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668A -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668A
KR20210041668A KR1020190123863A KR20190123863A KR20210041668A KR 20210041668 A KR20210041668 A KR 20210041668A KR 1020190123863 A KR1020190123863 A KR 1020190123863A KR 20190123863 A KR20190123863 A KR 20190123863A KR 20210041668 A KR20210041668 A KR 2021004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custom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954B1 (ko
Inventor
허옥남
박형용
유지선
이정훈
박수기
조한성
박철우
곽정
구자환
김준영
Original Assignee
농협은행(주)
(주)포밸류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협은행(주), (주)포밸류소프트 filed Critical 농협은행(주)
Priority to KR102019012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9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메시지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메시지 제공 장치는 메시지 제공 서버; 및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으면,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의 고객 정보를 검출하고, 고객 정보에 따라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단말기 각각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서비스가 시작된 이후로 통신사의 개인 간 메시징 서비스는 음성과 함께 핵심 서비스로 자리 잡게 되었다.
최근 들어 다양한 OTT(Over The Top) 메시지 출시 이후, 기존 통신사의 P2P(Person to Person) 메시징 시장의 대부분이 OTT 메시징 서비스에 잠식되었으나, 통신사는 SMS 기반의 기업형 메시지 시장에서 꾸준한 매출 신장을 이루고 있다.
기업형 메시지 서비스는 고객에게 전송하는 단방향 메시지로 기업에게 Application이나 API를 제공하며 다양한 기술과 통합되어 고부가가치의 메시지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OTT 사업자가 A2P(Application to Person) 메시지 시장에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진출하면서 통산의 A2P 메시지 시장도 물리적인 한계점에 이르게 되었다.
현재, 통신사와 단말 제조사가 참여한 GSMA(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에서는 IP 네트워크 기반의 RCS(Rich Communication Suite) 표준을 제정하여 서비스를 할 예정으로 OTT 사업자와 통신사, 단말제조자 간 치열한 시장 경쟁이 예상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15128호(2015.02.10)의 '금융거래내역의 통지·관리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기관에서 메시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기관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로만 메시지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말 입장에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경우에만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기관 입장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로만 메시지를 제공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즉, 단말에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경우에만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바, 메시지 제공 대상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특히, 기관에서 제공하는 메시지가 공익적 측면에서 제공되는 유익한 메시지일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 탑재 유무에 관계없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지 않지 단말에는 메시지가 제공되지 않게 되므로, 공익적 효과를 달성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게다가, 고객은 해당 메시지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인증 과정을 거쳐 탑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기관 등에서 특정 메시지를 제공하는 경우, 기관에서 제공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탑재 유무와 관련없이 다양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금융기관 서버가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기 각각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여 좀 더 폭넓은 고객에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시지 제공 장치는 메시지 제공 서버; 및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으면,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의 고객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고객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는 상기 금융기관과 별개의 기관에 설치되는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는 상기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면 고객 단말과 연계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에 전달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별로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고객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고객 정보를 통합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집하는 메시지 수집 서버;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수집되면, 상기 고객 정보를 검출하는 고객정보 수집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면 고객 단말과 연계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에 전달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메시지 수집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와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전달하고,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인증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가 호출되면, 상기 고객 인증 API에 따라 상기 OTP가 유효한지 여부에 따라 접근토큰을 생성하여 고객 단말에 전송한 후, 고객 단말로부터 메시지 API가 호출되면 상기 메시지 수집 서버에 의해 수집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고객 정보를 조회한 결과 고객 단말 하나에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가 탑재되어 있으면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횟수에 따라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시간에 따라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시간이 가장 최근에 실행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은 메시지 제공 서버가 금융기관 서버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에 대응되는 고객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고객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는 상기 금융기관과 별개의 기관에 설치되는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는 상기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고객 단말과 연계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하여 고객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객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와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전달하고,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인증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가 호출되면, 상기 고객 인증 API에 따라 상기 OTP가 유효한지 여부에 따라 접근토큰을 생성하여 고객 단말에 전송한 후, 고객 단말로부터 메시지 API가 호출되면 메시지를 조회하여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객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고객 정보를 조회한 결과 고객 단말 하나에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가 탑재되어 있으면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횟수에 따라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시간에 따라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시간이 가장 최근에 실행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은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금융기관 서버가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기 각각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은 특정 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애플리케이션 고객을 보유한 금융기관에서 해당 기관을 대신하여 해당 기관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좀 더 폭넓은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이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관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는 메시지 제공 서버(10), 금융기관 서버(20) 및 고객 단말(30)을 포함한다.
