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610A -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610A
KR20210040610A KR1020190123057A KR20190123057A KR20210040610A KR 20210040610 A KR20210040610 A KR 20210040610A KR 1020190123057 A KR1020190123057 A KR 1020190123057A KR 20190123057 A KR20190123057 A KR 20190123057A KR 20210040610 A KR20210040610 A KR 20210040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male screw
screw hea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731B1 (ko
Inventor
나장복
Original Assignee
나장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장복 filed Critical 나장복
Priority to KR102019012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7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0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6Devices for connecting a suspension wire to a pi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33Wall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picture
    • A47G1/164Wall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picture and being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액자의 높이 조절을 위한 와이어의 길이 조정 작업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견고한 고정력이 확보되어 중량의 액자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벽걸이용 액자걸이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측에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고 하단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체와; 이 테이퍼부 내에 대응되는 테이퍼각을 가지도록 수용되는 와이어 고정구와; 이 와이어 고정구에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게 마련되어 중심구멍을 통과하여 지나는 와이어를 협지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볼과; 상기 테이퍼부의 상부로 돌출하는 상기 와이어 고정구의 상부로 돌출하는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캡과; 상기 원통체 하단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 헤드부를 가지고 있으며, 액자를 걸어 지지하는 고리를 구비한 액자고리부재와; 상기 수나사 헤드부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구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탄발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외주면 일측에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와이어 통과홈;을 포함한 벽걸이용 액자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상측으로 상기 원통체 하단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와셔부재와; 상기 와셔부재의 중심에 형성되는 와이어 통과공과;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나사 체결 시 상기 와이어 통과공 내에 끼워져 진입하게 되면서 와이어 통과공을 통과한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상부로 돌출한 원추형 쐐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와셔부재에 대해 상기 와이어 고정구를 탄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Frame hanger for hanging on the wall}
본 발명은 전시장, 쇼핑몰 및 가정 등의 벽면에 액자, 전시상품 또는 장식물 등을 쉽고 편리하게 걸 수 있도록 한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대형 쇼핑몰, 전시장 또는 사무실과 가정 등에는 장식 또는 진열 등의 목적으로 그림, 사진 등의 액자나 패널(이하 총칭하여‘액자’라 함)을 벽에 걸어 장식 및 진열하고 있다.
액자를 벽면에 걸기 위한 장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9750호의 높낮이 조절이 편리한 액자걸이 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데, 상기한 선등록고안은 액자걸이용 줄 일측에 걸이부가 줄을 타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줄압착부와 그리고 액자를 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된 액자걸이 몸체부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구성은 몸체부에 볼트공을 천공하여 줄이 감기는 볼트봉과 회전부를 구성시켜 볼트봉의 체결로 볼트봉에 감긴 줄을 압착 고정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볼트를 체결하면서 감긴 줄이 더 감기거나 풀림되는 문제와 볼트를 여러번 반복하여 회전시키는 번잡성으로 인하여 걸이부가 일정한 위치에 형성하기가 