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499A -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499A
KR20210042499A KR1020190125122A KR20190125122A KR20210042499A KR 20210042499 A KR20210042499 A KR 20210042499A KR 1020190125122 A KR1020190125122 A KR 1020190125122A KR 20190125122 A KR20190125122 A KR 20190125122A KR 20210042499 A KR20210042499 A KR 20210042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harmful animal
type
war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585B1 (ko
Inventor
이용흠
김동윤
서종범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5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유해동물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이며, 유해동물 퇴치 장치는, 지표면의 하측에 매설되는 하측부재와, 상기 하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측부재를 갖는 몸체부;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기 상측부재에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한 유해동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유해동물이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유해동물의 퇴치를 위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퇴치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WAY OF HARMFUL ANIMALS}
본원은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심어놓은 논이나 밭 작물을 심어놓은 밭, 과실물을 수확하기 위한 과수원 등에서는 각종 조류(예를들어, 참새, 까치, 까마귀 등)와 포유류(예를들어, 멧돼지, 고라니 등)과 같은 유해동물에 의하여 농작물(예를들어, 과실, 채소, 고구마, 옥수수 등)의 피해가 크게 발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축산업에 있어서는 살쾡이나 고양이 등과 같은 유해동물에 의하여 축산물(예를들어, 병아리, 닭, 소, 돼지 등의 가축들)의 피해가 크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유해동물은 농/축산물에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 및 위험을 야기하고, 고속도로나 인접 도로에 출현할 경우 교통사고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유해동물에 의한 농/축산물 피해를 줄이기 위한 유해동물 퇴치 목적으로, 허수아비를 세우거나 논이나 밭에 그물을 씌우거나 혹은 빛을 반사하는 은박테이프 등을 구비시키는 기술들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유해동물 퇴치 기술들은 정적인 상태로 구비되는 퇴치 수단(일예로 허수아비, 그물, 은박테이프 등)이 이용됨에 따라, 유해동물들이 이들 퇴치 수단에 대하여 학습되거나 면역력을 갖추게 된 경우, 퇴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농/축산물의 피해를 방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759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축산물에 악영향을 주는 조류 및 포유류를 포함하는 유해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하여 농/축산물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는, 지표면의 하측에 매설되는 하측부재와, 상기 하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측부재를 갖는 몸체부;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기 상측부재에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한 유해동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유해동물이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유해동물의 퇴치를 위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퇴치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방법은, (a) 지표면의 하측에 매설되는 하측부재와, 상기 하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측부재를 갖는 몸체부 중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기 상측부재에 구비되는 센서부에서,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b) 감지부에서, 상기 센싱에 따른 상기 센서부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한 유해동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c) 퇴치부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유해동물이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유해동물의 퇴치를 위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3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유해동물 퇴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농/축산물에 악영향을 주는 조류 및 포유류를 포함하는 유해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유해동물 퇴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해동물로 인한 농/축산물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에서 감지부가 제1 센서부를 이용해 유해동물을 감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에서 감지부가 제2 센서부를 이용해 유해동물을 감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에서 제1 센서부를 통해 조사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유해동물로부터 반사되는 복사 에너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1)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1)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1)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라 하기로 한다.
또한, 본 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은 9시-3시 방향을 의미하고, 상하방향은 12시-6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은 9시-3시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6시-12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장치(1)는 몸체부(100), 센서부(200), 감지부(300), 퇴치부(400), 제어부(500) 및 대기 온도 센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유해동물(10)로부터의 농/축산물 피해를 방지하고자 하는 유해동물 퇴치의 대상이 되는 대상 영역에 설치(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영역은 농축산지 영역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농축산지 영역은 예시적으로, 농작물(예를들어, 과실, 채소, 고구마, 옥수수 등)이 심어진 영역, 축산물(예를들어, 병아리, 닭, 소, 돼지 등의 가축들)을 키우는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장치(1)에서 고려되는 유해동물(10)은 예시적으로 조류(일예로, 참새, 까치, 까마귀 등), 포유류(일예로, 멧돼지, 고라니, 살쾡이, 고양이, 소형 가축 새끼 등) 등의 동물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에서 고려되는 유해동물(10)은 농작물이나 축산물 등에 피해를 끼치는 각종 동물이 포함될 수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볼 때 농작물에 피해를 유발하는 동물(유해동물)은 국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체적으로 보았을 때,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10)로는, 멧돼지를 비롯한 사슴, 너구리, 오소리, 토끼, 청설모, 고라니, 쥐, 두더지, 비버와 같은 포 유류 및 설치류와 까치, 까마귀, 오리와 같은 조류동물이 포함될 수 있다.
최근, 포유류동물 중 멧돼지의 경우에는 생태계의 파괴로 도심으로 나와 사람을 공격하기에 이르렀다. 대체로 전작지대와 답작지대는 멧돼지나 사슴 등의 야생동물이 피해를 주고, 옥수수밭, 과수원, 정원 등에는 조류동물이 주로 피해를 준다.
이에, 본원은 이러한 유해동물 내지 야생동물에 대한 효과적인 퇴치가 가능한 유해동물 퇴치 장치(1)에 대하여 제안한다.
몸체부(100)는 일부 영역이 지표면(se)에 매설되도록 설치(구비,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대상 영역인 농축산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표면(se)에 일부 영역이 매설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상측부재(110) 및 하측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지표면(se)의 하측에 매설되는 하측부재(120)와, 하측부재(120)와 연결되고 지표면(se)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측부재(110)를 가질 수 있다.
즉, 하측부재(120)는 지표면(se)의 하측에 매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측부재(110)는 하측부재(120)와 연결되고 일부 영역이 지표면(se)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측부재(110)는 하측부재(120)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간격(r1)을 두고 구비되는 한 쌍의 부재(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부재(110)는 한 쌍의 부재(111, 112)로서 제1 부재(111) 및 제2 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부재(111, 112) 간의 간격(r1)은 일예로 후술하는 제2 센서부(22)에 포함된 각 센서 쌍(221, 222, 223) 간의 광 송수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의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센서 쌍(221)은 광을 송신하는 제1 광 송신부(221a)와 제1 광 송신부(221a)로부터 송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제1 광 수신부(221b)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한 쌍의 부재(111, 112) 간의 간격(r1)은 제1 광 송신부(221a)와 제1 광 수신부(221b) 간의 광 송수신이 가능한 거리 이내의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U'자 형, 'ㄷ'자 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100)의 너비(폭), 달리 표현하여 하측부재(120)의 좌우방향에 대한 길이는 일예로 1m이하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높이, 달리 표현하여 몸체부(100)의 상하방향에 대한 길이는 일예로 1m 이하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0)에 의하면, 본원은 비교적 부피 차지가 적은 소형의 유해동물 퇴치 장치(1)의 구현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너비(폭), 높이 등에 대한 수치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적용 및 변경 가능하다.
