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373A -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373A
KR20210038373A KR1020200126005A KR20200126005A KR20210038373A KR 20210038373 A KR20210038373 A KR 20210038373A KR 1020200126005 A KR1020200126005 A KR 1020200126005A KR 20200126005 A KR20200126005 A KR 20200126005A KR 20210038373 A KR20210038373 A KR 2021003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ctuator
audio
inner cor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스 클라인
브루노 쉴링거
테드 우드
케말 더비시
엘리엇 슈나이더만
피터 그리피스
차이트리카 우르미 수브라만야
바이쉬 사드
제임스 힉스
가브리엘 가버
벤 서퍼
댄 러브
Original Assignee
카노 컴퓨팅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노 컴퓨팅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노 컴퓨팅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7/00Apparatus for performing colour-mus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21V3/0625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the material diffusing light, e.g. translucent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 G10H1/053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 G10H1/055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by switches with variable impedance elements
    • G10H1/0558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during execution only by switches with variable impedance elements using variable re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Piezo-electric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375Tempo or beat alterations; Music timing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1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joystick-like proportional control of musical input; Videogame input devices used for musical input or control, e.g. gamepad, joysti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 G11B2020/10601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surround sou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저장소와 연관되는 콘트롤러를 가지는 내부 코어, 콘트롤러와 연관되는 광 방출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 하우징에 상대적으로 제공되고 콘트롤러와 연관되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콘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내부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 및, 오디오를 캡쳐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캡쳐된 오디오는 디바이스에 의하여 저장, 재생 및/또는 처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및 방법{TOUCH SENSITIVE AUDIO-VISUAL INPUT/OUTPU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또는 엔터테인먼트에서 또는 엔터테인먼트용으로 사용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한정적으로,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악의 실시간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는 빛을 방출하는 디바이스들이 입수가능하다.
종래의 일부 디바이스는 단지 사전에 프로그램된 레이저 쇼를 온보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한다.
LaserDock 브랜드로 입수가능한 이러한 디바이스 중 하나는 100 개가 넘는 음악 시각화와 사용자가 실행되게 할 수 있는 레이저 쇼의 콜렉션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링크가 있는 온보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핑크 플로이드 및 레드 제플린과 같은 그룹의 노래에 맞춤된 레이저 공연에도 액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시력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레이저 광을 방출한다. 디바이스에는 기본 광 디스플레이가 사전 탑재되거나, 디바이스는 특정 노래가 재생되도록 요구한다. 그러므로 변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에는 이들의 능력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러한 단점 또는 다른 단점을 극복/개선하고, 개선된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로서,
i). 내부 코어로서,
(a)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저장소와 연관되는 콘트롤러;
(b)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
(c)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
(d) 하우징에 대해 제공되고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상기 콘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내부 코어;
(ii). 상기 내부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의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면, 디바이스의 기능성 및 이러한 디바이스와의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것이다. 디바이스는 자신의 동작,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시각적 외관을 오디오에 기반하여 조절하고, 재생, 송신 및/또는 저장되기 전에 오디오가 처리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상기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저장소와 연관되는 콘트롤러, 상기 디바이스에 급전하기 위한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 및 하우징에 대해 제공되고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상기 콘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내부 코어, 상기 내부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 및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제어하도록 상기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제 2 협동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어서, 정보가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로 통신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협동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및/또는 제어 명령을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는, 협동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그 디스플레이 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협동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 내의 기능성 또는 동작 변화를 촉진하는 사운드, 뮤직,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전송 및/또는 수신(바람직하게는 양자 모두)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는 유사한 디바이스들 사이에 일-대-일 기반으로,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들 사이에 일-대-다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가 원격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싱크되게 할 것이다. 원격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일 수 있다. 그러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가, 예를 들어 동작 명령 또는 사운드 또는 재생할 음악과 같은 정보를 전송/수신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는 통신 경로가 역방향으로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라이트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 후 원격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상에 미러링될 수 있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원격 디바이스에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게 하여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빛을 모사하거나 복제하게 하는 정보를 원격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는, 특히 예를 들어 Wi-Fi®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임의의 타입의 통신 경로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 및 통신 경로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두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허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는 통신 경로를 사용하여 유사한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특정 근접도 내로 언제 이동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근접도 트리거는 결과적으로, 디바이스가 오디오, 촉각 및/또는 시각 경보를 개별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발행하게 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 상의 조명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 2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그러면 광 송신 및/또는 오디오에 기반한 통신이 가능해진다. 통신 포맷은 제 1 디바이스 상의 하나 이상의 라이트가 조명되는지 여부, 임의의 하나 이상의 라이트의 색상 및/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라이트의 휘도에 기반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제 1 디바이스 상에 조명 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라이트가 동작하게 할 수 있고, 이것이 해당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 2 디바이스에 통신되어, 제 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그들의 디바이스 상에 임의의 하나 이상의 라이트의 조명이 동작하게 함으로써 응답하게 할 수 있으며, 이제 이것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 1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는 식이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와의 통신은 통상적으로 실시간으로 일어날 것이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오디오를 캡쳐하도록 적응될 수 있고, 캡쳐된 오디오는 저장, 재생 및/또는 처리를 위해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는 통상적으로 온보드 메모리가 제공된다. 온보드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포맷으로, 또는 예를 들어 SD 카드 등과 같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SD 카드와 같은 착탈식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를 통해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오디오 파일 또는 조명 패턴 명령과 같은 다른 정보를 내보내게 될 수 있다. 내보내기는 착탈식 하드웨어 메모리 컴포넌트를 통하여 또는, 예를 들어 무선 송신을 통해서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사용한 재생을 위해 최적화되는 음악 트랙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최적화된 음악 트랙은 특정 정보를 포함하거나 특정 컴포넌트로 분리될 수 있고, 이것은 이제 본 발명의 디바이스 상에서 특정 기능성 또는 액션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음악 트랙 내의 특정 정보 또는 특정 컴포넌트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서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기능성 또는 액션을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재생되는 음악에 응답하여 조절하여, 디바이스의 콘트롤러에 명령을 제공할 수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사운드, 및 특히, 음악에 응답하여 동작하거나 기능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는 터치 감응식인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터치되는 압력에 감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간단한 음악 재생 및/또는 재생을 위한 음악의 스트리밍을 위한 출력 스피커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디바이스는 재생할 음악을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소스로부터, 녹음된 소스로부터, 및/또는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하나의 가장 기본적인 용도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또는 컴퓨터로부터 디바이스로 송신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또는 컴퓨터와 페어링되는 스피커 유닛이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운드 또는 음악을, 예를 들어 믹싱 콘솔 또는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게 온보드로 제공되는 운영 소프트웨어를 통상적으로 가질 것이다. 믹싱 콘솔 및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은 통상적으로, 음악 트랙 또는 음악 트랙의 일부 또는 다른 오디오 부분을 많은 방식으로 처리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레벨(예컨대 페이딩, 패닝, 압축, 잡음 게이트, 확장 또는 리미터)에 영향을 주는 처리, 주파수응답에 영향을 주는 처리(예컨대 이퀄라이저 또는 필터), 오디오의 타이밍(예컨대 리버브(reverb) 또는 템포)에 영향을 주는 처리 및/또는 오디오의 출력 또는 입력의 방향성(예컨대 패닝 또는 의사 스테레오포니)에 영향을 주는 처리를 사용하여 디바이스는 오디오 부분의 처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에는 오디오의 적어도 한 부분의 구간 반복을 허용하는 제어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디바이스에는 다운믹싱 및/또는 업사이클링을 허용하는 제어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서라운드 사운드 포맷으로부터 스테레오 포맷 그리고 모노 포맷으로의 다운믹싱 및/또는 모노 포맷으로부터 스테레오 포맷 그리고 서라운드 사운드 포맷으로의 업사이클링을 수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링크된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오디오의 상이한 포맷들이 가능해질 수 있다.
