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638A -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638A
KR20210045638A KR1020190128914A KR20190128914A KR20210045638A KR 20210045638 A KR20210045638 A KR 20210045638A KR 1020190128914 A KR1020190128914 A KR 1020190128914A KR 20190128914 A KR20190128914 A KR 20190128914A KR 20210045638 A KR20210045638 A KR 2021004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eenhouse
cover
humidity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0154B1 (en
Inventor
임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라인
Priority to KR102019012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154B1/en
Publication of KR2021004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which can perform natural humidification by sunlight from the upper part of the greenhouse in a high temperature and dry condition, and can perform dehumidification for the increased humidity when the artificial greenhouse is closed for the winter temperature rise, by utilizing the moisture absorption capacity of porous activated carbon located at the top of the greenhouse. Additionally, the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pread of diseases and pests in the greenhouse atmosphere using a sterilizing effect of the activated carbon.

Description

온실용 습도제어장치{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온실 상부에 위치한 다공성 활성탄의 습기 흡수능력을 활용하여 고온건조 시 온실 상부에서 내려쬐는 햇볕에 의한 자연가습 및 동계 온도 상승을 위한 인위적 온실 폐쇄시 높아진 습도에 대한 제습역활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탄의 살균효과를 이용하여 온실 대기 중의 병충해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moisture absorption ability of the porous activated carbon located at the top of the greenhouse, and can act as a dehumidification function against increased humidity when the artificial greenhouse is closed to increase the winter temperature and natural humidification by the sunlight from the top of the greenhouse during high temperature drying. In addition, it relates to a humidity control device for a greenhouse that can prevent the spread of pests and pests in the greenhouse atmosphere by using the steriliza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일반적으로, 온실은 계절에 따른 외부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실내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구조물로서, 채소나 과일, 농작물, 원예작물 등을 계절에 관계없이 수확할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a greenhouse is a structure that maintains the indoor temperature appropriately for cultivating plants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season. Vegetables, fruits, crops, horticultural crops, etc. can be harvested regardless of the season. .

이러한 온실의 구조를 살펴보면, 지주 파이프가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박혀 설치되고, 파이프가 지주파이프들 사이에 지주파이프를 가로질러 지주파이프들에 고정되며, 파이프의 외측에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비닐소재 또는 유리가 설치되어 고정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such a greenhouse, post pipes are installed i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the pipes are fixed to the post pipes across the post pipes between the post pipes, and transparent plastic, vinyl material, or glass is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pipe. It is installed and fixed.

이와 같은 온실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온실의 지붕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천창을 이용하여 지붕을 밀폐하면서도 지붕의 폐쇄에 따른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붕 개폐형 온실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96626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relation to such greenhouses, recently, a roof-opening type greenhouse, which allows the roof of the greenhouse to be easily opened and closed, and prevents deformation and damage caused by the closing of the roof while sealing the roof using a skylight, has been registered in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It has been proposed as number 10-1996626.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96626호 등으로 제안된 사항은 온실 환기를 위한 것으로 고온시 계속 개방은 고온 상승을 저하시키기 위한 환기기능이 되어도 오히려 습도를 저하시켜서 병해충의 발생 빈도를 높이는 원인이되며 외부 온도가 낮아 보온을 위해 환기를 못할 경우 제습을 위한 대책이 없어 포화증기입자가 안개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의 다습조건은 대부분 병원균발아와 침입에 좋은 조건을 제공하는데 가온상태의 제습 기능 제품이 없어 이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However, the matters proposed by the abov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96626 are for greenhouse ventilation, and continuous opening at high temperatures reduces the humidity even though the ventilation function to reduce the high temperature rise, rather than reduc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pests and pests.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low and ventilation is not possible for warmth, there is no measure for dehumidification, so when saturated steam particles are in a fog state, the humid conditions most provide good conditions for germination and invasion of pathogens. Since there is no functional product, the development of this is urgent.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79999호 등으로 제안된 온실 내부의 가습기능은 미세한 입자를 공중에 살포하는 방식으로 이는 물입자의 특성상 대부분이 기화되지 않아서 이는 하부로 자연 낙하되어 토양의 수분을 높이거나 온실내 작업자 머리나 떨어지는 것으로 공기중 습도를 가습하는 기능으로는 효과가 미약하고 제습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function inside the greenhouse proposed b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79999 is a method of spraying fine particles into the air. This is because most of the water particles are not vaporized due to the nature of water partic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is weak and there is no dehumidification function as a function of humidifying the humidity in the air by increasing moisture or falling off the head of a worker in the greenhouse.

