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686A - 지붕 액세서리 구조에 특히 유용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붕 액세서리 구조에 특히 유용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686A
KR20210037686A KR1020217005127A KR20217005127A KR20210037686A KR 20210037686 A KR20210037686 A KR 20210037686A KR 1020217005127 A KR1020217005127 A KR 1020217005127A KR 20217005127 A KR20217005127 A KR 20217005127A KR 20210037686 A KR20210037686 A KR 2021003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ase plate
bore
post
thre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랜스 닐
Original Assignee
랜스 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8/06546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25907A1/en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19/01859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64843A1/en
Application filed by 랜스 닐 filed Critical 랜스 닐
Publication of KR2021003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 F16B9/054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being thre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25/6005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by screwed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25/6006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by using threaded elements, e.g. stud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owel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구조에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는 대략 평탄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구비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기다란 포스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제1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포스트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제2 자유 단부, 및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표면으로부터 포스트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블라인드 보어를 구비하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표면은, 포스트에 의해 덮이는 제2 표면의 면적을 제외하고, 구조가 제2 표면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직선형 나사산을 구비한 원통형 기계적 체결구가 블라인드 보어를 통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물체를 체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중 포스트 앵커 조립체가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지붕 액세서리 구조에 특히 유용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본 출원은 2018년 9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62/702,486의 이점을 주장하며, 2017년 12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정규출원 일련번호 15/852,733의 계속출원인 2018년 12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정규출원 일련번호 PCT/US2018/065465의 일부계속출원인 2019년 2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PCT 출원 번호 PCT/US2019/018592의 일부계속출원이고, 이들 각각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지붕 및 다른 상승된 평면형 및 경사형 구조, 테라스, 발코니 등에 예를 들어 난간, 태양 전지판, 피뢰침과 같은 지붕 액세서리 구조를 고정 및 장착시키면서, 강건하고 견고한 방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건축업에 특히 유용한, 지지 구조에 물체를 고정 및 장착시키기 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경사형 또는 평면형 지붕, 건물 테라스, 지붕 데크 등에 부착되는 지붕 설비, 액세서리 구조 등을 장착 및 방수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지붕공사 업계에는, 특히 물받이가 포함되지 않고/않거나 실런트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할 때, 설비 부착 지점에서의 수분 침투와 같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다양한 흙막이 방법과 이들의 조합이 아스팔트 지붕 타일, 주입형 또는 시트형 플라스틱, 또는 고무 막재(membrane) 등과 같은 구조 상에 수분 및 습기 배리어로 사용된다. 현재, 예를 들어 태양 전지판, 위성 안테나, HVAC 설비 등과 같은 무거운 지붕 구조들이 지붕 상에 점점 더 많이 장착되고 있다.
특히 지붕 데크, 발코니, 테라스 등의 경우, 대개는 목재, 케이블, 또는 금속 펜스와 같은 시야 방해를 방지하기 위해, 유리벽 및/또는 난간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으로 무거운 구조 역시 지붕 구조에 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지붕을 통해 볼트결합되는 앵커들을 이용한 이들의 장착 방식 및 이들의 하중 발생으로 인해, 물이 지붕을 통해 침투하는 "도관(conduit)"이 형성되는데, 그럼에도 접착제 또는 글루가 이와 같은 수분 침투를 방지하려는 시도로 도관을 밀봉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실제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러한 무거운 구조는, 예를 들어 침강, 온도 변화, 및/또는 강풍에 의해 야기되는 보통의 반복적인 지붕 움직임 또는 이동의 결과로, 채용된 접착제 또는 글루의 균열을 초래하며 궁극적으로는 지붕 누수를 초래한다. 그 결과, 대부분의 설계자들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 및 장착 시스템에 의해 야기되는 수분 또는 습기 손상에 대해 보험에 가입하거나 보증을 제공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매우 유리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는 신규의 고정 및 장착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거운 하중을 수용하고 설비 및/또는 지붕 액세서리 구조 부착 지점에서 방수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특히 지붕 등에 설비 및/또는 지붕 액세서리 구조를 고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응용에 사용 가능한 신규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설계 및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비교적 제조가 저렴한 신규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붕 데크, 실외 발코니, 테라스 등뿐만 아니라, 평면형 지붕 및 경사형 지붕을 비롯한 다양한 지붕 또는 상승된 구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신규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비 부착 또는 액세서리 지점에서 종래의 시스템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방수 연결을 제공하는 신규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보다 특별한 목적은, 예를 들어 특히 피뢰침, 안테나, 태양 전지판, 위성 안테나, 안전 난간, 유리 난간, HVAC 난방 및 공조 설비, 장식용 조형물, 축일 장식품 등을 비롯한 지붕 액세서리 구조와 같은 다수의 다양한 물체를 지지 구조에 고정 및 장착시키는 동시에 방수 연결을 제공하도록 보편적으로 적응될 수 있는 신규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특정의 전술한 목적들 및 관련 목적들은, 구조에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로서, 대략 평탄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구비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기다란 포스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제2 자유 단부, 및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포스트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블라인드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포스트에 의해 덮이는 상기 제2 표면의 면적을 제외하고, 구조가 상기 제2 표면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및 직선형 나사산을 구비한 원통형 기계적 체결구를 포함하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를 통해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제공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립체는 구조에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포스트에 의해 덮이는 상기 제2 표면의 면적을 제외하고 구조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 상에 놓인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직사각형이며, 블라인드 보어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블라인드 보어로부터 이격되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에 대략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이격된 보조 관통 구멍을 구비한다. 가장 유리하게는, 조립체는 구조에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해 하나의 보조 구멍을 통해 각각 수용 가능한 복수의 기계적 체결 부재, 및 구조에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중앙 배치된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기계적 체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기계적 체결 부재는 나사이며, 중앙 배치된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 내에 수용 가능한 기계적 체결구 부재는 나사산 볼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사산 볼트는 확대된 헤드 및 상기 직선형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 스템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포스트는 원통형이며, 이의 외표면은 평활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후자의 경우,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아래로부터 구조에 상기 앵커 플랫폼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수용 가능한 너트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와 병합되는 비나사산 관통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는, 이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비나사산 관통 보어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감소된 직경의 넥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는 또한 기저벽 및 이를 통해 형성되는 보어를 구비한 물체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물체 지지 부재는 기저벽 보어가 상기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와 정렬되도록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위치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조립체는 대략 평탄한 기저벽을 구비하는 물체를 위한 기다란 U자형 지지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지지 스탠드가 평탄한 기저부 및 평탄한 기저부에 결합되는 직립식 관형 바디 부재를 구비하되,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블라인드 보어와 정렬가능한 관통 보어가 평탄한 기저부를 통해 형성되고, 관형 바디 부재는 대향 측벽들을 구비하되, 이들 각각은 반대편 측벽의 관통 보어와 정렬되는 관통 보어를 구비한다. 조립체는 또한 물체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물체 지지 부재는, 관통 보어가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벽, 물체 지지 스탠드의 벽 및 지지 스탠드의 측벽 관통 보어들을 통해 지지 스탠드에 물체 지지 부재를 기계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수단, 및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 및 기저벽의 관통 보어를 통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지지 스탠드를 기계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조립체는 상기 물체로서 피뢰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뢰침은 하단부를 구비하며,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보어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하단부 상에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확대된 칼라(enlarged collar)가 상기 하단부 위에서 상기 피뢰침 상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피뢰침은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너트가 결합된 하단부를 구비한다.
가장 유리하게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경사형 지붕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절곡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평탄한 중앙부를 구비하되, 이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보어가 연장되고, 한 쌍의 하향 연장된 날개가 상기 평탄한 중앙부의 양측에 결합되며 그로부터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립체는 접지 케이블을 위한 클램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포스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를 포함하고,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는 대략 원형의 평탄한 플랜지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관통 보어를 구비한 다각형 형상의 너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부착되되, 이의 관통 보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블라인드 보어와 축방향으로 정렬 및 정합(in registry)된다. 가장 유리하게는, 다각형 형상의 너트는 육각형 형상의 너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사는 개방된 상단부 및 개방된 하단부를 갖는 관통 보어를 구비한 상부 관형 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된 하단부는 수나사산 하부 샤프트부의 나사산 보어와 병합되어, 상기 포스트의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블라인드 보어를 함께 획정한다. 최적으로, 상기 넥부의 관통 보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블라인드 보어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앵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회전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 내로 상기 앵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상기 포스트 또는 나사의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상기 개방된 상단부에 인접하게 및 그 안에 형성되는 포트를 구비한다. 포트는 플랫 헤드 나사 슬롯 또는 앨런 키 포트로 구성되며 치수결정될 수 있다.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체로서 피뢰침을 포함하고, 상기 피뢰침은 하단부를 구비하며,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보어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하단부 상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확대된 칼라가 상기 하단부 위에서 상기 피뢰침 내에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접지 케이블을 위한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는 상기 확대된 칼라 아래에서 상기 피뢰침의 상기 하단부 상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물체의 역할을 하는 접지 케이블을 위한 클램프가 제공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피뢰침의 상기 하단부 또는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수용 가능하다.
