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195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195A
KR20210037195A KR1020190119481A KR20190119481A KR20210037195A KR 20210037195 A KR20210037195 A KR 20210037195A KR 1020190119481 A KR1020190119481 A KR 1020190119481A KR 20190119481 A KR20190119481 A KR 20190119481A KR 20210037195 A KR20210037195 A KR 20210037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wiper
main body
cosmetic container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1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195A/ko
Publication of KR2021003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고, 일측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일 방향에 대한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측 벽면에 점착된 화장료를 쓸어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벽 와이퍼; 및 상기 내벽 와이퍼를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는 속눈썹이 길고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장 도구로서, 마스카라액이 묻은 브러쉬로 속눈썹을 빗어 올리는 동작을 통해 마스카라액을 속눈썹에 도포함으로써 속눈썹 화장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와 같이 점도가 높은 화장료를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가 저장되는 저장 용기와, 저장 용기를 개폐하고 내용물을 캡쳐하여 도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저장 용기로부터 어플리케이터를 분리하여 어플리케이터에 캡쳐된 화장료를 도포하여 화장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마스카라액과 같이 점도가 높은 화장료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당량의 화장료가 저장 용기의 내벽에 점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처럼 저장 용기의 내벽에 점착된 화장료는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캡쳐되지 못하는 바, 저장 용기 내의 화장료가 완전히 사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690605호 (2016.12.28.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되지 못하고 용기 내벽에 남아있는 화장료를 줄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고, 일측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일 방향에 대한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측 벽면에 점착된 화장료를 쓸어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벽 와이퍼; 및 상기 내벽 와이퍼를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 와이퍼의 외측 둘레면은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내벽 와이퍼의 외경은 상기 본체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 와이퍼는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면과 대응되는 둘레면을 갖는 제1 내벽 와이퍼; 및 상기 제1 내벽 와이퍼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내벽 와이퍼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벽 와이퍼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둘레면의 폭이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벽 와이퍼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내벽 와이퍼가 상기 조작부를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내벽 와이퍼와 상기 조작부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성체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면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오목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조작부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상기 일 방향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화장료가 저장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고,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목부는 상기 저장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료를 캡쳐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사용하지 못하고 용기 내벽에 남아있는 화장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솔대를 제외한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솔대를 제외한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화장료를 저장하고, 화장료가 묻은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화장 부위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도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품 용기(1)는 화장료, 특히 마스카라액을 저장하고 도포할 수 있는, 속눈썹 화장을 하기 위한 화장 도구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를 가지는 마스카라액 이외의 다른 화장료를 저장하고 도포할 수 있는 화장도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용기(1)는 립 틴트, 립 오일, 컨실러 등의 화장료를 저장하고 도포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의 화장도구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1)는, 본체(10)와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와 스토퍼(40)와 어플리케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C)가 일정량 저장될 수 있다. 본체(10)는 일측에 화장료(C)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1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의 개구(131)는 어플리케이터(50)를 출입시키는 입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10)는 용기 형상일 수 있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화장료(C)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11)와, 어플리케이터(50)가 결합될 수 있는 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어플리케이터(50)의 일부에 묻은 화장료를 쓸어줄 수 있는 브러시 와이퍼(19)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는 화장료(C)와 후술하는 내벽 와이퍼(20)를 함께 수용할 수 있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1)에 수용되는 화장료(C)는 마스카라액과 같이 점도가 비교적 높은 바, 화장료(C)가 사용됨에 따라 화장료(C)의 일부가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저장부(11)의 하부에 모이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저장부(11)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내벽 와이퍼(20)를 이용하여, 저장부(11)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있는 화장료(C)를 저장부(11)의 하측으로 쓸어 내릴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저장부(11)가 연장되는 방향인 일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목부(13)는 저장부(11)의 일측에 제공되고, 일측에 개방된 개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31)는 어플리케이터(50)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개구(131)를 통해 어플리케이터(50)를 본체(10)의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목부(13)는 저장부(11)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목부(13)가 저장부(11)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바, 저장부(11)의 내측에 수용된 내벽 와이퍼(20)가 목부(13)를 통해 저장부(1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1)와 목부(13)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예로 설명하여, '직경'은 이들의 단면 상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부(11)와 목부(13)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부(11)와 목부(13)가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경우, '직경'은 사각형의 한 변의 크기 또는 대각선의 크기 등 사각형의 크기를 나타내는 변수로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목부(13)의 내측에는 어플리케이터(50)에 의해 캡쳐된 화장료(C)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브러시 와이퍼(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플리케이터(50)에 화장료(C)가 과하게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후술하는 조작부(30)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측면에는 조작부(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향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홈(15)의 하측에 제공되는 결합홈(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내벽 와이퍼(20)는 본체(10)의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붙어 있는 화장료(C)를 쓸어낼 수 있는 것으로서, 저장부(11)의 내부에서 본체(10)가 연장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내벽 와이퍼(20)는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된 화장료(C)를 쓸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벽 와이퍼(20)가 하방 이동됨으로써,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있는 화장료(C)를 저장부(11)의 하측으로 쓸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있던 화장료(C)가 저장부(11)의 하측으로 모일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50)로 저장부(11)의 하측에 모인 화장료(C)를 캡쳐할 수 있다.