디바이스에는 채널 분리 및/또는 격리를 허용하는 제어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오디오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채널 또는 섹션의 분리 또는 격리, 예를 들어 멜로디로부터 리듬, 또는 트레블로부터 베이스,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오디오 내의 드럼비트 또는 기타 또는 키보드와 같은 특정 악기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오늘날 음악 트랙은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등 소프트웨어 기반의 기능성을 사용하여 녹음되고 생성된다. 그러면,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최적화되는 음악을 생성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제공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더 쉽게 인식가능한 음악 트랙의 상이한 부분들을 가지는 음악이 생성되게 할 수 있고, 그러면 이제 사용자가 재생이나 저장을 위하여, 음악 트랙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특성을 제어 및/또는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음악 트랙의 다양한 부분이 인식되게 하도록 최적화되는 음악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음될 때(또는 그 이후에), 단일 마스터 음악 파일은 단순한 예로서 드럼, 베이스, 신디사이저 또는 효과, 및 보컬 및/또는 악기 또는 음악의 섹션과 같은 요소들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별개의 음악 트랙 또는 음악 스템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요소들은 임의의 길이일 수 있다.
분리된 음악 트랙 또는 음악 스템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및/또는 협동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식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디바이스 상의 소프트웨어(및/또는 협동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는 이제 하나 이상의 상이한 분리된 음악 트랙 또는 음악 스템에 따라서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분리된 요소를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한 입력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디바이스의 중앙으로의 눌림에 기반하여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디바이스의 표면에 걸친 둘레의 눌림에 기반하여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력을 인가하는 동안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 하면 상이한 기능성이 작동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가 디바이스 상에 외부 케이싱에 대해 제공되어 디바이스의 표면 상의 미끄럼 운동을 검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네트워크는 내부 코어의 외측에, 외부 케이싱 아래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가 최초에 프로그램될 때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와 연관된 특정 기능성이 제공될 것이다. 기능들은 통상적으로 액츄에이터 자체를 사용하여 조절가능하다. 액츄에이터는 사용자가 요구할 때 액츄에이터들 각각과 연관된 프로그래밍 또는 기능을 변경하여 최초의 프로그래밍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원할 때 그들 자신의 디바이스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능을 조절할 수 있고, 그러면 통상적으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변경되는 결과가 될 것이다. 임의의 변경은 통상적으로 디바이스에 온보드로 저장됨으로써, 저장된 기능성 변화가 다시 변하기 전까지 디바이스의 기본 구성이 되게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다면, 기능을 최초 프로그래밍 구성으로 다시 리셋하게 하는 리셋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구성 프로파일이 원격 소스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다운로드된 구성 프로파일은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디바이스 기능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저장소는,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고 그들의 디바이스에 설치할 수 있는, 제삼자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액츄에이터 구성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의 기능은 단독으로 또는 그룹으로 변경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의 기능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원격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별개이지만 협동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액츄에이터의 기능에 대한 명령이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슬라이더에 기반한 콘트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상에서 및/또는 소프트웨어 상에서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 기반의 콘트롤은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입력의 좌우상하의 단일 이동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슬라이더 기반 콘트롤은 협동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있는 인터페이스에서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되는 슬라이더 버튼을 이용한 상호작용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요구되는 바에 따라서 슬라이더 버튼을 슬라이딩하여,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에게 상이한 분리된 음악 트랙 또는 음악 스템의 제어에 대한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음악 또는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을 방출하여 음악 또는 사운드가 재생될 때 실시간으로 음악 또는 사운드가 시각화되게 할 것이다. 일부 환경에서, 디바이스는 음악 또는 사운드의 실제 재생이 없이 음악 또는 사운드가 시각화되도록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콘트롤러와 함께 제공되고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를 통해서, 음악을 포함하는 사운드가 캡쳐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바이스에는 사운드의 인식이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오디오를 처리하거나 및/또는 오디오 출력을 변경하게 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다양한 콘트롤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콘트롤 버튼은 액츄에이터와 별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트롤 버튼 스위치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를 켜고 끄고, 앨범 내의 다음 트랙으로 건너뛰기 하며, 트랙 내에서 빨리감거나 되감기하고, 볼륨을 조절하며, 오디오의 톤을 조절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콘트롤 버튼이 액츄에이터와 별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에는 디바이스의 동작의 이러한 양태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제어하게 하는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내부 코어를 포함한다. 내부 코어는 바람직한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코어는 디바이스의 전체 형상을 형성할 것이고, 외부 케이싱은 내부 코어의 외부 형상에 맞춰지거나 이러한 형상을 따른다. 일 실시형태에서, 외부 케이싱은 코어에 대하여 분리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에 대하여 외부 케이싱을 분리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를 방수 및/또는 방진으로 만들 것이다.
내부 코어에는 통상적으로, 분리되도록 결속되어 하우징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부들이 제공된다. 내부 코어의 하우징은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우징은 통상적으로 단단할 것이다. 하우징을 구성하는 재료는, 내부 코어 내에 수용된 컴포넌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충격 저항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내부 코어 내에 제공된 컴포넌트들은 포팅될 수 있다(potted). 컴포넌트들을 포팅하기 위하여 임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포팅 재료는 폴리우레탄, 에폭시 또는 실리콘 또는 이러한 재료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조합이거나 포함할 것이다.
내부 코어의 하우징과 연관되는 상기 또는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외부 케이싱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가 내부 코어의 하우징에 장착되거나 그 일부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을 편하게 홀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직경이 50 mm 내지 100 mm이고 높이가 30 mm 내지 100 mm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너비가 약 78이고 높이가 약 61 mm인데, 그 이유는 이것과 거의 같은 치수들이 디바이스를 한 손에 편하게 잡도록 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동작하게 하기 때문이다.
