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161A -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161A
KR20210045161A KR1020190128575A KR20190128575A KR20210045161A KR 20210045161 A KR20210045161 A KR 20210045161A KR 1020190128575 A KR1020190128575 A KR 1020190128575A KR 20190128575 A KR20190128575 A KR 20190128575A KR 20210045161 A KR20210045161 A KR 20210045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llection container
harvest
collection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이수
신서용
남요상
권승귀
강영선
김수빈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5161A/ko
Publication of KR2021004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하는 농기계(예를 들면 고추 수확기)의 후단에 장착되는 수집통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집통(50)은 상부가 열려 있어서 위에서 수확물을 받을 수 있고, 농기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Fs)에 지지된다. 이러하 수집통(50)은 상부링크(64)와 하부링크(6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유압실린더(70)가 하부링크(62)를 상부로 밀어올리면,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집통(50)을 들어 올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집통(50)의 저판(58)을 열러서, 수확물을 예를 들면 차량의 적재함으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A gethering device for a agricultural product}
본 발명은 주행 가능한 농업용 기계의 수집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물을 담을 수 있고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차량으로 이송이 편리하게 구성되는 농업용 기계의 수집탱크에 관한 것이다.
주행 가능한 농기계는 주행하면서 소정의 수확물을 수확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10-1724198호에 의하여 제안된 고추 수확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에도 특정한 수확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탱크에 수집된 수확물을 운반 차량 등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콤바인에서, 수확되는 벼는 내장된 이송기구에 의하여 곡물탱크로 보내진다. 이렇게 곡물탱크로 보내진 곡물(수확물)은 일정 이상의 양이 되면 배출장치(오거)를 이용하여 운송용 차량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주행 가능한 농기계는 이와 같이 수화된 작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수집 탱크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기계에서 장착될 수 있는 수집탱크는, 운반용 차량으로 수확물을 옮기는 것이 용이한 것이 더욱 편리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콤바인의 예를 들면, 수확이 완료된 벼를 내부의 장치를 이용하여 곡물탱크로 보내고, 또 곡물탱크에서 외부 차량으로 곡물을 보내는 별도의 장치를 각각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곡물 이송장치 자체의 구성도 실질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수확물의 외부 이송의 측면에서는 그리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콤바인에서의 수확물은 아주 경량임과 동시에 많은 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별도의 이송장치를 구비할 수밖에 없는 원천적인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선행 특허 문헌에서 예로 든 고추 수확기를 생각해 보면, 별도의 이송장치를 주행하는 본체에 설치하는 것은 상당히 복잡하고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수확물을 쉽게 수집하여 일정 체적까지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 차량으로 쉽게 수확물을 옮길 수 있는 주행 가능한 농기계용 수집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는, 농기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과 연결되는 수집통을 포함하고, 이러한 수집통은 열려 있는 상부를 통하여 수확물을 받을 수 있고, 전방에는 수집통 프레임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가, 프레임과 수집통 프레임 사이에서 핀연결되어 있어서, 프레임 측의 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이렇게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가 프레임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수집통 자체가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의 회동은,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집통의 상부에는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킨 후, 수집통으로 낙하시키도록 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수집통의 저판은 그 후단부의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수집통의 저부가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집통의 저판은 전방이 더 낮은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집장치에 의하면, 수집통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하부에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으로 수확물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집통의 상부에는 수확물 또는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수확물의 이송이 더욱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수집통의 저면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더욱이 전방이 더 낮은 경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있는 수확물을 하방으로 더욱 편리하게 쏟아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고추 수확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고추 수확기의 예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고추 수확기의 예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추 수확기에서 수집통의 요부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집장치는, 주행 가능하고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농기계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다양한 농산물을 수확하는 주행 본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주행하면서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기계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로써 고추 수확기를 통하여, 본 발명의 수확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라고 할 수 있는 고추 수확기(주행 가능한 농기계)는, 고추 재배지(두둑)을 가운데 두고 주행하기 위한 주행장치(10)와, 상기 주행장치(10)의 주행에 따라서 앞으로 들어오는 고추(과실)를 나무에서 수확하기 위한 탈실장치(20), 그리고 상기 탈실장치(20)에서 수확된 수확물 중에서 잔가지 또는 잎파리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선별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추수확기의 주행장치(10), 탈실장치(20), 그리고 선별장치(30)는 실질적으로 고추수확기의 메인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부속 장치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은 위 선행특허 문헌에서 공개하는 것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을 수 있고, 다른 주행 가능한 농기계의 프레임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고추 수확기(농기계)는 자체적으로 주행 가능한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농기계(고추 수확기)의 프레임이라고 함은 상술한 선별장치(30)를 비롯한 주행장치(10), 탈실장치(20) 등을 지지함은 물론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링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의 부분도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고추 수확기의 주행장치(10)는 한 쌍의 크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크롤러는 엔진의 출력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것이고, 한 쌍의 크롤러는 고추가 재배되고 있는 두둑을 사이에 두고 주행하게 된다.
