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906A -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906A
KR20210037906A KR1020190120391A KR20190120391A KR20210037906A KR 20210037906 A KR20210037906 A KR 20210037906A KR 1020190120391 A KR1020190120391 A KR 1020190120391A KR 20190120391 A KR20190120391 A KR 20190120391A KR 20210037906 A KR20210037906 A KR 20210037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parts
maleic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429B1 (ko
Inventor
김양일
김남현
김익모
이봉재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429B1/ko
Priority to PCT/KR2020/008905 priority patent/WO2021066297A1/ko
Priority to CN202080067106.7A priority patent/CN114450347B/zh
Publication of KR2021003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54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 C25D5/56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of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8Phosphates of heavy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전체 디올 성분 중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함량이 20 내지 100 몰%인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55 중량부;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0.5 내지 15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및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가 1 : 0.08 내지 1 : 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LASER DIRECT STRUCTURING PROCESS AN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한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성형품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금속층을 도금하기 위하여,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laser direct structuring process: LDS process)이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은, 도금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공정으로서, 성형품 표면의 도금 대상 영역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성형품 표면의 도금 대상 영역을 개질하여 도금에 적합한 성질을 갖도록 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레이저에 의하여 금속 핵을 형성할 수 있는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LDS 첨가제)를 함유하여야 한다. 상기 첨가제는 레이저를 받으면 분해되면서 금속 핵을 생성한다. 또한,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은 거칠어진 표면을 갖게 된다. 이러한 금속 핵 및 표면 거칠기로 인하여, 레이저로 개질된 영역은 도금에 적합하게 된다.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을 사용하면, 성형품의 3차원 형상 위에 전기/전자 회로를 빠르고 경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안테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안테나 등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최근 제품의 경량화, 박막화 추세에 따라,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성형 가공성(유동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 등의 전기/전자회로의 미세 패턴(도금 영역)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도금 박리 현상이 발생하여, 도금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한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01831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전체 디올 성분 중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함량이 20 내지 100 몰%인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55 중량부;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0.5 내지 15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및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가 1 : 0.08 내지 1 : 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는 중금속 복합 산화물 스피넬 및 구리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말레산 무수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말레산 무수물 변성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 : 0.05 내지 1 : 1.5일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03 내지 1 : 1.5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2 내지 1 : 7일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을 25℃에서 6시간 에이징(aging)한 후,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을 통해 스트라이프(stripe)형으로 시편의 표면을 활성화하고, 도금 공정(구리 무전해 도금)을 통해 활성화된 표면에 두께 35 ㎛의 구리층을 형성한 후, 도금 완료된 시편을 85℃, 85% RH 조건의 챔버에 120시간 동안 방치하고, 1 mm × 1 mm 크기의 모눈격자 100개를 도금층(구리층)에 각인한 후, 테이프(tape)로 탈착 시 박리되지 않은 모눈격자의 수가 95 내지 100개일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30 kgf·cm/cm일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 온도 320℃, 금형 온도 60℃, 사출압 1,500 kgf/cm2 및 사출속도 120 mm/s의 조건에서 너비 15 mm, 두께 1 mm인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 후 측정한 시편의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가 280 내지 350 mm일 수 있다.
11.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상기 11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 및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성형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laser direct structuring process: LDS process)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C) 레이저 직접 구조화(LDS)용 첨가제; (D)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E)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8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특정 포스페이트 화합물과 함께 적용되어,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전체 디올 성분 중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함량이 20 내지 100 몰%인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CHDM) 20 내지 100 몰%, 예를 들면 35 내지 100 몰% 및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 글리콜 0 내지 80 몰%, 예를 들면 0 내지 65 몰%를 포함하는 디올 성분을 중축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o-클로로페놀 용액(농도: 1.2 g/dl)을 사용하여 35℃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0.5 내지 0.8 dl/g, 예를 들면 0.55 내지 0.75 dl/g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성분 간의 혼화성이 향상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성형 가공성(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5 중량부, 예를 들면 5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레이저 직접 구조화(laser direct structuring: LDS)용 첨가제는 레이저에 의해 금속 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는 유도방출에 의해 증폭된 광(유도방출광)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레이저는 100 내지 400 nm 파장의 자외선, 400 내지 800 nm 파장의 가시광선 또는 800 내지 25,000 nm 파장의 적외선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000 내지 2,000 nm 파장의 적외선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는 중금속 복합 산화물 스피넬(heavy metal mixture oxide spinel) 및/또는 구리염(copper salt)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중금속 복합 산화물 스피넬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AB2O4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원자가 2의 금속 양이온, 예를 들면 마그네슘, 구리, 코발트, 아연, 주석, 철, 망간, 니켈,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고, B는 원자가 3의 금속 양이온, 예를 들면 망간, 니켈, 구리, 코발트, 주석, 티타늄, 철, 알루미늄, 크롬,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중금속 복합 산화물 스피넬은 A가 금속 