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457A -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457A
KR20210041457A KR1020190124218A KR20190124218A KR20210041457A KR 20210041457 A KR20210041457 A KR 20210041457A KR 1020190124218 A KR1020190124218 A KR 1020190124218A KR 20190124218 A KR20190124218 A KR 20190124218A KR 20210041457 A KR20210041457 A KR 20210041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
node
token
transac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륜
강이철
강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2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457A/ko
Publication of KR2021004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2Billing, invoicing, buying or selling transactions or other related activities, e.g. cost or usage evalu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REC 거래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사업자에 매칭되는 노드로서 REC를 생성하고, 상기 REC에 연관된 REC 토큰을 발행하고, 퍼블릭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에 상기 REC 인증서 정보, 상기 REC 토큰 액면가 정보 및 상기 REC 토큰 거래내역을 기록하는 REC 생산자 노드, 상기 REC 생산자 노드에서 발행하여 판매한 REC 토큰과 연동된 REC를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와 거래하고, 상기 거래에 따른 REC 매각금액을 포함하는 REC 거래정보를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부터 상기 REC 토큰을 구매하고, 상기 REC 토큰 구매에 따른 거래내역 정보를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REC 토큰 보유자 노드, 및 상기 현물거래시장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에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로의 상기 REC 거래를 중개하고, 상기 REC 매각금액을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 제공하는 REC 거래소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는, 사전에 상기 REC 생산자 노드에서 선판매한 REC 토큰 액면가액과 상기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에서 상기 REC가 실제 판매된 금액 간의 차액을 선판매시 정한 수익배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배분하도록 상기 REC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상기 REC 생산자 노드는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상기 REC 거래소 노드에서의 REC 매매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REC 생산량과 REC 토큰 발행량을 미리 예측하는 빅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The trading system and method for renewable energy certificate(REC) through big data analysis based on public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은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사업자를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전력생산이전에 과거의 전력생산량데이터와 과거의 기상데이터, 과거의 전력거래 현물시장의 거래데이터의 통합분석을 통하여 인사이트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미래에 생산될 전력량에 기반한 REC 인증서 발행규모를 예측하고 미래에 판매할 REC 가격을 예측함과 동시에 예측된 미래에 생산될 REC 인증서와 연동하는 REC 토큰을 발행하여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장외 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를 제외한 제3자와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으며, 이후에 REC 인증서를 발급받아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가 전력거래 현물시장에서 REC를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에게 판매한 금액을 REC 토큰구매자와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가 이익을 나눌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분산처리기술을 의미한다. 거래 정보가 담긴 원장(原帳)을 거래 주체나 특정 기관에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나누어 가지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분산원장기술(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또는 '공공거래장부'라고도 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Block)을 사슬처럼 연결(chain)한 것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의 위변조와 같은 해킹을 막기 위한 기술이며,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는 방식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은 금융기관에서 모든 거래를 담보하고 관리하는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 P2P(Peer to Peer;개인 대 개인) 거래를 지향하는, 탈(脫)중앙화를 핵심 개념으로 한다. P2P란 서버나 클라이언트 없이 개인 컴퓨터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말하며, 연결된 각각의 컴퓨터가 서버이자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는 금융회사들이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해 온 반면,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정보를 블록에 담아 차례대로 연결하고 이를 모든 참여자가 공유한다.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는 전자화폐 또는 암호화폐라고도 하며, 지폐나 동전 등의 실물이 없고 온라인에서 거래되는 화폐를 말한다. 가상화폐는 각국 정부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일반 화폐와 달리 처음 고안한 사람이 정한 규칙에 따라 가치가 매겨진다. 또한, 탈중앙화 특징에 의해 정부나 중앙은행에서 거래 내역을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정부 등 특정 기관이 가치나 지급을 보장하지 않는다.
