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421A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421A
KR20210040421A KR1020217006669A KR20217006669A KR20210040421A KR 20210040421 A KR20210040421 A KR 20210040421A KR 1020217006669 A KR1020217006669 A KR 1020217006669A KR 20217006669 A KR20217006669 A KR 20217006669A KR 20210040421 A KR20210040421 A KR 20210040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data
slot
control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117B1 (ko
Inventor
즈요시 시모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6Assessment of spectral gaps suitable for allo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e.g. for carrier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면허가 불필요한 제1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수신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대가 다른 송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제1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제어 채널과 제1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심볼,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향과 다른 제2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2 심볼을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심볼에 할당된 제1 제어 신호와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심볼에 할당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네트워크는,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이나 퓨처폰)의 트래픽이 네트워크의 리소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하는 트래픽은, 앞으로도 확대되어 갈 경향이 있다.
한편,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예를 들어, 교통 시스템, 스마트 미터, 장치 등의 감시 시스템)의 전개에 맞추어, 다양한 요구 조건을 갖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5 세대 이동체 통신(5G 또는 NR(New Radio))의 통신 규격에서는, 4G(제4 세대 이동체 통신)의 표준 기술(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내지 11)에 추가하여, 한층 더한 고데이터 레이트화, 대용량화, 저지연화를 실현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제5 세대 통신 규격에 대해서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작업부회(예를 들어, TSG-RAN WG1, TSG-RAN WG2 등)에서 기술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2 내지 39).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종다양한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해, 5G에서는 eMBB(Enhanced Mobile Broad Band), Massive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및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로 분류되는 많은 유스 케이스의 서포트를 상정하고 있다.
한편, 4G에서는 저주파대(5GHz대)인 Unlicensed spectrum(또는 Unlicensed band)에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능이 도입되어 있다. 그러한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어 LTE-LAA(Long Term Evolution-Licensed Assisted Access)가 있다. LTE-LAA는, 예를 들어 Unlicensed spectrum의 주파수 대역과 Licensed spectrum의 주파수 대역을 묶어서 동시에 사용하는 기술이다. LTE-LAA에 의해, 예를 들어 고속 대용량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LTE-LAA에서는, 저주파대(5GHz대)의 Unlicensed spectrum에서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 Listen-Before-Talk(LBT) 방식이 채용된다. LBT 방식에서는, 예를 들어 송신측은 신호 송신 개시 전에 carrier sensing(또는 캐리어 센스)을 행하여, 무선 채널이 "Idle" 상태(다른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음)인 것을 확인하고 나서 데이터 송신을 개시한다. LBT 방식에 의해, 예를 들어 Wifi와 LTE 등, 다른 네트워크간에 있어서 공평한 공존이 실현 가능하다.
단, LTE에서는 서브프레임(subframe) 타이밍에 기초하는 송수신이 기본이다. LBT 방식을 서브프레임 타이밍에 사용하면, 서브프레임 타이밍에 송신 기회가 부여되기 때문에, 송신 기회가 한정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LTE-LAA에서는, 서브프레임의 선두 타이밍(또는 선두 심볼)과, 서브프레임의 절반의 타이밍(또는 선두 심볼로부터 8번째의 심볼)에 송신 가능한 방식도 사양화되어 있다. 도 30의 (A)와 도 30의 (B)는 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송신측에서 송신 기회를 증가시키고, 송신측과 수신측의 양쪽에서 송수신 처리의 복잡도를 극단적으로 증대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의 절반의 타이밍의 경우, TB(Transport Block) #0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도 30의 (A)에 도시하는 서브프레임의 선두 심볼의 타이밍부터 송신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절반으로 된다. 그 때문에, 송신측은 TB#0에 포함되는 부호화 전의 데이터를 절반으로 하여 송신하는 것도 3GPP에서는 사양화되어 있다.
한편, 5G에서는, 4G와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나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 변조 방식 등을 결정(또는 스케줄링)하고, 그 스케줄링 결과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스케줄링 결과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말기는, DCI에 포함되는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로부터 자국앞으로의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1의 (A)와 도 31의 (B)는, 5G에 있어서 사양화된 DCI에 의한 시간 방향의 리소스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의 (A)는 PDSCH, 도 31의 (B)는 PUSCH에 있어서의, 시간 방향의 리소스 할당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1의 (A)와 도 31의 (B)에 있어서, 예를 들어 "S"는 슬롯의 개시 심볼, "L"은 개시 심볼 S부터 카운트한 연속된 심볼수(또는 길이)를 각각 나타낸다.
도 31의 (C)는, 시간 방향에 있어서의 리소스의 할당(또는 매핑. 이하에서는 할당과 매핑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S=2, L=4인 경우, 1슬롯 내에 있어서, 개시 심볼은 선두 심볼(S=0)로부터 3번째의 심볼, 그 길이는 S=2로부터 연속해서 4심볼인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시간 방향의 리소스 할당이 행해진 경우, 단말기는, PDSCH의 경우, S=2부터 시작되는 4개의 심볼을 이용하여 자국앞으로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도 3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G에서는 1서브프레임=14심볼(=1ms)이었지만, 5G에서는 1슬롯=14심볼로 된다. 또한, 5G에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 가능하며,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1슬롯=1ms이고, 서브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1슬롯=0.5ms 등,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슬롯 길이가 변화한다.
5G에서는, 도 31의 (A)와 도 3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심볼 단위로 시간 방향의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유연한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GPP TS 36.211 V15.1.0(2018-03) 3GPP TS 36.212 V15.1.0(2018-03) 3GPP TS 36.213 V15.1.0(2018-03) 3GPP TS 36.300 V15.1.0(2018-03) 3GPP TS 36.321 V15.1.0(2018-03) 3GPP TS 36.322 V15.0.1(2018-04) 3GPP TS 36.323 V14.5.0(2017-12) 3GPP TS 36.331 V15.1.0(2018-03) 3GPP TS 36.413 V15.1.0(2018-03) 3GPP TS 36.423 V15.1.0(2018-03) 3GPP TS 36.425 V14.1.0(2018-03) 3GPP TS 37.340 V15.1.0(2018-03) 3GPP TS 38.201 V15.0.0(2017-12) 3GPP TS 38.202 V15.1.0(2018-03) 3GPP TS 38.211 V15.1.0(2018-03) 3GPP TS 38.212 V15.1.1(2018-04) 3GPP TS 38.213 V15.1.0(2018-0312) 3GPP TS 38.214 V15.1.0(2018-03) 3GPP TS 38.215 V15.1.0(2018-03) 3GPP TS 38.300 V15.1.0(2018-03) 3GPP TS 38.321 V15.1.0(2018-03) 3GPP TS 38.322 V15.1.0(2018-03) 3GPP TS 38.323 V15.1.0(2018-03) 3GPP TS 38.331 V15.1.0(2018-03) 3GPP TS 38.401 V15.1.0(2018-03) 3GPP TS 38.410 V0.9.0(2018-04) 3GPP TS 38.413 V0.8.0(2018-04) 3GPP TS 38.420 V0.8.0(2018-04) 3GPP TS 38.423 V0.8.0(2018-04) 3GPP TS 38.470 V15.1.0(2018-03) 3GPP TS 38.473 V15.1.1(2018-04) 3GPP TR 38.801 V14.0.0(2017-04) 3GPP TR 38.802 V14.2.0(2017-09) 3GPP TR 38.803 V14.2.0(2017-09) 3GPP TR 38.804 V14.0.0(2017-03) 3GPP TR 38.900 V14.3.1(2017-07) 3GPP TR 38.912 V14.1.0(2017-06) 3GPP TR 38.913 V14.3.0(2017-06) "Enriched feedback for adaptive HARQ", 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R1-1701020, 3GPP TSG RAN WG1 NR Ad-Hoc Metting, Spokane, 16-20 January, 2017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Unlicensed band에 관하여, LTE-LAA에서는 송신 기회는 1서브프레임(=1ms)당 최대 2회이다. 1서브프레임당 최대 2회의 송신 기회에서는 스루풋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개시된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측면에서는, 면허가 불필요한 제1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수신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대가 다른 송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제1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제어 채널과 제1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심볼,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향과 다른 제2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2 심볼을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심볼에 할당된 제1 제어 신호와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심볼에 할당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2의 (A)는 1슬롯의 구성예, 도 2의 (B)와 도 2의 (C)는 TB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4의 (A)와 도 4의 (B)는 PDC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5의 (A)는 RRC 메시지의 교환 시퀀스예, 도 5의 (B)는 RRCConfiguration 메시지의 구성예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PDSCH-Config 또는 PUSCH-Config에 포함되는 IE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7의 (A)와 도 7의 (B)는 PU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8의 (A)와 도 8의 (B)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PDCCH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0의 (A)부터 도 10의 (C)는 PDCCH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ND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2의 (A)부터 도 12의 (C)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PDSCH-Config에 포함되는 IE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PDCCH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5의 (A)와 도 15의 (B)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6의 (A)는 기지국의 구성예, 도 16의 (B)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의 구성예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7의 (A)는 단말기의 구성예, 도 17의 (B)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의 구성예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기지국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단말기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단말기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기지국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기지국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단말기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도 24의 (A)와 도 24의 (B)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PDSCH-Config 또는 PUSCH-Config에 포함되는 IE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7의 (A)와 도 27의 (B)는 모니터링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8의 (A)는 기지국, 도 28의 (B)는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9의 (A)와 도 29의 (B)는 PUCCH와 PU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30의 (A)와 도 30의 (B)는 TB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1의 (A)와 도 31의 (B)는 개시 심볼과 길이의 사양, 도 31의 (C)는 개시 심볼과 길이의 설정예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과제 및 실시예는 일례이며, 본원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기재된 표현이 달랐다고 해도 기술적으로 동등하면, 다른 표현이라도 본원의 기술을 적용 가능하며,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각 실시 형태는 처리 내용을 모순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나 기재한 기술적 내용은, 3GPP 등 통신에 관한 규격으로서 사양서나 기서에 기재된 용어나 기술적 내용이 적절하게 사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사양서로서는, 예를 들어 3GPP TS 38.211 V15.1.0(2018-03) 등이 있다.
또한, 3GPP의 사양서는 수시로 갱신된다. 따라서, 상술한 사양서는, 본원 출원 시에 있어서의 최신 사양서가 사용되어도 된다. 그리고, 최신 사양서에 기재된 용어나 기술적 내용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맞게 사용되어도 된다.
이하에, 본원이 개시하는 기지국, 단말기,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개시된 기술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기지국 장치(이하, 「기지국」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100)와 복수의 단말 장치(이하, 「단말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200-1, 200-2)를 구비한다.
기지국(100)은, 자국의 서비스 제공 가능 범위(또는 셀 범위)에 재권하는 단말기(200-1, 200-2)에 대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여, 통화 서비스나 Web 열람 서비스 등,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또한, 기지국(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링을 행하여, 각 단말기(200-1, 200-2)에 대하여, 무선 리소스의 할당이나 부호화율, 변조 방식 등을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그 스케줄링 결과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PDCCH를 이용하여 단말기(200-1, 200-2)에 송신한다. 각 단말기(200-1, 200-2)는,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PDSCH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로부터 자국앞으로의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PUSC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지국(100)에 송신하거나 할 수 있다.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기(200-1, 200-2)로의 통신 방향을 하향 방향, 단말기(200-1, 200-2)로부터 기지국(100)으로의 통신 방향을 상향 방향이라고 각각 칭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향 방향에 있어서는 기지국(100)이 송신 장치, 단말기(200-1, 200-2)가 수신 장치로 되고, 상향 방향에 있어서는 단말기(200-1, 200-2)가 송신 장치, 기지국(100)이 수신 장치로 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1, 200-2)는, 상향 방향에 있어서도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사용하여 상향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상향 제어 신호의 예로서,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ACK(Acknowledgement: 긍정 응답) 신호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신호(이하에서는 「ACK」 또는 「NACK」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있다.
단말기(200-1, 200-2)는, 예를 들어 피처폰, 스마트폰,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단말기, 게임 장치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이다. 각 단말기(200-1, 200-2)는, 기지국(100)을 통하여, 상술한 여러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의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2개의 단말기(200-1, 200-2)와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10)에 있어서는, 기지국(100)은 1대의 단말기(200-1)와 무선 통신을 행해도 되고, 3대 이상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해도 된다. 단말기(200-1, 200-2)의 대수는 1대여도 되고, 복수대여도 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Unlicensed band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는,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Radio communications Sector)이 책정한 주파수의 할당과 각국의 사정 등을 고려하여, 각국이 특정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사용 면허를 부여하여 할당하고 있다. 오퍼레이터는, 면허가 부여된 주파수를 점유하여 이동 통신 사업(또는 무선 통신 사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퍼레이터에 면허가 부여되어 할당된 주파수대를, 예를 들어 Licensed ban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Unlicensed band는, 예를 들어 복수의 오퍼레이터 등이 면허 없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대를 말한다. Unlicensed band는 예를 들어 면허가 불필요한 주파수대이고, Licensed band는 예를 들어 면허가 필요한 주파수대이기도 하다. Unlicensed band로서는, 예를 들어 ISM대(Industry Science Medical band)나 5GHz대 등이 있다.
