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299A - 역도 장치 - Google Patents
역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4299A KR20210044299A KR1020217010171A KR20217010171A KR20210044299A KR 20210044299 A KR20210044299 A KR 20210044299A KR 1020217010171 A KR1020217010171 A KR 1020217010171A KR 20217010171 A KR20217010171 A KR 20217010171A KR 20210044299 A KR20210044299 A KR 202100442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free
- fixing member
- free weight
- support s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Handcart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바아(10)를 포함하고, 상기 바아(10)는 하나 이상의 프리웨이트(100)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 지지섹션(30)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웨이트는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을 둘러싸는 개구(101)를 포함하는 역도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은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의 제1 단부(32)에 있는 상기 프리웨이트용 단부 스탑(31)과, 상기 프리웨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프리웨이트가 상기 제2 단부에서 의도치 않게 빠져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의 반대측 제2 단부(11)에 있거나 이에 인접하는 오목부(12)를 포함한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단부 스탑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와 상기 오목부 사이에서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의 길이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상기 오목부에서 하강된 위치와 상승된 위치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하강된 위치는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완전히 또는 적어도 대부분 상기 오목부 내부로 하강된 위치이고, 상기 상승된 위치는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상기 하강된 위치에 대하여 상승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오목부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위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벨 또는 덤벨과 같은 역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벨 역도장치는 보통 바아와 복수의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고, 디스크는 다양한 웨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 홀이 있어서 디스크가 바아의 단부에서 슬라이딩되고, 바아의 단부에서 칼라에 의해 일시적으로 체결되고, 칼라에서 웨이트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체결되는데, 예를 들어 z-나사, 토션 스프링 또는 클램핑과 같은 방법으로 체결된다.
안전은 프리웨이트 -이러한 웨이트는 바벨이나 다른 역도 장치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님- 를 다루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인데, 왜냐하면 단일 웨이트가 사용자에게 떨어질 수도 있고 프리웨이트 시스템은 종종 보디빌딩이나 유사한 액티비티를 위해 무거운 웨이트 하중을 가지고 사용되기 때문이다. 고정 칼라가 미끄러지는 것과 같은 문제들은, 위험한 웨이트 시프트를 초래한다. 따라서, 프리웨이트는 바벨에 적합하게 체결되어야만 한다.
종래의 바벨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한 수많은 노력이 있었고, 특히 프리웨이트를 바벨에 고정시키는 여러가지 다른 디자인들이 제안되었었다.
예를 들어, US 2017/0056704 A1에서는 웨이트와 웨이트를 바벨에 고정시키는 고정 메커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US 4738446에서는 운동하는 사람이 바아를 조작하는 동안 디스크에서 약간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면서 리프팅 바아의 단부에 엑서사이즈 웨이트-디스크를 고정시키는 체결 메커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톱니형 플랜지를 갖는 원활한 원통형 보어를 구비한 슬리브형 칼라-피스가 나사산 세트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보어를 갖는 웨이트 리프팅 바아의 나사산 단부 상에 끼워진다. 칼라-피스는 나사산 단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웨이트-디스크와 등록된 후 회전되어, 바아 나사산과 결합하여 함께 작용하는 톱니형 플랜지에 의해 회전가능한 개스킷-표면의 면이 웨이트-디스크에 대하여 갑자기 멈추게 된다. 칼라-피스 면에 삽입되고 개스킷이 고정되는 볼-베어링/레이스는 회전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베이스를 제공하여, 리프팅 운동 중에 바아가 꼬이면서 웨이트-디스크가 다소 억제된 회전을 겪을 수 있게 된다.
여러 유형의 부착 메커니즘을 갖는 다수의 역도장치가 제안되었지만, 여전히 개선된 역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존재한다.
