻었다(표 4의 비교예). 또한, FSM으로 측정한 제1 응력 분포의 결과와 표 3의 실시예의 파라미터로부터 도출되는 제2 응력 분포로부터 CT를 얻었다(표 4의 실시예). 또한, 비교를 위해 SLP로도 CT를 실측하여,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얻어진 CT와 함께 표 4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측값과 비교예의 상관 계수, 및 실측값과 실시예의 상관 계수를 표 4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6
표 4에 나타내는 상관 계수로부터, 실시예 쪽이 비교예보다 실측값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피팅 함수 σ2에, 강화 조건이 다른 강화 유리에 대한 FSM의 측정값을 파라미터의 일부로서 넣음으로써, 측정하는 강화 유리가 바뀌어도 고정밀도로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금회, 스텝 S10에 있어서, 강화 유리의 강화 조건의 변경의 예로서 강화염의 농도를 변경하였지만, 유리의 판 두께나 강화 온도ㆍ강화 시간을 변경해도 되며, 변경하는 조건에 제한은 없다.
또한, 강화염의 농도는 양산 시와 마찬가지로, 용융염에 새로운 강화 유리를 몇 번이나 강화하였을 때 증감하는 용융염을 첨가해도 된다. 예를 들어, 2회째의 화학 강화는 KNO3, NaNO3, LiNO3의 혼합염을 사용하였지만, KNO3, NaNO3, LiNO3의 3종 혼합으로 해도 된다.
유리의 판 두께를 변경한 경우, Cm은 판 두께의 1차 이상의 함수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응력 분포를 식 (3)으로 피팅해도 된다. 판 두께는, 스텝 S20에 있어서, 응력 측정할 때, 동시에 측정해도 된다.
Figure pct00007
강화 시간 tCS와 강화 시간 TCS를 변경한 경우에는, Cm은 강화 시간 tCS와 강화 시간 TCS의 1차 이상의 함수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응력 분포를 식 (4)로 피팅해도 된다.
Figure pct00008
강화염 농도, 유리판 두께를 각각 변경한 경우에는, 제2 응력 분포를 식 (5)로 피팅해도 된다. 판 두께는, 스텝 S20에 있어서, 응력 측정할 때, 동시에 측정해도 된다.
Figure pct00009
강화염 농도, 유리판 두께, 강화 온도, 강화 시간을 각각 변경한 경우에는, 제2 응력 분포를 식 (6)으로 피팅해도 된다. 판 두께는, 스텝 S10 및/또는 S20에 있어서, 응력 측정할 때, 동시에 측정해도 된다.
Figure pct00010
또한, 제1 응력 분포를 σ1(x, Bn)=B1+ΣBn+1ㆍxn으로 피팅하고, 제2 응력 분포를 식 (7)로 피팅해도 된다.
Figure pct00011
또한, 제1 응력 측정 시에 강화 유리의 굴절률 또는 굴절률 분포를 측정하고, 그 특성값을 사용하여 Cm의 함수로 해도 된다. 특성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강화 유리의 표층 굴절률, 최심부 굴절률, 굴절률의 최솟값, 굴절률 변화의 변화율의 최댓값ㆍ최솟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Cm은 강화 유리의 표층 굴절률 또는 최심부 굴절률의 1차 이상의 함수로 할 수 있다.