디바이스의 내부 코어는 형상이 계란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평면도로 볼 때 대략적으로 원형일 것이다. 디바이스는 측면에서 볼 때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 및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는 디바이스의 측면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손의 손바닥에 쥐어지고 디바이스의 베이스가 아래로 향하면, 디바이스에 제공된 상기 또는 각각의 액츄에이터가 사용자의 엄지 및/또는 손가락의 범위 내에 있게 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코어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분리되도록 결속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하우징부 및 하부 하우징부가 제공된다.
양자 모두 또는 모든 하우징부들이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된다. 상부 하우징부는 빛이 통과하게 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부는 임의의 투과율 수준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부에는 외부 케이싱의 일부가 결속되게 하여 외부 케이싱이 내부 코어에, 바람직하게는 그 주위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 어셈블리 또는 컴포넌트가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하부 하우징부에는 개구가 제공된다. 개구는 하부 하우징부의 폴(pole)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개구는 통상적으로 구멍 내에 제공될 것이다. 구멍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컴포넌트는 통상적으로 하부 하우징부 내의 구멍과 연관된다. 고정 컴포넌트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면을 제공하도록 확장된 헤드가 있는 플러그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장형 넥부(neck) 확장된 헤드로부터 연장된다. 장형 넥부는 통상적으로 외부에 나사산이 있어서 하부 하우징부의 바람직하게는 내부 나사산이 있는 구멍과 결속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플러그의 확장된 헤드가 외부 케이싱의 클램프 부로, 그리고 내부 코어로 들어가서 내부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게 한다.
하부 하우징부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를 그 안에 장착하고 컴포넌트들이 내부 코어 내에 고정되게 유지하도록, 내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위치 대형(formation) 또는 플랜지가 하부 하우징부의 안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위치결정 대형은 컴포넌트들을 하부 하우징부 내에 가깝게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면 컴포넌트의 이동을 최소화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할 수 있다. 위치결정 대형은 형상에 있어서 상보적이어서, 그 안에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트 또는 파티션을 하부 하우징부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부는 하부 하우징부를 상부 하우징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부착 메커니즘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리하려면 툴이 필요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하부 하우징부 및 상부 하우징부는 나사산에 의해서 서로 결속될 수 있어서, 결속 어셈블리를 결속시키려면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야 한다.
하부 하우징부를 상부 하우징부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클립 등이 바람직하다. 서로 정렬되고 선형 방향으로 밀려지면, 하나 이상의 클립들이 결속되어 하부 하우징부를 상부 하우징부에 유지시키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클립이 하부 하우징부 및 상부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에 인접해서는 빛을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하우징부는 투명하다.
다른 형상들도 가능하지만, 상부 하우징부는 하부 하우징부가 그렇듯이 형상이 부분적으로 계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하우징부는 바람직하다 형상이 하부 하우징부에 상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하우징부는 상부 하우징부를 하부 하우징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부 하우징부의 하부 에지 및 하부 하우징부의 상부 에지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이 각각의 에지들 사이에 성형된 부분들에 맞춤되게 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스캘럽(scallop) 또는 스캘럽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이것은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 내의 컴포넌트로의 또는 적어도 하우징 내의 컴포넌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컴포넌트로의 액세스를 허용할 것이다.
상부 하우징부는 컴포넌트,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배치하거나 위치시키도록 내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하우징부에는 복수 개의 플렉시블 윙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윙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윙이 눌려서 터치 입력을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전송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개별 플렉시블 윙에 가까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절개부가 상부 하우징부의 보디를 통과해 형성되어, 복수 개의 플렉시블 윙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절개부는 상부 하우징부의 본체로부터 일부를 분리하는 기능을 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절개부는 분리된 부분의 주연부 주위에 형성되고, 분리된 부분을 상부 하우징부의 본체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도, 이것은, 사용자가 힘을 가할 때, 예를 들어 분리된 부분이 힘을 받거나 눌릴 때 분리된 부분이 이동하게 할 것이다.
상부 하우징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 심지어 강성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면, 분리된 부분이 연결부 주위에서 휘거나 이동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누름 버튼(depressible button)을 형성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 바람직하게는 센서는 분리된 부분들 각각과 연관된다.
분리된 부분 각각에는 식별자가 제공될 수 있다. 식별자는 상기 또는 각각의 분리된 부의 외면 상에 또는 그 안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별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글씨 또는 심볼 또는 숫자 및/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같은 촉각 요소인, 볼 수 있는 식별자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식별자는 분리된 부분의 외면 내에 형성되는 함몰부이거나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식별자는 각각의 분리된 부분의 외면 내에 형성된 부분적으로 구형 함몰부이다.
임의의 개수의 분리된 부분들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부분들은 상부 하우징부 주위에서 원주형으로 이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여덟 개의 분리된 부분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평면도에서 볼 때 두 개의 분리된 부분들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상부 하우징부의 각 사분면 내에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분리된 부분은 상부 하우징부 주위에서 카디널 및 인터카디널(intercardinal) 위치에 위치된다.
분리된 부분들은 분리된 부분을 버튼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충분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분리된 부분은 빛이 상부 하우징부로부터 바람직한 절개부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투과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되는데, 그러면 빛이 지나갈 때 반사/굴절이 생길 수 있다.
분리된 부분은 상부 하우징부의 상부 폴에 제공될 수 있다.
방사형 분리된 부분들 각각의 하부는, 하부 하우징부의 상부 에지에 제공된 스캘럽 처리된 부분 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하부 하우징부를 상부 하우징부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또는 각각의 부착 메커니즘은, 분리된 부분들 사이에 제공된 상부 하우징부의 중간부분에 통상적으로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의 내부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에 제어 보드를 포함한다. 콘트롤러는 임의의 타입일 수 있다. 인쇄 회로 보드(PCB) 타입 콘트롤러가 바람직하다.
콘트롤러는 장착판에 대해 장착되거나 장착판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판은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장착판은 하부 하우징부 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오디오 스피커, 온/오프 버튼, 및 충전 포트와 같은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은 하우징 내의 장착판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광 방출기 및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와 같은 디바이스의 일부 컴포넌트는 하우징 내의 장착판 위에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장착판은 하부 하우징부의 상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위치될 것이다.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컴포넌트들은 통상적으로 하우징 내의 장착판 아래에 장착될 것이다. 장착판은 통상적으로 하우징의 내부 볼륨을 분리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센서 새시는 장착판 위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는 통상적으로 장착판의 상면에 대해 장착될 것이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복수 개의 탄성으로 센서 액츄에이터가 장착판 위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액츄에이터는 이러한 판에 장착되고 판 위로(그리고 바람직한 센서 새시 위로) 상항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에 급전하기 위한 이상의 파워 서플라이가 내부 코어 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파워 서플라이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이거나 배터리를 포함할 것이다. 통상적으로는 하나의 배터리가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는 임의의 타입의 배터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워 서플라이는 바람직하게는 현장에서 재충전가능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액세스가능한 충전 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다면, 충전 포트는 통상적으로 방수 및/또는 방진일 것이다. 다른 형태에서, 유도성 충전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는 하부 하우징부 내에, 바람직하게는 장착판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는 내부 코어의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라이트가 제공된다. 임의의 타입의 라이트가 제공될 수 있지만, 그들의 작은 크기, 낮은 전력 소모 및 휘도 조절가능성, 컬러 및/또는 점등되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LED 또는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코어 내에 제공되는 라이트의 개수는 제공되는 분리된 부분의 개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덟 개의 분리된 부분이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에서는 분리된 부분 각각에 하나씩 여덟 개의 라이트가 바람직하다. 분리된 부분이 상부 하우징부의 폴 상에 제공되는 구성에서는, 해당 분리된 부분에 대해서도 라이트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라이트 각각은 바람직한 장착판의 상부측에 대해 제공된다. 라이트는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지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라이트는 각각의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라이트는 요구되는 효과에 따라서는 분리된 부분 바로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라이트는 통상적으로 내부 코어 주위에 이격된다.
