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869A -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869A
KR20210043869A KR1020190126728A KR20190126728A KR20210043869A KR 20210043869 A KR20210043869 A KR 20210043869A KR 1020190126728 A KR1020190126728 A KR 1020190126728A KR 20190126728 A KR20190126728 A KR 20190126728A KR 20210043869 A KR20210043869 A KR 20210043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image current
electric vehicle
leakag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533B1 (ko
Inventor
윤상선
이충학
김남종
Original Assignee
모트랩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트랩 (주) filed Critical 모트랩 (주)
Priority to KR102019012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5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변류기(ZCT)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는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구비하여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을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는, 누설전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누설전류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센서는, 누설전류가 인가되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변류기의 불량을 감지하는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은, a)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통해 영상변류기의 저항을 구하는 단계와, b)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과 기설정된 기준저항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Cable for Electronic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변류기(ZCT)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는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구비하여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을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운행되는 전기자동차가 각광받고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중량 감소 및 충전 용이성 확보 등의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는 급속충전과 완속충전이 있다. 급속충전은 단시간 동안 급속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으로, 공용 충전소의 급속 충전기에 전기자동차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경우 급속충전을 이용할 수 있다. 완속충전은 장시간동안 완속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으로, 가정용 상용전원에 전기자동차를 연결하여 충전하는 경우 완속충전을 이용할 수 있다.
완속충전의 경우 휴대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이용된다.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은, 가정용 상용전원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일측이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충전케이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전케이블 제어장치는, 충전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며, 연결된 전기자동차 및 충전케이블의 누설전류 발생 등의 상태를 파악하여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국내에서 주로 이용되는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일례로 인-케이블 제어 장치(ICCB, In-Cable-Control Box)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에 구비되어 누설전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누설전류 센서(1)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누설전류 센서(1)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이 가정용 상용전원의 콘센트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VCC)이 인가됨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 누설전류 센서(1)는, 누설전류가 인가되는 영상변류기(ZCT, 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10)와, 상기 영상변류기(10)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전압측정기(20)와, 상기 누설전압차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증폭기(30)와, 상기 증폭기(30)에서 증폭된 상기 누설전압차와 기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그 차이값을 출력하는 비교기(40)를 포함한다.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제어부(2)는 상기 비교기(40)에서 출력된 상기 누설전압차와 기설정된 기준전압의 차이값을 수신하여 누설전류의 발생 여부와 발생된 누설전류량을 파악하게 되며, 누설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전류량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케이블의 회로를 차단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영상변류기(10)의 정격전류 용량은 충전케이블의 최대충전전류인 8 내지 12A를 기준으로 하며, 상기 기준전류량은 30mA 이내의 미소전류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누설전류량이 30mA를 초과하면 회로가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영상변류기(10)의 정격전류 용량과 상기 기준전류량의 범위 차이에 따라, 상기 영상변류기(10)가 내부저항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불량품인 경우 충전케이블을 이용함에 있어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충전케이블의 이용 전 상기 영상변류기(10)의 불량 여부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누설전류 센서가 구비된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2992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요에 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누설전류 센서에 영상변류기(ZCT)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는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구비하여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을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는, 누설전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누설전류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센서는, 누설전류가 인가되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변류기의 불량을 감지하는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는, 상기 영상변류기의 양단에 연결되되, 상기 영상변류기에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영상변류기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비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전압측정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는, 상기 비누설전압차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과 기설정된 기준저항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이 상기 기준저항을 만족하면 상기 영상변류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이 상기 기준저항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회로를 차단하거나 알람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와, 전압의 완충역할을 하는 전압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회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버퍼는 OP앰프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는 상기 영상 변류기의 양단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전류 센서는, 상기 영상변류기에 누설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변류기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전압측정기와, 상기 누설전압차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상기 누설전압차와 기설정된 기준전압차를 비교하는 비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은, a)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통해 영상변류기의 저항을 구하는 단계와, b)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과 기설정된 기준저항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b)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이 상기 기준저항을 만족하면 상기 영상변류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이 상기 기준저항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영상변류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c) 상기 누설전류 센서를 가동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에 인가된 누설전류량을 구하는 단계와, d) 상기 누설전류량과 기설정된 기준전류량을 비교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회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알람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누설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d)에 후행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회로를 오픈하여 상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누설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d)에 후행하여 상기 충전회로를 차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는, 상기 영상변류기에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영상변류기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비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누설전압차를 통해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는, 상기 영상변류기에 누설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전압측정기를 통해 상기 영상변류기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단계와, 증폭기를 통해 상기 누설전압차를 증폭시키는 단계와, 비교기를 통해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상기 누설전압차와 기설정된 기준전압차를 비교하여 상기 누설전류량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누설전류 센서에 영상변류기(ZCT)의 불량 여부를 체크하는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구비하여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을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누설전류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누설전류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누설전류 센서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포함하는 누설전류 센서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내용 및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새롭게 부가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는, 누설전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누설전류 센서(100)를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센서(100)는, 누설전류가 인가되는 영상변류기(ZCT, 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110)와,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변류기의 불량을 감지하는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누설전류 센서(100)는, 상기 영상변류기(100)의 전단과 후단에 연결된 전압측정기(120)와, 상기 전압측정기(120)에 연결된 증폭기(130) 및, 상기 증폭기(130)에 연결된 비교기(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압 측정기(120)는 부하저항(Load Resistance)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폭기(130) 및 상기 비교기(140)는 OP앰프(Operational Amplifier)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의 일측과 타측이 가정용 상용전원의 콘센트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되면 상기 누설전류 센서(100)에 전원(VCC)이 인가되며, 상기 영상변류기(100)에 누설전류가 인가된다.
