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082A -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082A
KR20210038082A KR1020190120773A KR20190120773A KR20210038082A KR 20210038082 A KR20210038082 A KR 20210038082A KR 1020190120773 A KR1020190120773 A KR 1020190120773A KR 20190120773 A KR20190120773 A KR 20190120773A KR 20210038082 A KR20210038082 A KR 2021003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kit
mobile terminal
ta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안로드
권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안로드, 권대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안로드
Priority to KR102019012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8082A/ko
Priority to PCT/KR2020/004255 priority patent/WO20210662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3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082A/ko
Priority to KR1020210133389A priority patent/KR10232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7/00First-aid k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 키트 및 이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태그를 구비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태그를 인식하면,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과 응급 키트에 대한 사용 방법이 적어도 포함되는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한다. 응급 키트는 자동 판매기에 의해 제공된다. 자동 판매기는 서로 다른 응급 상황에 따른 처치 용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응급 키트를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응급 키트를 선택하여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그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응급 키트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응급 처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EMERGENCY KIT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IT}
본 발명은 응급 키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스 일면에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태그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응급 상황 시, 모바일 단말기로 태그를 인식하면, 해당 응급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대응 방법이나 사용 방법을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급 키트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따라 응급 처치에 필요한 구급 약품이나 용품 등이 구비되어, 응급 처치가 필요한 응급 상황이 발생되면, 발생된 응급 상황에 대해 신속한 응급 처치를 할 수 있도록 휴대하거나, 많은 사람들이 모이거나 왕래하는 건물, 현장, 야외 등의 공공 장소나 시설 등에 비치된다.
이러한 응급 키트는 예를 들어, 소화제, 해열제, 소독약, 붕대, 반창고 등과 같이 상비약의 경우, 개인이 간단하게 응급 처치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심장약, 지혈대, 자동제세동기 등의 약품이나 용품의 경우, 이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전문 지식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응급 상황 발생 시에 응급 키트가 있더라도 실제로 사용 방법이나 처치 방법 등을 몰라서 응급 처치에 활용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한 실정이다.
또 응급 키트는 휴대성이 용이하긴 하나, 응급 상황이 언제 발생될 지 예측 불가능하고, 본인이나 그 주변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된다고 인지하지 않는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다양한 야외 활동 시에도 휴대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응급 상황이 발생되면, 그 주변에서 응급 키트를 확보할 수 없거나, 가장 가까운 위치의 응급 키트를 확보하는데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3738호(공고일 2013년 04월 12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4355호(공고일 2013년 06월 13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300호(공고일 2011년 09월 20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2039호(공개일 2019년 01월 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응급 상황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응급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태그와 응급 상황에 따른 응급 처치 용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적어도 응급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과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에 대한 키트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응급 상황에 따른 서로 다른 용도의 응급 처치 용품을 구비하는 응급 키트를 제공하거나 판매하기 위한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내부에 응급 처치 용품이 구비되는 케이스 일면에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 가능하고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 등에 대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태그를 구비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응급 키트의 태그를 이용하여 응급 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급 처치를 가능하게 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응급 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 처치를 위한 약품과 응급 처치구가 포함되는 응급 처치 용품; 내부에 상기 응급 처치 용품이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인식 가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응급 키트의 응급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과 상기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을 적어도 포함하는 키트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응급 키트는 상기 태그에 위치 정보를 구비하거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GPS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태그를 인식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응급 키트는, 상기 응급 처리 용품의 사용 내역에 따른 사용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키트 정보는 상기 태그 또는 상기 저장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급 키트의 