극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해 액자가 소정의 위치에 매달리지 못하거나 양방향에서 이 열로 고정할 때에는 양측의 줄 길이를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못함으로써 액자가 정확한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고 또한 그 부속물들이 작고 많아 제조원가를 높이는 문제가 있어 왔으며, 특히 이 방식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레일 구조의 천정마감몰딩(160)을 미리 천정 전체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설치하고, 그 천정마감몰딩(160)의 레일 구조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걸이부(170)를 설치하고, 상기 걸이부(170)에 인출된 와이어(40)의 도중에 줄 압착부(100)가 구비되는 구성이어서 전체 설비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 같은 천정마감몰딩(160)의 레일 구조물의 복잡한 시공과 구조 대신에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건물 벽면(10)에 직접 액자걸이(12)를 설치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작은 나사(26)를 통해 건물 벽면(10)에 나사 체결되어 장착되는 단추 형상의 본체(14)의 외주 원주면에 링상의 홈(16)을 가공하고, 상기 링상의 홈(16)을 따라 감긴 후 아래로 늘어뜨려 내려지는 와이어(28), 그 와이어(28)의 통과를 허용하며 와이어(28) 일단의 스톱퍼(30)가 걸려 지지 및 고정하도록 하는 파이프 형상의 고정커버(32) 및 와이어(28)의 하단에 접속되어 와이어(2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내부에 복수개의 볼(38)과 스프링(40)을 구비하고 있는 액자걸이구(34)를 포함하고 있어, 작은 나사(26)를 벽면(10)에 박아 본체(14)를 고정시킨 후, 와이어(28)를 고정커버(32)의 상단으로 고리 모양으로 인출하여 상기 본체(14) 외주의 링홈(16)에 한바퀴 돌려 감싸 둘러 붙인 후 길게 늘어진 와이어(28)를 하측으로 잡아 당기면서 동시에 고정커버(30)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마치 넥타이를 매듯이 조여 붙이면 와이어 하단의 액자걸이구(34)가 와이어(28)에 매달려 고정되며, 그 하단의 낚시바늘처럼 꼬부라진 고리(36)에 액자를 걸어 설치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고리(36)에 액자를 걸 때 액자를 벽면(10)의 적절한 소정 높이에 걸기 위해 액자걸이구(34)를 통해 와이어(28)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액자걸이구(34)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는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42)가 형성된 원통체(44)의 몸체를 구비하며, 이 테이퍼부(42) 내에 와이어 고정구(46)가 수용되고, 이 와이어 고정구(46)에 상기 복수개의 볼(38)이 구비되어 있으며, 테이퍼부(42)의 상부로 돌출하는 상기 와이어 고정구(46)의 상부 수나사(48)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캡(50)이 나사 체결되어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액자걸이구(34)의 하단에 형성한 암나사(52)에 상기 고리(36)의 상부 몸체를 형성하는 수나사 헤드부(54)가 나사 체결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 고정구(46)와의 사이에 탄발력을 가하도록 내설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구(46)를 항시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36)의 수나사 헤드부(54)의 일측 외주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와이어 통과홈(56)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액자의 설치위치를 높여야 하는 경우 와이어(28)의 길이를 조정하게 되는 데, 이때 와이어(28)를 수나사 헤드부(54)의 측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수직 방향을 따라 파여 형성한 와이어 통과홈(56)을 통과시켜 와이어(28)를 액자걸이구(34)의 원통체(44) 하부로 인출하여야 한다.
와이어(28)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a)에서처럼 나사 체결된 고정캡(50)을 약간 풀어 고정캡(50)이 상승하면, 고정캡(50)을 손으로 눌러 붙여 하강시키게 되며, 이 누름력에 의해 와이어 고정구(46)가 스프링(40)을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테이퍼부(42) 내벽면에서 이격되어 와이어(28)에 대한 볼(38)의 압압 구속 상태가 해제되면서 볼(28)이 반경 방향 바깥측으로 밀려나게 되는 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와이어(28)가 자유롭게 된다.
이 상태(도 3(a) 상태)에서는 와이어(28)가 축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게 되며, 고정이 해제된 와이어(28)를 고정캡(50)의 상측에서 손으로 잡고 하부로 밀어내거나(액자의 설치 위치를 높일 때), 또는 상부로 잡아당겨 인출하여(액자의 설치 위치를 낮추는 경우) 조절하게 되는 것인데, 여기서는 액자의 설치 위치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우 고정이 해제된 와이어(28)를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와이어 통과홈(56)을 통해 하부로 인출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장애가 있다.
