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403A - Vegetabl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 Google Patents
Vegetabl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4403A KR20170004403A KR1020150094705A KR20150094705A KR20170004403A KR 20170004403 A KR20170004403 A KR 20170004403A KR 1020150094705 A KR1020150094705 A KR 1020150094705A KR 20150094705 A KR20150094705 A KR 20150094705A KR 20170004403 A KR20170004403 A KR 201700044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water
- air
- water storage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가 운송 차량에 탑재 가능한 컨테이너로 형성되어 이송이 편리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식물 재배가 어려운 극한 지역에서도 채소류 등의 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속도를 균일하고 극대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which is formed as a container which can be mounted on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which is convenient for transportation and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containers in which plants can be efficiently cultivated, the growth rate of plants can be uniformed and maximized, and productivity is increased.
일반적으로 식물은 토양에 심은 상태에서 토양의 양분, 태양 빛, 그리고 우천 시에 공급되는 빗물에 의한 수분의 공급으로 재배하여 재배된 채소류 등의 식물을 수확하여 농산물로 사용하게 된다.Generally, plants are cultivated by the supply of soil nutrients, sunlight, and rain water supplied during rain, and plants such as vegetables are harvested and used as agricultural products.
그러나 이런 식물의 재배에는 날씨가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여 이상 고온, 이상 저온 또는 강풍이나 폭우, 태풍과 같은 기상 조건의 약화에 의해 수확시기와 수확량이 크게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ultivation of such plants has a problem that the harvesting time and yield are largely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such as abnormal high temperature, abnormal low temperature or strong weather, heavy rain or typhoon.
이에 재배되는 지역에 파이프 형태의 복수로 재배 지역에 하우스 형태로 배열되도록 골조를 설치하고, 복수의 골조의 상부를 비닐로 덮은 비닐하우스가 개발되어 농촌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비닐하우스는 강풍과 폭우가 농작물에 직접 피해를 주는 것을 차단하여 식물의 성장이 촉진되도록 성장 저해 요인을 차단하였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pipe - shaped plants are arranged in a cultivated area in the form of a house, and a plastic house covering the upper part of a plurality of frames with vinyl has been developed and used mainly in rural areas. Greenhouse blocks growth inhibition factors to prevent plant damage by preventing direct wind damage and heavy rain damage to crops.
또한 상부에 보온재를 덮거나, 안쪽에 보일러와 같은 보온 수단을 구비하고, 물이 공급되는 공급시설을 각각 구비하여 외기의 조건과 온도에서 재배할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채소류, 화훼류, 과수, 그리고 특용 작물 등을 재배할 수 있어 주로 사용되고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various types of vegetables, flowers, fruit trees, and special plants which can not be cultivated under the conditions and the temperature of the open air, such as cover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on the upper part, a warming means such as a boiler on the inside, Crops, and so on.