고추(농작물)을 따기 위한 탈실장치(20)는, 주행에 의하여 내측으로 들어오는 이파리 및 가지에서 고추를 따내는 것이고, 실질적인 구성은 위 선행특허에 기재된 것과 동등하다. 상술한 특허 문헌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탈실장치(20)는,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헬릭스 와이어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 자체는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탈실장치(20)에서 수확된 수확물 중에는, 고추 뿐만 아니라 고추잎 또는 작은 가지 등과 같은 이물질도 같이 수확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선별장치(30)는 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순수한 과실만을 선별하기 위한 부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선별장치(30)는, 후방(하류)으로 높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된 선별컨베이어(31)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선별컨베이어(32)는, 탈실장치(20)에서 수확된 이물질이 포함된 수확물을 받아서, 후방으로 공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선별컨베이어(32)는 후방이 높은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방이 높은 경사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선별이 완료된 고추는 이물질과 함께 선별컨베이어(32)의 높은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 중에서 이물질을 블로어(60)를 이용하여 날려버리고 고추만을 그 하부에 있는 수집통(50)으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선별의 효율을 더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별컨베이어(32)의 경사를 통하여, 수집통(50)이 선별컨베이어(32)의 후단하부에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확된 수확물 또는 농작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통(50)은 농기계장치(고추 수확기)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집통(50)은 선별컨베이어(32)의 후단 하부에 위치하고, 상부가 열린 상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확된 선별컨베이어(32) 상에서 후방으로 이송되는 수확물은 선별컨베이어(32)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떨어져서 수집통(50) 내부로 모이게 된다.
이러한 수집통(50)은,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추 수확기의 후단에서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내려올 수 있는 상태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통(50)이 상부로 이동하면 그 하부에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수확물을 손쉽게 옮길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차량의 적재함이 수집통(5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차량의 적재함으로 손쉽게 수확물을 옮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수집통(5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수집통(50)의 전면과 고추 수확기의 후방에 고정, 설치된 프레임(Fs) 사이에는 좌우 각각 한 쌍의 상하 링크(62,64)가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 링크(62,64)는 고추 수확기의 좌우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수집통(5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링크(64) 및 하부링크(62)는, 고추 수확기의 프레임(Fs)과 수집통(50)의 전면에 설치되는 수집통 프레임(52)에 각각 핀 연결(힌지 연결)되어 있어서, 각각 관절운동(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링크(64) 및 한 쌍의 하부링크(62)가, 고추수확기 프레임(Fs)에 연결된 핀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집통(50) 자체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링크(64) 및 하부링크(62)를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속도 회전시키는 구동원은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링크(62)의 중간부분에는 유압실린더(70)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실린더(70)의 본체는 프레임(Fs)의 후방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고, 유압실린더(70)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하부링크(62)에 지지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유압실린더(70)는 하부링크(62)에 설치되어 있지만, 프레임(Fs)과 상부링크(64)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집통(50)의 저판(58)은 후단부의 지지핀(58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저판(58)이 지지핀(58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는 것은, 저판(58)이 수집통(5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저판(58)이 개폐된다는 것은, 도 3에서와 같이 수집통(50)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저판(58)을 열면 내부에 있던 수확물이 하방으로 전부 쏟아지게 되어 차량의 적재함 등으로 옮기는 것이 아주 편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집통(50)의 저판(58)는 전방이 낮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즉, 수집통(50)의 저판(58)은 전방이 낮은 경사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후단부의 지지핀(58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저판(58)이 열리게 되면 수집통(50) 내부의 수확물은 전부 하방으로 쏟아지게 되어 더욱 편리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수집통(50) 하부의 공간 확보도 더욱 유리할 것이다. 