특정의 전술한 목적들 및 관련 목적들은 또한, 구조에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로서, 대략 평탄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구비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로, 2개의 원통형 포스트가 각각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단부들은 서로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의 포스트가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관통 보어와 축방향으로 정렬 및 정합되며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수직 연장되도록,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며, 상기 포스트들은 각각 제2 자유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포스트에 의해 덮이는 상기 제2 표면의 면적을 제외하고, 구조가 상기 제2 표면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및 직선형 나사산을 구비한 원통형 기계적 체결구를 포함하는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에서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직선형 에지를 구비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스터드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자유 단부 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블라인드 보어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조립체는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들 중 하나 상에 수용 가능한 관통 구멍을 구비한 태양 전지판을 위한 L자형 지지구를 포함한다.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들 중 상기 하나 상에 수용 가능한 너트가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L자형 지지구를 클램핑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포스트들은 모두 상기 제2 자유 단부 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블라인드 보어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2개의 포스트는 상이하거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앵커 플레이트는 접착제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한다.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이며,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보어의 외부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몇몇 구현예들을 개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의 한계를 획정하는 것이 아닌 예시의 차원에서만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에 사용되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구현예의 상부 및 측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및 측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지붕 데크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연속적으로 배치 및 이격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채용하고, 한 쌍의 유리 난간을 지지하는 U자형 채널 또는 슈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이격된 기다란 난간을 이에 고정시키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제1 구현예의 단편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U자형 슈 및 지붕 데크에 대해 위치 관계에 있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로, 이와 함께 채용된 지붕 물받이 재료, 체결구, 및 접착제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 4b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및 난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그 중앙에 놓이는 선택적인 심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지붕 데크 상의 완전 장착 상태의 도 4a에 도시된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단면도로, 그에 따라 유리 난간이 U자형 슈를 통해 지붕에 고정된다.
도 5a는 도 4a와 비교할 수 있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제2 구현예의 분해 단면도로, 감소된 폭의 넥 구역을 갖는 암나사산 포스트를 구비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4c와 비교할 수 있는 완전 장착 상태의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의 단면도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보어 내에 안착되는 감소된 폭의 넥 구역을 갖는 암나사산 포스트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6a는 도 4a 및 도 5a와 비교할 수 있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제3 구현예의 분해 단면도로, 수나사산 포스트를 구비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6b는 도 4c 및 도 5b와 비교할 수 있는 완전 장착 상태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제3 구현예의 단면도로, 너트 및 와셔를 통해 지붕 데크의 아래로부터 지붕 데크에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수나사산 포스트를 도시한다.
도 7a는 도 6b와 유사하지만,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구멍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지붕 데크 위로 이격되는 상승된 위치에서 유리 난간과 이의 지지 슈를 지지하는 액세서리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앵커 베이스 플랫폼 및 지붕 데크에 대해 각각 오프셋 및 상승된 배치로 지붕 액세서리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액세서리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4 구현예에 따른 결합식 플러시 나사 앵커 및 체결구 조립체의 측입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플러시 나사 앵커 조립체의 부분 측입면도이다.
도 8c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플러시 나사 앵커 플랜지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d는 도 8b와 유사하지만, 플랫 헤드 스크루드라이버 포트의 선택적 제공을 도시하는 플러시 나사 앵커 조립체의 부분 측입면도이다.
도 8e는 도 8d에 도시된 플러시 나사 앵커 플랜지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f는 도 8b와 유사하지만, 앨런 키 포트의 선택적 제공을 도시하는 플러시 나사 앵커 조립체의 부분 측입면도이다.
도 8g는 도 8f에 도시된 플러시 나사 앵커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8h는 본 발명의 제5 구현예에 따른 상승된 헥스 헤드 나사 앵커 및 체결구 조립체의 측입면도이다.
도 8i는 도 8h에 도시된 헥스 헤드 나사 앵커 조립체의 부분 측입면도이다.
도 8j는 도 8h에 도시된 헥스 헤드 나사 앵커 조립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6a와 비교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제6 구현예에 따른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로, 피뢰침 및 케이블의 지지를 도시하며, 이와 함께 채용된 지붕 물받이 재료, 체결구, 및 접착제의 사용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 9b는 완전 장착 상태의 도 9a에 도시된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피뢰침을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7 구현예에 따른 분해 단면도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거꾸로 된 상태로 위치하되, 나사산 포스트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아래가 아닌 위로 연장되고, 이와 함께 채용된 지붕 물받이 재료, 체결구, 및 접착제의 사용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 10b는 완전 장착 상태의 도 10a에 도시된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피뢰침을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8 구현예를 구현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피뢰침이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로 연장되는 상부 포스트, 및 접지 케이블이 클램핑되는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를 갖는 하부 포스트를 구비한 암나사산 이중 원통형 포스트에 용접된다.
도 12는 경사형 지붕의 최고점을 따라 그 위에 장착되는 피뢰침 및 클램핑된 접지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9 구현예를 구현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3은 지붕 위에 피뢰침 및 접지 케이블을 지지하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유형의 본 발명의 제10 구현예를 구현하는 플러시 나사 앵커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과 유사하지만 대신에 소형 플러시 앵커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로, 앵커의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 내에 수용 가능한 나사산 볼트를 통해 지붕을 따라 그 위에 부착되는 클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 길이의 접지 케이블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5는 지붕 위에 피뢰침을 지지하도록 도시된 본 발명의 제11 구현예를 구현하는, 도 8h 내지 도 8j에 도시된 유형의 상승된 헥스 헤드 나사 앵커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와 유사하지만 대신에 도 8h 내지 도 8j에 도시된 상승된 헥스 헤드 나사 앵커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로, 앵커의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 내에 수용 가능한 나사산 볼트를 통해 지붕 상부를 따라 클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 길이의 접지 케이블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7a는 원통형 수나사산 상부 포스트 및 원통형 수나사산 하부 포스트를 구비하되, 하부 포스트의 직경은 상부 포스트의 직경보다 작은, 본 발명의 제12 구현예에 따른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입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18a는 앨런 키 포트를 갖는 원통형 수나사산 상부 포스트 및 원통형 수나사산 하부 포스트를 구비하되, 하부 포스트의 직경은 상부 포스트의 직경보다 작은, 본 발명의 제13 구현예에 따른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입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8c는 도 18a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19a는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를 갖는 원통형 수나사산 상부 포스트 및 원통형 수나사산 하부 포스트를 구비하되, 하부 포스트의 직경은 상부 포스트의 직경보다 작은, 본 발명의 제14 구현예에 따른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입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9c는 도 19a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20a는 블라인드 보어를 갖는 원통형 수나사산 상부 포스트 및 블라인드 보어를 갖는 원통형 수나사산 하부 포스트를 구비하되, 포스트들은 모두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5 구현예에 따른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입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a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21a는 도 19a의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와 지붕 상에 L자형 태양 전지판 브래킷을 지지하기 위한 도 8d의 플러시 장착 나사 앵커를 모두 활용하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부분 분해 측입면도이다.
도 21b는 완전 장착 상태의 도 21a에 도시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입면도이다.
도 22a는 지붕 위에서 원통형 수나사산 상부 포스트에 피뢰침을 고정시키고, 지붕 아래에서 원통형 수나사산 하부 포스트에 접지 케이블을 고정시키되, 포스트들은 모두 암나사산 내부 블라인드 보어를 가지는, 도 20a의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를 활용하는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 의 분해 측입면도이다.
도 22b는 완전 장착 상태의 도 22a에 도시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입면도이다.
도 23은 피뢰침 및 접지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6 구현예를 구현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피뢰침이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 위로 연장되는 상부 포스트, 및 접지 케이블이 클램핑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포스트를 구비한 수나사산 이중 원통형 포스트에 용접된다.