그리고,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Unlicensed band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할 때, LBT 방식을 이용하여, 그 주파수 대역이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언라이선스 밴드의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캐리어 센스를 행한다.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그 주파수 대역이 "Idle" 상태일 때, 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행한다. "Idle" 상태란, 예를 들어 수신 신호의 신호 강도가 역치보다 작은 경우의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그 주파수 대역이 다른 기지국이나 단말기에서 이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게 되고, 그 주파수 대역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그 주파수 대역이 "Busy" 상태일 때, 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지 않도록 한다. "Busy" 상태란, 예를 들어 수신 신호의 신호 강도가 역치 이상일 때의 상태이다. 이 경우,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Busy" 상태를 확인 후, 소정 시간 경과하면, 다시 그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캐리어 센스를 행한다.
캐리어 센스의 상세 동작은, 예를 들어 3GPP TS 37.213 V15.0.0(2018-06)에 기재되어 있는 방식에 따른다. 송신하는 신호의 내용 등에 따라, 1회의 캐리어 센스에서 "Idle" 상태라면 송신 가능한 경우와, 규정된 횟수만큼 "Idle" 상태가 경과하고 나서야 비로소 송신 가능한 경우가 정의되어 있다.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신호를 송신하기 직전의 1회의 캐리어 센스의 결과는 "Idle" 상태가 아니면 안된다.
기지국(100)과 단말기(200-1, 200-2)는 Unlicensed band뿐만 아니라, Licensed band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Unlicensed band를 예를 들어 언라이선스 밴드, Licensed band를 예를 들어 라이선스 밴드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단말기(200-1, 200-2)를 단말기(200)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하향 방향의 제어 신호를 예를 들어 PDCCH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하향 방향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예를 들어 PDCCH를 송신하는 것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하향 방향의 데이터를, 예를 들어 PDSCH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향 방향의 제어 신호를 PUCCH, 상향 방향의 데이터를 PUSCH라고 각각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제어 신호와 DCI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LBT와 캐리어 센스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2. 시간 방향의 무선 리소스에 대하여>
도 2의 (A)는, 5G에서 규정되는 1슬롯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에서는 14심볼로 1서브프레임이다. 그러나, 5G에서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4심볼로 1슬롯으로 되어 있다. 도 2의 (A)는, 예를 들어 언라이선스 밴드의 어떤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1슬롯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B)는, 언라이선스 밴드의 어떤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시간 방향에 있어서의 TB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이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Idle" 상태인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선두 슬롯부터 전체 심볼을 이용하여 TB#a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다음 슬롯에 할당된 TB#b의 데이터도 다음 슬롯의 전체 심볼을 이용하여 송신하고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각 슬롯에 할당된 바와 같이, 각 TB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송신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TB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예를 들어 TB를 송신하는 것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2의 (B)에 있어서는 TTI도 도시되어 있다. TTI란, 예를 들어 TB 세트의 도착 시간 간격이며, PDCCH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1개의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스케줄링 기간(또는 주기)의 최소 기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TTI는, 예를 들어 1개의 PDCCH에 의해 복수의 TTI를 포함하는 것도 허용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도 7의 (A)의 예에서는 1개의 PDCCH에 의해 2개의 TTI가 스케줄링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B)의 예에서는, 1개의 PDCCH에 의해 선두 슬롯에 TB#a가 할당되고, 다른 PDCCH에 의해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에 TB#b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선두 슬롯이 1개의 TTI로 되고, 다음 슬롯이 다른 1개의 TTI로 된다. 예를 들어, 1개의 슬롯 내에 2개의 PDCCH가 별개의 심볼로 할당되었을 때, 1개의 슬롯 내에 2개의 TTI가 존재하게 된다.
도 2의 (C)도, 도 2의 (B)와 마찬가지로, 시간 방향에 있어서의 TB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도 2의 (C)의 예는, 도 2의 (B)의 예에 대하여, 캐리어 센스에 의해 송신 개시 타이밍이 시프트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C)의 예에서는, 캐리어 센스의 결과, 선두 슬롯의 1심볼째에 있어서 "Busy"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그 후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3심볼째에 있어서도 "Busy"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그 후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Idle" 상태로 되었기 때문에, 5심볼째부터 신호의 송신이 개시된다. 도 2의 (C)의 예에서는, 선두 슬롯의 5심볼째(심볼 0이 선두 심볼로 되면, 심볼 4)가 데이터 송신 개시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B)와 도 2의 (C)가 하향 방향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경우, 송신 개시 타이밍에 있는 선두 심볼(도 2의 (B)의 예에서는 1번째의 심볼, 도 2의 (C)의 예에서는 5번째의 심볼)을 이용하여 PDCCH와 PDSCH가 송신된다. 5G에서는, 4G와는 달리, 1개의 심볼에 PDCCH와 PDSCH가 할당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의 (B)와 도 2의 (C)에 도시하는 송신은, 예를 들어 기지국(100)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도 2의 (B)와 도 2의 (C)가 상향 방향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경우, 송신 개시 타이밍에 있는 선두 심볼을 이용하여 PUCCH와 PUSCH가 송신된다. 이 경우, 도 2의 (B)와 도 2의 (C)에 도시하는 송신은, 예를 들어 단말기(200)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B#a에는 1슬롯의 전체 14심볼이 할당되어 있다. 도 2의 (C)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5심볼째부터 송신이 개시되기 때문에, 선두 슬롯에 있어서는 TB#a에 포함되는 10심볼분의 데이터가 송신 가능하기는 하지만, 남은 4심볼분의 데이터는 송신할 수 없다. 이 경우, 도 2의 (C)의 예에서는, 선두 슬롯에서 송신할 수 없었던, TB#a에 포함되는 남은 4심볼분의 데이터는, 다음 슬롯의 선두의 4심볼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TB#a에 포함되는 14심볼분의 데이터는, 선두 슬롯의 10심볼과, 다음 슬롯의 선두의 4심볼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 경우, 선두 슬롯과 다음 슬롯은, 예를 들어 다른 PDCCH에 의해 할당된 시간 방향의 리소스로 되어 있다. 이 경우, TB#a의 데이터는, 다른 PDCCH에 의해 할당된 2개의 슬롯을 넘어 시간 방향의 리소스의 할당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PDCCH에 의해 할당된 스케줄링 기간이 1개의 TTI이기 때문에, TB#a의 데이터는 2개의 TTI를 넘어 동일한 단말기(200)에 송신된다.
캐리어 센스에 의해, 선두 슬롯(또는 선두 TTI)에서 데이터의 전부를 완전히 송신할 수 없었던 경우, 송신할 수 없었던 데이터 부분을 다음 TTI로 송신하는 것을, 예를 들어 「Cross TTI」(또는 크로스 TTI)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혹은, 크로스 TTI란, 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가 복수의 TTI를 넘어 송신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C)에서는, TB#a는 선두의 TTI로 완전히 송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다음 TTI로 송신되고 있으며, 크로스 TTI로 송신되고 있다.
또한, 크로스 TTI는,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나 PDCCH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상세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CCH와 PDSCH를 포함하는 심볼, 혹은 PUCCH와 PUSCH를 포함하는 심볼을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킬 수 있다. 따라서, LTE-LAA와 같이, 슬롯 내의 선두 심볼(1번째의 심볼)과 그의 중간 심볼(선두 심볼로부터 8번째의 심볼)뿐만 아니라,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이외의 심볼로부터도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슬롯 내의 선두 심볼과 그의 중간 심볼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송신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에,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크로스 TTI에 의해 동일한 단말기(200)앞으로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경우, 도 2의 (C)의 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측은 ACK나 NACK를 기다리지 않고, 선두의 TTI(또는 슬롯)의 다음 TTI(또는 다음 슬롯)에 있어서, 선두의 TTI로 송신할 수 없었던 TB#a의 남은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따라서, 송신 장치는 ACK나 NACK를 기다리지 않고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ACK나 NACK를 기다리고 나서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측은, 캐리어 센스에 의해, 선두 슬롯에서 송신할 수 없었던 신호를, 그대로 다음 슬롯에서 송신한다. 그 신호에 대하여 어떤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그대로 송신하기 때문에, 송신측의 송신 처리나 수신측의 수신 처리의 복잡도를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RRC 메시지와 PDCCH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에, 구체적인 예로서, 1) PDCCH와 PD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다음에, 2) PU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RRC 메시지로부터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그리고, 다음에 3) PDCCH와 PD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PDCCH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B#b에 대해서는,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에 있어서, 슬롯 내의 전체 심볼이 할당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B#a의 크로스 TTI에 의해,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에 있어서, TB#b의 4심볼분의 데이터를 송신 장치는 송신할 수 없다. 이 경우, 송신 장치는, 송신할 수 없었던 4심볼분의 데이터를, 추가로 다음 슬롯(선두 슬롯의 다다음 슬롯)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신 장치는 TB#b도 크로스 TTI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2심볼마다 캐리어 센스가 행해지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1심볼마다여도 되고, 3심볼마다 이상이어도 된다.
<3. RRC 메시지와 PDCCH의 관계>
도 3은, 5G에 있어서의 기지국(100)과 단말기(200)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CCH는 최하층의 물리 레이어(PHY)에 포함되고, RRC 메시지는 물리 레이어보다 상위의 RRC 레이어에 포함된다.
PDCCH는, 예를 들어 TTI마다 송신된다. 그 때문에, PDCCH는, RRC 메시지와 비교하여 오버헤드가 큰 반면, 실시간으로 제어를 변경할 수 있어, 유연성이 있다.
한편,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수백ms마다 송신된다. 그 때문에, RRC 메시지는, PDCCH와 비교하여 오버헤드가 적은 반면, 실시간으로 제어를 변경하는 것이 어려워, 유연성이 부족하다.
PDCCH와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오버헤드나 유연성에 관하여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4.1 PDCCH와 PD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
도 4의 (A)와 도 4의 (B)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A)의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스케줄링에 의해, 하향 방향의 선두 슬롯의 전체 심볼에 대하여 TB#a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할당하고,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의 전체 심볼에 대하여 TB#b의 데이터를 할당하고 있다. 또한, 도 4의 (A)의 예에서는, 선두의 1번째와 2번째의 심볼에 PDCCH가 할당되어 있는 예로 되어 있다. 5G에서는, PDCCH에 대해서는 1심볼 길이부터 3심볼 길이까지 허용된다. 그 때문에, PDCCH는 1번째의 심볼에만 포함되어도 되고, 1 내지 3번째의 심볼에 포함되어도 된다.
도 4의 (A)의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언라이선스 밴드에 있어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선두 슬롯의 1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 "Idle" 상태인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1번째의 심볼부터 차례로, 각 심볼에 할당한 PDCCH#a와 PDSCH(TB#a)를 송신하고 있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에 있어서도, 1번째의 심볼부터 차례로, 각 심볼에 할당한 PDCCH#b와 PDSCH(TB#b)를 송신하고 있다.
한편, 도 4의 (B)의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언라이선스 밴드에 있어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선두 슬롯의 1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 "Busy"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지국(100)은, PDCCH#a와 PDSCH(TB#a), 또한 그 후에 이어지는 PDCCH#b와 PDSCH(TB#b)도, 이 타이밍에는 송신하지 않는다.