와이어(28)는 기구의 중심축선 상을 통과하여 지나도록 삽입되는 반면에 와이어 통과홈(56)은 수나사 헤드부(54)의 바깥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와이어(28)의 중심축선과 와이어 통과홈(56)은 서로 이격된 편심 위치에 있고 와이어(28)와 와이어 통과홈(56) 사이에는 스프링(40)이 개재되어 있어, 와이어(28)가 와이어 통과홈(56)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이 스프링(40)의 코일선 사이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어, 와이어(28)의 통과홈(56)으로의 인출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와이어(28)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액자걸이구(34)의 일부 부품들, 즉 고리(36)의 수나사 헤드부(54)를 원통체(44)로부터 완전히 분해하여 분리시킨 후 스프링(40)을 빼고 다음에 고정캡(50)을 약간 풀은 상태에서 내리 눌러 와이어(28)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와이어(28)를 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밀어 원통체(44)의 하부로 인출시킨 후 다시 스프링(40)의 코일 가운데로 밀어 넣어 도중에 스프링 코일선 사이를 통과시켜 스프링(40) 밖으로 인출한 후 그 인출한 와이어(28)를 수나사 헤드부의 와이어 통과홈(56)에 끼워 삽입한 후, 와이어(28)가 통과홈(56)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그 상태에서 스프링(40)을 먼저 액자걸이구(34) 내에 삽입하고 와이어 통과홈(56) 내에 와이어(28)를 간직한 상태로 수나사 헤드부(54)를 원통체(44) 하단의 암나사(52)에 체결하는 방법으로 와이어 인출에 의한 액자의 높이 조절 작업이 이루어지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도 3(c)의 와이어 조절이 완료된 상태 참조).
그런데 이 같은 액자걸이기구를 소비자들에게 판매할 때에는 통상 와이어를 포함한 상부 부재들과 액자걸이구(34)를 분리한 상태에서 공급하고 있어 와이어(28)를 액자걸이구(34)에 끼우는 작업을 할 때 액자 설치 높이가 맞지 않아 와이어(28)를 하부로 인출해야 하는 경우 소비자들이 그 방법을 잘 몰라 문의 및 애프터 서비스 요청이 자주 들어오며, 판매처로부터 와이어 인출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하여도 부품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과정이 소비자들로서는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어서 와이어 결선방법에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소비자들의 이 같은 불편한 점 때문에 액자걸이구(34)의 부품들을 분리시켜 공급하여, 소비자들이 액자 설치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으나, 이 같은 공급 형태는 작은 부품들의 분실 우려 및 부품 관리상의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처방은 될 수 없었다.
한편, 이 같은 문제점 외에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경우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캡(50)을 조여 붙일 때 와이어 고정구(46)가 상승하여 테이퍼부(42)에 강하게 밀착하게 되며, 이때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볼(28)들이 중심축선 방향으로 밀려들면서 와이어(28)를 압착하여 고정시키고 있어, 매달아 내리는 액자가 중량물일 경우 볼(28)의 와이어(28) 외주면에 대한 고정력 부족으로 그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슬립이 생겨 액자가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으며, 특히 고가의 그림 등을 전시하는 액자인 경우 낙하 사고시 손실이 클 수밖에 없어 견고한 고정력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나 볼(38)에 의한 고정력 확보에 한계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 같은 볼(28)에 의한 고정력 부족을 보완하여 주기 위한 목적으로 도 3(c)에 도시한 것 같이 고정나사(58)를 사용하여 와이어(28)를 2차로 고정시켜 주는 방안이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고정나사(58)의 사용은 와이어(28) 길이 조정 시 드라이버 등의 별도 공구가 필요하여 불편함이 따르고, 또 원통체(44) 곡면에의 암나사 가공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 작업성이 나빠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10-1810999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실용 제20-0349750호 [특허문헌 3] 한국 등록특허 제10-138354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누구나 쉽게 액자의 높이 조절을 위한 와이어의 길이 조정 작업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으며, 와이어의 견고한 고정력이 확보되어 중량의 액자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벽걸이용 액자걸이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측에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고 하단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체와; 이 테이퍼부 내에 대응되는 테이퍼각을 가지도록 수용되는 와이어 고정구와; 이 와이어 고정구에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게 마련되어 중심구멍을 통과하여 지나는 와이어를 협지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볼과; 상기 테이퍼부의 상부로 돌출하는 상기 와이어 고정구의 상부로 돌출하는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캡과; 상기 원통체 하단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 헤드부를 가지고 있으며, 액자를 걸어 지지하는 고리를 구비한 액자고리부재와; 상기 수나사 헤드부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구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탄발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외주면 일측에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와이어 통과홈;을 포함한 벽걸이용 액자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상측으로 상기 원통체 하단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와셔부재와; 상기 와셔부재의 중심에 형성되는 와이어 통과공과;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나사 체결 시 상기 와이어 통과공 내에 끼워져 진입하게 되면서 와이어 통과공을 통과한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상부로 돌출한 원추형 쐐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와셔부재에 