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427A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427A
KR20210041427A KR1020190124144A KR20190124144A KR20210041427A KR 20210041427 A KR20210041427 A KR 20210041427A KR 1020190124144 A KR1020190124144 A KR 1020190124144A KR 20190124144 A KR20190124144 A KR 20190124144A KR 20210041427 A KR20210041427 A KR 20210041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subject
data
compet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3385B1 (en
Inventor
김영후
김수경
안기홍
김성은
백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서티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서티,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서티
Priority to KR102019012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385B1/en
Publication of KR2021004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4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6Creation of semantic tools, e.g. ontology or thesauri
    • G06F16/367Ont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ces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comprises: a communication circuit which can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 memory; and a processor. The process is configured to: collect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configure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 job, a task, and a subject based on the NCS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calculate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job o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task based on the ontology model, the NCS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and match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subject and the task associated with a numerical value or more specified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cess management device can guide a user to check required task competency based on machine learning.

Description

온톨로지와 딥 러닝에 기반한 사회 맞춤형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진로 탐색 또는 교육 과정 관리를 위한 머신 러닝 기술과 관련된다.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machine learning technology for career search or training course management.

최근, 교육은 단순한 지식을 전달하는데 국한되지 않고, 기업 또는 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교육 기관 또는 교수들은 기업 또는 산업이 원하는 인재상을 분석하고 그에 부합하는 교육을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education is not limited to delivering simple knowledge, but aims to cultivate talents that companies or society want. Accordingly, educational institutions or professors are trying to analyze the human resources desired by companies or industries and apply education accordingly.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147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1478

그런데, 4차산업혁명과 같은 패러다임으로 인해 직업 및 직무의 변화 속도가 빨라졌으므로, 소규모 개인이 국수적 데이터에 의해 기업 또는 산업이 원하는 인재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것을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급변하는 기업 또는 산업현장이 원하는 요구 조건(인재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교육 과정에 적용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이 요구된다. However, since the speed of change in jobs and jobs has accelerated due to a paradigm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may be difficult for small-scale individuals to analyze in real time the talent image desired by a company or industry based on national data.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utomated system to analyze the requirements (personnel) desired by rapidly changing companies or industrial sites from various angles and apply them to the education process.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머신 러닝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직무 역량을 확인 및 안내할 수 있는 온톨로지와 딥 러닝에 기반한 사회 맞춤형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provide an ontology capable of confirming and guiding a user's job competency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socially tailored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based on deep learning.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온톨로지 모델,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직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상기 온톨로지 모델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 연관된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무 간을 매칭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Memory;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collect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data, subject data, and occupation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an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data, Based on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 job, job, and subject is constructed, and the subject and the subject based on the ontology model,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a job or the job may be calculated, and the subject may be matched between the job or the subject and the job, which are associated with a number or more specified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association.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방법은,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 모델을 구성하는 동작; 상기 온톨로지 모델,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직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상기 온톨로지 모델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 연관된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무 간을 매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includes: collect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onstructing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 job, a job, and a subject based on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Calculating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job based on the ontology model,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And matching the subject and the job, o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job, which are associated with a number or more specified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association.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머신 러닝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직무 역량을 확인 및 안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it is possible to check and guide a user's job competency required for a user based on machine learning. In addition to this, various effect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can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의 구현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능력단위를 기준한 모니터링 데이터 간의 대응 관계를 정의한 도면들을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중 직무기술서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에 의한 온톨로지 인스턴스의 연관 추론 기능을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공고 데이터와 직무, 직업 및 교과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에 의한 진로 상담 서비스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1 shows an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shows a method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and 5 illustrate diagrams defin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monitoring data based on a capabilit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shows an example of a job description among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llustrates a function of inferring association of an ontology instance by the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show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announcement data and job, job, and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10, and 11 illustrate examples of career counseling services by the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의 구현 환경을 나타낸다.1 shows an implementation environment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10)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 학습한 후 학습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30)에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120 collects monitoring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and machine learns the collected data, and then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A career counseling servic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30.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10)에 의해 제공된 웹 사이트들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이하, “NCS 데이터”라 함),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온톨로지 모델,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교과목과 직업 또는 직무 간의 연관도(예: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모델에서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무를 관련시킬 수 있다.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120 collect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through web sites provided by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Based on the collected NCS data, subject data, and occupation data,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occupation, job and subject can be constructed.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120 calculates a degree of association (eg, similarity) between a subject and a job or job based on an ontology model,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and an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association. In,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subject and the job can be related.