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965A - Portable oven equipment - Google Patents

Portable ove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965A
KR20210037965A KR1020190120526A KR20190120526A KR20210037965A KR 20210037965 A KR20210037965 A KR 20210037965A KR 1020190120526 A KR1020190120526 A KR 1020190120526A KR 20190120526 A KR20190120526 A KR 20190120526A KR 20210037965 A KR20210037965 A KR 20210037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unit
case
portable oven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5732B1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스마트로스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로스터(주) filed Critical 스마트로스터(주)
Priority to KR102019012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732B1/en
Publication of KR2021003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7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35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oven device, comprising: a case whic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part formed in an upper portion; an accommodation unit which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provides a space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 grill unit which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a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part,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thereof, wherein an object to be cooked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heating unit which i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and emits cooking light upward to apply heat to the object to be cooked; and a cover unit which surrounds the opening par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ccommodates the object to be cooked therein, and prevents heat in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휴대용 오븐장치{Portable oven equipment}Portable oven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용 오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하부에 가열유닛을 구비하고 상부에 별도의 커버유닛을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에 복사열을 고르게 전달하여 조리하는 휴대용 오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ove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oven device for cooking by evenly transferring radiant heat to a cooking object accommodated therein by providing a heating unit at the bottom of the case and a separate cover unit at the top. .

일반적으로 오븐장치는 밀폐된 공간에서 고기 등과 같은 음식물에 복사열을 전달하여 직화방식으로 조리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n oven device is a device that delivers radiant heat to foods such as meat in an enclosed space and cooks it in a direct fire method.

이러한 오븐장치는 조리대상물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밀폐된 공간에서 외부로 열이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에 별도의 열원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열을 전달한다. 이때, 오븐장치 내부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transfer heat to the cooking object, the oven device blocks heat from leaking to the outside from an enclosed space, and transfers heat by arranging a separate heat source adjacent to the inside. In this case, a means for controlling humidity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side the oven device.

그러나 이러한 오븐장치의 사용 시 열원과 인접한 부분에서는 조리대상물에 과도하게 많은 복사열이 전달되지만, 이와 반대부분에서는 오히려 열의 전달이 부족하게 되어 조리대상물의 온도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such an oven device is used, excessive radiant heat is transmitted to the object to be cook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heat source, but at the opposite portion, heat transfer is rather insufficient, resulting in sever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object to be cooked.

특히, 장시간 조리하는 경우, 열원과 인접한 부분은 과도한 조리로 인해 조리대상물이 타게 되고, 반대편의 경우 충분히 익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cooking for a long time, the object to be cooked may be burned due to excessive cooking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heat source, and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object is not sufficiently cooked in the case of the other sid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개발된 오븐장치의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조리대상물을 둘러싸는 형태로 복수 개의 열원을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여 동시에 조리함으로써 조리대상물에 고르게 열을 전달해 조리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case of an oven device recently developed,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arranged in various locations in a form surrounding the cooking object in a closed space and cooked at the same time, thereby evenly transferring heat to the cooking object and cooking.

그러나, 이러한 오븐장치의 경우 복수 개의 열원이 조리대상물을 둘러 싸도록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크기 자체가 커지며, 전력소모가 심하고 가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oven device,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cooking object, so that the size of the device itself increases, power consumption is severe, and the price is increased.

또한,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오븐장치의 구매에 부담을 느껴 사용자들이 사용을 꺼리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1인 가구의 증가로 작은 용량의 가전제품의 출시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이에 알맞은 오븐장치의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as the size increases, users are reluctant to use the oven due to the burden of purchasing the oven device. In particular, the recent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has led to the increasing number of small-capacity home appliances. It is difficult to develop.

따라서, 조리대상물의 조리 시 온도편차를 최소화 하여 고르게 조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한 오븐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oven device that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while minimiz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during cooking of the object to be cooked evenl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하부에 가열유닛의 상부에 조리대상물을 안착한 후 별도의 커버유닛으로 상부를 감싸도록 구성하며, 가열유닛에서 방출된 조리광을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로 동시에 전달 함으로써 조리대상물을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휴대용 오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and the cooking objec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unit under the case, and then wrapped around the upper part with a separate cover unit, and the cooking discharged from the heating unit It is to provide a portable oven device capable of evenly cooking the cooking object by simultaneously transmitting light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ooking obje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는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며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상부에 안착되는 수용유닛,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면에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릴유닛, 상기 수용공간에서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부 방향으로 조리광을 방출하여 상기 조리대상물에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감싸며 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한다.The portable ove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ceived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has a certain height and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 case having an opening in the upper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and provides a space for receiving water. A receiving unit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 grill uni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seating at the upper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ll unit, in which a cooking objec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receiving space A heating unit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ce to apply heat to the cooking object by emitting cooking light in an upper direction, and a heating unit that surrounds the opening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accommodate the cooking object therein, and heat in the receiving space It includes a cover unit to block the discharg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측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하는 방출램프 및 상기 방출램프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방향에서 일부를 감싸며 상기 조리광을 상기 조리대상물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has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to emit the cooking light, and the heating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emission lam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ver a part of the cooking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reflector reflecting toward the object.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방출램프의 하부부분보다 상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분이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ive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emission lamp is curved relatively longer than a lower portion of the emission lamp, and the open portion may be arranged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투명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반사부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불순물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uni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connect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reflective unit to block impurities.