디바이스의 내부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가 제공된다. 단일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는 스피커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타입의 스피커가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로서 스피커가 제공되는 경우, 스피커는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를 특정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하여 스피커 혼과 연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스피커 혼의 외측 단부는 하우징을 통해 연장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피커 혼의 외측 단부는 상부 하우징부 및 하부 하우징부 사이에 제공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피커 혼의 외측 단부는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외면과 공평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가 콘트롤러와 연관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는 내부 코어의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타입의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마이크로폰 또는 그 외의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는 디바이스 외부의 소스로부터의 사운드를 캡쳐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는 내부 코어의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어, 상부 하우징부 및 하부 하우징부 사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는 디바이스 내에서 스피커 및 스피커 혼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임의의 타입의 마이크로폰이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및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양자 모두로서 기능하도록 양방향 컴포넌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내부 코어는,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부 중 적어도 하나 및 콘트롤러와 연관되고 터치 입력을 콘트롤러로 송신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힘 감응 센서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센서는 터치를 검출하고, 또한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힘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힘은 힘의 양자(quantum)의 정도 및/또는 힘이 인가된 지속시간의 관점에서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터치 및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힘의 하나 이상의 특성도 사용하여, 인가된 힘의 하나 이상의 특성에 따라서 상이한 기능들을 작동시킬 것이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힘 감응 저항 센서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내부 코어의 하우징 내의 바람직한 장착판에 대해서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 또는 액츄에이터의 일부는 하우징 내에 맞춤되기 위해서 장착판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의 일부는, 제 자리에 놓이게 되면 분리된 부분의 내면의 일부에 연접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는 상부 하우징부의 분리된 부분들 각각에 대해 제공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공된 액츄에이터의 개수는 제공된 라이트의 개수와 일대일로 일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터치 액츄에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를 작동시킬 것이다. 터치 액츄에이터는 제어 기능성을 작동시켜서 디바이스의 동작을 변경시킬 수 있다. 터치 액츄에이터는 두 개 이상의 라이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터치 액츄에이터는 두 개 이상의 제어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액츄에이터를 터치했을 때 작동되는 기능성은 터치의 특성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힘의 특성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를 한 레벨의 힘으로 터치하면 라이트를 온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작동시키고, 상이한 레벨의 힘으로 터치하면 라이트의 특정 컬러를 작동시키며, 제 3 레벨의 힘으로 터치하면 제어 기능성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직 두 레벨의 힘만이 존재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임의의 대안적인 구성 또는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는데, 제 1 레벨에서는 라이트가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컬러들을 순환할 수 있게 하고, 제 2 레벨의 힘은 해당 액츄에이터와 연관된 제어 기능성을 작동시킨다.
액츄에이터는 센서 새시에 대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새시는 통상적으로 바람직한 장착판 위에, 바람직한 센서 아래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부 아래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센서 새시는 형상이 부분적으로 구형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센서 패드는 센서들 각각에 대해서 센서 새시 상에 제공될 것이다. 센서 패드가 제공되면 센서가 눌릴 수 있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센서 패드는,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힘의 정도를 감지하는 추가적인 감지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 각각에는 그 상부측에 센서 패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각각의 센서에는 촉각 편의성을 향상하는, 예컨대 특정한 촉각적 느낌을 제공하고 및/또는 삐걱거리는 소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면 청각, 시각 및/또는 촉각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라이트는 액츄에이터가 작동될 때 켜질 것이다. 액츄에이터가 작동될 때 진동이 제공될 수도 있다. 피드백은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힘에 따라서 상이한 세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내부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는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은 임의의 플렉시블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쿠션 또는 충격 흡수 재료가 제공된다. 외부 케이싱을 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재료는 사용자를 위한 촉각 편의성 및 또한 내부 코어 내의 컴포넌트, 및 내부 코어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쿠션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실리콘 등이다. 외부 케이싱은 반투명일 수 있다. 외부 케이싱은 빛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할 수도 있다. 외부 케이싱은 외부 케이싱을 통과하는 빛, 특히 코어 위에 또는 코어에 대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광 방출기를 확산시키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불투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케이싱은 계란형 형상으로 제공될 것이다. 외부 케이싱은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제공되는 액세스 개구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으로 연속적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피커 홀이 외부 케이싱에 제공될 것이다. 개구는 파워 버튼 및/또는 제공될 경우 충전 포트를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개구는 마이크로폰을 위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개구는 하나 이상의 볼륨 버튼(올림/내림)을 위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누름형 콘트롤 버튼이 내부 코어에 대해 제공될 수 있고,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이 눌리면 쉽게 변형되어 누름형 콘트롤 버튼을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파워 볼륨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위한 임의의 콘트롤 버튼이 통상적으로 디바이스의 중앙선에 또는 가까이 제공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기본적인 기능 콘트롤 버튼이 디바이스의 중앙선 주위에 이격되거나 적어도 서로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식별 표시는 외부 케이싱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타입 및 구성의 식별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여러 돌출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로고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가 로고를 형성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임의의 식별 표시가 외부 케이싱의 상부 폴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임의의 식별 표시는 통상적으로 라이트 및/또는 액츄에이터 위에 놓일 것이다.
광이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정 위치 내로만 방출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마스크가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 및 외부 케이싱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개구는 액츄에이터 및/또는 식별 표시를 조명하기 위한 라이트에 대해 나란히 놓은 마스크에 제공될 것이다.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터치가 편하면서도 외부 케이싱을 통해서 내부 코어 상의 액츄에이터를 누를 수 있게 될 것이다. 반투명 외부 케이싱을 제공하면 통상적으로 내부 코어의 속성과 외관이 확산되거나 가려질 것이다.
