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038A -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038A
KR20210041038A KR1020217006638A KR20217006638A KR20210041038A KR 20210041038 A KR20210041038 A KR 20210041038A KR 1020217006638 A KR1020217006638 A KR 1020217006638A KR 20217006638 A KR20217006638 A KR 20217006638A KR 20210041038 A KR20210041038 A KR 20210041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diaphragm
engin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021B1 (ko
Inventor
융춘 장
Original Assignee
융춘 장
선전 신치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융춘 장, 선전 신치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융춘 장
Publication of KR2021004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2Aspects regarding the stray flux internal or external to the magnetic circuit, e.g. shielding, shape of magnetic circuit, flux compensation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를 제공한다. 해당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환형 어레이식으로 분포되는 엔진 모듈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엔진 모듈은 상기 기둥형 스피커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장착 홀더를 통해 상기 기둥형 스피커의 내부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엔진 모듈은 모두 자기 전도 플레이트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내에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엔진 모듈이 상기 장착 홀더의 외주를 따라 동축으로 환형 배열되어 복수의 자극 방향을 가진 다극 자기장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단극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이 다극 방식을 통해 평면으로 둘러싸인 다극 자기장을 형성하여, 유도 다이어프램의 각각의 극면이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임의의 설정 가능 각도 공간으로 제어 가능 전력으로 음파를 방사하도록 하고, 다이어프램이 동시에 진동하여 더 많은 오디오 정보를 형성하도록 구동하여, 스피커의 전력 및 효율을 향상시키고, 반응 속도가 더 신속하게 된다.

Description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
본 발명은 전동 스피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중, 고음 스피커 유닛은 일반적으로 콘 스피커, 돔 스피커, 혼 스피커, 리본 스피커, 평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콘 스피커, 돔 스피커, 혼 스피커의 방사파의 파면은 구면파에 속하고, 구면파의 파면은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급격히 변하며, 보이스 코일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다이어프램 상에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우선 다이어프램의 가장자리(부분 중음 스피커는 다이어프램의 중심)에 전달된 후, 다시 점차적으로 전체 다이어프램의 기타 부위로 전달되므로, 당연히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순간에 다이어프램의 각 부위에 인가되는 힘이 비균일하여, 동일한 순간에 보이스 코일의 구동력에 따라 신속히 반응하지 못하므로, 다이어프램이 왜곡과 딜레이를 발생하게 된다.
리본 스피커와 평면 스피커의 방사파의 파면은 평면파에 속하며, 평면파의 특성에 따르면, 전파 방향에 수직되는 평면 상의 모든 질점의 진폭과 위상이 모두 균일하고(평행광과 유사함), 이는 왜곡도가 가장 낮은 이상적인 방사 방식으로 인정되고 있다. 평면파는 비록 왜곡도가 낮지만, 그 파면 범위를 초과한 확산 능력은 현저히 부족하고, 축외 지향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평면파는 거의 모두 스피커의 바로 앞방향을 향해 음파를 방사하고, 방사 협각이 120°(플러스 마이너스 60°)보다 클 때 확산 방사 수준이 급격이 떨어져, 180°~ 360°인 균일한 방사에 도달할 수 없으며, 비록 일부 리본 고음과와 고급 정전기 고음은 쌍극자에 속하여 그 배면도 소리를 방사할 수 있지만, 그 정면과 배면의 음파는 서로 반대되여, 180°의 위상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용 가치가 낮다.
기존의 리본 고음 스피커의 다이어프램과 보이스 코일(전기회로)는 일반적으로 일체 구조이며, 하나의 특별 제조된 변압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피커의 고주파 상한은 돔 고음보다 높을 수 있고, 또한 그 파면이 평면파인 특성도에 의해 그 음질이 일부 경우에 왜곡도가 낮도록 한다. 하지만, 다이어프램 사이즈와 중량이 주파수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주파수 대역 충분히 넓지 못하고, 공진 주파수가 2000Hz 이하에 달하기 어렵다. 동시에, 리본 고음 파면은 평면파에 속하므로, 지향성이 매우 좁다.
공기 역학 고음(AMT)은 등 자성체의 특수 리본 고음으로서, 마찬가지로 매우 슬림화된 필름(PI) 재질 상면에 금속 전기회로를 인쇄하여 제조되며, 다이어프램과 보이스 코일도 일체이며, 이는 리본 고음에 비해 그 다이어프램이 횡방향으로 주름 형태로 제조되고, 인접한 다이어프램 주름은 횡방향으로 기류를 가압하고 분출함으로써 음파를 방사한다. 그 고주파 상한도 리본 고음과 유사하며, 그 주파수 폭이 리본 고음보다 우수하다. 하지만, 그 특수한 다이어프램 주름 구조로 인하여 이는 직접 전방으로 음파를 방사하는 것이 아니라, 횡방향으로 기류를 가압하고 분출하여 음파를 방사한다. 이러한 방식의 기류 분사는 공기의 와류를 초래하여 별도의 기류음과 정재파를 발생하게 되고, 한편 음파가 횡방향 가압 및 충돌 상태에 처하여 동일한 파장의 음파 충돌 시 위상 왜곡이 발생하게 되며, 정수배의 고차 고조파 충돌 시 고조파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결함과 흠결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목적은 아래의 기술방안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은 기둥형 스피커에 적용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며,복수의 환형 어레이식으로 분포되는 엔진 모듈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엔진 모듈은 상기 기둥형 스피커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장착 홀더를 통해 상기 기둥형 스피커의 내부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엔진 모듈은 모두 자기 전도 플레이트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내에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엔진 모듈은 상기 장착 홀더의 외주를 따라 동축으로 환형 배열되어 복수의 자극 방향을 가진 다극 자기장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엔진 모듈은 서로 분리되고, 복수의 상기 엔진 모듈의 자극면은 각각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는 U형 자기 전도 플레이트이고,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성체가 설치되고,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의 U형 개구는 상기 기둥형 스피커의 다이어프램을 향하고, 상기 자성체의 일단의 단면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의 U형 저부 표면과 밀착되고, 상기 자성체의 타단의 단면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응되며,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의 양측의 연장부의 내벽 사이에 일장한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상기 자기장은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이다.