또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유닛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so as to be symmetrically disposed, and may be disposed toward the grill unit.

또한,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며 하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둘레부, 상기 둘레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복수 개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상면에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배치되어 측면을 이루며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ll unit corresponds to a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supports it so as not to fall downward, a seating portion recessed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portion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rod members to mount the cooking object on the upper surface, and It may include a side portion that is disposed vertic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ortion to form a side surface and extends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portion.

또한, 상기 측면부는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연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유닛에서 조사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그릴유닛을 통과하여 상부의 상기 커버유닛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may b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so that the cook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heating unit passes through the grill unit and is transmitted to the upper cover unit.

또한, 상기 그릴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홀 중 적어도 일부의 측면에 광도파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사광의 일부가 상부로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ll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optical waveguide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som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so that a portion of the irradiated light is reflected upwards.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내면의 일부에 별도의 반사코팅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unit may have a separate reflective coating formed on a part of the inner surface to reflect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top of the cooking object downward.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반사코팅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조리광을 랜덤하게 확산시키는 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ffusion unit provided under the reflective coating and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to randomly diffuse cooking light.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may include at least one vent hol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r side surface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에 의하면,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릴유닛이 하부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기 조리대상물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부로 전달되고, 상부로 전달된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여 상기 조리대상물로 전달 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 하부 동시에 상기 조리광을 직접 전달하여 온도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ov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ll unit on which the cooking object is seated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so that a part of the cooking light is not blocked by the cooking object, bu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is lowered. By reflecting it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oking object, the cooking ligh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ooking object, thereby minimizing temperature deviation.

또한, 상기 커버유닛에 상기 반사코팅과 상기 확산시트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부로 전달된 상기 조리광을 반사함과 동시에 고르게 분산시켜, 상기 조리대상물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고르게 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adding the reflective coating and the diffusion sheet to the cover unit,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top of the cooking object is reflected and distributed evenly, thereby evenly distributing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cooking object. There is an advantage to connect.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커버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커버유닛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그릴유닛에 별도의 광도파부가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ove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oven device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oven device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bject to be cooked is cooked in the portable oven apparatus of FIG. 1;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ver unit in the portable oven device of Figure 1;
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cover unit in the portable oven device of FIG. 1; And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parate optical waveguide is formed in a grill unit in the portable oven apparatus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are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dicating a direction such as front/rear or upper/lower are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ndicate a relative direction. It will be said that it is not limited.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a schematic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ov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ov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oven apparatus of FIG. 1, and FIG. 3 is an internal view of the portable oven apparatus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그리고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커버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In addi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bject to be cooked is cooked in the portable oven device of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over unit in the portable oven device of FIG. 1.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는, 케이스(100), 수용유닛(200), 그릴유닛(300), 가열유닛(400) 및 커버유닛(500)으로 구성된다.The portable ov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a receiving unit 200, a grill unit 300, a heating unit 400, and a cover unit 500.

상기 케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서 음식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수용유닛(200), 상기 가열유닛(400) 및 상기 그릴유닛(300)이 수용될 수 있다.The case 100 forms the exterior of the portable ove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food can be cooked. Such a case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variety of appearances according to the usage mode, and the opening opening is formed at the top, and the receiving space 110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receiving unit 200, the heat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400 and the grill unit 300 may be accommodated.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는 제어를 위한 기판 및 화력이나 타이머 등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120)는 상기 케이스(100)의 측면에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는 이를 제어하는 기판회로 등이 수용된다.In addition, the case 100 includes a substrate for control and an operation unit 120 for controlling operations such as thermal power or a timer. The manipulation unit 120 is exposed from the side of the case 100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it, and a board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ame is accommodated therein.