기지국(100)은, 최초의 캐리어 센스를 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도 4의 (A)의 예에서는 2심볼 시간 경과 후), 다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선두 슬롯의 3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 "Busy"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지국(100)은, 이 시점에서도 송신을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2번째의 캐리어 센스를 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선두 슬롯의 5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 "Idle" 상태를 확인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100)은, 5번째의 심볼의 시점이 송신 개시 타이밍으로 되고, PDCCH#a와 PDSCH(TB#a)를 송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TB#a에 대하여, 선두 슬롯의 5번째의 심볼부터 14번째의 심볼까지의 10심볼분에 할당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따라서, 선두 슬롯의 전체 심볼에 할당한 TB#a 중, 11번째의 심볼부터 14번째의 심볼에 할당한, 남은 4심볼분의 TB#a는 선두 슬롯에서는 송신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크로스 TTI를 이용하여, 남은 4심볼분의 TB#a를 송신한다. 즉, 기지국(100)은, 도 4의 (B)의 예에서는, 다음 슬롯의 최후의 4심볼(11번째부터 14번째의 심볼)을 이용하여, 송신되지 않은 남은 4심볼분의 TB#a를 송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단말기(200)로부터 ACK나 NACK를 수신하지 않고, 남은 4심볼분의 데이터를, 다음 슬롯의 최후의 4심볼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또한, PDCCH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DCI에는, PDSCH의 시간 방향의 리소스 할당으로서, 개시 심볼 S와, 개시 심볼로부터의 연속된 길이(이하, 「길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L이 포함된다. 도 4의 (A)의 예에서는, S=0, L=14를 포함하는 DCI가 PDCCH를 이용하여 송신되게 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캐리어 센스에 의해 복수의 송신 기회가 있는 경우라도, DCI에 포함되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은 그 내용을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기지국(100)은,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번째의 심볼로부터 송신하는 PDCCH#a와,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번째의 심볼로부터 송신하는 PDCCH#a에 있어서, 개시 심볼 S와 길이 L은 모두 S=0, L=14를 포함하는 DCI를 송신한다.
이 경우, 도 4의 (A)의 예에서는, 단말기(200)는 S=0, L=14의 PDCCH와 PDSCH의 전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B)의 예에서는, 단말기(200)는, S=0의 시점에서 PDDCH와 PDSCH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 또한, 단말기(200)는, 1슬롯 시간이 종료될 때, L=14의 길이분의 PDSCH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 즉, 단말기(200)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을 이용하여 부족분의 PDSCH가 있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단말기(200)는 부족분의 PDSCH를 「미송신」으로 해석한다. 상세는 동작예에서 설명한다.
또한,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시 심볼 S는, 예를 들어 송신 버스트를 실제로 송신 개시할 수 있었던 심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A)의 예에서는, 1슬롯 내의 1번째의 심볼(심볼 0)부터 송신 버스트의 송신이 개시되고, 도 4의 (B)의 예에서는, 5번째의 심볼(심볼 4)부터 송신 버스트의 송신이 개시되고 있다. 이 경우, 모두 개시 심볼 S는 S=0으로 된다.
다음에,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는, RRC 메시지의 교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 있어서, 예를 들어 UE(User Equipment)는 단말기(200)에 대응하고, Network는 기지국(100)에 대응한다.
기지국(100)은,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기(200)에 송신한다(S10). 한편, 단말기(200)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면,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S11).
도 5의 (B)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는, 여러 내용이 계층 구조로 포함되어 있고, 그 일부에 PDSCH-Config와 PUSCH-Config가 포함된다.
PDSCH-Config는, 예를 들어 UE 개별의 PDSCH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PUSCH-Config는, 예를 들어 UE 개별의 PUSCH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PDSCH-Config와 PUSCH-Config에 각각 포함되는 정보 요소(IE: Information Element)의 상세는, 3GPP TS 38.331 V15.1.0(2018-03)에 기재되어 있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PDSCH-Config에 크로스 TTI를 실현하기 위한 IE를 더 포함시켜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PDSCH-Config에 포함되는 IE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IE로서, (1) 크로스 TTI를 행할지 여부, (2)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는 슬롯 번호, (3)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 (4)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의 종료 심볼은, 추가로 다음 슬롯으로 시프트시킬지 여부가 포함된다.
(1)의 「크로스 TTI를 행할지 여부」는, 예를 들어 TTI를 넘어서(또는 복수의 TTI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며, 1비트로 표현 가능하다.
(2)의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는 슬롯 번호」는, 예를 들어 크로스 TTI에 의해 미송신 부분의 PDSCH를 송신하는 경우, 그 송신에 이용하는 슬롯의 슬롯 번호를 나타낸다. 도 4의 (B)의 예에서는, TB#a의 미송신 부분(남은 4심볼분의 데이터)은,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에서 송신되기 때문에, 선두 슬롯의 슬롯 번호를 「0」이라고 하면,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는 슬롯 번호」는 「1」로 된다.
(3)의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는, 예를 들어 (2)의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는 슬롯 번호의 슬롯 내에 있어서,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의 심볼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B)의 예에서는, 11번째의 심볼부터 송신을 개시하기 때문에,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는 「10」으로 된다.
또한, (3)의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우가 구분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캐리어 센스를 행하면, 송신 개시할 수 있는 타이밍은, 실제로 행하지 않으면 모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단말기(2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 심볼 S와 길이 L 및 실제로 수신한 데이터 등으로부터, 미송신 부분의 PDSCH에 대하여 「미송신」으로 해석할 수 있고, 또한 몇 심볼분의 데이터가 부족한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PDSCH-Config에 포함되는, (2)의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는 슬롯 번호」와, (3)의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에 따라, 그 슬롯 내에 있어서의 그 심볼로부터 미송신 부분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의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의 종료 심볼은, 추가로 다음 슬롯으로 시프트시킬지 여부」는, 예를 들어 이하를 나타낸다. 즉, 기지국(100)은, 크로스 TTI에 의해 선두의 다음 슬롯(또는 TTI)에 있어서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의해, 선두의 다음 슬롯에 있어서,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를 할당한 심볼이 적어지며, 기지국(100)은 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도 4의 (B)의 예에서는,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의 전체 심볼에 할당한 TB#b의 데이터가, TB#a의 크로스 TTI에 의해 송신할 수 없는 부분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4)에 의해, 추가로 다음 슬롯으로 시프트시킬지 여부를 나타내는 IE를 PDSCH-Config에 부가하고 있다. 또한, 도 4의 (B)의 예에서는, TB#b의 미송신 부분의 종료 심볼은, 추가로 다음 슬롯(선두로부터 3번째의 슬롯)으로 시프트시키지 않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의 종료 심볼은, 추가로 다음 슬롯으로 시프트시킬지 여부」는 「0」(=시프트시키지 않음)으로 된다. 시프트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 IE는 「1」로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3)의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의 경우 구분의 예는 일례이다. 경우 구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1심볼 부족한 경우에는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는 「1」, 2심볼 부족한 경우에는 「2」 등으로 해도 된다.
<4.2 PU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
도 7의 (A)와 도 7의 (B)는, PU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스케줄링에 의해, 상향 방향에 있어서의 선두 슬롯의 전체 심볼에 TB#a를 할당하고, 그 다음 슬롯의 전체 심볼에 TB#b를 할당하여, 그 할당 결과를 송신하고 있다.
도 7의 (A)의 예에서는, 단말기(200)는, 언라이선스 밴드에 있어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선두 슬롯의 1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 "Idle" 상태를 확인하였기 때문에, 1번째의 심볼부터 차례로, PDCCH에 따라 PUSCH(TB#a)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다음 슬롯에 있어서도 1번째의 심볼부터 차례로 PUSCH(TB#b)를 송신한다.
한편, 도 7의 (B)의 예에서는, 단말기(200)는 언라이선스 밴드에 있어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선두 슬롯의 1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 "Busy"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 그 때문에, 단말기(200)는 소정 기간 경과 후, 다시 언라이선스 밴드에 있어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3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도 "Busy" 상태인 것을 확인한다. 또한, 단말기(200)는 소정 기간 경과 후, 다시 언라이선스 밴드에 있어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앞으로는 "Idle" 상태를 확인한다. 단말기(200)는, 5번째의 심볼의 개시 시점이 송신 개시 타이밍으로 되고, PUSCH(TB#a)를 송신한다. 단말기(200)는 TB#a의 송신 개시 타이밍을 시프트하여 송신한다.
이 경우, 단말기(200)는, TB#a에 대해서는, 선두 슬롯의 5번째의 심볼부터 14번째의 심볼까지의 10심볼에 할당한 데이터를, 선두 슬롯에 있어서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선두 슬롯의 전체 심볼에 할당된 TB#a 중, 11번째의 심볼부터 14번째의 심볼에 할당된, 남은 4심볼분의 TB#a를 선두 슬롯에서는 송신할 수 없다.
그래서, 단말기(200)는, 크로스 TTI를 이용하여, 남은 4심볼분의 TB#a를 송신한다. 즉, 단말기(200)는, 도 7의 (B)의 예에서는 다음 슬롯의 선두의 4심볼(1번째부터 4번째의 심볼)을 이용하여, 송신되지 않은 남은 4심볼분의 TB#a를 송신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하향 방향에 있어서의 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개시 심볼 S와 길이 L에 기초하여, 부족분의 PUSCH가 있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의 (B)의 예에서는, 기지국(100)은 PUCCH에 의해 S=0, L=14를 송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양이, 10심볼분의 데이터밖에 수신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면, 부족분의 PUSCH가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부족분의 PUSCH는 「미송신」으로 해석한다.
다음에,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PUSCH-Config의 IE의 예를 도시한다. PUSCH-Config도 PDSCH-Config와 마찬가지로, 3GPP TS 38.3GPP TS 38.331 V15.1.0(2018-03)에 각 IE가 사양화되어 있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크로스 TTI를 설정하기 위해, 추가로 도 6에 도시하는 IE를 PUSCH-Config에 포함시키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E는 PDSCH-Config의 IE와 동일하며, 그 내용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7의 (B)의 예에서는, (1)의 「크로스 TTI를 행할지 여부」는 「1」(=크로스 TTI를 행함), (2)의 「미송신 부분의 송신 슬롯 번호」는 「1」(선두 슬롯을 「0」이라고 하면 그 다음 슬롯)로 된다. 또한, (3)의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는 「0」, (4)의 「다음 슬롯으로 시프트시킬 것인가」는 「1」(=시프트시킴)로 된다.
단말기(200)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한다(S10, S11). 그리고,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TTI에 관한 IE가 포함된다. 단말기(200)는, 이 IE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B#a의 남은 4심볼분의 데이터를,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의 1번째부터 4번째의 심볼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이 경우, TB#b의 데이터에 대하여, 11번째의 심볼부터 14번째의 심볼에 할당한 데이터가 「미송신」으로 된다. 단말기(200)는, 도 6에 도시하는 IE의 (4)에 따라, 다음 슬롯(선두 슬롯의 다다음 슬롯)으로 「미송신」 부분의 데이터를 시프트시켜, 크로스 TTI에 의해 송신한다.
또한, 도 29의 (A)와 도 29의 (B)는, PUCCH와 PUSCH를 송신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의 (A)와 도 29의 (B)는, 도 7의 (A)와 도 7의 (B)의 예에 대하여, PUCCH가 부가되어 있는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PUCCH는, 예를 들어 DCI에 의해 PUSCH에 부가되거나, PUSCH에 부가되어 있지 않거나 한다.
도 29의 (A)와 도 29의 (B)의 송신예는, 예를 들어 도 7의 (A)와 도 7의 (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 실시 가능하다. 이 경우, 도 2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200)는 5심볼째를 송신 개시 타이밍으로 하여, 도 29의 (A)의 경우와 비교하여 PUCCH와 PUSCH를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켜 송신하게 된다.
<4.3 PDCCH와 PD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PDCCH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
도 8의 (A)와 도 8의 (B)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A)의 예는, 기지국(100)은, 1슬롯의 1번째의 심볼 시점에 있어서, 언라이선스 밴드가 "Idle" 상태였기 때문에, 선두 심볼의 전체 심볼에 할당한 TB#a를 차례로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에 있어서도 전체 심볼에 할당한 TB#b를 차례로 송신한다.
한편, 도 8의 (B)의 예에서는, 선두 슬롯의 1번째의 심볼과 3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 "Busy" 상태였기 때문에, 기지국(100)은 Tb#a의 송신을 보류하고 있다. 기지국(100)은 5번째의 심볼 시점에서 "Idle" 상태로 되었기 때문에, TB#a의 송신을 개시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선두 슬롯에서 송신되는 TB#a 중, 마지막의 4심볼을 선두 슬롯에서 송신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기지국(100)은, 크로스 TTI에 의해, 다음 슬롯(또는 TTI)에서, 5번째의 심볼부터 8번째의 심볼을 이용하여 「미송신」인 TB#a의 남은 4심볼분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PDCCH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한다.
도 9는, PDCCH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DCI에 포함되는 영역(필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CI는 TDRA(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 NDI(New Data Indicator),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를 포함한다. 또한, 새로운 PDCCH는 RV(Redundancy Version),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DRA(Frequency Domain Resource Assignment)를 포함한다.
