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308A -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308A
KR20210041308A KR1020190123838A KR20190123838A KR20210041308A KR 20210041308 A KR20210041308 A KR 20210041308A KR 1020190123838 A KR1020190123838 A KR 1020190123838A KR 20190123838 A KR20190123838 A KR 20190123838A KR 20210041308 A KR20210041308 A KR 20210041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tray
cable tray
assembly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천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도엘이디
이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도엘이디, 이동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도엘이디
Priority to KR102019012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308A/ko
Publication of KR2021004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는, 터널의 측벽에 장착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등기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등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Tunnel cable tray and lamp assembly}
본 발명은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내부에는 사고를 예방하고, 운전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장치가 설치된다. 이 조명 장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해 너무 많은 조명등을 설치하기도 어렵고, 반대로 너무 어두워서도 곤란하다.
이에 몇몇 터널에는 등 간격으로 상당히 많은 조명등을 설치한 다음 교호로 또는 선택적으로 조명하는 방식도 이용되고 있으나, 관리가 어렵고 특히 오염이 심한 터널의 특성상 잦은 교체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조명등의 잦은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통행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수명이 길고 효율이 좋은 LED 조명등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터널 조명등은 터널의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 유지 보수가 매우 어려웠다.
터널의 측벽이나 바닥에 조명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접근성이 좋아서 유지 보수가 쉬워지지만, 조명 각도가 터널의 상방과 하방을 각각 향하도록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터널 내부에는 조명등이나 표지판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터널 조명 장치의 경우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트레이와 조명등의 조립 구조는 전혀 제시하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386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20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3377호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조명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터널 내 미관을 위해 등기구 뒷부분을 은폐하고 케이블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는, 터널의 측벽에 장착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등기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단 및 하단에 상방 및 하방을 향하도록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등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터널의 측면에 장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 상에 장착되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의 전단면에 부착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에 결합되는 등기구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바닥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면 및 하면의 전방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호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기구의 패널과 체결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 조립체는, 상기 등기구 패널의 일측에 결합되어 빛을 차단하는 광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등기구 조립체 사이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트레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트레이커버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대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트레이커버의 전면에 부착되는 표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표지판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에 의하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조명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등기구 패널의 일측에 광차단막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트레이커버를 구비하여 깔끔한 외관을 구현하며, 트레이커버에 표지판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터널의 양측벽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에서 트레이커버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a)와 분리한 트레이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b)이다.
도 4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a)와 분리 측면도(b)이다.
도 5는 등기구 고정대를 수평대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a)와 등기구 고정대를 나타내는 정면도(b)이다.
도 6은 등기구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케이스본체의 상단부에 패널 하단부가 경사지게 장착되는 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조립체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조립체의 경사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조립체의 경사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조립체의 경사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다.
도 12는 트레이커버가 수평대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트레이커버에 야광필름이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터널의 양측벽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에서 트레이커버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a)와 분리한 트레이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b)이고, 도 4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a)와 분리 측면도(b)이며, 도 5는 등기구 고정대를 수평대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a)와 등기구 고정대를 나타내는 정면도(b)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10)는 터널의 양측벽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다. 조립체(10)는 작업자가 접근하기 쉽도록 사람 키 높이 이하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10)는, 터널의 측벽에 장착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100), 및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등기구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100)에는 등기구나 표지판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장착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 조립체(200)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본체(210)와, 케이스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등기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스본체(210)의 상단에 등기구(230)가 상방을 향하도록 장착됨과 동시에, 케이스본체(210)의 하단에도 등기구(230)가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등기구 조립체(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100)는 터널의 측면에 장착되는 지지판(110)과, 지지판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120)과,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 상에 장착되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트레이(130)와,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의 전단면에 부착되는 수평대(150)와, 수평대에 결합되는 등기구 고정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10)은 터널의 측벽에 소정 높이로 앵커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조립체의 전체 구조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판(110)은 터널의 길이 전체에 걸쳐 복수의 직사각형 판재가 길게 이어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하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지판(110)이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120)은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진 바로서, 지지판(110)의 정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120)은 등기구가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간격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위치마다 상하로 2개 내지 5개가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120)이 상하로 3개씩 배열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트레이(130)는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120) 상에 안착되어 용접되거나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30)는 트레이 브라켓(120)뿐만 아니라 지지판(110)에도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30)는 바닥벽과 양측벽을 가져서 상면이 개구된 사각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면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케이블 트레이(130)에 수납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케이블 트레이(130)도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120)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2개 내지 5개가 배열될 수 있다.
