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744A -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744A
KR20210041744A KR1020190124345A KR20190124345A KR20210041744A KR 20210041744 A KR20210041744 A KR 20210041744A KR 1020190124345 A KR1020190124345 A KR 1020190124345A KR 20190124345 A KR20190124345 A KR 20190124345A KR 20210041744 A KR20210041744 A KR 20210041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face protection
protection window
helmet
motorcycle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206B1 (ko
Inventor
박진목
Original Assignee
박진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목 filed Critical 박진목
Priority to KR102019012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2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6Visors with cleaning means, e.g. wipers ; Movable or interchangeable vision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6Visors with sunscreens, e.g. tinted or dual visor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헬멧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상기 헬멧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안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한 안면보호창이 구성되는 오토바이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의 전면에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나 충돌로부터 상기 안면보호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점착되는 보호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Face Protection Window Protective Film for Motorcycle Helmet}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투명한 안면보호창 전면에 복수층 구조로 부착되어 투명한 안면보호창의 전면에 외부 물체와의 충돌 등으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오염원(벌레충돌흔적, 스크래치 등)으로 인해 전방 시야를 가리게 될 경우 상기 헬멧의 투명한 안면보호창 전면에 미리 복수층 구조로 부착해 놓은 보호필름을 한장씩 차례대로 떼어내는 수단으로, 상기 헬멧의 투명한 안면보호창을 통한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용 헬멧은 오토바이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사고에 대해 머리를 보호하도록 하며, 또한 오토바이용 헬멧의 투명한 안면보호창은 오토바이 운행 중 바람이나 비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하는 안전장비로 취급되고 있다.
또한 오토바이용 헬멧은 오토바이 운행 중에는 항시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오토바이 운행 중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먼지가 부착되거나 또는 하루살이, 나방 등과 같은 날벌레들과 충돌 내지 접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오토바이 운행 중 운전자가 쓰고 있는 헬멧의 투명한 안면보호창에 먼지 등이 부착되거나 날벌레의 충돌흔적이 남아있게 될 때에는 그로 인해 전방 시야가 흐려지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오토바이 운행 중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좋지 않게 될 경우에는 돌발적인 사고에 대처하는 능력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될 위험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오토바이용 헬멧은 착용하는 사람이 오토바이를 운행하지 않을 때 투명한 안면보호창에 먼지 등이 묻어있거나 또는 벌레의 충돌흔적에 의해 전방 시야가 선명하게 투시되지 않을 때에는 헬멧을 벗고 안면보호창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다시 착용할 수 있겠지만, 만약 오토바이 운행 중 투명한 안면보호창이 오염되어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렵다고 느끼게 될 경우에는 오토바이를 안전한 곳에 일시 정차한 안전한 상태에서 투명한 안면보호창을 세척해야 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오토바이용 헬멧의 투명한 안면보호창에 모래 등 작은 물체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스크래치로 인해 전방 시야가 선명하지 못할 경우에도 그 스크래치 흔적을 제거하지 않으면 선명한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5-0008301호(1995. 07. 27.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041호(2009. 06. 2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토바이용 헬멧의 투명한 안면보호창 전면에 보호필름을 복수층 구조로 미리 부착해 놓은 수단으로, 상기 헬멧을 착용하고 오토바이 운행 중 투명한 안면보호창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부착되어 전방 시야가 좋지 않게 될 경우에는 상기 투명한 안면보호창의 전면에 미리 부착해 놓은 여러 장의 보호필름 중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보호필름부터 한장씩 떼어내는 방법으로 전방 시야의 선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오토바이 운행 중에도 상기 헬멧의 투명한 안면보호창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여러 장의 보호필름을 쉽게 한장씩 떼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토바이 운행 중에도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헬멧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상기 헬멧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안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한 안면보호창이 구성되는 오토바이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의 전면에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나 충돌로부터 상기 안면보호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점착되는 보호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안면보호창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단층진 