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405A -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405A
KR20210045405A KR1020217004813A KR20217004813A KR20210045405A KR 20210045405 A KR20210045405 A KR 20210045405A KR 1020217004813 A KR1020217004813 A KR 1020217004813A KR 20217004813 A KR20217004813 A KR 20217004813A KR 20210045405 A KR20210045405 A KR 2021004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opportunity
indicatio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uplink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832B1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지시 정보-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면허 스펙트럼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가 리슨비포토크(Listen Before Talk, LBT)의 원칙에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즉 무면허 스펙트럼의 채널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채널을 검출하고, 채널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채널 검출 결과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며, 채널 검출 결과가 혼잡 상태인 경우, 신호의 송신이 불가능하다.
엔안(New Radio, NR) 기술이 무면허 스펙트럼에 적용될 때, 일부 시나리오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과정과 같은 상향 전송을 자율적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랜덤 액세스 과정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송신단으로 하는 경우, 신호의 송신을 위해 먼저 채널 검출을 진행할 필요가 있고, 채널 검출이 실패한 경우, 신호 전송의 지연이 증가되고,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호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로서,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4 양태로서,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 5 양태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6 양태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7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칩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고 실행하여, 해당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8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 9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 10 양태로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해결책에 기초하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 기회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후속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상향 전송에서 제 1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연관 관계에 의거하여, 상향 전송 기회를 적절하게 공유할 수 있어, 신호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쳐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신호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신호 전송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칩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지만,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창조적 인 노동을 하지 않고 취득한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 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 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및 미래 5G 통신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기 디바이스(120)(또는 통신 단말기, 단말기로 지칭됨)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공용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말기 디바이스"로서,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케이블 직접 연결 등의 유선 회선을 통한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 등의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수신기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및/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또는 "이동 단말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예로서, 위성 또는 셀롤러 전화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시밀리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 브라우저, 메모장, 달력 및/또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 기존의 랩탑 및/또는 팜탑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송수신기 등을 포함하는 다른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이동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 사이는 단말기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D2D) 통신이 진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다른 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고, 듀얼 연결(DC, Dual Connectivity)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도 있고, 독립형(SA, Standalone) 네트워킹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이 무면허 스펙트럼에 적용되며, 네트워킹 시나리오가 CA인 경우, 해당 CA 네트워킹 시나리오는 메인 캐리어가 면허 스펙트럼에 있고, 보조 캐리어가 무면허 스펙트럼에 있고, 메인 캐리어 및 보조 캐리어가 이상적인 백홀(backhaul)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이 무면허 스펙트럼에 적용되며, 네트워킹 시나리오가 DC인 경우, 해당 DC 네트워킹 시나리오는 메인 캐리어가 면허 스펙트럼에 있고, 보조 캐리어가 무면허 스펙트럼에 있고, 메인 캐리어 및 보조 캐리어는 비 이상적인 백홀(backhaul)에 의해 연결되며, 메인 캐리어의 시스템은 보조 캐리어의 시스템과 상이한 시스템에 속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인 캐리어의 시스템은 LTE 시스템이며, 보조 캐리어의 시스템은 NR 시스템이거나, 또는 메인 캐리어의 시스템은 보조 캐리어의 시스템과 동일한 시스템에 속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메인 캐리어 및 보조 캐리어의 시스템은 모두 LTE 시스템 또는 NR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무면허 스펙트럼에 적용되며, 네트워킹 시나리오가 SA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면허 스펙트럼의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무면허 