또한, 하나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와 2개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N개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와 N+1개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 홀더는 다각기둥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에이 설치된 복수의 제1 기둥면 및 상기 다이어프램이 설치되지 않은 제2 기둥면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장착 홀더의 외주 상에 둘러져 복수의 극면을 가진 다각기둥 형태의 다이어프램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 모듈은 상기 제1 기둥면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배면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기둥면 상에 상기 엔진 모듈과 매칭되는 U형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엔진 모듈의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의 배면은 상기 U형 장착홈의 표면과 밀착 연결되고, 상기 엔진 모듈의 상기 자극면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배면과 대응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전기회로가 인쇄되고, 상기 극면 간에 상기 전기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극면은 모두 평면으로서,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극면의 진동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확산하는 평면파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평면파는 서로 커플링되어 다극 커플링 평면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둥면 상에 백플레이트가 고정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백플레이트 상에 리드선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드선 인터페이스는 각각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인쇄된 상기 회로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적어도 3개의 상기 엔진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스피커를 더 제공하며, 기둥형 하우징 및 상기 기둥형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술한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는 고음 스피커 및/또는 중음 스피커이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유리한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의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은 단극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이 다극 방식을 통해 평면으로 둘러싸인 다극 자기장을 형성하여, 유도 다이어프램의 각각의 극면이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360° 또는 각도 설정 가능 공간으로 제어 가능 전력으로 음파를 방사하도록 하여, 공간 분포의 완전 확산 능력을 달성할 수 있다.
(2) 단극 엔진에 비해,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이 동시에 진동하도록 구동하여 더 많은 오디오 정보를 형성하고, 오디오 신호에 대해 고배율 해석하여, 스피커의 전력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다극 엔진 자기회로 구조에서 발생된 다극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은 균일하게 유도 다이어프램을 푸싱할 수 있으며, 기존 가동 코일형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보이스 코일과 연결된 부위로부터 기타 부위로 과도하여 발생되는 왜곡과 딜레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피커의 그룹 딜레이를 감소시키고, 반응속도도 더 신속하게 된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아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다양한 기타 이점 및 유리한 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또한 전체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조립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조립 구조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엔진 모듈로 구성된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개의 엔진 모듈로 구성된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자성체 엔진 모듈로 구성된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어레이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자성체 엔진 모듈로 구성된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어레이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자성체 엔진 모듈의 자기회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자성체 엔진 모듈의 자기회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푸리에 변환 분석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섀넌공식 분석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등가 회로 모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비록 첨부 도면에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지만, 본 출원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면, 이러한 실시형태는 본 출원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또한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은 기둥형 스피커(100)에 적용되며, 복수의 동심으로 배치되며 환형 어레이식으로 분포되는 엔진 모듈(10)을 포함하고, 복수의 엔진 모듈(10)은 서로 분리되며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고, 복수의 엔진 모듈(10)은 기둥형 스피커(100)의 하우징(101) 내에 설치된 장착 홀더(102)를 통해 기둥형 스피커(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하우징(101)은 장착 홀더(102)의 축선과 중첩되고, 장착 홀더(102)는 볼트를 통해 하우징(101)의 내부에 고정되고, 장착 홀더(102)의 외주 상에 다이어프램(20)이 접합 피복되고, 엔진 모듈(10)은 다이어프램(20)과 장착 홀더(102)의 외측면 사이에 장착된다.
엔진 모듈(10)은 자성체(1)와 자기 전도 플레이트(2)를 포함하고, 자기 전도 플레이트(2)는 U형 자기 전도 플레이트이며 일체형 구조이고,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U형 개구는 다이어프램(20)을 향하고, 자기 전도 플레이트(2)는 베이스 플레이트부(21)와 베이스 플레이트부(21) 양측에 위치하는 연장부(22)를 포함하고, 자성체(1)는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베이스 플레이트부(21) 상에 장착되고, 자성체(1)의 일단(하단)의 단면은 베이스 플레이트부(21)의 상면과 밀착되고, 자성체(1)의 타단(상단)의 단면은 다이어프램(20)의 내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응되며 평행되고, 연장부(22)의 단면(221)은 자성체(1)의 타단(상단)의 단면과 상술한 엔진 모듈(10)의 자극면을 형성한다. 상술한 자성체(1)의 상, 하 양단은 자성체(1)의 자극단(N 또는 S)이다.