상술한 내용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고 신뢰성 있고 및/또는 효율적인 프리웨이트용 고정 메커니즘을 갖는 개선된 역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적어도 적절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항의 역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바아를 포함하는 역도장치로서, 바아는 하나 이상의 프리웨이트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 지지섹션을 포함하고, 프리웨이트는 웨이트 지지섹션을 둘러싸는 개구를 포함하는, 역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이트 지지섹션은 웨이트 지지섹션의 제1 단부에 프리웨이트용 단부 스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은 웨이트 지지섹션의 반대측 제2 단부에 또는 이에 인접하는 곳에 위치하는 오목부와, 프리웨이트를 고정하고 프리웨이트가 제2 단부에서 의도치 않게 빠져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오목부와 단부 스탑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와 오목부 사이에서 웨이트 지지섹션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하강된 위치와 상승된 위치 사이에서 오목부에서 제2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가능하다. 하강된 위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완전히 또는 적어도 대부분 오목부 내부로 하강된 위치이고, 상승된 위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하강된 위치에 대하여 상승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위치이다.
여기에 개시된 역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프리웨이트가 안전하게 및/또는 신뢰성있게 일시적으로 바아에 체결될 수 있는 개선된 고정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구조에 의해, 프리웨이트 고정 메커니즘은 오목부에서 하강된 위치와 상승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프리웨이트는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 상에서 프리웨이트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프리웨이트에 대하여 좀 더 효율적인 부착 및/또는 제거 절차를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부착/제거 과정동안에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역도장치가 사용 전에/후에 등등, 이송하는 중에 있을 때처럼 웨이트 지지섹션 상에 수용된 프리웨이트가 없을 때의 상황에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안전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하강된 위치는 또한 역도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에 손해를 가하는 것을 피하는 것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의 단면 영역의 적어도 90, 95, 96, 97, 98, 또는 99%가 오목부에 위치될 수 있고, 여기서 단면은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정의되며, 심지어 100%가 하강된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도 그러하다.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웨이트 지지섹션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의 외곽 프로파일이 웨이트 지지섹션의 외곽 프로파일을 따라가거나 이보다 작게 되도록,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프리웨이트가 오목부 상에서 좀 더 쉽게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바아의 외곽 프로파일 바깥으로 연장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 및/또는 웨이트 지지섹션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 사이에 유지력을 제공하는 리텐션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텐션 수단은 안전하게 프리웨이트를 웨이트 지지섹션에 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리텐션 수단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 상에 적어도 하나의 수형 및/또는 암형 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암형 및/또는 수형 고정요소를 포함하여,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쌍으로 된 수형/암형 고정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수형/암형 고정구조가 역도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신뢰할 수 있는 유지력을 제공하도록 발견되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좀 더 무거운 프리웨이트를 사용할 때 바람직하다. 한편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쌍으로 된 수형/암형 고정요소를 결합시키고 해제하는 방향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거나, 단부 스탑을 향하여 경사져 있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쌍으로 된 수형/암형 고정요소를 결합하고 해제하는 방향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거의 반경방향으로 되거나 단부 스탑을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프리웨이트로부터 더 큰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 실제로, 이로써 프리웨이트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운터 힘은, 주로 바아의 길이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향이 단부 스탑을 향하여 경사지면, 카운터 힘도 부분적으로 바아의 중심을 향하여 안쪽으로 향할 수 있고, 이는 유지하는 효과를 더 개선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선택적으로, 결합/해제 방향은 제2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리텐션 수단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와 웨이트 지지섹션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에 제공되는 자석, 기계적 스프링, 레버, z-나사,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텐션 수단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의 결합을 더 개선하도록 예를 들어 수형/암형 리텐션 수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리텐션 수단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와 웨이트 