이때,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기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구(132)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고,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가열유닛(400) 및 조작부(120)를 원활하게 냉각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바닥면(130) 및 측면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통기구(132)의 개수 및 형상은 케이스(100)의 용량 및 사용양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vents 132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100 so that external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This vent 132 facilitates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air into the receiving space 110, and serves to smoothly cool the heating unit 400 and the operation unit 120 accommodated in the case 100.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plural on the bottom surface 13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00. The number and shape of the vents 132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capacity and usage mode of the case 100.

또한, 케이스(100)에는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130)과 외부 바닥을 이격시켜 하부에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다리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40)는 상기 케이스(100)의 횡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도록 한다.Further, the case 100 may be stably mounted and a leg portion 140 may be formed to separate the bottom surface 130 and the outer floor of the case 100 so that hea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The leg portions 140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ase 100 so that the case 100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한편,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벽 또는 바닥면(130)의 체결공에 걸쳐지도록 삽입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대상물(10)에서 발생된 액체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습도를 유지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case 100, preferably across the fastening hole of the inner wall or the bottom surface 130 of the case 100, in the cooking object 10 disposed on the top The generated liquid is accommodated and the humidity is mai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at the same time.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삽입되며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130) 상부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수용유닛(2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100)의 바닥면(130)과 이격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0 and provides a space for receiving water, and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130 of the case 100.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20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130 of the case 100.

상기 수용유닛(200)은, 중앙부가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물이 증발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습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20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recessed downward to receive water, and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rises, water evaporates and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space 110 Can keep humidity.

여기서, 상기 수용유닛(2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함몰된 부분의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의 벽면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조리대상물(10)의 기름을 수거할 수 잇다.Here, although the receiving unit 20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wall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and accordingly, the oil from the cooking object 10 falling from the top can be collected. connect.

즉,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서 물을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습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상기 그릴유닛(300) 또는 상기 조리대상물(10)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을 수용한다.That is, the receiving unit 200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received under the receiving space 110 to maintain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receiving space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grill unit 300 or the cooking object to be described later. (10) It accommodates the oil falling from.

한편,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부방향으로 조리광을 방출하여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열을 가한다.Meanwhile, the heating unit 400 is formed at least in 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space 110 to emit cooking light upward to apply heat to the cooking object 10.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하며,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110) 외부로 전달된다.Specifically, the heating unit 4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to emit the cooking light, and the emitted cooking light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oking object 10 or the receiving I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pace 110.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유닛(300)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to be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1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0, and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toward the grill unit 300. .

이때, 상기 가열유닛(400)은 횡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의 측면에 배치되며, 중앙부분은 상기 수용유닛(200)이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4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0, and the receiving unit 200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유닛(40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유닛(200)을 중심으로 양방향 이격 배치되며, 상향 경사를 가지고 상부방향으로 상기 조리광을 방출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units 400 are configured as a pai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receiving unit 200, have an upward inclination and emit the cooking light upward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열유닛(400)은 크게 방출램프(410), 반사부(420) 및 보호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램프(410)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측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한다. 이때, 상기 조리광은 일반적으로 광으로써, 상기 그릴유닛(300) 또는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복사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광은 UV,IR등 다양한 파장대의 광이 사용될 수 있다.The heat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discharge lamp 410, a reflective part 420 and a protection part 430, and the discharge lamp 41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0. It has a preset length and is formed to be long to emit the cooking light. In this case, the cooking light is generally light, and radiant heat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grill unit 300 or the cooking object 10. In this embodiment, as the cooking light, light in various wavelength bands such as UV and IR may be used.

이와 같이 상기 방출램프(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이격 배치된다.In this way, the discharge lamps 410 ar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show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0.

한편,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와 일정 거리 이격 되어 상기 방출램프(410)를 상하방향에서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어 상기 조리광을 반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반사하며, 일부가 개구되어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한다.Meanwhile, the reflective part 420 is spaced apart from the emission lamp 4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disposed to partially surround the emission lamp 4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eflect the cooking light. Specifically, the reflecting part 42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emission lamp 410 to reflect the cooking light, and is partially opened to emit the cooking light through the opened portion.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의 상부에서 하부를 연속하여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부분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를 기준으로 하부부분보다 상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개구된 부분이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lective part 420 is formed in a shape that continuously surrounds the lower part of the emission lamp 410 and is disposed so that the opened part is inclined upward. In this case, the reflective part 420 )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upper part is curv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lower part based on the emission lamp 410, and the opened part is arranged to have an upward slope.