자성체(1)의 좌, 우 양측면(비 자극단) 각각은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양측의 연장부(21)의 내벽과 일정한 간격이 존재하여, 자성체(1)와 자기 전도 플레이트(2) 사이에 평면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한다. 복수의 엔진 모듈(10)은 장착 홀더(102)의 외주를 따라 동축으로 환형 배열되어 복수의 자극 방향을 가진 다극 자기장을 형성한다. 전류를 통과시킨 후, 다이어프램(20)은 다극 자기장에서 전자 유도가 발생되어, 다이어프램(20)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장착 홀더(102)는 다각 기둥형 구조로서, 다이어프램(20)이 설치된 복수의 제1 기둥면 및 다이어프램(20)이 설치되지 않은 제2 기둥면을 포함하고, 다이어프램(20)은 복수의 제1 기둥면 상에 둘려싸여 복수의 극면(201)을 가진 다각기둥 다이어프램을 형성하고, 극면(201)의 배면은 PCB 지지 플레이트(30)를 통해 장착 홀더(102)의 외측 표면에 밀착 연결된다. 장착 홀더(102)의 제1 기둥면 상에 엔진 모듈(10)과 매칭되는 U형 장착홈(1021)이 설치되고,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배면은 U형 장착홈(1021)의 표면과 밀착 연결되고, 엔진 모듈(10)의 자극면은 극면(201)의 배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응된다. 제2 기둥면 상에 백플레이트(103)가 고정 장착되어 있고, 백플레이트(103) 상에 리드선 인터페이스가 설치되며, 리드선 인터페이스는 각각 다이어프램(20) 상에 인쇄된 회로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만약 장착 홀더(102)가 사각기둥 구조이면, 장착 홀더(102)는 3개의 제1 기둥면과 하나의 제2 기둥면을 포함하고, 다이어프램(20)은 3개의 극면(201)을 구비한다. 만약 장착 홀더(102)가 육각기둥 구조이면, 장착 홀더(102)는 5개의 제1 기둥면과 하나의 제2 기둥면을 포함하고, 다이어프램(20)은 5개의 극면(201)을 구비하며, 즉 장착 홀더(102) 상에 항상 하나의 기둥면이 백플레이트(103)으로서 남게 된다. 장착 홀더(102)는 솔리드 구조일 수 있고 중공 구조일 수도 있다.
다각기둥 다이어프램(20)의 각각의 극면(201)는 모두 평면이고, 각각의 극면(201)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며(즉 복수의 극면(201)의 각도가 서로 다르다), 각각의 극면(201) 간에 인쇄된 전기회로를 통해 연결되어, 오디오 전류를 통과시키면, 오디오 신호가 백플레이트(103)(제2 기둥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류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고, 서로 다른 방향의 극면(201)이 진동하여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확산되는 평면파를 형성하고, 상술한 서로 다른 방향의 평면파는 서로 커플링되어, 다극 커플링 평면파를 형성할 수 있다. 다극 커플링 평면파는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확산되어 원통파를 형성하여, 음파를 포함하는 공기 입자가 충돌하여 형성되는 충돌 기류를 줄이고, 정재파를 줄이며, 스피커(100)가 기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20)의 극면(201)의 수량 및 각각의 극면(201)의 크기, 형상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다이어프램(20)의 단면 형상은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인 다각형 면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과정에서, 다이어프램(20)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짝수 다각형이다. 다이어프램(20)의 극면(201)(기둥면)의 수량은 다각형인 에지의 수량에서 1을 뺀 것이고, 엔진 모듈(10)의 수량과 다이어프램(20)의 극면(201)의 수량이 매칭된다. 예를 들어, 도 3은 3개의 극면(201)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과 3개의 엔진 모듈(10)을 구비하는 스피커(100)를 나타내며, 3개의 극면(201)의 폭이 서로 다르고, 3개의 엔진 모듈(10) 중 자성체(1)의 수량이 다르며, 제1 극면(2011)과 제3 극면(2013)의 폭이 동일하고 하나의 자성체(1)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극면(2012)의 폭이 증가하고 3개의 자성체(1)가 설치되어 있다. 자성체(1)의 수량이 다르므로,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폭이 대응되게 변경된다. 도 4는 5개의 극면(201)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과 5개의 엔진 모듈(10)을 구비하는 스피커(100)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극면(201)의 폭, 자성체(1)의 수량,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사이즈는 모두 동일하다. 다이어프램(20)의 단면이 사각형일 때, 다이어프램(20)은 3개의 극면(201)을 구비하고, 다이어프램(20)의 단면이 육각형일 때, 다이어프램(20)은 5개의 극면(201)을 구비한다.
각각의 극면(201)은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특정 각도로 둘러싸이므로, 다이어프램(20)은 서로 다른 범위 내의 사운드 방사를 구현할 수 있고, 다이어프램(20)의 복수의 극면(201) 진동으로 형성되는 파면의 방사 범위는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극면의 다이어프램(20)은 180° 범위 내의 균일한 사운드 방사를 구현할 수 있고, 3개 극면보다 큰 다이어프램(20)은 360° 범위 내의 균일한 사운드 방사를 구현할 수 있다. 360° 전 지향 모드인 경우, 진동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이어프램(20)의 서로 다른 극면(201)의 사이즈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다이어프램(20)의 단면은 정육각형이다. 180° 지향 모드일 경우, 다이어프램(20)의 서로 다른 극면(201)의 사이즈 크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의 다이어프램(20)의 단면은 3개의 극면인 비평행 사각형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20)의 단면은 사각형으로서, 3개의 극면(201)을 가지고, 극면(201)은 순차적으로 연결된 3개의 비규칙적인 제1 극면(2011), 제2 극면(2012) 및 제3 극면(2013)을 포함하고, 사각형 단면 중 다이어프램(20)은 백플레이트의 일측이 다이어프램(20)인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고, 오디오 신호는 백플레이트(103)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류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어, 다이어프램(20)의 신호 연결부로부터 다이어프램(20)이 진동하도록 푸싱하며, 제1 극면(2011), 제2 극면(2012) 및 제3 극면(2013)은 각각 진동하여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확산되는 평면파를 발생하고, 서로 다른 방향의 평면파는 커플링되어 다극 커플링 평면파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20)이 3개의 극면(201)을 구비하므로, 대응되게, 둘러싸여 형성된 다이어프램(20) 내에 3개의 엔진 모듈(1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엔진 모듈(10)은 자성체(1)와 자기 전도 플레이트(2)를 포함하고, 다이어프램(20)은 5개의 사이즈가 동일한 극면(201)을 포함하고, 5개의 각도가 서로 다른 극면(201)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둘러싸여 단면이 정육각형인 다이어프램(20)을 형성하고, 대응되게, 둘러싸여 형성된 다이어프램(20) 내에 5개의 엔진 모듈(10)이 설치되어 있다. 오디오 신호는 백플레이트103(제2 기둥면)의 일측에 위치한 전류 입력 인터페이스 지점으로부터 다이어프램(20)의 신호 연결부로 입력되고, 5개의 극면(201)은 각각 이에 대응되는 5개의 엔진 모듈(10)의 자기장에서 전자 유도를 생성하여, 각각의 극면(201)이 각각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하도록 한다. 5개의 각도가 서로 다른 극면(201)을 사용하고, 인접한 2개의 극면(201) 간에 120° 협각 이상인 확산 방식으로 커플링되고 서로 다른 공간으로 지향하며, 다이어프램(20)이 진동하여 형성되는 파면의 방사 범위를 확대한다.