외부 케이싱은 통상적으로 탄성을 가질 것이다. 외부 케이싱은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개구는 통상적으로 외부 케이싱에, 그 아랫쪽에 제공될 것이다. 개구는 내부 코어가 개구를 통과하게 하기 위해서 외부 케이싱을 변형함으로써 내부 코어에 액세스하게 하고 외부 케이싱에 내부 코어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외부 케이싱에 있는 바람직한 개구에는 외부 케이싱의 본체 부분보다 덜 두꺼운 선반부(ledge portion)가 제공될 것이다. 선반부는 통상적으로 개구 주위의 둘레에 제공될 것이다. 사용 시에, 선반부는, 코어 주위에서 외부 케이싱을 밀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내부 코어의 외면 및 바람직한 플러그의 확장된 헤드 사이에 클램핑될 것이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라이트를 사용하는 음악의 시각화와 디바이스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하는 엔터테인먼트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이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가 오직 예시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의 부등각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내부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내부 코어의 부등각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내부 코어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내부 코어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내부 코어의 위에서부터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내부 코어의 아래에서부터의 전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내부 코어의 중앙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케이싱이 제거된 내부 코어의 부등각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10)가 제공된다. 디바이스(10)는 도 1 내지 도 5에 개괄적으로 예시된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10)는 내부 코어(11) 및 내부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반투명 외부 케이싱(12)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내부 코어(11)는:
(a) 도 6 내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분리가능하게 결속되는 한 쌍의 하우징부;
(b) 명령 및 프로그램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19)와 연관되는 하우징 내의 콘트롤러(13)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저장소;
(c) 디바이스에 급전하기 위한 온보드 배터리(14);
(d) 콘트롤러(13)와 각각 연관된 복수 개의 라이트(15); 및
(e)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콘트롤러(13)와 연관되며 터치 입력을 콘트롤러(13)로 송신하고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센서(18)를 포함한다.
오디오 출력 스피커 및 오디오 입력 마이크로폰(17) 양자 모두로서 기능하는 양방향 디바이스가 콘트롤러(13)와 연관되어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가, 적어도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10) 내의 기능성 또는 동작 변화를 촉진하는 사운드, 뮤직,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전송 및/또는 수신(바람직하게는 양자 모두)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 컴포넌트는 유사한 디바이스들 사이에 일-대-일 기반으로,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들 사이에 일-대-다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동작 명령 또는 사운드 또는 재생할 음악과 같은 정보를 전송/수신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원격 디바이스로의 디바이스(10)의 연결 또는 싱크를 허용한다.
또한, 무선 통신 컴포넌트는 통신 경로가 역방향으로 사용되게 하여, 디바이스(10) 위에 제공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라이트(15)가 이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 상에 디스플레이된 라이트(15)를 모사 또는 복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스마트폰 상에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원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미러링되게 한다.
무선 통신 컴포넌트는 특히 Wi-Fi®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임의의 타입의 통신 경로가 형성되게 할 수 있고, 음악 및 블루투스®와 같은 데이터를 링크 디바이스에 송수신하기 위하여 Wi-Fi®가 사용되는 것처럼 상이한 경로가 다른 목적을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컴포넌트를 통해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을 수 있다. 그러면,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오디오 파일 또는 다른 정보, 예컨대 조명 패턴 명령을, 예를 들어 착탈식 하드웨어 메모리 컴포넌트를 통하거나 무선 송신을 통하여 내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는 통상적으로 온보드 메모리가 제공된다. 온보드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포맷으로, 또는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SD 카드와 같은 착탈식 요소가 있는 SD 카드 리더/라이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바람직하게는 사운드, 및 특히, 음악에 응답하여 동작하거나 기능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이다. 디바이스(10)에는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터치 및 특히 액츄에이터가 터치된 압력에 감응하는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 센서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사운드 또는 음악을, 예를 들어 믹싱 콘솔 또는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게 온보드로 제공되는 운영 소프트웨어를 통상적으로 가질 것이다. 믹싱 콘솔 및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은 통상적으로, 음악 트랙 또는 음악 트랙의 일부 또는 다른 오디오 부분을 많은 방식으로 처리하게 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가 최초에 프로그램될 때 각각의 액츄에이터와 연관된 특정 기능성이 제공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기능은, 최초 프로그래밍을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필요할 때 액츄에이터들 각각과 연관된 프로그래밍 또는 기능을 변경하게 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 자체를 사용하여 조절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원할 때 그들 자신의 디바이스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능을 조절할 수 있고, 그러면 통상적으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변경되는 결과가 될 것이다. 임의의 변경은 통상적으로 디바이스에 온보드로 저장됨으로써, 저장된 기능성 변화가 다시 변하기 전까지 디바이스의 기본 구성이 되게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액츄에이터와 별개인 다양한 콘트롤 버튼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가 스위치 온/오프되게 하기 위한 파워 버튼(20)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앨범 내의 다음 트랙으로 건너뛰게 하고, 사용자가 트랙 내에서 빨리감기와 되감기하게 하며, 오디오의 볼륨을 조절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 쌍의 콘트롤 버튼(17)도 제공된다.
내부 코어(11)는 플렉시블한 반투명 외부 케이싱(12) 내에 위치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내부 코어(11)는 디바이스(10)의 전체 형상을 형성할 것이고, 외부 케이싱(12)은 내부 코어(11)의 외부 형상에 따른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외부 케이싱(12)은 코어(11)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내부 코어(11)에는 분리되도록 결속되어 하우징을 형성하는 두 개의 하우징부가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는 폭이 약 78 mm이고 높이가 61 mm이다.
내부 코어(11)는 형상이 개략적으로 계란형이다. 디바이스는 평면에서 볼 때 개략적으로 원형이고 도 2 및 도 3 및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입면도로 볼 때는 개략적으로 계란형이다.
상부 하우징부(21) 및 하부 하우징부(22)가 제공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양자 모두의 하우징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강성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된다. 상부 하우징부(21)는 빛이 통과하게 하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부(22)는 임의의 투과율 수준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투명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하부 하우징부(22)에는 외부 케이싱(12)의 일부가 결속되게 하여 외부 케이싱(12)이 내부 코어(11)에, 그 주위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결속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예시된 형태에서, 하부 하우징부에는 하부 하우징부(22)의 폴에 제공된 개구(23)가 제공된다. 개구는 짧고 내부에 나사산이 있는 구멍 안으로 연결된다.
고정 플러그(24)가 하부 하우징부(22) 내의 구멍과 연관된다. 고정 플러그(24)는 클램핑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확장된 헤드(25) 및 확장된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장형 넥부(26)를 가진다. 장형 넥부(26)는 외부에 나사산이 있어서 하부 하우징부(22)의 내부 나사산 구멍과 결속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플러그(24)의 확장된 헤드(25)가 외부 케이싱(14)의 클램프 부로, 그리고 내부 코어(11)로 들어가서 내부 코어(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게 한다. 도 12에서, 플러그(24)에는 외부 케이싱(1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재료(27)의 외층이 제공되고, 이것은 이제 내부 코어(11)를 완전히 덮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부(22)는 디바이스(10)의 컴포넌트를 그 안에 장착하고 컴포넌트들이 내부 코어(11) 내에 고정되게 유지하도록, 내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결정 대형(formation)이 하부 하우징부(22) 안에서 내부에 제공된다. 위치결정 대형은, 컴포넌트를 하부 하우징부(22) 내에 밀착되게 수용하여, 컴포넌트의 이동을 최소화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위치된다. 위치 대형은 형상에 있어서 상보적이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에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시트 또는 파티션을 하부 하우징부(22)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하우징부(22) 및/또는 상부 하우징부(21)는 하부 하우징부(22)를 상부 하우징부(21)에 부착시키기 위한 적어도 일부의 부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부착 메커니즘은 필요할 경우 사용자에 의한 분리를 허용할 것이다. 분리하려면 툴이 필요할 수 있다.