그러나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강한 태풍의 풍압이나 폭설에 의한 설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어 재배되는 채소류 등의 식물이 피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vinyl house has a problem that plants such as vegetables, which are destroyed due to the wind pressure of a strong typhoon or snow pressure caused by snowfall, are damaged.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는 넓은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고, 이송 차량에 탑재하여 이송시키는것이 불가능하며, 보일러와 같은 보온 수단과 물이 공급되는 공급시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서 작업자의 보수, 수리, 부품 교체 작업시 내부 접근성이 떨어져서 관리가 불편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lastic house occupies a large space and the space utilization is low, it can not be mounted on a transport vehicle and can not be transported. Also, since a heating means such as a boiler and a supply facility for supplying water are intricately intertwin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ccessibility to the inside of the machine deteriorated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and the management was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외부가 운송 차량에 탑재 가능한 컨테이너로 형성되어 이송이 편리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식물 재배가 어려운 극한 지역에서도 채소류 등의 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속도를 균일하고 극대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in which plants such as vegetables can be efficiently cultivat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lants can be increased and uniform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단열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 단부에 개폐문이 설치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수용공간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 및 컨테이너의 수용공간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조수단;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외측 및 컨테이너의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컨테이너의 수용공간 내부에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여 컨테이너의 수용공간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 상기 컨테이너의 수용공간 내부에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형태인 한쌍의 안착부가 다수 구비되고, 안착부의 양측부 각각에 “ㄴ”자 형태인 이탈방지부가 안착부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이탈방지부를 따라 컨테이너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모판; 상기 모판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광량이 제공되도록 컨테이너의 수용공간 내부 상측 및 양측 각각에 다수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모판의 상부측과 마주하는 지지수단의 하부측에 용수를 공급하는 배관과 연결 설치되어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안개 형태로 모판의 상부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어 하부방향으로 떨어지는 용수가 저장되도록 지지수단의 하부에 전·후·좌·우 측부가 경사진 형태로 바닥면이 일측방향으로 하향 경지사지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용수저장부; 상기 제1용수저장부의 내측에 용수의 저장 한계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제1수위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제1용수저장부의 용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제1펌프가 제1용수저장부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컨테이너 외측에 설치되는 용수 배출수단; 상기 컨테이너 외측에 구성되어 용수 배출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용수 및 외부에서 용수를 공급받아 배관을 통해 분사노즐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수단; 상기 공조수단, 온도조절수단, 조명부, 용수 배출수단, 용수 공급수단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컨테이너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an insulated outer body, and a door is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 air conditioning means install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for supplying fresh air into the container receiving space and discharging contaminated air inside the container receiving space; A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provided in the upper outside of the container and inside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to regulat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by supplying hot air or cold air into the container receiving space; Support means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installed in a lattice form in a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escape preventing portions formed i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A plurality of bases which are seated in the seating part of the moving rail and are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along the departure-avoiding part;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installed on upper and both sides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so as to provide a light amount to the plants cultivated in the base plate; A spray nozzle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means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and spra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e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in the form of mis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inclined at a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means so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and falling downward is store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downwardly inclined in one direction, A first water storage portion in which an outlet is formed in a direction of the first water storage portion; A first water level sensor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and a first pump for operating the water in the first water storage unit by operating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Water discharging means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first water storage portion and installed outside the container;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spray nozzle, the water being supplied to the spray nozzle through the pipe; And a control unit provided outside the container for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the illumination unit, the water discharge unit, and the water supply unit. do.