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온톨로지 모델 내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 간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30)에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교과목, 직업 또는 직무에 관련된 질의를 수신하고, 온톨로지 모델에 기반하여 수신된 질의에 대응하는 교과 관련 직무 정보, 교과 관련 직업 정보, 직업 관련 교과 정보 또는 교과 관련 직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진로 관련 정보(예: 역량에 부합하는 직업 정보, 목표 직업에 요구되는 교과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120 may provide a career counseling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30 based on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subject and a job or a subject and a job in the ontology model. For exampl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120 receives a query related to a subject, job, or job from the user terminal 130, and subject to subject related job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query based on the ontology model, subject related Determines at least one career-related information (e.g., job information that matches competency, subject information required for a target job) among job information, job-related subject information, or subject-related job information, and uses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areer-related information It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들(110)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데이터, 교과 데이터, 직업 데이터 및 기업 공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상기 NCS 데이터는 예를 들면,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정의된 분류 체계 정보, 직무기술서 정보 및 능력기술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과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각 교과들에 관련된 학년 정보, 교재 정보(예: 교재 명), 전공 정보(예: 전공 명), 교재 서론 정보, 교재 목차 정보, 강의 계획 정보(예: 강의 계획서) 및 강의 목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업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각 직업들에 관련된 직무 개요 정보(예: 각 직업 종사자의 직무 개요), 수행 직무 정보(예: 각 직업 종사자의 수행 직무), 유사 명칭 정보(예: 각 직업들과 유사한 명칭 정보), 연관 직업 정보(예: 각 직업과 연관된 직업 정보), 자격증 정보(예: 각 직업에 유용 또는 필요한 자격증 정보), 표준 산업 분류 정보 및 표준 직업 분류 정보(예: 한국표준직업분류 및 한국고용직업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외부 전자 장치들(110)은 웹 사이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각 외부 전자 장치들(110)은 국가표준직무능력 데이터를 개시한 웹 사이트 서버, 공공 구직 웹 사이트 서버(예: 커리어넷), 민간 구직 웹 사이트 서버(예: 사람인) 및 상기 분류 정보를 개시한 웹 사이트 서버(예: 통계청 서버, 고용노동부 서버, 교육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may be computing devices that store monitoring data of at least on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data, subject data, job data, and corporate announcement data. The NCS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job description information, and competency description information defined in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The subject data includes, for example, grade information related to each subject, textbook information (e.g., textbook name), major information (e.g., major name), textbook introduction information, textbook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lecture plan information (e.g., lecture plan) ) And lecture goal information. The job data includes, for example, job overview information related to each job (eg, job summary of each job worker), job performance information (eg, job job performed by each job worker), and similar name information (eg, job summary of each job worker). Name information similar to), related job information (e.g. job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job), certification information (e.g., certification information useful or necessary for each job),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standard job classification information (e.g. Korean standard job inform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lassification and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For example, ea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may be a web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t least one monitoring data through a web site. Ea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includes a web site server that discloses national standard job competency data, a public job search web site server (eg, Career Net), a private job search web site server (eg, a person),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eb site server (eg, Statistics Korea server,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rver, and Ministry of Education serv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30)은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에 의해 제공된 웹 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에 진로 상담 서비스를 요청하고,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로부터 진로 상담 서비스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PC,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와 같은 컴퓨팅 장치로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의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학습자 또는 교수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30 requests a career counseling service from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120 through a website or an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b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120, and A user interface screen related to a career counseling service may be provided from the apparatus 120 for managing a curriculum, and the interface may be displayed. The user terminal 130 i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PC, a laptop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and a wearable computer. It may refer to all terminal devices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n access or service-only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a computing device used by at least one user of a learner or a professor.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들(예: 110)로부터 기업 공고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 이외에도 기업 공고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기업 공고 데이터로부터 기업요구 직업 정보, 직무 정보, 기술 정보 및 자격 정보를 확인하고, 기업 수요와 직업, 직무 또는 교육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산도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모델에서 기업 수요에 대응하도록 직업, 직무 또는 교과 간을 관련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120 periodically collects corporate announcement data from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110), and provides corporate announcement data in addition to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Based on this,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occupations, jobs, and subjects can be constructed. In this case, the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device 120 checks the job information, job information, technical information, and qualifi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company from th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calculate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company demand and the job, job, or education, and calculates it. Jobs, jobs, or subjects can be related to respond to corporate demand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calculation diagram.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사용자의 현재 역량(예: 자격증 정보, 이수 교과)을 진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직업 또는 직무를 위하여 더 필요한 역량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120 diagnoses the user's current competency (eg, certification information, completion subject), and guides the user's desired job or competency information more necessary for the job. have.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기업 수요에 대응하도록 직업, 직무 또는 교과 간을 대응시킴에 따라 실질적인 수요에 따른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120 may provide a career counseling service according to actual demand by responding to a job, a job, or a subject so as to respond to corporate demand.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예: 도 1의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120))는 통신 회로(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eg,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12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210, a memory 220, and a processor ( 230). In an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omit some components or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entity, and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prior to the combin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통신 회로(210)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와 다른 장치(예: 외부 전자 장치들(110), 사용자 단말(130)) 간의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FTTH(Fiber to the home), xDSL(x-Digital Subscriber Line), WiFi, Wibro, 3G 또는 4G과 같은 통신 방식의 통신 채널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device 200 and other devices (eg,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user terminal 130), and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It is possible to support commun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for example, a communication channel of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FTTH (Fiber to the home), xDSL (x-Digital Subscriber Line), WiFi, Wibro, 3G or 4G.