이상기온의 변화로 한여름 온실 하우스 측창을 다 개방하여도 온도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팬을 설치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으나 대기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져서 고온성 병균이나 해충의 발현을 발생시키고, 열매 수분에 변형을 초래하여 변형발생, 수정률 불량 등으로 상품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Due to the change in the ideal temperature,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temperature even when the side windows of the greenhouse in the middle of the summer are opened.Therefore, the number of farmers installing fans is increasing, but the atmospheric humidity is relatively low, causing the expression of high temperature germs and pests, and deformation of fruit moisture. As a result, the product quality is lowered due to deformation and poor correction rates.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9662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996626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7999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87999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온실 상부에 위치한 다공성 활성탄의 습기 흡수능력을 활용하여 고온건조 시 온실 상부에서 내려쬐는 햇볕에 의한 자연가습 및 동계 온도 상승을 위한 인위적 온실 폐쇄시 높아진 습도에 대한 제습역활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탄의 살균효과를 이용하여 온실 대기 중의 병충해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utilizing the moisture absorption ability of the porous activated carbon located on the top of the greenhouse, the artificial greenhouse closed for natural humidification and winter temperature increase by the sun shining down from the top of the greenhouse during high temperature dry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umidity control device for a greenhouse that can not only act as a dehumidifying function against the increased humidity during the day, but also prevent the spread of pests and pests in the greenhouse atmosphere by using the steriliza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실의 천장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활성탄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on the ceiling of a greenhouse, and a housing in which an upp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Activated carb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It provides a humidity control device for a greenhouse comprising a;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to supply water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고, 다공이 형성된 커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cover is provided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has a porous structure.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또한, 상기 커버의 하단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나아가, 상기 물공급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중앙에 상기 물공급부의 노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nozzle for spraying water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nozzle of the water supply unit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더불어, 상기 커버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상기 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커버의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커버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낙수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all prevention plate is formed on the lower one side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cover, which slopes up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v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ver, respectively, toward the outside of one side of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아울러, 상기 낙수방지판의 전측과 후측에 보조낙수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fall prevention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fall prevention plate.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에 각각 저수위검출부 및 고수위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수위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고수위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물공급부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a high water level detection unit are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by an output signal of the high level detec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rol unit to block.

또한,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내에 하우징 습도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습도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로의 물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is preferable.

그리고,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내의 습기를 상기 온실의 내부로 배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온실의 습도를 검출하는 온실습도검출부와; 상기 온실습도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blower fan provided in the cover for discharging moisture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to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A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humidity of the greenhouse; It is preferable that it comprises 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나아가, 상기 온실의 천장 파이프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고리와, 상기 걸림고정고리의 하부방향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하우징이 안착고정되는 고정대로 구성되는 하우징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ocking ring that is fixed to the ceiling pipe of the greenhouse, and a housing fixing part provid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locking ring and configured of a fixing rod on which the housing is seated and fixed.

아울러, 상기 하우징 고정부의 고정대의 일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jaw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table of the housing fixing part and is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본 발명은 온실의 천장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수용홈에 수용된 활성탄에 물공급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므로서, 수분을 머금은 활성탄이 온실 상부에 내리쬐는 햇볕에 의해 온실 내부의 자연 가습 및 제습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탄의 살균효과를 이용하여 온실 대기 중의 병충해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water through a water supply to the activated carb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so that activated carbon containing moisture can play a role of natural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inside the greenhouse by the sun sh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greenhous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pread of pests and pests in the greenhouse atmosphere by using the steriliza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온실용 습도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하우징의 내부에 활성탄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커버의 하단부 일측이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물공급부와 커버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커버에 낙수방지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하우징의 수용홈에 저수위검출부와 고수위검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1은 온실의 천장에 하우징과 물공급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하우징 고정부로부터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하우징 고정부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온실의 천장에 하우징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6은 커버에 송풍팬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ctivated carbon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water supply unit and a cov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fall prevention plate is formed on the cover,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a high water level detection unit are provided in an accommodation groove of a housing,
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 unit,
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and a water supply unit are arranged on the ceiling of a greenhous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fixing part,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fixing part and a housing are combined,
14 is a front view of FIG. 13,
1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fixing part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1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wer fan is provided in the cov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온실용 습도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하우징의 내부에 활성탄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ctivated carbon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온실용 습도제어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활성탄(20) 및 물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ctivated carbon 20, and a water supply unit.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사각함, 원형함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햇볕에 의한 상기 하우징(10) 외부로의 수분방출효과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활성탄(20)으로 너무 많은 양의 물이 한번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단면형상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특히 우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First,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a circular shape, etc., but preferably, the housing 10 improves the moisture dissipation effec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by sunlight. In order to prevent too much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activated carbon 20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using 10 is formed in an arc shape convex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n particular a friendly shape. It is good.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수용홈(110)이 형성된다.An accommodation groove 110 is formed in the housing 10.