메시지 제공 서버(10)는 금융기관 서버(20)에 고객 단말(30)로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 메시지 제공 서버(10)에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외부기관 서버(12)나, 또는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서버(14)가 포함될 수 있다.
외부기관 서버(12)에는 국세청, 교육부 등과 같은 정부 기관이나 일반 기업 등의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외부기관 서버(12)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토대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융 서비스 서버(14)에는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카드, 보험, 입출금, 펀드 등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서버(14)는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금융기관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이들 금융 서비스 이용에 적합한 다양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고객 단말(30)에 제공한다.
고객은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금융 서비스에 따라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고객 단말(30)에 탑재하고, 손쉽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대적으로 많은 고객의 고객 단말(30)에 탑재되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고객 단말(30)에 이미 탑재되어 있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융기관이 아닌 외부 기관의 메시지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고객 단말(30)은 이미 탑재되어 있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금융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메시지뿐만 아니라, 외부기관으로부터의 메시지도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객은 자신의 고객 단말(30)을 통해 금융 서비스뿐만 아니라 외부 기관으로부터의 메시지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메시지 제공 서버(10)가 정부 기관에 설치된 외부기관 서버(12)일 경우 고객에게 유익한 공익적 측면의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그 결과 고객은 자신의 고객 단말(30)에 탑재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부 기관에서 제공하는 공익적 측면의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제공 서버(10)가 금융서비스 서버(14)일 경우 현재 고객이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 이외에도 다른 금융 서비스의 메시지도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고객은 자신의 고객 단말(30)을 통해 이용중인 금융 서비스 이외에도 좀 더 다양한 금융 서비스의 메시지도 전달받을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20)는 금융기관에 설치된다. 금융기관 서버(20)는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으면,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30)에 대응되는 고객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고객 정보에 따라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30)로 전송한다.
고객 정보는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고객 단말(30)에 탑재한 고객에 대한 정보이다. 고객 정보에는 고객 단말(30)에 탑재되어 있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고객 이름, 고객 단말(30) 정보, 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부(23), 운영서버(21) 및 메시지 전송 서버(22)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23)는 고객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23)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231)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부(232)를 포함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231)는 고객 정보를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별로 저장한다. 즉, 고객 데이터베이스부(231)는 각 고객의 고객 단말(30)에 탑재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 이들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30) 각각에 대응되는 고객 정보를 저장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231)에 저장된 고객 정보는 고객 단말(30)에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 및 삭제될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231)는 각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별로 마련된다.
통합 데이터베이스부(232)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231)에 저장된 각 애플리케이션별 고객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한다. 통합 데이터베이스부(232)에 저장된 고객 정보는 고객 단말(30)에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 및 삭제될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메시지 전송 서버(22)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30)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한다.
운영 서버(21)는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23)에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를 검출하여 메시지 전송 서버(22)에 전달하고, 메시지 전송 서버(22)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후 고객 단말(30)과 연계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하여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30)에 전달한다.
운영서버(21)는 메시지 수집 서버(211), 고객정보 수집 서버(213) 및 인증서버(212)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집 서버(211)는 메시지 제공 서버(1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메시지를 수집한다.
고객정보 수집 서버(213)는 메시지 수집 서버(211)에 의해 메시지가 수집되면 통합 데이터베이스부(232)에서 고객 정보를 수집한다.
인증서버(212)는 메시지 전송 서버(22)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면 고객 단말(30)과 연계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30)에 전달한다.
이 경우, 인증서버(212)는 메시지 수집 서버(211)로부터 메시지가 수집되면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와 메시지를 메시지 전송 서버(22)에 전달한다.
이때 메시지 전송 서버(22)는 이 OTP와 푸시 메시지를 고객 단말(30)에 전송한다. 고객 단말(30)은 메시지 전송 서버(22)로부터 OTP와 메시지를 전송받아 내부에 탑재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알림톡 애플리케이션 호출을 수행하고, 알림톡 애플리케이션은 전송받은 OTP를 인증서버(212)에 전달한다.