지지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마찰 증가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텐션 수단은 바람직하게 상술한 리텐션 수단과 같은 다른 리텐션 수단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코팅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와 웨이트 지지섹션 사이에서 접촉 표면들 중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웨이트 지지섹션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한 줄로 배열된 프리웨이트 고정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프리웨이트 및/또는 폭이 다른 프리웨이트가 웨이트 지지섹션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웨이트 지지섹션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오목부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지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웨이트 지지섹션에서 쉽게 분리될 수 없도록 체결되고, 따라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가 바아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z-나사와 같은 다른 해제되는 고정부재는 바아에서 쉽게 떨어져서 사용중에 없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바아에서 유지되고, 예를 들어 보통의 사용자에 의해서는 쉽게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웨이트 지지섹션의 길이방향으로 웨이트 지지섹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트랙은 웨이트 지지섹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홈, 더 바람직하게는 반대측에 있는 두 개의 홈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웨이트 지지섹션은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바아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역도장치는 올림픽 표준 바벨, 파워리프팅 표준 바벨, 올림픽 덤벨, 및 플레이트 로딩 강도 훈련장치와 같은 바벨 또는 덤벨 중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역도장치의 바아는 강철 및/또는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도 강철 및/또는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역도장치는 프리웨이트 지지섹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는 부분적으로 원형 또는 부분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역도장치는 바아의 제1 및 제2 단부 각각으로부터 프리웨이트를 수용하는 두 개의 프리웨이트 지지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리웨이트 지지섹션은 상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웨이트 지지섹션의 제1 단부에 있는 단부 스탑은 바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부 스탑은 제2 단부에 또는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오목부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로서 비슷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융통성이 개선되어, 하나 이상의 프리웨이트가 바아를 따라 더 많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예를 들어 인용된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도 장치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프리웨이트(free weight)가 부착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역도 장치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역도 장치의 다른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역도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텐션 수단을 갖는 역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텐션 수단을 갖는 다른 역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텐션 수단을 갖는 또 다른 역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선으로 그린 실시예를 나타내며, 반드시 축적에 맞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도시되어 있고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세부사항은 본 발명을 좀 더 잘 설명하고 나타내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한다. 명세서에서 다른 말이 없으면 비슷한 도면부호는 비슷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도 장치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프리웨이트(free weight)가 부착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역도 장치의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역도 장치의 다른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역도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텐션 수단을 갖는 역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텐션 수단을 갖는 다른 역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텐션 수단을 갖는 또 다른 역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선으로 그린 실시예를 나타내며, 반드시 축적에 맞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도시되어 있고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세부사항은 본 발명을 좀 더 잘 설명하고 나타내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한다. 명세서에서 다른 말이 없으면 비슷한 도면부호는 비슷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도 장치(1)를 볼 수 있다. 역도 장치(1)는 길이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바아(10)를 포함하며, 바아(10)는 프리웨이트(100)를 수용하는 웨이트 지지 섹션(30)을 포함하며, 프리웨이트는 개구(101)를 포함하고 여기서 개구는 중앙 개구이다. 바아(10)는 그립 섹션(20)을 더 포함하고, 그립 섹션에서 사용자는 역도 장치(1)를 잡을 수 있다. 