이제 도면, 특히 도 1 내지 도 7b를 상세히 참조하면, 특히 다양한 사용 분야에 보편적으로 적응될 수 있는 다양한 고정 응용을 위해 의도된, 지지 구조에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본 출원인의 전술한 미국 특허 출원 일련번호 15/852,733 및 출원 번호 PCT/US2019/018592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신규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c는 특히 지붕 및 다른 상승된 평면형 및/또는 경사형 구조, 예를 들어 테라스, 발코니, 계단 등에 지붕 액세서리 구조를 고정시키기 위해 설계되는,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된, 신규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를 도시한다.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주요 부품은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11로 표시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로,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들어지고(그러나 알루미늄, 청동 등과 같은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부면(12) 및 하부면(13)을 구비한다.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암나사산 중앙 관통 보어(14), 및 중앙 보어(14)로부터 반경방향 외부에 위치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주에 대략 인접하는 6개의 이격된 외주 관통 보어(15)를 구비한다. 이 구현예에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또한, 개방된 상단부(18) 및 폐쇄된 하부(19; 도 2)를 갖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암나사산 보어(17; 도 4b 참조)를 구비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로드 또는 포스트(16)를 포함하되, 상기 로드 또는 포스트(16)는 보어(17)의 개방된 상단부(18)가 중앙 관통 보어(14; 도 4b 참조)의 개방된 하단부와 접경하며 정합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용접을 통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플랫폼 조립체(10)의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못, 볼트, 또는 래그 나사의 형태인 기계적 체결 요소들(20)을 통해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21로 표시된 지붕 데크와 같은 지붕 구조에 장착되되, 이의 원통형 포스트(16)는 지붕 데크(21)를 통해 연장되며, 폐쇄된 단부(19)가 지붕 데크 아래로 돌출된다. 정렬된 암나사산 보어들(14, 17)은 물체가 지붕 데크(21) 상에 장착되는 앵커 지점의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물체는 유리 패널(22)을 구비하는 유형의 유리 난간으로, 하부 에지가 기다란 U자형 금속 채널 또는 슈(24) 안에 고정된다. 도 3은, 2개의 유리 패널(22) 및 2개의 슈(2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3개의 연속적으로 배치 및 이격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중, 이와 같은 유리 난간은 수백 피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리 난간(22)의 길이에 따라, 유리 난간(22)마다 2개 이상의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가 요구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다란 U자형 슈(24)는 복수의 이격된 관통 보어(25; 이들 중 하나만 도시됨)를 갖는 기저벽(23)을 구비한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나사산 볼트(26) 및 와셔(27)와 같은 직선형 나사산을 갖는 원통형 기계적 체결구들이 사용되고, 상기 볼트(26)는 U자형 슈(24)의 관통 보어(25)를 통해 수용 가능하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암나사산 중앙 보어(14) 및 원통형 포스트 또는 로드(16; 도 4c)의 암나사산 블라인드 보어(17) 내에 수용 가능하여, 이들을 지붕 데크(21)에 고정시킨다. 폐쇄된 하부(19)를 갖는 원통형 포스트(16)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한다: (1) 물체가 지붕 상에 장착되는 비교적 견고하고 강건한 고정 지지 지점을 제공하고, (2) 원통형 로드(16)의 하단부(19) 및 블라인드 보어(17)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중앙 보어(14)를 통해 지붕 데크(21) 안으로 및 아래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b는 중앙 관통 보어(29)를 구비한 정사각형 형상의 심 플레이트(28)의 사용을 도시하는데, 심 플레이트(28)는 중앙 관통 보어(29)가 원통형 포스트(16)의 내부 블라인드 보어(17) 바로 위에 놓이며 이와 정합되도록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 위에 장착된다. 심 플레이트(28)는 지붕 데크(21) 등의 높이 변동으로 인한 인접한 슈들(24) 및 이들이 지지하는 유리 난간(들)(22)의 정확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슈(24)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에 사용된다. 필요시, 정확한 높이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심 플레이트(28)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채널 또는 슈(24)의 중앙 관통 보어(25)는 단차를 포함하는데, 상기 단차는 그 위에 볼트(26)의 볼트 헤드 및 와셔(27)를 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치수결정되고, 그에 따라 볼트(26)의 볼트 헤드는 유리 난간(22)의 하부 에지와 접경하여 균열 또는 손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U자형 슈(24)의 하부 기저벽(23)의 상부면(30) 아래에 배치된다.
도 4a 및 도 4c는 지붕 데크 또는 테라스 등에 유리 난간을 장착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물받이 재료, 체결구, 및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10)의 분해 단면도 및 완전 장착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업계의 표준 또는 관례에 따라 목재, 금속, 또는 복합 구성일 수 있는 지붕 데크(21) 위에 위치한다.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원통형 포스트(16)는 지붕 데크(21)의 관통 보어(31), 및 바람직하게는 네오프렌으로 만들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지붕 데크(21) 사이에 개재되는 종래의 고무 지붕 막재(32)의 관통 보어(33)를 통해 삽입되도록 의도된다. 마찬가지로, 역시 바람직하게는 네오프렌으로 만들어진 종래의 고무 지붕 막재(34)가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인 심 플레이트(28)와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부면(12) 사이에 위치하고, 이 또한 볼트(26)가 막재(34)를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 보어(36)를 구비한다. 또한, 대개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부면(13)에 도포되어 이를 지붕 막재(32)에 접착 결합 및 밀봉하는 실런트, 시멘트, 코킹, 또는 접착층(38)이 도시된다.
도 4c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코킹, 시멘트, 또는 글루(40)(및/또는 선택적으로 클립)가 U자형 금속 채널(24) 내에 수용되는 유리 난간(22)의 하단부를 둘러싸도록 U자형 채널(24)의 내표면에도 도포된다. 또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막재(34)는 전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걸쳐 연장되되, 이의 단부는 지붕 막재(32)에 대해 밀봉되어, 나사 구멍들 및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나머지 부분을 밀봉한다. 이러한 물받이 재료 및 접착제는 조립체를 방수처리하며 지붕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함을 이해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는 물체가 지붕에 부착되는 지점에서 특히 중요한데, 상기 지점은 이 경우 유리 난간 슈(24)가 볼트(26) 및 볼트(26)가 수용되는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17)를 통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원통형 포스트(16)에 부착되는 지점을 가리킨다. 보어(17)가 블라인드 보어 또는 구멍이고 원통형 포스트(16)의 하단부(19)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패널(22)과 U자형 채널(24) 사이에 침투할 수 있고 원통형 포스트(16)의 보어(17)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수분의 잠재적인 통로는 지붕 데크(21)로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완전히 차단된다.
도 5a 및 도 5b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10')의 제2 구현예를 도시하되, 유사한 방식으로 앵커 플랫폼 조립체(10')의 제2 구현예의 분해 단면도 및 완전 장착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 제2 구현예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원통형 포스트(16')가 협소한 넥부(35)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가 비나사산 중앙 보어(14')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면(다른 점에서는 이전 구현예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원통형 포스트(16)와 동일함),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도 4a 및 도 4c에서, 원통형 포스트(16)의 상단부(18)는 통상적으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부면(13)에 용접된다. 그러나, 도 5a 및 도 5b에서는, 협소한 넥 구역(35)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비나사산 중앙 보어(14') 내에 수용되도록 의도되고,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 보다 견고하고 보다 강건한 결합이 만들어진다. 앵커 플레이트(11') 및 포스트(16')가 서로 용접될 때, 포스트(16')의 감소된 넥 구역(35)은 중앙 보어(14') 내에 수용되되, 협소한 넥부가 비나사산 중앙 보어(14') 내로 연장됨으로써, 각각의 중앙 보어(14') 및 암나사산 보어(17')가 정확히 정렬된 채로 유지되기 때문에, 보다 강건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6a 및 도 6b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10'')의 제3 구현예를 도시하되, 유사한 방식으로 이 앵커 플랫폼 조립체 제3 구현예의 분해 단면도 및 완전 장착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 제3 구현예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원통형 포스트(16'')의 하부(37)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다른 점에서는 원통형 포스트(16')와 동일함),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 구현예에서, 너트(39) 및 와셔(41)가 원통형 포스트(16'')의 수나사산 표면(37) 상에 나사결합되고, 그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완전 조립 상태에서, 너트(39) 및 와셔(41)는 금속 지붕 데크(21')의 하부면에 대해 조여져 보다 강건한 부착 지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원통형 포스트(16'')의 폐쇄된 단부(19) 및 블라인드 보어(17')를 통해 부착 지점에서의 지붕 누수를 방지한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가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위로 상승 및 이격된 방식으로 물체를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원에 도시된 다양한 앵커 플레이트 조립체를 위한 신규의 액세서리 지지 스탠드(42)를 도시한다. 액세서리 지지 스탠드(4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평탄한 기저부(44), 및 용접에 의해 일 단부에서 평탄한 기저부(44)에 결합되는 4개의 측벽(43)으로 구성되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정사각형 형상의 직립식 관형 바디 부재를 포함한다. 배수구(45)가 일 측벽(43)의 저부에 제공되어 물이 그로부터 배수된다. 기저부(44)는 원통형 포스트(16'')의 암나사산 보어(17')와 정렬가능한 중앙 구멍(49; 도 7b)을 구비하고, 볼트(26)의 나사산 스템은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지지 스탠드(42)를 고정시키기 위해 암나사산 보어(17')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된다. 도 7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일 세트의 수평 정렬된 구멍(46)이 직립식 관형 바디의 대향 측벽들(43)에 형성되고, 이를 통해 나사산 볼트(47)가 장착되어, 지지 스탠드(42)의 측벽들(43) 중 하나에 물체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U자형 채널(24')은 도 1 내지 도 6의 구현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저벽(23')이 아닌 일 측벽에 리세스된 관통 보어(25')를 구비한다. 볼트(47)는 볼트 헤드가 채널 관통 보어(25')의 단차에 대해 유지됨으로써 리세스된 관통 보어(25') 내에 유지되고, 이의 반대편 단부(즉, 측벽 구멍(46)을 통해 연장되는 이의 나사산 샤프트의 자유 단부)에서는 추가적인 너트(48) 및 와셔(48)에 의해 유지되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지붕 부재(21')에 대해 상승 및 부양된 위치에서 그리고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중앙 블라인드 보어에 대해 오프셋된 채로 U자형 채널(24')을 고정한다.