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는 외부가 운송 차량에 탑재 가능한 컨테이너로 형성되어 이송이 편리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를 단열시킴과 아울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광량, 온도, 습도, 용수를 제어부를 통해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 재배가 어려운 극한 지역에서도 채소류 등의 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속도를 균일하고 극대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container that can be mounted on a transportation vehicle,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space,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necessary light quantity, temperature, humidity and water through the control par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lant plants such as vegetables even in extreme areas where it is difficult to grow the plants, .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의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cross-sectional side view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에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는 컨테이너(10), 공조수단(20), 온도조절수단(30), 지지수단(40), 이동레일(50), 모판(60), 조명부(70), 분사노즐(80), 제1용수저장부(90), 용수 배출수단(100), 용수 공급수단(200), 제어부(300)로 이루어진다.1 to 6,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는 외부와 단열된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 단부에 개폐문(12)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 및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조수단(20)이 컨테이너(10)의 상부에 설치된다.An air conditioning means 20 for supplying fresh air into the
상기 공조수단(20)은 컨테이너(10)의 상부 일측에 제1통기구(21)가 형성되며, 제1통기구(21)의 일측에 제1통기구(21)를 통해 컨테이너(1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22)이 설치된다.The air conditioning means 20 includes a
상기 공급팬(22)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제1통기구(21)를 통해 컨테이너(10) 내부로 공급시 벌레, 먼지 등의 이물질과 함께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제1통기구(21) 내부에 여과망(28)이 더 설치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또한 상기 컨테이너(10)의 상부 타측에 제2통기구(23)가 형성되고, 제2통기구(23)의 일측에 제2통기구(23)를 통해 컨테이너(10) 내부 공기를 외부의 배출시키는 배출팬(24)이 설치된다.A
한편 식물 재배가 어려운 극한 지역에서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여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온도를 식물 재배가 가능한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30)이 컨테이너(10)의 상부 외측 및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에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plant can be cultivated by supplying hot air or cold air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11) (30) is configured in the upper outside of the container (10) and in the receiving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상기 온도조절수단(30)은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다수의 온도감지센서(31)가 구비되고, 온도감지센서(31)의 신호를 받아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의 온도를 올리는 열풍기(32)가 컨테이너(1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The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온도감지센서(31)의 신호를 받아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냉풍을 공급하여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의 온도를 내리는 냉풍기(33)가 외부 팬(미도시됨)과 연결되어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A
상기 온도조절수단(30)으로 인해 특정 식물에만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기후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사계절 내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30) not only allows plants of various climates to be grown regardless of specific plants, but also plants can be cultivated during all seasons.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지지수단(40)이 설치되며, 지지수단(4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이동레일(50)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frames are provided in a lattice form in the
상기 이동레일(50)은 지수단(4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형태인 한쌍의 안착부(51)가 다수 구비되고, 안착부(51)의 양측부 각각에 “ㄴ”자 형태인 이탈방지부(52)가 안착부(51)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The moving
상기 이동레일(50)의 안착부(51)에 채소류 등의 식물이 담김 모판(60)이 안착되어 이탈방지부(52)를 따라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다수 수용된다.A plurality of plants accommodating vegetables such as vegetables are seated on the
상기 모판(60)의 하단부가“△”형태인 한쌍의 안착부(51)의 상단 모서리에 안착됨으로 인해 이동시 마찰면적이 작아 다수의 모판(60)을 이탈방지부(52)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Since the lower end of the
한편 상기 모판(60)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광량이 제공되도록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 상측 및 양측 각각에 조명부(70)가 다수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상기 조명부(70)가 식물에게 항상 균일한 광량이 제공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이 촉진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Since the
그리고 상기 모판(60)의 상부측과 마주하는 지지수단(40)의 하부측에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안개 형태로 모판(60)의 상부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80)이 용수를 공급하는 배관과 연결 설치된다.An
또한 상기 분사노즐(80)로부터 분사되어 하부방향으로 떨어지는 용수가 저장되도록 지지수단(40)의 하부에 제1용수저장부(90)가 형성된다.The first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용수저장부(90)는 지지수단(40)의 하부에전·후·좌·우 측부가 경사진 형태로 바닥면이 일측방향으로 하향 경지사지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배출구(91)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rst
또한 상기 제1용수저장부(90)의 저장되는 용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용수 배출수단(100)이 구성된다.Also, the water discharging means (100) for moving the water to be stored in the first water storage portion (90) to the outside is constituted.