웨이트 지지 섹션(30)은 웨이트 지지 섹션(30)의 제1 단부(32)에 프리웨이트(100)용 단부 스탑(31)을 포함하며, 웨이트 지지 섹션(30)의 반대측 제2 단부(11)에 또는 제2 단부에 인접한 곳에 오목부(12)를 포함하고, 프리웨이트(100)를 고정하고 프리웨이트(100)가 제2 단부(11)에서 갑작스럽게 떨어지는 것을 막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단부(11)는 바아(10)의 외측 단부이고, 여기서 단부 스탑(31)은 바아(10) 상의 칼라(collar)로 구성되어, 웨이트 지지 섹션(30)과 그립 섹션(20)을 구분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칼라(31)는 고정부재(40)와 오목부(12)와 비슷한 구조를 갖는 오목부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로 대체 및/또는 보완됨으로써, 융통성을 향상시켜 바아(10)에 프리웨이트를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오목부(12)와 단부 스탑(31)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 위치(33)와 오목부(12) 사이에서 웨이트 지지 섹션(30)의 길이방향(L)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웨이트 지지 섹션(30)은 웨이트 지지 섹션(30)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한 줄로 배치된 복수의 프리웨이트 고정 위치(33)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아(10)에 있는 프리웨이트(10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고, 그 결과 보다 융통성 있는 역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오목부(12)에서, 오목부(12)에 대하여 상승된 위치(elevated position)와 하강된 위치(immersed position) 사이에서 Y 방향으로 더 움직일 수 있다. 제2 방향(Y)은 길이방향(L)과 다르고 여기에서는 바아(10)의 반경방향(Y)이다. 하강된 위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완전히 또는 적어도 대부분, 오목부(12) 안으로 하강된 위치이고, 상승된 위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하강된 위치에 대하여 상승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12) 바깥으로 연장된 위치이다. 도 1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의 상황을 보여준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웨이트 지지 섹션(30)으로부터 바깥으로 향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의 외곽(perimeter) 프로파일은 거의 웨이트 지지 섹션(30)의 외곽 프로파일을 따라간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웨이트 지지섹션(30)은 이 실시예에서 프리웨이트(100)가 수용되는 것을 의미하는 웨이트 지지섹션(30)의 연장부 전체를 따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프리웨이트(100)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 상에서 칼라(31)를 향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방향(Y)은 이 실시예에서 길이방향(L)에 거의 직교하며, 즉, 바아(10)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따라서, 하강된 위치에서 상승된 위치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이동하면, 오목부(12)에서 웨이트 지지섹션(30)의 단면 영역이 증가된다. 하지만, 또한 제2 방향은 다른 방향으로도 향할 수 있는데, 이는 하강된 위치로부터 상승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길이방향 연장부(L)에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정의되는 웨이트 지지섹션(30)의 단면 영역이 오목부(12)에서 증가되는 결과가 초래되는 경우에 한한다.
도 2는 프리웨이트(100)가 웨이지 지지섹션(30) 상에 제공될 때, 프리웨이트(100)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와 칼라(31) 사이에 고정된 경우를 보여주는데, 도 2의 도면에서는 칼라가 숨겨져 있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오목부(12) 내의 하강된 위치에 있었을 때 프리웨이트(100)가 제2 단부(11)로부터 웨이트 지지섹션(30) 상에 제공되었다. 그리고 나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상승된 위치로 상승되었고, 그런 다음 칼라(31)와 프리웨이트(100)를 향하여 길이방향(L)으로 이동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프리웨이트(100)에 가장 가까운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에서 고정되었고, 따라서 프리웨이트(100)는 역도장치(1)에 고정되고 이로써 또한 제2 단부(11)에서 의도치 않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트랙(34)을 따라 길이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트랙(34)은 이 실시예에서 웨이트 지지섹션(30)의 양편에 위치한 두 개의 홈으로 제공된다(도면에서 홈 중 하나만 볼 수 있다). 홈(34)은 웨이트 지지섹션(30)의 원주에서 각도상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웨이트 지지섹션(30)은 원형 단면을 갖고, 다만 타원형 단면과 같이 다른 단면의 형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수형 고정요소(41)를 포함하며,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에서 웨이트 지지섹션(30)은 맞물리는 암형 고정요소(331)를 포함하여, 맞물리는 쌍으로 이루어진 수형/암형 고정요소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도 3a 내지 도 3b에서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고, 여기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웨이트 지지섹션(30)과 분리되어 있다.
특히 도 3a를 참고하면, 웨이트 지지섹션(30)이 복수의 암형 고정요소(331)를 포함하고, 암형 고정요소는 길이방향(L)을 따라 한 줄로 배열된 압입부(indentation)로 제공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는 비슷한 형상의 압입부(13)를 갖는다. 압입부(13, 331)는 도 3b에 도시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에 제공된 맞물리는 수형 고정요소(4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또한 트랙(34)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 러닝부재(42)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러닝부재(42)는 두 개의 각도상으로 오프셋된 홈(34)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러닝부재(42)는 바아(10)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부쪽으로 튀어나와 있어서, 바아(10)의 웨이트 지지섹션(30)에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이동가능하게 체결시킨다. 수형 고정요소(41)가 암형 고정요소(331)와 맞물리도록 바아(10)의 중앙을 향하여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에 고정된다.