이제 특히 도 8a 내지 도 8j를 참조하면, 본 출원인에 의해 이전에 출원된 일부계속출원 PCT 출원 번호 PCT/US2019/018592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나사 앵커 및 체결구 조립체(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나사 앵커" 또는 "나사 앵커 조립체"로 지칭됨)의 몇몇 구현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조립체(110)는 플러시 나사 앵커이며, 다양한 용도를 위해 특히 건축업에 유용하다. 플러시 나사 앵커 조립체(110)는, 상부면(112), 반대편의 하부면(113), 및 이들을 통해 연장되는 선택적으로 암나사산이 형성된 중앙 개구(114)를 구비하는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베이스 플레이트, 플랜지, 또는 와셔(111)를 포함한다. 아울러, 나사 앵커 조립체(110)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하부면(113)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나사 또는 래그 나사(116) 형태의 수나사산 포스트를 포함한다. 도 8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116)의 상부 샤프트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암나사산 중앙 보어(117)를 포함하고,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중앙 개구(114)와 병합되며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보어(117)의 직경은 나사(116)의 수나사산 상부 샤프트의 외경보다 작다.
나사(116)의 보어(117)는, 플랜지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보어(114)에 의해 획정되는 개방된 상단부, 및 나사(116)의 샤프트의 폐쇄된 하단부(119)를 구비한 블라인드 보어이다. 나사(116) 및 베이스 플레이트(111)가 일체형 결합식 앵커 및 체결구 조립체 또는 부품을 형성하기 위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도 역시 바람직하다. 나사(116) 및 베이스 플레이트(111)가 강건하고 견고한 앵커를 제공하도록 서로 견고하게 고정 체결되는 것을 보장하는 용접, 압입 연결, 또는 임의의 다른 체결 수단을 통해, 나사(116)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구현예 및 본원에 기재된 다른 구현예를 위한 본 발명의 나사 앵커의 설치 및 사용과 관련하여 이하에 도시되고 논의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도 4a, 도 4c, 도 5a, 도 5b, 도 6a, 도 6b, 및 도 7a에 도시된 와셔(27)와 함께 확대된 헤드 및 나사산 샤프트를 구비한 볼트(26) 형태의 체결구가 물체를 유지하며 앵커에 고정 체결하기 위해 보어(117)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고, 그에 따라 물체 또는 이의 일부 또는 이를 위한 관련 액세서리 구조(이에 대해, 예를 들어, 지붕 난간의 경우 유리 패널(22)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U자형 슈(24) 참조)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부면(112)에 대해 신속하게 고정 유지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물체, 이의 일부, 이를 위한 액세서리 구조에 관통 보어(25)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고, 볼트(26)의 나사산 샤프트는 이를 통과한 후 나사 앵커(110)의 블라인드 보어(117) 내로 나사결합되며, 나사 앵커에 물체를 고정 체결하도록 조여진다.
도 8d 및 도 8e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플러시 앵커 구현예의 수정예를 도시하는데, 리세스된 플랫 헤드 나사 슬롯 또는 포트(143)가 중앙 보어(114)의 양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형성되고, 이는 중앙 보어(117)의 양측에서 래그 나사 플러시 앵커(110)의 외부가 매끈한 확대된 상부 헤드부(144) 내로 하향 연장되어, 예를 들어 건물 지지 구조 내에 재위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 앵커(110)를 의도된 지지 구조 내로 나사결합하거나 그로부터 나사식으로 제거하도록 나사(116)의 수나사산 샤프트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랫 헤드 스크루드라이버 또는 다른 공구(미도시)가 상기 슬롯(143)에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8f 및 도 8g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나사 앵커 조립체의 다른 수정예를 도시하는데, 플랫 헤드 스크루드라이버 포트(143)를 채용하는 대신에, 앨런 키 포트(145)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납작 헤드 스페이스(146)가 래그 나사 앵커(110)의 외부가 매끈한 확대된 상부 헤드부(144) 및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1) 내에서 블라인드 보어(117)의 상단부 위에 제공되되, 상부 헤드부(144)는 와셔(111)의 상부면(112)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11) 및 헤드부(144) 내에 제공되며 이들에 의해 공동으로 획정되는 납작 헤드 스페이스(146) 내로 하향 연장된다.
헤드 스페이스(146)는 앨런 키 포트의 역할을 하는 바람직하게는 육각형 중앙 보어(145)를 획정하도록 구성되는 내벽을 구비한다. 앨런 키 포트(145)는 앨런 키(미도시)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그에 의해 플러시 나사 앵커(110)는 지지 구조에 용이하게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제거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된다.
도 8h 내지 도 8j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나사 앵커 조립체의 제5 구현예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상부면(212) 위에 고정되는 육각형 헥스 너트(250)를 구비한 헥스 헤드 래그 나사 앵커(210)가 제공된다. 육각형 헥스 너트(250)는 스크루드라이버 슬롯, 앨런 키 포트 등과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고, 그로 인해 지지구에 대한 나사식 맞물림 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헥스 헤드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소켓 렌치(미도시)와 같은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외부 헥스 너트(250)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부품을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용접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11)에 일체로 결합된다. 도 8i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헥스 너트(250)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보어(214) 및 래그 나사(216)의 중앙 보어(217)와 축방향으로 정렬 및 정합되는 암나사산 중앙 관통 보어(252)를 포함한다. 앵커(210)가 육각형 형상의 너트(250)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이하에 추가로 개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다각형 또는 기하형상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이제 도 9a, 도 9b, 도 10a, 도 10b,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지붕 또는 다른 구조 상에 종래의 피뢰침 조립체(80)를 장착시키기 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의 사용을 도시한다. 종래의 피뢰침은 통상적으로 건물의 지붕에 부착되는 뾰족한 금속 로드를 포함한다. 로드는 1인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역시 1인치 가량의 직경을 갖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와이어 또는 케이블(90)에 연결된다. 케이블(90)은 대개는 인근 지면(미도시)에 매립되는 전도성 그리드 또는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낙뢰시, 피뢰침(80)은 케이블(90)을 통해 지면에 대한 낮은 저항 경로를 제공하는데, 이는 구조로부터 지면으로 많은 전류를 안전하게 전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지붕 또는 다른 구조(21') 상에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80으로 표시된 피뢰침을 지지 및 장착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10'')의 제6 구현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11')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제3 구현예와 대략 동일하다. 포스트(16'')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부면에 물리적으로 부착되는(예를 들어, 용접되는) 수나사산 하부(37)를 구비한다. 포스트(16'')의 블라인드 보어(17')에도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피뢰침(80)은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칼라(84)를 통해 원통형 나사산 하부 로드(83)에 결합되는 뾰족하고 기다란 원통형 상부 바디(82)를 구비하고, 로드(83)는 포스트(16'')의 블라인드 보어(17')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다. 지붕 아래에서, 대략 C자형 이중 암 클램프(89)가 접지 케이블(90)을 고정 유지하는 데에 사용되며 각각의 암(88)에 장착 구멍(87)을 구비하는데, 그에 의해 포스트(16'')의 나사산부(37) 상에 장착된다. 와셔(41) 및 너트(39)가 포스트(16'')의 나사산 하단부(37) 상에 수용 가능하고, 도 9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39)가 포스트(16'') 상에 조여질 때, 와셔(41) 및 너트(39)는 C자형 클램프(89) 및 케이블(90)에 대해 가압되며 이들을 고정 체결하여 지붕(21')의 이면에 유지되게 한다. 접지 케이블(90)은 지붕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며 궁극적으로 지면에 안내되어, 여기서 통상적으로 지면의 접지 그리드 또는 플레이트(미도시)에 부착된다. 실제 사용시, 접지 케이블(90)은 당업자들에 의해 잘 알려진 피뢰침(80) 및 지면에 접지 케이블(90)을 부착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의 접지 및 클램핑 조립체의 도움으로 피뢰침 조립체에 부착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되고 도시된 C자형 클램프는 이러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클램프들의 간단한 표현에 불과하다.
