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436A -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Google Patents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2436A KR20210042436A KR1020190124952A KR20190124952A KR20210042436A KR 20210042436 A KR20210042436 A KR 20210042436A KR 1020190124952 A KR1020190124952 A KR 1020190124952A KR 20190124952 A KR20190124952 A KR 20190124952A KR 20210042436 A KR20210042436 A KR 202100424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flange
- flange portion
- coupling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하수도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대응되도록 제2하수도배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 및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제1하수도배관과 제2하수도배관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제1하수도배관과 제2하수도배관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랜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도용배관들을 연결하도록 각 플랜지부를 고정시키되, 간편한 조작으로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일정 길이로 제작된 다수 개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각 배관의 단부에는 플랜지 등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와 너트로 고정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배관의 연결부위는 견고함을 더하기 위해 용접을 하기도 한다.
종래 등록특허 10-1045662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일측 배관의 이음 단부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고, 타측 배관 역시 이음 단부에 플랜지가 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플랜지를 상호 맞닿는 형태로 배치한 이후에, 볼트를 플랜지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배관이 상호 연결된다.
배관 내부를 흐르는 액체 또는 기체가 플랜지의 결합부분을 통해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는 합성수지, 우레탄, 가죽 등으로 제조된 패킹이 부착된다.
이러한 플랜지를 사용하여 배관을 연결하는 경우에, 연결된 배관의 이음 단부에 플랜지를 각각 용접한 이후에, 맞닿는 양 플랜지의 결합공을 일치시키고,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므로, 플랜지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을 상호 맞추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특히,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플랜지를 기 설치된 배관의 플랜지와 일치시키도록 새로운 배관을 상하좌우 등으로 이동시켜야 됨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굴착공간을 넓게 형성해야 되어 불필요한 작업공정과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제1하수도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대응되도록 제2하수도배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 및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여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제1하수도배관과 제2하수도배관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하수도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대응되도록 제2하수도배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 및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플랜지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2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공, 상기 제2체결공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상기 제1체결공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을 이동시키기 위한 체결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동부는, 상기 체결링의 나사산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에 위치되는 체결구동웜, 상기 체결구동웜을 제1플랜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시키는 체결구동축, 및 상기 체결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구동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동손잡이를 이용하여 체결구동축과 체결구동웜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플랜지부의 제1체결공에 위치된 상기 체결링을 상기 제2플랜지부의 제2체결공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체결링의 나사산이 제2플랜지부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지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중 다른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해당 플랜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가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유동방지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수직유동방지부는, 연결된 상기 제1하수도배관과 제2하수도배관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위치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부분에 구비된 제1수직유동방지부, 및 연결된 두 개의 배관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위치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부분에 구비된 제2수직유동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수직유동방지부는,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수직삽입공, 및 상기 수직삽입공에 끼워지기 위한 수직삽입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 의해 체결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제1고정공, 상기 제1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플랜지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 제2고정공,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에 관통 삽입되기 위한 고정볼트, 및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을 통과한 고정볼트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고정시킴에 따라,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 사이에 대응되는 제3고정공이 상기 수직삽입편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에 의하면,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제1하수도배관과 제2하수도배관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유동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유동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유동방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 밀폐부(300) 및 체결부(400)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부(100)는 제1하수도배관(1)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플랜지부(200)는 제1플랜지부(100)와 대응되도록 제2하수도배관(2)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밀폐부(300)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체결부(400)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체결부(4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체결공(410)과 제2체결공(420), 체결링(430) 및 체결구동부(440)를 포함한다.
제1체결공(410)은 제2플랜지부(200)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1플랜지부(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체결공(420)은 제1체결공(410)에 대응되며, 제1플랜지부(100)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제2플랜지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링(430)은 제2체결공(420)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제1체결공(410)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체결구동부(440)는 체결링(430)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체결구동부(440)는 체결구동웜(442)과 체결구동축(444) 및 체결구동손잡이(446)를 포함한다.