응급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과 상기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에 대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다른 응급 상황에 따른 처치 용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응급 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자동 판매기가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응급 키트를 위한 자동 판매기는, 응급 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 처치를 위한 약품과 응급 처치구가 포함되는 응급 처치 용품과, 내부에 상기 응급 처치 용품이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인식 가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응급 키트의 응급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과 상기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을 적어도 포함하는 키트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응급 상황에 따른 처치 용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응급 키트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나의 상기 응급 키트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응급 키트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되는 배출부; 및 선택된 상기 응급 키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선택부와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인식 되어 응급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과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을 적어도 포함하는 키트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키트 정보를 확인하여 응급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치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사용자가 응급 상황 발생 시, 태크를 모바일 단말기로 인식시키면, 응급 치료를 할 수 있는 응급 센터의 구급 요원과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하거나, 현장에 신속하게 구급 요원이나 응급 차량을 호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태그, 태그를 인식한 모바일 단말기 또는 응급 키트를 제공하는 자동 판매기를 통해 위치 정보를 응급 센터로 제공하여 신속하게 현장으로 응급 차량이나 헬리콥터 등을 호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사용자의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정보를 저장하ㅇ여 이를 통해 현장에 호출된 구급 요원에게 응급 환자의 처치 내역 등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급 키트를 위한 자동 판매기는 예를 들어, 공공 장소, 경기장, 놀이 공원, 캠핑장, 등산로, 해변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키트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와 서로 다른 처치 용도의 응급 처치 용품을 구비하는 응급 키트를 빠르고 쉽게 획득하여 응급 상황을 처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응급 키트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응급 처치 용품을 구비하는 응급 키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응급 상황에 적합한 응급 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키트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급 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응급 키트를 이용하는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키트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 가능한 태그와, 응급 상황에 따른 다양한 용도의 응급 처치 용품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응급 상황 발생 시, 모바일 단말기로 태그를 인식하면, 모바일 단말기로 해당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과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을 적어도 포함하는 키트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콘텐츠 등으로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자동 판매기에 의해 다양한 응급 상황에 따라 응급 처치를 위한 서로 다른 용도의 응급 처치 용품이 구비되어 서로 다른 응급 상황에 따라 하나의 응급 키트를 선택하도록 하여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태그가 인식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소방소, 병원 등의 응급 센터와 연결되어 응급 상황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응급 키트는 태그를 이용하여 적어도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과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 등의 응급 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응급 처치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자동 판매기를 통해 쉽게 응급 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키트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급 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응급 키트(100)는 응급 상황이 발생된 현장에서 신속하게 응급 상황을 처치할 수 있도록 케이스(102) 내부에 다양한 응급 상황들 각각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용도의 응급 처치 용품들을 구비하고, 케이스(102)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가 인식 가능한 태그(1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응급 키트(100)는 복수 개가 다양한 응급 상황에 맞는 서로 다른 용도의 응급 처치 용품을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응급 키트(100)는 예를 들어, 구토, 의식 장애 등의 신경학적 응급 증상과, 심장 질환, 심폐 소생술이 필요한 증상, 호흡 곤란, 박동 이상 및 쇼크 등의 심혈 관계 응급 증상과, 심한 탈수, 약물 및 알코올 중독, 기타 물질의 과복용이나 중독 등의 대사 장애 증상과, 출혈, 찰과상, 화상, 골절, 절단 등의 외과적 응급 증상 등 다양한 응급 상황들 각각에 대해 처치 가능한 약품이나 응급 처치구를 포함하는 응급 처치 용품(120)이 응급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응급 키트(100)는 태그(11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로 응급 키트(100)에 대한 키트 정보(112)를 제공한다. 즉, 응급 키트(100)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태그(110)를 인식하면, 적어도 해당 응급 키트(100)의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 응급 처치 용품(120)의 사용 방법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키트 정보(112)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응급 키트(10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응급 센터 시스템(400)과 연동되어 키트 정보(112)를 제공하는 태그(110)를 포함한다. 태그(110)는 예를 들어, RFID 태그, NFC 태그, QR 코드 등으로 구비되어, 키트 정보(112)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한다.