TDRA는, 예를 들어 시간 방향의 리소스 지정을 나타내며, 슬롯 내에 있어서의 개시 심볼 S와 길이 L을 포함한다. 개시 심볼 S는, 상기 <4.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송신 버스트를 실제로 송신 개시할 수 있었던 심볼로 정의한다. 또한, 복수의 송신 기회가 있는 경우, 기지국(100)은 개시 심볼 S와 길이 L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다.
도 10의 (A)는, 도 8의 (A)와 도 8의 (B)의 예에 있어서의, PDCCH#m에 포함되는 DC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8의 (A)의 PDCCH#m에 포함되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 및 도 8의 (B)의 PDCCH#m에 포함되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은 모두 S=0, L=14로 된다.
도 9로 되돌아가서, NDI는, 예를 들어 금회의 NDI와 동일한 재송 프로세스(HARQ)에 있어서, 전회의 NDI와의 비교에 의해 재송 데이터인지 신규 데이터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은, NDI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TB#a에 착안하면, 기지국(100)은, 처음에는 NDI로서 "0"을 송신하고, 단말기(200)로부터 NACK가 반송되었기 때문에, TB#a를 재송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NDI로서 표시된 "0"을 Toggle(또는 비트 반전)하지 않고, 다시 NDI로서 "0"을 송신한다. 단말기(200)는, NDI의 비트가 Toggle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신한 TB#a가 재송 데이터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200)가 TB#a를 정상적으로 수신함으로써 ACK를 반송하면, 기지국(100)은 TB#a와는 다른 TB#a'를 신규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NDI의 비트 "0"을 Toggle하고, "1"을 송신한다. 단말기(200)는, NDI로서 "1"을 수신하였기 때문에, TB#a'가 신규 데이터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9로 되돌아가서,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예를 들어 TB를 기억하는 TB마다의 버퍼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동일한 재송 프로세스에 있어서, HARQ 프로세스 번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한 TB를 나타내고, 다른 경우, 다른 TB를 나타낸다.
RV는, 예를 들어 부호화 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낸다. 재송마다 부호화 데이터의 버전을 바꿈으로써, 수신측의 부호화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지국(100)은, 동일 재송 프로세스에 있어서 재송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전회 송신한 RV와는 다른 RV를 송신함으로써, 단말기(200)에 있어서는 재송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이득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크로스 TTI의 설정용으로 새로운 PDCCH(도 8의 (B)의 예에서는 PDCCH#n)를 사용하여,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RV에 의해, PDSCH의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도 10의 (B)는, 도 8의 (B)의 예에서, 새로운 PDCCH인 PDCCH#n에 포함되는 DCI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의 (B)의 예에서는, 남은 4심볼분의 TB#a를,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에 있어서의 4번째의 심볼을 송신 개시 심볼로 하고, 그 길이를 4심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도 10의 (B)에 도시하는 PDCCH#n의 TDRA는 S=4, L=4로 되어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CCH#n에 포함되는 NDI와, 도 10의 (A)에 도시하는 PDCCH#m에 포함되는 NDI는 동일한 "0"으로 되어 있다. 또한, PDCCH#n에 포함되는 HARQ 프로세스 번호와, PDCCH#m에 포함되는 HARQ 프로세스 번호는 동일한 "5"로 되어 있다.
도 10의 (A)와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CCH#n과 PDCCH#m의 HARQ 프로세스 번호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재송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동일한 TB(TB#a)를 송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PDCCH#n과 PDCCH#m의 NDI가 동일하기는 하지만, PDCCH#n과 PDCCH#m의 RV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재송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PDCCN#n과 PDCCH#m의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RV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동일한 PDSCH의 「미송신」 부분의 송신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RV의 정의를 변경하지 않고, 이용 방법을 바꿈으로써, DCI에 의해 「미송신」 부분의 송신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A)와 도 8의 (B)의 예에서, TB#b의 송신을 지시하는 PDCCH#m1의 DCI는, 예를 들어 도 10의 (C)로 도시된다.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HARQ 프로세스 번호는, 선두 슬롯에서 송신되는 PDCCH#m(도 10의 (A))과 비교하여 다르다. 그 때문에, 선두 슬롯에서 송신되는 TB(도 8의 (A)에서는 TB#a)와는 다른 TB(도 8의 (A)에서는 TB#b)를 기지국(100)이 송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 3개의 송신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5. 기타>
다음에, 그 밖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5.1 Ending Symbol을 통지하는 예>
다음에, Ending Symbol을 통지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A)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선두 슬롯의 선두 심볼에 있어서 "Idle" 상태였기 때문에, TB#a를 선두로부터 4심볼 이용하여 송신하고, 5심볼째 이후를 이용하여 TB#b를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A)는, 5G에서 사양화된 미니 슬롯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PDCCH#n의 TDRA는, 예를 들어 개시 심볼 S=0, 길이 L=7, PDCCH#m1의 TDRA는, 예를 들어 개시 심볼 S=0, 길이=14로 되어 있다.
도 12의 (B)는, 선두 슬롯의 1번째의 심볼과 3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는 언라이선스 밴드는 "Busy" 상태였기 때문에 송신을 보류하고, 5번째의 심볼의 시점에서는 "Idle" 상태로 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지국(100)은, 5번째의 심볼을 송신 개시 위치로 하여 PDCCH#n과 PDCCH#n1 및 TB#a를 송신한다.
이 경우, 선두 슬롯의 1번째의 심볼부터 7번째의 심볼에 할당된 TB#a는, 그 일부인 3심볼분의 데이터가 선두 슬롯에서 송신된다. 그 때문에, TB#a의 4번째의 심볼부터 7번째의 심볼에 할당된 TB#a의 4심볼분의 데이터를, 선두 슬롯의 5번째부터 7번째의 심볼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선두 슬롯의 8번째의 심볼부터 11번째의 심볼은, 「미송신」 부분인 TB#a의 4심볼분의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지, 혹은 PDCCH#m1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TB#b의 송신에 이용되는지 파악할 수 없다. 게다가, PDCCH#n에서는 개시 심볼 S=0, 길이 L=7, PDCCH#m1에서는 개시 심볼 S=0, 길이 L=14로 되어 있어, 기지국(100)과 단말기(200)에서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만으로는, 이러한 경우 어떻게 처리하는지 파악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Ending Symbol을 새롭게 규정한다. Ending Symbol은, 예를 들어 슬롯 내에 있어서의 종료 심볼을 나타낸다. 단, Ending Symbol을 세는 방법은, 예를 들어 슬롯의 선두의 심볼을 "0"으로 하여, 선두부터 차례로 센다.
예를 들어, Ending Symbol=6일 때, 슬롯의 선두의 1번째의 심볼부터 세어 7 심볼째까지, 그 PDSCH의 송신을 종료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의 (B)의 예에서, TB#a에 대하여, Ending Symbol=6일 때, TB#a의 데이터는 선두 슬롯의 7번째의 심볼까지 송신이 종료되게 된다. 그 때문에, 도 12의 (B)의 예에서는, 8번째부터 14번째의 심볼은 TB#b의 송신에 이용된다. 한편, 도 12의 (B)의 예에서, Ending Symbol=13일 때, TB#a의 「미송신」의 데이터는, 선두 슬롯의 8번째부터 14번째의 심볼까지 송신을 종료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12의 (B)의 예에서는, TB#a의 미송신의 데이터는, 선두 슬롯의 8번째부터 14번째의 심볼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B)의 예에서는, 8번째부터 11번째의 심볼을 이용하여 TB#a의 미송신의 데이터가 송신된다.
Ending Symbol은, 예를 들어 S<6일 때에는 「6」, 그 이외에는 「13」 등으로 함으로써, 「미송신」 부분의 데이터를, 다른 TTI로 시프트시켜 송신할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Ending Symbol도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의해 설정해도 되고, PDCCH에 의해 설정해도 된다.
도 13은, RRC 메시지에 의해 Ending Symbol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PDCH-Config에, 「Ending Symbol」의 IE가 새롭게 포함된다. 기지국(100)은, 이 IE에 종료 심볼을 삽입하여 단말기(200)에 송신한다(예를 들어 도 5의 (A)).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개시 심볼 S<6일 때, Ending Symbol=6, 그 이외일 때, Ending Symbol=13으로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개시 심볼 S가, 캐리어 센스에 의해 1번째부터 7번째의 심볼로 되었을 때, 7번째의 심볼까지, 이들 심볼에 할당한 TB#a의 송신을 종료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개시 심볼 S가, 캐리어 센스에 의해 8번째부터 14번째의 심볼로 되었을 때, 14번째의 심볼까지 TB#a의 송신을 종료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PDCCH에 의해 Ending Symbol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nding Symbol」의 영역이 새롭게 포함되고, 기지국(100)은 이 영역에 종료 심볼을 삽입하여 PDCCH를 송신한다. 이 경우, TDRA에 포함되는 길이 L에 대해서는 L=E-S+1로 계산 가능하기 때문에, TDRA에 길이 L을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Ending Symbol」의 정보를 TDRA의 영역 중에 포함시켜도 된다.
또한,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두 슬롯의 8번째부터 10번째의 심볼에 PDCCH가 할당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이 PDCCH에 의해 TB#a의 「미송신」의 4심볼분의 데이터를, 8번째부터 14번째의 심볼에서 수신할지 여부(또는 시프트를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송신해도 된다. 혹은, 기지국(100)은, PDSDH-Config 내에, 이러한 정보를 삽입하여 RRC 메시지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Ending Symbol은, PUCCH와 PUSCH의 송신에 있어서도 이용 가능하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하는 PUSCH-Config를 이용하여 Ending Symbol의 설정이 가능하다.
<5.2 PDCCH의 매핑 영역에 PDSCH를 매핑할 수 없는 경우의 예>
5G에서는, 예를 들어 어떤 심볼을 이용하여 PDCCH를 송신하고, 그 심볼을 이용하여 PDSCH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예를 들어 PDCCH가 매핑된 심볼에 대하여, PDSCH를 매핑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의 (A)와 도 15의 (B)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한다.
도 15의 (A)는, 기지국(100)이 선두 슬롯에서 PDCCH#m과 TB#a를 송신하고, 다음 슬롯에서 PDCCH#m1과 TB#b를 송신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5의 (B)에서는, 선두 슬롯에서는 5번째의 심볼부터 송신 개시로 되고, TB#a가, 크로스 TTI에 의해, 선두 슬롯(또는 선두 TTI)과 다음 슬롯(또는 다음 TTI)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의 1번째와 2번째의 심볼에 2개의 PDCCH#m1과 PDCCH#n을 할당하고, 또한 이 2개의 심볼에 PDSCH를 할당하고 있다.
이 경우, 이 2개의 심볼의 영역에 있어서는, PDSCH가 할당된 무선 리소스의 영역에, PDCCH(PDCCH#m1 및 PDCCH#n)이 할당된 무선 리소스의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PDCCH의 영역을 포함하는 PDSCH에 있어서, PDCCH의 영역에 매핑될 예정이었던 부호화 비트를 펀처한다. 즉, 기지국(100)은, PDSCH의 영역 내에 PDCCH가 포함될 때, PDSCH보다 PDCCH를 우선하여 송신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PDCCH와 PDSCH가 중복된 무선 리소스의 영역에서는 부호화 비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또는 펀처함).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수신측의 단말기(200)에서는,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동일한 타이밍에 수신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6. 기지국과 단말기의 구성예>
도 16의 (A)는 기지국(1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100)은, 전송로 인터페이스(110)와,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 RF(Radio Frequency) 송수신부(또는 송신부, 혹은 수신부)(130) 및 안테나(140)를 구비한다. 기지국(100)은, 예를 들어 5G에서 규정된 gNB(Next generation Node B)여도 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10)는, 상위국이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패킷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10)는, 추출한 데이터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에 출력한다. 또한, 전송로 인터페이스(110)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등을 입력하고, 입력한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 데이터를 상위국이나 다른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는, 예를 들어 기저 대역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도 16의 (B)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 신호 처리부(121), 제어부(122), PDCCH 생성부(123), PDSCH 생성부(124) 및 매핑부(125)를 구비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121)는, 예를 들어 제어부(122)로부터 출력된, 상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RF 송수신부(130)로부터 출력된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어떤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PUSCH)나 제어 신호(PUCCH) 등을 추출한다. 수신 신호 처리부(121)는, 추출한 데이터나 제어 신호 등을 제어부(122)에 출력한다.