또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부분적으로 원형인 단면 프로파일을 갖고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약 180도의 연장부를 갖는 반원형 프로파일이다. 더 나아가,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추가 옵션으로 리텐션 수단(43)을 포함하며, 이는 여기에서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의 외측 원주 단부에 제공된 자석이다. 자석(43)은 웨이트 지지섹션(30)과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 사이에 자력을 생성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오목부(12)에 위치되어 있을 때 자력을 사용하여 좀 더 쉽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끌어당겨서 하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력은 또한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에서 좀 더 쉽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끌어당겨서 고정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웨이트 지지섹션(30)은 또한 예를 들어 오목부(12)에 및/또는 트랙(34)에 또는 트랙(34) 가까이에 위치된 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아(10)는 자체 내부에 자성을 띤 물질, 예를 들어 자석강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역도장치(1)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여기에서 바아(10)에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100)를 고정시키고 있다.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의 수형 고정요소(41)는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맞물리는 암형 고정요소(331) 내부로 제공되어, 고정부재(40)를 고정위치(33)에 고정시킨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두 개의 상이한 리텐션 수단의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을 볼 수 있다. 리텐션 수단은 여기에서 맞물리는 쌍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수형/암형 고정요소(41, 331)이다. 도 5에서, 맞물리는 쌍으로 된 수형/암형 고정요소(41, 331)를 결합하고 해제하는 방향이 길이방향(L)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수형/암형 고정요소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리웨이트(100)로부터 하중(W)이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에 인가될 때, 수직항력(N)에 의해 프리웨이트는 고정된 위치에서 해제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선 압입부로 제공된 암형 고정요소(331)의 내벽(332)이 길이방향(L)에 직교하기 때문에 수직항력(N)은 바아(10)의 길이방향(L)으로 향할 것이다. 내벽(332)은 또한 비(specific)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마찰 증가 코팅을 제공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력(R)에 의해 암형 고정요소(41)가 압입부(331)에서 해제되지 않을 것이고, 마찰력(R)은 수직항력(N)과 마찰계수를 곱한 값이 된다.
도 6에서, 맞물리는 쌍으로 된 수형/암형 고정요소(41, 331)를 결합하고 해제하는 방향이 단부 스탑(31)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수형/암형 고정요소가 구성된다. 리텐션 수단은 또한 여기에서 맞물리는 쌍으로 된 각각의 수형/암형 고정요소(41, 331)이다. 따라서, 프리웨이트(100)로부터 하중(W)이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에 가해지면, 수직항력(N)에 의해 프리웨이트(10)는 고정된 위치로부터 해제되지 않게 될 것이다. 수직항력(N)은 바아(10)의 길이방향(L)으로 향하고, 또한 바아(10)의 중앙을 향하여 안쪽으로 향할 것이며, 이는 암형 고정요소(331)의 내벽(332)이 단부 스탑(31)을 향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중(W)이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에 인가될 때 안쪽으로 향하는 유지력(TF)에 의해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해제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훨씬 더 개선된 리텐션이 제공될 것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여, 다른 리텐션 수단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을 볼 수 있고, 이는 상술한 수형/암형 고정 요소에 대한 보완 또는 대안으로 사용될 것이다. 여기에서,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레버부재(44)를 갖는다. 레버부재(44)가 회전할 때,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Y방향으로 이동하여,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웨이트 지지섹션(30)에 클램핑시킬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레버(44)를 회전할 때, 러닝부재(42)는 위쪽으로 홈(34)의 상면을 향하여 이동되어, 클램핑하는 힘(N)이 생성될 것이고, 이는 도 7b에서 볼 수 있다. 프리웨이트(100)로부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에 인가되는 하중(W)은 클램핑된 표면과 수직항력(N) 사이의 마찰계수와 동일한 유지력(R)을 초래할 것이다. 비슷한 방식으로, 유지력(R)은 또한 예를 들어 기계적인 스프링 또는 비슷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마찰 증가 코팅은 유지력(R)을 추가로 증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사항 및 수정사항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원의 절반으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모양, 예를 들어 더 작은 원의 섹션과 더 큰 원의 섹션도 가능하다.
