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222A -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222A
KR20210038222A KR1020190121105A KR20190121105A KR20210038222A KR 20210038222 A KR20210038222 A KR 20210038222A KR 1020190121105 A KR1020190121105 A KR 1020190121105A KR 20190121105 A KR20190121105 A KR 20190121105A KR 20210038222 A KR20210038222 A KR 20210038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spection
nuclear power
power plan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주
김용식
이태훈
김진회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8222A/ko
Publication of KR2021003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은 제1 데이터베이스, 폐로 판별부,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는 국내 원자력 발전소들의 운영 정보와,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를 포함한다. 폐로 판별부는 원자력 발전소의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발전소를 추출하고, 폐로 여부를 판별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는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DLTP 정보를 포함한다.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는 차수별 검사계획을 추출하고,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을 확정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ANE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EFUELED CONDTION LONG TERM IN-SERVICE INSPECTION OF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중검사(In-Service Inspection)는 원자로의 가동기간 동안의 경과에 따른 안전관련 계통 구조물의 취약화 정도를 감시 및 평가하기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 하는 검사이다. 한국수력원자력에서는 10년 동안의 장기 계획인 장기 가동중검사 계획서(Long-Term in-service inspection Plan, 이하 'LTP'라 한다)에 따라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폐로가 결정된 원자력 발전소는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계획서(Defueled condition LTP, 이하 'DLTP'라 한다)를 작성하여 최종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현재 고리원자력 1호기가 DLTP에 따라 가동중검사 부위의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검사대상인 용접부는 다양한 비파괴 검사방법에 의해 검사되며, 검사결과는 보고서로 발행된다.
현재의 DLTP는 책자로 제작되고 있으며, 서술형으로 기재된다. 따라서 과거의 DLTP 이력 정보를 찾으려면 해당 원자력 발전소의 책자에서 원하는 부분을 발췌하여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수작업 오류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DLTP를 종합적 및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DLTP의 수정과 조회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은 제1 데이터베이스, 폐로 판별부,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는 국내 원자력 발전소들의 운영 정보와,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를 포함한다. 폐로 판별부는 제1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원자력 발전소의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발전소를 추출하고, 폐로 여부를 판별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는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DLTP 정보를 포함한다.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는 제2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차수별 검사계획을 추출하고,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을 확정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은 제1 정보화 단계, 폐로 판별 단계, 제2 정보화 단계, 및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정보화 단계에서, 국내 원자력 발전소들의 운영 정보와,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폐로 판별 단계에서, 제1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발전소가 추출되고, 폐로 결정 여부가 판별된다. 제2 정보화 단계에서,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 DLTP 정보가 제2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에서, 제2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차수별 검사계획이 추출되고,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이 확정되어 출력된다.
제1 정보화 단계에서, 국내 원자력 발전소들의 운영 정보는 제1 정보일 수 있고,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는 제2 정보일 수 있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와 노형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노형이 일치할 때 제1 정보에 통합될 수 있고, 통합된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폐로 판별 단계에서, 제1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실제 운영년수와 최대 운영년수를 비교하여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원자력 발전소가 추출될 수 있고, 추출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 폐로 결정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제2 정보화 단계에서, DLTP 정보는 규제기관의 승인 여부를 판별하여 승인이 확정될 때 제2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될 수 있다.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에서, 차수별 검사계획이 추출된 이후 규제기관의 승인 여부를 판별하여 승인이 확정될 때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이 확정되어 출력될 수 있다.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은,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 이후, 검사 대상에 대한 검사 결과가 제2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제3 정보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후 폐로 대상이 될 원자력 발전소의 수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폐로 원자력 발전소의 DLTP를 최적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관련 법령에 기반된 DLTP 내용의 변경 등을 체계적으로 수정, 조회, 및 분석을 할 수 있으며,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정보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폐로 판별 단계와 제2 정보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와 제3 정보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100)은 크게 제1 데이터베이스(10), 폐로 판별부(20), 제2 데이터베이스(30), 및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40)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10)는 국내 28개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운영정보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모형(노형) 종류와 실제 운영년수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1 데이터베이스(10)는 원자력 법령에 의해 정해진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와, 노형별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계획서(이하, 'DLTP'라 한다)의 정보를 포함한다.