제어부(122)는, 예를 들어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을 행할 때의 스케줄링을 행하여, 스케줄링 결과를 PDCCH 생성부(123)에 출력한다. 이 경우, PDCCH 생성부(123)에 출력하는 스케줄링 결과에는, 하향 방향과 상향 방향의 각 스케줄링 결과가 포함된다. 제어부(122)는, 하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를 매핑부(125)에, 상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를 수신 신호 처리부(121)에 각각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2)는, 전송로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PDSCH 생성부(124)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2)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RRC 메시지를 PDSCH 생성부(124)에 출력한다. RRC 메시지는, 예를 들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가 포함되며, 도 6이나 도 13 등에 도시하는 PDSCH-Config나 PUSCH-Config도 포함된다.
PDCCH 생성부(123)는, 제어부(122)로부터 출력된 스케줄링 결과에 대하여, 이 스케줄링 결과를 포함하는 DCI를 생성한다. PDCCH 생성부(123)는, 예를 들어 도 9나 도 14에 도시하는 DCI를 생성한다. 단, DCI의 각 IE에 포함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제어부(122)에 있어서 생성되어도 되며, 이 경우, PDCCH 생성부(123)는 각 정보를 통합하여, 도 9나 도 14에 도시하는 1개의 DCI의 형식으로 되도록 DCI를 생성해도 된다. PDCCH 생성부(123)는, 생성된 DCI를 매핑부(125)에 출력한다.
PDSCH 생성부(124)는, 제어부(12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매핑부(125)에 출력한다. 이 경우, PDSCH 생성부(124)는, 예를 들어 이 데이터를 PDSCH로서 출력해도 된다. 또한, PDSCH 생성부(124)는, 제어부(122)로부터 출력된 RRC 메시지를 매핑부(125)에 출력한다.
매핑부(125)는, 제어부(122)로부터 출력된 하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PDCCH 생성부(123)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와, PDSCH 생성부(12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리소스 상의 소정의 영역에 매핑한다. 매핑부(125)는, 매핑한 제어 신호와 데이터를 RF 송수신부(130)에 출력한다.
또한, 매핑부(125)는, 예를 들어 PDSCH 생성부(124)로부터 출력된 RRC 메시지를 무선 리소스 상의 소정의 영역에 매핑하고, 매핑한 RRC 메시지를 RF 송수신부(130)에 출력한다.
도 16의 (A)로 되돌아가서, RF 송수신부(130)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와 데이터 및 RRC 메시지를, 무선 대역의 무선 신호로 주파수 변환을 행하고, 주파수 변환 후의 무선 신호를 안테나(140)에 출력한다.
또한, RF 송수신부(130)는, 안테나(140)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를, 기저 대역의 기저 대역 신호로 주파수 변환을 행하고, 주파수 변환 후의 기저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에 출력한다.
안테나(140)는, RF 송수신부(130)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를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140)는,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를 RF 송수신부(130)에 출력한다.
도 17의 (A)는 단말기(2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기(200)는 안테나(210), RF 송수신부(또는 송신부, 혹은 수신부)(220),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 애플리케이션부(240)를 구비한다.
안테나(21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를 RF 송수신부(220)에 출력한다. 또한, 안테나(210)는, RF 송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RF 송수신부(220)는, 안테나(210)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을 행하여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기저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에 출력한다. 또한, RF 송수신부(220)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로부터 출력된 기저 대역 신호를 무선 대역의 무선 신호로 주파수 변환을 행하고, 변환 후의 무선 신호를 안테나(210)에 출력한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는, 예를 들어 기저 대역 신호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도 17의 (B)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는, PDCCH 수신 처리부(231), PDSCH 수신 처리부(232), 제어부(234), PUSCH 생성부(235), PUCCH 생성부(236) 및 매핑부(237)를 구비한다.
PDCCH 수신 처리부(231)는, RF 송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된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 PDCCH 수신 처리부(231)는, 추출한 제어 신호 중,하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를 PDSCH 수신 처리부(232)에 출력하고, 상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를 제어부(234)에 출력한다.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PDCCH 수신 처리부(231)로부터 출력된 하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RF 송수신부(220)로부터 출력된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자국에 할당된 데이터나 RRC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때,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예를 들어 DCI에 포함되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 혹은 길이 L 대신에 Ending Symbol에 따라 데이터를 수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예를 들어 DCI에 포함되는 NDI와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RV(예를 들어 도 9)에 기초하여, 크로스 TTI가 PDCCH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경우,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PDCCH에 의해 크로스 TTI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개시 심볼 S, 길이 L 또는 Ending Symbol,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RV 등에 기초하여, 크로스 TTI가 설정된 데이터를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추출한다. PDCCH에 의해 설정된 크로스 TTI에 대한 처리는, 제어부(234)가 아니라 PDSCH 수신 처리부(232)에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예를 들어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추출한 RRC 메시지에 포함되는 PDSCH-Config(예를 들어 도 6)에 따라 PDSCH의 계속 부분을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추출한다.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추출한 데이터나 RRC 메시지를 제어부(234)에 출력한다.
제어부(234)는, 예를 들어 PDSCH 수신 처리부(232)로부터 출력된 RRC 메시지에 따라 수신 처리나 송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34)는, PDSCH 수신 처리부(23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부(24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34)는, PDCCH 수신 처리부(231)로부터 출력된 상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를 매핑부(237)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34)는, 애플리케이션부(2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PUSCH 생성부(235)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34)는, 상향 방향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PUCCH 생성부(236)에 출력한다.
PUSCH 생성부(235)는, 제어부(234)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매핑부(237)에 출력한다.
PUCCH 생성부(236)는, 제어부(234)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매핑부(237)에 출력한다.
매핑부(237)는, 제어부(234)로부터 출력된 상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매핑한다. 매핑부(237)는, 매핑한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서 RF 송수신부(220)에 출력한다.
도 17의 (A)로 되돌아가서, 애플리케이션부(240)는, 예를 들어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부(240)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제어부(234)에 출력한다.
<7. 동작예>
다음에, 동작예를 설명한다. 동작예는 상술한 <4.1>의 동작예를 먼저 설명한다. 다음에 상술한 <4.2>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4.3>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7.1 PDCCH와 PDSCH를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의 동작예>
도 18은, PDCCH와 PDSCH를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의 기지국(100)에 있어서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기지국(100)과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하는 시퀀스에 의해, RRC 메시지의 교환을 종료하고, 도 6에 도시하는 PDSCH-Config를 기지국(100)과 단말기(200)에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는, 도 6에 도시하는 PDSCH-Config를 생성하고, 생성된 PDSCH-Config를 PDSCH 생성부(124)를 경유하여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100)은, 처리를 개시하면(S20), LBT를 실행한다(S21).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수신 신호 처리부(121)는, 언라이선스 주파수대의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22)에 출력한다. 제어부(122)는, 그 결과가 역치보다 작을 때 "Idle" 상태, 그 결과가 역치 이상일 때 "Busy" 상태로 판정한다.
다음에, 기지국(100)은, 언라이선스 주파수대의 소정 주파수 대역이 "Idle"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2). 기지국(100)은, "Busy" 상태일 때(S22에서 "아니오"), 소정 기간 경과하면 다시 LBT를 실행하고(S21), 소정 주파수 대역이 "Idle" 상태로 될 때까지 반복 실행한다(S22에서 "아니오"의 루프).
기지국(100)은, 소정 주파수 대역이 "Idle 상태"로 되었을 때(S22에서 "예"), 그 소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PDCCH와 PDSCH를 송신한다(S23).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122)는, "Idle"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선두 슬롯(또는 선두 TTI)의 신호의 출력을 매핑부(125)에 지시한다. 제어부(122)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것을 검출하여 LBT를 개시하기 전에 선두 슬롯의 신호의 생성을 지시한다. 우선, 전송로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PDSCH 생성부(124)에 출력한다. 그때, 제어부(122)는 스케줄링을 행하고, 그 결과를 PDCCH 생성부(123)에 출력한다. PDCCH 생성부(123)는 DCI를 매핑부(125)에 출력하고, PDSCH 생성부(124)는 데이터를 매핑부(125)에 출력하며, 매핑부(125)는 하향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DCI와 데이터를 무선 리소스 상에 매핑한다. 매핑부(125)는, 매핑한 DCI와 데이터를, RF 송수신부(130)를 통하여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단, 기지국(100)은,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usy" 상태 후, "Idle" 상태로 되었을 때, "Idle" 상태로 될 때까지, PDCCH와 PDSCU를 포함하는 심볼을 시프트시킨다. 또한, 기지국(100)은, 선두 슬롯(또는 선두 TTI)에서 송신할 수 없었던 PDSCH의 부분을, 크로스 TTI를 이용하여 다음 슬롯(또는 다음 TTI)에서 송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122)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강도가 역치 이상일 때, PDCCH와 PDSCH의 송신을 하지 않도록 매핑부(125)에 지시하고, 매핑부(125)는, 매핑한 PDCCH와 PDSCH의 송신을 정지한다. 그 동안, 매핑부(125)는, 내부 메모리에 PDCCH와 PDSCH를 기억해도 된다. 제어부(122)는, 그 후 신호 강도가 역치보다 작아졌을 때, 언라이선스 주파수대가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 경우, 제어부(122)는 하향 방향에 있어서의 PDCCH와 PDSCH를 포함하는 심볼을, "Idle" 상태로 되는 송신 개시 타이밍까지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킨다. 제어부(122)는, 이후에 이어지는 PDCCH와 PDSCH에 대해서도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킨다. 도 4의 (B)의 예에서는, 제어부(122)는 4심볼분 시프트시킨다. 제어부(122)는, 시프트된 결과를 매핑부(125)에 출력한다. 매핑부(125)는, 시프트 결과에 따라, 매핑한 PDCCH와 PDSCH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RF 송수신부(130)에 출력한다. 매핑부(125) 또는 RF 송수신부(130)는, 시프트 후, 제어 신호와 데이터를 PDCCH와 PDSCH를 각각 사용하여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22)는, PDSCH-Config(예를 들어 도 5의 (A), 도 6)에 따라 크로스 TTI를 행하는 경우에는,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는 슬롯 번호나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 번호 등을 매핑부(125)에 출력한다. 매핑부(125)는, 그 지시에 따라 내부 메모리 등에 기억된 미송신 부분의 TB#a를 판독하여, 지시된 슬롯의 지시된 심볼에 있어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크로스 TTI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22)는, 예를 들어 PDCCH와 PDSCH를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경우, PDCCH에 포함되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을, 슬롯 내의 선두 심볼로부터 송신하는 경우의 PDCCH에 포함되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과 각각 동일하게 설정한다.
도 18로 되돌아가서, 기지국(100)은, PDCCH와 PDSCH의 송신을 종료하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S24).
도 19는, 본 동작예에 있어서의 단말기(200)측의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말기(200)는, 처리를 개시하면(S30), PDCCH와, PDCCH를 포함하는 슬롯 내의 PDSCH 부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PDCCH 수신 처리부(231)가 PDCCH를 수신하고,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PDCCH 수신 처리부(231)로부터 DCI를 수취하고, DCI에 따라 PDSCH 부분을 수신한다.
다음에, 단말기(200)는, 실제로 수신한 PDSCH의 길이는, DCI에서 지시된 PDSCH의 길이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32). DCI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 심볼 S와 길이 L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234)는, PDSCH 수신 처리부(23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취하고, 그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PDSCH의 길이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234)는, 계산한 길이가 DCI에서 지시된 길이 L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234)에서는, DCI와 실제로 수신한 PDSCH의 길이에 기초하여, 기지국(100)에 있어서, 선두 심볼에 포함되는 PDCCH와 PDSCH 이후가 시프트되어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단말기(200)는, 실제로 수신한 PDSCH의 길이가, DCI에서 지시된 PDSCH의 길이보다 짧을 때(S32에서 "예"), RRC 메시지에 있어서, 크로스 TTI 설정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33). 예를 들어, 제어부(234)는, 계산한 길이가, DCI에서 지시된 길이 L보다 짧다고 판정하면, PDSCH 수신 처리부(232)로부터 수취한 RRC 메시지에 있어서, 크로스 TTI의 설정 유무(예를 들어, 도 6의 (1))를 확인함으로써 판정한다.
단말기(200)는, 크로스 TTI의 설정이 있을 때(S33에서 "예"), RRC 설정에 따라 PDSCH의 계속 부분을 수신한다(S34). 예를 들어, 제어부(234)는, 크로스 TTI의 설정을 확인하면, PDSCH-Config(예를 들어 도 6)에 포함되는 IE에 따라, PDSCH의 계속 부분을 다음 TTI 등의 타이밍에 수신한다.