응급 키트(100)는 자동 판매기(300)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무상으로 제공하거나 판매되도록 구비된다. 자동 판매기(300)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따른 서로 다른 용도의 응급 처치 용품(120)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응급 키트(100)를 구비하여, 해당 응급 상황에 적합한 응급 키트(100)를 선택하여 무상으로 제공하거나 판매하도록 처리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 가능한 휴대용 전자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폰 등으로 구비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망(10)을 통하여 응급 센터 시스템(400)과 연결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통신망(10)을 통하여 자동 판매기(3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응급 키트(100)의 태그(110)를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인식하기 위한 태그 리더(210)를 구비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태그 리더(210)를 이용하여 응급 키트(100)의 태그(110)를 인식하고, 태그(110)가 인식된 응급 키트(100)로부터 키트 정보(112)에 대한 콘텐츠를 제공받아서 표시하거나 재생한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응급 키트(100)로부터 태그(110)가 인식되면, 외부 예를 들어,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사용자 정보(연락처 등)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하거나 응급 치료가 가능하도록 응급 센터 시스템(400)과 연결되어, 응급 치료를 할 수 있는 상대방 예컨대, 응급 센터의 담당자나 구급 요원 등과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하거나, 응급 센터의 응급 차량이나 헬리콥터 등을 해당 위치로 호출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응급 처치구가 전자 장치인 경우, 전원을 공급하거나 동작시키게 되면, 응급 키트(100)의 위치 정보 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전송하여 해당 위치로 호출할 수도 있다.
자동 판매기(300)는 식별 가능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용도의 복수 개의 응급 키트(100)들을 무상 또는 판매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300)는 기존의 다양한 상품들을 판매하는 전형적인 자동 판매기의 구성을 갖는다. 자동 판매기(300)는 예를 들어, 상품을 수용하는 구성,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구성,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구성, 상품을 배출하는 구성 등을 갖는다.
자동 판매기(300)는 통신망(10)을 통해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200)와 응급 센터 시스템(400) 각각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자동 판매기(300)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응급 키트(100)의 태그(110)를 인식하면, 태그(110)를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자동 판매기(300)는 응급 키트(100)의 사용에 따른 응급 키트(100)의 종류, 수량 등을 모니터링하여 응급 키트(100)를 보충하도록 하기 위해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응급 센터 시스템(400)은 예를 들어, 소방서, 병원 등과 같은 기관이나 시설에 구비되는 통신 가능한 전자 장치로서, 서버, 퍼스널 컴퓨터, 컴퓨터 단말기 등으로 구비된다. 응급 센터 시스템(400)은 통신망(10)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200) 및 자동 판매기(300)와 연결된다. 응급 센터 시스템(400)은 모바일 단말기(200)가 응급 키트(100)의 태그(110)를 인식하면, 이에 대응하여 응급 상황 발생에 따른 환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통신망(10)을 통하여 호출되거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응급 센터 시스템(400)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호출을 받거나 통화가 이루어면, 응급 센터의 구급 요원 또는 응급 차량이나 헬리콥터 등을 해당 위치로 출동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응급 키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2)와, 태그(110)와, 응급 처치 용품(120)을 포함한다. 응급 키트(100)는 입력부(130)와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2)는 응급 키트(100)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구비된다. 케이스(102)는 응급 처치 용품(120)에 따라 예를 들어, 섬유 재질, 비닐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02)는 내부 공간에 응급 처치 용품(120)을 수용한다. 케이스(102)는 일면 예를 들어, 외측면이나 내측면에 태그(110)가 구비된다.
태그(11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가 인식 가능하고, 응급 키트(100)의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 응급 처리 용품(120)의 사용 방법 등이 포함된 키트 정보(112)가 구비된다. 키트 정보(112)에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 응급 처치 용품(120)의 사용 방법 등을 알려주기 위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이러한 태그(110)는 예를 들어, RFID 태그, NFC 태그, QR 코드 등으로 구비되어, 태그(110) 내부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공하거나, 응급 센터 시스템(400) 등으로부터 모바일 단말기(200)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링크 정보 예를 들어, 인터넷 주소(URL), 사진 및 동영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링크 정보를 구비한다.