센서부(200)는 유해동물(10)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측부재(110)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유해동물(10)의 접근 감지를 위해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제1 센서부(210) 및 제2 센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10)는 몸체부(100)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10)의 원거리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10)는 유해동물(10)의 체열 감지가 가능한 원거리 감지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10)는 원거리 감지용 센서로서 제1 센서(211) 및 제2 센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감지용 센서는 일예로 원거리에서 유해동물(10)의 체열 감지가 가능한 원거리 감지용 적외선 온도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제1 센서(211) 및 제2 센서(212) 각각은 원거리 감지용 적외선 온도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제1 센서부(210)에 포함된 제1 센서(211) 및 제2 센서(212)는 각각 유해동물(10)의 온도 감지가 가능한 원거리용 적외선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제1 센서(211) 및 제2 센서(212)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 신호는 최대 10m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210)에 의한 원거리의 탐지거리 범위(혹은, 원거리용 적외선 신호의 조사 거리 범위)는, 제1 센서부(210)가 구비된 위치로부터 10m 이하의 거리 범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표현해, 본 장치(1)는 제1 센서부(210)를 이용하여 제1 센서부(210)가 구비된 위치(특히, 제1 센서와 제2 센서가 구비된 각각의 위치)로부터 10m 이하의 거리 범위에 위치해 있는(접근해 있는) 유해동물(10)을, 본 장치(1)에 대하여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로서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부(220)는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10)의 근거리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센서부(220)는 농축산지 영역 내의 유해동물의 존재 여부 감지가 가능한 근거리 감지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센서부(220)는 유해동물(10)이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를 통과함에 따른 유해동물(10)의 존재 여부의 감지가 가능한 근거리 감지용 센서일 수 있다.
제2 센서부(220)는 근거리 감지용 센서로서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감지용 센서는 근거리에서 유해동물(10)의 감지가 가능한 센서로서 예시적으로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근거리 감지가 가능한 다양한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은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센서부(220)는 한 쌍의 부재(111, 112)의 외면들(s1, s2, s3, s4, s1', s2', s3', s4') 중 서로 마주하는 면(s1, s1')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센서부(210)는 한 쌍의 부재(111, 112)의 외면들(s1, s2, s3, s4, s1', s2', s3', s4') 중 서로 마주하는 면(s1, s1')을 제외한 나머지 외면(s2, s3, s4, s2', s3', s4')의 일부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210)는 제1 센서(211)와 제2 센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211)는 몸체부(100)의 전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유해동물(10)의 원거리 접근 감지를 위해 나머지 외면(s2, s3, s4, s2', s3', s4') 중 전방향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 일예에서는, 제1 센서(211)가 나머지 외면(s2, s3, s4, s2', s3', s4') 내 2개의 전방향측 외면(s4, s4'), 즉 제1 부재(111)의 전방향측 외면(s4)과 제2 부재(112)의 전방향측 외면(s4') 중 제1 부재(111)의 전방향측 외면(s4)에 구비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서(211)는 2개의 전방향측 외면(s4, s4') 중 어느 하나의 전방향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후술하는 제1 광원(411)은 2개의 전방향측 외면(s4, s4') 중 제1 센서(211)가 구비되지 않은 나머지 어느 하나의 전방향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211)는, 제2 센서부(220)의 광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가 제1 센서(211)로부터 조사되는 신호(적외선 신호)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몸체부(100)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일예로 제1 부재(111)의 전방향측 외면(s4) 중 제2 센서부(220)(특히 제2 센서부(220) 내 제3 센서 쌍(223)의 제3 광 송신부(223a))가 구비된 위치보다 상측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센서(212)는 몸체부(100)의 후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유해동물(10)의 원거리 접근 감지를 위해 나머지 외면(s2, s3, s4, s2', s3', s4') 중 후방향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 일예에서는, 제2 센서(212)가 나머지 외면(s2, s3, s4, s2', s3', s4') 내 2개의 전방향측 외면(s2, s2'), 즉 제1 부재(111)의 후방향측 외면(s2)과 제2 부재(112)의 후방향측 외면(s2') 중 제2 부재(112)의 후방향측 외면(s2')에 구비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센서(212)는 2개의 후방향측 외면(s2, s2') 중 어느 하나의 후방향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후술하는 제2 광원(412)은 2개의 후방향측 외면(s2, s2') 중 제2 센서(212)가 구비되지 않은 나머지 어느 하나의 후방향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212)는, 제2 센서부(220)의 광 수신부가 수신하는 광 신호에 대 하여 제2 센서(212)로부터 조사되는 신호(적외선 신호)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몸체부(100)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일예로 제2 부재(112)의 후방향측 외면(s2') 중 제2 센서부(220)(특히 제2 센서부(220) 내 제3 센서 쌍(223)의 제3 광 수신부(223b))가 구비된 위치보다 상측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211)는, 몸체부(100)의 전방향 중 좌측 전방향 영역(a1)과 우측 전방향 영역(a2) 각각에 대한 유해동물(10)의 접근 감지가 가능하도록, 몸체부(100)의 전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다른 각도로 구비되는 2개의 제1 서브 센서(211a, 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1 서브 센서(211a, 211b) 각각이 향하는 각도는, 2개의 제1 서브 센서(211a, 211b) 각각으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 신호의 각 조사 영역(a1, a2)이 일부 중첩된 영역을 가지도록 하는 각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2개의 제1 서브 센서(211a, 211b) 중 좌측 제1 서브 센서(211a)는, 몸체부(100)의 전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제1 서브 센서(211b)는 몸체부(100)의 전방향에 대하여 우측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는 예시적으로 30도 내지 50 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센서(212)는, 몸체부(100)의 후방향 중 좌측 후방향 영역(a3)과 우측 후방향 영역(a4) 각각에 대한 유해동물(10)의 접근 감지가 가능하도록, 몸체부(100)의 후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다른 각도로 구비되는 2개의 제2 서브 센서(212a, 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2 서브 센서(212a, 212b) 각각이 향하는 각도는, 2개의 제2 서브 센서(212a, 212b) 각각으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 신호의 각 조사 영역(a3, a4)이 일부 중첩된 영역을 가지도록 하는 각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2개의 제2 서브 센서(212a, 212b) 중 좌측 제2 서브 센서(212a)는, 몸체부(100)의 후방향에 대하여 좌측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제2 서브 센서(212b)는 몸체부(100)의 후방향에 대하여 우측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는 예시적으로 30도 내지 50 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센서부(220)는 한 쌍의 부재(111, 112)의 외면들(s1, s2, s3, s4, s1', s2', s3', s4') 중 서로 마주하는 면(s1, s1')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센서부(220)는, 서로 마주하는 면(s1, s1')에 대하여, 상측부재(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r2)을 두고 각기 다른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은, 지표면(se)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구비되는 제1 센서 쌍(221), 제2 센서 쌍(222) 및 제3 센서 쌍(223)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간격(r2)은 유해동물(10)의 크기를 고려하여 유해동물(10)을 3가지 레벨로 구분하여 감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센서 쌍(221)을 통해서는 제1 레벨(level_1)에 해당하는 유해동물(10)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벨에 해당하는 유해동물(10)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크기에 속하는 동물로서, 예시적으로 살쾡이, 고양이, 참새, 까치, 까마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센서 쌍(222)을 통해서는 제2 레벨(level_2)에 해당하는 유해동물(10)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레벨에 해당하는 유해동물(10)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중간 크기에 속하는 동물로서, 예시적으로 멧돼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3 센서 쌍(223)을 통해서는 제3 레벨(level_3)에 해당하는 유해동물(10)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 레벨에 해당하는 유해동물(10)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크기에 속하는 동물로서, 예시적으로 고라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레벨에 해당하는 유해동물(10)에는 상공에서의 비행이 가능한 조류가 포함될 수 있다.