대해 상기 와이어 고정구를 탄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셔부재의 와이어 통과공은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와 같거나 또는 다른 원추각을 갖는 원추 형상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통과홈의 상부 내면은 와이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 유도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 유도 경사면은 직선형 또는 볼록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액자걸이구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고정캡을 체결 시 1차로 볼이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가하고, 와셔부재의 와이어 통과공을 통과한 와이어를 2차로 원추형 쐐기부재에 의해 압압하여 강한 고정력을 확보함으로써, 중량물의 액자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여 액자의 낙하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와이어가 스프링의 코일선 사이를 내외로 통과하여 결선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 결선작업의 작업성이 개선된다. 특히 와이어 통과공과 원추형 쐐기부재에 의해 와이어를 협지 고정할 때 와이어의 급격한 꺽임이 없이 부드럽고 유연하게 와이어 통과홈으로 유도되어져 외부로 배출되므로 고정력 확보 과정에서 와이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c)는 종래기술에서 와이어 결선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의 액자고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의 액자고리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인 벽걸이용 액자걸이구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필요한 경우 종래 도면 및 부호를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인 액자고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인 액자고리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있어 본 발명의 벽걸이용 액자걸이구는 전체를 부호 70으로 나타내었으며, 상기 액자걸이구(70)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인 원통체(7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통체(71)의 상부는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72)로 형성되며, 원통체(71)의 하단으로는 내경에 암나사(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부(72) 내부에는 와이어 고정구(74)가 수용되고, 이 와이어 고정구(74)는 상기 테이퍼부(72)에 대응되는 형상의 테이퍼부(7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테이퍼부(75)에 복수개의 볼(76), 바람직하기는 서로 대향되게 180°로 2개 또는 120°등각으로 3개의 볼(76)의 각각이 몸체 내외로 연통된 각각의 구멍(77) 속에 장착 배치되어 있으며, 이 볼(76)은 구멍(77) 속에서 수평 방향, 보다 정확하게는 구멍(77)의 축선방향으로 유동이 허용되어 와이어 고정구(74)가 축 방향으로 상승할 때에는 상기 테이퍼부(72)(75)들에 의한 쐐기 작용에 의해 중심축선 방향(와이어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고정구(74)의 상부로는 수나사부(78)가 돌출 연장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 고정구(74)를 상기 원통체(71)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삽입하면 상기 수나사부(78)가 상기 테이퍼부(72)의 상단부로 돌출하게 되어 있으며, 이 상부로 돌출된 수나사부(76)에는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캡(79)이 나사 체결되어 장착되며, 상부로부터 상기 고정캡(79)과 와이어 고정구(74)의 중심축선을 따라 형성된 구멍(80)(81)을 관통하여 와이어(W)가 원통체(71) 내로 도입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71)의 하단에 형성된 암나사(73)에는 도 5에 도시한 액자고리부재(82)의 상단 몸체를 형성하는 나사머리몸체(83)(또는 수나사 헤드부)의 외주에 가공된 수나사(84)가 나사 체결에 의해 조립되며, 액자고리부재(82)의 하단 몸체는 상기 나사머리몸체(83)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하는 금속선부재(85)로부터 상향 절곡된 고리(86)로 형성되며, 이 고리(86)는 마치 낚시 바늘처럼 V자 또는 U자 형상을 가지고 있어 액자 프레임 배면에 구비되어 있는 링 상 고리에 끼워져 액자를 지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나사머리몸체(83)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원추형 쐐기부재(87)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 평면도 형상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일측의 측면에서부터 중심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파 들어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와이어 통과홈(88)을 형성하되 이 와이어 통과홈(88)의 폭과 깊이는 통과하여 지나는 와이어의 지름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 와이어 통과홈(88)의 내측 상단부면은 와이어(W)의 안내를 위하여 모따기 형태의 와이어 유도 경사면(89)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89)은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87)와 협력하여 와이어(W)의 부드러운 안내를 유도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는 이 와이어 유도 경사면(89)을 직선형 보다는 볼록한 곡면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경우 유도되는 와이어(W) 표면의 손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기 액자고리부재(82)의 상단 몸체를 형성하는 나사머리몸체(83)의 상부로 소정 위치에는 소정 두께의 와셔부재(90)가 암나사(73)에 나사 체결되어 장착되며, 이 와셔부재(90)의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와이어 통과공(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와이어 통과공(91)은 와이어(W)의 원활한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액자고리부재(82)의 나사머리몸체(83)가 암나사(73)에 나사 체결되어 원통체(71)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87)가 접근할 때,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87)의 상부 일부 몸체의 진입을 허용하는 크기의 하단부 직경을 가진다.