상기 용수 배출수단(100)은 제1용수저장부(90)의 내측에 용수의 저장 한계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센서(101)가 구비되고, 제1수위감지센서(101)의 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제1용수저장부(90)의 용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제1펌프(102)가 제1용수저장부(90)의 배출구(91)와 연결되어 컨테이너(10) 외측에 설치된다.The water discharging means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또한 상기 제1용수저장부(90)의 배출구(91)를 통해 제1용수저장부(90)에 저장된 용수가 배출시 이물질이 제저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1용수저장부(90)의 배출구(91) 내경에 여과필터(93)가 더 구비된다.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그리고 상기 용수 배출수단(100)에 의해 이동되는 용수 및 외부에서 용수를 공급받아 배관을 통해 분사노즐(80)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수단(200)이 컨테이너(10) 외측에 구성된다.A water supply means 200 for supplying water to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수 공급수단(200)은 용수 배출수단(100)의 제1펌프(102)에 의해 이동되는 용수가 저장되도록 제2용수저장부(201)가 형성되며, 제2용수저장부(201)의 내측 하부에 용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터(202)가 설치된다.6, the
상기 제2용수저장부(201)의 내측에 제2용수저장부(201)로 저장되는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장량이 부족시 외부에서 용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수위감지센서(203)가 구비되고, 제2용수저장부(201)의 일측에 제2용수저장부(201)로 저장된 용수를 배관으로 이동시켜 분사노즐(80)로 공급하는 제2펌프(204)가 설치된다.A second
또한 상기 용수 공급수단(200)의 제2용수저장부(201)에 저장되는 용수에 살균 및 소독을 위한 별도의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수단(500)이 용수 공급수단(200)의 제2용수저장부(201)와 연결되어 용수 공급수단(200)의 일측에 더 설치할 수 있다.A chemical supply means 500 for supplying a separate chemical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o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수단(20), 온도조절수단(30), 조명부(70), 용수 배출수단(100), 용수 공급수단(200)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컨테이너(10)의 외측에 제어부(300)가 구비된다.1, the oper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으로 인해 운송 차량에 탑재 가능하여 이송이 편리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를 단열시킴과 아울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광량, 온도, 습도, 용수를 제어부(300)를 통해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 재배가 어려운 극한 지역에서도 채소류 등의 식물들을 효율적으로 재배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속도를 균일하고 극대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증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mounted on a transportation vehicle, is convenient to transport,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can heat the interio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lant plants such as vegetables in an extreme region where plant cultivation is difficult, an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plants because the growth rate of plants can be uniformed and maximized.
10 :
컨테이너
20 : 공조수단
30 :
온도조절수단
40 : 지지수단
50 : 이동레일
60 : 모판
70 :
조명부
80 : 분사노즐
90 :
제1용수저장부
100 : 용수 배출수단
200 : 용수 공급수단
300 : 제어부10: container 20: air conditioning means
30: Temperature control means 40: Support means
50: movable rail 60:
70: illumination part 80: injection nozzle
90: first water storage part 100: water discharge means
200: Water supply means 300:
Claims (6)
외부와 단열된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 단부에 개폐문(12)이 설치되는 컨테이너(10);
상기 컨테이너(10)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 및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조수단(20);
상기 컨테이너(10)의 상부 외측 및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구비되어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여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수단(30);
상기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지지수단(40);
상기 지지수단(4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형태인 한쌍의 안착부(51)가 다수 구비되고, 안착부(51)의 양측부 각각에 “ㄴ”자 형태인 이탈방지부(52)가 안착부(51)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이동레일(50);
상기 이동레일(50)의 안착부(51)에 안착되어 이탈방지부(52)를 따라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의 모판(60);
상기 모판(60)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광량이 제공되도록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 상측 및 양측 각각에 다수 설치되는 조명부(70);
상기 모판(60)의 상부측과 마주하는 지지수단(40)의 하부측에 용수를 공급하는 배관과 연결 설치되어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안개 형태로 모판(60)의 상부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80);
상기 분사노즐(80)로부터 분사되어 하부방향으로 떨어지는 용수가 저장되도록 지지수단(40)의 하부에 전·후·좌·우 측부가 경사진 형태로 바닥면이 일측방향으로 하향 경지사지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배출구(91)가 형성되는 제1용수저장부(90);
상기 제1용수저장부(90)의 내측에 용수의 저장 한계수위를 감지하는 제1수위감지센서(101)가 구비되고, 제1수위감지센서(101)의 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제1용수저장부(90)의 용수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제1펌프(102)가 제1용수저장부(90)의 배출구(91)와 연결되어 컨테이너(10) 외측에 설치되는 용수 배출수단(100);
상기 컨테이너(10) 외측에 구성되어 용수 배출수단(100)에 의해 이동되는 용수 및 외부에서 용수를 공급받아 배관을 통해 분사노즐(80)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 공급수단(200);
상기 공조수단(20), 온도조절수단(30), 조명부(70), 용수 배출수단(100), 용수 공급수단(200)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컨테이너(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A container (10) having a receiving space (11) formed therein and being insulated from the outside, and a door (12) being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 air conditioning means 20 install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for supplying fresh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and discharging contaminated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
A hot air or a cool air is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10 an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to supply the hot air or cool air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A temperature regulating means 30 for regula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upport means (40)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installed in a lattice form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A plurality of pair of seating portions 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hape of a letter "Δ" are provided inside the support means 40 and a release preventing portion 52 A movable rail 5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portion 51;