메모리(220)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2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20 may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eg, the processor 230) of the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apparatus 200. The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software and instructions related thereto. For example, the memory 220 may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for provid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service. The memory 220 may includ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23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에 따라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통신 회로(210)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10)로부터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와 같은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모델에서 직업과 직무,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 간을 관련시키고, 온톨로지 모델 내 교과목과 직업 또는 직무 간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230 may control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by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or operations. You can do it. The processor 230 is,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 and may have a plurality of c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collects monitoring data such as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and learns the collected monitoring data. And,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the job and job,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subject and the job are related in the ontology model, and a career counseling service can be provided based o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job or job in the ontology model.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통신 회로(210)를 통해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110)에 의해 제공된 웹 사이트들로부터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와 같은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예: 크롤링(crawling) 또는 스크래핑(scraping)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NCS 데이터는 예를 들면,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정의된 분류 체계 정보, 직무기술서 정보 및 능력기술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과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각 교과들에 관련된 학년 정보, 전공 정보(예: 전공 명, 전공 대학), 교재 정보(예: 교재 명), 교재 서론 정보, 교재 목차 정보, 강의 계획 정보(예: 강의 계획서) 및 강의 목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업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각 직업들에 관련된 직무 개요 정보(예: 각 직업 종사자의 직무 개요), 수행 직무 정보(예: 각 직업 종사자의 수행 직무), 유사 명칭 정보(예: 각 직업들과 유사한 명칭 정보), 연관 직업 정보(예: 각 직업과 연관된 직업 정보), 자격증 정보(예: 각 직업에 유용 또는 필요한 자격증 정보), 표준 산업 분류 정보 및 표준 직업 분류 정보(예: 한국표준직업분류 및 한국고용직업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collects monitoring data such as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from web sites provided by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eg : Can perform at least one of crawling or scraping). The NCS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lassification system information, job description information, and competency description information defined in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The subject data includes, for example, grade information related to each subject, major information (e.g., major name, major university), textbook information (e.g. textbook name), textbook introduction information, textbook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lecture plan information (e.g. : Lecture plan) and lecture goal information. The job data includes, for example, job overview information related to each job (eg, job summary of each job worker), job performance information (eg, job job performed by each job worker), and similar name information (eg, job summary of each job worker). Name information similar to), related job information (e.g. job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job), certification information (e.g., certification information useful or necessary for each job),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standard job classification information (e.g. Korean standard job inform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lassification and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NCS 데이터에 따른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직업, 교과 및 직무 간의 관계에 관련된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NCS 데이터에 따른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직업, 교과 및 직무 각각에 대한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직업은 유사한(또는, 지정된 유사도 이상 관련된) 직무들의 집합일 수 있다. 상기 직무는 일련의 업무와 과업(tasks and duti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능력단위는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에 따른 직무의 하위 단위일 수 있다. 각 능력단위는 각 능력단위에 대응하는 능력단위요소(수행준거, 지식기술태도), 적용범위 및 작업 상황, 평가지침 및 직업기초능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230)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분류 체계의 특성, 직무기술서 및 능력 기술서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직무관련 데이터들의 구조를 확인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능력단위(또는, 업무) 중심으로 온톨로지 인스턴스 간의 관계를 정의한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may configure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job, a job, and a subject based on the collected monitoring data. For example, the processor 230 may construct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 relationship between a job, a subject, and a job centering on the competency unit according to the NCS data by using the monitoring data. For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30 may configure an ontology model for each job, subject, and job centering on the competency unit according to the NCS data by using the monitoring data. The job may be a set of jobs that are similar (or related to a specified degree of similarity or higher). The job may include a series of tasks and duties. The competency unit may be a sub-unit of the job according to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classification. Each competency unit can be composed of competency unit elements (performance standards, knowledge and skills attitude) corresponding to each competency unit, scope of application and work situation, evaluation guidelines, and basic job competency. In this regard, the processor 230 checks the structure of job-related data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job description, and competency description, and ) You can configure an ontology model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tology instances in the cen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온톨로지 모델,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교과목과 직업 또는 직무 간의 연관도(예: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모델에서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를 관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상기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모델에서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 간을 관련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로부터 직무 키워드, 직업 키워드 또는 교과목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Word2Vec 알고리즘 및 LSA(Latent Semantic Analysis)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의 특징 벡터들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산출된 특징 벡터들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상기 학과 별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직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모델에서 교과목과 직업 또는 직무 간을 관련(또는, 그룹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30)는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 간의 유사도(예: 코사인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가 지정된 수치(예: 0.6) 이상인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 간을 온톨로지 모델에서 관련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calculates a degree of association (eg, similarity) between a subject and a job or job based on an ontology model,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and based on the calculated association, the ontology In the model, you can relate subjects and jobs or subjects and jobs. For example, the processor 230 may calculate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a subject and a job or a subject based on the competency unit, and may associate a subject with a job or subject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association. For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30 extracts at least one of a job keyword, a job keyword, or a subject keyword from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and at least one of the Word2Vec algorithm and the LSA (Latent Semantic Analysis) algorithm. Feature vectors of at least one keyword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algorithm. The processor 230 calculate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for each department and the job or the job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calculated feature vectors, and relates the subject and the job or job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association ( Or grouping).