본 국제 출원은 2018년 8월 29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6021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60215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Claims (23)

  1.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으로서,
    사전 준비로서, 강화 조건이 다른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강화 유리에 대하여 응력 분포를 측정하고, 상기 응력 분포가 굴곡되는 위치의 유리 깊이보다 유리 표층측의 제1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와, 상기 유리 깊이보다 유리 심층측의 제2 응력 분포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응력 분포와 상기 제2 응력 분포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과,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으로 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를 구하는 스텝을 갖고,
    상기 응력 분포를 구하는 스텝은,
    측정 대상으로 되는 상기 강화 유리에 대하여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측정하는 스텝과,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σ1(x, Bn), 상기 제2 응력 분포를 σ2(x, Cm, CT)로 피팅하였을 때, Bn과 Cm의 관계를 도출하는(단, x는 강화 유리의 깊이 방향의 위치, Bn 및 Cm은 피팅 파라미터, CT는 강화 유리의 유리 최심부의 응력값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응력 분포를 산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측정하는 스텝에서 측정한 상기 제1 응력 분포와, 상기 σ2(x, Cm, CT)를 합성하고, 합성 후의 응력 분포의 적분값(x=0 내지 t/2, t는 측정 대상으로 되는 강화 유리의 판 두께)이 제로로 되는 CT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σ1(x, Bn)=CS2+aㆍx로 피팅하는(단, CS2는 강화 유리의 최표면의 응력값, a는 강화 유리 표면에서의 응력의 기울기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σ1(x, Bn)=B1ㆍerfc(B2ㆍx)로 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σ1(x, Bn)=B1/B2 2ㆍ(x-B2)2로 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제1 응력 분포를 σ1(x, Bn)=B1+B2ㆍx+B3ㆍx2+B4ㆍx3으로 피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1을 CS2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m은, 상기 CS2와 상기 a의 1차 이상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m은, 상기 Bn의 1차 이상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σ2(x, Cm, CT)로서, 식 (2)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Figure pct00012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에서는, 강화 조건이 다른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강화 유리에 대하여, 적어도 강화염의 염 농도를 변경한 유리를 준비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스텝에서는, 강화 조건이 다른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강화 유리에 대하여, 적어도 판 두께를 변경한 유리를 준비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1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m은, 판 두께 t의 1차 이상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σ2(x, Cm, CT)로서, 식 (3)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Figure pct00013
  1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m은, 강화 시간 tCS와 강화 시간 TCS의 1차 이상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σ2(x, Cm, CT)로서, 식 (4)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Figure pct00014
  18. 제4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σ2(x, Cm, CT)로서, 식 (5)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19. 제4항,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σ2(x, Cm, CT)로서, 식 (6)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σ2(x, Cm, CT)로서, 식 (7)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2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m은, 강화 유리의 표층 굴절률 또는 최심부 굴절률의 1차 이상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 유리가 리튬 함유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23.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에 의해 취득한 상기 제1 응력 분포 및 상기 제2 응력 분포에 기초하여 출하 판단을 행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217003694A 2018-08-29 2019-08-14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667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0215 2018-08-29
JPJP-P-2018-160215 2018-08-29
PCT/JP2019/031953 WO2020045093A1 (ja) 2018-08-29 2019-08-14 強化ガラスの応力分布の取得方法、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989A true KR20210045989A (ko) 2021-04-27
KR102667994B1 KR102667994B1 (ko) 2024-05-2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121A1 (ja) 2016-09-26 2018-03-29 有限会社折原製作所 強化ガラスの応力測定装置、強化ガラスの応力測定方法、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強化ガラ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121A1 (ja) 2016-09-26 2018-03-29 有限会社折原製作所 強化ガラスの応力測定装置、強化ガラスの応力測定方法、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強化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34228B (zh) 2022-08-16
CN112534228A (zh) 2021-03-19
WO2020045093A1 (ja) 2020-03-05
JP2023089250A (ja) 2023-06-27
JPWO2020045093A1 (ja) 202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9793B (zh) 对含有锂的经过离子交换的化学强化玻璃进行表征的方法
TWI704113B (zh) 經離子交換化學強化之含鋰玻璃的特徵測定方法
US7576021B2 (en) Mother glass composition for graded index lens, graded index lens, manufacturing method of graded index lens, optical product and optical instrument using the same
US10687052B2 (en) Camera parameter calcul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camera parameter calculation apparatus, and camera parameter calculation system
CN102815859B (zh) 强化玻璃及其制造方法、该强化玻璃的表面应力测定方法
CN103809237B (zh) 光电混载基板
CN112969941B (zh) 多芯光纤和光传输方法
US9661193B2 (en) Imaging apparatus and analyzing apparatus
EP2833168A1 (en) Transmission diffractive optical element and measuring device
CN104729427B (zh) 一种自适应多频时空彩色编码的光学三维轮廓测量方法
JP5025106B2 (ja) 偏心測定方法、偏心測定装置及び非球面単レンズの製造方法
EP3014320B1 (en) Bend-insensitive multimode optical fiber with reduced impact of leaky modes
KR102667994B1 (ko)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KR20210045989A (ko) 강화 유리의 응력 분포의 취득 방법,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EP18939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filing and synchronizing a fleet of color measurement instruments
CN114112131A (zh) 强化玻璃的应力测定装置、强化玻璃的应力测定方法、强化玻璃
CN115018924A (zh) 一种水下相机的关键参数标定方法
CN111953970B (zh) 一种集成成像三维显示系统单元透镜位置测量方法及系统
JP2023523357A (ja) マルチファイバライトガイド、マルチファイバライトガイドを備えた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85643A (ko) 광섬유 내부 진행 모드들의 분율 및 위상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JP6666037B2 (ja) 校正方法、プログラム、計測装置、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JP3735063B2 (ja) 光ファイバ母材の屈折率測定方法
CN109188836A (zh) 校正光源图案的中心点至投影光学器件的中心轴的方法
JP2014112077A5 (ko)
JP2947423B2 (ja) 光ファイバ母材の屈折率分布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