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182A -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182A
KR20210041182A KR1020190123531A KR20190123531A KR20210041182A KR 20210041182 A KR20210041182 A KR 20210041182A KR 1020190123531 A KR1020190123531 A KR 1020190123531A KR 20190123531 A KR20190123531 A KR 20190123531A KR 20210041182 A KR20210041182 A KR 2021004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moss
manufacturing
ornamental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계욱
신희라
Original Assignee
박계욱
신희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욱, 신희라 filed Critical 박계욱
Priority to KR102019012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182A/ko
Publication of KR2021004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대상 석재, 이끼, 참도박 점액, 접착제 및 지의류가 형성된 석재를 파쇄한 돌가루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단계, 상기 참도박 점액, 상기 접착제 및 상기 돌가루를 혼합하여 부착물질을 생성하는 재료 혼합단계,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 중 상기 이끼를 착상할 위치에 상기 부착물질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부착물질이 도포된 위치에 이끼를 착상하는 이끼 착상단계 및 상기 돌가루를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에 착상된 상기 이끼에 첨가하는 돌가루 첨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ornamental moss stone}
본 발명은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착물질을 제조하여 대상 석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이끼를 착상함으로써 석재의 표면에 이끼가 부착된 관상용, 조경용 석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조경용 석재로 사용되는 이끼석은 미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이끼의 공기정화 효과, 항균효과, 탈취효과, 진정작용 및 스트레스 완화 등의 효과가 있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관상용 이끼석은 대부분 산에서 무단 채취하여 유통되고 있으며, 자연산 이끼석은 희소성 때문에 고가로 유통되고 있다. 또한, 조경 업체에서는 중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붉은 개미 문제로 수입이 중단된 상태이다.
자연산 이끼석은 이끼를 떼어낸 이후에 이끼가 다시 착상이 안되며, 일반 석재에 이끼를 착상하여 이끼석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끼의 착상 및 식생이 어려워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명주실과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석재의 표면 위에 고정시킨 후 이끼가 석재에 뿌리를 내려 착상하는 것을 기다려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이끼가 착상하는데 통상 1년 이상의 긴 시간이 필요하고, 이끼의 착상이 어려워 대부분 이끼가 착상하기 전에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1855호에서는 이끼배양액을 이용한 이끼조형물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발명에 의하더라도 이끼가 착상하여 이끼석이 제조되는 것이 어렵고 배양토를 이루는 피트 모스, 영양제인 하이포넥스를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쉽게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3618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쉽고 간단하면서도 짧은 기간 내에 석재에 이끼를 착상시킬 수 있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관상용 이끼석을 제조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구하기 쉬운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이끼의 착상이 잘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대상 석재, 이끼, 참도박 점액, 접착제 및 지의류가 형성된 석재를 파쇄한 돌가루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단계, 상기 참도박 점액, 상기 접착제 및 상기 돌가루를 혼합하여 부착물질을 생성하는 재료 혼합단계,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 중 상기 이끼를 착상할 위치에 상기 부착물질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부착물질이 도포된 위치에 이끼를 착상하는 이끼 착상단계 및 상기 돌가루를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에 착상된 상기 이끼에 첨가하는 돌가루 첨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 혼합단계는 상기 부착물질을 상기 참도박 점액, 상기 접착제, 및 돌가루의 배합비율을 부피비로 1:1:2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에 상기 부착물질이 도포될 식생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도박 점액은 참도박 및 물을 부피비로 1:1로 혼합하여 센불에서 8분 내지 10분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가루 첨가단계의 이후에 상기 대상 석재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계를 더 포함하고, 분사단계 에서는 식물 영양제와 물을 혼합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가루 첨가단계의 이후에 상기 대상 석재를 습도 70 내지 80%, 온도 15℃ 내지 25℃인 환경에 두고 이끼를 배양하는 이끼 배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와 일반적인 석재를 이용하여 관상용 이끼석을 제조함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이끼석을 제조하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끼석을 실내외에 배치하여 경관을 수려하게 하고 항균효과, 탈취효과, 공기정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이끼석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여 종래 방법과 달리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끼석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대상 석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이끼가 재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이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참도박 점액을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지의류가 형성된 석재를 파쇄한 돌가루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서 재료 혼합단계의 부착물질을 혼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서 도포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서 이끼 착상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서 돌가루 첨가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관상용 이끼석, 아연관, 스테인레스 철강 및 PVC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부착물질을 제조하여 조경석에 도포하고, 그 위에 이끼를 착상시켜 식생함으로써 관상용 이끼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재료 준비단계(S100), 재료 혼합단계(S200), 도포단계(S300), 이끼 착상단계(S400), 돌가루 첨가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료 준비단계(S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필요한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대상 석재, 이끼, 참도박 점액, 접착제 및 지의류가 형성된 석재를 파쇄한 돌가루가 필요한 재료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대상 석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대상 석재는 최종적으로 이끼가 부착되어 조경 및 관상용으로 사용될 석재를 의미한다. 이끼와 같은 지의류는 자연석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이끼석은 희소성을 가지는데, 본 발명에서 대상 석재는 일반적인 석재는 어떤 것이라도 재료가 될 수 있다.