후술하는 감지부(300)에 의하면, 감지부(300)는 3가지 레벨로 구분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을 이용하여 농축산지 영역에 위치하는 유해동물(10), 특히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를 통과하는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면(s1, s1') 중 한 쌍의 부재(111, 112) 내 제1 부재(111)에 구비되어 광을 송신하는 광 송신부, 및 서로 마주하는 면(s1, s1') 중 한 쌍의 부재(111, 112) 내 제2 부재(112)에 구비되어 광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 쌍(221)은 서로 마주하는 면(s1, s1') 중 제1 부재(111)의 면(s1)에 구비되어 광을 송신하는 제1 광 송신부(221a), 및 서로 마주하는 면(s1, s1') 중 제2 부재(112)의 면(s1')에 구비되어 제1 광 송신부(221a)로부터 송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제1 광 수신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 쌍(222)은 서로 마주하는 면(s1, s1') 중 제1 부재(111)의 면(s1)에 구비되어 광을 송신하는 제2 광 송신부(222a), 및 서로 마주하는 면(s1, s1') 중 제2 부재(112)의 면(s1')에 구비되어 제2 광 송신부(222a)로부터 송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제2 광 수신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 쌍(223)은 서로 마주하는 면(s1, s1') 중 제1 부재(111)의 면(s1)에 구비되어 광을 송신하는 제3 광 송신부(223a), 및 서로 마주하는 면(s1, s1') 중 제2 부재(112)의 면(s1')에 구비되어 제3 광 송신부(223a)로부터 송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제3 광 수신부(223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의 광 송신부(221a, 222a, 223a)로부터 송신되는 광(송신 광) 및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의 광 수신부(221b, 222b, 223b)가 수신하는 광(수신 광)은 광 신호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광 신호는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일 수 있다.
본 장치(1)는 제2 센서부(220)를 이용하여 제2 센서부(220)가 구비된 위치에 있는(접근해 있는) 유해동물(10), 특히 제2 센서부(220)가 구비된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를 통과하는 유해동물(10)을, 본 장치(1)에 대하여 근거리에 접근해 있는 근거리 접근 유해동물로서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센서부(200)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몸체부(100)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한 유해동물(1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제1 센서부(210)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몸체부(100)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10)이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30)는 제2 센서부(220)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몸체부(100)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10)이 근거리에 접근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해, 감지부(300)는 제1 센서부(210)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00)는 제2 센서부(220)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근거리 접근 유해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1)에서 감지부(300)가 제1 센서부(210)를 이용해 유해동물을 감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부(300)는, 제1 센서부(210)의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1)과 제1 기준 전압 값(V_Ref1)을 비교 분석하여,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1)이 제1 기준 전압 값(V_Ref1)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c1)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몸체부(100)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100)이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c1)은 미리 설정된 제1 전압 변화량(c1)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 전압 값(V_Ref1)은, 대기 온도 센서부(600)를 통해 측정된 대기 온도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가변형 기준 전압 값일 수 있다.
대기 온도 센서부(600)는 몸체부(100)가 설치된 주변 환경의 대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측부재(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대기 온도 센서부(600)는 상측부재(110) 중 제1 부재(11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해동물의 체열(체온)은 계절 변화에 따라 주변 환경의 온도가 변화되거나 본 장치(1)가 설치된 장소의 지역 특성(추운 지역, 더운 지역 등)에 따라, 체열 온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해동물로서 멧돼지를 예로 들면, 추운 지역에 서식하는 멧돼지의 체열은 상대적으로 더운 지역에 서식하는 멧돼지의 체열 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시시각각 변화하는 주변 환경의 대기 온도에 따라, 대기 온도가 높아질수록(더워질수록) 상대적으로 유해동물의 체열은 다소 높은 값으로 나타나고, 반면 대기 온도가 낮아질수록(추워질수록) 상대적으로 유해동물의 체열은 다소 낮은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에 따라 유해동물의 체열은 소정의 변동 폭 내에서 변화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만약 본 장치(1)가 제1 센서부(210)를 통하여 유해동물의 체열 감지에 기반해 유해동물의 원거리 접근 여부를 감지함에 있어서, 그 판단에 기준이 되는 기준 값(즉, 제1 기준 전압 값, V_Ref1)을 고정된 값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거리에 접근한 유해동물을 정확히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1)는 유해동물의 체열 감지가 가능한 원거리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센서부(210)를 이용해 유해동물이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지를 검출함에 있어서, 그 판단에 기준이 되는 기준 값(즉, 제1 기준 전압 값, V_Ref1)으로서, 단순히 미리 설정된 고정된 기준 전압 값이 아닌 주변 환경의 대기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유해동물의 체열 변화를 고려하여 가변형 기준 전압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일예로, 유해동물(10)에 대한 감지 온도(체열)는 대기 온도 센서부(600)를 통해 측정되는 주변 환경 온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300)는 제1 센서부(210)의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1)을 증폭기(미도시)로 증폭하여 제1 비교기(미도시)의 제1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1)은 제1 센서부(210)에 포함된 원거리 감지용 적외선 온도 감지 센서인 제1 센서(211)나 제2 센서(212)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1)은 제1 센서(21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 및 제2 센서(212)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감지부(300)는 제1 기준 전압 값(V_Ref1)을 증폭기(미도시)로 증폭하여 제1 비교기(미도시)의 제2 입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전압 값(V_Ref1)은 대기 온도 센서부(60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으로서, 대기 온도 센서부(600)에 의해 측정되는 대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값일 수 있다.