도 9a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포스트(116)는 협소한 넥부(35)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비나사산 중앙 보어(14')를 구비하여, 이들 사이에 보다 견고하고 강건한 결합을 실현한다. 각각의 중앙 보어(14') 및 포스트(16'')의 암나사산 보어(17')가 감소된 넥 구역(35)에 의해 정확히 정렬된 채로, 상기 앵커 플레이트(11') 및 포스트(16')가 서로 용접될 때, 강건하고 견고한 조인트를 달성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포스트(16'')의 정확한 90도 정렬을 달성하는 다웰처럼, 협소한 넥부(35)가 비나사산 중앙 보어(14') 내로 연장되기 때문에, 보다 강건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응용을 위한 앵커 조립체의 강도 요건 및 성질에 따라, 옵션으로서, 감소된 넥 구역 없이 앵커 플레이트(11') 및 포스트(11'')를 사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10''')의 제7 구현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앵커 플랫폼 조립체(10''')의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6'')의 거꾸로 된 버전이다. 포스트(16''')는 중앙 배치된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17''') 및 협소한 넥부(35''')를 구비하고, 협소한 넥부(35''')는 이전 구현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13''')이 아닌 베이스 플레이트(16''')의 상부면(12''')에 물리적으로 부착된다(예를 들어, 용접된다). 이 구현예에서, 접지 케이블(90)은 볼트(26)의 수나사산 샤프트(86) 상에 수용되는 한 쌍의 암(88)의 개구들(87)을 통해 이중 레그 C자형 클램프(89)에 의해 다시 유지된다.
도 10b는 도 9b와 비교할 수 있는 거꾸로 된 방식이지만 완전 장착 상태인 앵커 플랫폼 조립체(10''')의 제7 구현예의 단면도이다. 볼트(26)의 나사산 샤프트(86)는 지붕 데크(21')의 아래로부터 지붕 데크(21')의 개구 및 막재들(32, 34)의 개구들을 통해 삽입되며, 포스트(16''')의 암나사산 블라인드 보어(17''')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된다. 볼트(26)의 확대된 헤드 및 와셔(27)는 C자형 클램프(89) 및 이어서 접지 케이블(90)을 지붕의 하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피뢰침(80)의 뾰족한 샤프트(82)는 너트(85)에 연결되고, 그에 의해 피뢰침(82)은 지붕(21) 위에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조립체(10''')의 포스트(16''')에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그 결과, 피뢰침(80)은 너트(85)를 통해 포스트(16'''), 볼트(26), 및 클램프(89)에, 그에 따라 접지 케이블(90) 및 이어서 지면의 전도성 그리드 또는 플레이트(미도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11은 상부 포스트(318)의 상부 자유 단부 상으로 개방되는 암나사산 블라인드 보어(317)를 구비하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311) 위에서 용접점들(96)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상부 포스트(318)로 구성되는 이중 포스트(316)를 구비한 본 발명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310)의 제8 구현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중 포스트(316)는 또한, 하부벽(313)으로부터 연장되며 지붕(21) 아래로 하향 돌출되는 하부 포스트(319)를 구비한다. 이도 역시 하부 자유 단부 상으로 개방되는 암나사산 블라인드 보어(320)를 구비한다. 피뢰침(80)은 뾰족한 상부 구역(82), 및 상부 포스트(318)의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317)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되는 수나사산 하부 구역(83)을 구비한다. 한편, C자형 클램프(89)는 나사산 하부 포스트(319) 상에 수용 가능하고, 그에 따라 지붕(21') 아래에 유지되어, 하부 포스트(319)의 암나사산 보어(320) 내에 수용 가능한 나사산 샤프트(86)를 구비한 너트(26) 및 와셔(41)를 통해 장착될 때, 하부면과 접경할 수 있다.
도 12는 피뢰침이 3겹 지붕 리지 플레이트(403)에 의해 지지되는 접경 결합식 지붕 덮개들(401, 402)로 구성되는 경사형 지붕 리지 상에 장착될 필요가 있는 응용을 위한 본 발명의 제9 구현예를 도시한다. 금속 앵커 조립체(410)는 중앙 보어(414)가 형성되는 중앙 수평 배치된 중앙 평면 구역(412)을 갖는 절곡된 베이스 플레이트(411)를 구비하되, 지붕 리지 플레이트(403)의 보어(404) 내에 수용되는 원통형 포스트(416)가 그로부터 현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11)는 중앙 평면 구역(41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절곡된 날개 구역(418)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지붕 덮개들(401, 402)에 대해 평탄하게 놓이도록 각지게 형성된다.
종전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11)는 절곡된 날개 구역들(417)의 구멍들(415)을 통해 수용되는 체결 나사들(420)을 통해 지붕 덮개들(401, 402)에 부착된다. 다른 구현예들에 사용되는 물받이 및 접착 재료(미도시)도 역시 종전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전 구현예들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포스트(416)는 선택적으로 매끈하거나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피뢰침(80)의 나사산 하부 구역(83)이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암나사산 중앙 보어(417)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에 따라 뾰족한 상부 구역(82)은 바람직하게는 지붕의 최고점으로부터 상향 돌출된다. 이와 같은 응용에서, 접지 케이블(90)은 대개는 지붕 리지를 따라 진행되어, 역시 클램프(89) 등을 통해 복수의 이격된 피뢰침(82; 미도시)에 연결된다.
도 13은 막재(32)에 의해 덮이는 지붕 덮개(21')에 피뢰침(80)을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앵커 조립체의 제10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 구현예는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임의의 유형의 소형 나사 앵커를 사용한다. 이 예에서는, 상부면(112), 반대편의 하부면(113), 및 이들을 통해 연장되는 중앙 개구(114)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와셔(111)를 구비하는 도 8d에 도시된 유형의 플러시 나사 앵커(110)가 사용된다.
도 1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하부면(113)은 코킹과 같은 실런트(38)를 통해 지붕 막재(27)에 접착되고, 지붕 막재(27)는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합판 지붕 덮개(21')에 접착 부착된다. 피뢰침(80)의 나사산 하단부(83)는 이를 통해 삽입되며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117)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90)을 유지하는 C자형 클램프(89)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부면(112)과 칼라(84) 사이에서 긴밀하게 조여진다.
도 14는 지붕(21') 상에 장착되지만, 대신에 접지 케이블 클립(89)을 통해 지붕(21')을 따라 소정 길이의 접지 케이블(90)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소형 플러시 앵커(110)를 도시한다. 앵커(110)는 나사산 볼트(26)를 통해 C자형 클램프(89)를 클램핑하는데, 나사산 볼트(26)는 클립 암들(88)의 개구들(87)을 통해 수용 가능하며, 볼트(26)가 앵커(116)의 나사산 보어(117) 내에 완전히 수용될 때 앵커(1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부면(112)과 볼트(26)의 헤드 사이에 클립(89)을 클램핑하도록 나사산 보어(117)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다. 다수의 이격된 소형 플러시 앵커(110)는 지붕 또는 벽 또는 다른 구조 상에 및 이를 따라 소정 길이의 케이블(90)을 부착하기 위해 다수의 케이블 클립(89)을 활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5는 도 8h 내지 도 8j의 헥스 너트 나사 앵커 조립체(210)를 활용하는 본 발명의 앵커 조립체의 제11 구현예를 도시한다. 외부 헥스 너트(250)가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상부면(212) 상에 형성된다. 외부 헥스 너트(250)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부품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헥스 너트(250)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에 용접되거나 달리 부착될 수 있다. 도 8i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헥스 너트(250)는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개구(214) 및 샤프트(216)의 중앙 보어(217)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암나사산 중앙 관통 보어(252)를 포함한다. 소형 상승 앵커(210)가 육각형 형상의 너트(25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다른 형상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축방향으로 정렬된 보어들(87, 214, 217)은 앵커(210) 및 그에 따른 막재(27)에 의해 덮이는 지붕(21')에 피뢰침(80)을 고정하기 위해 피뢰침(80)의 나사산 하단부(83)를 점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치수결정된다. 접착층(38)이 또한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이면(213) 상에 제공된다. 피뢰침(80)은 또한 완전 장착시 헥스 헤드(250)의 상부에 대해 접지 케이블(90)을 유지하는 C자형 클램프(89)를 가압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고정된 칼라(84)를 구비한다.
도 16은 지붕(21') 상에 장착되지만, 대신에 접지 케이블 C자형 클램프(89)를 통해 지붕을 따라 소정 길이의 접지 케이블(90)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소형 상승 앵커(210)를 도시한다. 앵커(210)는 나사산 볼트(26)를 통해 케이블(90)을 클램핑하는데, 나사산 샤프트(86)는 앵커(210)의 나사산 보어(217) 내에 완전히 수용될 때 베이스 플레이트(211)의 상부면과 볼트(26)의 헤드 사이에 클립(89)을 클램핑하도록 정렬된 보어들(87, 214, 217)을 통해 수용 가능하다. 여기에서도, 다수의 이격된 소형 상승 앵커(110)가 지붕, 벽, 또는 다른 구조 상에 및 이를 따라 다수의 케이블 클립(89)을 통해 소정 길이의 케이블(90)을 부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지면으로 이어진다.
이제 도 17a 내지 도 17c 내지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양한 유형의 이중 포스트 앵커의 몇몇 예들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도 24를 또한 참조). 도 17a 내지 도 17c에서, 앵커 조립체(510)는 원통형 수나사산 상부 포스트(518) 및 원통형 수나사산 하부 포스트(519)로 구성되는 이중 포스트(516)를 구비하되, 이들 각각은 이전 구현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통 보어(미도시)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511)에 고정 체결된다.