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30 calculates the degree of similarity (e.g., cosine similarity) between a subject and a job or a subject and a job, and an ontology between a subject and a job or a subject and a job with a calculated similarity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ed value (e.g. 0.6). You can relate it in the model.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230)는 학과 별 교과목과 관련된 직업 또는 직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직업 또는 직무 리스트를 통신 회로(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예: 교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선택된 직무 또는 선택된 직업을 획득하고, 학과 별 교과목과 상기 선택된 직무 또는 상기 선택된 직업 간의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학과들 중 일부 학과(예: 직무가 선택된 학과)에 대해서는 학과 별 교과목과 직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학과들 중 나머지 학과(예: 직업이 선택된 학과)에 대해서는 학과 별 교과목과 직업 간의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Doc2Vec 알고리즘과 LSA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일부 학과와 나머지 학과 간의 연관도를 확인하고 일부 학과와 나머지 학과 간의 연관도에 기반하여 직업과 직무 간의 연관도를 확인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processor 230 generates a job or job list related to a subject for each department, and provides the generated job or job list to the user terminal 130 (for example, a professo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I can. The processor 230 may acquire a job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130 or a selected job, and calculate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for each department and the selected job or the selected job. The processor 230 calculate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departmental subjects and jobs for some of the departments (e.g., departments for which job is selected), and for the rest of the departments (e.g., departments for which job is selected), subjects for each departmen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job and the job. The processor 230 may check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some departments and the rest of the departments using at least one of the Doc2Vec algorithm and the LSA algorithm, and may check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a job and a job based on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some departments and the rest of the departments.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온톨로지 모델에서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 간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30)에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온톨로지 모델에서 능력단위와 관련된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추론을 수행함에 따라 인스턴스 그래프를 확인하고, 인스턴스 그래프를 통해 처리 가능한 질의와 응답을 포함하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생성된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may provide a career counseling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130 based on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subject and a job or a subject and a job in the ontology model.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30 checks the instance graph by performing the ontology inference based on the subject and job related to the competency unit or the subject and job in the ontology model, and includes a query and response that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instance graph. Service scenarios can be created. The processor 230 may provide a career counseling service according to the generated service scenario.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통신 회로(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교과목, 직업 또는 직무에 관련된 질의를 수신하고, 온톨로지 추론에 기반하여 수신된 질의에 대응하는 교과 관련 직무 정보, 교과 관련 직업 정보, 직업 관련 교과 정보 또는 교과 관련 직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진로 관련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사용자의 이수 교과목 정보를 획득하고, 메모리(220)로부터 상기 이수 교과목 정보와 지정된 연관도 이상 관련되어 있는 직무 정보 또는 직업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직무 정보 또는 확인된 직업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사용자의 목표 직업 정보 또는 목표 직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목표 정보를 획득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표 정보에 관련된(또는, 목표 직업 또는 직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교과목 정보 및 자격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요구 역량 정보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요구 역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30)(예: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학습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진로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요구 역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계정 정보를 획득하고, 학습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예: 학습자가 학습중인 교육 기관 DB)로부터 계정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정보는 예를 들면, 전공 정보, 학년 정보, 이수 교과 정보 및 보유 자격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자 정보는 다른 예를 들면, 학습자의 작성/발표 논문 정보, 학습자의 연수 활동 정보, 봉사 활동 정보 및 인턴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30 receives a query related to a subject, job, or job from the user terminal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210, and subject related job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query based on the ontology inference, At least one career-related information among subject-related job information, job-related subject information, or subject-related job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areer-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30. For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30 obtains the user's course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30, and checks the job information or job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urse information and the specified degree of association or higher from the memory 220. And, the confirmed job information or the confirmed job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30.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30 acquires at least one target information of the user's target job information or target job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130, and is related to at least one target information (or target job or job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t least one required capability information among subject information and certif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nd provide at least one required capabilit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30. In this regard, the processor 230 may obtain learn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30 (eg, a learner terminal), and provide the career-related information or the required capabi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learner information. In this process, the processor 230 may acquire accoun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30 and acquire learn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ccount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which the learner information is stored (eg, an educational institution DB in which the learner is studying). . The learn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or example, major information, grade information, course completion information, and possession certificate information. In another example, the learn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learner's writing/presentation thesis, information on a learner's