체결구동웜(442)은 체결링(430)의 나사산에 치합되도록 제1체결공(410)에 위치된다.
그리고 체결구동축(444)은 체결구동웜(442)을 제1플랜지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시킨다.
체결구동손잡이(446)는 체결구동축(444)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부(400)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체결구동손잡이(446)를 이용하여 체결구동축(444)과 체결구동웜(442)을 회전시켜 제1플랜지부(100)의 제1체결공(410)에 위치된 체결링(430)을 제2플랜지부(200)의 제2체결공(420)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체결링(430)의 나사산이 제2플랜지부(200)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가 체결된다.
다시 말해, 체결링(430)은 제1체결공(41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체결구동웜(442)에 치합되어 나선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체결공(420)으로 이동되면서 제2플랜지부(200)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밀폐부(300)는 제1밀폐부(310)와 제2밀폐부(320)를 포함한다.
제1밀폐부(310)는 체결부(400)의 각 체결공(410, 420)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되고, 제2밀폐부(320)는 각 체결공(410, 420)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어 2중으로 밀폐된다.
여기서,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이 결합수단(500)은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진다.
이러한 결합수단(500)은 결합돌기(510)와 결합홈(520)을 포함한다.
결합돌기(510)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 중 어느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홈(520)은 결합돌기(510)에 대응되도록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 중 다른 하나에 다수 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510)와 결합홈(520)은 체결부(400)가 형성된 해당 플랜지부(100, 200)의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510)와 결합홈(520)은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가 상호 접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의 결합 시, 결합돌기(510)와 결합홈(520)을 결합시켜 가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 후, 체결부(400)에 의해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상호 체결시킨다.
여기서, 결합돌기(510)와 결합홈(5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각 플랜지부(100, 200)를 위치시킨 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상호 결합시켜 가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종래 하수도배관 설치 및 교체 시, 해당 하수도배관의 길이보다 크게 굴착하여 일정 높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본 발명의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에 의해 굴착부위를 절감시킴은 물론,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상호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는 고정부재(530)는 결합수단(300)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100)와 제2플랜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고정부재(530)는 제1고정공(532)과 제2고정공(534), 고정볼트(536) 및 고정너트(538)로 구성된다.
제1고정공(532)은 제1플랜지부(100)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제2고정공(534)은 제1고정공(532)에 대응되도록 제2플랜지부(200)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볼트(536)는 일직선상에 위치된 제1고정공(532)과 제2고정공(534)에 관통 삽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고정너트(538)는 제1고정공(532)과 제2고정공(534)을 통과한 고정볼트(536)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고정시킴에 따라, 결합된 결합돌기(510)와 결합홈(520)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굴곡지게 돌출 형성되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지거나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패킹(400)은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유동방지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수직유동방지부(600)는 결합수단(500)에 의해 결합된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가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수직유동방지부(600)는 제1수직유동방지부(610)와 제2수직유동방지부(620)를 포함한다.
제1수직유동방지부(610)는 연결된 제1하수도배관(1)과 제2하수도배관(2)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위치된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 부분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수직유동방지부(620)는 연결된 두 개의 배관(1, 2)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위치된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 부분에 구비된다.
이 각 수직유동방지부(610, 620)는 수직삽입공(612, 622)과 수직삽입편(614, 624)을 포함한다.
수직삽입공(612, 622)은 결합된 결합돌기(510)와 결합홈(52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수직삽입편(614, 624)은 수직삽입공(612, 622)에 끼워지기 위해 구비된다.
수직삽입공(612, 622)은 결합된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2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수직삽입편(614, 624)은 수직삽입공(612, 622)에 끼워지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각 수직삽입편(614, 624)은 제1고정공(510)과 제2고정공(520) 사이에 대응되는 제3고정공(550)이 형성된다.