필링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안면보호창의 전면에 여러 장이 겹쳐진 상태의 복수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 각각에는 보호필름을 한장씩 떼어낼 수 있도록 상기 보호필름 각각의 일측이나 양측 코너부분에 안면보호창의 전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외측을 향해 단층지게 구성되는 복수의 단층형 필링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 각각에는 보호필름을 한장씩 떼어낼ㄹ 수 있도록 상기 보호필름 각각의 일측이나 양측 코너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보호필름을 한장씩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태그형 필링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 각각의 좌,우측에 형성된 반칼절취선을 따라 좌,우 양측을 절취하여 보호필름의 좌,우 폭 크기를 축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 각각의 상단에는 안면보호창의 전면에서 단층진 상태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을 유치한 채 위치를 달리하여 안면보호창의 상부를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형 필링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면보호창에 복수층 구조로 형성되는 보호필름 중 안면보호창 전면에 점착되는 첫번째 보호필름에는 UV차단막 및 썬팅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바이용 헬멧을 착용하고 오토바이 운행 중 헬멧의 안면보호창에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또는 하루살이, 나방 등과 같은 날벌레의 충돌흔적에 의해 상기 안면보호창이 오염되어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때에는 상기 안면보호창의 전면에 복수층으로 점착되어 있는 복수의 보호필름들 중 가장 외측에 점착되어 있는 보호필름에서부터 한장씩 떼어내는 수단으로 상기 안면보호창에서 오염원을 제거하여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에 점착되어 있는 복수층의 보호필름은 상기 안면보호창이 모래 등의 물체와 접촉 내지 충돌하게 될 때에도 안면보호창을 보호하게 되므로 상기 안면보호창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오토바이용 헬멧의 사용수명을 길게 유지시켜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에 형성되는 제1 실시예의 보호필름 부착상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호필름을 안면보호창에 부착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보호필름을 안면보호창에 부착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보호필름을 안면보호창에서 한장씩 떼어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보호필름을 안면보호창에 부착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보호필름을 안면보호창에 부착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보호필름을 안면보호창에 부착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보호필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보호필름(1)은 오토바이용 헬멧(2)의 안면보호창(3)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안면보호창(3)은 좌,우 양측 각각에 형성된 힌지축(31)을 회전기점으로하여 상,하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안면보호창(3)의 개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필름(1)은 스마트폰 등의 액정화면을 보호하는 액정보호필름과 같이 점착제에 의해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어 상기 안면보호창(3)을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나 충돌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1)은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고 오토바이를 운행하는 도중 안면보호창(3)에 공중으로 부유하는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또는 공중에 날아다니는 하루살이, 나방 등과 같은 날벌레가 안면보호창(3)에 부딪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충돌흔적 등에 의해 상기 안면보호창(3)이 오염되어 전방 시야기 흐려질 경우 안면보호창(3)에 묻어있는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필름(1)은 오토바이용 헬멧(2)의 안면보호창(3) 전면에 점착되어 상기 안면보호창(3)이 전면에 부착되는 먼지, 이물질 및 날벌레의 충돌흔적 등의 오염원에 의해 전방 시야가 흐려지게 될 때 상기 안면보호창(3)에 부착되는 오염원을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떼어내는 방법으로, 상기 안면보호창(3)을 깨끗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오토바이용 헬멧(2)의 안면보호창(3) 전면에 한장만으로 점착되는 단층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1)이 안면보호창(3) 전면에 단층구조로 형성되는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보호필름(1)을 안면보호창(3)에서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측 중 어느 일측이나 또는 양측에 단층진 경사형 필링손잡이(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단층구조로 된 보호필름(1)의 일면 즉, 안면보호창(3)의 전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점착층(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호필름(1)을 안면보호창(1) 전면에 점착시키는 방법으로 고정 부착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단층구조로 된 보호필름(1)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층(5)은 상기 보호필름(1)의 좌,우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단층진 필링손잡이(4)를 이용하여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상기 보호필름(1)을 떼어낼 경우에는 점착층(5)도 보호필름(1)과 함께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이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때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성분이 남아있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도 4 내지 도 6의 도시와 같이 오토바이용 헬멧(2)의 안면보호창(3) 전면에 여러 장이 겹친 상태의 복수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안면보호창(3)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힌지조립공(32)을 