상기 와이어 통과공(91)은 상하 동일 직경을 가지도록 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87)에 대응하는 동일 테이퍼각의 상협하광한 테이퍼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87)의 테이퍼각보다 작은 테이퍼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또한 가능하면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87)의 하단 뿌리 부분의 직경이 와이어 통과공(91)의 하단부 직경과 같거나 또는 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와이어(W)직경 + 원추형 쐐기부재(87)의 뿌리부분 가까이의 직경의 합이 상기 와이어 통과공(91)의 하단부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하여야 된다.
한편, 상기 나사머리몸체(83)의 상부로 상기 와셔부재(90)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74) 사이의 원통체(71) 내부 공간에는 스프링(92)이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구(74)를 항시 상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와이어(W)결선 작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어(W)의 상단은 천장 또는 벽면측에 고정하고 타단을 늘어뜨린 상태에서 와이어(W)의 하단부를 액자걸이구(70)를 관통시켜 액자걸이구(70)가 벽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와이어(W)의 적절한 인출길이를 조절하여 와이어(W)를 협지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고정캡(79)을 나사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원통체(7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풀어내고(이때 고정캡(79)을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는다), 또 액자고리부재(82)는 원통체(71)에서 분리시켜 놓는다.
이 상태에서 원통체(71)를 한쪽 손으로 감싸쥐고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고정캡(79)을 원통체(71)에 대하여 내리누르면 와이어 고정캡(79)이 와이어 고정구(74)를 통해 스프링(92)을 압축하면서 하강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와이어 고정구(74)의 테이퍼부(75)가 하강으로 인해 밀착되었던 테이퍼부(72)로부터 이격되어지게 된다.
테이퍼부(75)가 이격되어지면 볼(76)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구멍(77) 속에서 구멍축선 방향(와이어 축방향에 대략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자유로운 움직임이 허용되며, 이 상태에서 와이어(W)의 하단끝을 다른 손으로 잡고 고정캡(79)의 구멍(80) 속으로 밀어 넣게 되면, 와이어(W)는 구멍(80)을 통과한 후 그 구멍(80)과 일직선상을 이루고 있는 와이어 고정구(74)의 구멍(81)속으로 밀어넣어져 인입되어지며, 이로써 와이어(W)는 볼(76) 부위를 지나 와이어 고정구(74) 하단을 통해 원통체(71) 내의 스프링(92)이 위치한 공간 내로 삽입되며, 이 와어어(W)는 계속해서 와셔부재(90)의 와이어 통과공(91)을 통과하도록 밀어넣게 된다.