서로 정렬되고 선형 방향으로 밀려지면, 하나 이상의 클립들이 결속되어 하부 하우징부(22)를 상부 하우징부(21)에 유지시키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클립 등이 하부 하우징부(22)를 상부 하우징부(21)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부(21)의 하부 에지 및 하부 하우징부(22)의 상부 에지는, 디바이스(10)의 컴포넌트들이 각각의 에지들 사이에 성형된 부분들에 맞춤되게 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스캘럽이 제공된다. 그러면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 내의 컴포넌트로의 또는 적어도 하우징 내의 컴포넌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컴포넌트로의 액세스가 허용될 것이다.
상부 하우징부(21), 터치 입력을 개별 플렉시블 윙 또는 버튼(28)에 가깝게 각각 제공되는 액츄에이터 센서(18)로 송신하도록 사용자가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플렉시블 윙 또는 버튼(28)을 누를 수 있게 하는 복수 개의 플렉시블 윙 또는 버튼(28)이 제공된다. 윙 또는 버튼(28)은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상부 하우징부(21)의 보디를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부(30)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절개부(30)는 윙 또는 버튼(28)의 일부를 상부 하우징부(21)의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절개부(30)는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의 주연부 주위에 형성되고, 연결부가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을 상부 하우징부(21)의 본체에 연결하도록 제공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힘을 인가할 때, 예를 들어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이 압박되거나 눌릴 때에,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이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윙 또는 버튼(28)은, 디바이스(10)가 사용자의 손의 손바닥에 쥐어지고 디바이스(10)의 베이스가 아래로 향하면, 디바이스(10)에 제공된 윈 또는 버튼(28)이 사용자의 엄지 및/또는 손가락의 범위 내에 있게 하도록, 코어(11)의 측면 주위 둘레에 제공된다.
상부 하우징부(21)를 형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 심지어 강성인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면,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이 연결부 주위에서 휘어지거나 이동되게 하여, 누를 수 있는 윙 또는 버튼(28)을 형성하게 된다.
액츄에이터 센서(18)는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 각각과 연관된다.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 각각은 각각의 윙 또는 버튼(28)의 외면 내에 형성된 부분적으로 구형 함몰부(31)의 형태인 식별자가 제공된다.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은 상부 하우징부(21) 주위에 둘레로 이격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여덟 개의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이 제공되고, 두 개의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이 평면도로 바라볼 때 실질적으로 원형 상부 하우징부(21)의 각각의 사분면에 제공된다.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은 상부 하우징부(21) 주위에서 카디널 및 인터카디널 위치에 위치된다.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은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이다. 통상적으로,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은 빛이 상부 하우징부(21)를 통해 절개부(30)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투과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되는데, 그러면 빛이 지나갈 때 반사/굴절이 생길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윙 또는 버튼(29)이 상부 하우징부(21)의 상부 폴에 제공될 수 있다.
방사형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 각각의 하부는, 하부 하우징부(22)의 상부 에지에 제공된 스캘럽 처리된 부분 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부 하우징부(22)를 상부 하우징부(21)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착 메커니즘은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 사이에 제공되어 개별 하우징부의 중간 부분에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내부 코어(11)는 하우징 내의 인쇄 회로 기판(PCB)에 장착된 프로세서(19)를 포함하는 콘트롤러(13)를 포함한다.
PCB는 하우징 내에 위치된 장착판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콘트롤러 PCB/장착판(13)은 하부 하우징부 내에 제공되고, 예를 들어 배터리(14), 양방향 스피커(16), 온/오프 버튼(20), 및 충전 포트(33)와 같은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는 콘트롤러 PCB/장착판(13) 아래에 제공된다. 라이트(15) 및 액츄에이터 센서(18)와 같은 디바이스(10)의 일부 컴포넌트는 하우징 내에서 콘트롤러 PCB/장착판(13) 위에 제공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 PCB/장착판(13)은 하부 하우징부(22)의 상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프로세서(19)를 포함한 컴포넌트 거의 모두는 하우징 내에서 콘트롤러 PCB/장착판(13) 아래에 장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센서 새시(34)는 콘트롤러 PCB/장착판(13) 위에 제공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15)가 콘트롤러 PCB/장착판(13)의 상면에 대하여 장착되고, 복수 개의 탄성 장착된 액츄에이터 센서(18)가 콘트롤러 PCB/장착판(13) 위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 센서(18)는 센서 새시(34) 위의 콘트롤러 PCB/장착판(13)에 장착되고 그 위로 상향 연장된다.
파워 서플라이는 배터리(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는 현장에서 재충전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액세스가능한 충전 포트(33)가 제공된다. 충전 포트는 통상적으로 방수 및/또는 방진일 것이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배터리는 방수 커넥터를 통해 충전가능한 리튬 폴리머이고, 1 시간의 능동적인 사용 수명, 5-6 시간의 수동적인 사용 수명(스위치는 켜지지만 사용중이 아닌 경우), 및 약 2 주 이상의 대기/오프 시간을 가진다.
라이트(15)는 내부 코어(11)의 하우징 내에 제공된다. 임의의 타입의 라이트가 제공될 수 있지만, 그들의 작은 크기, 낮은 전력 소모 및 휘도 조절가능성, 컬러 및/또는 점등되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LED 또는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코어(11) 내에 제공되는 라이트(15)의 개수는 제공되는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의 개수에 대응한다. 여덟 개의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이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에서는 분리된 윙 또는 버튼(28) 각각마다 하나씩 여덟 개의 라이트(15)가 제공되고, 분리된 윙 또는 버튼(29)이 상부 하우징부(21)의 폴 상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라이트(15)가 그러한 윙 또는 버튼(29)에 대해서도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15) 각각은 콘트롤러 PCB/장착판(13)의 상측에 대해 제공된다. 라이트(15)는 상향으로 및/또는 외향으로 지향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라이트(15)는 각각의 윙 또는 버튼(28)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폴 윙 또는 버튼(29)과 대향되는 라이트(15)는 해당 윙 또는 버튼(29) 바로 아래에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단일, 양방향, 오디오 입력/출력 컴포넌트가 제공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스피커(16)로서 구성된다. 임의의 타입의 스피커가 제공될 수 있다.