여기서, 상기 반사부(420)의 상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만곡진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반사부(420)에 의해 반사되는 상기 조리광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10)에 고르게 열이 전달될 수 있다.Here, since the upper part of the reflective part 420 is formed relatively long and has a curved shape, the cooking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ng part 420 can be evenly distribut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0. Accordingly, heat may be evenly transmitted to the cooking object 10.

만약, 상기 반사부(420)가 상기 방출램프(41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을 단순히 균일하게 반사하는 경우, 반사되는 상기 조리광은 특정 방향으로 편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전달되는 열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는다.If the reflecting part 420 simply uniformly reflects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emission lamp 410, the reflected cooking light is deflected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cooking light 10 Heat transferred is not evenly distributed.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반사부(4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출램프(410)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로 고르게 분산되어 반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광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복사열을 전달하고 일부는 상기 수용공간(110) 상부로 전달된다.However, as the reflective part 420 is form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emission lamp 410 is evenly distributed and reflect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and accordingly, the cooking light is applied to the cooking object ( Radiant heat is directly transmitted to 10), and some of i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반사부(420)는 상기 방출램프(41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직접 상부로 전달되고 나머지는 상기 반사부(420)를 통해 반사되어 상부로 전달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flective uni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emission lamp 410 is directly transmitted upward, and the rest is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ng unit 420 and transmitted upward.

한편, 상기 보호부(430)는 상기 방출램프(410) 및 상기 반사부(420)에 이물질을 차단하여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반사부(420)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호부(430)는 상기 방출램프(41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부(420)의 개구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42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ection unit 430 is configured to prevent contamination by block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emission lamp 410 and the reflection unit 420, and connects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flection unit 420 It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protection part 4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emission lamp 410 can transmit, and is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opened part of the reflective part 420 to reflect the reflection. It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art 420.

일반적으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조리하는 경우 상기 조리대상물(10)에서 발생된 기름이 하부로 낙하하며, 일부가 상기 가열유닛(400)으로 낙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호부(430)가 상기 방출램프(410) 및 상기 반사부(420)를 차단하여 보호함으로써 낙하된 기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cooking object 10 is cook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oil generated from the cooking object 10 may fall downward, and a part of the cooking object 10 may fall to the heating unit 400. However, by blocking and protecting the emission lamp 410 and the reflective unit 420 by the protection unit 430, contamination by dropped oil may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부(430)는 상하방향에 따라 수직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방출램프(410)와 상기 반사부(420)를 보호함과 동시에 낙하하는 기름이 상기 보호부(430)상에서 유지하지 않고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rotection part 430 is preferably arranged in a vertical st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discharge lamp 410 and the reflective part 420 are protected, and the oil falling at the same time protects the protection. It does not keep on the part 430 and allows it to flow down to the bottom.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방출램프(410), 상기 반사부(420) 및 상기 보호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출램프(410)를 통해 방출된 상기 조리광은 상부 방향으로 전달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복사열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그릴유닛(300)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외부로 전달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mission lamp 410, the reflection unit 420 and the protection unit 430, and the cooking light emitted through the emission lamp 41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direction to transfer radiant heat to the cooking object 10 or penetrates the grill unit 300 and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0.

이때, 상기 가열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반사부(420)의 개구된 부분이 향하는 경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and accordingly, the angle of inclination toward the opened portion of the reflective unit 420 can be adjusted. Do.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유닛(400)은 한 쌍으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상기 그릴유닛(300)의 형태 또는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종류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가열유닛(400)의 경사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units 400 are spaced apart in a pair and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and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rill unit 300 or the type or size of the cooking object 10 to be described later. Thu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at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한편,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며 후술하는 상기 가열유닛(400)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조리광을 통해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grill unit 30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0 in the receiving space 110, supports the cooking object 1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heat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cooked through the cooking light generated by the.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 안착되고 상면에 상기 조리대상물(10)이 수용하는 구성이다. The grill unit 30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cooking object 10 on an upper surface.

여기서, 상기 그릴유닛(300)은,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하부로 흐르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으로부터 복사열을 직접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grill unit 300 ha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thereof so that the oil generated in the cooking object 10 flows downward and from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from the heating unit 400. Makes it possible to receive radiant heat directly.

구체적으로 상기 그릴유닛(300)은 크게 둘레부(310), 안착부(320) 및 측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둘레부(310)는 상기 그릴유닛(300)의 최 외각을 따라 둘레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여 하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grill unit 300 largely includes a circumferential portion 310, a seating portion 320, and a side portion 330, and the circumferential portion 310 is circumferentially along the outermost angle of the grill unit 300. And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so as not to fall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그리고 상기 안착부(320)는 상기 둘레부(310)에서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 막대부재가 이격 배치된 형태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10)이 상부에 안착되며, 일부는 하부로 직접 노출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320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portion 310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rod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oking object 1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and a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irectly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320)는 상기 홀이 슬릿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막대부재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홀이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막대부재가 교차되거나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od membe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ole is formed in a slit shape, but the hol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polygon, and the rod member is They can also be intersected or arranged radially.