엔진 모듈(10)이 단독으로 자성체(1)를 사용하면 자속 누설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여 발생하는 자성체(1)는 표유 자기장을 발생하여, 서로 다른 평면의 자기장에 대해 간섭한다. 따라서, 자성체(1)의 둘레에 자기 전도 플레이트(2)를 추가적으로 장착하여, 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피커(100)의 자기장 간섭도 차단할 수 있다.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U형 반 밀폐 구조는 자속 누설과 표유 자기장의 간섭을 방지하고, 스피커(100)의 자기장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자기 전도 플레이트(2)를 사용하면 조립이 더 신속하고 편리해지며, 자성체(1)가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20)의 각 극면(201) 내의 독립 엔진 모듈(10)은 분포식 어레이 방식으로 중첩되어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을 형성한다. 자성체(1)와 자기 전도 플레이트(2)로 구성된 엔진 모듈(1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은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이고,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은 다극 자기장이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엔진 모듈(10)의 수량 및 레이아웃 방식은 스피커의 전력, 자기력 강도, 전기회로의 유도 강도 및 다이어프램의 구체적 용도(예컨대 고음, 중음 또는 중고음 통합 스피커에 사용) 등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각각의 엔진 모듈(10) 중 자성체(1)는 단일 자성체일 수 있고 복수의 단일 자성체로 이루어진 복합 자성체일 수도 있다. 다이어프램(20)의 극면(201)의 수량, 각각의 극면(201)의 사이즈, 및 전체 스피커(100)의 기둥형 단면 직경의 크기는 자성체(1)의 3차원 사이즈 및 수량을 직접 결정하고, 또한 스피커(100)의 효율을 결정한다. 극면(201)의 수평 사이즈 또는 면적이 클수록, 자성체(1)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도 더 크고, 자성체(1)의 수량이 더 많게 된다.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1) 및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자극 방향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자성체로 구성된 엔진 모듈(10)은 U형 자기 전도 플레이트(2)와 자기 전도 플레이트(2) 내에 설치된 자성체(1)를 포함하고, 자성체(1)의 N극은 위를 향하고, S극은 아래를 향하며, 자성체(1)의 제1 단면(아래 단면)은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베이스 플레이트부(21)에 밀착되고, 자성체(1)와 자기 전도 플레이트(2) 사이에 자기회로가 형성되며, 다이어프램(20)이 자기회로에서 형성한 전자 유도력은 상기 다이어프램(20)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하도록 푸싱할 수 있다. 자기 전도 플레이트(2)는 자성체(1)의 S자극을 베이스 플레이트부(21)를 거쳐 베이스 플레이트부(21) 양측에 위치하는 연장부(22) 상으로 전도할 수 있고, 자성체(1)의 N극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선은 각각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좌, 우 양측의 연장부(22) 상에 도달한 후, 다시 자성체(1)의 S극으로 되돌아와, 도 8에 도시된 의 제1 자기회로(31)와 제2 자기회로(32)를 형성한다.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좌, 우 양측의 연장부(22)의 단면(221)의 높이는 자성체(1)의 높이(자성체(1)의 N극과 S극 사이의 거리)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며, 제1 자기회로(31)와 제2 자기회로(32)로 구성된 자기장은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이다.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성체(1) 및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자극 방향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자성체로 구성된 엔진 모듈(10)은 U형 자기 전도 플레이트(2) 및 U형 자기 전도 플레이트(2) 내에 설치된 복수의 자성체(1)를 포함하고, 복수의 자성체(1)가 자기 전도 플레이트(2) 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 배열되며, 인접한 자성체(1)의 자극 방향이 반대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기 전도 플레이트(2) 내에 3개의 자성체(1)가 설치되어 있고, U형 자기 전도 플레이트(2)에 가까운 양측 내벽의 제1 자성체(11), 제3 자성체(13)의 N극은 위로 향하고, S극은 아래로 향하며; 자기 전도 플레이트(2)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자성체(12)의 S극은 위로 향하고, N극은 아래로 향한다. 자기 전도 플레이트(2)는 제1 자성체(1), 제3 자성체(13)의 S자극을 각각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좌, 우 양측의 연장부(22) 상으로 전도하여, 도시된 제1 자기회로(31)와 제2 자기회로(32)를 형성하고, 인접한 자극 방향이 반대되는 3개의 자성체(1) 사이에 각각 제3 자기회로(33)와 제4 자기회로(34)가 형성되어, 자기 유도 강도를 증가시킨다.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양측 연장부(22)의 단면(221)과 자성체(1)의 제2 단면(상단면)은 대체적으로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또한 단면(221)은 내측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경사져, 자기 누설을 감소시킨다.