A plurality of bases (60) which are seated in the seating part (51) of the movable rail (50)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along the escape prevention part (52);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70 installed on upper and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so as to provide light quantity to the plants cultivated in the basin 60;
A spray nozzle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ing means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basin plate and spra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ipe to the upper side of the basin plate in a mist form 80);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means 40 are inclined downwardly so as to store water sprayed from the injection nozzle 80 and falling downward. , A first water storage part (90) having a discharge port (91) formed at one end thereof in an outward direction;
A first water level sensor 101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level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water level storage unit 90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first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101, A water discharge means 100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10 to connect the discharge port 91 of the first water storage 90 to the first pump 102 for moving the water of the portion 90 to the outside;
A water supply means (200) provided outside the container (10) for supplying water to be moved by the water discharge means (100) and water to the outside and supplying water to the spray nozzle (80) through a pipe;
(Not shown) provided outside the container 10 so as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means 20, the temperature control means 30, the illumination portion 70, the water discharge means 100 and the water supply means 200 A control unit 300;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공조수단(20)은,
상기 컨테이너(10)의 상부 일측에 제1통기구(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통기구(21)의 일측에 제1통기구(21)를 통해 컨테이너(1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22)이 설치되며,
상기 상기 컨테이너(10)의 상부 타측에 제2통기구(23)가 형성되고,
상기 제2통기구(23)의 일측에 제2통기구(23)를 통해 컨테이너(10) 내부 공기를 외부의 배출시키는 배출팬(24)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onditioning means (20)
A first air vent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10)
A supply fan 22 for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first air vent 2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vent 21,
A second air vent (2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And a discharge fan (24)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second air vent (23) to one side of the second air vent (23).
상기 온도조절수단(30)은,
상기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다수의 온도감지센서(31)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31)의 신호를 받아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의 온도를 올리는 열풍기(32)가 컨테이너(1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31)의 신호를 받아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에 냉풍을 공급하여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의 온도를 내리는 냉풍기(33)가 컨테이너(10)의 수용공간(11)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adjusting means (30)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31 are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A hot air blower 32 for supplying hot air into the containing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ontaining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receives the signal of the temperature detecting sensor 31, ), Respectively,
A cooler 33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or 31 and supplies a cool air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container 10 is supplied to the container 10 (11) and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
상기 제1용수저장부(90)의 배출구(91) 내경에 여과필터(9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ltration filter (93) is further provided on an inner diameter of an outlet (91) of the first water storage part (90).
상기 용수 공급수단(200)은,
상기 용수 배출수단(100)의 제1펌프(102)에 의해 이동되는 용수가 저장되도록 제2용수저장부(20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용수저장부(201)의 내측 하부에 용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히터(202)가 설치되고,
상기 제2용수저장부(201)의 내측에 제2용수저장부(201)로 저장되는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장량이 부족시 외부에서 용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제2수위감지센서(203)가 구비되며,
상기 제2용수저장부(201)의 일측에 제2용수저장부(201)로 저장된 용수를 배관으로 이동시켜 분사노즐(80)로 공급하는 제2펌프(20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means (200)
A second water storage part 201 is formed to store water to be moved by the first pump 102 of the water discharge means 100,
A heater 202 for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constant is installed in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econd water storage part 201,
A second water level sensor 203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water storage 201 in the second water storage 201 and supplying water to the outside when the stored amount is insufficient And,
And a second pump (204) for moving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water storage part (201) to one side of the second water storage part (201) to the injection nozzle (80) Used plant cultivation equipment.