한편, 상기 측면부(330)는 상기 안착부(320)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배치되어 측면을 이루며, 일정 높이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둘레부(3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330)는 상기 안착부(320)와 상기 둘레부(310)를 잇는 측벽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그릴유닛(300)에서 상기 안착부(320)가 기 설정된 깊이만큼 함몰 되어 형성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portion 330 is disposed vertic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ortion 320 to form a side surface, and is formed to extend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portion 310. Here, the side portion 330 serves as a sidewall connecting the seating portion 320 and the circumferential portion 310, and the seating portion 320 is depr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grill unit 300 To be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부(330)은 상기 안착부(320)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함몰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둘레부(310)와 상기 안착부(3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부(330)는 상기 안착부(3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side portion 33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circumferential portion 310 and the seating portion 320 so that the seating portion 320 is recessed in the receiving sp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ortion The 3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ortion 320 and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측면부(330)는 상기 가열유닛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안착부(3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연통구(3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구(332)는 상기 그릴유닛(300)에 형성된 상기 홀의 일종으로, 상기 안착부(320)에 형성된 상기 홀과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Here, since the side portion 330 may block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332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ating portion 32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port 332 is a type of hole formed in the grill unit 300, and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hol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320, or may have a different shape.

이와 같이 상기 측면부(330)에 상기 연통구(332)가 형성되는 경우 후술하는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연통구(332)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복사열을 전달하거나, 또는 상부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10)이 고르게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when the communication port 332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330,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332 and directly onto the cooking object 10. By transferring radiant heat or to the top, the cooking object 10 can be cooked even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부(330)는 복수 개의 상기 연통구(332)가 둘레를 따라 일부 영역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긴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통구(332)는 상술한 상기 가열유닛(400)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연통구(332)를 통해 상부로 전달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ide portion 330 ha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332 continuously formed in a partial region along the circumference and formed in a long slit shape.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port 332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here the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and accordingly,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40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It can be delivered to the top through 332.

이와 같이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기 둘레부(310), 상기 안착부(320) 및 상기 측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320)가 함몰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320)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측면부(330)에 상기 연통구(332)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110)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As such, the grill unit 300 includes the circumferential portion 310, the seating portion 320, and the side portion 330, and the seating portion 320 is recessed to form a portion of the cooking object 10. To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320 and the communication port 332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330 so that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400 is transmitted to the cooking object 10. It may be directly delivered to or deliver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0.

한편, 상기 커버유닛(5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공간(110)을 커버하며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구성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조리대상물(10)을 감싸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unit 500 is configured to cover the receiving space 11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0 and to block the cooking object 10 from the outside,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I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cooking object 10 exposed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함몰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면에 별도의 반사코팅(510)이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the cover unit 500 is recessed in the upper direction to form a space therein, and a separate reflective coating 51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500.

이때, 상기 반사코팅(510)은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이 상기 그릴유닛(300)을 통과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경우 이를 상기 조리대상물(10)로 반사한다.In this case, when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400 provided in the case 100 is transmitted to the top through the grill unit 300, the reflective coating 510 ) To reflect.

즉, 상기 커버유닛(500)은 함몰된 내면에 상기 반사코팅(510)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고,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1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조리광이 조사되어 복사열을 전달받는다.That is, the cover unit 500 reflects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object 10 by forming the reflective coating 510 on the recessed inner surface, and thus the cooking object 10 The cooking light is irradia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lver, respectively, to receive radiant heat.

여기서, 상기 반사코팅(510)은 상기 커버유닛(500)의 함몰된 내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된 부분의 내면 중앙부분에 위치한다.Here, the reflective coating 510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recessed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500,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as shown.