수평대(150)는 등기구를 장착하기 위해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12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대(150)는 트레이 브라켓(120)의 전면에 용접되거나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대(150)에는 등기구 조립체(200)뿐만 아니라 트레이커버(300)도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10)에는 상하로 3개의 트레이 브라켓(120)이 배치되지만, 수평대(150)는 상부의 트레이 브라켓(120)과 하부의 트레이 브라켓(120)에 2개만 배치되고 중간 높이의 트레이 브라켓(120)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등기구 고정대(160)는 수평대(150)의 전면에 용접되거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전방에서 볼 때 직사각형 모양의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등기구 고정대(160)도 수평대(150)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직사각형인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100)는, 케이블 트레이(130)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0)는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140)의 일측은 케이블 트레이(130)와 지지판(110)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 트레이(130)는 트레이 브라켓(120)에 장착되되 지지판(11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140)의 일측이 케이블 트레이(130)와 지지판(110)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커버(140)는 케이블 트레이(130)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30)는 바닥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35)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홀(135)은 케이블 트레이(130)의 바닥면에 복수의 관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배수홀(135)은 원형, 타원형, 장공형, 직사각형 등의 모양으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배수홀(135)은 직사각형 관통공 형태로 절개되어, 배수 기능뿐만 아니라 케이블 트레이(130)의 재료를 줄일 수도 있도록 한다.
케이블 트레이(130)에 케이블이 장착되고 터널에 설치된 후 장시간이 지나면 케이블 트레이(130) 내에 수분이 유입되거나 습기가 차서 응축될 수 있다. 이렇게 케이블 트레이(130)에 수분이 생기더라도 바닥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35)을 통해 수분이 바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 고정대(160)의 후면에는 수평대(150)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걸이부(16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165)는 측면에서 볼 때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등기구 고정대(160)의 후면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걸이부(165)의 하단부는 등기구 고정대(160)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수평대(150)가 걸이부(165)에 삽입될 때 걸이부(165)가 탄성적으로 벌어졌다가 복원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65)의 하단부와 등기구 고정대(160)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62)가 체결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65)는 등기구 고정대(160)의 후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걸이부(165)의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62)에 의해 등기구 고정대(16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 고정대(160)의 양측에는 걸이부(165)의 높이 조절을 위한 체결장공(163)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되는 두 수평대(150)의 이격거리가 달라질 수 있는데, 걸이부(165)를 체결장공(163)을 통해 체결부재(162)에 의해 높이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등기구 고정대(16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케이스본체(210)와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16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등기구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케이스본체의 상단부에 패널 하단부가 경사지게 장착되는 부위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다.
우선, 등기구(230)는, 케이스본체(210)의 상단 및 하단에 소정 각도로 장착되는 패널(232)과, 패널에 배열되는 복수의 LED모듈(235)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232)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LED모듈(235)이 장착될 수 있는 구멍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모듈(235)은 투명한 커버에 의해 덮여서 보호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210)는 전체적으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본체(210)의 개구된 전면에는 도어(2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20)에는 오목한 홈 또는 돌출된 핸들 형태의 손잡이(222)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210)의 측면에는 등기구(230)로 전력을 공급하고 등기구(230)를 제어하기 위한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배선구멍(212)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210)는, 케이스본체(210)의 상면 및 하면의 전방에 구비되는 힌지부(215)와, 케이스본체(210)의 상면 및 하면에 호형으로 연장되어 등기구(230)의 패널(232)과 체결되는 각도조절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215)는 케이스본체(210)의 양측면 상단 및 하단 전방에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215)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등기구(230)의 패널(232) 하단에 구비되는 회동축이 장착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217)는 케이스본체(210)의 양측면 상단 및 하단 중간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호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217) 내부에는 호형의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232)의 양측단부에는 체결부(233)가 연장 형성되어, 각도조절부(217)의 장공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218)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233)에는 체결부재(218)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패널(232)을 케이스본체(210)의 상면에 대해 0~90도 사이의 특정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상부의 등기구(230)는 터널의 상부를 향해 조명하고, 하부의 등기구는 터널의 하부를 향해 조명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등기구 조립체(200)는, 한 쌍의 등기구(230)의 각 패널(232)의 일측에 결합되어 빛을 차단하는 광차단막(2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차단막(240)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패널(232)의 일측에 용접되거나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광차단막(240)은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는 빛의 직접적인 조사를 차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조립체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케이스본체(210)의 상면과 하면에는 힌지부(215)가 구비되어 체결부재(218)에 의해 등기구(230)의 하면과 상대적인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218)는 머리부에 오목한 육각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육각렌치로 조임으로써, 케이스본체(210)에 대해 등기구(230)를 소정 각도로 기울여서 고정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210)와 등기구(230) 사이에는 전선(213)이 연결될 수 있다. 전선(213)은 힌지부(215)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210)와 도어(220)의 측면에는 잠금장치(225)가 구비될 수 있다. 잠금장치(225)는 도어(220)의 측면에 돌출된 돌기에 케이스본체(21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후크가 걸리도록 구비되어, 도어(220)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등기구(230)의 측면에는 광차단막 대신에, 반사필름(25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반사필름(250)은 등기구(230)의 차량 진행방향 일측면에 부착되어,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반사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터널의 측벽면을 잘 보이게 하여 안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조립체의 경사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10)의 상면에는 회동지지부재(262)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등기구(230) 패널(232)의 후면에는 걸림돌기(265)가 고정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262)와 걸림돌기(265)는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본체(210)와 패널(232) 사이에 힌지부(215)가 구비되어 패널(232)이 케이스본체(210)에 대해 회동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한다.