상기 수용홈(110)의 상부는 개방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0 is opened.

상기 하우징(10)은 온실의 천장에 1개 또는 복수배치될 수 있다.One or more housings 10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다음으로, 상기 활성탄(20)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에 수용된다.Next, the activated carbon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상기 활성탄(20)의 교체보수용이성, 세척용이성 및 관리용이성 향상을 위해 상기 활성탄(20)은 그물망(21)에 담겨질 수 있다.The activated carbon 20 may be contained in the mesh 21 in order to improve the ease of replacement, maintenance, cleaning, and management of the activated carbon 20.

다음으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Next, the water supply unit is disposed above the housing 10 to supply water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온실의 천장에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에 수용된 상기 활성탄(20)에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므로서, 수분을 머금은 활성탄(110)이 온실 상부에 내리쬐는 햇볕에 의해 온실 내부의 자연 가습 및 제습역할을 하여 온실 대기 상대습도가 60%로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탄의 살균효과를 이용하여 온실 대기 중의 병충해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supplying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to the activated carbon 2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the activated carbon 110 containing moisture is exposed to the sun shining on the top of the greenhous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perly maintain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greenhouse atmosphere at 60% by acting as a natural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function inside the greenhouse, as well as preventing the spread of pests and pests in the greenhouse atmosphere by using the steriliza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다공(410)이 형성된 커버(40)가 결합될 수 있다.Next,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a cover 40 having a porous 41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may be coupled. .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습기는 상기 커버(40)의 다공(410)을 통해 온실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Moisture inside the housing 10 may be discharged into the greenhouse through the pores 410 of the cover 40.

도 3은 커버의 하단부 일측이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커버(40)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겠으나, 상기 커버(40)의 분실 방지 및 상기 커버(40)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의 상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하단부 일측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in various ways, such as fixing bolts, but the housing 10 is prevented from being lost and the cover 40 is used to prevent loss of the cover 40.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10,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40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3.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전측방향과 후측방향으로도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상기 활성탄(20)을 이용한 온실 내부의 자연 가습 및 제습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4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isture inside the housing 10 is easily discharged eve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over 40 so that the natural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efficiency of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using the activated carbon 20 can be further improved. For this purpose, the cover 4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hat is convex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도 4는 물공급부와 커버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cover,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한편, 앞서 상술한 상기 물공급부(30)는 일예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관(310)과 노즐(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supply unit 30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pipe 310 and a nozzle 320 as shown in FIGS. 4 and 5.

상기 배관(310)의 전측은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310)의 후측이 펌프(30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300)에 의해 상기 배관(31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The front side of the pipe 310 may be closed, and the rear side of the pipe 310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300 so that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pipe 310 by the pump 300.

상기 노즐(320)은 상기 배관(310)의 하부에 1개 또는 복수개로 상기 배관(3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로 물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는 할 수 있다.One or more nozzles 320 are installed under the pipe 31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pipe 310 to spray water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Can be sprayed.

상기 커버(4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노즐(320)이 일정깊이로 삽입되는 관통공(420)이 구비될 수 있다.A through hole 420 through which the nozzle 320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cover 40.

복수개의 상기 노즐(320)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일예로 특히, 복수개의 상기 노즐(320)이 상기 펌프(300)에 의해 일정한 압력 이상의 물이 공급될 때 복수의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로 물을 공급하여 복수의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 모두로 균일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압 포그노즐 등의 고압노즐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nozzles 320 may be of various types, but for example, in particular, when the plurality of nozzles 320 are supplied with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by the pump 300, the plurality of housings 10 In order to supply water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and supply a uniform amount of water to all of the receiving grooves 110 of the plurality of housings 10, it may be made of a high-pressure nozzle such as a high-pressure fog nozzle.