100 : 제1플랜지부
200 : 제2플랜지부
300 : 밀폐부 400 : 체결부
410 : 제1체결공 420 : 제2체결공
430 : 체결링 440 : 체결구동부
500 : 결합수단 510 : 결합돌기
520 : 결합홈 530 : 고정부재
600 : 수직유동방지부
300 : 밀폐부 400 : 체결부
410 : 제1체결공 420 : 제2체결공
430 : 체결링 440 : 체결구동부
500 : 결합수단 510 : 결합돌기
520 : 결합홈 530 : 고정부재
600 : 수직유동방지부
Claims (2)
- 제1하수도배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대응되도록 제2하수도배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결합시키되,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워지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플랜지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1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제2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공;
상기 제2체결공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고, 상기 제1체결공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을 이동시키기 위한 체결구동부;를 포함하는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동부는,
상기 체결링의 나사산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체결공에 위치되는 체결구동웜;
상기 체결구동웜을 제1플랜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시키는 체결구동축; 및
상기 체결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구동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동손잡이를 이용하여 체결구동축과 체결구동웜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플랜지부의 제1체결공에 위치된 상기 체결링을 상기 제2플랜지부의 제2체결공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체결링의 나사산이 제2플랜지부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952A KR102276835B1 (ko) | 2019-10-09 | 2019-10-09 |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4952A KR102276835B1 (ko) | 2019-10-09 | 2019-10-09 |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2436A true KR20210042436A (ko) | 2021-04-20 |
KR102276835B1 KR102276835B1 (ko) | 2021-07-14 |
Family
ID=7574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4952A KR102276835B1 (ko) | 2019-10-09 | 2019-10-09 |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683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279Y1 (ko) * | 2003-10-30 | 2004-02-18 | 허형무 | 자켓 커버와 자켓 압축판을 이용한 하수관 이음 구조 |
KR101792571B1 (ko) * | 2017-03-07 | 2017-11-02 |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 파이프 연결 장치 |
KR20190016641A (ko) * | 2017-08-08 | 2019-02-19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
-
2019
- 2019-10-09 KR KR1020190124952A patent/KR1022768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2279Y1 (ko) * | 2003-10-30 | 2004-02-18 | 허형무 | 자켓 커버와 자켓 압축판을 이용한 하수관 이음 구조 |
KR101792571B1 (ko) * | 2017-03-07 | 2017-11-02 |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 파이프 연결 장치 |
KR20190016641A (ko) * | 2017-08-08 | 2019-02-19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6835B1 (ko) | 2021-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3415B1 (ko) |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 |
TW201437531A (zh) | 修復管用區段及管修復工法 | |
KR20050094334A (ko) | 갱생관 어셈블리용 세그먼트 | |
US20140070433A1 (en) | Standpipe arrangement and fastening for holding and for supplying gas to aerators in a waste water clarifying basin | |
JP6526447B2 (ja) | 弁体撤去装置 | |
JP2006233538A (ja) | トンネル用インバート、インバートブロックおよび該インバ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インバートの築造方法 | |
KR102131489B1 (ko) |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 |
KR102247270B1 (ko) | 상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
KR20210042436A (ko) |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
KR102276831B1 (ko) | 결합력이 향상된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 |
JP2011231561A (ja) | 鋼管柱の上下鋼管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 |
KR100967427B1 (ko) | 커플러에 의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맨홀 | |
CN112368504A (zh) | 框架体装置和框架体装置的安装方法 | |
KR100488219B1 (ko) |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 |
EP3256694B1 (en) | Modular tunnel lining system and method | |
KR200402713Y1 (ko) |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 |
JP5103148B2 (ja) | 分岐管接続工法及び分岐管接続装置 | |
JP2999393B2 (ja) | 地下埋設管の更生方法 | |
JP6970587B2 (ja) | フランジ補強具 | |
KR20080030427A (ko) | 파이프 연결핀 | |
JP2007032762A (ja) | 埋設管及びその敷設方法 | |
KR100917951B1 (ko) | 맨홀용 관 연결구 | |
KR100398789B1 (ko) | 관이음 플랜지 | |
JP6156977B2 (ja) | 可撓性継手の固定構造 | |
KR200362348Y1 (ko) | 조립형 이음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