산화물 클러스터의 1가 양이온 성분을 제공하고, B가 금속 양이온 클러스터의 1가 양이온 성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A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클러스터는 사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B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클러스터는 팔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중금속 복합 산화물은 산소가 거의 입방 최밀 충전으로 배열되고, 팔면체형의 빈틈에 B가, 사면체형의 빈틈에 A가 들어간 구조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중금속 복합 산화물 스피넬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산화물(MgAl2O4),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ZnAl2O4), 철 알루미늄 산화물(FeAl2O4), 구리 철 산화물(CuFe2O4), 구리 크롬 산화물(CuCr2O4), 망간 철 산화물(MnFe2O4), 니켈 철 산화물(NiFe2O4), 티타늄 철 산화물(TiFe2O4), 철 크롬 산화물(FeCr2O4), 마그네슘 크롬 산화물(MgCr2O4), 이들의 조합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 크롬 산화물(CuCr2O4)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리 크롬 산화물(CuCr2O4)은 어두운 색상을 가지므로, 최종 성형품에 요구되는 색상이 검은색, 회색 등 어두운 계열의 색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구리염(copper salt)으로는 구리 하이드록사이드 포스페이트(copper hydroxide phosphate), 인산구리(copper phosph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티오시안산제1구리(cuprous thiocyanate), 이들의 조합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리 하이드록사이드 포스페이트(copper hydroxide phospha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리 하이드록사이드 포스페이트(copper hydroxide phosphate)는 인산구리와 구리 하이드록사이드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로, 구체적으로 Cu3(PO4)2·2Cu(OH)2, Cu3(PO4)2·Cu(OH)2 등일 수 있다. 상기 구리 하이드록사이드 포스페이트(copper hydroxide phosphate)는 추가로 첨가되는 착색제의 색상 재현력을 저하시키지 않아, 원하는 색상의 성형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는 평균 입경이 0.01 내지 50 ㎛, 예를 들면 0.1 내지 30 ㎛, 구체적으로 0.5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레이저 직접 구조화를 통한 도금 시 도금 표면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평균 입경이란 수평균 직경이며, D50(분포율이 50% 되는 지점의 입경)을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면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에 레이저 조사 시, 도금에 충분한 양의 금속 핵이 형성되지 않아, 도금 신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D)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반응성 기능기인 말레산 무수물을 올레핀계 공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한 반응형 올레핀계 공중합체로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특정 포스페이트 화합물과 함께 적용되어,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알킬렌 단량체가 공중합된 올레핀계 공중합체에 말레산 무수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킬렌 단량체로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옥텐,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말레산 무수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말레산 무수물 변성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maleic anhydride modified ethylene-butene copolymer),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190℃, 2.16 kg 하중 조건으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elt-flow index)가 0.5 내지 20 g/10분, 예를 들면 1 내지 10 g/10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2 내지 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중량비(B:D)는 1 : 0.05 내지 1 : 1.5, 예를 들면 1 : 0.1 내지 1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E)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본 발명의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는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와 함께 적용되어,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2 내지 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함량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C:E)는 1 : 0.08 내지 1 : 7, 예를 들면 1 : 0.1 내지 1 : 5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가 1 : 0.08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 : 7을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B:E)는 1 : 0.03 내지 1 : 5, 예를 들면 1 : 0.05 내지 1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금 신뢰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D:E)는 1 : 0.2 내지 1 : 7, 예를 들면 1 : 0.2 내지 1 : 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무기 충진제, 난연제, 적하 방지제, 활제, 핵제, 안정제, 이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280℃, 예를 들면 220 내지 26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을 25℃에서 6시간 에이징(aging)한 후,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을 통해 스트라이프(stripe)형으로 시편의 표면을 활성화하고, 도금 공정(구리 무전해 도금)을 통해 활성화된 표면에 두께 35 ㎛의 구리층을 형성한 후, 도금 완료된 시편을 85℃, 85% RH 조건의 챔버에 120시간 동안 방치하고, 1 mm × 1 mm 크기의 모눈격자 100개를 도금층(구리층)에 각인한 후, 테이프(tape)로 탈착 시 박리되지 않은 모눈격자의 수가 92 내지 100개, 예를 들면 95 내지 100개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30 kgf·cm/cm, 예를 들면 19 내지 25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 온도 320℃, 금형 온도 60℃, 사출압 1,500 kgf/cm2 및 사출속도 120 mm/s의 조건에서 너비 15 mm, 두께 1 mm인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 후 측정한 시편의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가 280 내지 350 mm, 예를 들면 290 내지 34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등의 성형 방법으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성형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일 뿐,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성형품(10)은 성형품(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 및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금속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성형품(10)은 안테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회로 캐리어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성형품(10)은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성형품(10)을 제조하고; 상기 성형품(10) 표면의 특정 영역(금속층(20) 부분)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조사된 영역을 금속화(도금)하여 금속층(2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에 의해 성형품(10)에 포함된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가 분해되면서 금속 핵을 생성한다. 또한, 레이저가 조사된 영역은 도금에 적합한 표면 거칠기를 갖게 된다. 상기 레이저의 파장은 248 nm, 308 nm, 355 nm, 532 nm, 1,064 nm 또는 10,600 n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금속화 과정은 통상의 도금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가 조사된 성형품(10)을 하나 이상의 무전해 도금조에 담그는 것에 의해 성형품(10) 표면의 레이저 조사된 영역 상에 금속층(20)(전기적 전도성 경로)를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금 공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리 도금 공정, 금 도금 공정, 니켈 도금 공정, 은 도금, 아연 도금, 주석 도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에 의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금속층이 형성된 성형품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 g/mol인 비스페놀-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B) 폴리에스테르 수지
(B1) 전체 디올 성분 중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함량이 100 몰%인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제조사: SK Chemicals, 제품명: SKYPURA 0302)를 사용하였다.