한편, 종래의 REC 거래와 관련하여, REC 판매자용 컴퓨터와 REC 구매자용 컴퓨터 간의 REC 거래를 중개하고 거래 정보를 수집, 저장하는 중앙 서버간 통신을 통해 REC 현물시장이 운영되는 방식으로 REC가 거래되었다.
그러나, 현행 제도상 기존에는 온라인상에 연결된 중앙서버의 중개를 통하여 REC 인증서를 전력거래시장이 개최되는 날에만 거래할 수 있고, 그 외의 날짜에는 판매할 수 없는 방식이다. 또한 REC를 구매하는 주체도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만 구입할 수 있어, REC 판매자인 태양광 발전사업자가 필요한 시점에 판매하여 손쉽게 자금 유동화를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중앙서버와 REC 매매용 컴퓨터 단말들이 장애가 발생할 경우 거래가 이루어질 수 없는 여러가지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최근에는 규모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생산되는 빅데이터(Big Data) 환경이 도래하고 있다. 빅데이터란 과거 아날로그 환경에서 생성되던 데이터에 비해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주기가 짧으며,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말한다.
이처럼 다양하고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는 미래 경쟁력의 우위를 좌우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주목 받고 있다. 대규모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시도는 예전에도 존재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빅데이터 환경은 과거와 비교해 데이터의 양은 물론 질과 다양성 측면에서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진 만큼 데이터 분석의 필요성과 그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한국 등록특허 10-1976401 (공고일자 2019년 5월 9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태양광 발전사업자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전력거래 현물시장에서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에게 판매하기 전에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장외 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를 제외한 제3자와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REC 거래 시스템에 포함되는 REC 토큰 발행 주체는 REC 발급 이전에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REC 발급량(발전량)을 예측하여 REC 토큰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과거에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전력거래시장에서의 매매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REC 토큰을 선 발행하여 거래를 함으로써 사업자가 자본을 더욱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에 REC를 전력거래소 개최일(화/목요일)에만 거래가 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REC 생산자(태양광 발전사업자 등)가 원하는 시기에 제3자와의 거래를 통해 자금 유동화를 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사업자에 매칭되는 노드로서 REC를 생성하고, 상기 REC에 연관된 REC 토큰을 발행하고, 퍼블릭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에 상기 REC 인증서 정보, 상기 REC 토큰 액면가 정보 및 상기 REC 토큰 거래내역을 기록하는 REC 생산자 노드, 상기 REC 생산자 노드에서 발행하여 판매한 REC 토큰과 연동된 REC를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와 거래하고, 상기 거래에 따른 REC 매각금액을 포함하는 REC 거래정보를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부터 상기 REC 토큰을 구매하고, 상기 REC 토큰 구매에 따른 거래내역 정보를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REC 토큰 보유자 노드, 및 상기 현물거래시장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에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로의 상기 REC 거래를 중개하고, 상기 REC 매각금액을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 제공하는 REC 거래소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는, 사전에 상기 REC 생산자 노드에서 선판매한 REC 토큰 액면가액과 상기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에서 상기 REC가 실제 판매된 금액 간의 차액을 선판매시 정한 수익배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배분하도록 상기 REC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상기 REC 생산자 노드는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상기 REC 거래소 노드에서의 REC 매매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REC 생산량과 REC 토큰 발행량을 미리 예측하는 빅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는, 상기 REC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부터 REC 매각금액을 제공받고,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에 대해 미리 정해진 계약조건에 따라 REC 토큰을 매입하여 수익을 배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REC 토큰 보유자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REC 토큰 보유자 노드 각각은 상호간에 REC 토큰을 거래하고, REC 토큰 거래내역을 상기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REC 거래소 노드는,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 제공한 현물금액 정보를 상기 블록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방법은, REC 생산자 