복합 자성체로 구성된 엔진 모듈(10)에서, 자성체(1)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기회로의 수량도 증가하고, N개의 자성체(1)와 자기 전도 플레이트(2)는 N+1개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자기 전도 플레이트(2)는 좌, 우 양측 가장 바깥쪽 2개의 자성체(1)의 배면(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저면과 밀착되는 일면)의 자극을 가장자리로 전도하여 자성체(1)의 정면(다이어프램(20)에 가까운 일면)의 자극과 N+1개의 자기회로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자성체(1)의 수량은 일반적으로 홀수로서, 자기 전도 플레이트(2) 좌, 우 양단에 위치하는 자성체(1)의 자극 방향이 동일하고, 자기 전도 플레이트(2)의 좌우 양측의 연장부(22)로 전도된 자극이 동일하도록 하여, 더 효과적으로 자기 전도 플레이트(2)와 결합하여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복합 자성체로 구성된 엔진 모듈(10)을 사용함으로써, 자기회로의 수량을 증가시켜, 다이어프램(20)이 더 강한 자기장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다이어프램(20)의 진동을 위해 더 강한 전자기 유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엔진 모듈(10)은 조립 과정에서, 우선 각 자성체(1)에 대해 미리 자화한 후, 자성체(1)를 자기 전도 플레이트(2) 상에 접착 조립한다. 한편, 자기 전도 플레이트(2)는 자기 도체에 속하므로, 능동적으로 자성체(1)에 흡인되고, 자성체(1)는 조립 과정에서 쉽게 부딪쳐 파단될 수 있으며, 조립 난이도를 낮추기 위하여, 자성체(1)의 축방향 사이즈를 일정한 범위 내에 한정하여야 한다. 만약 스피커(100)의 높이 사이즈가 보다 크면, 복수의 축방향 사이즈가 보다 작은 자성체(1)를 상하 병렬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에서, 자성체(1)는 N50 또는 더 높은 레벨의 NdFeB 자성체를 사용하여, 보다 강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성체(1)의 사이즈가 더 작을 수 있다. 자성체(1)는 기타 영구 자성체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만약 스피커(100)의 기둥형 단면의 직경이 충분히 크거나 또는 각각의 독립 엔진 모듈(10)이 모두 복합 자성체를 사용하면, 다극 엔진 어레이의 모드에서 발생되는 스피커(100)의 전력 및 효율이 기타 유형의 중음 또는 고음 스피커보다 훨씬 크게 된다.
스피커(100)의 하우징(101)은 규칙적 또는 비규칙적인 기둥형 구조일 수 있고, 하우징(101)이 규칙적인 기둥형 구조일 때, 하우징(101)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극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이 다극 방식을 통해 평면으로 둘러싸인 다극 자기장을 형성하여, 다극면 다이어프램의 각각의 극면이 각각 서로 다른 각도의 다극 방식으로 360° 또는 임의의 각도 설정 가능 공간으로 제어 가능 전력으로 음파를 방사하도록 하여, 음파 공간 분포의 완전 확산 능력을 달성할 수 있다.
단극 엔진에 비해, 복수의 엔진 모듈(10)로 이루어진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이어프램(20)이 진동하도록 구동하여 더 많은 오디오 정보를 형성하고, 소리에 대해 고배율 해석하여, 소리의 슈퍼 해석 능력을 달성한다. 다극 엔진 어레이의 자기회로 구조에서 발생된 다극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은 균일하게 유도 다이어프램을 푸싱할 수 있으며, 기존 가동 코일형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보이스 코일 과 연결된 부분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과되하여 발생되는 왜곡과 딜레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피커의 그룹 딜레이를 감소시키고, 반응속도도 더 신속하게 된다.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에 대해 고배율 해석을 수행하고, 동적 내역에 대해 심도 환원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엔진 모듈(10)의 공간 어레이 분포에 의해 음파가 음파가 완전히 확산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0)의 각각의 극면(201) 사이의 전기회로는 모두 통로이고, 각각의 극면(201)은 모두 이에 매칭되는 독립 엔진 모듈(10)이 존재하므로, 동시에 동일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각각의 극면(201)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일련의 복잡한 진동을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푸리에 변환 원리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오디오 해석에 대해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질점 운동과 푸리에 변환 원리에 따라, 만약 접속된 것이 전체 주파수 신호이면, 주파수 영역으로부터 볼 때, 발생된 신호는 합성된 후의 복합파이고; 시간영역으로부터 볼 때, 발생된 신호는 질점 운동의 총합이다. 만약 추가적으로 푸리에 해석 원리를 이용하여 해당 복합파 또는 질점 운동의 총합에 대해 해석하면, 복수의 단순파를 얻게 되며, 여기서 각각의 단순파의 파동 및 각 엘리먼트 세그먼트의 질점 변위는 사인 또는 코사인 함수 법칙을 따르는 단진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독립 엔진 모듈(10)이 극면 분포식 어레이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기존 단일 엔진 스피커가 협력하여 작동하는 것에 해당되며, 즉 동일한 채널의 신호는 푸리에 변환 원리에 따라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의 파동 모드로 복수회 중첩하여 최종적으로 전기-힘-사운드 변환 과정을 완성한다. 이러한 멀티 엔진 극면이 공통으로 완성한 완전한 파동 상태는 ΣE = E1+ E2+ … + En 또는 ΣE = E × n로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ΣE는 스피커의 모든 엔진 모듈의 중첩 또는 스태킹을 의미하고, E는 단일 엔진 모듈을 의미하고, n은 엔진 모듈(극면)의 수량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는 전류 입력을 의미하고, “-”는 전류 출력을 의미하고, 5개의 독립 엔진 모듈(10)은 정육각형 어레이를 이루고, 이에 밀착된 다이어프램(20)의 서로 다른 극면(201)이 진동하도록 구동하며, 각각 E1 내지 E55개의 엔진 모듈(10)의 해석력을 획득할 수 있고, 5개의 서로 다른 해석력은 중첩 또는 스태킹을 거쳐 모든 엔진 모듈(10)의 해석력을 있으며,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심층적이고 섬세한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극면(201)이 구동하여 발생되는 음파 방사 방향은 모두 서로 다르며, 복수의 음파는 서로 중첩 또는 스태킹 커플링되어, 음파가 360° 전 방향 방사 확산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섀넌공식을 이용하여 스피커의 오디오 해석에 대해 분석할 수 있으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우선 섀넌 정보론 관련 용어와 성학 관련 용어에 대해 등가 비유한다.