이끼는 관다발 조직이 없고 배우체가 광합성을 수행하면서 살아가는 식물로 지의류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이끼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끼류 식물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이끼가 재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대상 석재에 부착되어 식생될 이끼는 별도로 재배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에 사용되는 이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될 이끼를 준비한다.
참도박 점액은 참도박에 물을 섞어 끓여 제조할 수 있다. 참도박은 홍조류 지누아릿과에 속한 해조(海藻)로, 몸은 엽상이며 여러 갤래로 갈라지고 붉은 자줏빛을 띈다. 참도박을 끓이면 점성이 강한 점액이 추출될 수 있다. 참도박 점액은 접착 기능 외에도 이끼의 뿌리 착상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참도박 점액을 제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를 참조하면 참도박 점액은 참도박 및 물을 부피비로 1:1로 혼합하여 센불에서 8분 내지 10분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접착 성질을 가지는 물질로서, 부착물질이 대상 석재에 도포되어 흡착할 수 있게 하고, 이끼가 생장하는데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이끼가 대상 석재에 착상할 수 있게 한다.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을 사용할 수 있다. PVA는 물에 잘 녹고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으므로, 물과 혼합하면 접착성이 강하면서도 독성이 없는 접착제를 만들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지의류가 형성된 석재를 파쇄한 돌가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의류가 형성된 석재는 자연상태에서 이끼 등 지의류가 형성되어 있는 석재로, 상기 석재를 파쇄하여 돌가루를 생성할 수 있다. 자연상태에서 이미 지의류가 형성되어 있어 지의류가 생장하는데 필요한 조건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돌가루는 본 실시예에서 이끼가 대상 석재에 착상하여 생장하는데 필요한 환경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재료 혼합단계(S200)는 상기 재료 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재료 중 참도박 점액, 접착제, 돌가루를 혼합하여 부착물질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부착물질을 혼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질을 제조하는 경우 참도박 점액, 접착제, 돌가루의 배합비율을 부피비로 1:1:2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합으로 제조된 부착물질은 대상 석재에 이끼가 부착하고 생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적합한 배율이다.
도포단계(S300)는 제조된 부착물질을 대상 석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과정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서 도포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부착물질을 젓가락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대상 석재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하게 된다. 이 때, 대상 석재의 표면 중에서 이끼를 착상할 위치에 부착물질을 도포하는데 다수의 위치에 도포할 수도 있다.
이끼 착상단계(S400)는 부착물질이 도포된 위치에 이끼를 착상하는 과정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서 이끼 착상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석재의 표면에 부착물질을 도포하고 그 위에 이끼를 착상할 수 있다. 종래의 이끼석 제조방법과는 상이하게 명주실과 같은 고정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부착물질에 의하여 용이하게 착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돌가루 첨가단계(S500)는 재료 준비단계(S100)에서 파쇄한 돌가루를 이끼에 뿌려주는 과정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서 돌가루 첨가단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가루를 이끼에 적당히 뿌려줄 수 있다. 돌가루는 지의류가 형성된 석재를 파쇄하여 제조하였으므로 이끼가 생장하는데 필요한 환경조건을 제공할 수 있어 착상된 이끼가 대상 석재에 뿌리를 내리고 생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도포단계(S300)에서는 대상 석재의 표면에 부착물질이 도포될 식생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상 석재를 마모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상 석재의 표면이 고르지 않을 수 있으므로, 대상 석재의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거나 이끼의 뿌리가 내릴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만드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석재의 표면에 이러한 식생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상 석재를 마모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돌가루 첨가단계(S500) 이후에 착상된 이끼의 생장을 위하여 대상 석재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단계에서는 식물 영양제와 물을 혼합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돌가루 첨가단계(S500) 이후에 대상 석재를 습도 70 내지 80%, 온도 20℃ 내지 25℃인 환경에 두고 이끼를 배양하는 이끼 배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대상 석재에 착상된 이끼가 뿌리를 내리고 자생력을 갖추게 하는 최적의 환경조건이다. 이끼 배양단계를 거쳐 이끼는 대상 석재의 표면에 완전하게 착상하여 관상용 이끼석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이끼석을 제조하면, 통상 2개월 내외의 기간 안에 이끼가 부착된 이끼석을 쉽게 제조할 수 있어 기간이 짧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끼석을 실내에 배치하면 미관을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이끼가 피톤치드를 발생시켜 사람이 흡입하여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기에 대한 항균효과, 탈취효과, 진정작용의 효과가 있다. 실외에 배치할 경우 이끼에 미량금속, 미세먼지를 흡착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고 탄소고정화에 의하여 공기중의 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관상용 이끼석, 아연관, 스테인레스 철강 및 PVC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끼석 제조방법의 경우 석재 이외에도 아연관, 스테인레스 철강, PVC 파이프와 같은 다른소재에도 이끼의 착상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8)