training activity, information on volunteer activities, and information on internship activitie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들(110))로부터 기업 공고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 이외에도 기업 공고 데이터에 더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기업 공고 데이터로부터 기업요구 직업 정보, 직무 정보, 기술 정보 및 자격 정보를 확인하고, 기업 수요와 직업, 직무 또는 교육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기업 수요에 대응하도록 직업, 직무 또는 교과 간을 관련(또는, 대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기업 공고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업 공고 데이터에 따른 직무 역량을 갖춘 사용자에게 기업 공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기업 공고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업 공고에 따른 요구 조건을 모두 갖춘 사용자(예: 학습자) 단말(130)에 기업 공고 데이터에 따른 구인 공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230 periodically collects corporate announcement data from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of FIG. 1 ), and in addition to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Ontology models related to occupations, jobs, and subjects can be constructed further based on corporate announcement data. In this case, the processor 230 checks the job information, job information, technical information, and qualification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company from the company announcement data, calculate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company demand and job, job, or education, and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association. Thus, you can relate (or respond) between jobs, jobs, or subjects to respond to corporate needs. In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230 may share th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to a user with job competency based on th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based on th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For example, the processor 230 may provide a job posting according to the company announcement data to a user (eg, a learner) terminal 130 that satisfies all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company announcement based on th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외부 전자 장치들(110))로부터 기업 공고 데이터 및 타 교육 기관의 교과 데이터를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기반하여 타 교육 기관과 비교하여 현 교육 기관에 부족한 교과목(또는, 교육 과정)을 안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230 learns corporate announcement data and subject data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at least one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of FIG. 1 ), and based on the learning result. Therefore, compared to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t can be supported to guide the cur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to the insufficient subjects (or curriculums).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NCS 데이터에 따른 다른 분류 기준(예: 직업, 직무)을 기준으로 교과목, 직업 및 직무과 관련된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하거나, 교과목과 직업 또는 직무 간을 매칭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or 230 may configure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 subject, a job, and a job based on 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eg, job, job) according to the NCS data, or match a subject and a job or job. have.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다양한 웹 사이트 서버들(도 1의 외부 전자 장치들(110))에 의해 제공 또는 관리되는 직업, 직무 또는 교과 관련 데이터를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NCS 데이터의 분류 단위(예: 능력단위)를 기준으로 매칭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과목과 직무 또는 직업 간의 대응 관계에 기반한 정확도 높은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provides general purpose, job, or subject-related data provided or managed by various web site servers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10 of FIG. 1). Based on the classification unit (eg, competency unit) of the NCS data used as a bas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ly accurate career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subject and job or occupation based on this.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학습자의 이수 교과 및 보유 자격증과 같은 학습자 역량을 확인하고, 학습자 역량에 관련된 직무 또는 직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자의 전공 이외에 잠재적 역량(또는, 재능)에 부합하는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check the learner's competency, such as the learner's completed subject and possessed certificates, and provide job or job information related to the learner's competency. Accordingl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support a learner to search for a career path corresponding to a potential competency (or talent) other than the learner's major.

뿐만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학습자가 목표로 하는 직업 또는 직무를 갖기 위해서 더 요구되는 이수 교과 또는 자격증을 안내할 수 있어, 학습자가 효율적으로 교육 과정을 선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can guide the required courses or qualifications further required for the learner to have a target job or job, so that the learner can effectively perform the curriculum. Can support you to choose.

더 나아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기업 공고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업 또는 산업 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가 되거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과정을 안내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become a human resource that meets the needs of a company or industrial site based on the company announcement data, or guide a training process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have.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3 shows a method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10에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operation 310,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collect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동작 320에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와 관련된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가직무능력 표준 데이터에 따른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교과, 직업과 직무 간의 관계 또는 직업, 교과 및 직무 각각에 관련된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In operation 320,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configure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 job, a job, and a subject based on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For exampl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uses at least one monitoring data to focus on a competency unit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data, a relationship between a subject, a job and a job, or an ontology related to each job, subject, and job. You can build your model.

동작 330에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온톨로지 모델, NC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직무 간의 연관도(예: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Word2Vec 알고리즘 및 LSA(Latent Semantic Analysis)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학과 별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직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다. In operation 330,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calculate a degree of association (eg, similar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job based on the ontology model,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 For exampl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calculate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for each department and the job or the job based on at least one of a Word2Vec algorithm and a Latent Semantic Analysis (LSA) algorithm. .

동작 340에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모델에서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 간을 관련시킬(또는, 매칭)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 중 지정된 수치 이상의 연관도를 갖는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 간을 관련시킬 수 있다.In operation 340,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associate (or match) a subject and a job or a subject and a job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association. For exampl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associate a subject with a job or a subject having a degree of association of a specified number or higher among subjects and jobs, or between a subject and a job.