이 같이 하여 와이어(90)의 하단이 원통체(71)의 하단을 통하여 하측으로 인출되면, 와이어(W) 하단을 와이어 통과홈(88) 속에 위치토록 한 상태에서 나사머리몸체(83)의 수나사(84)를 원통체(71)의 암나사(73)에 일치시켜 나사 조임 방향으로 액자고리부재(82)를 회전시켜 나사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를 통해 액자고리부재(82)의 나사머리몸체(83)가 와셔부재(90) 측에 접근하게 되며, 나사머리몸체(83) 상부에 돌출한 원추형 쐐기부재(87)의 상단이 와셔부재(90)의 와이어 통과공(91) 속으로의 진입이 일어나게 되면서 원추형 쐐기부재(87)에 의해 와이어(W)를 와이어 통과공(91) 내벽면에 대해 강하게 눌러 압박하게 되어 액자고리부재(82)의 조임에 의한 더이상의 상승 동작이 멈춰지게 되면 원추형 쐐기부재(87)에 의한 와이어(W) 1차 고정 작업은 종료된다.
다음 동작으로 고정캡(79)을 나사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더이상 회전하지 않을 때까지 단단히 나사부(78)에 대해 조여붙이면, 테이퍼부(72)(75)가 서로 강하게 밀착하게 되고, 테이퍼부(72)에 의해 내측으로 압박력을 받게 되는 볼(76)들이 와이어(W) 방향으로 밀려들면서 와이어(W)를 양측 또는 3축 방향에서 가압하여 강하게 협지하게 되어 와이어(W)를 2차로 고정시키게 되면 액자걸이구(70)가 와이어(W) 상에서 소정 위치를 유지한채 달아매지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액자(도 1의 150 참조)를 액자고리부재(82)의 고리(86)에 걸게 되면 액자(150)의 설치가 종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액자(150)를 벽면의 소정 높이에 걸기 위해서는 액자걸이구(70)의 와이어(W) 상 고정 위치의 결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87)가 와이어(W)를 아직 완벽하게 고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W) 하단을 잡고 원통체(71)를 밀어올리거나 또는 내리도록 하여 와이어(W)의 인출 길이를 조정한 후 고정하면 액자(150)를 원하는 소정 높이에 달아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액자(150)를 달아맨 상태에서 다시 설치 높이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고정캡(79)과 액자고리부재(82)를 약간씩 풀어내면 고정캡(79)의 누름 하강 작동이 가능해지고, 이로써 와이어(W)를 따라 액자걸이구(70)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손쉽게 액자의 설치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 같은 본발명은 종래 볼과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와이어(W)를 2차에 걸쳐 고정하는 방식에 비해, 이왕에 이루어지는 액자고리부재(82)의 원통체(71)에의 나사 체결 조립만으로 원추형 쐐기부재(87)에 의해 간단하게 와이어(W)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고 또 원추형 쐐기부재(87)에 의한 고정력이 강력하여 볼(75)의 고정력과 함께 액자(15) 등의 무게를 충분히 감당 지지할 수 있어 중량물 지지에 유용하며, 와이어(W)의 인출 길이 조절 작업의 편의성 증진으로 액자 높이의 자유롭고 편리한 조정이 가능한 효과와 함께, 와이어(W)가 와이어 통과공(91)과 원추형 쐐기부재(87) 및 와이어 통과홈(88)을 통해 부드럽게 인출이 유도되어 와이어(W)의 표면 손상에 의한 와이어(W)의 절단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70: 액자걸이구 71: 원통체
72: 테이퍼부 73: 암나사
74: 와이어 고정구 75: 테이퍼부
76: 볼 77: (볼 설치)구멍
78: 수나사부 79: 고정캡
80,81: (와이어 통과)구멍 82: 액자고리부재
83: 나사머리몸체(수나사 헤드부) 84: 수나사
85: 금속선부재 86: 고리
87: 원추형 쐐기부재 88: 와이어 통과홈
89: 와이어 유도 경사면 90: 와셔부재
91: 와이어 통과공 92: 스프링
W: 와이어

Claims (4)

  1. 상부측에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구비되고 하단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체와; 이 테이퍼부 내에 대응되는 테이퍼각을 가지도록 수용되는 와이어 고정구와; 이 와이어 고정구에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게 마련되어 중심구멍을 통과하여 지나는 와이어를 협지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볼과; 상기 테이퍼부의 상부로 돌출하는 상기 와이어 고정구의 상부로 돌출하는 수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캡과; 상기 원통체 하단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 헤드부를 가지고 있으며, 액자를 걸어 지지하는 고리를 구비한 액자고리부재와; 상기 수나사 헤드부와 상기 와이어 고정구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구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탄발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외주면 일측에 와이어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와이어 통과홈;을 포함한 벽걸이용 액자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상측으로 상기 원통체 하단의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와셔부재와; 상기 와셔부재의 중심에 형성되는 와이어 통과공과;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나사 체결 시 상기 와이어 통과공 내에 끼워져 진입하게 되면서 와이어 통과공을 통과한 와이어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수나사 헤드부의 상부로 돌출한 원추형 쐐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와셔부재에 대해 상기 와이어 고정구를 탄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액자걸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재의 와이어 통과공은 상기 원추형 쐐기부재와 같거나 또는 다른 원추각을 갖는 원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액자걸이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통과홈의 상부 내면은 와이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 유도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액자걸이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유도 경사면은 직선형 또는 볼록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액자걸이구.