Claims (15)
-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바아(10)를 포함하는 역도장치(1)로서,
상기 바아(10)는:
- 하나 이상의 프리웨이트(100)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 지지섹션(30)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웨이트는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을 둘러싸는 개구(101)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은:
-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의 제1 단부(32)에 있는 상기 프리웨이트(100)용 단부 스탑(31)과,
-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의 반대측 제2 단부(11)에 또는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오목부(12)와,
- 상기 프리웨이트(100)를 고정하고 상기 프리웨이트(100)가 상기 제2 단부(11)에서 의도치 않게 빠져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오목부(12)와 상기 단부 스탑(31)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와 상기 오목부(12) 사이에서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의 길이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상기 오목부(12)에서 상기 오목부(12)에 대하여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하강된 위치는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완전히 또는 적어도 대부분 상기 오목부(12) 내부로 하강된 위치이고, 상기 상승된 위치는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상기 하강된 위치에 대하여 상승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오목부(12)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상기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상기 바아(10)의 길이방향(L)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가 상기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길이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의 외곽 프로파일이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의 외곽 프로파일을 실질적으로 이어가거나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의 외곽 프로파일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 및/또는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은,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 사이에 유지력을 제공하는 리텐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수단은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수형 고정요소(41) 및/또는 암형 고정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암형 고정요소(331) 및/또는 수형 고정요소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에 고정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쌍으로 된 수형/암형 고정요소(41, 3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맞물리는 쌍으로 된 수형/암형 고정요소(41, 331)를 결합하고 해제하는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L)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거나 상기 단부 스탑(31) 쪽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수단은,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와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에 제공된, 자석(43), 기계적인 스프링과 레버(44), z-나사, 또는 유사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텐션 수단은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과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마찰 증가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은 길이방향(L)으로 복수의 프리웨이트 고정위치(33)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위치는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L)으로 서로 한 줄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웨이트 고정부재(40)는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랙을 따라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의 길이방향(L)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랙은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의 길이방향(L)으로 뻗어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홈,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홈, 더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지지섹션(30)은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도장치는 올림픽 표준 바벨, 파워리프팅 표준 바벨, 올림픽 덤벨, 및 플레이트 로딩 강도 훈련장치와 같은 바벨 또는 덤벨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도장치(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NO20181186A NO344776B1 (en) | 2018-09-11 | 2018-09-11 | A weightlifting device |