이후, 감지부(300)는 제1 비교기(미도시)를 통하여 제1 입력인 전압 값(V_Sensor1)과 제2 입력인 제1 기준 전압 값(V_Ref1)을 서로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300)는 제1 비교기(미도시)에 의한 비교 결과,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1)이 제1 기준 전압 값(V_Ref1)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c1)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몸체부(100)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100)이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1)에서 감지부(300)가 제2 센서부(220)를 이용해 유해동물을 감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감지부(300)는, 제2 센서부(220)의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2)과 제2 기준 전압 값(V_Ref2)을 비교 분석하여,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2)이 제2 기준 전압 값(V_Ref2)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c2)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몸체부(100)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100)이 근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c2)은 미리 설정된 제2 전압 변화량(c2)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전압 값(V_Ref2)은, 고정된 기준 전압 값일 수 있으며, 고정형 기준 전압 값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부(300)는 제2 센서부(220)의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2)을 증폭기(미도시)로 증폭하여 제2 비교기(미도시)의 제1 입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2)은 제2 센서부(220)에 포함된 근거리 감지용 센서인 제1 센서 쌍(221) 내 제1 광 수신부(221b), 제2 센서 쌍(222) 내 제1 광 수신부(222b) 혹은 제3 센서 쌍(223) 내 제3 광 수신부(223b)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2)은 제1 광 수신부(221b) 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 제1 광 수신부(222b)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 혹은 제3 광 수신부(223b)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광 수신부의 출력신호라 함은 광 수신부가 측정하여 출력하는 신호로서, 광 수신부가 수신한 광(수신 광) 신호에 대한 측정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00)는 제2 기준 전압 값(V_Ref2)을 증폭기(미도시)로 증폭하여 제2 비교기(미도시)의 제2 입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전압 값(V_Ref2)은 미리 설정된 고정 값(고정된 값)일 수 있다.
이후, 감지부(300)는 제2 비교기(미도시)를 통하여 제1 입력인 전압 값(V_Sensor2)과 제2 입력인 제2 기준 전압 값(V_Ref2)을 서로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300)는 제2 비교기(미도시)에 의한 비교 결과,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V_Sensor2)이 제2 기준 전압 값(V_Ref2)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c2)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몸체부(100)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100)이 근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해, 감지부(300)는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c2)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유해동물(100)이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를 통과하여 본 장치(1)로부터 근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복수 개의 센서 쌍 각각에 대응하는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 중 어느 하나의 전압 값이 제2 기준 전압 값(V_Ref2)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c2)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유해동물(100)이 근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퇴치부(400)는 감지부(300)에서 유해동물(10)이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유해동물의 퇴치를 위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퇴치부(400)에 의한 경고 신호의 유형에는 제1 경고 신호 및 제2 경고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경고 신호는, 상측부재(111)에 구비된 발광부(410)를 통하여 광을 방출시킴에 따른 시각 경고 신호일 수 있다. 제2 경고 신호는, 상측부재(111)에 구비된 스피커부(420)를 통하여 소리를 방출시킴에 따른 청각 경고 신호일 수 있다.
발광부(410)는 제1 광원(411) 및 제2 광원(4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도면을 기준으로, 예시적으로 제1 광원(411)은 몸체부(100)의 전방향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한 쌍의 부재(111, 112)의 외면들(s1, s2, s3, s4, s1', s2', s3', s4') 중 제2 부재(112)의 전방향측 외면(s4')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원(412)은 몸체부(100)의 후방향을 향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한 쌍의 부재(111, 112)의 외면들(s1, s2, s3, s4, s1', s2', s3', s4') 중 제1 부재(111)의 후방향측 외면(s2)에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300)가 제1 센서부(210) 중 제1 센서(211)를 이용하여 몸체부(100)의 전방향에 유해동물(10)이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 퇴치부(400)는 제1 광원(411)으로부터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퇴치부(400)는 제1 광원(411)을 통해 전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00)가 제1 센서부(210) 중 제2 센서(212)를 이용하여 몸체부(100)의 후방향에 유해동물(10)이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한 경우, 퇴치부(400)는 제2 광원(412)으로부터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퇴치부(400)는 제2 광원(412)을 통해 후방향으로 광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퇴치부(4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유해동물(10)의 접근 감지 유형에 따라 경고 신호의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이라 함은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지 혹은 근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퇴치부(4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유해동물(10)이, 제1 센서부(210)에 의하여 감지된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인지 혹은 제2 센서부(220)에 의하여 감지된 근거리 접근 유해동물인지에 따라 경고 신호의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퇴치부(400)는, 유해동물(10)의 접근 감지 유형이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경우 발광부(410)를 통해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고, 유해동물(10)의 접근 감지 유형이 근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경우, 제1 발광부(410)를 통한 제1 경고 신호 및 스피커부(420)를 통한 제2 경고 신호를 함께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근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경우 제1 경고 신호뿐만 아니라 제2 경고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감지부(300)에 의해 근거리 접근 감지 유형을 갖는 유해동물(10)이 감지되었다는 것은, 감지된 근거리 접근 유해동물(10)이 본 장치(1)에 대하여 원거리에서 근거리까지로 접근하기까지, 제1 센서부(210)에 의해 원거리 감지가 우선으로 이루어져 발광부(410)를 통하여 제1 경고 신호가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유해동물(10)이 발광부(410)를 통해 제1 경고 신호가 발생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본 장치(1)의 근거리 내로 이동(특히, 본 장치 내 한 쌍의 부재 사이를 통과하도록 이동)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해당 유해동물(10)은 발광부(410)를 통한 제1 경고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1 경고 신호만을 이용해 퇴치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퇴치부(400)는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이 근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경우, 즉 제2 센서부(220)에 의해 근거리 접근 유해동물(10)이 감지된 경우, 감지된 유해동물(10)을 퇴치함에 있어서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시 발생된 제1 경고 신호가 해당 감지된 유해동물(10)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경고 신호와는 다른 유형의 경고 신호로서 스피커부(420)를 통한 제2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퇴치부(400)는, 감지부(300)에서 유해동물(10)의 접근이 감지된 시간의 지속 시간에 따라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신호 중 제1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은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 시간, 색상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신호 중 제2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은 스피커부(420)로부터 방출되는 소리의 형태, 크기, 주파수, 방출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퇴치부(4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유해동물(10)의 접근 감지 유형이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이되, 원거리 접근이 감지된 시간이 제1 지속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제1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광부(410)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다.