채널(Channel): 신호의 오디오 채널에 비유할 수 있으며, 즉 스피커의 전기회로에 접속되는 오디오 신호(Audio Channel)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기존 스피커는 하나의 오디오 신호만 접속되며, 하나의 채널만 구비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복수의 엔진 모듈(10)은 동일한 채널을 엔진 모듈(10)의 수량과 동일한 복수의 채널로 분류한다.
대역폭(Bandwidth):주파수 폭에 비유할 수 있으며, 즉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성분의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로서, 대역폭은 용량과 정비례되고, 단위는 Hz이고, 공식 중에서 H이다.
속율(Velocity):질점 변위가 경과한 파장(λ)과 해당 파장(λ)을 통과한 시간(t)의 비율에 비유할 수 있으며, v=λ/t이다. 속율은 속도와 다르지만, 속도와 정비례된다. 음파의 주파수는 소리를 발생하는 음원에 의해 결정되며, 소리를 전파하는 매체에 의해 변하지 않으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파는 동일한 매체에서 전파 속율이 다르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그 파장이 더 크고, 속율이 더 크며; 반대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그 파장이 더 작고, 속율이 더 작다. 성학에서 속율은 대역폭의 저주파측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착오율(Error Rate):왜곡율(Distortion Rate)과 등가할 수 있다.
섀넌공식 C=Hlog2(1+S/N)에 따르면, 정보 용량(C)은 채널, 대역폭(H), 속율(v)과 모두 정비례되지만, 착오율은 정보 용량(C), 채널, 대역폭(H)과 반비례되고, 속율(v)과 정비례된다. 여기서, S/N는 신호대 잡음비, S는 신호 전력(W), N은 노이즈 전력(W)이다. 정보 용량(C)은 채널의 최대 전송 능력이다. 즉, 만약 채널의 정보 소스 속율(R)이 채널 용량(C) 이하이면, 이론적으로 정보 소스의 출력은 임의의 작은 착오율로 채널을 통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속율(v)을 파장과 시간의 비율로 등가하고, 채널 용량(C)을 주파수 폭(H)으로 등가하고, 착오율을 왜곡(DR)으로 등가하였다. 왜곡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주파수 폭(H)을 증가시키거나 속율(v)을 낮출 수 있다. 만약 주파수 폭(H)과 속율(v)을 동시에 증가시키거나 그 중 하나만 증가시키면, 채널을 통과하는 정보량도 당연히 증가하게 된다. 만약 주파수 폭(H)을 동시에 감소시키거나 그 중 하나만 감소시키면, 채널을 통과하는 정보량도 당연히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의 채널은 멀티 포인트 분포식 어레이 모드이므로, 채널의 수량이 2이상일 때, 전체 정보량과 채널이 어레이식으로 중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독립 엔진 모듈(10)이 정육각형 어레이를 이루며, 이에 밀착된 다이어프램(20)의 서로 다른 극면(201)이 진동하도록 구동하고, 동일한 오디오 신호가 접속될 때, 채널은 Cn1 내지 Cn5개의 서브 채널로 분류된다. 섀넌공식에 따르면, 전체 정보 용량은 ΣC=H log2(1+S/N)×cn로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ΣC는 모든 채널을 통과한 정보의 총합이고, H는 주파수 폭이고, 소문자 cn은 어레이 중첩된 채널 수량이다. 만약 신호대 잡음비(S/N)를 무시하면, 공식은 ΣC=H×cn으로 간소화할 수 있으며, 즉 모든 채널을 통과한 정보의 합은 대역폭과 채널 수량의 곱셈과 같다. 해당 공식은 상술한 푸리에 변환을 통해 획득한 공식:“ΣE=E1+E2+...+ En 또는 ΣE=E×n”와 등가할 수 있으며, 즉 모든 엔진 모듈의 합은 각 엔진 모듈의 중첩 또는 곱셈과 같다.
