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732A -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 Google Patents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732A
KR20210042732A KR1020190125652A KR20190125652A KR20210042732A KR 20210042732 A KR20210042732 A KR 20210042732A KR 1020190125652 A KR1020190125652 A KR 1020190125652A KR 20190125652 A KR20190125652 A KR 20190125652A KR 20210042732 A KR20210042732 A KR 20210042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lamp
spiral shaft
tool
pair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487B1 (ko
Inventor
오대환
박재준
정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4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는, 인장클램프의 몸체판에 형성된 걸이홀에 걸어서 고정됨과 동시에 인장클램프의 몸체판에 밀착되도록 걸이고정부가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후단에 회전판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 몸체와, 상기 회전판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의 후방을 통해 내부 일정 깊이와 제2 몸체의 전방을 통해 내부 일정 깊이까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나선축과, 상기 제2 몸체의 내부에서 상단이 상기 나선축의 후단과 회전 가능하게 축이음되고 하단이 제2 몸체의 수직면부 하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고리와, 상기 제1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나선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동고리의 회전시 나선축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인장클램프의 쐐기를 밀어서 인장클램프로부터 케이블을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Implement for Detaching the Tension Clamp}
본 발명은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 장악장치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케이블(전력선)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작업할 수 있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송전선용 케이블은 전주에 연결되어 발전소 또는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각 전주에 케이블을 가설할 때에는 케이블이 하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수애자와 인장클램프가 사용된다.
인장클램프는 절연된 현수애자에 케이블을 소정의 인장력을 갖고 고정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하게 되며, 일부 종래의 인장클램프는 스프링의 부하를 받는 쐐기 형상의 그립을 채용하여 케이블의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876호(2001.12.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3281호(2012.03.13.),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895호(2012.08.31.)에서는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도 1(a)(b)를 참고하면, 종래기술의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양측에 선단부 측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1a)(11b)가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판(12)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1a)(11b) 각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쐐기(13a)(13b)와, 상기 몸체판(12)에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13)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한 쌍의 쐐기(13a)(13b)를 지지하게 되는 쐐기지지판(15)을 포함하는 쐐기형 그립부(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쐐기(13a)(13b)는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케이블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판(12)은 후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연장부(20) 후측 선단에는 플랜지(30)가 형성되어 현수애자와 코터핀(31)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케이블이 한 쌍의 쐐기(13a)(13b) 사이에 삽입되면, 한 쌍의 쐐기(13a)(13b)는 스프링(13)에 의해 선단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케이블을 밀착 고정하여 케이블에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장클램프에 장악된 케이블을 현수애자로부터 교체를 위해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쐐기(13a)(13b)를 분리할 때 케이블의 장악력이 커서 인력으로는 분리가 불가능하고 별도 분리 공구가 없기 때문에 망치를 활용해서 쐐기(13a)(13b)에 돌출 형성된 전선고정날개를 도 2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타격을 가하여 분리하게 되므로 인장클램프의 손상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안전우선 사회적 분위기로 인하여 배전 작업공법이 직접활선에서 간접활선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인장클램프의 분리작업은 간접활선 스마트 스틱(Smart-Stick)으로는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876호(2001.12.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3281호(2012.03.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895호(2012.08.31.)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인장클램프의 쐐기를 적은 힘에 의해 빠르게 안정적으로 분리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장클램프가 타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는, 인장클램프의 몸체판에 형성된 걸이홀에 걸어서 고정됨과 동시에 인장클램프의 몸체판에 밀착되도록 걸이고정부가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후단에 회전판을 사이에 두고 위치되는 제2 몸체와, 상기 회전판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의 후방을 통해 내부 일정 깊이와 제2 몸체의 전방을 통해 내부 일정 깊이까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나선축과, 상기 제2 몸체의 내부에서 상단이 상기 나선축의 후단과 회전 가능하게 축이음되고 하단이 제2 몸체의 수직면부 하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고리와, 상기 제1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나선축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동고리의 회전시 나선축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인장클램프의 쐐기를 밀어서 인장클램프로부터 케이블을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몸체는, 내부 전측과 후측에 상기 나선축이 수평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홈들 사이에 상기 분리부의 이동블럭이 전후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일측에 상기 분리부의 막대가 제1 몸체의 전방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관통홀은 상기 한 쌍의 지지홈의 수평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제1 몸체의 전방측으로 수평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걸이고정부는 상기 인장클램프의 몸체판에 형성된 걸이홀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전방에 대해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직각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몸체의 수평면부 후방 상단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나사 결합되어 제1 몸체에 회전판을 매개로 제2 몸체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몸체은 그 수평면부로부터 수직면부가 바깥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몸체는, 내부 중앙에 상기 수평면부의 전방측에서 수직면부의 하단까지 통로가 연결되어 구동고리의 상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수평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볼트가 나사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회전판의 다수 개의 걸림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일치되도록 나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나선축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측과 