퇴치부(400)는 원거리 접근이 감지된 시간이 제1 지속 시간보다 긴 제2 지속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제1 신호 발생 유형에서 제2 신호 발생 유형으로 변경하여 발광부(410)로부터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속 시간은 예시적으로10초 미만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제2 지속 시간은 예시적으로 10초 이상 20초 미만의 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의 예시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410)로부터 발생되는 제1 경고 신호와 관련하여, 제1 경고 신호의 제2 신호 발생 유형은, 제1 경고 신호의 제1 신호 발생 유형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생되는 광의 인지가 더 잘 이루어지는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2 신호 발생 유형은, 예시적으로 발광부(41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세기가 더 강하거나, 광을 발생시키는 시간이 더 길거나, 혹은 광 점멸 주기가 더 짧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제1 지속 시간(일예로, 10초 미만) 동안 유해동물(10)이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퇴치부(400)는 발광부(410)로부터 제1 신호 발생 유형을 갖는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지속 시간(일예로, 10초 이상 20초 미만) 동안 유해동물(10)이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즉, 제1 지속 시간과 대비하여 더 오랜 시간 동안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유해동물이 감지된 경우), 퇴치부(400)는 발광부(410)로부터 발생되는 제1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제1 신호 발생 유형에서 제2 신호 발생 유형으로 변경함으로써, 제2 신호 발생 유형을 갖는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유해동물(10)이 본 장치(1)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 중 제1 센서부(210)로부터 센싱 가능한 원거리 탐지 가능 영역(예시적으로, 제1 센서부로부터 10m 거리 이내의 영역)에 유해동물(10)이 19초 동안 머물러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감지부(300)는 제1 센서부(210)를 통해 유해동물(10)이 19초 동안 본 장치(1)에 대하여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퇴치부(400)는,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인 것으로 감지된 제1 지속 시간 동안에는(즉, 0초 내지 10초 미만의 시간 동안에는), 일예로 발광부(410)로부터 제1 광 세기를 갖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퇴치부(400)는 제1 지속 시간 동안 방출부(410)로부터 제1 경고 신호로서, 신호 발생 유형 중 광의 세기가 제1 광 세기를 갖는 광(광 신호)을, 제1 신호 발생 유형을 갖는 제1 경고 신호로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유해동물(10)이 제1 지속 시간(10초 미만) 보다 긴 시간인 19초 동안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인 것으로 감지되었다는 것은, 본 장치(1)의 발광부(410)를 통해 제1 광 세기를 갖는 광(제1 신호 발생 유형을 갖는 제1 경고 신호)을 발생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유해동물(10)이 이러한 제1 광 세기를 갖는 광에 의해 도망가지 않고, 지속적으로 본 장치(1)로부터 원거리에 머물러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는 19초 동안 감지된 해당 유해동물(10)이 제1 광 세기를 갖는 광에 반응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퇴치부(400)는 유해동물이 감지된 시간의 지속 시간을 고려하여,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인 것으로 감지된 지속 시간이 제1 지속 시간(10초 미만) 보다 긴 제2 지속시간(10초 이상 20초 미만)인 경우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발생되는 제1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현재 설정 값 보다 강도가 높은 신호(혹은 시간이 더 긴 신호, 혹은 패턴이 다른 신호)로 변경시켜, 변경된 신호 발생 유형으로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유해동물(10)의 감지 시간이 19초인 경우, 퇴치부(400)는 감지 시간이 제2 지속 시간을 충족함에 따라 10초 이상 19초 동안에는, 일예로 광의 세기를 제1 광 세기에서 그보다 강한 제2 광 세기로 변경하여, 발광부(410)로부터 제1 광 세기 보다 강한 제2 광 세기를 갖는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퇴치부(400)는 제2 지속 시간 동안 방출부(410)로부터 제1 경고 신호로서, 신호 발생 유형 중 광의 세기가 제1 광 세기 보다 강한 제2 광 세기를 갖는 광(광 신호)을 제2 신호 발생 유형을 갖는 제1 경고 신호로서 발생시킬 수 있다.
퇴치부(400)는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10)이 감지된 감지 지속 시간이 증가할수록, 발광부(410)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세기가 점차 강해지도록 제1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변경함으로써, 유해동물(10)의 퇴치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퇴치부(400)는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10)이 감지된 감지 시간이 제1 지속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제1 신호 발생 유형으로서 5초 간격 마다 점멸하는 광 방출 패턴을 갖는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만약, 감지 시간이 제2 지속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퇴치부(400)는 유해동물(10)이 발광부(410)로부터 발생되는 광에 효과적으로 반응하도록, 광 방출 패턴을 5초 간격에서 2초 간격으로 변경하여, 제2 신호 발생 유형으로서 5초 간격 보다 짧은 2초 간격 마다 점멸하는 광 방출 패턴을 갖는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부(300)는 서로 다른 높이(레벨)로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센서부(220) 내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를 이용해 근거리 접근 유해동물(10)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300)는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농축산지 영역에 대해 근거리에 위치하여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를 통과한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식별한다는 것은, 유해동물(10)의 크기를 식별하는 것, 나아가 이러한 유해동물의 크기 식별을 통해 유해동물(10)의 종류를 식별(추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1 센서 쌍(221)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이 다른 2개의 센서 쌍(222, 223)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 대비 작은 값으로 나타난다고 하자. 이처럼 나타나는 이유는, 유해동물(10)이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 중 특히 제1 센서 쌍(221)의 사이에 위치해 있는 경우, 제1 센서 쌍(221)의 광 수신부(221b)가 광 송신부(221a)로부터 송신된 광을 유해동물(10)의 가림으로 인해 수신하지 못함에 따라(혹은, 수신하는 광의 양이 상당히 적어짐에 따라), 제1 센서 쌍(221)의 제1 광 수신부(221b)가 수신하는 광의 양이 다른 제2 광 수신부(222b) 및 제3 광 수신부(223b)가 수신하는 광의 양 대비 적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300)는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1 센서 쌍(221)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이 다른 2개의 센서 쌍(222, 223)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 대비 미리 설정된 임계 차이만큼 작은 값으로 나타난 경우,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를 통과하거나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에 위치하는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제1 유형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형은 유해동물(10)의 크기가 제1 크기(높이) 범위에 속하는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크기 범위는 25cm 미만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유형으로 식별된 유해동물(10)은 다양한 종류의 유해동물들에 있어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분류되는 유해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유형의 유해동물(10)에는 살쾡이, 고양이, 참새, 까치, 까마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1 센서 쌍(221)과 제2 센서 쌍(222)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이 제3 센서 쌍(223)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 대비 작은 값으로 나타난다고 하자. 이처럼 나타나는 이유는, 유해동물(10)이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 중 특히 제1 센서 쌍(221)과 제2 센서 쌍(222)의 사이에 위치해 있음에 따라, 제1 광 수신부(221b)와 제2 광 수신부(222b)가 수신하는 광의 양이 제3 광 수신부(223b)가 수신하는 광의 양 대비 적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300)는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제1 센서 쌍(221)과 제2 센서 쌍(222)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이 제3 센서 쌍(223)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 대비 미리 설정된 임계 차이만큼 작은 값으로 나타난 경우,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를 통과하거나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에 위치하는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제2 유형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형은 유해동물(10)의 크기가 제1 크기 범위 보다 큰 제2 크기 범위에 속하는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크기 범위는 25cm 이상 50cm 미만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 유형으로 식별된 유해동물(10)은 다양한 종류의 유해동물들에 있어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중간 크기로 분류되는 유해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유형의 유해동물(10)에는 멧돼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각 센서 쌍(221, 222, 223)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이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에 유해동물이 위치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는 기준 전압 값 대비 미리 설정된 임계 차이만큼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감지부(300)는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제3 유형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유형은 유해동물(10)의 크기가 제2 크기 범위 보다 큰 제3 크기 범위에 속하는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크기 범위는 50cm 이상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3 유형으로 식별된 유해동물(10)은 다양한 종류의 유해동물들에 있어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분류되는 유해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유형의 유해동물(10)에는 고라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예로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에 유해동물이 위치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되는 기준 전압 값과 대비하여, 제3 센서 쌍(223)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이 순간적으로 감소되었다가 원상태를 유지한 다음, 제2 센서 쌍(222)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이 순간적으로 감소되었다가 원상태를 유지하고, 다음으로 제1 센서 쌍(221)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의 전압 값이 소정 시간(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감소된 상태로 유지되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감지부(300)는 유해동물(10)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특히 해당 유해동물(10)이 조류(예를들어, 참새, 까치, 까마귀 등)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처럼, 감지부(300)는 제2 센서부(220) 내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기반으로, 유해동물의 유형(혹은, 유해동물의 크기, 종류 등)을 식별할 수 있다.