도 6은 커버에 낙수방지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fall prevention plate is formed on the cover,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다음으로, 상기 물공급부(30)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로 공급하는 물의 일부가 상기 커버(40)의 다공(410)을 통해 상기 커버(4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방향으로 낙하하여 작물에 떨어질 경우, 상기 작물에 병해충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낙수방지판(50)이 형성될 수 있다.Next, a part of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unit 30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40 through the pores 410 of the cover 40. When fall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falling on the crop, it causes pests to occur in the crop. To prevent this, the lower one side of the cover 4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ver 40 as shown in FIGS. 6 and 7 A fall prevention plate 5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상기 낙수방지판(50)은 상기 커버(4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커버(4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질 수 있다.The water fall prevention plate 50 may be inclined upwardly toward one side of the cover 4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40 from the bottom of the cover 40 to the top.

상기 낙수방지판(50)과 상기 커버(40)의 하부 일측 사이 및 상기 낙수방지판(50)과 상기 커버(40)의 하부 타측 사이에 고인 물(2)은 상기 커버(40)의 다공(41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로 유입될 수 있다.The water 2 accumulated between the water drop prevention plate 50 and the lower one side of the cover 40 and between the water drop prevention plate 50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cover 40 is formed by the pores of the cover 40 (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through 410.

상기 낙수방지판(50)과 상기 커버(40)의 하부 일측 사이 및 상기 낙수방지판(50)과 상기 커버(40)의 하부 타측 사이에 고인 물(2)이 상기 낙수방지판(50)의 전측하부방향 및 후측하부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낙수방지판(50)의 전측과 후측에는 상기 커버(40)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보조낙수방지판(6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2) accumulated between the falling water preventing plate 50 and the lower one side of the cover 40 and between the falling water preventing plate 50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cover 40 In order to prevent falling in the front and bottom directions and in the rear and bottom directions, an auxiliary fall prevention plate 60 extending i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40 is vertically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all prevention plate 50. Can be formed.

도 8 및 도 9는 하우징의 수용홈에 저수위검출부와 고수위검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a high water level detection unit are provided in an accommodation groove of a housing.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의 하부에 각각 저수위검출부(70) 및 고수위검출부(8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8 and 9, a low water level detection part 70 and a high water level detection part 80 may be provided below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상기 저수위검출부(7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70 may be of various types, and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상기 고수위검출부(8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저수위검출부(7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수위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igh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may be of various types, as an example,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70 Can be done.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ler.

그리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수위검출부(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30)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고수위검출부(8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30)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30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70, and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unit 30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high level detection unit 80. A control unit 90 may be provided to cut off the supply.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수위검출부(70)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의 물을 감지하고, 상기 고수위검출부(80)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의 물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의 물이 저수위인것으로 판단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300)는 전원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어 상기 물공급부(30)의 배관(31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part 70 detects water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and the high water level detection part 80 detects water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When it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90 determines that the water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is at a low level, and the pump 3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It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100 to supply water to the pipe 310 of the water supply unit 30.

도 9에서 상기 저수위검출부(70)와 상기 고수위검출부(80) 모두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의 물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의 물이 고수위인것으로 판단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기 펌프(300)를 작동중지될 수 있다.In FIG. 9, when both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70 and the high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detect water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the control unit 90 is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10.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at the water in 110 is at a high level, the pump 300 may be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하우징 습도검출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8 and 9, a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200 for detecting humidity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I can.

상기 하우징 습도검출부(2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고수위검출부(8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습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200 may be of various types, and as an example, a humidity sensor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igh water level detection unit 80. Can be done.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하우징 습도검출부(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30)로의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30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200.

일예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하우징 습도검출부(200)가 검출한 습도값과 상기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된 기준습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물공급부(30)로의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30 by comparing a humidity value detected by the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200 with a reference humidity value preset in the control unit 90. .

상기 하우징 습도검출부(200)가 검출한 습도값이 기준습도값을 이상인 경우, 상기 물공급부(30)의 배관(310)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30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When the humidity value detected by the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200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humidity value, the pump 3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so that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pipe 310 of the water supply unit 30. ) Can be deactivated.