노출시키기 위한 양측 절개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절개부(1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보호필름(1)의 좌,우 일측이나 양측 각각에는 단층형 필링손잡이(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좌,우 일측이나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단층형 필링손잡이(4a)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잠착되는 첫번째 보호필름(1a)에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두번째 보호필름(1b), 세번째 보호필름(1c), 네번째 보호필름(1d), 다섯번째 보호필름(1e), 여섯번째 보호필름(1f)의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근거하여 단층형 필링손잡이(4a)에 대하여 설명하면, 첫번째 보호필름(1a)의 단부는 안면보호창(3) 전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점착되어 있으며, 두번째 보호필름(1b)의 단부는 첫번째 보호필름(1a)의 두께만큼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이격되어 있고, 세번째 보호필름(1c)의 단부는 첫번째 및 두번째 보호필름(1a)(1b) 각각의 합한 두께만큼 안면보호창(3) 전면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네번째 보호필름(1d)의 단부는 첫번째에서부터 세번재 보호필름(1a)(1b)(1c) 각각을 합한 두께만큼 이격되어 있고, 여섯번째 보호필름(1f)은 첫번째에서부터 다섯번째 보호필름(1a∼1e) 각각을 합한 두께만큼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이격된 단층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1)을 한장씩 떼어내고자 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장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여섯번째 보호필름(1f)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층형 필링손잡이(4a)를 이용하여 여섯번째 보호필름(1a)부터 한장씩 차례대로 떼어낼 수 있으며, 또한 제2 실시예의 보호필름(1)을 형성하는 여러 장의 보호필름(1) 각각의 일면에도 점착층(5)이 형성되어 있되, 복수층 구조로 된 보호필름(1) 각각에 형성되는 점착층(5)은 각기 다른 점착 강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확대도에 도시와 같이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는 첫번째 보호필름(1a)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층(5a)의 점착 강도가 가장 강하며, 두번째 보호필름(1b)에 형성된 점착층(5b)의 점착강도가 두번째로 강하고, 세번째 보호필름(1c)에 형성된 점착층(5c)의 점착강도가 세번째로 강하며, 네번째 보호필름(1d)에 형성된 점착층(5d)의 점착강도가 네번째로 강하고, 다섯번째 보호필름(1e)에 형성된 점착층(5e)의 점착강도가 다섯번째로 강하며, 여섯번째 보호필름(1f)에 형성된 점착층(5f)의 점착강도가 제일 약하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여섯번째 보호필름(1f)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층형 필링손잡이(4a)를 잡고 떼어내게 되면 여섯번째 보호필름(1f)의 일면에 점착되어 있는 점착층(5f)가 다섯번째 보호필름(1e)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여섯번째 보호필름(1f)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안면보호창(3) 전면에 복수층 구조로 형성되는 보호필름(1)의 좌,우 일측이나 양측으로 돌출되는 태그형 필링손잡이(4b)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의 보호필름(1)에 형성되는 태그형 필링손잡이(4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접착되는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보호필름(1)의 좌,우 일측이나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태그형 필링손잡이(4b)들 각각은 안면보호창(3) 전면에 점착된 첫번째 보호필름(1a)에서 돌출되어 있는 태그형 필링손잡이(4b-1), 상기 안면보호창(3) 전면에 두번째로 점착된 두번째 보호필름(1b)에서 돌출된 태그형 필링손잡이(4b-2), 상기 안면보호창(3) 전면에 세번째로 점착된 세번째 보호필름(1c)에서 돌출된 태그형 필링손잡이(4b-3), 상기 안면보호창(3) 전면에 네번째로 점착된 네번째 보호필름(1d)에서 돌출된 태그형 필링손잡이(4b-4), 상기 안면보호창(3) 전면에 다섯번째로 돌출된 다섯번째 보호필름(1e)에서 돌출된 태그형 필링손잡이(4b-5) 각각은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채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태그형 필링손잡이(4b)를 형성하는 첫번째 태그형 필링손잡이(4b-1)에서부터 다섯번째 태그형 필링손잡이(4b-5)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을 띠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태그형 필링손잡이(4b-1)가 빨강색을 띠고 있다면, 두번째 태그형 필링손잡이(4b-b)는 주황색, 세번째 태그형 필링손잡이(4b-c)는 노랑색, 네번째 태그형 필링손잡이(4b-d)는 초록색, 다섯번째 태그형 필링손잡이(4b-e)는 파랑색 등을 띠고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는 운전자는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필름(1)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태그형 필링손잡이(4)의 색상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보호필름(1)이 몇번째이며, 남아있는 보호필름(1)의 개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면보호창(3)의 크기 즉, 좌,우 폭이 조금 작은 규격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복수층 구조로 점착되는 보호필름(1)의 좌,우 양측이 힌지조립공(32)을 침범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필름(1)의 좌,우 양측에 폭의 크기를 축소 조절이 가능하도록 반칼절취선(6a)(6b)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복수층 구조로 점착되는 여러 장의 보호필름(1) 각각에도 반칼절취선(6a)(6b)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안면보호창(3) 전면에 점착되는 복수층 구조의 보호필름(1)의 좌,우 폭이 클 경우에는 도 10의 도시와 같이 복수층의 보호필름(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반칼절취선(6a)(6b)을 따라 절취하게 되면, 도 11의 도시와 같이 안면보호창(3) 전면에 점착되는 복수층의 보호필름(1) 좌,우 폭을 축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좌,우측 폭을 축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각 보호필름(1)을 한장씩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돌출형 