동작 350에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온톨로지 모델에서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상기 직무 간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온톨로지 모델에서 능력단위와 관련된 교과목과 직업 또는 교과목과 직무에 기반한 온톨로지 추론을 통해 인스턴스 그래프를 확인하고, 인스턴스 그래프를 통해 처리 가능한 질의와 응답을 포함하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생성된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operation 350,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provide a career counseling service based on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a subject and a job or a subject and the job in the ontology model. For exampl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200 checks the instance graph through ontology inference based on the subject and job related to the competency unit in the ontology model, or the subject and job, and provides a query and response that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instance graph. It is possible to create a service scenario that includes. The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provide a career counseling service according to the generated service scenario.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능력단위를 기준한 모니터링 데이터 간의 대응 관계를 정의한 도면들을 나타낸다.4 and 5 illustrate diagrams defin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monitoring data based on a capabilit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NCS 데이터(410)에 따른 능력단위(411)를 중심으로 교과 데이터(420)(또는, 교과 도메인에 속하는 데이터들) 및 직업 데이터(430)(또는, 직업 도메인에 속하는 데이터들)들을 매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includes subject data 420 (or data belonging to a subject domain) and occupation data ( 430) (or data belonging to the job domain) may be matched.

도 5를 참조하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능력단위(510)를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로부터 각 업무에 연관된 직무숙련기간, 학력, 전공, 분야, 세부업무, 지식, 기술, 자격증, 사전직무경험 및 각 업무가 속하는 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시킬 수 있다.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상기 매칭된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진로 상담 서비스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구성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is based on the competency unit 510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based on national competencie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the job proficiency period, academic background, and major related to each job. , Field, sub-task, knowledge, skill, certification, prior job experience, and at least one of the categories to which each job belongs (large category, sub-category, sub-category, sub-category) can be matched. The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configure a career counseling service scenario based on the matched correspondence relationship, and provide a career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he configured scenario.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NCS 데이터 중 직무기술서의 예를 나타낸다.6 shows an example of a job description among NCS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NCS 데이터 중 직무기술서는 각 능력단위가 속하는 직무(610), 각 능력단위명(620), 각 능력단위의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자격증 정보(630) 및 지식기술 정보(640)를 포함한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하여 교과, 직무 및 직업 간을 효율적으로 매칭할 수 있다.6, among NCS data, the job description is the job 610 to which each competency unit belongs, the name of each competency unit 620, certification information 630 required to perform the job of each competency unit, and knowledge technology information. Including 640.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efficiently match a subject, a job, and a job based on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에 의한 온톨로지 인스턴스의 연관 추론 기능을 나타낸다.7 illustrates a function of inferring association of an ontology instance by the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각 능력단위에 관련된 업무(710), 자격증(720), 교과목(730), 교육 기간(740) 및 유사 직업들(750)와 같은 온톨로지 인스턴스들을 확인하고, 온톨로지 인스턴스들의 연관 추론에 기반하여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응용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직업에 대하여 해당 직업의 능력단위에 관련된 업무들(710)(예: 동적 분석모델 검증하기, 인터페이스 설계, 소프트웨어 공학 활용, 애플리케이션 설계), 자격증(720)(예: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정보관리기술사), 교과목(730)(예: 소프트웨어 공학, 전산학, IT서비스, IT기술), 관련 기술 습득에 요구되는 교육 기간(740)(예: 2년) 및 유사 직업들(750)(예: 프로그래머, 소프트웨어개발자, 개발자)과 같은 온톨로지 인스턴스 기반의 연관 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includes tasks related to each competency unit 710, certification 720, subject 730, training period 740, and similar occupations 750. Ontology instances can be checked and career counseling services can be provided based on association inference of ontology instances. For exampl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200 includes tasks 710 related to the competency unit of the corresponding job for an applied software engineer job (eg, dynamic analysis model verification, interface design, software engineering application, application design). ), certification (720) (e.g. information processing engineer, information processing industry engineer, computer system application engineer, information management engineer), subject 730 (e.g. software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IT service, IT technology), acquisition of related skills Associative reasoning based on ontology instances such as the training period 740 (eg, 2 years) and similar jobs 750 (eg, programmers, software developers, and developers) required for may be performed.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 공고 데이터와 직무, 직업 및 교과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8 shows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announcement data and job, job, and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온톨로지 모델에서 기업 공고 데이터와 직무, 직업 및 교육 간의 대응 관계에 기반하여 기업 공고에 포함된 각 직무에 관련된 업무들(도 8의 파란색 실선과 빨간 실선의 교차점 참조) 및 기술(도 8의 파란색 실선과 녹색 실선의 교차점 참조)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기업 공고 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업 공고 데이터에 따른 역량을 갖춘 사용자에게 기업 공고 데이터를 공유(또는, 안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apparatus 200 includes tasks related to each job included in the corporate announcement based o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announcement data and job, job, and education in the ontology model (blue color in FIG. 8 ). See the intersection of the solid line and the solid red line) and technology (refer to the intersection of the solid blue line and the solid green line in FIG. 8).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pparatus 200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y share (or guid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to a user having a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based on th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도 9,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에 의한 진로 상담 서비스의 예들을 나타낸다.9, 10, and 11 illustrate examples of career counseling services by the apparatus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예: 도 1의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보안 관련 직업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라는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수신된 질의로부터 키워드 "보안"을 검출하고, 온톨로지 모델에 기반하여 키워드 "보안"과 관련되어 있는 직업 정보(910) 및 키워드 "보완"의 연관 키워드 "컴퓨터 보안"과 관련된 직업 정보(920)를 검색하고, 검색된 직업 정보(910, 920)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apparatus 200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a query “what are the security-related occupations” from a user terminal (eg, the user terminal 130 of FIG. 1 ). can do. In this cas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detects the keyword "security" from the received query, and associates the job information 910 related to the keyword "security" and the keyword "complementary" based on the ontology model. The job information 920 related to the keyword “computer security” may be searched, and at least some of the searched job information 910 and 92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30.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예: 도 1의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웹 개발자가 되고 싶어요. 가장 중요(필요)한 과목들은 무엇인가요?"라는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수신된 질의로부터 키워드 "웹 개발자"를 검출하고, 온톨로지 모델에 기반하여 키워드 "웹 개발자"와 관련된 직업 정보(1010), 직업 정보(1010)과 관련된 능력단위 업무들(1020)을 확인할 수 있다.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확인된 능력단위 업무들(1020)과 관련된 교과목 정보(1030)를 확인하고, 확인된 교과목 정보(1030)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apparatus 200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 want to be a web developer. I want to be a web developer. The most important (necessary) subject" You can receive a query asking "What are they?" In this cas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detects the keyword "web developer" from the received query, and based on the ontology model, the job information 1010 and job information 1010 related to the keyword "web developer" Related competency unit tasks (1020) can be checked.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check subject information 1030 related to the identified competency unit tasks 1020 and provide at least some of the identified subject information 1030 to the user terminal 130. have.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예: 도 1의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컴퓨터공학과는 어떤 직업들을 가질 수 있나요"라는 질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는 수신된 질의로부터 키워드 "컴퓨터공학과"를 검출하고, 온톨로지 모델에 기반하여 키워드 "컴퓨터공학과"의 연관키워드 및 관련 직업 정보를 검색하고, 확인된 관련 직업 정보(1010)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apparatus 200 for manag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quests a query from a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30 of FIG. 1) to "what occupations can I have in computer engineering?" You can receive it. In this case,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detects the keyword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from the received query, searches for the keyword associated with the keyword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and related job information based on the ontology model, The job information 1010 may be search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30.