또한, 원형 원반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516)의 하부면(513)은 대개는 앵커(510)를 지지하는 지지 지붕 또는 막재와 베이스 플레이트(511)의 하부면(513)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 또는 코킹(미도시)의 수용을 위해 원형 채널 또는 홈(521)을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이 구현예에서, 상부 포스트(518)의 직경은 하부 포스트(519)의 직경보다 크다.
도 18 내지 도 20의 다른 구현예들은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다수 구비하고, 이들 4가지 구현예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적용가능한 경우, 도시된 4가지 구현예를 구별하기 위해 각각 숫자 5, 6, 7, 8로 시작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이들은 또한 도 17a 내지 도 17c와 관련하여 상기에 기재되고 설명된 것과 동일한 기본 구조 및 배치를 갖기 때문에, 상이한 이중 포스트 앵커들 사이의 차이점만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a 내지 도 18c는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삽입 또는 제거시 앵커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부 포스트(618)의 블라인드 보어(618) 내에 제공되는 앨런 키 포트(645)의 추가적인 특징부를 구비한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상부 포스트(718)가 앨런 키 포트(745) 아래에서 중앙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블라인드 보어(717)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의 다른 버전을 도시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하부 포스트(819)가 또한 하단부 상으로 개방되는 중앙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된 블라인드 보어(82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9a 내지 도 19c에 도시된 이중 포스트 앵커의 또 다른 개작을 도시한다. 또한, 이 구현예에서, 원통형 상부 및 하부 포스트(817, 819)는 각각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도 17a 내지 도 17c 내지 도 20a 내지 도 20c의 이중 포스트 구현예들은 지붕 아래로부터 하부 포스트를 볼트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상황의 경우 매끈한 포스트를 구비할 수 있음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이제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고무 막재(32)에 의해 덮이는 지붕 기저부(21') 상에 장착되는 상부 지붕 널들(640) 및 하부 지붕 널들(650)을 구비한 판자 지붕 상에 L자형 태양 전지판 브래킷(630)을 장착시키기 위해, 도 8d의 플러시 앵커 및 도 19a의 이중 포스트 앵커 조립체를 조합으로서 사용하는 방식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a의 분해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 포스트 앵커 플랜지(610)는 상부 지붕 널들(640) 위에 배치되고, 플러시 나사 앵커(110)는 상부 지붕 널들(640) 아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21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포스트(619)가 플러시 앵커(110)의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117) 내로 나사결합되고 삽입될 때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611)의 하부면이 상부 지붕 널들(640)에 더 잘 접착되도록, 코킹 링(28)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611)의 하부면(613)과 플러시 앵커(110)의 상부면(112) 사이에 배치된다. 이후, 플러시 나사 앵커(110)는 지붕 막재(32) 및 지붕 기저부(21') 내로 나사결합되고, 완전한 나사산 삽입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면(612)은 하부 지붕 널들(650)의 상부면과 접경하되, 코킹 링(28)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것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611)의 이면(613) 상의 코킹 홈(621)은 하부 지붕 널(650)과의 보다 양호한 방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홈(621) 내에 코킹을 더 잘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1b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 태양 전지판 브래킷 지지구(630)는 브래킷(630)이 이중 포스트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원통형 나사산 상부 포스트(618) 상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 레그를 통해 연장되는 관통 보어(625)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L자형 브래킷(630)은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610)의 상부면(611)과 접경하도록 위치되고, L자형 태양 전지판 브래킷(630)의 하부 레그의 상측에 위치하는 너트(26) 및 와셔(27)에 의해 이에 대해 유지된다. 이 구현예는 베이스 플레이트(611)가 실제로 상부 및 하부 지붕 널(640, 650) 사이에 잠금되도록 플러시 나사 앵커(110)가 지붕 내에 장착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고, 이것은 이중 포스트 앵커 조립체(610)에 의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L자형 태양 전지판 브래킷(630)을 지지하기 위한 특히 강건하고 견고한 앵커를 제공하되, 하부 포스트(619)는 플러시 앵커(110)의 암나사산 보어(117) 내에 수용되고, 너트(26) 및 와셔(27)는 L자형 지지구(630) 위에서 상부 포스트(618) 상에 수용되어, 이를 플러시 앵커(110)에 고정 체결한다.
이 구현예는 특히 깨지기 쉬운 세라믹 또는 점토 타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상부 지붕 타일(640)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에 특히 유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딱 맞는(snug) 방식이지만 점토 타일에 금을 내거나 손상시키기에 충분한 힘 또는 과도한 힘 없이, 상부 지붕 타일(640)과 접경할 때까지 하부 포스트(619)를 나사 앵커(110)의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 내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상부 지붕 타일(640)은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부면(112)과 이중 포스트 앵커 조립체(610)의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610) 사이에 개재된다. 이어서, 태양 전지판 또는 다른 무거운 액세서리가 L자형 브래킷(630)에 부착될 때, 하중은 나사 앵커 블라인드 보어(117) 내의 포스트(619)로 직접 전달되고, 지붕 타일(640) 위의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611)의 안정되고 고정된 위치는 이의 분쇄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실드 또는 배리어의 역할을 한다. 실제로, 지붕 타일(640)이 사이에 개재된 채로 고정 간격으로 함께 나사식으로 결합될 때,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611) 및 나사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안정된 위치는, 이들 사이에 유지된 지붕 타일을, L자형 브래킷(630), 이중 포스트 앵커(610), 및 플러시 나사 앵커(110) 상에 가해지는 임의의 하중으로부터 격리한다.
도 22a 및 도 22b는 나사산 하부 구역(83) 및 칼라(84)를 구비한 피뢰침(80)을 또한 장착시키기 위해 이중 포스트 앵커 조립체(810)를 사용하는 방식의 예의 분해도 및 완전 장착도를 도시한다. 도 22a에서, 이중 포스트 앵커 조립체(810)는 지붕 막재(32) 및 지붕(21') 위에 배치되는 코킹 링(38) 위에 위치한다. C자형 클램핑 부재(89) 및 케이블(90)은 지붕(21') 아래에 위치하되, 와셔(41) 및 너트(39)가 그 아래에 놓인다. 이중 포스트 앵커(810)의 하부 포스트(819)는 코킹 링(38) 및 지붕 막재(32)와 지붕(21')의 관통 보어들을 통해 삽입된다. C자형 클램프(89)는 레그들(88)의 관통 보어들(87)을 통해 포스트(819)의 하단부 상에 위치하고, 와셔(41) 및 너트(39)는 하부 포스트(819) 상에 나사결합되어 필요시 조여진다. 앨런 키 포트(845)도 역시 하부 포스트(819)와 와셔(41) 및 너트(39)의 나사식 맞물림을 조이거나 푸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2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피뢰침(80)의 나사산 하단부(83)는 이후 상부 포스트(818)의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819) 내로 나사결합되어, 피뢰침(80)을 지붕(21') 위에 장착시키고 이를 클램핑된 접지 케이블(9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접지 케이블(90)이 지붕(21')의 하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요망되는 경우, 나사산 연장 로드(미도시)가 하부 포스트(819)의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820) 내로 나사결합될 수 있고, 그 위에는 한 쌍의 너트 및 와셔가 장착되어, 클램핑 케이블(89) 및 이어서 접지 케이블(90)이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지붕(21')으로부터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수나사산 하부 포스트(819)와 이의 나사산 연장 로드 또는 암나사산 보어(820)도 역시 다른 액세서리 아이템을 고정하거나 유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앵커 플랫폼 조립체(910)의 제16 구현예의 분해 단면도이다. 여기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911)는 바람직하게는 용접점들(96)을 통해 원통형 이중 포스트(916)에 용접되되, 이는 대략 베이스 플레이트(911) 위에 배치되는 원통형 수나사산 상부 포스트(918)를 구비하고, 상부 포스트(918)의 하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911)의 하부면(913)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도록 베이스 플레이트(916)의 관통 구멍(914)을 통해 연장된다. 이중 포스트(916)는 또한, 상부 포스트(918)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상단부, 및 앵커 플레이트(911) 및 지붕(21'; 미도시) 아래로 연장되도록 의도된 하단부를 구비한 원통형 수나사산 하부 포스트(919)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포스트들(918, 919)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사전제작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직경의 포스트들을 포함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이중 포스트들 중 최대 의도된 직경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 금속 로드, 이 경우 포스트(919)로 시작하여, 하부 포스트(919)의 의도된 직경에 부합하도록 상부의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반 등에서 포스트(918)의 의도된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로드의 상부를 선삭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결과, 작은 직경 구역 또는 포스트(918)는 관통 보어(914)의 하부에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면(913)과 접경하는 큰 직경 포스트(919)의 상단부와 병합되어 넥을 형성한다.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결과, 원통형 하부 포스트(219)의 직경은 상부 포스트(218)의 직경보다 크다. 이중 포스트(216)는 도 7b와 같은 몇몇의 이전 구현예들에서 감소된 넥 구역(35, 135)을 갖는 수나산 포스트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관통 구멍(214)을 통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211)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체형 이중 포스트(916)는 연결 지점에서 베이스 플레이트(911)의 관통 보어(914)보다 약간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감소된 또는 협소한 넥 구역을 형성하는 상부 포스트(918) 및 하부 포스트(919)로 구성되는 한편, 하부 포스트(219)는 이의 상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911)의 하부면(913)과 접경하는 "견부" 내지 "넥부"의 역할을 하도록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여기에서도, 이러한 구성은 강건하고 견고한 조인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911) 및 이중 포스트(916)의 용이하게 재현되는 정확한 90도 정렬을 달성한다.