상기 하우징 습도검출부(200)가 검출한 습도값이 기준습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물공급부(30)의 배관(310)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300)는 작동될 수 있다.When the humidity value detected by the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2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humidity value, the pump 3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90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pipe 310 of the water supply unit 30. It can work.

도 11은 온실의 천장에 하우징과 물공급부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and a water supply unit are arranged on the ceiling of a greenhouse.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 고정부(400)에 의해 상기 온실(3)의 천장 파이프(31)에 배치될 수 있다.Next, the housing 10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pipe 31 of the greenhouse 3 by the housing fixing part 400 as shown in FIG. 11.

도 12는 하우징 고정부로부터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하우징 고정부와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fixing part,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fixing part and the housing are combined.

상기 하우징 고정부(40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고정부(400)는 탄성력을 지닌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크게, 걸림고정고리(401)와 고정대(402)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fixing part 400 may be made of a plurality, and the housing fixing part 40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having elasticity, and as an example, a locking ring 401 And it may be composed of a fixture (402).

상기 걸림고정고리(401)의 내측에 상기 온실(3)의 천장 파이프(31)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걸림고정고리(401)는 상기 온실(3)의 천장 파이프(31)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ceiling pipe 31 of the greenhouse 3 is accommodated inside the locking ring 401, the locking ring 401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ceiling pipe 31 of the greenhouse 3 Can be.

상기 고정대(402)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및 후측이 각각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대(402)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table 402 are vertically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ousing 10 can be seated and fixed on the inside of the fixing table 402, respectively. Can be.

상기 고정대(402)의 타측 상부는 상기 걸림고정고리(401)의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402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ring 401.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14 is a front view of FIG. 13.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고정대(402)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10)이 안정적으로 안착고정되어 상기 고정대(40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대(402)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턱(403)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housing 10 to be stably seated and fixed on the inside of the fixing table 402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table 402, the housing 10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ixing table 402. A locking jaw 403 that is locked and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may be formed.

일예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걸림고정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4, a locking groove 120 extending back and forth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걸림고정턱(403)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되어 상기 걸림고정홈(120)내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locking jaw 403 may be horizontally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one side direction of the housing 10 so as to be lock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 120.

도 15는 온실의 천장에 하우징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1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fixing part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상기 하우징(10)은 도 11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온실(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1 and 15, a plurality of the housings 1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greenhouse 3.

도 16은 커버에 송풍팬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1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wer fan is provided in the cover.

다음으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풍팬(500)과 온실습도검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6, a blowing fan 500 and a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600 may be provided.

상기 송풍팬(500)은 상기 커버(40)의 전측 내부 또는 후측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의 습기를 상기 온실(3)의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blower fan 5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cover 40 to discharge moisture in the receiving groove 110 of the housing 10 to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3.

상기 송풍팬(500)의 프레임(501)은 상기 커버(40)의 전측 내부 또는 후측 내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frame 501 of the blower fan 500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bolting, to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cover 40.

상기 온실습도검출부(60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온실(3)의 내부 일측 또는 내부 타측에 구비되거나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주면 또는 타측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온실(3)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600 may be of various types, for example, provided on one inner side or the other inner side of the greenhouse 3, or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 or It may be formed of a humidity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outer peripheral surface to detect the humidity of the greenhouse (3).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온실습도검출부(6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5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the blowing fan 500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600.

일예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온실습도검출부(600)가 검출한 습도값과 상기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실습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송풍팬(500)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90 may control the blowing fan 500 by comparing a humidity value detected by the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600 with a referenc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 preset in the control unit 90.

상기 온실습도검출부(600)가 검출한 습도값이 기준온실습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송풍팬(50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When the humidity value detected by the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6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room humidity value,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500 may be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상기 온실습도검출부(600)가 검출한 습도값이 기준온실습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송풍팬(500)이 작동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홈(110)내의 습기가 상기 송풍팬(500)에 의해 상기 온실(3)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n the humidity value detected by the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6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room humidity value, the blowing fan 50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90 to Moisture may be discharged into the greenhouse 3 by the blowing fan 500.

10; 하우징, 20; 활성탄,
30; 물공급부.
10; Housing, 20; Activated carbon,
30; Water supply.