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nd terms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above items unless clearly indicated otherwise in a related context. In this document,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phrases,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Order) is not limited. Some (eg, a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a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mentioned, it means that any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directly (eg by wire), wirelessly, or via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module" used in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s, parts, or circuits. The module may be an integrally configured component or a minimum unit of the component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메모리(2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2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3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are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internal memory or external memory) (memory 220) that can be read by a machine (eg, capabilit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device 200).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a program) including one or more stored instructions. For example, the processor (eg, the processor 230) of the device (eg,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200) may call at least one command among one or more command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enable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alled,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where'non-transitory' refers to a device in which the storage medium is tangible and is a signal. It only means that it does not include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a case where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in a storage medium and a case that is temporarily stored.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ocument may be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TM ) or two user devices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e.g. smartphones), online.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some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storage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such as a server of a manufactur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memory of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ular number or a plurality of entiti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among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module or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same or similar to that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sequentially,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executed,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actions may be added.

Claims (10)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 모델을 구성하고,
상기 온톨로지 모델,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직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상기 온톨로지 모델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 연관된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무 간을 매칭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A communication circu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Memory; And
Including a processor, the processor,
Collect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Construct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occupations, jobs, and subjects based on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Calculating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job based on the ontology model,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for matching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subject and the job, which are associated with a number or more specified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correl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에 포함된 능력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직업, 상기 직무 및 상기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the job, the job, and the subject based on the competency unit included in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과 데이터는,
각 교과목에 관련된 학년 정보, 전공 정보, 교재 정보, 교재 서론 정보, 교재 목차 정보, 강의 계획 정보 및 강의 목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ject dat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grade information, major information, textbook information, textbook introduction information, textbook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lecture plan information, and lecture goal information related to each subje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업 데이터는,
각 직업들에 관련된 직무 개요 정보, 수행 직무 정보, 유사 명칭 정보, 연관 직업 정보, 자격증 정보, 표준 산업 분류 정보 및 표준 직업 분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ccupation dat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of job overview information, performance job information, similar name information, related job information, certification information,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standard job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each jo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다른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기업 공고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기업 공고 데이터,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 모델을 구성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Obtaining company announcement data from another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 job, a job, and a subject based on the corporate announcement data,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톨로지 모델에서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무 간의 대응 관계에 기반한 진로 상담 서비스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In the ontology model,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apparatus for providing a career counseling service based on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subject and the job to a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교과목, 상기 직업 또는 상기 직무에 관련된 질의를 수신하고,
상기 온톨로지 모델에서 상기 수신된 질의에 매칭된 교과 관련 직무 정보, 교과 관련 직업 정보, 직업 관련 교과 정보 또는 교과 관련 직업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진로 관련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진로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rocessor,
Receiving a query related to the subject, the job, or the job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In the ontology model, at least one career-related information is determined among subject-related job information, subject-related job information, job-related subject information, or subject-related job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ceived query,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apparatus for providing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areer-re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이수 교과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이수 교과목 정보와 지정된 연관도 이상 관련되어 있는 직무 정보 또는 직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직무 정보 또는 상기 확인된 직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rocessor,
Obtain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courses through the user terminal,
Check the job information or job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urse information and the specified degree of association or higher from the memory,
Competenc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apparatus for providing the verified job information or the verified job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목표 직업 정보 또는 목표 직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목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목표 정보에 관련된 교과목 정보 및 자격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요구 역량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구 역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rocessor,
Obtaining at least one target information of the user's target job information or target job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Determine at least one required competency information among subject information and cer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quired at least one target information,
A capability-based training course management apparatus that provides the at least one requested capabilit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에 의한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로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교과 데이터 및 직업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직업, 직무 및 교과목과 관련된 온톨로지(ontology) 모델을 구성하는 동작;
상기 온톨로지 모델, 상기 국가직무능력표준 데이터, 상기 교과 데이터 및 상기 직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직무 간의 연관도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산출된 연관도에 기반하여 상기 온톨로지 모델에서 지정된 수치 이상 연관된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업 또는 상기 교과목과 상기 직무 간을 매칭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방법.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method us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device,
Collecting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subject data, and job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onstructing an ontology model related to a job, a job, and a subject based on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Calculating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job based on the ontology model,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 data, the subject data, and the job data; And
Matching the subject and the job, or the subject and the job, which are associated with a number or more specified in the ontology model based on the calculated degree of associati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nagement method, including.