또 태그(110)는 자동 판매기(3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응급 키트(100)의 위치 정보(114)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응급 키트(100)는 위치 정보(114)를 검출하는 GPS 모듈(미도시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위치 정보(114)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114)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태그(110)를 인식하면, 콘텐츠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응급 처치 용품(120)은 구급약, 응급 처치구 등을 포함한다. 구급약에는 예를 들어, 소독약, 진통제, 지혈제, 연고, 붕대, 접착 밴드, 반창고 등이 포함되고, 응급 처치구에는 예를 들어, 자동 제세동기, 산소 마스크, 기도 유지기, 인공 호흡기, 위생 장갑, 주사기, 관장기, 흡입기, 경추 보호대, 지혈대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응급 처치 용품(120)은 응급 키트(100)의 용도에 따라 구급약, 응급 처치구 등이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응급 처치 용품(120)의 사용 상태에 따른 사용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 정보에는 예를 들어, 응급 상황 발생 시간, 약품의 투입량, 응급 처치구의 사용 시간 및 처치 내역 등이 포함된다. 사용 정보는 전자 장치 형태의 응급 처치구의 사용 시, 응급 처치구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입력부(130)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거나 응급 처치구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된 사용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태그(110)에 구비되어 키트 정보(112)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태그(11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인식되면, 저장부(140)로부터 키트 정보(112)를 읽어와서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따라서 응급 키트(100)는 사용 정보가 저장되면, 응급 호출된 구조 요원에게 해당 응급 키트(100)를 전달하여 응급 처치 내역 등의 사용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200)가 태그 리더(210)를 이용하여 태그(110)를 인식하면, 모바일 단말기(200)로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 응급 처치 용품(120)의 사용 방법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해당 응급 키트(100)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치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응급 키트(100)는 자동 판매기(300)를 이용하여 판매되거나 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자동 판매기(300)는 안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다양한 장소 예를 들어, 공공 장소, 경기장, 놀이 공원, 캠핑장, 등산로, 해변 등에 설치된다. 자동 판매기(300)는 설치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판매 또는 제공되는 응급 키트(100)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응급 키트를 이용하는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200)는 예컨대, 스마트 폰으로 구비되고, 제어부(202), 통신부(204), 위치 정보 제공부(206), 사용자 정보 제공부(208), 태그 리더(210), 표시부(212) 및 음성 입출력부(214)를 포함한다.
제어부(202)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2)는 통신부(204), 위치 정보 제공부(206), 사용자 정보 제공부(208), 태그 리더(210), 표시부(212) 및 음성 입출력부(214) 각각의 기능이 응급 키트(100)와 연동해서 유기적으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04)는 통신망(10)에 연결되고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응급 센터 시스템(400)과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통신부(204)는 응급 키트(100)로부터 키트 정보(112)와 위치 정보(114)를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부(204)는 자동 판매기(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206)는 태그 리더(210)가 태그(110)를 인식하면,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통신부(204)를 통하여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응급 키트(100)의 태그(110), 모바일 단말기(200) 및 자동 판매기(300) 중 어느 하나의 위치 정보 즉, 현재 응급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정보 제공부(208)는 태그 리더(210)가 태그(110)를 인식하면,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통신부(204)를 통하여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연락처, 사용자명 등을 전송한다.
태그 리더(210)는 예컨대, RFID 리더, NFC 리더, QR 코드 리더 등으로 구비되거나, 카메라, 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태그 리더(210)는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응급 키트(100)의 태그(110)를 인식한다.
표시부(212)는 태그 리더(210)로부터 인식된 태그(110)를 통해 키트 정보(112)에 대한 콘텐츠를 표시하거나 재생하도록 출력한다. 물론 표시부(212)는 모바일 단말기(200)가 응급 키트(100), 자동 판매기(300) 및 응급 센터 시스템(400) 각각과 연동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입출력부(214)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스피커 등으로 구비되고,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응급 센터 시스템(400)과의 음성 통화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처리한다.
따라서 제어부(202)는 위치 정보 제공부(206)와 사용자 정보 제공부(208)를 통해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 센터 시스템(400)을 호출하거나 응급 센터 시스템(400)의 담당자나 구급 요원과 통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200)는 응급 키트(100)와 연동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응급 키트(100)를 이용한 응급 상황에 대한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200)는 단계 S250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가 응급 상황이 발생된 현장에 설치된 자동 판매기(300)로부터 해당 응급 상황에 따른 응급 키트(100)를 획득하고, 태그 리더(210)를 이용하여 응급 키트(100)의 태그(110)를 인식한다.