한편, 인증서버(212)는 고객 단말(30)로부터 전달받은 OTP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인증서버(212)는 OTP 만료시간을 체크하여 OTP 만료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접근토큰을 생성하여 고객 단말(30)에 응답한다.
고객 단말(30)의 알림톡 애플리케이션은 인증서버(212)로부터 전달받은 접근토큰이 포함된 메시지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인증서버(212)에 요청한다.
인증서버(212)는 접근토큰이 포함된 메시지 API를 전달받음에 따라 접근토크의 유효성과 만료기간을 확인한 후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 즉 메시지를 고객 단말(30)에 전달한다.
이 경우, 인증서버(212)는 고객 정보를 조회한 결과 고객 단말 하나에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가 탑재되어 있으면 이들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고,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인증서버(212)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횟수에 따라 선별할 수 있으며, 그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인증서버(212)는 실행 시간에 따라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선별할 수 있으며, 실행 시간이 가장 최근의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단말(30)은 해당 메시지를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고객은 자신의 고객 단말(30)에 탑재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 에는 메시지 조회 결과에 따라 고객 단말(30)에 나열되는 복수 개의 메시지 리스트가 도시된 메시지 표시 화면이 도시되었다.
도 4 에는 도 3 의 메시지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고객에 의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메시지에 대한 상세 메시지가 고객 단말(30)에 표시된 화면 예이다.
고객 단말(30)은 금융기관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표시한다. 고객 단말(3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과 알림톡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금융기관 서버(20)로부터 푸시 메시지가 전달되면 알림톡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
알림톡 애플리케이션은 고객 인증 API를 호출하여 인증서버(212)에 응답하고, 인증서버(212)의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서버(212)에 메시지 API를 호출한다. 알림톡 애플리케이션은 인증서버(212)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을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231)에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별로 고객정보가 저장(S10)되면, 고객정보 수집 서버(213)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231)에 저장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별 고객 정보를 통합 데이터베이스부(232)에 저장한다(S20).
이후, 메시지 제공 서버(10)가 고객 단말(30)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메시지 수집 서버(211)에 전송(S30)하면, 메시지 수집 서버(211)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부(232)에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고객 단말(30)에 탑재한 고객 정보를 조회한다(S40).
조회 결과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30)에 탑재한 고객 정보가 조회되면, 메시지 수집 서버(211)는 인증서버(212)에 메시지를 제공(S50)한다. 이 경우, 인증서버(212)는 OTP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와 메시지를 메시지 전송 서버(22)에 전달한다(S60).
이때 메시지 전송 서버(22)는 이 OTP와 푸시 메시지를 고객 단말(30)에 전송한다(S70).
고객 단말(30)은 메시지 전송 서버(22)로부터 OTP와 메시지를 전송받으며, 내부에 탑재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알림톡 애플리케이션 호출을 수행(S80)하고, 호출된 알림톡 애플리케이션은 고객 인증 API를 호출하여 전송받은 OTP를 인증서버(212)에 전달한다(S90).
고객 단말(30)로부터 OTP를 전달받음에 따라, 인증서버(212)는 고객 단말(30)로부터 전달받은 OTP를 기초로 고객 인증 API에 응답한다. 즉, 인증서버(212)는 OTP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 경우, OTP 만료시간을 체크하여 OTP 만료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접근토큰을 생성하여 고객 단말(30)에 응답한다(S100).
이에 따라, 고객 단말(30)의 알림톡 애플리케이션은 인증서버(212)로부터 전달받은 접근토큰이 포함된 메시지 API를 인증서버(212)에 요청한다(S110).
인증서버(212)는 접근토큰이 포함된 메시지 API를 전달받음에 따라 접근토크의 유효성과 만료기간을 확인한 후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조회(S120)하고 조회 결과, 즉 메시지를 고객 단말(30)에 전달한다(S130).