Claims (12)

온실의 천장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활성탄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A housing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greenhouse and having a receiving groove through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ctivated carbon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a water supply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to supply water in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고, 다공이 형성된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provided with a cover formed with a ho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단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중앙에 상기 물공급부의 노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nozzle for spraying water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unit,
A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nozzle of the water supply unit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상기 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커버의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커버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는 낙수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a fall prevention plate is formed on one lower side of the cover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cover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v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over, respectively, which slopes upwardly toward one side of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방지판의 전측과 후측에 보조낙수방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6,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a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fall prevention plat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fall prevention pla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의 에 각각 저수위검출부 및 고수위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수위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고수위검출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물공급부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5,
Each of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a high level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low water level detection unit and blocking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high water level detection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내에 하우징 습도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습도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물공급부로의 물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housing humidity detection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내의 습기를 상기 온실의 내부로 배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온실의 습도를 검출하는 온실습도검출부와;
상기 온실습도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blowing fan provided on the cover to discharge moisture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into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A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humidity of the greenhous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greenhouse humidity detection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의 천장 파이프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고리와, 상기 걸림고정고리의 하부방향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하우징이 안착고정되는 고정대로 구성되는 하우징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housing fixing part configured to be hooked and fixed to the ceiling pipe of the greenhouse, and a fixing rod provid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hook and fixed to the housing on the inside thereof. Humidity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의 고정대의 일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humidity control device for a greenhouse,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jaw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table of the housing fixing part and fix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housing.
KR1020190128914A 2019-10-17 2019-10-17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KR102340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914A KR102340154B1 (en) 2019-10-17 2019-10-17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914A KR102340154B1 (en) 2019-10-17 2019-10-17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638A true KR20210045638A (en) 2021-04-27
KR102340154B1 KR102340154B1 (en) 2021-12-16

Family

ID=7572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914A KR102340154B1 (en) 2019-10-17 2019-10-17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1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09B1 (en) * 2011-11-28 2012-05-15 주식회사 에스티 Humidification induced equipment of humidifier
KR101879999B1 (en) 2017-10-18 2018-07-19 유환기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system using spray nozzle
KR101912856B1 (en) * 2018-09-19 2018-10-30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Dehumidifying Apparatus with Heater for Green House with Hose Reel for Condensition Water Drain
KR101996626B1 (en) 2019-02-19 2019-07-04 김학선 Greenhouse for opening and closing ro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09B1 (en) * 2011-11-28 2012-05-15 주식회사 에스티 Humidification induced equipment of humidifier
KR101879999B1 (en) 2017-10-18 2018-07-19 유환기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system using spray nozzle
KR101912856B1 (en) * 2018-09-19 2018-10-30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Dehumidifying Apparatus with Heater for Green House with Hose Reel for Condensition Water Drain
KR101996626B1 (en) 2019-02-19 2019-07-04 김학선 Greenhouse for opening and closing ro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154B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729B2 (en) Micro-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lant-based cleaning of indoor air and filter bed bioregeneration
US10716266B2 (en) Agricultural house
WO2001095700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conditioning system particularly for a greenhouse
WO2004026023A1 (en) System for culturing seedling
KR100757325B1 (en) Air purification planter for hydroponics pla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04487A (en) Air purifying Industrial Vertical Garden
KR20170004403A (en) Vegetabl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KR20150041327A (en) Air purific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s using hydrophyte
JP2001231376A (en) Nursery apparatus and nursery method
KR101882196B1 (en) Hydroponics System Using Fog
NO309445B1 (en) Devi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JP2015171351A (en) plant cultivation unit and plant cultivation facility
ES2437579T3 (en) Crop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340154B1 (en) Greenhouse humidity control device
KR20150141308A (en) Humidifier-type air cleaner
EP1553816B1 (en) Method of removing warm and/or moist air from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greenhouse
JP7215984B2 (en) mixed cultivation system
JP2002291349A (en) Apparatus for raising seedling and method for raising seedling
KR102202733B1 (en) Apparatus of growing vegetation
KR200409997Y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for cultivation house
KR100772473B1 (en) System for culturing seeding
CN210054056U (en) Humidity automated control device in greenhouse
KR102442568B1 (en) Smart farm system
JP2007061014A (en) Greenhouse device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CN116868812B (en) Controllable agricultural greenhouse using winter dehumidif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