KR1020190123057A 2019-10-04 2019-10-04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 KR102321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057A KR102321731B1 (ko) 2019-10-04 2019-10-04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057A KR102321731B1 (ko) 2019-10-04 2019-10-04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610A true KR20210040610A (ko) 2021-04-14
KR102321731B1 KR102321731B1 (ko) 2021-11-04

Family

ID=7547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057A KR102321731B1 (ko) 2019-10-04 2019-10-04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7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750Y1 (ko) 2004-02-05 2004-05-10 김비웅 높낮이 조절이 편리한 액자 걸이장치
EP2324738A1 (fr) * 2009-11-20 2011-05-25 Civic Industrie Anciens Etablissements Heubes et Cie Dispositif de suspension d'éléments sur un mur
KR101383545B1 (ko) 2013-01-29 2014-04-09 나장복 벽걸이용 액자걸이
KR101810999B1 (ko) 2016-08-10 2017-12-20 나장복 액자걸이용 액자고리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자고리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750Y1 (ko) 2004-02-05 2004-05-10 김비웅 높낮이 조절이 편리한 액자 걸이장치
EP2324738A1 (fr) * 2009-11-20 2011-05-25 Civic Industrie Anciens Etablissements Heubes et Cie Dispositif de suspension d'éléments sur un mur
KR101383545B1 (ko) 2013-01-29 2014-04-09 나장복 벽걸이용 액자걸이
KR101810999B1 (ko) 2016-08-10 2017-12-20 나장복 액자걸이용 액자고리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자고리부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731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9577B2 (en) Cable railing
US9291188B2 (en) Mounting fix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228371B2 (en) Anchor socket system for posts
US20140225486A1 (en) Mounting Fix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671805B2 (en) Ceiling support installation system
KR10203348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배관 벽체 고정장치
KR101383545B1 (ko) 벽걸이용 액자걸이
CN105874221A (zh) 管道支撑系统及其改进
KR200412730Y1 (ko) 건축용 비계의 수평지지대
CN105974724A (zh) 投影弧形幕张紧装置
US9879425B2 (en) Device for supporting acoustical ceilings
KR10150026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US8158882B1 (en) Electrical box hanger
KR20210040610A (ko) 벽걸이용 액자 걸이구
KR100913815B1 (ko) 송배전 케이블 4선 인입장치
CN217372146U (zh) 一种楼板拉爆丝杆安装工具
KR101810999B1 (ko) 액자걸이용 액자고리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자고리부재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KR20200006394A (ko) 전산볼트 체결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
CN207051551U (zh) 光缆出入孔保护器
KR20180053050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200029859A (ko) 제거식 앵커
KR10187275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고정장치
US9242318B2 (en) Angle meter stop guard
KR102352432B1 (ko) 생산성이 증가된 헬스케어용 스프링고리 장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