단계 S252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인식된 태그(110)로부터 응급 키트(100)에 대한 키트 정보(112)를 수신한다. 키트 정보(112)는 응급 상황에 대한 대응 방법, 응급 처치 용품(120)의 사용 방법 등을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등으로 표시하는 콘텐츠를 포함한다. 물론 모바일 단말기(200)는 키트 정보(112)에 대응되는 링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링크 정보를 통해 해당 콘텐츠를 수신한다. 단계 S254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수신된 키트 정보(112)를 표시하거나 재생하도록 출력한다.
단계 S256에서 모바일 단말기(200)는 응급 상황이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호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62로 진행해서 사용자명, 연락처 등의 사용자 정보와, 현재 응급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를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전송하여 현재 위치로 담당자나 구급 요원을 응급 호출하거나 또는 담당자나 구급 요원과 통화한다.
그러나 단계 S256에서 응급 호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예를 들어, 신속한 응급 처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200)는 단계 S258로 진행하여 응급 처치 용품(120)을 사용하거나 동작시켜서 응급 처치하고, 단계 S260에서 응급 처치 용품(120)의 사용에 따른 사용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한 후 단계 S262로 진행하여 사용자명, 연락처 등의 사용자 정보와, 현재 응급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를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응급 센터 시스템(400)의 담당자나 구급 요원을 응급 호출하거나 또는 담당자나 구급 요원과 통화한다. 이 후, 현장에 구급 요원이 출동되면, 사용 정보가 저장된 응급 키트(100)를 구급 요원에게 전달함으로써, 구급 요원에게 응급 상황에 따른 처치 내역을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키트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자동 판매기(300)는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응급 키트(100)를 수용한다. 이 때, 응급 키트(100)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따른 서로 다른 용도로 복수 개가 구비된다. 즉, 각각의 응급 키트(100)는 케이스(102) 일면에 모바일 단말기(200)가 식별 가능한 태그(110)와, 서로 다른 응급 상황에 따른 용도를 갖는 응급 처치 용품(120)이 구비된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300)는 전형적인 자동 판매기의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구성과 관련된 기술은 이미 다양하게 공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의 자동 판매기(300)는 본체(310), 제어부(330), 선택부(340) 및 배출부(350)를 포함한다. 또 자동 판매기(300)는 통신부(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체(310)는 자동 판매기(300)의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응급 키트(100)들을 수용한다.
통신부(320)는 통신망(10)에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200) 및 응급 센터 시스템(400)과 통신 가능하고, 모바일 단말기(200)로 설치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응급 센터 시스템(400)으로 자동 판매기(300)의 응급 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부(340)는 예를 들어, 입력 버튼, 터치 패드 등으로 구비되고, 응급 키트(100)의 용도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본체(31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거나, 응급 키트(100)들 각각에 대응하게 구비되어 하나의 응급 키트(100)를 선택한다.
배출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를 받아서 선택부(340)에 의해 선택된 응급 키트(100)를 본체(3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된다. 배출부(350)는 응급 키트(100)를 배출하기 위한 구동 장치들 예를 들어, 로봇암, 벨트, 기어, 모터, 가이드 레일 등이 구비되고, 이를 통해 본체(310)의 외부로 응급 키트(100)를 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통신부(320), 선택부(340) 및 배출부(350)를 제어하여 자동 판매기(3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330)는 선택부(340)와 배출부(350)를 제어하여 선택된 응급 키트(100)를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배출하며, 필요에 따라 통신부(320)를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통신망
100 : 응급 키트
110 : 태그
200 : 모바일 단말기
210 : 태그 리더
300 : 자동 판매기
400 : 응급 센터 시스템

Claims (5)

  1. 응급 키트에 있어서:
    응급 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 처치를 위한 약품과 응급 처치구가 포함되는 응급 처치 용품;
    내부에 상기 응급 처치 용품이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인식 가능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응급 키트의 응급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과 상기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을 적어도 포함하는 키트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급 키트는 상기 태그에 위치 정보를 구비하거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GPS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태그를 인식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응급 키트는,
    상기 응급 처리 용품의 사용 내역에 따른 사용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키트 정보는 상기 태그 또는 상기 저장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급 키트의 응급 상황에 따른 대응 방법과 상기 응급 처치 용품의 사용 방법에 대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 키트.