도 2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샤프트(82)를 구비한 피뢰침(80)이 암나사산 하부 너트(85)에 부착되고, 이는 이어서 수나사산 상부 포스트(918) 상에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여기에서도, 클램프(89)가 접지 케이블(90)을 클램핑하는 데에 사용되며, 나사산 하부 포스트(919) 상에 수용 가능하고, 지붕(21'; 미도시)의 하부면에 대해 너트(39) 및 와셔(41)에 의해 유지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21')과 같은 지지 구조 상에 완전히 장착될 때, 본원에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도 역시 물받이 재료, 체결구, 및/또는 접착제로 설치된다.
전술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유리 난간, 피뢰침, 접지 케이블, 및 태양 전지판을 위한 L자형 브래킷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및 나사 앵커 조립체의 용도를 설명하고 도시하지만, 이는 또한 다른 건물 액세서리, 예를 들어 안테나, TV 위성 안테나, HVAC 설비 등을 위한 지붕과 같은 지지 구조에 다양한 다른 물체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a의 논의에서 간단히 다룬 바와 같이,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구현예의 원통형 암나사산 블라인드 보어를 통해 지지 구조 상에 물체를 장착시키기 위해 "직선형" 나사산을 구비한 원통형 기계적 체결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기계적 체결구는 이른바 "직선형" 나사산을 구비한다(즉, 헤드 없는 원통형 로드 형상의 스터드 및 원통형 나사산 샤프트와 헤드를 갖는 볼트). 이는 이른바 "테이퍼진" 나사산을 구비한 "원뿔 형상"의 나사와 구별되어야 한다. 직선형 나사산을 갖는 이와 같은 원통형 볼트 또는 스터드 체결구의 사용은 직선형 에지를 또한 구비한 포스트들의 원통형 암나사산 블라인드 보어들 내의 나사산 수용을 통해 다양한 유지력을 달성하기 위해 가변 길이 및 폭의 체결구를 수용하는 다기능성 및 강건한 조인트를 보장한다. 이와 달리, 보조 구멍들(15)을 통해 지지구에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계적 체결구는 일반적으로 "테이퍼진" 나사산을 갖는 나사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 및 개수, 수나사산이 형성되든 매끈하든, 포스트의 형상, 유형, 및 개수, 비나사산 관통 보어,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의 사용과 이들의 배치도 역시 금속, 목재, 또는 소정의 다른 복합재와 같은 지붕 또는 다른 건물 지지 구조의 성질, 크기, 및 재료와 같은 특정 응용의 구체적인 세부사항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들의 길이 또는 높이의 바람직한 범위는 0인치(플러시) 내지 18인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구, 막재 물받이 재료, 및 실런트의 유형도 지붕 또는 건물 구조에 적합하도록 선택될 것이 예상된다. 또한, 적절한 경우, 다양한 구현예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승된 헥스 헤드 나사 앵커를 제외한 나사 앵커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랫 헤드 스크루드라이버 또는 앨런 키 포트와 함께, 지지 구조에 앵커를 고정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나사 슬롯 또는 앨런 키 포트를 채용한다. 사용자가 건물 지지구에 앵커를 나사결합하고/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돕기 위해, 스타 비트 등과 같은 다른 수단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부분들 및 구성요소들의 치수가 필요시 또는 선호시 달라질 수 있음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원통형 이중 포스트의 상부 및 하부 포스트는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 범위의 직경을 갖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포스트는 1/2"의 폭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다른 포스트는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거나 3/4"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구역의 직경이 요망시 서로에 대해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너트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이지만, 통상의 표준 크기는 3/4"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16" 내지 1", 바람직하게는 1/4"일 수 있다. 부착된 너트를 갖는 볼트 또는 별개의 너트를 갖는 볼트가 사용 가능하며,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포스트는 1/2"의 외경을 가지며, 이의 내부 보어는 3/8"의 직경을 갖는다. 나사 앵커는 약 1/16"의 폭 또는 두께 및 약 1과 1/2"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 플랜지 및 보어의 치수뿐만 아니라 포스트와 이의 내부 보어의 길이도 달라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및 포스트와 같은 앵커 조립체의 부품들의 재료는 또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청동, 구리와 같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복합재를 비롯한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의 포스트 및 나사 앵커와 이의 플랜지는 일체형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그러나, 포스트는 용접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허용하는 만큼 광범위해지고 본 명세서도 마찬가지로 해석되도록 의도됨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남 없이 다른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65)

  1. 구조에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로서,
    대략 평탄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구비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기다란 포스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포스트는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 단부와 제2 자유 단부, 및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포스트 내로 연장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블라인드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포스트에 의해 덮이는 상기 제2 표면의 면적을 제외하고, 상기 구조가 상기 제2 표면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및
    직선형 나사산을 구비한 원통형 기계적 체결구를 포함하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를 통해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구조에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포스트에 의해 덮이는 상기 제2 표면의 면적을 제외하고 상기 구조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 상에 놓이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블라인드 보어는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로부터 이격되는 복수의 이격된 보조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에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보조 구멍들 중 하나를 통해 각각 수용 가능한 복수의 기계적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체결구는 확대된 헤드 및 상기 직선형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 스템을 구비한 볼트를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포스트는 원통형인, 앵커 플랫폼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아래로부터 상기 구조에 상기 앵커 플랫폼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수용 가능한 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들어지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와 병합되는 비나사산 관통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는, 이의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비나사산 관통 보어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감소된 직경의 넥부를 구비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들어지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13. 제5항에 있어서,
    기저벽 및 이를 통해 형성되는 보어를 구비한 물체 지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물체 지지 부재는 상기 기저벽 보어가 상기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와 정렬되도록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위치가능하여, 상기 물체 지지 부재가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나사산 볼트가 상기 기저벽 보어를 통해 상기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에 삽입될 수 있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14. 제5항에 있어서,
    대략 평탄한 기저벽, 및 각각 상기 기저벽의 반대편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저벽과 함께, 물체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된 단부를 갖는 채널을 획정하는 한 쌍의 이격된 직립식 측벽을 구비하는 물체를 위한 기다란 U자형 물체 지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지지 부재는,
    각각 상기 기저벽의 반대편 단부에 결합되며, 각각 관통 보어가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측벽,
    평탄한 기저부 및 상기 평탄한 기저부에 결합되는 직립식 관형 바디 부재를 포함하는 지지 스탠드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와 정렬가능한 관통 보어가 상기 평탄한 기저부를 통해 형성되어, 상기 지지 스탠드의 상기 평탄한 기저부가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도록 상기 나사산 볼트가 상기 기저부 관통 보어를 통해 상기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관형 바디 부재는 대향 측벽들을 구비하되, 이들 각각은 반대편 측벽의 관통 보어와 정렬되는 관통 보어를 구비하는, 지지 스탠드, 및
    상기 지지 스탠드의 상기 측벽 관통 보어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물체 지지 부재의 상기 측벽 관통 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지지 스탠드에 상기 물체 지지 부재를 기계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스탠드는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나사산 블라인드 보어 및 상기 기저벽의 상기 관통 보어를 통해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기계적으로 체결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로서 피뢰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뢰침은 하단부를 구비하며,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보어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하단부 상에 제공되는,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위에서 상기 피뢰침 상에 제공되는 확대된 칼라(enlarged collar)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로서 피뢰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뢰침은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너트가 결합된 하단부를 구비하는, 조립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경사형 지붕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절곡되는,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평탄한 중앙부를 구비하되, 이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보어가 연장되고, 한 쌍의 하향 연장된 날개가 상기 평탄한 중앙부의 양측에 결합되며 그로부터 연장되는, 조립체.