다음에, 단말기(200)는, 수신 결과에 따라 ACK 또는 NACK를 피드백한다(S35). 예를 들어, 제어부(234)는, 크로스 TTI에 의해, PDSCH의 계속 부분을 포함하는 PDSCH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을 때에는 ACK를 생성하고, PUSCH 생성부(235) 또는 PUCCH 생성부(236)를 통하여 ACK를 피드백한다. 한편, 제어부(234)는, 예를 들어 크로스 TTI에 의해, PDSCH의 계속 부분을 포함하는 PDSCH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을 때 NACK를 생성하고, PUSCH 생성부(235) 또는 PUCCH 생성부(236)를 통하여 NACK를 피드백한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S36).
한편, RRC 설정으로서, 크로스 TTI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S33에서 "아니오"), 단말기(200)는 크로스 TTI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S35로 이행한다. 이 경우, 단말기(200)는 크로스 TTI를 행하지 않고, 수신한 PDSCH에 대하여 ACK 또는 NACK를 피드백한다.
한편, 단말기(200)는, 실제로 수신한 PDSCH의 길이가, DCI에서 지시된 PDSCH의 길이와 동일할 때(S32에서 "아니오"), S35로 이행한다. 이 경우, 단말기(200)는, DCI에서 지시된 길이 L의 PDSCH를 수신하게 되고, 예를 들어 도 4의 (A)와 동일한 상황으로 되기 때문에, 크로스 TTI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수신한 PDSCH에 대하여 ACK 또는 NACK를 피드백한다.
<7.2 PU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의 동작예>
도 20은, PU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RRC 메시지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의 단말기(200)측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7.1>과 마찬가지로, 기지국(100)과 단말기(200)는 RRC 메시지의 교환을 종료하고(예를 들어, 도 5의 (A)), PUSCH-Config(예를 들어 도 6)를 서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2)가, 도 6에 도시하는 PUSCH-Config를 생성하고, PDSCH 생성부(124) 등을 통하여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단말기(200)는, 처리를 개시하면(S40), LBT를 실행한다(S41).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PDCCH 수신 처리부(231) 또는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언라이선스 주파수대의 소정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34)에 출력한다. 제어부(234)는, 기지국(100)의 제어부(122)와 마찬가지로, 그 결과에 기초하여 "Idle" 상태 또는 "Busy" 상태를 판정한다.
단말기(2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이 "Busy" 상태일 때(S42에서 "아니오"), 소정 시간 경과 후, 다시 LBT를 실행하고(S41), "Idle" 상태로 될 때까지 반복한다(S42에서 "아니오"의 루프).
단말기(2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이 "Idle" 상태로 되었을 때(S42에서 "예"), 그 소정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PUCCH와 PUSCH를 기지국(100)에 송신한다(S43).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234)는, "Idle" 상태인 것을 판정하면, 애플리케이션부(24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PUSCH 생성부(235)를 통하여 매핑부(237)에 출력한다. 제어부(234)는, PDSCH 수신 처리부(232)로부터 수취한 상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를 매핑부(237)에 출력하고, 또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PUCCH 생성부(236)를 통하여 매핑부(237)에 출력한다. 매핑부(237)는, 상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와 데이터를 무선 리소스 상에 매핑한다. 매핑부(237)는, 매핑한 제어 신호(PUCCH)와 데이터(PUSCH)를 RF 송수신부(220)를 통하여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단,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Busy" 상태 후, "Idle" 상태로 되었을 때, "Idle" 상태로 될 때까지 PUCCH와 PUSCH를 포함하는 심볼을 시프트시킨다. 또한, 단말기(200)는, 선두 슬롯(또는 선두 TTI)에서 송신할 수 없었던 PUSCH의 부분을, 크로스 TTI를 이용하여 다음 슬롯(또는 다음 TTI)에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234)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강도가 역치 이상일 때, PUCCH와 PUSCH를 송신하지 않도록 매핑부(237)에 지시하고, 매핑부(237)는, 매핑한 PUCCH와 PUSCH의 송신을 정지한다. 이 경우, 매핑부(237)는, 내부 메모리에 PUCCH와 PUSCH를 기억해도 된다. 제어부(234)는, 그 후 신호 강도가 역치보다 작아졌을 때, 언라이선스 주파수대가 다른 장치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34)는, 상향 방향에 있어서의 PUCCH와 PUSCH를 포함하는 심볼을, "Idle" 상태로 되는 송신 개시 타이밍까지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킨다. 제어부(234)는, 이후에 이어지는 PUCCH와 PUSCH에 대해서도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킨다. 도 7의 (B)의 예에서는 4심볼분 시프트시킨다. 제어부(234)는, 시프트된 결과를 매핑부(237)에 출력한다. 매핑부(237)는, 시프트 결과에 따라 PUCCH와 PUSCH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판독하여 RF 송수신부(220)에 출력한다. 매핑부(237) 또는 RF 송수신부(220)는, 시프트 후의 심볼에 할당된 제어 신호와 데이터를 PUCCH와 PUSCH를 각각 사용하여 기지국(1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34)는, PUSCH-Config(예를 들어, 도 5의 (A), 도 6)에 따라 크로스 TTI를 행하는 경우에는, 미송신 부분을 송신하는 슬롯 번호나 송신 개시 심볼의 번호 등을 매핑부(237)에 출력한다. 매핑부(237)는, 그 지시에 따라 내부 메모리 등에 기억된 미송신 부분(예를 들어, 도 7의 (A)의 TB#a)을 판독하고, 지시된 슬롯의 지시된 심볼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향 방향에 있어서, 크로스 TTI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0으로 되돌아가서, 단말기(200)는, PUCCH와 PUSCH의 송신이 종료되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S44).
또한, 단말기(200)는, PUCCH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도 7의 (B)), S43의 처리는 PUCCH를 송신하지 않고 PUSCH를 송신하는 처리로 된다.
도 21은, 본 동작예에 있어서의 기지국(100)측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기지국(100)은, 처리를 개시하면(S50), PUCCH와, PUCCH를 포함하는 슬롯 내의 PUSCH 부분을 수신한다(S51). 예를 들어, 수신 신호 처리부(121)는, 제어부(122)로부터 출력된 상향 방향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PUCCH와 PUSCH를 추출하고, 추출한 PUCCH와 PUSCH를 제어부(122)에 출력한다.
다음에, 기지국(100)은, 실제로 수신한 PUSCH의 길이는, DCI에서 지시한 PUSCH의 길이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52).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122)는, 수신 신호 처리부(121)로부터 수취한 데이터의 데이터양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데이터양에 기초하여 PUSCH의 길이를 계산한다. 제어부(122)는, DCI에 포함되는 개시 심볼 S와 길이 L에 기초하여, 개시 심볼 S로부터 PUSCH가 개시되었는지 여부, 계산한 길이가 길이 L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22)도, 단말기(200)의 제어부(122)와 마찬가지로, DCI와 실제로 수신한 PUSCH의 길이에 기초하여, 단말기(200)에 있어서, 선두 심볼에 포함되는 PUCCH와 PDSCH 이후가 시프트되어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기지국(100)은, 실제로 수신한 PUSCH의 길이가, DCI에서 지시한 PUSCH의 길이보다 짧을 때(S52에서 "예"), RRC 메시지에 있어서, 크로스 TTI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53). 예를 들어, 제어부(122)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RRC 메시지에 있어서, 크로스 TTI 설정의 유무(예를 들어, 도 6의 (1))를 확인함으로써 판정한다.
기지국(100)은, 크로스 TTI의 설정이 있을 때(S53에서 "예"), RRC 설정에 따라 PUSCH의 계속 부분을 수신한다(S54). 예를 들어, 제어부(122)는, 크로스 TTI의 설정을 확인하면, PUSCH-Config(예를 들어 도 6)에 포함되는 IE에 따라, PUSCH의 계속 부분을 다음 TTI 등에서 수신한다.
다음에, 기지국(100)은, 수신 결과에 따라, PDCCH에 의해 재송 혹은 신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한다(S55). 예를 들어, 제어부(122)는, 크로스 TTI에 의해, PUSCH의 계속 부분을 포함하는 PUSCH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을 때에는, PDCCH 생성부(123)를 통하여, 신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PDCCH를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한편, 제어부(122)는, 예를 들어 크로스 TTI에 의해, PUSCH의 계속 부분을 포함하는 PUSCH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었을 때, PDCCH 생성부(123)를 통하여, 재송을 지시하는 PDCCH를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S56).
한편, RRC 설정으로서, 크로스 TTI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S53에서 "아니오"), 기지국(100)은 크로스 TTI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S55로 이행한다. 이 경우, 단말기(200)는 크로스 TTI를 행하지 않고, 수신한 PUSCU에 대하여 ACK 또는 NACK를 피드백한다.
한편, 기지국(100)은, 실제로 수신한 PUSCH의 길이가, DCI에서 지시한 PUSCH의 길이와 동일할 때(S52에서 "아니오"), S55로 이행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DCI에서 지시한 길이 L의 PUSCH를 수신하게 되고, 예를 들어 도 7의 (A)와 동일한 상황으로 되기 때문에, 크로스 TTI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수신한 PUSCH에 대하여 ACK 또는 NACK를 피드백한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 단말기(200)가 PUCCH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S51의 처리에서는, 기지국(100)은 PUCCH를 수신하지 않고, PUSCH를 수신하게 된다.
<7.3 PDCCH와 PD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PDCCH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의 동작예>
도 22는, PDCCH와 PD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PDCCH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의 기지국(100)측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본 동작예를 행할 때, 기지국(100)과 단말기(200)는 RRC 메시지의 교환을 종료하고(예를 들어, 도 5의 (A)), PDSCH-Config를 서로 메모리 등에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 PDSCH-Config에는 도 6의 (1)이 설정되고, (2)부터 (4)는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기지국(100)과 단말기(200)는, RRC 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크로스 TTI를 행할지 여부에 대하여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하며, 크로스 TTI의 상세는 PDCCH에 의해 설정된다.
도 22에 도시하는 처리에 있어서, S60부터 S62는 상술한 <7.1>의 도 18에 도시하는 S20부터 S22와 마찬가지이다.
기지국(100)은, 언라이선스 주파수대가 "Idle" 상태로 되었을 때(S62에서 "예"), PDCCH와 PDSCH를 송신한다(S23). 상술한 <7.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선두 슬롯에 있어서, PDCCH와 PDSCH의 시프트가 행해진 경우, 기지국(100)은 예를 들어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122)는, 선두 슬롯의 스케줄링을 행할 때, 도 9에 도시하는 TDRA,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RV, MCS 등을 결정하고, 결정한 이들 정보를 PDCCH 생성부(123)에 출력한다. PDCCH 생성부(123)는, 이들 정보를 통합하여,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도시하는 PDCCH#m을 생성한다. PDCCH 생성부(123)는, 생성된 PDCCH#m을 매핑부(125)를 통하여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22)는, 선두 슬롯에서 PDCCH(도 10의 (A)의 예에서는 PDCCH#m)와 PDSCH를 포함하는 심볼이 시프트함으로써, 선두 슬롯에서 송신할 수 없었던 PDSCH에 대한 크로스 TTI를 설정하기 위해, 새로운 PDCCH(도 10의 (A)의 예에서는 PDCCH#n)를 생성한다. 제어부(122)는, 선두 슬롯의 PDCCH(PDCCH#m)에 포함되는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RV와 동일한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RV를 생성한다. PDCCH 생성부(123)는, 이들 정보를 포함하는 크로스 TTI 설정용의 PDCCH(PDCCH#n)을 생성하고, 매핑부(125) 등을 통하여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또한, PDCCH#m1은 PDCCH#m을 생성할 때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크로스 TTI에 의한 PDSCH의 송신에 대해서는, 상술한 <7.1>과 마찬가지이다.
도 23은, PDCCH와 PDSCH가 시프트하는 경우에 있어서 PDCCH에 의해 크로스 TTI를 설정하는 경우의 단말기(200)측의 동작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S70부터 S72는, 상술한 <7.1>에서 설명한 도 19의 S30부터 S32와 각각 동일하다. 단, S72에서는, 실제로 수신한 PDSCH의 길이는, DCI에서 지시된 PDSCH의 길이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정할 때 사용되는 DCI는, 예를 들어 선두 슬롯의 PDCCH에 포함되는 DCI이며, 도 8의 (B)의 예에서는 PDCCH#m에 포함되는 DCI에 상당한다.