이때, 상기 커버유닛(500)은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일부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조리광의 반사를 위해 일정 곡률을 가지며, 만곡진 형태로 내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잇다.At this time, the cover unit 500 partially accommodates the cooking object 10 and has a certain curvature for reflection of the cooking light, and the inside of the cover unit 500 is recessed in a curved shape, and the type of the cooking object 10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iz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유닛은, 상술한 상기 케이스(100), 상기 수용유닛(200), 상기 그릴유닛(300), 상기 가열유닛(400) 및 상기 커버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유닛(300)의 상부에 상기 조리대상물(10)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커버유닛(500)이 상기 조리대상물(10)을 상부에서 감싸며 밀폐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ove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ase 100, the receiving unit 200, the grill unit 300, the heating unit 400, and the cover unit 500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cooking object 10 is seated on the grill unit 300, the cover unit 500 surrounds and seals the cooking object 10 from the top.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400)에 의해 방출된 조리광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직접 복사열을 전달하고, 일부는 상기 그릴유닛(300)을 관통하여 상부로 전달된 후 상기 커버유닛(50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에 복사열을 전달한다.In addition, the cooking light emitted by the heating unit 400 directly transfers radiant heat to the cooking object 10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and a portion of the cooking light passes through the grill unit 300 and is transferred to the top. Then, it is reflected by the cover unit 500 to transmit radiant heat to the top of the cooking object 1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는 상기 가열유닛(400)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조리대상물(10)의 하부만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도 함께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릴유닛(300)을 기준으로 상 하부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ortable ov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unit 400 not only heats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object 10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0, but also heats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object 10 togeth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ased on the grill unit 300.

특히, 상기 그릴유닛(300)에서, 상기 안착부(320)가 하부로 함몰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가열유닛(400)과 인접하도록 하여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출사된 상기 조리광이 모두 상기 조리대상물(10)의 하부로 전달되지 않고 일부가 상기 측면부(330)로 향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grill unit 300, the seating portion 320 is recessed downward and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so that a part of the cooking object 10 is dispos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0. As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increased by making it adjacent to the heating unit 400, all of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400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object 10, and part of the cooking light is transferred to the side surface 330. Face it.

그리고 상기 측면부(330)로 향하는 상기 조리광의 일부는 상기 연통구(332)를 통해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부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리광이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사열을 전달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cooking light directed to the side portion 330 is not blocked by the cooking object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332 bu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object 10. It transmits radiant heat to and to the bottom, respectively.

이와 같이 상기 그릴유닛(300)이 상기 안착부(320)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330)에 상기 연통구(33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리광의 일부를 상부로 분할하여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와 하부를 모두 가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grill unit 300 has the seating portion 320 recessed, and the communication port 332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330, thereby dividing a part of the cooking light into the upper portion and the cooking object 10 Both the top and bottom of) can be heated.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버유닛(5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ove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chematically described, and a modified form of the cover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커버유닛(5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cover unit 500 in the portable oven device of FIG. 1.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상기 커버유닛(500)과 동일하지만, 별도의 확산부(520)을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illustrated drawing,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cover unit 500 described above, but further includes a separate diffusion unit 520.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부(520)은 상기 커버유닛(500)의 내면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반사코팅(510)에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조리광을 확산 시켜 상기 조리광이 균일하게 상기 조리대상물(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diffusion part 520 is formed on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500 and is disposed in a stacked form on the reflective coating 510 to diffuse the cooking light so that the cooking light is uniformly (10) so that it can be conveyed.

상기 확산부(520)은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코팅(510)의 하부에 별도의 레이어를 가지며 적층되고, 하부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산부(520)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면에서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구비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광을 랜덤화가 확산시킨다.The diffusion part 520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has a separate layer under the reflective coating 510 and is stack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In this case, the diffusion unit 520 is provid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0 and protrudes downward, and randomly diffuses the cooking light.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부(520)은 상기 반사코팅(510)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복수 개의 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확산부(520)과 상기 반사코팅(510)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ffusion part 520 is provided under the reflective coating 510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Unlike this, the diffusion part 520 and the reflective coating 510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one piece.

이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500)이 상기 확산부(52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 됨으로써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는 경우 보다 넓은 범위로 반사함과 동시에 고르게 분산시켜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온도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cover unit 500 is configured to additionally include the diffusion unit 520, so that when the cooking light is reflected downward, it is reflected in a wider range and at the same time,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cooking object 10 is evenly distributed. Can be reduced.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상기 그릴유닛(300)에 별도의 광도파부(340)가 더 추가된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parate optical waveguide 340 is further added to the grill unit 300 in the portable ov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오븐장치에서 그릴유닛(300)에 별도의 광도파부(340)가 형성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parate optical waveguide 340 is formed in the grill unit 300 in the portable oven apparatus of FIG. 1.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술한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기 조리광이 일부 투과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홀 중 적어도 일부의 측면에 별도의 광도파부(34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the illustrated drawing, the grill unit 300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partially transmit the cooking light, and a separate optical waveguide 340 is provided on at least som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oles.