상기 전압측정기(120)는 누설전류가 인가된 상기 영상변류기(100)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누설전압차를 측정하며, 상기 증폭기(130)는 상기 누설전압차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상기 비교기(140)는 상기 증폭기(130)에서 증폭된 상기 누설전압차과 기설정된 기준전압차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을 출력한다.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에는, 내부 구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교기(40)로부터 상기 누설전압차와 상기 기준전압차의 차이값을 수신하여 누설전류량을 계산하고, 상기 누설전류량이 기설정된 기준전류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설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 회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발생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누설전류 발생 상황을 인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는, 상기 영상변류기(110)에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상기 충전 회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가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는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비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전압측정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누설전압차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저항을 계산하고, 상기와 같이 계산된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저항이 기설정된 기준저항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계산된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저항이 기설정된 기준저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불량을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 회로를 차단하거나,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불량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계산된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저항이 기설정된 기준저항의 범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충전 회로를 차단 해제하고 상기 누설전류 센서(100)가 정상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1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51)는 트랜지스터(TR, Transistor)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는 상기 영상 변류기(110)의 양단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루프(Ground Loop)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회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는 전압의 완충 역할을 하는 전압버퍼(Voltage Buffer,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전압차와 상기 기준전압차의 차이값 및 상기 비누설전압차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200)에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은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이다.
본 단계 S10에 따른 전원의 인가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이 가정용 상용전원의 콘센트에 연결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0은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가 가동되는 단계이다.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에 구비된 누설전류 센서(100)의 영상변류기(ZCT,110)의 불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저항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는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비누설전압차를 측정하여 제어부(200)에 송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누설전압차를 통해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저항을 계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30은 상기 영상변류기(110)가 불량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와 같이 계산된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저항이 기설정된 기준저항의 범위를 만족하면 상기 영상변류기(110)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후술하는 단계 S40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와 같이 계산된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저항이 기설정된 기준저항의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영상변류기(110)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 회로를 차단하거나,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불량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40은 상기 누설전류 센서(100)가 가동되어 상기 영상변류기(110)에 누설전류가 인가되는 단계이다.
상기 영상변류기(110)에 누설전류가 인가되면, 전압측정기(120)에서 누설전류가 인가된 상기 영상변류기(100)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누설전압차를 측정하고, 상기 누설전압차는 증폭기(130)를 통해 증폭된 후 상기 비교기(140)에서 기설정된 기준전압차와 비교되며, 상기 비교기(140)의 출력값이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된다.
단계 S50은 상기 누설전류량과 상기 기준전압차를 비교하여 누설전류 발생 상황에 대한 대응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비교기(40)로부터 수신된 상기 누설전압차와 상기 기준전압차의 차이값을 통해 누설전류량을 계산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누설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 회로를 차단하거나, 사용자가 누설전류 발생 상황을 인지하도록 알람발생부를 통해 소정의 알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누설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 이하의 범위를 만족하면 충전 가능 상태로 판단하여 후술하는 단계 S60을 수행한다.