회동지지부재(262)는 케이스본체(210)의 상면에 고정된 회동축부(26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262)는 소정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가진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돌기(265)는 측면에서 볼 때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주면에 톱니부(266)가 형성될 수 있다. 톱니부(266)의 복수의 톱니는 회동지지부재(262)가 잘 걸리도록 한쪽으로 치우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동축부(261)에는 회동지지부재(262)를 걸림돌기(265) 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스프링으로서 토션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스프링에 의해 걸림돌기(265)에 걸린 회동지지부재(262)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회동지지부재(262)의 상단부가 걸림돌기(265)의 톱니부(266)에 걸리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패널(232)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조립체의 경사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10)의 상면에는 회동지지부재(263)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등기구(230) 패널(232)의 후면에는 걸림돌기(265)가 고정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263)와 걸림돌기(265)는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도 케이스본체(210)와 패널(232) 사이에 힌지부(215)가 구비되어 패널(232)이 케이스본체(210)에 대해 회동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한다.
걸림돌기(265)는 측면에서 볼 때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주면에 톱니부(266)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65)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267)이 형성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263)는 케이스본체(210)의 상면에 고정된 회동축부(26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263)는 소정 길이와 폭과 두께를 갖고,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263)의 상반부(264)는 걸림돌기(265)의 외주면 형태에 대응하여 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반부(264)의 내측면에 걸림돌기(265)의 톱니부(266)에 맞물리는 톱니들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65)의 톱니부(266)와 상반부(264)의 톱니들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각각 기어 톱니 형태나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반부(264)의 내부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걸림돌기(265)의 체결공(267)에 나사(269)를 체결함으로써, 걸림돌기(265)와 회동지지부재(263)를 결합할 수 있다. 회동지지부재(263)의 상반부(264)는 하반부에 대해 상대적인 각도가 변형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자는 회동지지부재(263)의 상반부(264)를 소정 각도로 배치된 패널(232)의 걸림돌기(265)의 톱니부(266)에 맞물리게 하고, 나사(269)를 장공(264)을 통해 체결공(267)에 체결함으로써, 패널(232)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 조립체의 경사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측면도이다.
케이스본체(210)의 상면에는 지지블록(270)이 고정되고, 패널(232)의 후면에는 지지바(28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블록(270)과 지지바(280)는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블록(270)은 바닥에 복수의 지지홈(272)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바(280)의 하단부가 복수의 지지홈(272) 중 하나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지지홈(272)은 상단 입구가 좁아지게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280)의 상단부는 패널(232)의 후면에 마련된 회동축(282)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바(280)의 하단 지지축부(284)는 “ㄴ”자 모양 또는 “T”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280)의 하단 지지축부(284)는 상단이 지지축부(284)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지지홈(272)에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작업자는 패널(232)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여 지지바(280)의 하단 지지축부(284)를 지지블록(270)의 지지홈(272)들 중 하나에 삽입함으로써, 패널(232)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2는 트레이커버가 수평대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10)는, 복수의 등기구 조립체(200) 사이에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트레이커버(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커버(300)는 그 전면이 케이스본체(210)의 전면, 즉 도어(220)의 전면과 일치하도록, 2개의 등기구 조립체(200) 사이마다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100)의 전방을 가리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래서, 트레이커버(300)는 2개의 등기구 조립체(20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과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100)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진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커버(300)는, 트레이커버(3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수평대(150)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고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커버(30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평대(15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트레이커버(300)가 장착고리(320)를 구비하는 경우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트레이커버(300)가 수평대(150)에 매우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커버(300)는, 트레이커버(300)의 전면에 부착되는 표지판(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지판(350)에는 다양한 표지와 문구가 표시될 수 있는데, 표지는 형광페인트로 도색될 수도 있고, LED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고리(320)는 전체적으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되, 후단부에 수평대(15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홈이 형성된 수평대(150)의 후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트레이커버(300)와 수평대(150)에도 대응하는 체결공(330)과 체결공(152)이 각각 형성되어,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325)에 의해 트레이커버(300)와 수평대(15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3은 트레이커버에 야광필름이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트레이커버(300)에는 표지판이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스티커 형태의 야광필름(360)이 부착될 수 있다. 