노드에서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전력거래시장에서의 매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REC 생산량을 미리 예측하는 단계, 상기 REC 생산자 노드,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REC 토큰 보유자 노드를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REC 생산자 노드가 REC 토큰 액면가 정보, REC 생산 예측량 정보,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와의 계약정보 및 수익금 배분정보를 포함하는 REC 토큰 발행정보를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REC 생산자 노드,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에 대해 REC 매각에 따른 수익배분 조건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REC가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을 통해 매각된 후, 상기 REC 생산자 노드,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 사이에서 REC 판매대금을 자동 정산하는 단계, 상기 REC 생산자 노드에서 선판매한 금액과 상기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에서 상기 REC가 실제 판매된 금액 간의 차액을 선판매시 정한 수익배분 조건에 따라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와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 사이에 배분하는 단계, 및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에 포함되는 상기 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REC 생산자(태양광 발전사업자 등)가 전력거래 현물시장이 아닌 장외 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를 제외한 제3자와 REC를 원하는 시기에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REC 생산자는 다양한 투자자에게 REC 토큰 발행을 통하여 REC를 선 할인 판매하여 자금을 유동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EC 생산자가 REC 발급 이전에 REC 토큰을 발행하여 제3자와 거래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다. 즉,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전력거래시장에서의 매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력생산량을 미리 예측하여 REC 생산량을 미리 파악하여 이와 연동된 REC 토큰을 발행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므로 누구나 노드에 참여할 수 있고, REC 거래 내역에 대해 위변조가 불가능하므로 정보의 무결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EC 생산자(태양광 발전사업자 등)는 REC를 소수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에게 현물거래시장(KPX, 전력거래소)을 통해서만 판매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소수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가 실질적인 가격결정권을 가지게 되는 불합리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과거의 발전량 데이터와 기상데이터, 과거의 전력거래 현물시장의 거래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통합분석을 통하여 미래에 생산될 전력량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REC 토큰 발행이 가능해져서 자금 유동화가 가능하여 초기 투자비를 조기 환수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REC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REC 거래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는 공급인증서라고 하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의 의무공급자가 자신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제출해야 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증명하는 인증서로서 1MW 발전에 1REC를 발급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와 제도(RPS)란, 일정규모(설비용량 500MW) 이상의 발전사업자(공급의무자)에게 총 발전량 중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를 의미하며, 공급의무비율이란 공급의무자가 자신의 총 발전량 대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비율을 의미한다. 현재 연도별 공급의무비율은 6%이며, 2020년에는 7%, 2021년에는 8%, 2022년에는 9%, 2023년 이후에는 10%로 예정되어 있다. 당해 의무공급량은 전년도 1~12월까지 총 전력생산량 대비 공급의무비율로 결정된다.
신재생에너지 공급방법으로서 공급의무자가 공급의무량을 채우는 방법으로는 ①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직접 건설하여 자체 조달하는 방법과 ② 인증서 거래시장을 통하여 공급인증서를 구매하는 외부 조달 방법이 존재한다. 공급의무자가 공급인증서를 외부 조달할 수도 있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사업자가 공급인증서(REC)를 발급받아 공급의무자에게 판매함으로써 전력판매 수익 외에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매년 2월까지 당해 의무공급량에 해당하는 공급인증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미이행시 공급인증서 평균가의 150%이내에서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고, 공급의무자는 의무공급량의 20% 이내에서 의무공급량을 이월할 수 있어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태양광 발전사업자의 REC 판매대금 관련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따라 에너지관리공단에서 발급하는 인증서로 태양광 발전사업자는 REC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의무 할당제(RPS) 의무사업자에게 판매하여 수익을 발생시키고, 연매출액은 설치용량(kW)×가중치×연간 발전시간(h)×REC단가로 결정될 수 있으며, REC단가는 현물시장인 전력거래소에서의 양방향거래 시장에서 결정된다.