폐로 판별부(20)는 제1 데이터베이스(10)의 정보로부터 폐로 발전소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폐로 판별부(20)는 제1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노형별 실제 운영년수와 최대 운영년수를 비교하여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원자력 발전소를 추출한 다음 폐로가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폐로 결정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최고 결정기관에서 수행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30)는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DLTP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DLTP 정보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DLTP 정보이며,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대상의 종류, 위치, 특성, 관련법규, 검사 방법 등 검사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30)의 정보는 제1 데이터베이스(10)의 정보 중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 해당 노형에 따른 DLTP 정보가 추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데이터베이스(10, 30)의 정보는 모두 디지털 정보이며, 전자 파일의 형태로 존재한다.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40)는 제2 데이터베이스(30)의 정보로부터 차수별 검사 계획을 추출한다. 차수별 검사는 5년동안 3회에 걸쳐 실시된다. 예를 들어 검사 대상이 용접부인 경우, 1차 검사 계획은 DLTP 상에서 34.06%의 용접부를 검사할 수 있고, 2차와 3차 검사 계획은 각각 32.97%의 용접부를 검사할 수 있다.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40)는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을 확정하여 이를 출력하며, 검사 결과는 제2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어 기록된다. 폐로 판별부(20)와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40)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컴퓨터와 같은 하드웨어에 의해 작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은 제1 정보화 단계(S10), 폐로 판별 단계(S20), 제2 정보화 단계(S30),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S40), 및 제3 정보화 단계(S5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정보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정보화 단계(S10)에서 국내 28개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정보와, 원자력 법령에 근거한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편의상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정보를 제1 정보라 하고,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를 제2 정보라 한다.
제1 정보에는 원자력 발전소별로 노형의 종류 및 실제 운영년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와 노형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노형이 일치할 때 제1 정보에 통합되며, 통합된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폐로 판별 단계와 제2 정보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폐로 판별 단계(S20)에서 폐로 판별부(20)는 제1 데이터베이스(10)의 정보로부터 실제 운영년수와 최대 운영년수를 비교하여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원자력 발전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 폐로가 결정되었는지 계속 운전이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원자력 발전소의 폐로가 결정되면 폐로 결정 정보가 폐로 판별부(20)로 입력되어 폐로 여부 판단에 사용된다.
제2 정보화 단계(S30)에서,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DLTP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DLTP 정보가 제2 데이터베이스(30)에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제1 데이터베이스(10)의 정보로부터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의 DLTP 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DLTP 정보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 여부를 판별하여 승인이 확정될 때 DLTP 보고서로 작성된 후 제2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DLTP의 기준기술은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 2005년판 및 2006년~2009년 추록 MIA-2432 검사계획 B가 적용될 수 있고, 기간은 영구정지 운영변경허가 승인 완료일로부터 영구정지 개시일까지 5년동안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수정 및 제한상황으로는 원자력안전위원회 고시 '원자로시설의 가동중검사에 관한 규정'을 따를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와 제3 정보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고하면,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S40)에서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40)는 제2 데이터베이스(30)의 DLTP 정보로부터 차수별 검사계획을 추출하고, 규제기관의 승인 여부를 판별하여 승인이 확정될 때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을 확정하여 검사 대상별 검사계획을 추출한다.
검사 대상은 용접부일 수 있고, 용접부는 위치와 종류에 따라 UT(초음파 검사), VT(육안 검사), PT(침투 비파괴 검사), MT(자기 비파괴 검사) 등 다양한 비파괴 검사법으로 검사될 수 있다.