상기 용수 공급수단(200)의 제2용수저장부(201)에 저장되는 용수에 살균 및 소독을 위한 별도의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수단(500)이 용수 공급수단(200)의 제2용수저장부(201)와 연결되어 용수 공급수단(200)의 일측에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식물 재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chemical supply means 500 for supplying a separate chemical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to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water storage 201 of the water supply means 2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torage (201), and is furth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means (2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705A KR20170004403A (en) | 2015-07-02 | 2015-07-02 | Vegetabl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4705A KR20170004403A (en) | 2015-07-02 | 2015-07-02 | Vegetabl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403A true KR20170004403A (en) | 2017-01-11 |
Family
ID=5783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4705A KR20170004403A (en) | 2015-07-02 | 2015-07-02 | Vegetabl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4403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1765B1 (en) | 2019-07-03 | 2020-03-20 | (주)동양테크윈 | Container Farm using Horizontal Circulation of Vertical Growing Unit |
JP2020150794A (en) * | 2019-03-18 | 2020-09-24 | 株式会社ファームシップ |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
KR20220075560A (en) | 2020-11-30 | 2022-06-08 |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 Block for plant growth and blockfarm system using it |
KR20220111434A (en) | 2021-02-02 | 2022-08-09 | 주식회사 지능로봇스튜디오 | High density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natural light combination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4548U (en) | 2010-12-16 | 2012-06-26 | 노명석 | Container plant farm |
-
2015
- 2015-07-02 KR KR1020150094705A patent/KR20170004403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4548U (en) | 2010-12-16 | 2012-06-26 | 노명석 | Container plant farm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50794A (en) * | 2019-03-18 | 2020-09-24 | 株式会社ファームシップ |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
KR102091765B1 (en) | 2019-07-03 | 2020-03-20 | (주)동양테크윈 | Container Farm using Horizontal Circulation of Vertical Growing Unit |
KR20220075560A (en) | 2020-11-30 | 2022-06-08 |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 Block for plant growth and blockfarm system using it |
KR20220111434A (en) | 2021-02-02 | 2022-08-09 | 주식회사 지능로봇스튜디오 | High density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natural light combina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60436B2 (en) | Plant cultivation methods and facilities | |
KR101670059B1 (en) | A Cultivation apparatus of plant | |
US20170223904A1 (en) | Fodder Growing System and Method | |
KR101917789B1 (en) | Improvement in and relating to environment controlled structured green houses for cost effective food production | |
JP6256821B2 (en) | Agricultural house | |
KR101332069B1 (en) | A fodder production unit | |
KR101400375B1 (en) | Plant culturing apparatus | |
KR20170004403A (en) | Vegetable cultivation apparatus using a container | |
KR101882196B1 (en) | Hydroponics System Using Fog | |
KR10132144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hydroponically cultivating forage barley | |
JP2010154791A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for domestic use | |
KR20120007420A (en) | Multi-stag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 |
KR102330448B1 (en) | Aqua Phonics Smart Farm | |
KR100921605B1 (en) | Crops cultivation system of horizontal structure | |
KR101512032B1 (en) | A device for sprout cultivation | |
KR101850683B1 (en) | Greenhouse for cultivating only orchid | |
KR20120133838A (en) | Apparatus for cultivating bean sprouts | |
EP1553816B1 (en) | Method of removing warm and/or moist air from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greenhouse | |
KR101396436B1 (en) | Cultivation system of greenhouse plant | |
JP2007061014A (en) | Greenhouse device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 |
JP2008104364A (en) | Device for physiological management of plants | |
KR101587842B1 (en) | Auto water changeable machine for cultivating sprouts | |
KR101455166B1 (en) | Plant cultivating using super air house | |
KR101147429B1 (en) | Automatic Watering System for Mushroom Cultivate | |
KR102556251B1 (en) | Auto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ponic cultivation of green barley using contain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