섀넌공식을 이용하여 스피커의 오디오 해석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이어프램(20)을 구동함으로써 동시에 더욱 많은 정보 총량(C)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스피커의 정보 총량(C) 및 주파수 폭(H)을 제어할 수 있으며, 스피커(100)의 오디오 해석 능력 및 스피커에 대한 제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디오 정보 총량(C)는 다이어프램(20)의 복수의 극면(201)이 지향하는 수평 방향의 3차원 공간에 분류하는 것을 허용하며, 그 에너지 방출 공간은 스피커(100) 자체의 물리적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기존 단일 엔진 스피커보다 크거나 넓다. 각각의 극면(201)에 수직되는 방향의 주파수 폭이 영향받지 않도록 확보하는 상태에서, 각각의 극면(201)의 수평 지향 각도와 효율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등가 회로 모델링 방식으로 스피커의 오디오 해석에 대해 분석하여, 전기-힘-사운드 집중 파라미터를 전기회로 모델링 방식으로 통합하면 등가 회로 모델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은 기계(힘), 성학(음)의 파라미터를 전기적(전기) 파라미터로 변환하여 전기회로에서 전기저항의 방식으로 표시 및 산출할 수 있다. 등가 회로 모델 중 전기 저항은 저항RE(임피던스), 유도 저항LVC(인덕턴스)을 포함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독립 엔진 모듈(10)로 구성된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면에서 RC는 유도 다이어프램의 저항이고, LC는 유도 다이어프램의 유도 저항이고, GEN는 전원이다. 5개의 독립 엔진 모듈(10)이 회로를 통해 스피커(100)에 연결되는 것은 5세트의 독립 등가 회로 연결과 유사하며, 단일 엔진 시스템에 비해, 멀티 세트의 독립 등가 회로 연결은 오디오에 대해 서로 다른 해석을 수행하여, 원본 오디오 신호에 대한 고배율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고, 스피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은, 각각의 엔진 모듈이 모두 독립적인 것이고, 또한 협력하여 이에 밀접하게 연결된 다이어프램의 서로 다른 극면이 진동하도록 푸싱하여, 풍부하고 다채로운 소리를 해석해내어, 오디오 신호 고배율 해석, 동적 내역 심도 환원을 달성하고 음파 공간 분포의 완전 확산을 구현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피커를 더 제공한다. 해당 스피커는 고음 스피커 및/또는 중음 스피커이고, 해당 스피커는 기둥형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기둥형 하우징은 원기둥형 구조 또는 타원기둥형 구조이다. 스피커가 공기 중에서 방사하는 음파의 파면이 원통파이므로, 순수한 선형 어레이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커는 선형 음원 시스템에 적용된다.
스피커가 선형 음원 시스템에 적용될 때, 스피커(100)의 장착 홀더(102)의 중심에 그 상하 양단을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1022)이 설치되고, 해당 관통홀은 복수의 서로 다른 스피커(100) 어레이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스피커(100)가 공기 중에서 방사 발생한 원통파는 라인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특별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재에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범위로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2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일 수 있고,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 또는 신호 연결일 수도 있으며, 당업자라면,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별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재에서, 용어 “제1”, “제2”는 단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조작과 다른 하나의 엔티티 또는 조작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엔티티 또는 조작 사이에 어떤 이러한 실제 관계 또는 순서가 존재함을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쉽게 예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100: 스피커 10: 엔진 모듈
20: 다이어프램 30: PCB 지지 플레이트
101: 하우징 102: 장착 홀더
1021: 장착홈 1022: 관통홀
103: 백플레이트 201: 극면
2011: 제1 극면 2012: 제2 극면
2013: 제3 극면
1: 자성체 2: 자기 전도 플레이트
11: 제1 자성체 12: 제2 자성체
13: 제3 자성체 21: 베이스 플레이트부
22: 연장부 221: 연장부의 단면
31: 제1 자기회로 32: 제2 자기회로
33: 제3 자기회로 34: 제4 자기회로

Claims (10)

  1. 기둥형 스피커에 적용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환형 어레이식으로 분포되는 엔진 모듈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엔진 모듈은 상기 기둥형 스피커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 장착 홀더를 통해 상기 기둥형 스피커의 내부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엔진 모듈은 모두 자기 전도 플레이트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내에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엔진 모듈은 상기 장착 홀더의 외주를 따라 동축으로 환형 배열되어 복수의 자극 방향을 가진 다극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엔진 모듈은 서로 분리되고, 복수의 상기 엔진 모듈의 자극면은 각각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는 U형 자기 전도 플레이트이고,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자성체가 설치되고,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의 U형 개구는 상기 기둥형 스피커의 다이어프램을 향하고, 상기 자성체의 일단의 단면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의 U형 저부 표면과 밀착되고, 상기 자성체의 타단의 단면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면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응되며,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의 양측의 연장부의 내벽 사이에 일장한 간격이 존재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상기 자기장은 등 자기 평면 자기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와 2개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고, N개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와 N+1개의 자기회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홀더는 다각기둥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에이 설치된 복수의 제1 기둥면 및 상기 다이어프램이 설치되지 않은 제2 기둥면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장착 홀더의 외주 상에 둘러져 복수의 극면을 가진 다각기둥 형태의 다이어프램을 형성하고, 상기 엔진 모듈은 상기 제1 기둥면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배면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기둥면 상에 상기 엔진 모듈과 매칭되는 U형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엔진 모듈의 상기 자기 전도 플레이트의 배면은 상기 U형 장착홈의 표면과 밀착 연결되고, 상기 엔진 모듈의 상기 자극면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배면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전기회로가 인쇄되고, 상기 극면 간에 상기 전기회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극면은 모두 평면으로서,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극면의 진동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확산하는 평면파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평면파는 서로 커플링되어 다극 커플링 평면파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둥면 상에 백플레이트가 고정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백플레이트 상에 리드선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드선 인터페이스는 각각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인쇄된 상기 회로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되는 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상기 엔진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10. 스피커에 있어서, 기둥형 하우징 및 상기 기둥형 하우징 내에 장착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는 고음 스피커 및/또는 중음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217006638A 2018-08-23 2019-08-06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 KR102547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64270.2 2018-08-23