구체적으로, 상기 그릴유닛(300)은 상술한 상기 둘레부(310), 상기 안착부(320) 및 상기 측면부(330)와 함께 추가적으로 상기 광도파부(340)가 더 포함되며, 상기 광도파부(340)는 상기 가열유닛(400)에서 방출된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부로 반사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grill unit 300 further includes the optical waveguide part 340 in addition to the circumferential part 310, the seating part 320, and the side part 330 described above, and the optical waveguide part 340 ) Allows a part of the cooking light emitted from the heating unit 400 to be reflected upwards.

본 발명에서 상기 광도파부(340)는 상기 안착부(3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측면부(330)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332)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광이 상기 홀 및 상기 연통구(332)를 통해 상부로 전달되는 경우 일부는 상기 광도파부(340)에 의해 상부로 반사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측면부(330)에 형성된 상기 연통구(332)의 측면에 상기 광도파부(340)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기 광도파부(340)에서 반사되어 상부로 전달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waveguide 34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seating part 320 and the communication port 332 formed in the side part 330, and the cooking light When transmitted upward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332, some may be reflected upwardly by the optical waveguide 340. Looking at the illustrated drawing, the optical waveguide 34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ommunication port 332 formed in the side part 330, and a part of the cooking light is reflected from the optical waveguide 340 and transmitted to the top. .

뿐만 아니라, 상기 광도파부(340)는 상기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연통구(332)의 측면과 함께 추가적으로 상기 측면부(330)의 하면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측면부(330)의 경우 상기 안착부(320)가 함몰 형성되어 있어 이를 연결하기 위해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부(330)의 하면에 상기 광도파부(340)가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상부로 반사한다.In addition, the optical waveguide 340 may be furth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330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holes and side surfaces of the communication hole 332.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ide portion 330, the seating portion 320 is recessed and is arranged vertically to connect it, so the optical waveguide portion 34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330 to provide the cooking light Is reflected upwards.

이에 따라 상기 그릴유닛(300)을 투과하여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증가시켜 상기 조리대상물(10)을 고르게 조리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venly cook the cooking object 10 by increasing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top through the grill unit 300.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오븐장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상기 조리대상물(10)이 안착되는 그릴유닛(300)이 하부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리광의 일부가 상기 조리대상물(1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상부로 전달되고, 상부로 전달된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여 상기 조리대상물(10)로 전달 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 하부 동시에 상기 조리광을 직접 전달하여 온도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portable ov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the grill unit 300 on which the cooking object 10 is seated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so that a part of the cooking light is not blocked by the cooking object 10. The cooking light is transmitted to the top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the top, and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top is reflected to the bottom and transferred to the cooking object 10, thereby directly transmitting the cooking light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ooking target 10 to minimize temperature deviation. I can.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유닛(500)에 상기 반사코팅(510)과 상기 확산시트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상부로 전달된 상기 조리광을 반사함과 동시에 고르게 분산시켜, 상기 조리대상물(10)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고르게 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adding the reflective coating 510 and the diffusion sheet to the cover unit 500,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top of the cooking object 10 is reflected and distributed evenly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ooking object (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venly distribute the cooking light to 1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휴대용 오븐장치는 상기 가열유닛(400)을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만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조리대상물(10)의 조리 시 온도편차를 최소화하여 조리성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온도편차의 저감으로 인해 조리 시 상기 조리대상물(10)을 뒤집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rtable ove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cooking performance by minimizing temperature deviation during cooking of the cooking object 10, even though the heating unit 400 is provided only under the receiving space 11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turning over the cooking object 10 during cooking due to a reduction in temperature deviation.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self-evident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조리대상물
100: 케이스
110: 수용공간
120: 조작부
200: 수용유닛
300: 그릴유닛
310: 둘레부
320: 안착부
330: 측면부
340: 광도파부
400: 가열유닛
410: 방출램프
420: 반사부
430: 보호부
500: 커버유닛
10: cooking object
100: case
110: accommodation space
120: control panel
200: receiving unit
300: grill unit
310: circumference
320: seat
330: side portion
340: optical waveguide
400: heating unit
410: emission lamp
420: reflector
430: protection
500: cover unit