감지부(300)에서 식별된 유해동물(10)의 유형에 따라 퇴치부(400)의 동작이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해, 퇴치부(400)는 감지부(300)에서 식별된 유해동물(10)의 유형에 따라 동작을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퇴치부(400)의 동작을 달리한다는 것은,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경고 신호의 유형(제1 경고 신호, 제2 경고 신호)을 달리하거나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달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퇴치부(400)는 감지된 유해동물(10)의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제1 크기를 갖는 제2 경고 신호를 스피커부(420)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퇴치부(400)는 감지된 유해동물(10)의 유형이 제2 유형인 경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제2 경고 신호를 스피커부(420)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퇴치부(400)는 감지된 유해동물(10)의 유형이 제3 유형인 경우 제2 크기보다 큰 제3 크기를 갖는 제2 경고 신호를 스피커부(420)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퇴치부(400)는 감지된 유해동물(10)의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제1 주파수를 갖는 제2 경고 신호를 스피커부(420)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퇴치부(400)는 감지된 유해동물(10)의 유형이 제2 유형인 경우 제1 주파수 보다 높은 제2 주파수를 갖는 제2 경고 신호를 스피커부(420)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퇴치부(400)는 감지된 유해동물(10)의 유형이 제3 유형인 경우 제2 주파수보다 높은 제3 주파수를 갖는 제2 경고 신호를 스피커부(420)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는, 유해동물(10)의 유형에 따라 스피커부(420)를 통한 제2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이 달리 제어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해동물(10)의 유형에 따라 발광부(410)를 통한 제1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 경고 신호의 유형 등이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는 몸체부(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퇴치부(400)는, 통신부(미도시)가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제2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퇴치부(400)는 통신부(미도시)가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소리의 형태가 음성 안내 멘트 형태인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달리 표현해, 퇴치부(400)는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신호 발생 유형 중 소리의 형태로서 음성 안내 멘트 형태를 갖는 제2 경고 신호를 스피커부(420)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안내 멘트는 '유해동물이 발견되었습니다'와 같은 유해동물의 감지 여부에 관한 멘트, '멧돼지가 발견되었습니다'와 같은 식별된 유해동물의 유형에 관한 멘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퇴치부(400)는 통신부(미도시)가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근거리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소리의 형태가 부저음 형태인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달리 표현해, 퇴치부(400)는 근거리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 신호 발생 유형 중 소리의 형태로서 부저음 형태를 갖는 제2 경고 신호를 스피커부(420)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이처럼, 퇴치부(400)는 통신부(미도시)가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사용자 단말(미도시)이 본 장치(1)에 대하여 근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순히 부저음 형태의 경고 신호가 아닌 음성 멘트가 포함된 형태의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 장치(1)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나타난 유해동물(10)에 대한 출현 인지(감지)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와 사용자 단말(미도시) 간의 근거리 통신은 일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비콘(Beacon) 통신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제어부(500)는 본 장치(1)에 포함된 각 부(200, 300, 400, 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배터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부(미도시)는 하측부재(12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부(100) 중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는 멧돼지, 고라니, 살쾡이, 고양이 등의 유해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과실, 채소, 고구마, 옥수수 등)나 축산물 피해(병아리, 소형 가축 새끼 등)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유해동물의 출현으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유해동물 내지 야생동물이 고속도로나 인접 도로에 출현함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장치(1)에서 감지가 이루어지는 유해동물은 피사체, 대상체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본 장치(1)에서, 제1 센서부(210)는 유해동물의 체열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원거리 적외선 온도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220)는 유해동물의 존재 여부의 감지가 가능한 근거리 센서로서, 근거리 적외선 센서 또는 근거리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1)는, 제1 센서(211)에 포함된 2개의 제1 서브 센서(211a, 211b)를 통해, 본 장치(1)의 전방향에 대한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탐지)를 좌측 탐지 영역과 우측 탐지 영역을 포함하는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감지(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장치(1)는, 제2 센서(212)에 포함된 2개의 제2 서브 센서(212a, 212b)를 통해, 본 장치(1)의 후방향(후측 방향)에 대한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탐지)를 좌측 탐지 영역과 우측 탐지 영역을 포함하는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감지(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는 어느 방향으로든 본 장치(1)에 접근해오는 모든 유해동물에 대한 접근 감지(탐지)가 가능하다.
본 장치(1)는 농축산지 영역에 대응하는 지표면(se)에 대하여 매립(매설)되도록 배치되거나, 은폐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장치(1)는 제1 센서부(210)를 통해 원거리 감지용 적외선 신호(즉, 원거리 감지용 적외선 신호)를 조사할 수 있다. 제1 센서부(210)를 통해 조사된 신호가 유해동물(10)에 조사된 경우, 제1 센서부(210)는 제1 센서부(210)로부터 조사된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로서 유해동물(10)로부터 반사되는 피사체(유해동물) 복사 에너지 관련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이러한 제1 센서부(210)를 이용해 측정된 신호(즉, 피사체 복사 에너지 관련 신호)를 비교기 1의 입력으로 제공함으로써, 원거리 접근 유해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장치(1)에서 제1 센서부(210)를 통해 조사되는 신호(적외선 신호)에 대응하여 유해동물(피사체,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복사 에너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1)에서 감지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복사 에너지의 원리에 기초하여, 제1 센서부(210)를 통해 센싱된 신호(조사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복사 에너지 관련 신호)의 분석을 수행하여 유해동물(1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에서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LED 광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광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410)는 광으로서 고휘도 광(고휘도 백색 LED 광)을 방출시킬 수 있다. 본 장치(1)는 발광부(410)를 통해 유해동물(10)에 대하여 시각적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는 스피커부(420)를 통한 부저 알림 등을 통해 유해동물(10)에 대하여 청각적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퇴치부(400)는 초음파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퇴치부(400)는 감지부(300)에 의한 유해동물(10)의 감지시, 유해동물(10)의 유형에 따라, 해당 유해동물(10)의 유형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를 초음파 발생부(미도시)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미도시)는 몸체부(100)의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퇴치부(400)는 유해동물(10)의 유형에 따라, 해당 유형의 유해동물(10)의 퇴치에 유리한 다양한 광, 소리, 초음파(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시각 경고 내지 청각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장치(1)는 제1 센서부(210)를 이용한 유해동물(10)의 체열(온도, 체온) 감지시, 기준값으로서 가변형 기준값(가변형 기준 전압 값)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장치(1)에서 제1 센서부(210)에 포함된 원거리 적외선 온도감지 센서는 PIR 적외선 센서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대기 온도 센서부(600)는 NTC 온도센서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210)에 포함된 근거리 감지용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포토커플러(Photo-Coupl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퇴치부(400)는 유해동물(10)이 감지된 경우, 구형파 발생기(일예로, Timer 555)를 포함하는 신호발생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퇴치부(400)는 신호발생부(미도시)를 통해 발생된 다양한 주파수에 기초하여, 발광부(410), 스피커부(420)를 이용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제1 센서(211) 및 제2 센서(212)로서 탐지 거리(적외선 조사 거리)가 10m 이내인 센서가 이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제1 센서부(2100에 포함된 센서(211, 212)로는 예시적으로 최대 5m의 탐지 거리를 갖는 GY-MLX90614, 최대 15m의 탐지 거리를 갖는 GY-MLX90614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의 제2 센서부(22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센서 쌍(221, 222, 223) 각각은, 신호 송/수신이 분리된 분리형 센서이거나 혹은 신호 송/수신이 하나로 일체화된 일체형 센서일 수 있다.