스펙트럼 리소스는 5 기가 헤르츠(Giga Hertz, GHz) 부근의 주파수 대역, 2.4 GHz 부근의 주파수 대역, 3.5 GHz 부근의 주파수 대역, 37 GHz 부근의 주파수 대역, 60 GHz 부근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종종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단순히 연관되는 대상을 설명하는 연관 관계의 하나이며, 3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 만 존재하는 것의 세 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설명서의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이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주요한 단계 또는 동작을 나타내지만, 이러한 단계 또는 동작은 단순한 예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3의 다양한 동작의 다른 동작 또는 변형을 수행할 수도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단계는 방법의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실행될 수 있고, 방법의 실시예에서 모든 동작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S210: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단계 S220: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면허 스펙트럼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무면허 스펙트럼의 캐리어에서 채널 검출을 진행할 필요가 있고, 채널 검출이 성공하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향 전송 기회를 1 회 취득하고, 해당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 또는 MSG1라고 지칭함) 또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 3(즉, MSG 3)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상향 신호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1 회의 상향 전송 기회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시간 유닛일 수 있고, 하나의 시간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일 수 있고,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일 수 있고,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미니 슬롯 등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1 회의 상향 전송 기회의 시작 시간 유닛 및/또는 종료 시간 유닛은 완전한 시간 유닛, 예를 들어, 완전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 하나의 슬롯 또는 하나의 미니 슬롯 등일 수 있고, 또는 부분적인 시간 유닛, 예를 들어, 부분적인 서브 프레임, 부분적인 슬롯, 또는 부분적인 미니 슬롯 등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대응하여, 1 회의 하향 전송 기회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시간 유닛일 수 있고, 하나의 시간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일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미니 슬롯일 수도 있는 등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1 회의 하향 전송 기회의 시작 시간 유닛 및/또는 종료 시간 유닛은 완전한 시간 유닛, 예를 들어, 완전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 하나의 슬롯 또는 하나의 미니 슬롯 등일 수 있고, 또는 부분적인 시간 유닛, 예를 들어, 부분적인 서브 프레임, 부분적인 슬롯 또는 부분적인 미니 슬롯 등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전송 기회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채널 액세스 유형(또는 채널 검출 방식)은,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과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은 단회 검출(Clear Channel Assessment, CCA)로 이해될 수 있고,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은 경쟁 윈도우에 기초한 CCA로 이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의 채널 검출은 다음의 과정을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먼저 무면허 스펙트럼의 캐리어에 대해 Tone-shot 길이의 채널 검출을 진행하고, 채널 검출 결과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 LBT 성공, 즉 채널 검출 성공으로 간주할 수 있고, 채널 검출 결과가 채널 혼잡 상태인 경우, LBT 실패, 즉 채널 검출 실패로 간주한다. 선택적으로, Tone-shot 길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시한 것일 수 있고, 서비스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 있고, 통신 시스템이 규정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Tone-shot 길이는 25 마이크로 초일 수 있다.
즉,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의 채널 검출에 있어서, 1 회의 채널 검출 결과가 채널 혼잡 상태인 경우, 채널 검출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1 회의 채널 검출 결과가 채널 아이들 상태인 경우, 채널 검출 성공으로 간주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은 경쟁 윈도우에 기초한 채널 검출이며, 해당 경쟁 윈도우의 크기는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 세트에 대응하는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에 따라 채널 검출을 진행할 때,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에 따라 채널 검출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표 1에서의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숫자가 작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는 송신될 신호의 시간 영역 리소스의 길이 또는 송신될 신호의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의 채널 검출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1: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N=Ninit로 설정하며, 여기서, Ninit는 0으로부터 CWp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난수이며, 단계 S4를 실행하고,
단계 S2: N이 0보다 큰 경우, 카운터의 카운트 값에서 1을 빼고, 즉 N=N-1이고,
단계 S3: 채널에 대해 길이 Tsl(여기서, Tsl는 길이가 9us, 즉 CCA 슬롯 길이가 9us임)의 CCA 슬롯 검출을 진행하고, 해당 CCA 슬롯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 단계 S4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5를 실행하고,
단계 S4: N이 0과 같은 경우, 채널 액세스 과정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2를 수행하고,
단계 S5: 채널에 대해 시간 길이 Td(Td=16+mp*9(us))의 CCA 슬롯 검출을 진행하고, 해당 CCA 검출 결과가 적어도 하나의 CCA 슬롯이 점유되거나, 또는 모든 CCA 슬롯이 아이들 상태이고,
단계 S6: 채널 검출 결과가 Td 시간 내의 모든 CCA 슬롯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 단계 S4를 실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 S5를 수행한다.
