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353A - 휴대용 손목 치발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손목 치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353A
KR20210043353A KR1020190126429A KR20190126429A KR20210043353A KR 20210043353 A KR20210043353 A KR 20210043353A KR 1020190126429 A KR1020190126429 A KR 1020190126429A KR 20190126429 A KR20190126429 A KR 20190126429A KR 20210043353 A KR20210043353 A KR 20210043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portable
teething
dental implant
length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가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가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가프라
Priority to KR102019012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353A/ko
Priority to CN201922398154.1U priority patent/CN211610832U/zh
Publication of KR2021004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353A/ko
Priority to KR1020220020879A priority patent/KR10242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2Teeth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 A61J17/1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conjoined with soft cushions or toy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9Decorative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휴대용 손목 치발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의 손목에 용이하게 거치 가능한 휴대용 손목 치발기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목 치발기는, 손목에 거치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는 띄 형상의 손목거치부(10)와, 상기 손목거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치발기(21)가 설치되는 연장부(20)와, 상기 연장부(20)를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가 그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30) 및 상기 손목거치부(10)상에 설치되며, 외압에 의해 상기 손목거치부(10)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길이조절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손목 치발기{PORTABLE WRIST TEETHING TOTS}
본 개시내용은 휴대용 손목 치발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의 손목에 용이하게 거치 가능한 휴대용 손목 치발기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약 3~4개월 이후) 아기가 이가 나기전에는 빨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되고 이가 나기 시작하면 씹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된다. 이때 이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놀잇감으로 치아발육기, 치발기가 존재한다. 여기서, 치발기는 아기의 이가 나오려고 하면 간지러움을 느끼게 되며 이런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는 데 치발기를 사용해 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실제 치발기를 사용함에 따라 아이의 잇몸을 자극해서 구강발달에 도움이 된다.
현재 공지되어 있는 치발기는 모양이나 재질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식물모양이나 과일모양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등 그 재질 또한 다양하게 존재한다. 치발기를 처음 사용할 때는 플라스틱 보다는 말랑말랑한 실리콘 재질의 치발기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아기가 이가 나면서 씹기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의 치발기처럼 딱딱한 치발기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손목에 거치할 수 있는 치발기의 경우, 아기의 손목에 끼워 치발기를 고정시킴으로써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 다양한 모양의 장난감형상을 씹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손목 거치형 치발기의 경우 손목에 거치되는 부분이 아기의 손목을 일정부분 감싸주면서 고정되는데, 해당 부분이 모든 아기들의 손목에 딱 맞도록 제작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아기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한 모양의 장난감을 설치하기에 공간적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여러가지 모양의 장난감형상을 교체할 수 있으며, 아기의 손목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치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목 치발기는, 손목에 거치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는 띄 형상의 손목거치부(10)와, 상기 손목거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치발기(21)가 설치되는 연장부(20)와, 상기 연장부(20)를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가 그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30) 및 상기 손목거치부(10)상에 설치되며, 외압에 의해 상기 손목거치부(10)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길이조절부(40)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부(40)는 상기 손목거치부(10)상에 일정 간격을 가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목거치부(10)는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되, 상기 길이조절부(40)는 두 개 이상의 손목거치부(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부(40)는 원의 중심을 향해 복원력을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상기 치발기(21)의 일단에 설치되며, 연장부(20)에 결합될 수 있는 돌기부(21a) 및 상기 연장부(20)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21a)에 대응하여 치발기(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홈(20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길이조절부 구성에 의하여 다양한 손목 두께를 가진 아이들이 전부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을 가진 치발기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아이의 다양한 취향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발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발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발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치발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목 치발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발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손목 치발기는, 손목에 거치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는 띄 형상의 손목거치부(10)와, 상기 손목거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치발기(21)가 설치되는 연장부(20)와, 상기 연장부(20)를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가 그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30) 및 상기 손목거치부(10)상에 설치되며, 외압에 의해 상기 손목거치부(10)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길이조절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손목거치부(10)는 아이의 손목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띄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20)는 손목거치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손목거치부(10)를 관통한 아이의 손을 커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2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손목거치부(10)의 양단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20), 바람직하게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연장부(20) 내부에 아이가 그립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아이가 쉽게 그립할 수 있도록 강한 지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표면은 말랑한 소재로 이루어져 촉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목거치부(10) 상에 설치되며, 외압에 의해 손목거치부(10)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길이조절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40)는, 기본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띄 형상의 손목거치부(10)가 아이의 손목 두께와 딱 맞도록 이루어질 수 있지만, 아이의 손목이 두껍거나 손이 커서 손목거치부(10)에 관통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손목거치부(10)상에 그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4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손목두께 및 손의 크기를 가진 아이들이 전부 사용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부(40)는 손목거치부(10)상에 일정 간격을 가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부(40)는 아이의 손목두께 및 손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되어 넓은 범위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목거치부(10)는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되, 상기 길이조절부(40)는 두 개 이상의 손목거치부(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부(40)는 원의 중심을 향해 복원력을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목거치부(10)는 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피스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피스로 분리되며, 각 피스를 연결하기 위하여 길이조절부(40)가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40)는 단면이 반원인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원의 중심을 향해 복원력을 가지도록 길이조절부(40)의 양 끝단이 서로 당겨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아이가 손을 손목거치부(10)를 관통하여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길이조절부(40)가 확장되며, 이후 손목을 안착시킨 이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조절부(40)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손목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상기 치발기(21)의 일단에 설치되며, 연장부(20)에 결합될 수 있는 돌기부(21a) 및 상기 연장부(20)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21a)에 대응하여 치발기(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홈(20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발기(21)는 연장부(20)로부터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아이의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모양과 색체를 가진 치발기(21)를 탈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치발기(21)의 일단에 형성되어 연장부(20)에 결합하기 위한 돌기부(21a)와 상기 연장부(20)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21a)에 대응되어 치발기(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홈(20a)을 통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용이하게 치발기(21)를 교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손목거치부
20 : 연장부
20a : 수용홈
21 : 치발기
21a : 돌기부
30 : 손잡이부
40 : 길이조절부