제3 정보화 단계(S50)에서, 검사 대상은 차수별 검사계획서에 지정된 방법에 따라 검사가 수행되고, 검사 결과는 차수별 검사결과 보고서로 작성되며, 그 내용은 제2 데이터베이스(30)에 입력된다.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후 폐로 대상이 될 원자력 발전소의 수가 늘고 있으며, DLTP 작성에 따른 가동중검사 결과는 많은 정보를 가지게 된다.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폐로 원자력 발전소의 DLTP를 최적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관련 법령에 기반된 DLTP 내용의 변경 등을 체계적으로 수정, 조회, 및 분석이 가능하며,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제1 데이터베이스 20: 폐로 판별부
30: 제2 데이터베이스 40: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

Claims (7)

  1. 국내 원자력 발전소들의 운영 정보와,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원자력 발전소의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발전소를 추출하고, 폐로 여부를 판별하는 폐로 판별부;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DLTP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차수별 검사계획을 추출하고,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을 확정하여 출력하는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부;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2. 국내 원자력 발전소들의 운영 정보와,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가 제1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제1 정보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발전소가 추출되고, 폐로 결정 여부가 판별되는 폐로 판별 단계;
    폐로가 확정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 DLTP 정보가 제2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제2 정보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차수별 검사계획이 추출되고,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이 확정되어 출력되는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화 단계에서, 상기 국내 원자력 발전소들의 운영 정보는 제1 정보이고, 상기 노형별 최대 운영년수 및 노형별 DLTP 정보는 제2 정보이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노형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노형이 일치할 때 상기 제1 정보에 통합되고, 통합된 정보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로 판별 단계에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로부터 실제 운영년수와 최대 운영년수를 비교하여 실제 운영년수가 최대 운영년수를 초과한 원자력 발전소가 추출되고, 추출된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 폐로 결정 여부가 판별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화 단계에서, 상기 DLTP 정보는 규제기관의 승인 여부를 판별하여 승인이 확정될 때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에서, 상기 차수별 검사계획이 추출된 이후 규제기관의 승인 여부를 판별하여 승인이 확정될 때 상기 해당 차수의 검사 대상과 검사 방법이 확정되어 출력되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별 검사계획 추출 단계 이후, 상기 검사 대상에 대한 검사 결과가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제3 정보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방법.
KR1020190121105A 2019-09-30 2019-09-30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38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105A KR20210038222A (ko) 2019-09-30 2019-09-30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105A KR20210038222A (ko) 2019-09-30 2019-09-30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222A true KR20210038222A (ko) 2021-04-07

Family

ID=7546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105A KR20210038222A (ko) 2019-09-30 2019-09-30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82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9662A1 (de) 2021-03-24 2022-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triebsverfahren eines speichercontrollers unter verwendudng eines zählwerts eines speicherdirektzugriffs, speichervorrichtung mit speichercontroller, und betriebsverfahren einer speichervorrichtung
CN116644334A (zh) * 2023-05-23 2023-08-25 上海发电设备成套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在役核电机组和核电汽轮机的可靠性监控与增长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9662A1 (de) 2021-03-24 2022-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triebsverfahren eines speichercontrollers unter verwendudng eines zählwerts eines speicherdirektzugriffs, speichervorrichtung mit speichercontroller, und betriebsverfahren einer speichervorrichtung
CN116644334A (zh) * 2023-05-23 2023-08-25 上海发电设备成套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在役核电机组和核电汽轮机的可靠性监控与增长方法
CN116644334B (zh) * 2023-05-23 2024-02-20 上海发电设备成套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在役核电机组和核电汽轮机的可靠性监控与增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9887B (zh) 一种核电厂控制系统临时控制变更在线管理系统
US7840376B2 (en) Risk-based design and maintenance systems and methods
US20200242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mmissioning plan of nuclear facility
KR20210038222A (ko)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 영구인출상태 장기 가동중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omić et al.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aerospace industry
Preischl et al. Human error probabilities from operational experience of German nuclear power plants, Part II
Borkowski et al. Challenges faced in modern quality inspection
Mueller et al. Paradigm shift in the holistic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of NDE systems
Nagyová et al. An empirical study of root-cause analysis in automotive supplier organisation
Hooper SAFEGUARDS
CN106547690B (zh) 基于新拟合判定标准下的软件可靠性建模方法及装置
JP4681574B2 (ja) 抜取検査システム
JP2006004219A (ja) 設備保全システム
KR102085282B1 (ko) 원자력 발전소 용접부 검사 지원 방법
JP7392821B2 (ja) 制御用ソフトウェアの自動テスト方法及び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7332240B (zh) 岩爆预测模型构建方法、存储介质、岩爆预测方法及系统
JP2859497B2 (ja) 保守支援装置
Li et al. Selection and management of organization for implementing V&V activities in application software of digital instrument control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Jianjun et al. Incident Investigation and Root Cause Analysis Method and Technology Review
KR101708793B1 (ko) 원자력발전소의 가동전·중검사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그램
Stefanini et al. High flux reactor continued safe operation: time limited ageing analyses
Ponomarev et al. Organization of a modular information presentation to verify measuring instruments in a modern enterprise
Gübitz et al. Risk Management for Medical Devices in Compliance with EN ISO 14971
O'Hara et al. Quality Assurance for Investigations of Plant Safety and Reliability
Zettervall Inspection qual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ENIQ in Swe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