또한, 해당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의 채널 검출에 있어서, 채널 액세스 과정이 종료되는 경우에만, 채널 검출이 성공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채널 검출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채널이 아이들 상태인 경우에 채널 검출이 성공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CWp 및 mp는 서비스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은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CWp의 최소값이며,
Figure pct00003
은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CWp의 최대값이며,
Figure pct00004
은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신호 전송이 점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 길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에 대응하는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 테이블은 표 1과 같이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하향 채널 액세스를 위한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 테이블일 수 있다. 또는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상향 채널 액세스를 위한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 테이블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 테이블은 신호가 지원하는 전송 길이에 따라 새롭게 정의된 채널 액세스 파라미터 테이블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후속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 사이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향 전송에서 제 1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제 1 하향 전송 기회와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결정하고, 해당 연관 관계에 의거하여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또는 하향 전송 전에 채널 검출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채널 액세스 유형 등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연관 관계에 의거하여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공유할 수 있다고 결정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송신단으로 할 때, 채널 검출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짧은 시간 길이의 채널 검출(예를 들어, 우선 순위가 높은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을 채용함)을 진행할 필요만 있고, 하향 전송을 진행할 수 있고, 신호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상향 메시지에 해당 제 1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MSG1 또는 MSG 3에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즉 해당 MSG1 또는 MSG 3을 통해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다른 상향 메시지, 상향 신호 또는 상향 채널 등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향 메시지, 상향 신호 또는 상향 채널의 리소스를 송신하여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암묵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MSG1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으며, 해당 MSG1을 송신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코드 영역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암묵적으로 지시할 수 있으며, 즉, MSG1를 송신하는 상이한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또는 코드 영역 리소스는 상이한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물론, 단말기 디바이스는 다른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향 채널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물리 상향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향 신호는 상향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위상 추적 기준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제 1 지시 정보가 나타내는 연관 관계는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할지 여부를 포함한다.
즉, 해당 연관 관계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와 공유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점유 시간에 의거하여,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와 공유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우선 순위가 낮은 CCA에 의해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취득한 경우,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tion Time, MCOT)은 일반적으로 길고, 이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와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간주하는 경우, 해당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해당 연관 관계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연관 관계에 의거하여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고 결정할 수 있고, 즉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제 1 하향 전송 기회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채널 검출을 진행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우선 순위가 높은 CCA만(즉 짧은 시간 길의의 채널 검출) 진행하면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사용하여 하향 전송을 진행할 수 있어, 전송 지연의 감소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일부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제 1 하향 전송 기회와 공유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해당 연관 관계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제 1 하향 전송 기회 사이의 공유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로서, 해당 공유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또는 채널 액세스 유형을 결정하는 사용 가능한 다른 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은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채널 액세스 유형, 즉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가 어느 채널 검출 방식으로 취득한 것인지를 의미할 수 있다.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향 전송하는 시간 영역 위치를 가리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작 시간 유닛 또는 시간 윈도우 등이며, 이에 대응하여,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및 시간 유닛의 의미는 유사하고,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에 의거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의 일부를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으로 결정할 수 있고, 또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해당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의 시작 시간 유닛 이후의 제 1 시간 간격의 시간 유닛을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작 시간 유닛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은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즉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향 전송하기 전에 채널 검출을 위해 사용하는 채널 액세스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해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취득하고, 대응하는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가 낮은 경우,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을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해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취득한 경우,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을 우선 순위가 낮은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연관 정보에 포함된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거하여,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또는 시간 유닛을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가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해 취득되고, 또한 대응하는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가 낮은 경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을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가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공유할 수 있다고 결정하고, 즉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가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해 취득되는 경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을 우선 순위가 낮은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또는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이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이며,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제 