(B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조사: SK Chemicals, 제품명: SKYPET 1100)을 사용하였다.
(C)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구리 하이드록사이드 포스페이트(제조사: Merck performance materials)를 사용하였다.
(D)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D1)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제조사: DuPont)를 사용하였다.
(D2)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제조사: DuPont)를 사용하였다.
(E) 포스페이트 화합물
(E1)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제조사: DAIHACHI, 제품명: PX-200)를 사용하였다.
(E2) 비스페놀-A 디포스페이트 (제조사: DAIHACHI, 제품명: DVP506)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13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6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10 Oz 사출기(사출 온도 30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2 및 3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도금 신뢰성 평가: 50 mm × 9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을 25℃에서 6시간 에이징(aging)한 후,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을 통해 스트라이프(stripe)형으로 시편의 표면을 활성화하고, 도금 공정(구리 무전해 도금)을 통해 활성화된 표면에 두께 35㎛의 구리층을 형성한 후, 도금 완료된 시편을 85℃, 85% RH 조건의 챔버에 120시간 동안 방치 후, 1 mm × 1 mm 크기, 100개의 모눈격자를 도금층(구리층)에 각인한 후, 테이프(tape) 탈착 시 박리되지 않은 모눈격자의 수를 측정하였다.
(2) 내충격성 평가: ASTM D256에 의거하여,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를 측정하였다.
(3) 유동성 평가: 성형 온도 320℃, 금형 온도 60℃, 사출압 1,500 kgf/cm2 및 사출속도 120 mm/s의 조건에서 너비 15 mm, 두께 1 mm인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 후 시편의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단위: mm)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5 20 50 20 20 20 20 20 20
(B2) (중량부) - - - - - - - - -
(C) (중량부) 10 10 10 1 15 10 10 10 10
(D1) (중량부) 5 5 5 5 5 1 9 5 5
(D2) (중량부) - - - - - - - - -
(E1) (중량부) 5 5 5 5 5 5 5 1 9
(E2) (중량부) - - - - - - - - -
박리되지 않은 모눈격자의 수 (개) 96 100 99 98 99 100 99 98 100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23 21 20 24 23 19 23 22 21
스파이럴 플로우 길이 (mm) 303 310 320 307 309 308 307 291 335
비교예
1 2 3 4 5 6 7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3 60 - 20 20 20 20
(B2) (중량부) - - 20 - - - -
(C) (중량부) 10 10 10 0.4 20 10 10
(D1) (중량부) 5 5 5 5 5 0.5 15
(D2) (중량부) - - - - - - -
(E1) (중량부) 5 5 5 5 5 5 5
(E2) (중량부) - - - - - - -
박리되지 않은 모눈격자의 수 (개) 89 88 81 70 90 98 97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24 21 14 25 9 12 14
스파이럴 플로우 길이 (mm) 298 334 306 307 306 306 251
비교예
8 9 10 11 12 13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20 20 20 20 20 20
(B2) (중량부) - - - - - -
(C) (중량부) 10 10 10 10 15 1
(D1) (중량부) - 5 5 5 5 5
(D2) (중량부) 5 - - - - -
(E1) (중량부) 5 0.1 15 - 1 8
(E2) (중량부) - - - 5 - -
박리되지 않은 모눈격자의 수 (개) 98 96 97 96 85 95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13 19 21 20 22 25
스파이럴 플로우 길이 (mm) 309 211 251 222 271 363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도금 신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2의 경우, 도금 신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B2)를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4의 경우, 도금 신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5의 경우, 도금 신뢰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6의 경우,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7의 경우,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대신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변성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D2)를 적용한 비교예 8의 경우,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를 소량 적용한 비교예 9의 경우, 유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10의 경우, 유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대신 비스페놀-A 디포스페이트 (E2)를 적용한 비교예 11의 경우, 유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여도,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일 경우(비교예 12), 도금 신뢰성, 유동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비교예 13), 사출 성형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2)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전체 디올 성분 중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함량이 20 내지 100 몰%인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55 중량부;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0.5 내지 15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부; 및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가 1 : 0.08 내지 1 :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직접 구조화용 첨가제는 중금속 복합 산화물 스피넬 및 구리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말레산 무수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말레산 무수물 변성 알킬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말레산 무수물 변성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 : 0.05 내지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03 내지 1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 변성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상기 레조시놀-디(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1 : 0.2 내지 1 :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2 