Claims (5)

  1. 손목에 거치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는 띄 형상의 손목거치부(10);
    상기 손목거치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치발기(21)가 설치되는 연장부(20);
    상기 연장부(20)를 상호 연결하며, 사용자가 그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30); 및
    상기 손목거치부(10)상에 설치되며, 외압에 의해 상기 손목거치부(10)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길이조절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손목 치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40)는 상기 손목거치부(10)상에 일정 간격을 가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손목 치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거치부(10)는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되,
    상기 길이조절부(40)는 두 개 이상의 손목거치부(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손목 치발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40)는 원의 중심을 향해 복원력을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손목 치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발기(21)의 일단에 설치되며, 연장부(20)에 결합될 수 있는 돌기부(21a); 및
    상기 연장부(20)에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21a)에 대응하여 치발기(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홈(20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손목 치발기.
KR1020190126429A 2019-10-11 2019-10-11 휴대용 손목 치발기 KR20210043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429A KR20210043353A (ko) 2019-10-11 2019-10-11 휴대용 손목 치발기
CN201922398154.1U CN211610832U (zh) 2019-10-11 2019-12-27 便携式手腕磨牙器
KR1020220020879A KR102429930B1 (ko) 2019-10-11 2022-02-17 휴대용 손목 치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429A KR20210043353A (ko) 2019-10-11 2019-10-11 휴대용 손목 치발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879A Division KR102429930B1 (ko) 2019-10-11 2022-02-17 휴대용 손목 치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353A true KR20210043353A (ko) 2021-04-21

Family

ID=726327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429A KR20210043353A (ko) 2019-10-11 2019-10-11 휴대용 손목 치발기
KR1020220020879A KR102429930B1 (ko) 2019-10-11 2022-02-17 휴대용 손목 치발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879A KR102429930B1 (ko) 2019-10-11 2022-02-17 휴대용 손목 치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10043353A (ko)
CN (1) CN211610832U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308Y1 (ko) 2006-07-10 2006-09-25 김동표 성장 단계별 차등 물림구를 갖는 치아발육기
KR200483214Y1 (ko) * 2015-12-30 2017-04-14 정승채 치아발육기
KR101976272B1 (ko) * 2017-09-28 2019-09-10 이석진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394A (ko) 2022-03-03
CN211610832U (zh) 2020-10-02
KR102429930B1 (ko) 202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1366B2 (en) Teether
EP2174638B1 (en) Teether
JP6492186B2 (ja) 音楽歯がため
US20090192547A1 (en) Infant chew toy
WO2022093968A1 (en) Oral device for a baby
CA2633276A1 (en) Toy for retaining multiple size pacifiers
US20170151043A1 (en) Dental floss holder
KR20210043353A (ko) 휴대용 손목 치발기
KR200483214Y1 (ko) 치아발육기
US11446213B2 (en) Teething growth device having wrist band
KR200237227Y1 (ko) 유아용 치발기 겸용 놀이기구
KR101838275B1 (ko) 치아발육기
US20220313561A1 (en) Oral Development Teething Ring
KR101189599B1 (ko) 개선된 구조의 치아발육기
KR200382580Y1 (ko) 유아용 칫솔
KR200437777Y1 (ko) 유아 칫솔
KR102093937B1 (ko) 치아발육기
KR200386371Y1 (ko) 피리 기능을 갖는 치아 발육기
KR200475410Y1 (ko) 악기 기능을 구비한 치발기
KR200481713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칫솔
JP6043843B1 (ja) 梅食品保持具
CN110198698B (zh) 具有腕带的固齿器
WO2008125826A1 (en) Toothbrush
AU2003202306A1 (en) Teether
JP2001218622A (ja) 柔らかい樹脂付き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