KR1020190124144A 2019-10-07 2019-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 KR1023433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44A KR102343385B1 (en) 2019-10-07 2019-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44A KR102343385B1 (en) 2019-10-07 2019-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427A true KR20210041427A (en) 2021-04-15
KR102343385B1 KR102343385B1 (en) 2021-12-27

Family

ID=7544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144A KR102343385B1 (en) 2019-10-07 2019-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3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173A (en) * 2021-05-03 2022-11-10 다움커리어주식회사 App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ubject-Centered Curriculum service based on Bigdata
CN117726311A (en) * 2024-02-05 2024-03-19 四川大学华西医院 Intelligent ma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employment posts of supervision objec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901A (en)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KR20180041478A (en) 2016-10-14 2018-04-24 김영후 Human resouce matching system based on walle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102785A (en)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Customized admiss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ssociated with school entrance
KR20180124559A (en) * 2017-05-12 2018-11-21 정규영 System for processing and supplying personalized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961144B1 (en) * 2017-10-12 2019-03-22 주식회사 디지털존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job ma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901A (en)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KR20180041478A (en) 2016-10-14 2018-04-24 김영후 Human resouce matching system based on walle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102785A (en)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Customized admiss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ssociated with school entrance
KR20180124559A (en) * 2017-05-12 2018-11-21 정규영 System for processing and supplying personalized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961144B1 (en) * 2017-10-12 2019-03-22 주식회사 디지털존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job ma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173A (en) * 2021-05-03 2022-11-10 다움커리어주식회사 App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ubject-Centered Curriculum service based on Bigdata
CN117726311A (en) * 2024-02-05 2024-03-19 四川大学华西医院 Intelligent mat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employment posts of supervision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385B1 (en)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a et al. A multi-temporal context-aware system for competences management
Blayone et al. Prepared for work in Industry 4.0? Modelling the target activity system and five dimensions of worker readiness
KR20200135892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ersonaliz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s through user learning ability
KR102303517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learner-customized education service
Tu et al. An experiment on the impact of transparency on the effectiveness of requirements documents
KR1023433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urriculum based on Job Competence which is corresponded to Society Demand based on ontology and deep-learning
Thomas et al. Nudging through technology: Choice architectures and the mobile information revolution
Saurwein Emerging structures of control for algorithms on the Internet: Distributed agency–distributed accountability
de Souza et al. Improving agile software development with domain ontologies
Hoyer et al. Implementing Industry 4.0—The Need for a Holistic Approach
Phuengrod et al. The Student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Process with Intelligent Conversational Agent Platform.
KR20200124184A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learner-customized education service
Singh et al. Towards fine grained human behaviour simulation models
Reuter et al. Towards simulation-based role optimization in organizations
Elbec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s Potential Influence on Marketing Education.
Bider et al. Using a socio-technical systems approach for a sales process improvement
KR20200078947A (en) Method and device for work capability evaluation based on online history data
Heumann et al. Benchmarking national AI strategies: Why and how indicators and monitoring can support agile implementation
JP2005108025A (en) Ability development support system, its method, and program
Szymańska Organisational Culture in the Industry 4.0 Era: Introduction to Research
KR20200071797A (en) Big data analysis based career matching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Raissi Using QFD Method for Assessing Higher Education Programs: An Examination of Key Stakeholders’ Visions
Kerssens et al. Transgressing local, national, global spheres: the blackboxed dynamics of platformization and infrastructuralization of primary education
Jackson et al. Design tools: Transforming ideas into products
Ruehle Investigating market and regulatory forces shaping artificial intelligence adop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