중앙측 외주에 상기 제1 몸체(10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홈에 각각 삽입되어 나선축의 전후 이동을 잡아주면서 회전을 유도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동고리는, 상기 제2 몸체의 지지홈에서 나선축의 후단과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제2 몸체의 외부에서 상기 연결축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잡거나 스마트 스틱을 걸어서 회전시킬 수 있는 링고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분리부는,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안내홈 내에서 상기 나선축에 나사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의 하부 일측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수평되게 돌출되어 인장클램프의 쐐기를 밀어주는 막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장악된 케이블을 분리작업을 위해 인장클램프와 연결된 분리 공구의 구동고리의 링고리부를 작업자가 잡고서 회전시키거나 스마트 스틱을 링고리부에 걸어서 회전시킬 때 링고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진하는 막대의 미는 힘에 의해 인장클램프의 쐐기가 분리되어 케이블의 장악력을 해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장클램프의 쐐기를 적은 힘에 의해 빠르게 안정적으로 분리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장클램프가 타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b)는 종래기술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분리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제품 사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공구를 나타낸 외형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공구의 내부 연결 부속품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공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공구가 인장클램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공구가 인장클램프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외형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공구가 인장클램프의 쐐기를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종래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는,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형성된 걸이홀(12a)에 걸어서 고정됨과 동시에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밀착되도록 걸이고정부(110)가 형성된 제1 몸체(100)와, 상기 제1 몸체(100)의 후단에 회전판(120)을 사이에 두고 위치되는 제2 몸체(130)와, 상기 제2 몸체(130)의 수평면부(132) 후방 상단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나사 결합되면서 제1 몸체(100)에 회전판(120)의 다수의 걸림홀(12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2 몸체(130)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고정볼트(140)와, 상기 회전판(120)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100)의 후방을 통해 내부 일정 깊이와 제2 몸체(130)의 전방을 통해 내부 일정 깊이까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나선축(150)과, 상기 제2 몸체(130)의 내부에서 상단이 상기 나선축(150)의 후단과 회전 가능하게 축이음되고 하단이 제2 몸체(130)의 수직면부(134) 하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고리(160)와, 상기 제1 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나선축(15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동고리(160)의 회전시 나선축(150)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인장클램프(1)의 쐐기(13a)(13b)를 밀어서 인장클램프(1)로부터 케이블(3)을 분리하는 분리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1 몸체(100)는 그 내부 전측과 후측에 상기 나선축(150)이 수평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홈(102)들 사이에 상기 분리부(170)의 후술하는 이동블럭이 전후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104)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04)의 일측에 상기 분리부(170)의 후술하는 막대가 제1 몸체(100)의 전방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관통홀(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홈(102)과 안내홈(104)은 수평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홈(102) 중 후방측 지지홈(102)은 상기 나선축(150)의 후단이 제2 몸체(130)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 몸체(100)의 후방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관통홀(106)은 상기 한 쌍의 지지홈(102)의 수평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내홈(104)으로부터 제1 몸체(100)의 전방측으로 수평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고정부(110)는 상기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형성된 걸이홀(12a)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100)의 전방에 대해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직각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120)은 상기 제1 몸체(100)와 제2 몸체(130)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나선축(150)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기 고정볼트(14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2 몸체(130)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걸림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몸체(130)은 ㄱ자 형상의 형성된 것으로서, 그 수평면부(132)로부터 수직면부(134)가 바깥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 중앙에는 수평면부(132)의 전방측에서 수직면부(134)의 하단까지 통로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고리(160)의 상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지지홈(13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32)의 수평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고정볼트(140)가 나사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회전판(120)의 다수 개의 걸림홀(12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일치되도록 나사홀(1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축(150)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측과 중앙측 외주에 상기 제1 몸체(10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홈(102)에 각각 삽입되어 나선축(150)의 전후 이동을 잡아주면서 회전을 유도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1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고리(160)는, 상기 제2 몸체(130)의 지지홈(136)에서 상기 나선축(150)의 후단과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축(162)과, 상기 제2 몸체(130)의 외부에서 상기 연결축(16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잡거나 스마트 스틱(5) 등을 걸어서 회전시킬 수 있는 링고리부(16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부(170)는, 상기 제1 몸체(100)에 형성된 안내홈(104) 내에서 상기 나선축(150)에 나사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블럭(172)과, 상기 이동블럭(172)의 하부 일측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1 몸체(100)에 형성된 관통홀(106)을 통해 외부로 수평되게 돌출되어 인장클램프(1)의 쐐기(13a)(13b)를 밀어주는 막대(174)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리 공구를 이용하여 인장클램프(1)에 장악된 케이블(3)을 현수애자로부터 교체를 위해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형성된 걸이홀(12a)에 본 발명의 제1 몸체(100)에 형성된 걸이고정부(110)를 걸어주면서 인장클램프(1)와 제1 몸체(100)이 길이 방향측으로 맞닿도록 밀착시킴과 동시에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박힌 한 쌍의 쐐기(13a)(13b)의 일측면과 제1 몸체(100)에 설치된 분리부(170)의 막대(174) 끝단을 일치시킨다.