단계 S60은 전기자동차가 충전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충전 회로를 오픈하여 상기 가정용 상용전원으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전력을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이 최초 사용되는 경우 상기 단계 S20 내지 S30을 수행하여 상기 영상변류기(110)의 불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단 상기 단계 S20 내지 S30을 통해 상기 영상변류기(110)가 정상 제품으로 판단되면 다음번 상기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의 사용시부터 상기 단계 S20 내지 상기 S30을 건너뛰고 상기 단계 S4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150)를 구비하여 누설전류 센서(100)에 영상변류기(110)의 불량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을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누설전류 센서
110: 영상변류기
120: 전압측정기
130: 증폭기
140: 비교기
150: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
151: 스위치
152: 전압버퍼
200: 제어부

Claims (18)

  1. 누설전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누설전류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센서는, 누설전류가 인가되는 영상변류기와, 상기 영상변류기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영상변류기의 불량을 감지하는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는, 상기 영상변류기의 양단에 연결되되, 상기 영상변류기에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영상변류기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비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전압측정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설전압차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을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과 기설정된 기준저항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이 상기 기준저항을 만족하면 상기 영상변류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이 상기 기준저항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회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와, 전압의 완충역할을 하는 전압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회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가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버퍼는 OP앰프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는 상기 영상 변류기의 양단에 연결되어 그라운드 루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센서는,
    상기 영상변류기에 누설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변류기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전압측정기;
    상기 누설전압차를 수신하여 증폭시키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상기 누설전압차와 기설정된 기준전압차를 비교하는 비교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12.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설전류 센서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에 있어서,
    a) 영상변류기 불량감지부를 통해 영상변류기의 저항을 구하는 단계;
    b)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과 기설정된 기준저항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이 상기 기준저항을 만족하면 상기 영상변류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이 상기 기준저항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영상변류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c) 상기 누설전류 센서를 가동하여 상기 영상변류기에 인가된 누설전류량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누설전류량과 기설정된 기준전류량을 비교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회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변류기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알람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누설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d)에 후행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에 전력을 전송하는 충전회로를 오픈하여 상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누설전류량이 상기 기준전류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d)에 후행하여 상기 충전회로를 차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영상변류기에 누설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영상변류기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비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누설전압차를 통해 상기 영상변류기의 저항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영상변류기에 누설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전압측정기를 통해 상기 영상변류기의 전단과 후단의 전압차인 누설전압차를 측정하는 단계와,
    증폭기를 통해 상기 누설전압차를 증폭시키는 단계와,
    비교기를 통해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상기 누설전압차와 기설정된 기준전압차를 비교하여 상기 누설전류량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20190126728A 2019-10-14 2019-10-14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38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28A KR102338533B1 (ko) 2019-10-14 2019-10-14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28A KR102338533B1 (ko) 2019-10-14 2019-10-14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869A true KR20210043869A (ko) 2021-04-22
KR102338533B1 KR102338533B1 (ko) 2021-12-15

Family

ID=7573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728A KR102338533B1 (ko) 2019-10-14 2019-10-14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5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021A (ja) * 2007-12-05 2009-06-25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リレー
WO2011152157A1 (ja) * 2010-06-04 2011-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2012215423A (ja) * 2011-03-31 2012-11-08 Patokkusu Japan Kk 給電系統における漏洩電流測定装置及び漏洩電流測定方法
KR20180075242A (ko) * 2016-12-26 2018-07-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누전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021A (ja) * 2007-12-05 2009-06-25 Mitsubishi Electric Corp 漏電リレー
WO2011152157A1 (ja) * 2010-06-04 2011-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2012215423A (ja) * 2011-03-31 2012-11-08 Patokkusu Japan Kk 給電系統における漏洩電流測定装置及び漏洩電流測定方法
KR20180075242A (ko) * 2016-12-26 2018-07-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누전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533B1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965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ground faults in energy storage and/or generation systems that employ DC/AC power conversion systems
WO2012098819A1 (ja) 車両充電システム
KR102322753B1 (ko)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WO2014167778A1 (ja) 過電流検出装置、及び当該過電流検出装置を用いた充放電システム、分電盤、充電制御装置、車両用充放電装置、車両用電気機器
CN104459367A (zh) 电控和保护设备
JP5499608B2 (ja) 非接触充電器
CN102645575A (zh) 检测存在安全接地的方法和设备
KR101920275B1 (ko) 직류 누설전류 검출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WO2011018910A1 (ja) 電気自動車用急速充電器の充電ケーブル絶縁試験装置
KR20110077387A (ko) 고전압 배터리시스템의 퓨즈 단선 감지회로 및 방법
JP5020508B2 (ja) 地絡方向検出装置
KR102338533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183623B (zh) 断路器的脱扣控制装置及其方法
KR101802159B1 (ko) Ict 기반 원격 저압 옥내외 배선상태 점검시스템
HRP20240315T1 (hr) Uređaj za brzo punjenje za motorno vozilo
JP4907113B2 (ja) 2次電池の充電システム装置
JP2000162249A (ja) 検出装置
CN108964178A (zh) 充电回路及充电回路检测方法
JP2011059001A (ja) 二次電池システム
JP2010261807A (ja) 蓄電池の劣化判定方法、充放電制御装置
KR101772935B1 (ko) 전기 신호의 이상 상태 검출 및 제어 시스템
JPH10327539A (ja) 非接触充電器
JP2019092332A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
CN217404493U (zh) 电瓶信号检测装置及电瓶车
JP2007267559A (ja) 2次電池の充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