스피커(16)는 스피커(16)로부터 나오는 소리를 특정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하여 스피커 혼(35)과 연관된다. 스피커 혼은 외부 오디오를 캡쳐하도록 스피커(16) 내로 지향시키기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혼(35)의 외부 단부는 상부 하우징부(21) 및 하부 하우징부(22) 사이에 연장되고, 스피커 혼(35)의 외부 단부는 하우징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공평면이다.
양방향, 오디오 입력/출력 스피커(16)는 소리가 방출되게 하고, 또한 디바이스(10) 외부의 소스로부터의 소리를 캡쳐하게 한다.
액츄에이터 센서(18)는 윙 또는 버튼(28, 29) 각각 및 콘트롤러 PCB/장착판(13)과 연관되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콘트롤러 PCB/장착판(13)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형태에서, 액츄에이터 센서(18)는 힘 감응 저항(FSR) 센서이다. 이러한 타입의 센서는 터치를 검출하고, 또한 FSR 센서에 인가된 힘을 측정한다. 힘은 힘의 양자(quantum)의 정도로 측정되지만, 이것은 힘이 인가된 지속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디바이스(10)는 검출된 터치 및 측정된 정도 또는 FSR 센서에 인가된 힘의 양자를 사용하여, 측정된 정도 또는 인가된 힘의 양자에 따라서 상이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검출된 터치 및 FSR 센서에 인가된 힘의 측정된 인가 시간을 사용하여, 인가된 힘의 측정된 인가 시간에 따라서 상이한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FSR 센서는 내부 코어의 하우징 내의 콘트롤러 PCB/장착판(13)에 대하여, 장형 암부(arm) 상에 탄력적으로 장착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것처럼, 암부는 하우징 내에 맞춤되도록 콘트롤러 PCB/장착판(13)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연장된다. FSR 센서의 일부는 장착이 되면 윙 또는 버튼(28, 29)의 내면의 일부에 인접하거나 가까이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FSR 센서는 상부 하우징부(21)의 윙 또는 버튼(28, 29) 각각에 대해 제공된다. 제공된 FSR 센서의 개수는 제공된 라이트(15)의 개수와 일대일로 일치된다. 윙 또는 버튼(28, 29)을 터치하면 FSR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15)를 작동시키게 될 것이다. 더 높은 수준의 힘(또는 더 긴 인가 시간)으로 윙 또는 버튼(28, 29)을 터치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 및 또는 특정 윙 또는 버튼(28, 29)에 의해 작동되는 기능을 변경하게 하는 제어 기능성을 FSR 센서가 작동하게 될 것이다.
터치 윙 또는 버튼(28, 29)은 두 개 이상의 라이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터치 윙 또는 버튼(28, 29)은 두 개 이상의 제어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윙 또는 버튼(28, 29)을 한 레벨의 힘으로 터치하면 라이트를 온상태와 오프 상태에서 작동시키고, 상이한 레벨의 힘으로 터치하면 라이트의 특정 컬러를 작동시키며, 제 3 레벨의 힘으로 터치하면 제어 기능성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 대신에, 오직 두 레벨의 힘만이 존재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임의의 대안적인 구성 또는 기능성이 제공될 수 있는데, 제 1 레벨에서는 라이트가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컬러들을 순환할 수 있게 하고, 제 2 레벨의 힘은 해당 윙 또는 버튼(28, 29)과 연관된 제어 기능성을 작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FSR 센서는 센서 새시(34)에 대해 장착된다. 센서 새시(34)는 콘트롤러 PCB/장착판(13) 위에, 센서 아래에, 그리고 상부 하우징부(21) 아래에 제공된다. 예시된 센서 새시(35)는 형상이 부분적으로 구형이다. 센서 패드(36)는 센서 각각에 대해서 센서 새시(35) 상에 제공된다.
각각의 FSR 센서(37)에는 촉각 편의성을 향상하는, 예컨대 특정한 촉각적 느낌을 제공하고 및/또는 삐걱소리를 최소화하기 위한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윙 또는 버튼이 눌리거나 센서가 작동되면 일반적으로 청각, 시각 및/또는 촉각 피드백이 제공될 것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윙 또는 버튼이 눌리면 라이트가 켜질 것이다. 윙 또는 버튼이 눌리면 진동이 제공될 수 있다. 피드백은 윙 또는 버튼에 인가된 힘에 따라서 상이한 세기 또는 상이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케이싱(12)이 임의의 플렉시블 재료로 제공되지만, 쿠션 또는 충격 흡수 재료가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외부 케이싱(12)을 구성하기 위해 실리콘이 사용되어 사용자를 위한 촉각 편의성 및 또한 내부 코어(11) 내의 컴포넌트, 및 내부 코어(11)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쿠션 특성을 제공한다.
특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12)은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도 1 내지 도 5에 가장 잘 나타남)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제공되는 액세스 개구 및 메인 액세스 개구(38)를 제외하고는 연속적인 계란형 형상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피커 홀이 외부 케이싱(12)에 제공된다. 개구는 파워 버튼(20) 및/또는 제공될 경우 충전 포트(33)를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개구는 하나 이상의 볼륨 버튼(올림/내림)을 위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누름형 콘트롤 버튼(파워, 볼륨 등을 위함)이 내부 코어에 대해 제공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결정 함몰부(42)가 있는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12)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12)은 위치결정 함몰부(42)에서 눌리게 되면 쉽게 변형되어 누름형 콘트롤 버튼을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파워 볼륨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성을 위한 임의의 콘트롤 버튼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중앙선에 또는 이에 가깝게 통상적으로 제공될 것이고, 디바이스(10)의 중앙선 주위에서 이격되거나 적어도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여러 돌출부(4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40)는 로고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0)는 외부 케이싱(12)의 상부 폴에 가깝게 제공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돌출부(40)는 통상적으로 라이트(15) 및/또는 눌리면 통상적으로 패턴 내의 돌출부를 조명할 윙 또는 버튼(29) 위에 있을 것이다.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12)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터치가 편하면서도 외부 케이싱(12)을 통해서 내부 코어(11)상의 윙 또는 버튼(28, 29)을 누를 수 있게 될 것이다. 반투명 외부 케이싱(12)을 제공하면 통상적으로 내부 코어(11)의 속성과 외관이 확산되거나 가려질 것이다.
외부 케이싱(12)은 탄성을 가지고 변형 가능하다.
메인 액세스 개구(38)가 외부 케이싱(12) 내에 그 하부측에 제공되어, 내부 코어(11)가 개구(38)를 통과하게 하기 위해서 외부 케이싱(12)을 변형함으로써 내부 코어(11)에 액세스하게 하고 외부 케이싱(12)에 내부 코어(11)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12)에 있는 개구(38)는 외부 케이싱(12)의 주된 부분보다 작은 두께의 개구 주위의 둘레에 제공되는 선반부(41)에 의해 둘러싸인다. 사용 시에, 선반부(41)는, 코어(11) 주위에서 외부 케이싱(12)을 밀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내부 코어(11)의 외면 및 플러그(24)의 확장된 헤드(25) 사이에 클램핑된다.