단말기(200)는, 실제로 수신한 PDSCH의 길이가, DCI에서 지시된 PDSCH의 길이보다 짧을 때(S72에서 "예"), RRC 설정에 있어서 크로스 TTI의 설정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73).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234)는, PDSCH 수신 처리부(23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데이터양으로부터 데이터의 길이를 계산하고, 그 길이가 DCI에서 지시된 길이 L보다 짧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34)는, PDSCH 수신 처리부(232)로부터 출력된 RRC 메시지에 포함되는 PDSCH-Config에 있어서, 크로스 TTI 설정(도 6의 (1))을 확인함으로써 크로스 TTI의 설정 유무를 판정한다.
단말기(200)는, 크로스 TTI가 설정되어 있을 때(S73에서 "예"), 새로운 PDCCH를 수신하고, 리소스의 할당 내용에 따라 PDSCH의 계속 부분을 수신한다(S74).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PDCCH 수신 처리부(231)로부터 새로운 PDCCH를 수취하고, 도 9에 도시하는 각 필드를 참조한다. 그리고, PDSCH 수신 처리부(232)는, 각 필드에 나타낸 정보에 따라 자국앞으로의 「미송신」 부분의 PDSCH를 확인하고, 전TTI의 PDCCH에 의해 할당된 PDSCH에 이어지는 PDSCH의 부분을 수신한다.
다음에, 단말기(200)는, 수신 결과에 따라 ACK 또는 NACK를 피드백한다(S75). 예를 들어, 제어부(234)는, PDSCH 수신 처리부(232)로부터 수취한 데이터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ACK 또는 NACK를 생성하고, PUSCH 생성부(235) 또는 PUCCH 생성부(236)를 통하여 기지국(100)에 피드백한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S76).
한편, 단말기(200)는, 실제로 수신한 PDSCH의 길이가 DCI에서 지시된 PDSCH의 길이와 동일할 때(S72에서 "아니오"), 또는 RRC 설정에서 크로스 TTI를 행하지 않는 것이 설정되어 있을 때(S73에서 "아니오"), S75로 이행하여 상술한 처리를 행한다.
<8. Search Space에 대하여>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충 설명을 한다.
5G에는, RRC 메시지로서 ControlResourceSet(CORESET)가 있다. CORESET는, 예를 들어 DCI를 탐색하기 위해, 시간과 주파수의 제어 리소스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CORESET에 포함되는 IE로서 frequecyDomainResources가 있다. frequecyDomainResources는, 예를 들어 DCI 탐색을 위한 주파수 리소스를 나타낸다.
또한, 5G에는, RRC 메시지로서 SearchSpace(서치 스페이스)가 있다. SearchSpace는, 예를 들어 PDCCH 후보를 어떻게 탐색할지, 혹은 어디에서 PDCCH 후보를 탐색할지를 나타낸다. CORESET도 SearchSpace도, 예를 들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 또는 메시지이다.
도 24의 (A)는, 예를 들어 서치 스페이스를 포함하는 PDCCH와 PDSCH의 송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서치 스페이스 내에 1개 또는 복수의 PDCCH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RRC 메시지인 SearchSpace에 따라, 무선 리소스 상에서 PDCCH가 할당된 영역을 탐색한다. PDCCH에는, 개개의 단말기(200)에 통지하는 것에 추가하여, 시스템 공통 혹은 복수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버스트의 길이나 다음 슬롯의 길이 등 포맷에 관한 정보, 또는 상향 송신 구간에 관한 정보, 송신 버스트 중에 있어서의 당해 PDCCH가 위치하는 슬롯의 슬롯 번호(예를 들어, 선두 슬롯을 0번으로 하여 번호를 카운트함) 등 시스템 공통의 정보를 송신하는 PDCCH에 대해서도 단말기(200)는 서치를 행한다.
SearchSpace에는, monitoringSlotPeriodicityAndOffset과, monitoringSymbolsWithinSlot 및 duration의 각 IE가 포함된다.
monitoringSlotPeriodicityAndOffset은, 예를 들어 서치 스페이스가 어느 슬롯에 1회 있는지를 나타내는 IE이다. 예를 들어, monitoringSlotPeriodicityAndOffset이 「전체 슬롯」일 때, 전체 슬롯에 서치 스페이스가 포함된다.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은, 예를 들어 슬롯 내에서 PDCCH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또는 PDCCH의 송신이 가능한) 심볼을 나타내는 IE이다.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은, 예를 들어 슬롯 내의 절대 위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이 「10000001000000」일 때, 도 2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CCH는 슬롯 내의 1번째의 심볼과 8번째의 심볼에 할당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duration은, 예를 들어 시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나타내는 IE이다. 예를 들어, duration이 「2」일 때, 도 2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CCH는 「2」 심볼의 길이를 갖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서치 스페이스의 영역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monitoringSlotPeriodicityAndOffset과, monitoringSymbolsWithinSlot 및 duration의 각 IE에 의해, PDCCH의 시간 방향에서의 리소스 지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RRC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200)는, 이들 각 IE에 따라 무선 리소스 상의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PDCCCH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2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CCH와 PDSCH를 포함하는 심볼을, 캐리어 센스의 결과에 따라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복수의 송신 기회가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서치 스페이스의 시간 방향의 리소스를 어떻게 정의할지가 문제가 된다. 특히,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은, 예를 들어 슬롯 내의 절대적인 위치에서 심볼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어떻게 취급할지가 문제가 된다.
여기서, 도 24의 (B)의 선두 슬롯 이외의 후속 슬롯에 착안하면, 서치 스페이스의 위치는, 라이선스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의 위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언라이선스 주파수대의 후속 슬롯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와, 라이선스 주파수대의 서치 스페이스는, 모니터링을 공통으로 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선두 슬롯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은, 라이선스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서치 스페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행해진다.
그래서,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옵션에 의해 서치 스페이스의 모니터링 방법을 정의한다. 첫 번째 옵션(Option1)은, 후속 슬롯과 선두 슬롯에서 2개의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을 정의한다. 두 번째 옵션(Option2)은, 후속 슬롯과 선두 슬롯에서,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을 동일한 정의로 하고, 단말기(200)에 있어서 해석과 처리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도 25는, 2개의 옵션(Option1과 Option2)의 정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에 있어서, 예를 들어 「송신 버스트의 2slot 이후의 Slot」이 후속 슬롯(예를 들어, 선두 슬롯으로부터 다음 슬롯 이후의 슬롯), 「좌기(左記) 이외의 slot」이 선두 슬롯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좌기 이외의 slot」에는, 예를 들어 선두 슬롯 전의 데이터의 미송신 구간에 있어서의 슬롯도 포함된다.
도 25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Option1에서는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은, 후속 슬롯에서는 「1000000000000」, 선두 슬롯에서는 「10101010101010」으로 각각 다른 방법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Option1에서는, 예를 들어 monitoringSymbolsWithinSlot에 포함되는 내용을, 「송신 버스트의 2slot 이후의 Slot」과 「좌기 이외의 slot」으로 다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후속 슬롯에서는 선두의 심볼(1번째의 심볼)에서 서치 스페이스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후속 슬롯에 대해서는 슬롯 내의 선두 슬롯을 탐색하면 된다.
또한, 선두 슬롯에서는, 선두로부터 1번째의 심볼(Symbol#0), 3번째의 심볼(Symbol#2), 5번째의 심볼(Symbol#4) 등, 1심볼 간격으로 7회 모니터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선두 슬롯에 대해서는 지정된 심볼에서 7회의 모니터링을 행하면 된다.
또한, Option1의 경우, RRC 메시지 내에서는, 예를 들어 monitoringSymbolsWithinSlot에 대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개의 정의가 포함되며, 단말기(200)는 RRC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러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5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Option2에서는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이 후속 슬롯도 선두 슬롯도 모두 「10000000000000」으로 된다. 이 경우, 단말기(200)는, 각 송신 기회의 실제의 송신 개시 심볼로부터의 상대 위치로서, monitoringSymbolsWithinSlot에 의해 나타낸 파라미터를 해석한다. 예를 들어, 도 24의 (B)의 예에서는, 선두 슬롯에서는 5번째의 심볼부터 실제로 송신이 개시되기 때문에, 단말기(200)는 5번째의 심볼이 「10000000000000」에 있어서의 최초의 「1」번째의 심볼로서 해석된다.
도 25의 Option2도, Option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이 RRC 메시지에 포함되기 때문에, 단말기(200)는 RRC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러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Option2에서는, RRC 메시지에 의해, 송신 개시 패턴으로서 「Symbol#0, #2, #4, #6, #8, #10, #12」를 설정해도 된다.
도 26은, 송신 개시 패턴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예는, PDSCH-Config에 있어서, 「PDCCH 송신 가능 타이밍」의 IE가 포함되는 예이다. 「PDCCH 송신 가능 타이밍」에 설정하는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어 「10101010101010」으로 함으로써, 선두 슬롯의 「Symbol#0, #2, #4, #6, #8, #10, #12」가 송신 기회로 되고, 단말기(200)는 이 타이밍에 PDCCH를 모니터링하면 된다.
또한, 「PDCCH 송신 가능 타이밍」은, PDCCH-Config에 포함되어도 되고, 다른 Config 등에 포함되어도 된다. 「PDCCH 송신 가능 타이밍」은, 예를 들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것이면 된다.
Option1과 Option2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의 제어부(122)에 있어서,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고, PDSCH 생성부(124) 경유로 단말기(200)에 송신하면 된다.
도 27의 (A)와 도 27의 (B)는, 도 25에 도시하는 Option1과 Option2가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단말기(200)의 모니터링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200)는, 미송신 구간에서는, Option1에서는 monitoringSymbolsWithinSlot, Option2에서는 RRC 메시지에 의해 슬롯 내의 선두 심볼로부터 1심볼 간격으로 모니터링을 각각 행하고 있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송신 버스트의 선두 슬롯의 선두 심볼에서 모니터링하여 PDCCH를 수신하고, 그 후 PDSCH도 수신한다.
Option1의 경우, 단말기(200)는, monitoringSymbolsWithinSlot(=「10101010101010」)에 의해 선두 슬롯을 모니터링함으로써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Option2의 경우, 단말기(200)는, RRC 메시지의 「송신 개시 타이밍」에 의해 선두 심볼을 모니터링함으로써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200)는, 선두 심볼이 송신 개시 심볼로서, monitoringSymbolsWithinSlot에 있어서의 「10000000000000」의 「1」을 해석한다.
또한, 송신 버스트의 2슬롯째 이후는, 후속 슬롯으로서, Option1도 Option2도, 단말기(200)는 슬롯 내의 선두 슬롯을 모니터링하면 된다.
한편, 도 27의 (B)의 예에서는, 송신 버스트의 선두 슬롯에서는, 5번째의 심볼부터 PDCCH와 PDSCH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Option1에서는, 단말기(200)는, monitoringSymbolsWithinSlot에 의해, 선두 심볼로부터 1심볼 간격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5번째의 심볼부터 PDCCH를 수신한다. Option2에서는, 단말기(200)는, RRC 메시지의 「송신 개시 타이밍」에 의해, 선두 심볼로부터 1심볼 간격으로 모니터링하여 5번째의 심볼부터 PDCCH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200)는 5번째의 심볼(심볼 4)을 monitoringSymbolsWithinSlot의 「10000000000000」의 「1」로 해석한다.
[다른 실시 형태]
도 28의 (A)는 기지국(1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100)은 프로세서(160), 주기억 장치(16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2), 보조 기억 장치(163), 무선기(164) 및 안테나(140)를 구비한다.
프로세서(160)는, 주기억 장치(16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보조 기억 장치(163)에 로드하고, 로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의 기능을 실현한다. 프로세서(160)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120)에 대응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2)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송로 인터페이스(110)에 대응한다. 또한, 무선기(164)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F 송수신부(130)에 대응한다.
도 28의 (B)는 단말기(20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기(200)는 프로세서(260), 주기억 장치(261), 화면 표시 장치(262), 보조 기억 장치(263), 무선기(264) 및 안테나(210)를 구비한다.
프로세서(260)는, 주기억 장치(26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보조 기억 장치(263)에 로드하며, 로드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와 애플리케이션부(240)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세서(260)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230)와 애플리케이션부(240)에 대응한다.
또한, 무선기(264)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RF 송수신부(220)에 대응한다.