  21. 제7항에 있어서,
    접지 케이블을 위한 클램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조립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를 포함하는,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대략 원형의 평탄한 플랜지인,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관통 보어를 구비한 다각형 형상의 너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부착되되, 이의 관통 보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블라인드 보어와 축방향으로 정렬 및 정합되는,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형상의 너트는 육각형 형상의 너트인, 앵커 플랫폼 조립체.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는 개방된 상단부 및 개방된 하단부를 갖는 관통 보어를 구비한 상부 관형 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된 하단부는 수나사산 하부 샤프트부의 나사산 보어와 병합되어, 상기 포스트의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블라인드 보어를 함께 획정하는, 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의 상기 관통 보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체.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보어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앵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지지 구조 내로 상기 앵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상기 관형 넥부의 상기 개방된 상단부에 인접하게 및 그 안에 형성되는 포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플랫 헤드 나사 슬롯으로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조립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앨런 키 포트로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조립체.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체결구는 확대된 헤드 및 상기 직선형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 스템을 구비한 볼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에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부면은 상기 포스트에 의해 덮이는 상기 하부면의 면적을 제외하고 상기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 상에 놓이는, 조립체.
  3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로서 피뢰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뢰침은 하단부를 구비하며,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보어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하단부 상에 제공되는, 조립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위에서 상기 피뢰침 내에 제공되는 확대된 칼라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37. 제35항에 있어서,
    접지 케이블을 위한 클램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확대된 칼라 아래에서 상기 피뢰침의 상기 하단부 상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조립체.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역할을 하는 접지 케이블을 위한 클램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피뢰침의 상기 하단부 상에 수용 가능한, 조립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대략 원형의 평탄한 플랜지인, 조립체.
  41. 제40항에 있어서,
    관통 보어를 구비한 다각형 형상의 너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부착되되, 이의 관통 보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블라인드 보어와 축방향으로 정렬 및 정합되는, 조립체.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형상의 너트는 육각형 형상의 너트인, 앵커 플랫폼 조립체.
  43. 제42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단부 및 개방된 하단부를 갖는 관통 보어를 구비한 기다란 관형 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개방된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면에 부착되되, 이의 관통 보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블라인드 보어와 축방향으로 정렬 및 정합되는, 조립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넥부의 상기 관통 보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체.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보어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앵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지지 구조 내로 상기 앵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상기 기다란 넥부의 상기 개방된 단부에 인접하게 및 그 안에 형성되는 포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47. 구조에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로서,
    대략 평탄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구비한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로, 2개의 원통형 포스트가 각각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 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단부들은 서로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의 포스트가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관통 보어와 축방향으로 정렬 및 정합되며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수직 연장되도록,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보어 내로 연장되며, 상기 포스트들은 각각 제2 자유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포스트에 의해 덮이는 상기 제2 표면의 면적을 제외하고, 상기 구조가 상기 제2 표면에 대해 대략 동일 높이 상에 놓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 및
    직선형 나사산을 구비한 원통형 기계적 체결구를 포함하는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48.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들 중 상기 적어도 하나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49.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들 둘 다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앵커 플랫폼 조립체.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는 직선형 에지를 구비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스터드를 포함하는, 조립체.
  5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자유 단부 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블라인드 보어를 구비하는, 조립체.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보어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앵커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보어의 상기 개방된 상단부에 인접하게 및 그 안에 형성되는 포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플랫 헤드 나사 슬롯으로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조립체.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앨런 키 포트로 구성되며 치수결정되는, 조립체.
  56.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들 중 하나 상에 수용 가능한 관통 구멍을 구비한 태양 전지판을 위한 L자형 지지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58.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L자형 지지구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수용 가능한 너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체.
  59.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들은 모두 상기 제2 자유 단부 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블라인드 보어를 구비하는, 조립체.
  6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포스트는 상이한 직경을 가지는, 조립체.
  6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포스트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조립체.
  6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접착제의 수용을 위해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하는, 조립체.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원형이며, 상기 앵커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 보어의 외부로 이격되는, 조립체.
  64. 제51항에 있어서,
    물체의 역할을 하는 피뢰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뢰침은 하단부를 구비하며, 물체를 체결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블라인드 보어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하단부 상에 제공되는, 조립체.
  65. 제48항에 있어서,
    접지 케이블을 위한 클램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나사산 포스트 상에 나사식으로 수용 가능한, 조립체.
KR1020217005127A 2018-07-24 2019-07-24 지붕 액세서리 구조에 특히 유용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KR20210037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02486P 2018-07-24 2018-07-24
US62/702,486 2018-07-24
PCT/US2018/065465 WO2019125907A1 (en) 2017-12-22 2018-12-13 Anchor platform assembly
USPCT/US2018/065465 2018-12-13
PCT/US2019/018592 WO2019164843A1 (en) 2018-02-20 2019-02-19 Combined anchor and fastener assembly
USPCT/US2019/018592 2019-02-19
PCT/US2019/043264 WO2020023653A1 (en) 2018-07-24 2019-07-24 Anchor platform assembly especially useful for roof accessory struc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686A true KR20210037686A (ko) 2021-04-06

Family

ID=6918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127A KR20210037686A (ko) 2018-07-24 2019-07-24 지붕 액세서리 구조에 특히 유용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827515A4 (ko)
JP (1) JP7476166B2 (ko)
KR (1) KR20210037686A (ko)
CN (1) CN112840558A (ko)
AU (1) AU2019309371A1 (ko)
CA (1) CA3106526A1 (ko)
IL (1) IL280171A (ko)
WO (1) WO2020023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2387B (zh) * 2020-03-20 2023-10-24 上海澎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微流控测控元件的安装平台
DE102021100385A1 (de) 2021-01-12 2022-07-14 Felix Rostock Montagevorrichtung als Dachkonsole
CN113107258A (zh) * 2021-04-09 2021-07-13 广东欣粤电力器材有限公司 一种电杆防沉降底盘
WO2023192940A1 (en) * 2022-03-30 2023-10-05 Bmic Llc Systems and apparatuses for a modular electronics roofing attach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GB2617350A (en) * 2022-04-05 2023-10-11 Pure Vista Ltd Panel support fix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5181A (en) * 1961-08-07 1966-04-12 Lloyd G Stephenson Anchor plate for posts
FR1523309A (fr) * 1967-03-20 1968-05-03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éléments destinés notamment à la couverture ou au bardage de bâtiments
JPS552073U (ko) * 1978-06-22 1980-01-08
JP2561261Y2 (ja) * 1993-10-29 1998-01-2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ロープ掛け金具の取付構造
US6015138A (en) * 1996-12-12 2000-01-18 Kohlberger; Walter Newel post anchoring device
US6557912B1 (en) * 1999-04-01 2003-05-06 International Business And Technology Corporation Multi-positional advanced door security lock
US6295773B1 (en) * 1999-07-22 2001-10-02 Louis Karl Alty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an object to a first structure through a hole in a second structure
US6324800B1 (en) 1999-12-06 2001-12-04 Portable Pipe Hangers, Inc. Support base
DE20314003U1 (de) * 2003-09-09 2003-11-13 Boellhoff Gmbh Toleranzausgleichsanordnung
US20080240883A1 (en) * 2007-03-30 2008-10-02 Tennant Company Threaded Inser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90293417A1 (en) * 2008-05-27 2009-12-03 Chunqiao Ren Grating fastening methods and systems
US8826618B2 (en) 2011-03-15 2014-09-09 Vermont Slate & Copper Services, Inc. Roof mount assembly
DE202009015787U1 (de) * 2009-11-18 2010-03-04 Harald Zahn Gmbh Montagevorrichtung für Solaranlagen auf Flachdächern
DE102010036305A1 (de) 2010-07-08 2012-01-12 Sfs Intec Holding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Tragkonstruktion auf einem Flachdach
JP5675295B2 (ja) * 2010-11-18 2015-02-25 サンコーテクノ株式会社 基礎用あと施工アンカー
DE102011116877A1 (de) * 2011-10-25 2013-04-25 Günther Spiegelsberger Isolierdübel
JP6027458B2 (ja) * 2013-02-12 2016-11-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防水支持構造及び支持アンカー
JP6804024B2 (ja) * 2015-06-03 2020-12-23 オンガード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固定アセンブリ
CA2952129C (en) * 2015-12-18 2019-08-13 Richard Bergman Concealed structural post fastening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76166B2 (ja) 2024-04-30
EP3827515A4 (en) 2022-05-25
EP3827515A1 (en) 2021-06-02
JP2021532292A (ja) 2021-11-25
CA3106526A1 (en) 2020-01-30
CN112840558A (zh) 2021-05-25
WO2020023653A1 (en) 2020-01-30
AU2019309371A1 (en) 2021-02-11
IL280171A (en) 202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8066B2 (en) Anchor platform assembly especially useful for roof accessory structures
KR20210037686A (ko) 지붕 액세서리 구조에 특히 유용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JP7442507B2 (ja) 特にコンクリート構造物を対象とする組み合わされたアンカー及び締結具組立体、並びにそれを用いる方法
NO20210985A1 (en) Anchor and railing assembly
KR20210043612A (ko) 각진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한 앵커 플랫폼 조립체
US20230399849A1 (en) Anchor platform assembly especially useful for roof accessory structures
US20220412092A1 (en) Anchor platform assembly with angled baseplate
US20240159056A1 (en) Combined anchor and fastener assembly especially intended for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 employ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