그 다음, 제1 몸체(100)의 후방측에 연결된 제2 몸체(130)를 작업자가 작업하기 좋은 각도로 회전시킨 후, 제2 몸체(130)에 나사 결합된 고정볼트(140)를 조여서 고정볼트(140)의 조임력에 의해 회전판(12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홀(12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와 결속함으로써 제1 몸체(100)로부터 제2 몸체(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 다음, 제2 몸체(130)의 하단으로 돌출된 구동고리(160)의 링고리부(164)를 작업자가 잡거나 또는 링고리부(164)에 스마트 스틱(5)을 걸어서 회전시키면, 링고리부(164)가 회전되면서 그 상단에 유니버셜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몸체(100)의 내부 나선축(15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나선축(150)은 정해진 위치에서 회전되면서 그 외주에 나사 결합된 분리부(170)의 이동블럭(172)을 전진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이동블럭(172)의 일측에 연결된 막대(174)가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박힌 한 쌍의 쐐기(13a)(13b)만을 밀어주게 된다.
이때,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박힌 한 쌍의 쐐기(13a)(13b)는 막대(174)가 미는 힘에 의해 몸체판(12)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케이블(3)의 장악력을 풀어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는 쐐기형 인장클램프(1)에 장악된 케이블(3)을 분리작업을 위해 인장클램프(1)와 연결된 분리 공구의 구동고리(160)측 링고리부(164)를 작업자가 잡고서 회전시키거나 스마트 스틱(5)을 링고리부(164)에 걸어서 회전시킬 때 링고리부(16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진하는 막대(174)의 미는 힘에 의해 인장클램프(1)의 쐐기(13a)(13b)가 분리되어 케이블(3)의 장악력을 해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장클램프(1)의 쐐기(13a)(13b)를 적은 힘에 의해 빠르게 안정적으로 분리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장클램프(1)가 타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인장클램프 3 : 케이블
5 : 스마트 스틱 12 : 몸체판
12a : 걸이홀 13a,13b : 쐐기
100 : 제1 몸체 102 : 지지홈
104 : 안내홈 106 : 관통홀
110 : 걸이고정부 120 : 회전판
122 : 걸림홀 130 : 제2 몸체
132 : 수평면부 134 : 수직면부
136 : 지지홈 138 : 나사홀
140 : 고정볼트 150 : 나선축
152 : 걸림돌기 160 : 구동고리
162 : 연결축 164 : 링고리부
170 : 분리부 172 : 이동블럭
174 : 막대

Claims (10)

  1.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형성된 걸이홀(12a)에 걸어서 고정됨과 동시에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밀착되도록 걸이고정부(110)가 형성된 제1 몸체(100)와,
    상기 제1 몸체(100)의 후단에 회전판(120)을 사이에 두고 위치되는 제2 몸체(130)와,
    상기 회전판(120)을 사이에 두고 제1 몸체(100)의 후방을 통해 내부 일정 깊이와 제2 몸체(130)의 전방을 통해 내부 일정 깊이까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나선축(150)과,
    상기 제2 몸체(130)의 내부에서 상단이 상기 나선축(150)의 후단과 회전 가능하게 축이음되고 하단이 제2 몸체(130)의 수직면부(134) 하단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고리(160)와,
    상기 제1 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나선축(15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구동고리(160)의 회전시 나선축(150)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인장클램프(1)의 쐐기(13a)(13b)를 밀어서 인장클램프(1)로부터 케이블(3)을 분리하는 분리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0)는,
    내부 전측과 후측에 상기 나선축(150)이 수평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홈(102)들 사이에 상기 분리부(170)의 이동블럭(172)이 전후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104)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04)의 일측에 상기 분리부(170)의 막대(174)가 제1 몸체(100)의 전방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관통홀(10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06)은 상기 한 쌍의 지지홈(102)의 수평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내홈(104)으로부터 제1 몸체(100)의 전방측으로 수평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고정부(110)는 상기 인장클램프(1)의 몸체판(12)에 형성된 걸이홀(12a)에 걸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100)의 전방에 대해 상단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직각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130)의 수평면부(132) 후방 상단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나사 결합되면서 제1 몸체(100)에 회전판(120)의 다수의 걸림홀(12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2 몸체(130)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고정볼트(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130)은 그 수평면부(132)로부터 수직면부(134)가 바깥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130)는,