필링손잡이(4c)는 보호필름(1)의 상단에 돌출 형성하였으며, 상기 보호필름(1) 각각 형성되는 돌출형 필링손잡이(4c)들은 안면보호창(3)의 전면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즉,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된 첫번째 보호필름(1a)의 상단에 형성되는 첫번째 돌출형 필링손잡이(4c-1) 도면상 우측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첫번째 돌출형 필링손잡이(4c-1)을 기준하여 도면상 좌측부분을 향해 두번째 보호필름(1b)에 형성되는 두번째 돌출형 필링손잡이(4c-2), 세번째 보호필름(1c)에 형성되는 세번째 돌출형 필링손잡이(4c-3), 네번째 보호필름(1d)에 형성되는 네번째 돌출형 필링손잡이(4c-4)의 순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다섯번째 보호필름(1e)에 형성되는 다섯번째 돌출형 필링손잡이(4c-5)가 도면상 좌측부분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보호필름(1) 각각에 형성되는 단층형 필링손잡이(4a) 및 돌출형 필링손잡이(4c) 각각에는 서로 다른 색상을 띠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는 사람이 안면보호창(3)에 점착되어 있는 보호필름(1)의 필링손잡이(4a,4b,4c)의 색상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어 있는 보호필름(1)의 개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오토바용 헬멧(2)을 착용하는 오토바이 운전자들의 안면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는 첫번째 보호필름(1a)에는 UV차단막 및 썬팅막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는 복수층의 보호필름(1) 각각에는 발수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빨리 흘러내리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오토바이용 헬멧(2)의 안면보호창(3) 전면에 한장의 단층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단층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1)에는 UV차단막과 썬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고 운토바이를 운행하게 될 때 착용자의 안면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전 운행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어 있는 보호필름(1)에는 발수기능이 있으므로 우천시 빗물이 빠르게 흘러내리게 되므로 오토바이 운전시 전방을 주시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1)이 형성되어 있는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고 운행하는 도중에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먼지나 이물질 등이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공중에 날아다니는 날벌레 등이 상기 안면보호창(3) 전면에 부딪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특히 야간에는 하루살이, 나방 등의 날벌레가 오토바이 전조등 불빛으로 모여들게 되며, 이로 인해 오토바이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착용하고 있는 오토바이용 헬멧(2)의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날벌레가 충돌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안면보호창(3)에 충돌하는 날벌레의 충돌흔적이 안면보호창(3) 전면에 남게 되며, 이렇게 날벌레로 인한 충돌흔적은 쉽게 제거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우려고 문지르게 될 경우에는 그 충돌흔적이 더 커져 전방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필름(1)이 점착되어 있는 안면보호창(3)의 경우 오토바이 운행 중 날벌레 등의 충돌흔적이 전방 시야를 가리게 될 때에는 상기 안면보호창(3)에서 보호필름(1)을 떼어내게 되면 날벌레의 충돌흔적 등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오토바이용 헬멧(2)의 안면보호창(3) 전면에 복수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어 있는 첫번째 보호필름(1a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로 표기하여 설명함)에는 UV차단막 및 썬팅막 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고 있는 운전자의 안면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복수층으로 형성된 보호필름(1)은 외측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보호필름(1)에서부터 한장씩 떼어낼 수 있으므로, 오토바이 운행 도중에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보호필름(1)에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또는 하루살이, 나방 등 날벌레의 충돌흔적으로 인해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될 때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여섯번째 보호필름(1f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로 표기하여 설명함)의 일측이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단층형 필링손잡이(4a)를 이용하여 여섯번째 보호필름(1f)부터 떼어내게 되면 날벌레 등의 충돌흔적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어 있는 복수층의 보호필름(1) 각각에 현성되어 있는 단층형 필링손잡이(4a)를 이용하여 보호필름(1)을 한장씩 떼어내어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을 깨끗하게 유지하여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보호필름(1) 역시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복수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층 구조의 보호필름(1) 각각에는 태그형 필링손잡이(4b-1∼4b-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서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섯번째 보호필름(1e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로 표기하여 설명함)에 부착되는 날벌레 등의 충돌흔적으로 인해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될 때에는 다섯번째 보로필름(1e)에 형성되어 있는 태그형 필링손잡이(4b-5)를 이용하여 다섯번째 보호필름(1e)을 떼어내게 되면 안면보호창(3)의 전면이 깨끗해지게 되므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안면보호창(3)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층의 보호필름(1)이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부터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될 