REC 발급 및 판매와 관련하여, ① REC 발급은 한국전력공사 또는 전력거래소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RPS 종합관리 시스템에서 발전사업자가 확인 가능하고, 전력공급일이 속한 달의 말일부터 90일 이내에 RPS 종합관리시스템에서 발급 신청이 가능하다. ② REC 판매는 발급된 REC(현물)를 거래하는 방식으로 전력거래소에서 운영하는 양방향 시장(매수자와 매도자가 실시간으로 입찰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에서 거래 가능하다. 거래일 및 거래시간은 매주 화/목 10 ~ 16시로 정해져 있다.
본 발명은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거래하고, 그 거래내역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여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태양광 발전사업자(REC 생산자) 노드 및 REC 토큰 보유자 노드 사이에서 공유하여 거래내역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REC 거래를 위해서는 중앙서버의 중개를 통해 전력거래시장이 개최되는 날에만 거래할 수 있고, REC 구매 주체도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로 제한되어 REC 생산자인 태양광 발전사업자가 필요한 시점에 REC를 판매하여 손쉽게 자금유동화를 시키기에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에 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노드에서 발생한 거래 내역(트랜잭션 정보)에 대해 일정 시간대 별로 작성한 거래 내역을 비교한 후 블록 생성에 사용하게 될 거래 내역을 결정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분산 시스템에 참여한 노드들은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같은 거래 내역을 가지게 되고 이를 통해 해당 시스템을 신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노드들(110-170)로 이루어진 분산형 네트워크(distributed network) 시스템이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노드들(110-170)은 컴퓨터, 이동 단말기, 전용 전자 장치 등 연산 능력이 있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형 네트워크(100)는 블록체인이라 불리는 블록(block)의 연결 묶음 내에 모든 참여 노드에 공통으로 알려진 정보를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노드들(110-170)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며 블록체인을 저장, 관리 및 전파를 담당하는 완전 노드(full node)와 단순하게 트랜잭션에만 참여할 수 있는 간이 노드(light node)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다른 설명 없이 노드에 대하여 언급되는 경우, 이는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완전 노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록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각 블록들은 일정 기간 내의 거래 내역, 즉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들은 각각 역할에 따라 블록체인을 생성, 저장 또는 검증함으로써 트랜잭션들을 관리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트랜잭션은 다양한 형태의 거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가상화폐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금융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물건의 소유 상태 및 그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실물 거래에 해당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잭션은 정보의 기록, 저장 및 이송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 공유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100)에서 거래를 수행하는 노드들은 각각의 암호학적 연관관계가 있는 개인키(private key) 및 공개키(public key) 쌍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블록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200)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210, 220, 230)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일종이다. 상기 블록체인(200)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200)에 연결한다. 도 2에는 제한된 수의 블록들(210, 220, 230)이 도시되어 있으나 블록체인에 포함될 수 있는 블록의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블록체인(200)에 포함된 각 블록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헤더(211)는 각 블록들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전 블록(220)의 해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200)이 유효한지 검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연결 관계가 사용된다. 상기 블록 바디(213)는 상기 블록(210)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트랜잭션 리스트 또는 트랜잭션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록 헤더(211)는 이전 블록의 해시(2112), 현재 블록의 해시(2113), 넌스(Nonce)(2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헤더(211)는 블록 내의 트랜잭션 리스트의 헤더를 나타내는 루트(2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체인(200)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상기 블록 헤더(211) 내의 해시 값에 기초하여 연결된다. 상기 블록 헤더(211)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2112)은 직전 블록(220)에 대한 해시 값으로서 직전 블록(220)에 포함된 현재 해시(2213)와 동일한 값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은 각 블록 헤더 내의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의하여 연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들에 포함된 이전 블록의 해시 값에 기반하여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므로 악의적인 단일 노드가 이미 생성된 블록의 내용을 위조 또는 변조하는 행위가 불가능하다.