여기서 저판(58)을 닫은 상태에서 수집통(50)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은, 알려진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는 것으로 충분히 가능할 것임은 누구나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방이 열린 상태의 수집통(50)을 링크 및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집통(50)의 열린 상부를 통하여, 선별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수확물이 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
10 ..... 주행장치
20 ..... 탈실장치
32 ..... 선별컨베이어
30 ..... 선별장치
32 ..... 선별컨베이어
50 ..... 수집통
52 ..... 수집통 프레임
58 ..... 저판
58a ..... 지지핀
62 ..... 하부링크
64 ..... 상부링크
70 ..... 유압실린더
Fs ..... 고추 수확기 프레임

Claims (4)

  1. 농기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Fs)과;
    열려 있는 상부를 통하여 수확물을 받을 수 있고, 전방에는 수집통 프레임(52)이 설치되어 있는 수집통(50);
    상기 프레임(Fs)과 수집통 프레임(52) 사이에서 핀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링크(64);
    상기 프레임(Fs)과 수집통 프레임(52) 사이에서 상부링크(64)보다 하부에서 핀연결되고, 좌우 한 쌍의 하부링크(62); 그리고
    상기 상부링크(64) 또는 하부링크(62)를 회동시켜 수집통(50)을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한 유압실린더(70)로 구성되는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50)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50)의 저판은 그 후단부의 지지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의 저판은 전방이 더 낮은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KR1020190128575A 2019-10-16 2019-10-16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KR20210045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75A KR20210045161A (ko) 2019-10-16 2019-10-16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75A KR20210045161A (ko) 2019-10-16 2019-10-16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161A true KR20210045161A (ko) 2021-04-26

Family

ID=7573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575A KR20210045161A (ko) 2019-10-16 2019-10-16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51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365A1 (ja) * 2021-12-24 2023-06-29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365A1 (ja) * 2021-12-24 2023-06-29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74467A (en) Pickup and threshing unit for peanut combine
US6419093B2 (en) Vegetable harvester
US4545187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fruit or nuts
EA004464B1 (ru) Уборочная насадка
US4229932A (en) Harvesters
US6003293A (en) Vegetable harvester
US5375403A (en) Lowbush berry harvester
JP5271011B2 (ja) コンバイン
CN102291980B (zh) 联合收割机
KR20210045161A (ko) 농기계용 수확물 수집장치
US7051505B2 (en) Tomato harvester
CN205142918U (zh) 自走式自动捡拾摘果机
JP5436378B2 (ja) コンバイン
CN105284301A (zh) 自走式自动捡拾摘果机
CN101617590B (zh) 联合收割机
US4913680A (en) Low-trellis mobile hop picker
US3209759A (en) Capacity increasing attachment for a thresher
JP3180135B2 (ja) サトウキビ梢頭部の収穫装置および収穫方法
US4362457A (en) Cotton loader and packer
RU2579783C1 (ru) Машина полевая для заготовки и сбора зернового вороха
US20050028508A1 (en) Picking accessory for berry harvester
US4204390A (en) Harvesting machine
JP5273788B2 (ja) コンバイン
RU2177682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зерно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JP2017148000A (ja) 汎用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