이러한 구성의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10)를 제공하면, 특히 콘트롤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를 포함시킴으로써 디바이스(10)의 기능성 및 디바이스(10)와의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것이다.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는 디바이스(10)가, 노래 또는 음악 트랙으로부터의 오디오 입력을 수신하거나 캡쳐하고, 디바이스(10)가 그 동작 및 바람직하게는 그 시각적 외관을 오디오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하게 하며, 또한 재생, 송신 및/또는 저장 이전에 오디오 입력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가 오직 예시적으로 전술되었다.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Claims (15)

  1.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로서,
    i. 내부 코어로서,
    a.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저장소와 연관되는 콘트롤러;
    b.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
    c.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컴포넌트;
    d. 하우징에 대해 제공되고 상기 콘트롤러와 연관되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상기 콘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내부 코어;
    ii. 상기 내부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플렉시블 외부 케이싱; 및
    iii. 오디오를 캡쳐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컴포넌트 - 캡쳐된 오디오는 상기 디바이스에 의하여 저장, 재생 및/또는 처리될 수 있음 -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바이스에서의 기능성 또는 동작 변화를 촉진하는 사운드, 음악, 정보 및/또는 명령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는 유사한 디바이스들 사이에 일-대-다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경로가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상기 디바이스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의 조명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게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의 상기 디바이스 상의 조명을 모사 또는 복제하도록 원격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5.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경로는, 제 1 디바이스에 가까운 제 2 디바이스 및/또는 원격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6. 제 7 항에 있어서,
    근접도 트리거(proximity trigger)는 결과적으로,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가 오디오, 촉각 및/또는 시각 경보를 개별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발행하게 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악 트랙이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한 재생을 위하여 최적화되고,
    최적화된 음악 트랙은 상기 디바이스 상의 기능성 또는 액션을 트리거링하는 정보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를 통해 재생되거나 캡쳐되는 임의의 오디오 중 적어도 일부가 조작(manipulation)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온보드로 제공되는 운영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의 기능은 협력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조절가능하고,
    상기 협력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의 기능에 관련된 명령이 상기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어는 터치 입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로 송신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플렉시블 윙을 가지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11. 제 16 항을 인용하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윙은, 윙부(wing portion)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생성된 복수 개의 절개부(incision)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기는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와 연관되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는,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에 인가된 힘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힘 감응 센서이거나, 힘 감응 센서를 포함하거나, 힘 감응 센서와 연관되어, 인가된 힘의 하나 이상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은 탄성 변형가능한,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15.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제어하도록 상기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KR1020200126005A 2019-09-30 2020-09-28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10038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14095.3 2019-09-30
GB1914095.3A GB2586084B (en) 2019-09-30 2019-09-30 Touch sensitive audio-visual input/output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373A true KR20210038373A (ko) 2021-04-07

Family

ID=6853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005A KR20210038373A (ko) 2019-09-30 2020-09-28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20917B2 (ko)
EP (2) EP3889744A1 (ko)
JP (1) JP2021105982A (ko)
KR (1) KR20210038373A (ko)
CN (1) CN112584281A (ko)
AU (1) AU2020244450A1 (ko)
CA (1) CA3094621A1 (ko)
GB (1) GB25860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3493B (en) * 2020-03-24 2022-05-25 Kano Computing Ltd Audio output device
USD1007573S1 (en) * 2021-03-18 2023-12-12 Magic bean Technology (Zhongshan) Co., Ltd Smart hand pian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7939B1 (en) * 2007-01-21 2012-06-26 Bezalel Sol Bareli Squeezable computer mouse
US8594467B2 (en) * 2008-12-19 2013-11-26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virtual display system for ubiquitous devices
CN202070167U (zh) * 2011-01-24 2011-12-14 王春杨 一种玩具海螺
US9218055B2 (en) * 2012-11-21 2015-12-22 SomniQ,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mpathetic computing
EP2997453B1 (en) 2013-05-17 2020-10-21 SeeScan, Inc. User interface devices
US20150091834A1 (en) * 2013-10-02 2015-04-02 Thomas M. Johnson Display screen with dynamic tactile pix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9690381B2 (en) * 2014-08-21 2017-06-2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ape input and output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US9699867B2 (en) * 2015-09-15 2017-07-04 Steven Horist Sound responsive lighting system
US10631071B2 (en) 2016-09-23 2020-04-21 Apple Inc. Cantilevered foot for electronic device
US10290302B2 (en) 2016-12-30 2019-05-14 Google Llc Compact home assistant with combined acoustic waveguide and heat sink
US10775941B2 (en) * 2016-12-30 2020-09-15 Jason Francesco Heath Sensorized spherical input and output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427374B2 (en) 2017-03-21 2019-10-01 Apple Inc. Seamless spacer fabric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90084789A (ko) 2018-01-09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20917B2 (en) 2022-05-03
CN112584281A (zh) 2021-03-30
AU2020244450A1 (en) 2021-04-15
US20210096666A1 (en) 2021-04-01
JP2021105982A (ja) 2021-07-26
EP3809245A2 (en) 2021-04-21
CA3094621A1 (en) 2021-03-30
GB201914095D0 (en) 2019-11-13
EP3809245A3 (en) 2021-06-30
GB2586084B (en) 2021-08-18
GB2586084A (en) 2021-02-03
EP3889744A1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18121A1 (en) Tablet computer guitar controler
US9542919B1 (en) Cyber reality musical instrument and device
KR20210038373A (ko) 터치 감응 시청각 입력/출력 디바이스 및 방법
EP2945152A1 (en)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nstrument and accessories using control surface
JP2011514986A (ja) デジタル楽器
US9875729B2 (en) Electronic mute for musical instrument
US20120144977A1 (en) Music-oriented controller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US20110095874A1 (en) Remote switch to monitor and navigate an electronic device or system
US9761211B2 (en) Detachable controller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US20110004328A1 (en) Controller interface for musical applications on handheld computing devices
US20170221465A1 (en) Method and devices for controlling functions employing wearable pressure-sensitive devices
US10997957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device
US10621963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device
CN109891496A (zh) 改进的合成打击乐踏板和配接站
TWI823094B (zh) 耳機充電盒及其投影控制方法
Michailidis et al. Improving performers’ musicality through live interaction with haptic feedback: a case study
JP6691607B2 (ja) 照明制御装置
WO2004066261A2 (en) Virtual reality musical glove system
JP6705409B2 (ja) 楽曲再生制御装置、楽曲再生制御方法及び楽曲再生制御プログラム
Berdahl et al. The FireFader design: simple, open-source, and reconfigurable haptics for musicians
US20210110799A1 (en) Hands-free computer accessory for optimizing musical instruction
US8604326B2 (en) Dual sustain single keyboard pedal
US11635886B2 (en) Audio output device
GB2460496A (en) Music device with contact sensitive sound creation regions
US20230032698A1 (en) Dynamic Pedal and 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