  5.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로 다른 응급 상황에 따른 처치 용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응급 키트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하나의 상기 응급 키트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응급 키트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되는 배출부; 및
    선택된 상기 응급 키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선택부와 상기 배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KR1020190120773A 2019-09-30 2019-09-30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 KR20210038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73A KR20210038082A (ko) 2019-09-30 2019-09-30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
PCT/KR2020/004255 WO2021066268A1 (ko) 2019-09-30 2020-03-27 응급 키트와, 응급 키트 자동 판매기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0210133389A KR102328132B1 (ko) 2019-09-30 2021-10-07 응급 키트를 위한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73A KR20210038082A (ko) 2019-09-30 2019-09-30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389A Division KR102328132B1 (ko) 2019-09-30 2021-10-07 응급 키트를 위한 자동 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82A true KR20210038082A (ko) 2021-04-07

Family

ID=754694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773A KR20210038082A (ko) 2019-09-30 2019-09-30 응급 키트 및 이를 위한 자동 판매기
KR1020210133389A KR102328132B1 (ko) 2019-09-30 2021-10-07 응급 키트를 위한 자동 판매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389A KR102328132B1 (ko) 2019-09-30 2021-10-07 응급 키트를 위한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3808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300B1 (ko) 2011-03-10 2011-09-20 한상현 응급구호안내 키오스크캐비넷 시스템
KR101253738B1 (ko) 2013-01-18 2013-04-12 주식회사 메스코리아 개인용 응급처치 키트
KR101274355B1 (ko) 2011-08-09 2013-06-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구조용 키트
KR20190002039A (ko) 2017-06-29 2019-01-08 장선용 의약품 자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9939A (ja) 2005-03-16 2006-09-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医薬品管理システム
KR20140104164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에이블지아이 의약품 자동판매장치
CN107111925B (zh) * 2014-12-22 2020-06-0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可穿戴急救套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300B1 (ko) 2011-03-10 2011-09-20 한상현 응급구호안내 키오스크캐비넷 시스템
KR101274355B1 (ko) 2011-08-09 2013-06-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구조용 키트
KR101253738B1 (ko) 2013-01-18 2013-04-12 주식회사 메스코리아 개인용 응급처치 키트
KR20190002039A (ko) 2017-06-29 2019-01-08 장선용 의약품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168A (ko) 2021-10-14
KR102328132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4487A1 (en) Device based responder network activation and virtual assistant integration
CN107071050A (zh) 一种紧急呼援医疗救助系统
JP3881294B2 (ja) ナースコール装置
JP6770981B2 (ja) 心肺蘇生連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及びシステム
KR20140028929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US20210205041A1 (en) Medical or emergency packag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286440B1 (en) Self-contained emergency situation assistance kit with programmed audio and visual instructions
CN110767294B (zh) 资源调度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230181392A1 (en) Portable medical triage kit
CN102932024A (zh) 医疗通信终端与系统
CN115578223A (zh) 一种多端协同远程指导施救的应急救援方法
KR102328132B1 (ko) 응급 키트를 위한 자동 판매기
JP5946181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09110038A (ja) 情報提示システム
WO2021066268A1 (ko) 응급 키트와, 응급 키트 자동 판매기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210125450A (ko) 응급 키트 자동 판매기
WO2022125766A1 (en) Inventory management of portable medical treatment and guidance apparatuses
KR20110099152A (ko) 간호사 무선 호출 모니터링 시스템
JP5943425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030084001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 사태 경보 서비스 방법
JP6842009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US20240021286A1 (en) Remote management of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US20240071197A1 (en) Device based responder network activation and virtual assistant integration
KR102509710B1 (ko)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시스템 및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방법
KR20170079384A (ko) 개인정보에 기반한 응급조치가 가능한 심신 미약자 보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