감지부(300)는 제2 센서부(220)를 이용함으로써, 일예로 U자 형으로 마련되는 몸체부(100) 중 한 쌍의 부재(111, 112) 사이를 유해동물(10)이 통과함에 따른 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본 장치(1)에 대한 유해동물(10)의 근거리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장치(1)에서 제2 센서부(220) 내 각 센서 쌍(221, 222, 223)은, 유해동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일예로 3개의 레벨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레벨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장치(1)는 유해동물(10)로 인한 농작물 피해, 축산물 피해, 인명 피해의 위험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장치(1)는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 장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장치(1)는 제1 센서부(210)인 원거리 적외선 온도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유해동물)의 체열을 감지하며, 제2 센서부(220)인 근거리 적외선/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해동물이 감지되었을 경우, 본 장치(1)는 퇴치부(400)의 동작 제어를 통해, 시각적 경고(예시적으로, 고휘도 LED의 발광이나 점멸 등을 통한 경고) 및/또는 청각적 경고(예시적으로, 스피커부를 통한 부저 알림, 초음파 센서를 통한 초음파신호의 조사 등을 통한 경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해동물(10)을 본 장치(1)로부터 퇴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는 유해동물에 대한 감지 및 퇴치가 가능하다.
본 장치(1)는 일예로 대략 2m 내지 10m의 탐지거리에 대응하는 원거리까지 유해동물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은 본 장치(1)를 통하여 유해동물의 퇴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센서의 수, 센서의 구비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유해동물 퇴치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유해동물 퇴치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S11에서는, 본 장치(1)의 몸체부 중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측부재에 구비되는 센서부에서,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는, 지표면의 하측에 매설되는 하측부재와, 하측부재와 연결되고 지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측부재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에서는, 감지부에서, 단계 S11에서의 센싱에 따른 센서부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한 유해동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2에서 감지부는, 제1 센서부의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과 제1 기준 전압 값을 비교 분석하여,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이 제1 기준 전압 값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이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전압 값은, 대기 온도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대기 온도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가변형 기준 전압 값일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감지부는, 제2 센서부의 제2 출력신호 에 대응하는 전압 값과 제2 기준 전압 값을 비교 분석하여,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이 제2 기준 전압 값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이 근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전압 값은 고정형 기준 전압 값일 수 있다.
또한, 단계S12에서 감지부는, 제2 센서부 내 복수 개의 센서 쌍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농축산지 영역에 대해 근거리에 위치하여 한 쌍의 부재 사이를 통과한 유해동물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S12에서 식별된 유해동물의 유형에 따라 단계S13에서의 퇴치부의 동작 이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3에서는, 퇴치부에서, 단계S12에서 유해동물이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유해동물의 퇴치를 위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퇴치부에 의한 경고 신호의 유형에는, 상측부재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하여 광을 방출시킴에 따른 시각 경고 신호인 제1 경고 신호 및 상측부재에 구비된 스피커부를 통하여 소리를 방출시킴에 따른 청각 경고 신호인 제2 경고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3에서 퇴치부는, 단계S12에서 감지된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에 따라 경고 신호의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퇴치부는,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이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고,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이 근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경우, 제1 경고 신호 및 제2 경고 신호를 함께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S13에서 퇴치부는, 단계S12에서 유해동물의 접근이 감지된 시간의 지속 시간에 따라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은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 시간, 색상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은 스피커부로부터 방출되는 소리의 형태, 크기, 주파수, 방출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3에서 퇴치부는, 감지부에서 감지된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이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이되, 원거리 접근이 감지된 시간이 제1 지속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제1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S13에서 퇴치부는, 원거리 접근이 감지된 시간이 제1 지속 시간보다 긴 제2 지속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제1 신호 발생 유형에서 제2 신호 발생 유형으로 변경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방법은, 단계S13 단계 이전에, 통신부에서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S13에서 퇴치부는,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제2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퇴치부는,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소리의 형태가 음성 안내 멘트 형태인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생시키되, 통신부가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 제2 경고 신호를 소리의 형태가 부저음 형태인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유해동물 퇴치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유해동물 퇴치 장치
100: 몸체부
200: 센서부
300: 감지부
400: 퇴치부
500: 제어부
600: 대기 온도 센서부

Claims (16)

  1. 유해동물 퇴치 장치로서,
    지표면의 하측에 매설되는 하측부재와, 상기 하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측부재를 갖는 몸체부;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기 상측부재에 구비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한 유해동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유해동물이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유해동물의 퇴치를 위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퇴치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의 원거리 접근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의 근거리 접근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유해동물의 체열 감지가 가능한 원거리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농축산지 영역 내의 유해동물의 존재 여부 감지가 가능한 근거리 감지용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재는, 상기 하측부재의 좌우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한 쌍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한 쌍의 부재의 외면들 중 서로 마주하는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한 쌍의 부재의 외면들 중 상기 서로 마주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센서부의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과 제1 기준 전압 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제1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이 상기 제1 기준 전압 값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이 원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가 설치된 주변 환경의 대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상측부재에 구비되는 대기 온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전압 값은, 상기 대기 온도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대기 온도에 대응하는 전압 값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가변형 기준 전압 값인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센서부의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과 제2 기준 전압 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제2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전압 값이 상기 제2 기준 전압 값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전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상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하여 유해동물이 근거리에 접근해 있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하여, 상기 상측부재의 상하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센서 쌍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쌍 각각은,