이 경우, 인증서버(212)는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실행 시간이 가장 최근의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단말(30)은 해당 메시지를 표시한다(S1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은 메시지 제공 서버(10)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면 금융기관 서버(20)가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기 각각으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은 특정 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애플리케이션 고객을 보유한 금융기관에서 해당 기관을 대신하여 해당 기관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좀 더 폭넓은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메시지 제공 서버 12: 외부기관 서버
14: 금융 서비스 서버 20: 금융기관 서버
21: 운영 서버 211: 메시지 수집 서버
212: 인증 서버 213: 고객정보 수집 서버
22: 메시지 전송 서버 23: 데이터베이스부
231: 고객 데이터베이스부 232: 통합 데이터베이스부
30: 고객 단말

Claims (22)

  1. 메시지 제공 서버; 및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 전송을 요청받으면,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의 고객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고객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금융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는
    상기 금융기관과 별개의 기관에 설치되는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는
    상기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면 고객 단말과 연계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에 전달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별로 저장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고객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고객 정보를 통합 저장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집하는 메시지 수집 서버;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수집되면, 상기 고객 정보를 검출하는 고객정보 수집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의해 푸시 메시지가 전송되면 고객 단말과 연계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에 전달하는 인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메시지 수집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와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전달하고,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인증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가 호출되면, 상기 고객 인증 API에 따라 상기 OTP가 유효한지 여부에 따라 접근토큰을 생성하여 고객 단말에 전송한 후, 고객 단말로부터 메시지 API가 호출되면 상기 메시지 수집 서버에 의해 수집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상기 고객 정보를 조회한 결과 고객 단말 하나에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가 탑재되어 있으면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횟수에 따라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시간에 따라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시간이 가장 최근에 실행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13. 메시지 제공 서버가 금융기관 서버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에 대응되는 고객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고객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는
    상기 금융기관과 별개의 기관에 설치되는 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는
    상기 금융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고객 단말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가 고객 단말과 연계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하여 고객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OTP(One Time Password)를 생성하고 생성된 OTP와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에 전달하고,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인증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가 호출되면, 상기 고객 인증 API에 따라 상기 OTP가 유효한지 여부에 따라 접근토큰을 생성하여 고객 단말에 전송한 후, 고객 단말로부터 메시지 API가 호출되면 메시지를 조회하여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를 고객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에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고객 정보를 조회한 결과 고객 단말 하나에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가 탑재되어 있으면 상기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횟수에 따라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시간에 따라 선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 시간이 가장 최근에 실행된 금융기관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190123863A 2019-10-07 2019-10-07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34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63A KR102340954B1 (ko) 2019-10-07 2019-10-07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63A KR102340954B1 (ko) 2019-10-07 2019-10-07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668A true KR20210041668A (ko) 2021-04-16
KR102340954B1 KR102340954B1 (ko) 2021-12-21

Family

ID=7574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63A KR102340954B1 (ko) 2019-10-07 2019-10-07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9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797A (ko) * 2012-04-23 2012-06-12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
KR20140064343A (ko) * 2012-11-20 2014-05-28 중소기업은행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합 공과금 내역 알람 발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4190A (ko) * 2014-07-28 2016-0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76911A (ko) * 2016-12-28 2018-07-06 (주)메디컬로직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 제3자의 의료정보 열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797A (ko) * 2012-04-23 2012-06-12 주식회사 신한은행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
KR20140064343A (ko) * 2012-11-20 2014-05-28 중소기업은행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합 공과금 내역 알람 발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4190A (ko) * 2014-07-28 2016-02-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인터넷 광고 서비스 시스템, 인터넷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76911A (ko) * 2016-12-28 2018-07-06 (주)메디컬로직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 제3자의 의료정보 열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954B1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4856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US8457613B2 (en) Automated mobile intelligent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US9369850B2 (en) Automated caller identifier from contact lists of a user's contacts
US8190705B2 (en) Communication capability coupons
US20130235987A1 (en) Automatic machine to machine distribution of subscriber contact information
US20090022301A1 (en) Mobile services
WO2017214212A1 (en) Dynamic outgoing message modification
CN111010527B (zh) 一种通过短信链接建立视频通话的方法及相关装置
CN110648216A (zh) 一种风控方法和装置
US201301022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call measurement
US20080016158A1 (en) Method for appending a signature to a size limited text message
CN112862374B (zh) 客服代表的推送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0683569B1 (ko)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KR102340954B1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774216B1 (ko) 가상 번호 기반의 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한 회원 정보 안내 시스템 및 회원 정보 안내 방법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CN113159533A (zh) 客服代表的推送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524024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방법
CN110647767A (zh) 数据查看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597808B1 (ko) 스팸 단문 메시지 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31309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서비스 제공방법
CN113766437B (zh) 一种短信发送方法和装置
WO20181915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sing a natural language communication from a user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 response
KR20110000822A (ko) 주소록 갱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40929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the language associated with outbound c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