mm 크기 사출성형 시편을 25℃에서 6시간 에이징(aging)한 후,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을 통해 스트라이프(stripe)형으로 시편의 표면을 활성화하고, 도금 공정(구리 무전해 도금)을 통해 활성화된 표면에 두께 35 ㎛의 구리층을 형성한 후, 도금 완료된 시편을 85℃, 85% RH 조건의 챔버에 120시간 동안 방치하고, 1 mm × 1 mm 크기의 모눈격자 100개를 도금층(구리층)에 각인한 후, 테이프(tape)로 탈착 시 박리되지 않은 모눈격자의 수가 92 내지 1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8"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30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 온도 320℃, 금형 온도 60℃, 사출압 1,500 kgf/cm2 및 사출속도 120 mm/s의 조건에서 너비 15 mm, 두께 1 mm인 스파이럴(spiral) 형태의 금형에서 사출 성형 후 측정한 시편의 스파이럴 플로우(spiral flow) 길이가 280 내지 3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 및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90120391A 2019-09-30 2019-09-30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34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91A KR102340429B1 (ko) 2019-09-30 2019-09-30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CT/KR2020/008905 WO2021066297A1 (ko) 2019-09-30 2020-07-08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202080067106.7A CN114450347B (zh) 2019-09-30 2020-07-08 用于激光直接成型工艺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包括其的模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391A KR102340429B1 (ko) 2019-09-30 2019-09-30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906A true KR20210037906A (ko) 2021-04-07
KR102340429B1 KR102340429B1 (ko) 2021-12-16

Family

ID=7533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391A KR102340429B1 (ko) 2019-09-30 2019-09-30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40429B1 (ko)
CN (1) CN114450347B (ko)
WO (1) WO202106629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277A (ko) * 2013-12-30 2015-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60078615A (ko) * 2014-12-24 2016-07-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직접 성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80070132A (ko) * 2016-12-16 2018-06-26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90070248A (ko) * 2017-12-12 2019-06-20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4771A1 (en) * 2001-01-05 2002-09-26 Richard Wenger Flame-retarded laser-markable polyester composition
US8492464B2 (en) * 2008-05-23 2013-07-2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laser direct structuring materials
US9185800B2 (en) * 2012-09-17 2015-11-1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aser direct structuring materials with improved plating performance and acceptable mechanical properties
US20150069290A1 (en) * 2013-09-10 2015-03-12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 based ductile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and uses
KR102452002B1 (ko) * 2017-12-26 2022-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저 융착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수단용 성형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277A (ko) * 2013-12-30 2015-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60078615A (ko) * 2014-12-24 2016-07-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직접 성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80070132A (ko) * 2016-12-16 2018-06-26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90070248A (ko) * 2017-12-12 2019-06-20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50347A (zh) 2022-05-06
WO2021066297A1 (ko) 2021-04-08
KR102340429B1 (ko) 2021-12-16
CN114450347B (zh)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8433B1 (en) Laser plat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a laser activatable metal compound and shaped articles therefrom
CN107531987B (zh) 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使用其的模制品
KR101825589B1 (ko) 개선된 도금 성능을 갖는 높은 탄성률 레이저 직접 구조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들 및 반사 첨가제들에 의한 넓은 레이저 윈도우
US10150863B2 (en) Plating performance using combination metal oxide and metal powder as additives
KR101993509B1 (ko)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8264750B (zh) 用于激光直接成型过程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包含其的复合材料
KR102230830B1 (ko)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1757914B (zh) 用于激光直接结构化工艺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包括其的模塑产品
KR20180079064A (ko) 열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체
KR102340429B1 (ko)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238206B1 (ko)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9459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473912B1 (ko)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70015022A (ko)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4219159A1 (en) Molded parts with reduced microwave reflections and transmission
CN115315475A (zh) 具有激光易碎和可电镀化合物的物品和结构
KR20160129976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