야광필름(360)의 배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트레이커버(300)에 매우 쉽게 부착될 수 있다. 야광필름(360)은 다양한 형태의 문자, 기호, 도형 등으로 제작되어 감속운행, 진행방향, 비상구, 소화기 위치 등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에 의하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조명 각도를 쉽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케이블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등기구 패널의 일측에 광차단막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트레이커버를 구비하여 깔끔한 외관을 구현하며, 트레이커버에 표지판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100: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110: 지지판
120: 트레이 브라켓 130: 케이블 트레이
135: 배수홀 140: 커버
150: 수평대 152: 체결공
160: 등기구 고정대 161: 체결공
162: 체결부재 163: 걸이부 높이조절 체결장공
165: 걸이부
200: 등기구 조립체 210: 케이스본체
212: 배선구멍 213: 전선
215: 힌지부 217: 각도조절부
218: 체결부재 220: 도어
222: 손잡이 225: 잠금장치
230: 등기구 232: 패널
233: 체결부 235: LED모듈
240: 광차단막 250: 반사필름
261: 회동축부 262: 회동지지부재
263: 회동지지부재 264: 상반부
265: 걸림돌기 266: 톱니부
267: 체결공 269: 나사
270: 지지블록 272: 지지홈
280: 지지바 282: 회동축
284: 지지축부
300: 트레이커버 310: 플레이트
320: 장착고리 325: 체결부재
330: 체결공 350: 표지판
360: 야광필름

Claims (10)

  1. 터널의 측벽에 장착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소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등기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등기구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등기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터널의 측면에 장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 상에 장착되어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복수의 트레이 브라켓의 전단면에 부착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에 결합되는 등기구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바닥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면 및 하면의 전방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호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등기구의 패널과 체결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 조립체는, 상기 등기구 패널의 일측에 결합되어 빛을 차단하는 광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등기구 조립체 사이에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트레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트레이커버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대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트레이커버의 전면에 부착되는 표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표지판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KR1020190123838A 2019-10-07 2019-10-07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KR20210041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38A KR20210041308A (ko) 2019-10-07 2019-10-07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38A KR20210041308A (ko) 2019-10-07 2019-10-07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08A true KR20210041308A (ko) 2021-04-15

Family

ID=7544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38A KR20210041308A (ko) 2019-10-07 2019-10-07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30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8640A (ja) 2009-12-28 2011-07-14 Kyoritsu Densho:Kk トンネル用照明器具
KR101722048B1 (ko) 2016-07-25 2017-03-31 한국주택시설관리(주) 터널용 조명 장치
KR101953377B1 (ko) 2017-09-15 2019-03-04 류경 터널 벽면 및 터널 노면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8640A (ja) 2009-12-28 2011-07-14 Kyoritsu Densho:Kk トンネル用照明器具
KR101722048B1 (ko) 2016-07-25 2017-03-31 한국주택시설관리(주) 터널용 조명 장치
KR101953377B1 (ko) 2017-09-15 2019-03-04 류경 터널 벽면 및 터널 노면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879A (en) Combination light fixture/HVAC duct/advertising card holder for mass transit vehicles
US20110273877A1 (en) Linear Lighting System
US20070008732A1 (en) Illuminated bedrail for pickup trucks
KR20100031155A (ko) 조명을 구비하는 어닝용 프론트바
KR101984757B1 (ko) 낙하 및 탈락 방지를 위한 터널 등기구용 잠금장치
JP2012038504A (ja) 屋外用照明器具
KR20170095722A (ko) 발광다이오드 터널등
KR101285691B1 (ko) 주차장용 조명장치
JP5578895B2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照明装置
KR101506492B1 (ko) 터널등용 하우징
JP6798801B2 (ja) 照明器具を備えた建材
KR20210041308A (ko) 터널 케이블 트레이 및 등기구 조립체
KR101391596B1 (ko) 엘리베이터 천장에 설치되는 led 조명 시스템
KR100975145B1 (ko) 난간용 조명기기
CN110953507B (zh) 一种通用型灯具、拼接式灯体及投光灯
EP3339529B1 (en) A window assembly
KR100934431B1 (ko) 건축용 보행자 유도등
EP2837878B1 (en) Lighting device for indoor parking lot
KR20080009180A (ko)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JP2019220265A (ja) 照明器具
KR200429262Y1 (ko) 조명각도가 조절되는 횡단보도용 교통안내표지판
CN214064719U (zh) 黑板灯及黑板灯安装结构
KR101192294B1 (ko) 난간용 조명기구의 고정 장치
KR200323697Y1 (ko) 안전개폐구조를 구비한 터널조명등
CN214094200U (zh) 便于安装的黑板灯及黑板灯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