상기 블록 바디(213)는 트랜잭션 리스트(2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의 목록이다. 예를 들면,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금융 거래에 대한 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리스트(2131)는 트리(tree)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전송한 금액을 목록 형태로 기록하며, 블록 내의 저장 길이는 현재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의 수에 기초하여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210)은 블록 헤더(211)와 블록 바디(213)에 포함된 정보 이외의 기타 정보(211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산형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은 동일한 블록체인을 가지며, 블록에는 동일한 트랜잭션이 저장된다. 트랜잭션 목록이 포함된 블록이 네트워크에 공유되므로 모든 참여자가 검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REC 거래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REC 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REC 거래 시스템(300)은, REC 생산자 노드(310),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 REC 거래소 노드(340)를 포함하여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REC 거래 시스템(300)은 REC 토큰 발행 주체인 REC 생산자 노드(310)에서 REC 생산량을 미리 예측하되, 빅데이터 분석 모듈(311)을 통해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예를 들어, 3년치 1일 발전량과 연계한 기상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REC 거래소 노드(340)에서의 REC 매매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REC 생산량을 미리 예측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란, 제한 없이 누구든지 참여가 가능한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공공 블록체인 또는 개방형 블록체인에 해당한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다수의 노드(node)로 구성되며, 노드는 네트워크에 참여한 개별 컴퓨팅 장치를 의미한다. 각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해 저장하고, 해시 연산을 통해 새로운 블록의 생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언제든지 자신의 컴퓨팅 장치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접속을 차단할 수 있어 탈퇴도 자유롭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여와 탈퇴가 전적으로 해당 노드 참여자의 의사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이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여자들은 컴퓨터 사용에 따른 전기료 등 운영비용을 감당할 수 있도록 암호화폐를 발행해 보상하고 있다. 노드 참여자들은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발행되는 암호화폐를 지급받아 운영비용을 충당할 수 있다. 지급받은 암호화폐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판매해 참여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따로 떨어져 독립할 수 없는 개념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만약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암호화폐를 지급하지 않는다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경제적 보상이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게 되며,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붕괴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노드들이 연결되어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각 노드들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로, REC 생산자 노드(310)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에 매칭되는 노드로서,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발전사업자에 매칭되는 노드를 예시한다. REC 생산자 노드(310)는 REC 토큰을 발행하고,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REC 현물거래시장 외에 다양한 투자자 노드(예를 들어,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로 REC 토큰을 판매하여 자금을 유동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REC 생산자 노드(310)는 블록(block) 상에 REC 인증서 정보(소유주, 발행날짜 등), REC 토큰 액면가, REC 토큰 거래내역, 선 발행한 REC 토큰의 양, 회수된 코인의 양이 기록된다.
기존에는 REC를 REC 현물거래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에게만 판매가 가능하고, 제3자에게는 판매가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REC 생산자가 퍼블릭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REC 현물거래시장 외에 다양한 투자자에게 REC 생산량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예측하여 미래에 생산될 전력량에 기반한 REC 토큰 발행을 통하여 REC 발행 전에 전력거래 현물시장의 거래할 예상가격에 비해 선할인판매하여 자금을 유동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REC 생산자 노드(310)는 빅데이터 분석 모듈(311)을 포함하며, 빅데이터 분석 모듈(311)을 통해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REC 거래소 노드(340)에서의 REC 매매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연간 REC 생산량을 미리 예측한다.
예측되는 연간 REC 생산량을 기초로, REC 생산자 노드(310)는 REC에 연관된 REC 토큰을 발행하여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로 REC 토큰을 판매할 수 있다. REC 토큰 거래내역이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에 기록됨으로써 차후 REC 토큰 발행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다.
둘째로,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는 REC 생산자 노드(310)에서 REC 토큰을 판매한 이후에 REC 토큰과 연동된 REC를 현물거래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에게 실제로 판매하는 것을 중개한다. 이때,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는 블록 상에 REC 매각금액을 포함하는 REC 거래정보를 기록하며, REC 현물거래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에게 실제로 REC가 매각되면,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에서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로 REC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알고리즘이 실행된다.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은 사전에 REC 생산자가 선판매한 금액(REC 토큰 액면가액)과 현물거래시장에서 REC가 실제 판매된 금액 간의 차액을 선판매시 정한 수익배분 조건이 자동으로 강제실행되어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와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간에 공정하게 배분되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거래 기법이다.