화면 표시 장치(262)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의 제어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프로세서(160, 26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MPU(Micro Processing Un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Processing Unit)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이나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2심볼 단위로 캐리어 센스를 행하여, 1슬롯 내에 있어서 전부 7회의 송신 기회가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나 단말기(200)는, 1심볼 단위로 캐리어 센스를 행하는 경우, 송신 기회는 1개의 슬롯 내에 있어서 14회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기지국(100)이나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심볼 기간 단위로 시프트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나 단말기(200)는, 심볼 기간보다 짧은 기간 단위(또는 시간 단위)로 선두 심볼을 시프트시키도록 해도 된다. 혹은, 시프트하는 단위가 심볼의 정수배이고, 송신 개시 타이밍이 심볼 기간의 도중이어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100)의 제어부(122)나 단말기(200)의 제어부(234)는, 예를 들어 선두 심볼에 포함되는 데이터나 신호를 카피하여, 선두 심볼을 시프트시킬 때, 카피한 데이터나 신호를 선두 심볼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전(前)방향으로 부가함으로써, 심볼 기간의 도중에서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100)으로부터의 하향 송신에서 서치 스페이스가 슬롯의 선두 심볼에 없는 설정인 경우, 혹은 단말기(200)로부터의 상향 송신인 경우, 송신 개시 타이밍에 맞추어 선두 심볼의 도중에 송신하기 시작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DCI, RRC 메시지, HARQ-ACK를 전부 언라이선스 주파수대의 소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무선 시스템(10)으로서, 라이선스 주파수대와 언라이선스 주파수대의 양쪽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언라이선스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DCI, RRC 메시지, HARQ-ACK의 일부 또는 전부를, 라이선스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송신해도 된다.
10: 무선 통신 시스템
100: 기지국 장치(기지국)
110: 전송로 인터페이스
120: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
121: 수신 신호 처리부
122: 제어부
123: PDCCH 생성부
124: PDSCH 생성부
125: 매핑부
130: RF 송수신부
140: 안테나
160: 프로세서
200(200-1, 200-2): 단말 장치(단말기)
210: 안테나
220: RF 송수신부
230: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
231: PDCCH 수신 처리부
232: PDSCH 수신 처리부
234: 제어부
235: PUSCH 생성부
236: PUCCH 생성부
237: 매핑부
240: 애플리케이션부
260: 프로세서

Claims (33)

  1. 면허가 불필요한 제1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수신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대가 다른 송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제1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제어 채널과 제1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심볼,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향과 다른 제2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2 심볼을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심볼에 할당된 제1 제어 신호와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심볼에 할당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파수대가 상기 다른 송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슬롯 내의 선두 심볼로부터 송신할 수 없을 때, 상기 제1 또는 제2 심볼을 상기 선두 심볼로부터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데이터를 슬롯 내의 선두 심볼로부터 시프트하여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슬롯에 있어서의 개시 심볼과 상기 개시 심볼로부터의 길이를,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선두 심볼부터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슬롯에 있어서의 개시 심볼과 상기 개시 심볼로부터의 길이로 각각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는 개시 심볼과 상기 개시 심볼로부터의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개시 심볼은, 상기 제1 데이터의 송신을 실제로 개시한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심볼을, 심볼 기간 단위 또는 상기 심볼 기간보다 짧은 기간에,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제1 기간에 있어서 송신할 수 없었던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제3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제2 기간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제3 기간에 있어서 송신할 수 없었던 상기 제2 데이터의 일부를, 제4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제4 기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파수대가 상기 다른 송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슬롯 내의 선두 심볼로부터 송신할 수 없음으로써,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상기 제1 또는 제2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전부를 각각 송신할 수 없었을 때,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2 또는 제4 기간에 각각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2 또는 제4 기간에 각각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제1 슬롯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또는 제3 기간에 각각 송신할 수 없었던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1 슬롯 기간의 다음 슬롯 기간인 제2 슬롯 기간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또는 제4 기간에 각각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2 또는 제4 기간에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 기간에 송신할지 여부 또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3 및 제4 기간에 송신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와,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는 슬롯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와,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일부의 송신을 개시하는 심볼의 심볼 번호와, 선두 슬롯의 다음 슬롯의 종료 심볼은, 추가로 다음 슬롯으로 시프트시킬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Config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Confi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은 각각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고, 상기 제2 공유 채널은 PUS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2 기간에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제5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NDI(New Data Indicator),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세스 번호 및 RV와 각각 동일한 NDI, HARQ 프로세스 번호 및 RV를 포함하는 상기 제5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제1 슬롯 기간에 송신하고, 상기 제5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1 슬롯 기간의 다음 제2 슬롯 기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5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는 제1 무선 리소스의 영역에, 상기 제5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다른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 리소스의 영역이 포함될 때, 상기 제2 무선 리소스의 영역에 할당한 상기 제1 데이터의 부분을 펀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은 각각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슬롯 내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의 송신이 종료되는 심볼을 나타내는 종료 심볼을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 또는 상기 종료 심볼을 포함하는 제6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Config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Confi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개시 심볼로부터의 길이 대신에, 상기 종료 심볼을 포함하는 상기 제6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슬롯 내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한 제1 슬롯의 다음 제2 슬롯 이후의 슬롯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요소의 내용과, 상기 제2 슬롯 이후의 슬롯 이외의 슬롯에 있어서의 상기 정보 요소의 내용이 다른 내용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3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소는 monitoringSybolsWithinSl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슬롯 내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심볼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심볼은,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하여 실제로 송신을 개시한 심볼로부터의 상대 위치로 표시되고,
    상기 송신부는, 제1 제어 신호의 송신 기회를 나타내는 심볼을 포함하는 제4 메시지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소는 monitoringSybolsWithinSl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기지국 장치이고, 상기 수신 장치는 단말 장치이며, 또는
    상기 송신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수신 장치는 기지국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심볼은 제2 제어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심볼에 할당된 상기 제2 데이터와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공유 채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채널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8. 면허가 불필요한 제1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송신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제1 심볼에 할당된 제1 제어 신호와 제1 데이터를 제1 제어 채널과 제1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또는 제2 심볼에 할당된 제2 데이터를 제2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데이터에 의해, 제1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심볼,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향과 다른 제2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심볼이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된 것을 각각 확인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데이터에 대한, 슬롯에 있어서의 개시 심볼과 상기 개시 심볼로부터의 길이에 의해, 상기 제1 또는 제2 심볼이 시프트된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제1 기간에 있어서 수신할 수 없었던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제3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제2 기간에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제3 기간에 있어서 수신할 수 없었던 상기 제2 데이터의 일부를, 제4 제어 신호에 의해 할당된 제4 기간에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2 또는 제4 기간에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고, 또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2 기간에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제5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메시지 또는 상기 제5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제2 또는 제4 기간에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2.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수신 장치가, 면허가 불필요한 제1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제1 주파수대가 다른 송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제1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제어 채널과 제1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심볼,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향과 다른 제2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2 심볼을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심볼에 할당된 제1 제어 신호와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심볼에 할당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공유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3. 제어부와 송신부를 갖고, 면허가 불필요한 제1 주파수대를 사용하여, 수신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 주파수대가 다른 송신 장치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제1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제어 채널과 제1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심볼, 또는 상기 제1 통신 방향과 다른 제2 통신 방향에 있어서의 제2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제2 심볼을 시간 방향으로 시프트시키고,
    상기 송신부에 의해, 상기 제1 심볼에 할당된 제1 제어 신호와 제1 데이터를 상기 제1 제어 채널과 상기 제1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심볼에 할당된 제2 데이터를 상기 제2 공유 채널을 각각 사용하여, 상기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217006669A 2018-08-07 2018-08-07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2672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9689 WO2020031277A1 (ja) 2018-08-07 2018-08-07 送信装置、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421A true KR20210040421A (ko) 2021-04-13
KR102672117B1 KR102672117B1 (ko) 2024-06-05

Family

ID=6941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669A KR102672117B1 (ko) 2018-08-07 2018-08-07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6820B2 (ko)
EP (1) EP3826418A4 (ko)
JP (1) JPWO2020031277A1 (ko)
KR (1) KR102672117B1 (ko)
CN (2) CN117202401A (ko)
WO (1) WO202003127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9704A1 (en) * 2015-01-30 2017-11-23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6611B2 (en) 2013-03-19 2019-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abling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775048B2 (en) * 2013-09-24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of a user equipment (UE) in unlicensed spectrum
BR112016028190A2 (pt) * 2014-06-30 2019-06-18 Huawei Tech Co Ltd método e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subquadro
ES2773918T3 (es) * 2014-12-23 2020-07-15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para informar de información de estado de canal en un sistema de acceso inalámbrico que soporta bandas sin licencia, y aparato que soporta el mismo
WO2016185945A1 (ja) * 2015-05-15 2016-11-24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11153868B2 (en) * 2015-09-02 2021-10-19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length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9704A1 (en) * 2015-01-30 2017-11-23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nriched feedback for adaptive HARQ", 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R1-1701020, 3GPP TSG RAN WG1 NR Ad-Hoc Metting, Spokane, 16-20 January, 2017
3GPP R1-132145* *
3GPP R1-132146 *
3GPP R1-1609740 *
3GPP R1-163829 *
3GPP R1-165247* *
3GPP R1-1715580 *
3GPP R2-1912662 *
3GPP TR 38.801 V14.0.0(2017-04)
3GPP TR 38.802 V14.2.0(2017-09)
3GPP TR 38.803 V14.2.0(2017-09)
3GPP TR 38.804 V14.0.0(2017-03)
3GPP TR 38.900 V14.3.1(2017-07)
3GPP TR 38.912 V14.1.0(2017-06)
3GPP TR 38.913 V14.3.0(2017-06)
3GPP TS 36.211 V15.1.0(2018-03)
3GPP TS 36.212 V15.1.0(2018-03)
3GPP TS 36.213 V15.1.0(2018-03)
3GPP TS 36.300 V15.1.0(2018-03)
3GPP TS 36.321 V15.1.0(2018-03)
3GPP TS 36.322 V15.0.1(2018-04)
3GPP TS 36.323 V14.5.0(2017-12)
3GPP TS 36.331 V15.1.0(2018-03)
3GPP TS 36.413 V15.1.0(2018-03)
3GPP TS 36.423 V15.1.0(2018-03)
3GPP TS 36.425 V14.1.0(2018-03)
3GPP TS 37.340 V15.1.0(2018-03)
3GPP TS 38.201 V15.0.0(2017-12)
3GPP TS 38.202 V15.1.0(2018-03)
3GPP TS 38.211 V15.1.0(2018-03)
3GPP TS 38.212 V15.1.1(2018-04)
3GPP TS 38.213 V15.1.0(2018-0312)
3GPP TS 38.214 V15.1.0(2018-03)
3GPP TS 38.215 V15.1.0(2018-03)
3GPP TS 38.300 V15.1.0(2018-03)
3GPP TS 38.321 V15.1.0(2018-03)
3GPP TS 38.322 V15.1.0(2018-03)
3GPP TS 38.323 V15.1.0(2018-03)
3GPP TS 38.331 V15.1.0(2018-03)
3GPP TS 38.401 V15.1.0(2018-03)
3GPP TS 38.410 V0.9.0(2018-04)
3GPP TS 38.413 V0.8.0(2018-04)
3GPP TS 38.420 V0.8.0(2018-04)
3GPP TS 38.423 V0.8.0(2018-04)
3GPP TS 38.470 V15.1.0(2018-03)
3GPP TS 38.473 V15.1.1(2018-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44117B (zh) 2024-02-27
CN117202401A (zh) 2023-12-08
KR102672117B1 (ko) 2024-06-05
US20210160925A1 (en) 2021-05-27
CN112544117A (zh) 2021-03-23
US11956820B2 (en) 2024-04-09
WO2020031277A1 (ja) 2020-02-13
EP3826418A1 (en) 2021-05-26
JPWO2020031277A1 (ja) 2021-08-12
EP3826418A4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4977B2 (ja) 端末、フィードバック制御方法、及びフィードバック方法
US11425697B2 (en) Dynamic management of uplink control signaling resources in wireless network
CN113348642B (zh) 执行发送和接收操作的用户设备和系统
KR102247385B1 (ko) 전송 방법, 네트워크 장비, 및 단말 장비
CN112398597B (zh) 一种反馈信息传输方法及装置
KR20200036995A (ko) Nr v2x 시스템을 위한 harq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233552A1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CN113994613A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WO2022011699A1 (zh) 一种通信方法及侧行设备
EP3439402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10652868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190182830A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timing setting method
CN111788846B (zh) 基站装置、终端装置、无线通信系统
US20230336314A1 (en) Communications devices, network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nd methods
CN113271614B (zh) 用于处理实体上链路控制通道碰撞的装置及方法
JP7288223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2672117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EP3809752B1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7137090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20031278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24067429A1 (zh) 通信方法及通信装置
WO2021024461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5884385A (zh) 信道传输方法、通信装置、通信设备、存储介质及产品
KR20220053495A (ko) Harq 재전송을 핸들링하는 디바이스
CN117692092A (zh) 通信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