NO20181186 | 2018-09-11 | ||
PCT/EP2019/061481 WO2020052815A1 (en) | 2018-09-11 | 2019-05-06 | A weightlif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4299A true KR20210044299A (ko) | 2021-04-22 |
KR102341092B1 KR102341092B1 (ko) | 2021-12-21 |
Family
ID=6653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0171A KR102341092B1 (ko) | 2018-09-11 | 2019-05-06 | 역도 장치 |
Country Status (12)
Country | Link |
---|---|
US (1) | US11213714B2 (ko) |
EP (1) | EP3829727B1 (ko) |
JP (1) | JP7036482B2 (ko) |
KR (1) | KR102341092B1 (ko) |
CN (1) | CN112839721B (ko) |
AU (1) | AU2019340345B2 (ko) |
CA (1) | CA3112441C (ko) |
ES (1) | ES2933562T3 (ko) |
MX (1) | MX2021002821A (ko) |
NO (1) | NO344776B1 (ko) |
RU (1) | RU2754245C1 (ko) |
WO (1) | WO202005281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59669B2 (en) | 2020-04-03 | 2023-09-19 | L&S Prestige LLC | Barbell weight retaining mechanism and method of use |
USD958266S1 (en) * | 2020-04-16 | 2022-07-19 | Nautilus, Inc. | Free weight handlebar |
WO2024144423A1 (ru) * | 2022-12-30 | 2024-07-04 | ЗАРЕЦКИЙ, Лев Маркович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грузов на спортивном снаряде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38446A (en) * | 1986-12-12 | 1988-04-19 | David Miles | Apparatus for securing exercise weights on shafts |
US8827878B1 (en) * | 2012-05-29 | 2014-09-09 | MCR Strength Inc. | Weight bar clamp |
KR20180033775A (ko) * | 2016-09-26 | 2018-04-04 | 서정헌 | 중량 조절형 아령 |
CN207679935U (zh) * | 2017-05-08 | 2018-08-03 | 郑州财经学院 | 一种新型举重杠铃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1317609C (en) * | 1986-07-21 | 1993-05-11 | Specialized Mechanisms Incorporated | Quick release collar |
SU1664340A1 (ru) * | 1988-11-29 | 1991-07-23 | А.В. Фомиченко | Гантель |
JPH0717320Y2 (ja) * | 1989-07-29 | 1995-04-26 | 美津濃株式会社 | ダンベル・バーベルのウエイト止め具 |
US5605411A (en) * | 1995-08-14 | 1997-02-25 | Jerry L. Wilson | Lock for cylindrical rod |
DE29720333U1 (de) * | 1997-11-17 | 1998-02-26 | Garnjost, Achim, Dr.med., 53721 Siegburg | Scheibenhantel mit Steckverschlüssen |
US6875161B1 (en) * | 2002-04-19 | 2005-04-05 | Weight lifting device | |
US7087000B1 (en) * | 2003-10-27 | 2006-08-08 | Morris Wayne Walker | Collarless barbell sleeve |
JP3108217U (ja) * | 2004-10-13 | 2005-04-14 | 株式会社ウエサカ ティー・イー | ウエイトリフティング用ウエイトディスク |
US7364536B2 (en) * | 2004-11-12 | 2008-04-29 | Bell Foundry Company | Weight bar with internally-threaded axial ends |
TW200819161A (en) * | 2006-10-30 | 2008-05-01 | Joong Chenn Industry Co Ltd | Adjustable weight training device |
US7811213B2 (en) * | 2009-01-28 | 2010-10-12 | Paul Chen | Adjustable dumbbell |
CN201529347U (zh) * | 2009-04-17 | 2010-07-21 | 陈保江 | 可调式运动器具 |
US20130090212A1 (en) * | 2011-10-06 | 2013-04-11 | Leao Wang | Dumbbell structure capable of delivering exercise information and status |
US9005088B2 (en) * | 2012-12-07 | 2015-04-14 | Richard D. Sides, Jr. | Barbell assembly having impact absorbing weights and swivel end |
CN105102078B (zh) * | 2013-02-13 | 2017-06-13 | 古金控股有限公司 | 重量套组选择器及锁定机构 |
US9522296B2 (en) * | 2013-03-08 | 2016-12-20 | Atlas Barbell, Llc | Locking mechanism |
US9555278B2 (en) * | 2013-03-15 | 2017-01-31 | Arqfx Outdoor Fitness Systems, Llc | Strength training and stretching system and resistance band assembly for use therewith |
CN203303569U (zh) * | 2013-06-28 | 2013-11-27 | 宁波市鄞州龙豪健身器材有限公司 | 重量可调式哑铃 |
JP2015223479A (ja) * | 2014-05-30 | 2015-12-14 | 雅彦 井桁 | バーベルおよびこのバーベルを用いたベンチプレス装置 |