셋째로,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는 REC 토큰을 REC 생산자 노드(310)로부터 구매하며, REC 생산자 노드(310)에 의해 블록에는 REC 인증서 정보(소유주, 발행날짜 등), REC 토큰 액면가, REC 토큰 거래내역이 기록된다. 이러한 거래 기법에 따르면 퍼블릭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 소유정보, 거래정보가 위변조 되지 않아, 대규모 투자가 들어가는 이중화된 중앙서버에 거래정보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REC 토큰을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REC 토큰을 실제 화폐로 바꿔 이익금을 지급하는 조건을 토큰내에 사전에 설정하여 REC가 매각되면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와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간에 그 이익금을 사전에 약속된 계약조건에 따라 강제적으로 배분하여 금융계좌간에 자동이체 되어, 퍼블릭 블록체인에 참여한 모든 참여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거래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REC 인증서 생산량 예측데이터와 연동된 REC 토큰을 발행한 REC 생산자 노드(310)가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로 토큰을 판매하는 유통 거래정보를 퍼블릭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고, 이후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가 실제 REC를 매각한 뒤에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로 토큰발행 액면가액을 지급하고, 추가로 매각대금과 REC 토큰 액면가의 차액을 사전에 정해진 조건에 따라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와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 사이에 강제배분하여 지정된 각자의 계좌로 자동이체하는 방식의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이 실행된다.
넷째로, REC 거래소 노드(340)는 REC 현물거래시장과 연동되어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에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로의 REC 토큰과 연동된 REC 거래를 중개하게 되고, REC 매각금액을 REC 생산자 노드(310)로 제공한다. REC 생산자 노드(310)는 REC 매각금액을 정산하여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로 제공하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에서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로 REC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이 실행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REC 생산자가 선판매한 금액(REC 토큰 액면가액)과 현물거래시장에서 REC가 실제 판매된 금액 간의 차액을 선판매시 정한 수익배분 조건이 자동으로 강제실행되어 REC 토큰 보유자 노드(330)와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320)간에 공정하게 배분된다.
REC 거래소 노드(340)는 블록 상에 REC 매각금액을 포함하는 REC 거래정보를 기록하며, REC 생산자 노드(310)로 제공된 현물금액 정보도 블록에 기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REC 거래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REC 거래 방법은, 우선, REC 생산자(태양광 발전사업자 등)들은 컴퓨터 노드를 설치하고,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전력거래시장에서의 매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REC 생산량을 미리 예측한다(S110).
그리고, 다른 REC 생산자 노드들과 REC 토큰 구매를 원하는 컴퓨터 노드들,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의 컴퓨터 노드들 간에 인터넷통신망을 통하여 연결하여,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S120).
그리고, REC 생산자들은 자신이 보유한 REC의 최저판매 예상액인 액면가, REC 생산량 예측정보,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와의 계약정보 및 수익금 배분정보들을 기록한 블록을 생성한다(S130).
그리고, REC 생산자의 컴퓨터 노드에서는 REC 거래 이전에 예상되는 REC 판매액을 기준으로 할인된 가격으로 액면가를 설정한 후 REC가 실제 매각될 경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와의 수익배분 조건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을 세팅하고 REC와 연동된 REC 토큰을 발행한다(S140). REC 생산자는 REC 토큰 발행시에는 REC 토큰 액면가를 설정하고, 투자자들에게 REC 판매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의 컴퓨터 노드 설정을 통해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REC 토큰을 유통시킨다.