    상기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상기 한 쌍의 부재 내 제1 부재에 구비되어 광을 송신하는 광 송신부; 및
    상기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상기 한 쌍의 부재 내 제2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광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쌍은,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구비되는 제1 센서 쌍, 제2 센서 쌍 및 제3 센서 쌍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쌍 각각에 대응하는 출력신호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상기 농축산지 영역에 대해 근거리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부재 사이를 통과한 유해동물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유해동물의 유형에 따라 상기 퇴치부의 동작이 달리 제어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퇴치부에 의한 경고 신호의 유형에는, 상기 상측부재에 구비된 발광부를 통하여 광을 방출시킴에 따른 시각 경고 신호인 제1 경고 신호 및 상기 상측부재에 구비된 스피커부를 통하여 소리를 방출시킴에 따른 청각 경고 신호인 제2 경고 신호가 포함되고,
    상기 퇴치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에 따라 상기 경고 신호의 유형을 달리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퇴치부는,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이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이 근거리 접근 감지 유형인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 및 상기 제2 경고 신호를 함께 발생시키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퇴치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이 감지된 시간의 지속 시간에 따라 상기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달리 제어하되,
    상기 제1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세기, 시간, 색상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은 상기 스피커부로부터 방출되는 소리의 형태, 크기, 주파수, 방출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퇴치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 유형이 원거리 접근 감지 유형이되, 원거리 접근이 감지된 시간이 제1 지속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를 제1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생시키되,
    상기 원거리 접근이 감지된 시간이 제1 지속 시간보다 긴 제2 지속 시간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1 경고 신호를 제1 신호 발생 유형에서 제2 신호 발생 유형으로 변경하여 발생시키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퇴치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경고 신호의 신호 발생 유형을 달리하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제2 경고 신호를 소리의 형태가 음성 안내 멘트 형태인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생시키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제2 경고 신호를 소리의 형태가 부저음 형태인 신호 발생 유형으로 하여 발생시키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기 나머지 외면 중 전방향측 외면에 구비되는 제1 센서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향으로부터 접근하는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기 나머지 외면 중 후방향측 외면에 구비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향 중 좌측 전방향 영역과 우측 전방향 영역 각각에 대한 접근 감지가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다른 각도로 구비되는 2개의 제1 서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후방향 중 좌측 후방향 영역과 우측 후방향 영역 각각에 대한 접근 감지가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다른 각도로 구비되는 2개의 제2 서브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동물 퇴치 장치.
  15. 제1항의 유해동물 퇴치 장치를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 방법으로서,
    (a) 지표면의 하측에 매설되는 하측부재와, 상기 하측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지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측부재를 갖는 몸체부 중 상기 유해동물의 접근 감지를 위해 상기 상측부재에 구비되는 센서부에서, 센싱을 수행하는 단계;
    (b) 감지부에서, 상기 센싱에 따른 상기 센서부의 출력신호의 분석을 통해 상기 몸체부가 설치된 농축산지 영역에 대한 유해동물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c) 퇴치부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유해동물이 접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유해동물의 퇴치를 위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 방법.
  16. 제15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125122A 2019-10-10 2019-10-10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KR10231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22A KR102318585B1 (ko) 2019-10-10 2019-10-10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22A KR102318585B1 (ko) 2019-10-10 2019-10-10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99A true KR20210042499A (ko) 2021-04-20
KR102318585B1 KR102318585B1 (ko) 2021-10-27

Family

ID=7574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122A KR102318585B1 (ko) 2019-10-10 2019-10-10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9194A (zh) * 2021-07-12 2021-09-07 中广核新能源(宣城)有限公司 一种驱鸟装置及其水面光伏组件
KR102597421B1 (ko) * 2022-11-30 2023-11-02 백하은 로드킬을 방지하는 방법 및 로드킬 방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5668A1 (en) * 2005-04-11 2006-10-12 Ross Brian C Animal deterrent apparatus for mounting to a culvert
KR101670892B1 (ko) * 2015-12-28 2016-10-31 (주)파트론 적외선 온도 센서 및 온도 측정 방법
JP6190234B2 (ja) * 2013-10-01 2017-08-30 フマキラー株式会社 動物忌避装置
JP2018046803A (ja) * 2016-09-23 2018-03-29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害獣忌避装置
KR101874564B1 (ko) * 2018-01-22 2018-07-04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5668A1 (en) * 2005-04-11 2006-10-12 Ross Brian C Animal deterrent apparatus for mounting to a culvert
JP6190234B2 (ja) * 2013-10-01 2017-08-30 フマキラー株式会社 動物忌避装置
KR101670892B1 (ko) * 2015-12-28 2016-10-31 (주)파트론 적외선 온도 센서 및 온도 측정 방법
JP2018046803A (ja) * 2016-09-23 2018-03-29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害獣忌避装置
KR101874564B1 (ko) * 2018-01-22 2018-07-04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인식기술을 사용한 IoT 융복합을 통한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방제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9194A (zh) * 2021-07-12 2021-09-07 中广核新能源(宣城)有限公司 一种驱鸟装置及其水面光伏组件
KR102597421B1 (ko) * 2022-11-30 2023-11-02 백하은 로드킬을 방지하는 방법 및 로드킬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585B1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7114A1 (e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KR101975477B1 (ko)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US6653971B1 (en) Airborne biota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8598998B2 (en) Animal collision avoidance system
Fuzessery et al. Passive sound localization of prey by the pallid bat (Antrozous p. pallidus)
KR102318585B1 (ko) 유해동물 퇴치 장치 및 방법
US201401691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lling pests in greenhouse
KR20170054808A (ko) 드론을 이용한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퇴치 방법.
US11636745B2 (en) Detection of animal intrusions and control of a repellent mechanism for detected animal intrusions
KR101537959B1 (ko) 야생동물 퇴치 로봇 및 이의 구동방법
CA2679672A1 (en) Method for preventing injury on wildlife
KR100825091B1 (ko) 형상 인식형 조수 퇴치시스템
KR20170096754A (ko)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084886A1 (en) Wild animal repulsing apparatus
ES2880339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insectos
KR20120124909A (ko) 레이저를 이용해 해충을 박멸하는 레이저 커튼 및 그 방법
JP2013051925A (ja) 害虫防除装置
JP2002186402A (ja) レーザービームのマルチ照射による鳥獣侵入防止方法
JP2004355551A (ja) 保護システム
KR102421330B1 (ko) 농작물의 피해 방지를 위한 추적형 야생동물 퇴치장치
KR20130035812A (ko) 독립형 허수아비 센서 노드
JP6744032B2 (ja) 駆除剤噴霧装置、駆除剤噴霧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31690B1 (ko) Oled 및 빅데이터와 파장을 기반으로 하는 겹눈해충 퇴치시스템
KR102547046B1 (ko) 편파 레이더를 이용한 유해조수 침입감지시스템 및 그 방법
Dadhich Increasing the accuracy of rodent detection and estimation of the population with sensor f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