    내부 중앙에 상기 수평면부(132)의 전방측에서 수직면부(134)의 하단까지 통로가 연결되어 구동고리(160)의 상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지지홈(13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32)의 수평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볼트(140)가 나사 결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회전판(120)의 다수 개의 걸림홀(12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일치되도록 나사홀(1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150)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측과 중앙측 외주에 상기 제1 몸체(10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홈(102)에 각각 삽입되어 나선축(150)의 전후 이동을 잡아주면서 회전을 유도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1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고리(160)는,
    상기 제2 몸체(130)의 지지홈(136)에서 나선축(150)의 후단과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축(162)과,
    상기 제2 몸체(130)의 외부에서 상기 연결축(162)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잡거나 스마트 스틱(5)을 걸어서 회전시킬 수 있는 링고리부(1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170)는,
    상기 제1 몸체(100)에 형성된 안내홈(104) 내에서 상기 나선축(150)에 나사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이동블럭(172)과,
    상기 이동블럭(172)의 하부 일측과 연결되면서 상기 제1 몸체(100)에 형성된 관통홀(106)을 통해 외부로 수평되게 돌출되어 인장클램프(1)의 쐐기(13a)(13b)를 밀어주는 막대(1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KR1020190125652A 2019-10-10 2019-10-10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KR102262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52A KR102262487B1 (ko) 2019-10-10 2019-10-10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52A KR102262487B1 (ko) 2019-10-10 2019-10-10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732A true KR20210042732A (ko) 2021-04-20
KR102262487B1 KR102262487B1 (ko) 2021-06-09

Family

ID=7574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652A KR102262487B1 (ko) 2019-10-10 2019-10-10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496B1 (ko) * 2023-05-08 2023-12-06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자동 안전개폐후크가 장착된 내장력형 쐐기형 인장 클램프 양방향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설치, 쐐기형 인장 클램프 설치, 철거 간접 활선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76Y1 (ko) 2001-09-18 2001-12-28 박철웅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113281B1 (ko) 2009-11-17 2012-03-13 천공전기(주) 인장 클램프 그립
KR20120096895A (ko) 2011-02-23 2012-08-31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쐐기형 내장 클램프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76Y1 (ko) 2001-09-18 2001-12-28 박철웅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113281B1 (ko) 2009-11-17 2012-03-13 천공전기(주) 인장 클램프 그립
KR20120096895A (ko) 2011-02-23 2012-08-31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쐐기형 내장 클램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496B1 (ko) * 2023-05-08 2023-12-06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자동 안전개폐후크가 장착된 내장력형 쐐기형 인장 클램프 양방향 개활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설치, 쐐기형 인장 클램프 설치, 철거 간접 활선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487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480B1 (ko) 가공배전선 고정을 위한 클램핑기구
CA2251273C (fr) Pince de suspension, notamment pour ligne electrique aerienne, et suspension comportant une telle pince
US7246789B2 (en) Cable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US4965930A (en) Insulator installation tool
KR20210042732A (ko) 인장클램프의 분리 공구
EP3620708A1 (en) A portable support for manipulating cables
JP2013027057A (ja) 電線引留め方式
JP4859580B2 (ja) 巻付バインド着脱工具
CN209896289U (zh) 带电作业用引流线夹
US10673213B2 (en) Wire grip and live wire distributing tool having the wire grip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US2344052A (en) Slack puller
US3670390A (en) Tool for applying suspension clamps to power lines
KR101484046B1 (ko) 전선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US2986721A (en) Clamp holding tool
US1990928A (en) Wire clamp
CN220427075U (zh) 一种电力施工的点焊装置
US1832996A (en) Grade clamp
KR100550958B1 (ko) 나선형 교합면을 가진 조임턱 및 이를 채택한 전력선 고정장치
CN212304485U (zh) 一种便于携带的电线紧线器
JP2004320961A (ja) 電線補修用カバ−、及びその取付け方法
US2268659A (en) Splicing tool
KR102628481B1 (ko) 간접활선용 클램프와 이를 이용한 전선인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KR102584188B1 (ko) 현수애자 일체형 배전선 인장 클램프
CN220139188U (zh) 隧道电缆挂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