발행된 REC 토큰은 투자자에게 판매되고, 실제 REC가 현물거래시장에서 매각된 후 REC 매각대금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실행되면 REC 생산자 노드, REC 토큰 보유자 노드 및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사이에서 REC 판매대금을 자동 정산하고, 사전에 REC 생산자가 선판매한 금액(REC 토큰 액면가액)과 현물거래시장에서 REC가 실제 판매된 금액 간의 차액을 선판매시 정한 수익배분 조건에 따라 REC 토큰 보유자 노드와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간에 공정하게 배분한다(S150).
REC 토큰 유통은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중앙서버 없이 개인간 REC 토큰이 거래될 수 있도록 REC 토큰의 거래정보를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들과 공유하고, 위변조가 되지 않도록 해당정보들을 모아서 블록으로 쌓고 체인으로 연결한다(S160).
본 발명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은,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가 실제 REC를 기존의 현물거래시장에서 판매하면, REC 판매정보와 REC 토큰 발행정보를 바탕으로 REC 토큰 발행시 액면가격과 REC의 실제 판매가격 간의 차액을 토큰 발생시 이익금 배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와 REC 토큰 보유자간 강제 배분이 되도록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태양광 발전사업자(REC생산자)는 REC를 실제 매각하기 전이라도 REC를 연동한 토큰을 발행하여 현물거래시장 개최일과 관계없이 REC 토큰을 판매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REC 생산 예측량(미래 REC 인증서)과 REC 토큰 발행량은 과거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전력거래시장에서의 매매 데이터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리 예측하고 예상되는 수량만큼 발행/발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컴퓨팅 장치(1000)는 프로세서(1100)와 메모리(120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및 그래픽 처리부 및/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REC 거래 시스템의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노드에서 발생되는 REC 거래에 관한 정보들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블록에 기록하고, 상기 블록에 기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해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프로세서(1100)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및 롬(ROM: Read-Only Memory)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0)에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시스템의 동작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산형 네트워크
110~170: 노드들
200: 블록체인
210, 220, 230: 블록
300: REC 거래 시스템
310: REC 생산자 노드
311: 빅데이터 분석 모듈
320: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330: REC 토큰 보유자 노드
340: REC 거래소 노드

Claims (5)

  1. 태양광 발전사업자에 매칭되는 노드로서 REC를 생성하고, 상기 REC에 연관된 REC 토큰을 발행하고, 퍼블릭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에 상기 REC 인증서 정보, 상기 REC 토큰 액면가 정보 및 상기 REC 토큰 거래내역을 기록하는 REC 생산자 노드;
    상기 REC 생산자 노드에서 발행하여 판매한 REC 토큰과 연동된 REC를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와 거래하고, 상기 거래에 따른 REC 매각금액을 포함하는 REC 거래정보를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부터 상기 REC 토큰을 구매하고, 상기 REC 토큰 구매에 따른 거래내역 정보를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REC 토큰 보유자 노드; 및
    상기 현물거래시장 시스템과 연동되어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에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자로의 상기 REC 거래를 중개하고, 상기 REC 매각금액을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 제공하는 REC 거래소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는, 사전에 상기 REC 생산자 노드에서 선판매한 REC 토큰 액면가액과 상기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에서 상기 REC가 실제 판매된 금액 간의 차액을 선판매시 정한 수익배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배분하도록 상기 REC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상기 REC 생산자 노드는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상기 REC 거래소 노드에서의 REC 매매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REC 생산량과 REC 토큰 발행량을 미리 예측하는 빅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는,
    상기 REC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부터 REC 매각금액을 제공받고,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에 대해 미리 정해진 계약조건에 따라 REC 토큰을 매입하여 수익을 배분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복수의 REC 토큰 보유자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REC 토큰 보유자 노드 각각은 상호간에 REC 토큰을 거래하고, REC 토큰 거래내역을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EC 거래소 노드는, 상기 REC 생산자 노드로 제공한 현물금액 정보를 상기 블록에 기록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5. REC 생산자 노드에서 과거의 발전량 기록데이터,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예측데이터 및 전력거래시장에서의 매매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REC 생산량을 미리 예측하는 단계;
    상기 REC 생산자 노드,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REC 토큰 보유자 노드를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REC 생산자 노드가 REC 토큰 액면가 정보, REC 생산 예측량 정보,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와의 계약정보 및 수익금 배분정보를 포함하는 REC 토큰 발행정보를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REC 생산자 노드,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에 대해 REC 매각에 따른 수익배분 조건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스마트 컨트랙트 알고리즘을 세팅하는 단계;
    상기 REC가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을 통해 매각된 후, 상기 REC 생산자 노드,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 및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 사이에서 REC 판매대금을 자동 정산하는 단계;
    상기 REC 생산자 노드에서 선판매한 금액과 상기 현물거래시장 시스템에서 상기 REC가 실제 판매된 금액 간의 차액을 선판매시 정한 수익배분 조건에 따라 상기 소규모전력 중개사업자 노드와 상기 REC 토큰 보유자 노드 사이에 배분하는 단계; 및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에 포함되는 상기 블록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방법.