때에는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섯번째 보호필름(1f) 에서부터 한장씩 떼어내는 방법으로 안면보호창(3)의 전면을 깨끗하게 유지하여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의 보호필름(1)은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보호필름(1) 각각에 형성되는 태그형 필링손잡이(4b : 4b-1∼4b-e)들은 각기 다른 색상을 띠고 있으므로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는 사람은 안면보호창(3)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층의 보호필름(1)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태그형 필링손잡이(4b)의 색상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상기 안면보호창(3)에 몇장의 보호필름(1)이 점착되어 있는지 또는 몇장이 남아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보호필름(1)도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복수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제4 실시예의 보호필름(1)의 좌,우 폭의 크기가 안면보호창(3)에 비교하여 볼 때 조금 큰 규격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4 실시예의 보호필름(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반칼절취선(6a)(6b)을 따라 상기 보호필름(1)의 좌,우 양측을 절취(도 10 참조)하여 제거하는 방법으로 보호필름(1) 자체의 좌,우 폭을 축소 조절할 수 있다.(도 11 참조)
상기와 같이 좌,우 폭이 축소 조절된 보호필름(1) 역시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어 있는 첫번째 보호필름(1a)에 형성된 돌출형 필링손잡이(4c-1)에서부터 외측 표면에 노출되는 상태로 점착되어 있는 다섯번째 보호필름(1e)에 형성되는 다섯번째 돌출형 필링손잡이(4c-5) 각각은 안면보호창(3)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서로 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떨어져 있으므로 외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섯번째 보호필름(1e)에서부터 첫번째 보호필름(1a)까지 한장씩 구분하여 차례대로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2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층형 필링손잡이(4a)(4c) 각각은 각기 다른 색상을 띠고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는 착용자는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어 있는 복수층의 보호필름(1)에 형성된 필름손잡이(4a)(4c)의 색상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몇장의 보호필름(1)이 점착되어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실시예를 구성하는 복수층의 보호필름(1)들 중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는 첫번째 보호필름(1a)에는 UV차단막 및 썬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의 안면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필름(1)은 오토바이용 헬멧(2)의 안면보호창(3)을 보호하는 데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외 고글이나 보호안경, 액션캠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보호필름(1)의 좌,우 폭을 축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보호필름(1)의 상,하 폭도 축소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안면보호창(3) 전면에 부착되는 첫번째 보호필름(1)에는 UV차단막, 썬팅막 이외의 기타 기능이 추가된 코팅막을 추가할 수도 있고, 상기 태그형 필링손잡이(4b)에 형성되는 색상은 외부에서는 물론이고 내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필름(1)은 오토바이용 헬멧(2)을 착용하고 오토바이를 운행하는 도중에 안면보호창(3)에 이물질이나 날벌레의 충돌흔적 등으로 인해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될 때에는 상기 안면보호창(3)의 전면에 점착되어 있는 복수층의 보호필름(1)을 한장씩 떼어내는 방법으로 안면보호창(3)을 통해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토바이 운행 중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 : 보호필름 2 : 오토바이용 헬멧
3 : 안면보호창 4 : 경사형 필링손잡이
4a : 단층형 필링손잡이 4b : 태그형 필링손잡이
4c : 돌출형 필링손잡이 6a,6b : 반칼절취선

Claims (8)

  1. 헬멧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상기 헬멧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안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전방 시야를 선명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한 안면보호창이 구성되는 오토바이용 헬멧에 있어서,
    상기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의 전면에 외부 물체와의 접촉이나 충돌로부터 상기 안면보호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점착되는 보호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안면보호창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단층진 경사형 필링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안면보호창의 전면에 여러 장이 겹쳐진 상태의 복수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 각각에는 보호필름을 한장씩 떼어낼 수 있도록 상기 보호필름 각각의 일측이나 양측 코너부분에 안면보호창의 전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외측을 향해 단층지게 구성되는 복수의 단층형 필링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 각각에는 보호필름을 한장씩 떼어낼 수 있도록 상기 보호필름 각각의 일측이나 양측 코너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보호필름을 한장씩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태그형 필링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 각각의 좌,우측에 형성된 반칼절취선을 따라 좌,우 양측을 절취하여 보호필름의 좌,우 폭 크기를 축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층 구조로 형성된 보호필름 각각의 상단에는 안면보호창의 전면에서 단층진 상태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을 유치한 채 위치를 달리하여 안면보호창의 상부를 향해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형 필링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8.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보호창에 복수층 구조로 형성되는 보호필름 중 안면보호창 전면에 점착되는 첫번째 보호필름에는 UV차단막 및 썬팅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KR1020190124345A 2019-10-08 2019-10-08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KR10237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45A KR102377206B1 (ko) 2019-10-08 2019-10-08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345A KR102377206B1 (ko) 2019-10-08 2019-10-08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744A true KR20210041744A (ko) 2021-04-16