CN201810964270.2A CN108924713A (zh) 2018-08-23 2018-08-23 多极引擎阵列系统及扬声器
PCT/CN2019/099446 WO2020038228A1 (zh) 2018-08-23 2019-08-06 多极引擎阵列系统及扬声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038A true KR20210041038A (ko) 2021-04-14
KR102547021B1 KR102547021B1 (ko) 2023-06-22

Family

ID=6440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638A KR102547021B1 (ko) 2018-08-23 2019-08-06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6593B2 (ko)
EP (1) EP3843425A4 (ko)
JP (1) JP7178679B2 (ko)
KR (1) KR102547021B1 (ko)
CN (1) CN108924713A (ko)
WO (1) WO2020038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4713A (zh) 2018-08-23 2018-11-30 张永春 多极引擎阵列系统及扬声器
CN109862480B (zh) * 2018-12-18 2020-06-23 海菲曼(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电声换能器和复合平板扬声器
WO2023088070A1 (zh) * 2021-11-16 2023-05-25 天津大觥科技有限公司 一种发音单元及音响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520B2 (ja) * 1994-06-06 2001-03-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ピーカ構造
JP2014533455A (ja) * 2011-10-04 2014-12-11 ベイ, ゾルタンBAY, Zoltan ラウドスピーカー
KR20180075657A (ko) * 2016-09-23 2018-07-04 애플 인크. 오디오 드라이버 및 전력 공급 유닛 아키텍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2533A (ja) 1974-08-10 1976-02-23 Kubota Ltd Karitorihansosochi
JPS56112218A (en) 1980-02-07 1981-09-04 Olympus Optical Co Endoscope
JPS5734772U (ko) * 1980-07-31 1982-02-24
JP3521319B2 (ja) * 1994-09-29 2004-04-19 フオ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
AU2002216597B2 (en) * 2000-12-26 2007-05-10 Anders Sagren Concentric co-planar multiband electro-acoustic converter
JP2003032787A (ja) 2001-07-18 2003-01-31 Higashi Nippon Gijutsu Kenkyusho:Kk 電気音響変換装置
US7236608B2 (en) * 2002-05-02 2007-06-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Conductors for electro-dynamic loudspeakers
JP3844074B2 (ja) * 2002-11-29 2006-11-08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ラットコイルスピーカ用振動板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コイルスピーカ
CN2598291Y (zh) * 2003-01-20 2004-01-07 王兴荣 平面串联磁路和采用该磁路的电-机-声换能器
US20070297639A1 (en) * 2006-06-21 2007-12-27 Noll Michael A Multiple magnet loudspeaker
JP4581150B2 (ja) * 2009-02-24 2010-11-1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ボイスコイル組立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
CN201616902U (zh) * 2009-11-20 2010-10-27 天津中环真美声学技术有限公司 双驱动纸托平板扬声器
US8942408B1 (en) * 2011-07-22 2015-01-27 James Joseph Croft, III Magnetically one-side driven planar transducer with improved electro-magnetic circuit
JP2013051499A (ja) * 2011-08-30 2013-03-14 Minebea Co Ltd スピーカ
US20150172822A1 (en) * 2012-08-24 2015-06-18 Cheng Yih Jenq Loudspeaker driver with dual electromagnet assemblies and loudspeaker system
CN205610919U (zh) * 2016-04-15 2016-09-28 安吉县宏铭磁性器材有限公司 一种用于音响的铁氧体八极磁环
CN106210997A (zh) * 2016-08-26 2016-12-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扬声器及终端
KR101778295B1 (ko) * 2016-10-14 2017-09-13 부전전자 주식회사 멀티 코일 음향변환기
JP6326649B1 (ja) 2017-03-26 2018-05-23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スピーカ
CN107040854A (zh) * 2017-04-28 2017-08-11 北京欧意智能科技有限公司 环形全向扬声器及音箱
CN108966097B (zh) * 2018-08-23 2024-03-19 张永春 柱形扬声器及音箱设备
CN108924713A (zh) * 2018-08-23 2018-11-30 张永春 多极引擎阵列系统及扬声器
CN208905203U (zh) * 2018-08-23 2019-05-24 张永春 多极引擎阵列系统及扬声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520B2 (ja) * 1994-06-06 2001-03-19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ピーカ構造
JP2014533455A (ja) * 2011-10-04 2014-12-11 ベイ, ゾルタンBAY, Zoltan ラウドスピーカー
KR20180075657A (ko) * 2016-09-23 2018-07-04 애플 인크. 오디오 드라이버 및 전력 공급 유닛 아키텍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3425A4 (en) 2021-10-13
WO2020038228A1 (zh) 2020-02-27
KR102547021B1 (ko) 2023-06-22
US11516593B2 (en) 2022-11-29
US20210337314A1 (en) 2021-10-28
JP2021534706A (ja) 2021-12-09
EP3843425A1 (en) 2021-06-30
CN108924713A (zh) 2018-11-30
JP7178679B2 (ja)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7021B1 (ko) 다극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
US10117018B2 (en) Speaker module
WO2020029962A1 (zh) 扬声器单元及扬声器装置
KR102460601B1 (ko) 멀티 엔진 어레이 시스템 및 스피커
US20050244016A1 (en) Parametric loudspeaker with electro-acoustical diaphragm transducer
EP3058751B1 (en) Planar magnetic transducer
EP2894873B1 (en) Fluted and elongated aperture for acoustic transducer
US3649776A (en) Omnidirectional horn loudspeaker
US9197965B2 (en) Planar-magnetic transducer with improved electro-magnetic circuit
AU2004302819A1 (en) Parametric transducer having an emitter film
US9161119B2 (en) Phi-based enclosure for speaker systems
US20170034629A1 (en) Speaker
WO2020038230A1 (zh) 柱形扬声器及音箱设备
EP1686832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6810126B2 (en) Planar magnetic transducer
US2956636A (en) Loudspeaker
US10531200B2 (en) Dual asymmetric compression driver
CN208905204U (zh) 柱形扬声器及音箱设备
CN208905203U (zh) 多极引擎阵列系统及扬声器
CN209949404U (zh) 用于等磁式扬声器的隐形磁铁结构
CN209748803U (zh) 一种等磁式扬声器
CN220123047U (zh) 用于平面磁耳机的磁路组件、平面磁换能器及平面磁耳机
WO2023088070A1 (zh) 一种发音单元及音响设备
WO2023088072A1 (zh) 一种振膜及音响设备
CN209949403U (zh) 用于等磁式扬声器的隐形磁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