1 하향 시간 유닛으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간주하고, 따라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또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을 지시한다고 결정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공유할 수 있어, 신호의 전송 지연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또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이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이며,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가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또는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 정보를 지시한다고 결정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해당 제 1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결정한 것이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향 전송을 진행하기 전에, 해당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 기회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후속 하향 전송 기회 사이의 연관 관계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연관 관계에 의거하여 상향 전송 기회의 공유가 가능한 경우, 적절하게 상향 전송 기회를 공유하여, 신호의 전송 지연의 감소에 유리하고, 해당 상향 전송 기회의 공유를 랜덤 액세스 과정에 적용할 경우, 랜덤 액세스 지연의 감소에 유리하므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상기 제 1 지시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제 1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어느 채널 액세스 유형을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진행하여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취득하는지를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제 1 하향 전송 기회와 공유할지 여부를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전송 기회의 공유를 허용할지 여부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제 2 지시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명령어(order)를 통해 송신한 것이고, 해당 PDCCH order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시작한 자율적인 상향 전송은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일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트리거한 비 경쟁에 기반한 랜덤 액세스일 수 있고,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 기회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후속 하향 전송 기회 사이의 연관 관계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연관 관계에 의거하여, 적절하게 상향 전송 기회를 공유할 수 있어, 랜덤 액세스의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단말기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의 설명과 단말기 디바이스 측의 설명은 서로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상기를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 방법(300)의 흐름도이며, 해당 방법(300)은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30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S310: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320: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할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관 정보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해당 시간의 간격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해당 시간 간격에 의거하여, 하향 전송의 시간 유닛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의 시작 시간 유닛 이후의 제 1 시간 간격의 시간 유닛을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작 시간 유닛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관 정보는 제 1 상향 전송 기회가 사용되는 채널 액세스 유형을 포함하는 경우,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어느 채널 액세스 유형을 사용하여 채널 검출을 진행하는지에 따라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취득한다.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거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향 전송 기회를 취득하는데 사용하는 채널 액세스 유형을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가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에 의거하여 취득되고, 대응하는 채널 액세스 우선 순위가 낮은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을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가 제 1 채널 액세스 유형을 사용하여 취득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을 우선 순위가 낮은 제 2 채널 액세스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우선 순위가 낮은 CCA를 통해 제 1 상향 전송 기회를 취득하는 경우, 해당 상향 전송 기회의 MCOT이 길고, 이 경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채널 검출을 진행할 필요없이 직접 하향 전송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우선 순위가 높은 CCA를 진행하여 하향 전송 기회를 취득할 수 있어, 전송 지연의 감소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코드 영역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메시지 3(MSG 3)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SG 3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명령어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DCCH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을 제 1 시간 간격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낸 것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고,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지만, 장치의 실시예와 방법의 실시예는 서로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결정 모듈(410)과 통신 모듈(420)을 포함하고,
결정 모듈(410)은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고,
통신 모듈(420)은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할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코드 영역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를 위한 메시지 3(MSG 3)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MSG 3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결정 모듈(410)은 또한,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상기 제 1 지시 정보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42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DCCH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을 제 1 시간 간격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낸 것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400)는 상기 방법(200)에 설명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예를 들어,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일 수 있음)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400)의 각각의 모듈 또는 유닛은 각각 상기 방법(20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실행하는 각각의 동작 또는 처리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간단을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의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통신 모듈(510) 및 결정 모듈(520)을 포함하고,