KR102377206B1 KR102377206B1 (ko) 2022-03-22

Family

ID=7574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345A KR102377206B1 (ko) 2019-10-08 2019-10-08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2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987A (ko) 2022-04-19 2023-10-26 바튜매 주식회사 헬멧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301A (ko) 1993-09-10 1995-04-17 베이코 코이뷰매키·피르코 쿠시스토 단위 적재식 용기에 용적형 물품을 포장하는 방법 및 용적형 물품용 단위 적재식 용기
JP2000192322A (ja) * 1998-12-24 2000-07-11 Teac Corp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部分の保護装置
JP2001264519A (ja) * 2000-03-21 2001-09-26 Shotaro Okada 反射光カットフィルム
KR200445041Y1 (ko) 2007-11-30 2009-06-24 주식회사금강코엔 오토바이 헬멧의 에어닥트
KR20140005520U (ko) * 2013-04-17 2014-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호 필름을 구비한 안전모
JP5692513B2 (ja) * 2010-12-22 2015-04-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JP3202173U (ja) * 2015-09-04 2016-01-21 宇鈞先端材料股▲フン▼有限公司U‐GIN Advanced Material Co., Ltd. 防曇性フィルム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2354B1 (fr) * 1995-12-15 1998-01-23 Oreal Emulsion e/h/e stable contenant un actif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sensible a l'eau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301A (ko) 1993-09-10 1995-04-17 베이코 코이뷰매키·피르코 쿠시스토 단위 적재식 용기에 용적형 물품을 포장하는 방법 및 용적형 물품용 단위 적재식 용기
JP2000192322A (ja) * 1998-12-24 2000-07-11 Teac Corp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部分の保護装置
JP2001264519A (ja) * 2000-03-21 2001-09-26 Shotaro Okada 反射光カットフィルム
KR200445041Y1 (ko) 2007-11-30 2009-06-24 주식회사금강코엔 오토바이 헬멧의 에어닥트
JP5692513B2 (ja) * 2010-12-22 2015-04-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KR20140005520U (ko) * 2013-04-17 2014-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호 필름을 구비한 안전모
JP3202173U (ja) * 2015-09-04 2016-01-21 宇鈞先端材料股▲フン▼有限公司U‐GIN Advanced Material Co., Ltd. 防曇性フィルム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206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6373A (en) Method of and means for shielding the lens of a face mask
US8974620B2 (en) Touch screen shield
US20170281414A1 (en) Adhesive mountable stack of removable layers
US20120180204A1 (en) Gradient tinted shield
US20030066118A1 (en) Tear-off optical stack having peripheral seal mount
US6006366A (en) Polarized lens for helmet face shield
US20040246386A1 (en) Screen protection kit having a sizing grid
US20190142639A1 (en) Attachment system for a lens to goggles
KR102377206B1 (ko) 오토바이용 헬멧의 안면보호창 보호필름
EP2617589A3 (en) Transparent laminated structure having peel-away film layers for use on aircraft windscreens
US6463590B1 (en)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of a universal visor cover
US20130014315A1 (en) Helmets and vehicles with photochromic material
US20120156655A1 (en) Polarized Instrument Flight Training System
US11723806B2 (en) Film roll, and a film advance system and protective goggles comprising such a film roll
US9644116B2 (en) Method and means for protecting a windshield from further damage before repair is possible
KR20140005520U (ko) 보호 필름을 구비한 안전모
CN211255802U (zh) 双顶层模切镜头保护膜
US20070050875A1 (en) Face shield for helmet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3127195U (ja) タッチパネル保護シート
WO2002018986A2 (en) Photochromic visors
US20070209749A1 (en) Method and means for protecting a windshield from further damage before repair is possible
FI77153B (fi) Skyddsanordning.
JP2010209492A (ja) ヘルメット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保護フィルム
WO2021004628A1 (en) A film roll, and a film advance system and protective goggles comprising such a film roll
US20020066742A1 (en) Motorcycle helmet antiglare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