Claims (9)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삽입되며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 상부에 안착되는 수용유닛;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부에 안착되고, 적어도 일부에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면에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그릴유닛;
상기 수용공간에서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부 방향으로 조리광을 방출하여 상기 조리대상물에 열을 가하는 가열유닛;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감싸며 내부에 상기 조리대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버유닛; 을 포함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A case having a certain height,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therein;
A receiving uni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water,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 grill uni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seated on an upper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ll unit to seat a cooking object on an upper surface;
A heating unit formed at least in part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radiating cooking light upward to apply heat to the cooking object; And
A cover unit enclosing the opening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receiving the cooking object therein, and blocking heat from being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Portable ove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 측면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광을 방출하는 방출램프; 및
상기 방출램프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하방향에서 일부를 감싸며 상기 조리광을 상기 조리대상물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unit,
An emission lamp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an inn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being formed to be elongated to emit the cooking light; And
A reflecting par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mission lamp, covering a part in an up-down direction, and reflecting the cooking light toward the cooking object; Portable oven devic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방출램프의 하부부분보다 상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분이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휴대용 오븐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eflective part,
A portable oven apparatus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emission lamp is formed in a curved shape relatively longer than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lamp, and the opened portion has an upward inclin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투명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반사부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연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불순물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ing unit,
A portable oven device comprising a transparent material,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by connect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reflective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portion to block impur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릴유닛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unit,
A portable ove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is spaced apart and symmetrically arranged on both sid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and is arranged toward the gril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하며 하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둘레부;
상기 둘레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복수 개의 막대부재로 이루어져 상면에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상하로 배치되어 측면을 이루며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는 측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ll unit,
A circumferenti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supporting it so as not to fall downward;
A seating portion recessed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portion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rod members on which the cooking object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And
A side portion disposed vertic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portion to form a side surface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connected to the circumferential portion;
Portable ove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홀 중 적어도 일부의 측면에 광도파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사광의 일부가 상부로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오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ll unit,
A portable oven apparatus configured to reflect a part of the irradiated light upward by forming an optical waveguide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o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내면의 일부에 반사코팅이 형성되어 상기 조리대상물의 상부로 전달되는 상기 조리광을 하부로 반사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unit,
A portable oven apparatus that reflects the cooking light transmitted to the top of the cooking object by forming a reflective coating on a part of the inner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A portable oven apparatus including a vent hole provided at least one on the bottom or side surfaces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KR1020190120526A 2019-09-30 2019-09-30 Portable oven equipment KR1022857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26A KR102285732B1 (en) 2019-09-30 2019-09-30 Portable ove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526A KR102285732B1 (en) 2019-09-30 2019-09-30 Portable oven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965A true KR20210037965A (en) 2021-04-07
KR102285732B1 KR102285732B1 (en) 2021-08-04

Family

ID=7546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526A KR102285732B1 (en) 2019-09-30 2019-09-30 Portable ove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73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553A (en) * 2001-04-26 2002-11-05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cooker
KR20110109656A (en) * 2010-03-31 201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Outdoor grill
WO2012087041A2 (en) * 2010-12-23 2012-06-28 Hong Jongho Oven cooker
CN206659694U (en) * 2016-11-21 2017-11-24 中山市康拉德电器有限公司 A kind of infrared ba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553A (en) * 2001-04-26 2002-11-05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cooker
KR20110109656A (en) * 2010-03-31 201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Outdoor grill
WO2012087041A2 (en) * 2010-12-23 2012-06-28 Hong Jongho Oven cooker
CN206659694U (en) * 2016-11-21 2017-11-24 中山市康拉德电器有限公司 A kind of infrared bak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732B1 (en)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7745B2 (en) Cooker
KR101539900B1 (en) Improvement cooking pan with both sides heating part
KR20010083892A (en) Microwave oven with browning device
EP3376116B1 (en) Cooking appliance with a lighting device
JP2004305710A (en) Cooking device
KR100495152B1 (en) Heating cooker
KR101847286B1 (en) Member for inducing air flow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KR102285732B1 (en) Portable oven equipment
JP6488177B2 (en) Cooker
KR20050061572A (en) Apparatus for ventilation in a radiation gas range
JP2007187384A (en) Heat-resistant cover, and heater device or cooker therewith
CN110274265B (en) Heating cooker
EP2110001B1 (en) Cooking apparatus
KR101467484B1 (en) Cooking apparatus heated by near infared rays
KR20180118960A (en) Bi-directional infrared cooking pan
KR101530589B1 (en) A safety electric roaster
KR101232617B1 (en) Direct heating type cooking kettle
EP3825612B1 (en) A cooking device with an infrared heating assembly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236789Y1 (en) Broiler of gas oven range
CN101606431B (en) Cooking apparatus
KR200385674Y1 (en) Cubic Parching Equipment
JP3120205U (en) Cooker
KR101067949B1 (en) Reflecter and gas oven range comprising the same
KR200395751Y1 (en) Lamp Casing Structure of Halogenlamp roaster
JP3786079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