KR1020190124218A 2019-10-07 2019-10-07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1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218A KR20210041457A (ko) 2019-10-07 2019-10-07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218A KR20210041457A (ko) 2019-10-07 2019-10-07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457A true KR20210041457A (ko) 2021-04-15

Family

ID=7544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218A KR20210041457A (ko) 2019-10-07 2019-10-07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4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4788B1 (en) * 2019-11-01 2023-01-03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ization, management, trading, settlement, and retirement of renewable energy attribut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01B1 (ko) 2017-08-17 2019-05-09 한국전력공사 블록체인 기반 전력 거래 운영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01B1 (ko) 2017-08-17 2019-05-09 한국전력공사 블록체인 기반 전력 거래 운영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4788B1 (en) * 2019-11-01 2023-01-03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ization, management, trading, settlement, and retirement of renewable energy attribu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27023A (zh) 根据资产标记化的当事人之间的资产交易系统及方法
JP2018518745A (ja) デジタル暗号化された証券プラットフォーム、ならびに、そ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Brühl Virtual currencies, distributed ledgers and the future of financial services
CN109784886B (zh) 可监管的限制流通的双账户模型
KR20210041456A (ko)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7074327B2 (ja) 電子通貨管理システム
Martino et al. An introduction to blockchain, cryptocurrency and initial coin offerings
US202103746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etizing assets
US202201887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electronic token ecosystems
WO2019018713A1 (en) LOAN SYSTEMS AND METHODS BETWEEN INDIVIDUALS BASED ON DISTRIBUTED REGISTER
KR102119963B1 (ko)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한 부동산 거래 및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Lu et al. Smart contract for distributed energy trading in virtual power plants based on blockchain
Dark et al. Cryptocurrency: Ten years on
EP4121922A1 (en) Securitization of assets utilizing distributed ledgers & smart meters
KR20190099545A (ko) 국가별 화폐 단위를 가상적인 픽셀을 조합하여 만들어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 해당 플랫폼 및 프로그램 및 서비스
Guggenberger et al. Insured? Good! Designing a blockchain-based credit default insurance system for DeFi lending protocols
KR20210041457A (ko)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거래 시스템 및 방법
ALJAED The Impacts of Bitcoin on the Financial Market
Sandner et al. The Programmable Euro: Review and Outlook
Dark et al. Cryptocurrency: Ten Years On| Bulletin–June 2019
KR20220066786A (ko) 실물자산 투자방법
Varnavskiy et al. Development of crowd investing on the basis of ICO crypto assets using block-options for the supply of electric generation capacity
Nikiforova et al.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sphere of payments and financial services
Ankenbrand A STRUCTURE FOR EVALUATING THE POTENTIAL OF BLOCKCHAIN USE CASES IN FINANCE.
Ergun et al. Distributed atomic swap on cryptocurren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