  1. 대상 석재, 이끼, 참도박 점액, 접착제 및 지의류가 형성된 석재를 파쇄한 돌가루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단계;
    상기 참도박 점액, 상기 접착제 및 상기 돌가루를 혼합하여 부착물질을 생성하는 재료 혼합단계;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 중 상기 이끼를 착상할 위치에 상기 부착물질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부착물질이 도포된 위치에 이끼를 착상하는 이끼 착상단계; 및
    상기 돌가루를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에 착상된 상기 이끼에 첨가하는 돌가루 첨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혼합단계는,
    상기 부착물질을 상기 참도박 점액, 상기 접착제, 및 돌가루의 배합비율을 부피비로 1:1:2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에 상기 부착물질이 도포될 식생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 석재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석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도박 점액은,
    참도박 및 물을 부피비로 1:1로 혼합하여 센불에서 8분 내지 10분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가루 첨가단계의 이후에 상기 대상 석재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단계는,
    식물 영양제와 물을 혼합하여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가루 첨가단계의 이후에 상기 대상 석재를 습도 70 내지 80%, 온도 15℃ 내지 25℃인 환경에 두고 이끼를 배양하는 이끼 배양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KR1020190123531A 2019-10-07 2019-10-07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KR20210041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31A KR20210041182A (ko) 2019-10-07 2019-10-07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31A KR20210041182A (ko) 2019-10-07 2019-10-07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182A true KR20210041182A (ko) 2021-04-15

Family

ID=7544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531A KR20210041182A (ko) 2019-10-07 2019-10-07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11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7602A (en) * 2020-11-06 2022-02-02 Chengdu Inst Biology Cas Method for applying moss sporophore suspension containing chitosan/glucan in greenery coverage of bare lan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55B1 (ko) 2011-07-05 2014-02-12 황정권 이끼배양액을 이용한 이끼조형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55B1 (ko) 2011-07-05 2014-02-12 황정권 이끼배양액을 이용한 이끼조형물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7602A (en) * 2020-11-06 2022-02-02 Chengdu Inst Biology Cas Method for applying moss sporophore suspension containing chitosan/glucan in greenery coverage of bare land
GB2597602B (en) * 2020-11-06 2022-07-20 Chengdu Inst Biology Cas Method for applying moss sporophore suspension containing chitosan/glucan in greenery coverage of bare l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22262A (zh) 一种石莲花属的栽培方法
CN102577783B (zh) 一种不经低温或低温不足的牡丹冬季催花方法
CN103371091A (zh) 君子兰无土栽培基质及其制作方法
CN102754560B (zh) 优质滁菊穴盘扦插育苗的方法
CN104304030B (zh) 一种东方百合的繁殖方法
CN111990200A (zh) 一种树木附生兰花种植技术的方法
CN104604517A (zh) 一种瓜叶菊的培育方法
CN103416144B (zh) 一种培育高品质蝴蝶兰的方法
CN103718969B (zh) 一种诗琳通含笑离体培养再生植株方法
CN108124720A (zh) 一种寒旱区牡丹冬季花期调控方法
CN105917908B (zh) 一种硫华菊的矮化栽培方法
CN110622865B (zh) 一种培育周年可开花微型绣球花的方法及其专用诱导剂
KR20210041182A (ko) 관상용 이끼석 제조방법
CN104871967A (zh) 一种太行菊组培苗炼苗移栽的方法
CN104641838A (zh) 一种观赏凤梨温室栽培技术
CN107326044A (zh) 一种转基因白花兜兰的种植方法
CN106035018A (zh) 一种玉露的炼苗方法
CN105900805B (zh) 一种牡丹无土栽培技术
CN100493336C (zh) 尖叶提灯藓的栽培方法
KR100689755B1 (ko) 관상용 이끼식물 석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0771420A (zh) 一种红豆杉的育苗办法
CN105941124A (zh) 一种苎麻喷雾育苗方法及喷雾育苗装置
CN105340749B (zh) 一种澳洲茶油树无菌扦插快繁育苗的方法
CN109258375B (zh) 一种白芨花期的调控方法
CN108617422A (zh) 一种十二卷类多肉植物的种植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