통신 모듈(51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결정 모듈(520)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할지 여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510)은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코드 영역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5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메시지 3(MSG 3)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MSG 3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510)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510)은 또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명령어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DCCH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을 제 1 시간 간격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낸 것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상기 방법(300)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예를 들어, 구성되거나 또는 자체일 수 있음)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각각의 모듈 또는 유닛은 각각 상기 방법(300)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각각의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여기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600)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나타낸 통신 디바이스(60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600)는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부품일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600)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프로세서(610)에 의해 제어되는 송수신기(6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6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6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디바이스(6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이 생략된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6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q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 칩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나타낸 칩(700)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칩(700)은 메모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와 독립적인 별도의 부품일 수 있고, 프로세서(7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은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하고,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은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하고,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900)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900)은 단말기 디바이스(9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9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910)는 상기 방법 중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920)는 상기 방법 중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각각의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각의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의 수행으로 직접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의 수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저장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독출하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로서, RAM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상기 메모리는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확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51)

  1.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지시 정보-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코드 영역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를 위한 메시지 3(MSG 3)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SG 3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상기 제 2 지시 정보가 상향 전송을 위한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상기 제 1 지시 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명령어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을 제 1 시간 간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낸 것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코드 영역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메시지 3(MSG 3)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SG 3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물리 하향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명령어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19.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을 제 1 시간 간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낸 것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21. 제 1 지시 정보-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과,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코드 영역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5.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를 위한 메시지 3(MSG 3)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MSG 3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6.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상기 제 1 지시 정보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명령어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9. 제 2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을 제 1 시간 간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낸 것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1.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됨-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과,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하향 전송을 위한 제 1 하향 전송 기회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을 포함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관계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와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 정보,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및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채널 액세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코드 영역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5.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메시지 3(MSG 3)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MSG 3에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6. 제 31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향 전송을 위한 상향 전송 기회와 하향 전송을 위한 하향 전송 기회의 연관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물리 하향 제어 채널(PDCCH) 명령어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 명령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비 경쟁에 기초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9. 제 3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과 상기 제 1 상향 전송 기회의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간격을 제 1 시간 간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은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의해 나타낸 것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1.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2.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에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4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5.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6.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7.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 11 항 내지 제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칩이 장착된 디바이스에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8. 제 11 항 내지 제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49. 제 11 항 내지 제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0. 제 11 항 내지 제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1. 제 21 항 내지 제 3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31 항 내지 제 4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17004813A 2018-08-17 2018-08-17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582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1107 WO2020034203A1 (zh) 2018-08-17 2018-08-17 传输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405A true KR20210045405A (ko) 2021-04-26
KR102582832B1 KR102582832B1 (ko) 2023-09-26

Family

ID=6952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813A KR102582832B1 (ko) 2018-08-17 2018-08-17 신호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11432342B2 (ko)
EP (2) EP3826395B1 (ko)
JP (1) JP7282158B2 (ko)
KR (1) KR102582832B1 (ko)
CN (2) CN111357364A (ko)