US9855458B2 (en) * | 2014-11-14 | 2018-01-02 | Tyler Scott STILSON | Clamping device |
US11135468B2 (en) * | 2019-07-15 | 2021-10-05 | Wayne Hun LEE | Weight bar stopper |
-
2018
- 2018-09-11 NO NO20181186A patent/NO344776B1/en unknown
-
2019
- 2019-05-06 US US17/274,524 patent/US11213714B2/en active Active
- 2019-05-06 AU AU2019340345A patent/AU2019340345B2/en active Active
- 2019-05-06 MX MX2021002821A patent/MX2021002821A/es unknown
- 2019-05-06 KR KR1020217010171A patent/KR1023410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5-06 CN CN201980059618.6A patent/CN112839721B/zh active Active
- 2019-05-06 EP EP19723737.3A patent/EP3829727B1/en active Active
- 2019-05-06 RU RU2021109360A patent/RU2754245C1/ru active
- 2019-05-06 CA CA3112441A patent/CA3112441C/en active Active
- 2019-05-06 WO PCT/EP2019/061481 patent/WO2020052815A1/en unknown
- 2019-05-06 JP JP2021526221A patent/JP7036482B2/ja active Active
- 2019-05-06 ES ES19723737T patent/ES2933562T3/es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38446A (en) * | 1986-12-12 | 1988-04-19 | David Miles | Apparatus for securing exercise weights on shafts |
US8827878B1 (en) * | 2012-05-29 | 2014-09-09 | MCR Strength Inc. | Weight bar clamp |
KR20180033775A (ko) * | 2016-09-26 | 2018-04-04 | 서정헌 | 중량 조절형 아령 |
CN207679935U (zh) * | 2017-05-08 | 2018-08-03 | 郑州财经学院 | 一种新型举重杠铃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29727B1 (en) | 2022-09-14 |
MX2021002821A (es) | 2022-11-09 |
EP3829727A1 (en) | 2021-06-09 |
US11213714B2 (en) | 2022-01-04 |
CN112839721A (zh) | 2021-05-25 |
CA3112441C (en) | 2021-10-12 |
CN112839721B (zh) | 2022-02-11 |
NO20181186A1 (en) | 2020-03-12 |
KR102341092B1 (ko) | 2021-12-21 |
CA3112441A1 (en) | 2020-03-19 |
NO344776B1 (en) | 2020-04-27 |
BR112021004524A2 (pt) | 2021-06-29 |
RU2754245C1 (ru) | 2021-08-31 |
US20210316181A1 (en) | 2021-10-14 |
JP7036482B2 (ja) | 2022-03-15 |
ES2933562T3 (es) | 2023-02-10 |
AU2019340345A1 (en) | 2021-05-06 |
JP2021526953A (ja) | 2021-10-11 |
AU2019340345B2 (en) | 2021-07-01 |
WO2020052815A1 (en) | 2020-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1092B1 (ko) | 역도 장치 | |
US4817944A (en) | Apparatus for retaining weights on a barbell | |
US9839806B2 (en) | Cam and wedge barbell clip | |
US3825253A (en) | Barbell with removable weights | |
US9095743B2 (en) | Locking mechanism | |
US20030207740A1 (en) | Balanced stackable dumbbell system | |
US20090156376A1 (en) | Balanced Stackable Dumbbell System | |
EP3302728B1 (en) | Grip apparatus for exercise equip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 |
US912607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mentally increasing strength | |
US3528656A (en) | Elastic type exercising device | |
US20160082304A1 (en) | Weight plate locking hub | |
JPS6334310A (ja) | 早ゆるめカラ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続組立体 | |
BR112021004524B1 (pt) | Um dispositivo de levantamento de peso | |
WO2018140380A1 (en) | Weight collar | |
CA2746210C (en) | Device for preventing overdrawing of winch hook | |
KR20110000231U (ko) | 역기바 | |
CN113003380A (zh) | 用于通过承载螺栓将载荷联接到吊耳的连接装置 | |
KR102410001B1 (ko) | 바벨용 바 | |
CA2936992C (en) | Pipe support | |
RU2019222C1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портивный снаряд | |
EP2940331A1 (en) | Bearing with an outer race interference fitable in a range of housing bore sizes | |
WO2016068775A1 (en) | A transport and/or mounting device for bearings | |
JP6503729B2 (ja) | ボール循環チューブ、ボールねじ装置 | |
JPS602065B2 (ja) | 下降用ロ−ラ | |
CN101612465A (zh) | 铃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