AU (1) AU2018436718A1 (ko)
BR (1) BR112021002616A2 (ko)
CA (1) CA3109526C (ko)
MX (1) MX2021001873A (ko)
SG (1) SG11202101363SA (ko)
TW (1) TW202015476A (ko)
WO (1) WO2020034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2101363SA (en) 2018-08-17 2021-03-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1169840A1 (zh) * 2020-02-28 2021-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使用预配置资源传输的方法及相关装置
TWI754989B (zh) * 2020-07-10 2022-02-11 新代科技股份有限公司 遠端協助系統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4277B2 (en) 2007-05-04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L ACK allocation
CN102413515B (zh) 2010-09-20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系统
CN103634086B (zh) 2012-08-28 2018-12-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整上下行时间分配的方法、系统、局端设备及cpe
EP3238491A1 (en) * 2014-12-23 2017-11-01 IDAC Holdings, Inc. Latency reduction in lte systems
CN106162656B (zh) * 2015-03-30 2019-11-0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基站、终端及通信系统
CN107040350B (zh) * 2016-02-03 2020-07-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接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11228916B2 (en) 2016-02-04 2022-01-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information on unlicensed carrier
EP4021120A1 (en) * 2016-03-30 2022-06-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ducing latency in physical channels in an lte network
JP6239672B2 (ja) 2016-03-31 2017-11-2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7196612A1 (en) 2016-05-11 2017-11-16 Idac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ed uplink transmission
CN106211347A (zh) * 2016-07-08 2016-12-07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数据调度方法、用户设备及基站
CN106130701B (zh) * 2016-07-14 2019-08-0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非授权频段上的harq进程传输方法及装置、基站和终端
CN107801244B (zh) * 2016-08-31 2020-05-05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配置传输间隔的方法、装置及用户设备
CN112954815A (zh) 2016-09-28 2021-06-11 Idac控股公司 波束成形系统中的新型无线电随机接入
CN108023708B (zh) 2016-11-03 2022-09-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方法、装置、系统及相关设备
CN108174445B (zh) 2016-12-07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信息处理的方法及装置
US10425826B2 (en) 2016-12-21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uplink (UL)/downlink (DL) transmission in new radio-spectrum sharing (NR-SS)
CN108243497B (zh) * 2016-12-23 2020-09-0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自主上行链路信号传输的方法以及相应的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8289337B (zh) * 2017-01-09 2023-05-2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上行调度请求的方法及用户设备、基站设备
US10873378B2 (en) * 2017-01-23 2020-12-2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s
WO2018137221A1 (zh) * 2017-01-25 2018-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及检测控制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8366431B (zh) 2017-01-26 2020-08-28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资源共享处理方法、移动通信终端和网络侧设备
US10772113B2 (en) 2017-02-06 2020-09-08 Qualcomm Incorporated Autonomous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s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CN106851839B (zh) * 2017-03-14 2020-06-12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帧结构确定方法和基站
EP3639439A1 (en) * 2017-06-16 2020-04-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 harq-ack feedback on an uplink control channel
EP3955688B1 (en) * 2018-08-14 2022-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channel access typ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G11202101363SA (en) 2018-08-17 2021-03-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160108B2 (en) * 2018-09-21 2021-10-26 Ofinno, Llc Channel access for unlicensed carriers in a radio system
US20200100284A1 (en) * 2018-09-24 2020-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ion window size adaptation of nr unlicensed
US20200221309A1 (en) * 2019-01-07 2020-07-09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of channel access problems
CN113767704A (zh) * 2019-05-01 2021-12-07 苹果公司 针对未许可新无线电(nr)的配置授权改进
US11291045B2 (en) * 2019-08-21 2022-03-29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Implementations of wireless channel monitoring and usage
US11483794B2 (en) * 2019-08-23 2022-10-25 Qualcomm Incorporated Ranging signal transmission in unlicensed band
US20210092763A1 (en) * 2019-09-20 2021-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ci multiplex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108505B2 (en) * 2020-01-15 2021-08-31 PanPsy Technologies, LLC URLLC in unlicensed bands
US11864231B2 (en) * 2020-08-20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Listen-before-talk (LBT) aware autonomous sensing for sidelin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2362* *
3GPP R1-180739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3597B1 (en) 2024-04-24
CN111357364A (zh) 2020-06-30
EP3826395A4 (en) 2021-08-11
CN111935846B (zh) 2022-04-15
JP7282158B2 (ja) 2023-05-26
US20230319896A1 (en) 2023-10-05
US20210160933A1 (en) 2021-05-27
CN111935846A (zh) 2020-11-13
BR112021002616A2 (pt) 2021-05-04
AU2018436718A1 (en) 2021-03-11
CA3109526A1 (en) 2020-02-20
MX2021001873A (es) 2021-04-19
EP3826395B1 (en) 2023-06-21
TW202015476A (zh) 2020-04-16
KR102582832B1 (ko) 2023-09-26
CA3109526C (en) 2023-04-25
WO2020034203A1 (zh) 2020-02-20
JP2022501865A (ja) 2022-01-06
US11723078B2 (en) 2023-08-08
US20220361252A1 (en) 2022-11-10
EP3826395A1 (en) 2021-05-26
SG11202101363SA (en) 2021-03-30
EP4203597A1 (en) 2023-06-28
US11432342B2 (en)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511B2 (en)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7301870B2 (ja) 物理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ネル伝送用のチャネルアクセス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23078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10136814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96218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2470534A (zh) 一种随机接入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210211252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US20210153247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210084506A (ko) 카운팅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장치
WO2019242419A1 (zh) 一种bwp切换方法及装置、终端设备
US20230371062A1 (en) Random access resource determin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036373A (ko) 정보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10771240A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RU2772977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950293B2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2027639A1 (zh) 信号接收方法、信号发送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27426A1 (en) Method for indicating channel access type,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