내벽 와이퍼(20)는 저장부(11)의 내측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벽 와이퍼(20)의 외경은 저장부(11)의 내경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벽 와이퍼(20)의 외측 둘레면이 저장부(11)의 내벽에 접촉된 상태로 내벽 와이퍼(20)가 저장부(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벽 와이퍼(20)는, 중앙에 관통되는 중공부(21)와, 저장부(11)의 내측과 대응되는 둘레면(22a)을 갖는 제1 내벽 와이퍼(22)와, 제1 내벽 와이퍼(22)로부터 본체(10) 내측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내벽 와이퍼(2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21)는 내벽 와이퍼(20)의 중앙에 관통되는 홀로서, 어플리케이터(50)가 관통될 수 있다. 중공부(21)는 브러시(55)의 최대 단면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어플리케이터(50)가 중공부(21)를 통해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다.
제1 내벽 와이퍼(22)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둘레면의 폭(W)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이란 화장품 용기(1)를 바닥면에 세웠을 때 화장료(C)가 모이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1) 내측에 점착된 화장료(C)와 처음 접하는 부분은 날카로운 형상이 될 수 있는바, 내벽 와이퍼(20)가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있는 화장료(C)를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제2 내벽 와이퍼(24)는 제1 내벽 와이퍼(22)로부터 본체(10) 내측 중심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내벽 와이퍼(22)는 제1 내벽 와이퍼(22)로부터 솔대(53)가 위치하는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3 참조). 제1 내벽 와이퍼(22)로부터 본체(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내벽 와이퍼(24)가 제공되는 바, 내벽 와이퍼(20)의 하방 이동 시, 제1 내벽 와이퍼(22)로 인해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화장료(C)가 중공부(21)를 통해 내벽 와이퍼(20)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벽 와이퍼(20)가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제공됨으로써, 내벽 와이퍼(20)가 하강함에 따라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있는 화장료(C)를 저장부(11)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쓸어줄 수 있다.
조작부(30)는 내벽 와이퍼(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는 본체(10)의 저장부(11)의 외측 둘레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부(30)는 저장부(11)의 외축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함몰된 가이드홈(15)이 형성될 수 있고, 조작부(30)의 내측 둘레면에는 가이드홈(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31)가 가이드홈(15)에 끼워져 가이드홈(1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조작부(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1) 및 가이드홈(15)이 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돌출부(31)와 가이드홈(1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출부(31)와 가이드홈(15)은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31)는 조작부(30)의 내측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1)는 조작부(30)의 내측 둘레면에 120°의 간격으로 3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5)도 저장부(11)의 외측 둘레면에 120°의 간격으로 3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돌출부(31)와 가이드홈(15)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로, 돌출부(31)와 가이드홈(15)은 90°의 간격으로 4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는 자성체로 제공될 수 있고,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와의 자력에 의해 조작부(30)가 내벽 와이퍼(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 사이에 인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작부(30)를 따라 내벽 와이퍼(20)가 저장부(11)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고,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 중 다른 하나는 자석과 상호작용 가능한 자성체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가 모두 자석으로 제공되되, 내벽 와이퍼(20)의 둘레면(22a)과 조작부(30)의 내측 둘레면이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 사이에 인력이 발생될 수 있는 바, 내벽 와이퍼(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작부(30)를 따라 저장부(1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40)는 가이드홈(15)의 일측에 결합되어 조작부(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40)는 가이드홈(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가이드홈(1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40)는 가이드홈(15)의 개수와 동일하게 3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40)에는 결합돌기(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5)의 내측에 함몰된 결합홈(17)에 결합돌기(41)가 결합되어, 스토퍼(40)가 가이드홈(15)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41)가 결합홈(17)에 결합됨으로써, 스토퍼(40)가 가이드홈(15)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스토퍼(40)의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터(50)는 저장부(11)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캡쳐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51)와 솔대(53)와 브러시(5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1)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화장료(C)가 묻지 않는 위치에 제공되고, 파지 가능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51)는 견고한 고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51)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51)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로 손잡이(51)의 재질은 금속일 수 있다.
솔대(53)는 손잡이(5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브러시(55)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대(53)의 일측에는 손잡이(51)가 구비되고, 솔대(53)의 타측에는 브러시(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솔대(53)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금, 은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솔대(53)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브러시(55)를 통한 화장료(C) 도포 시 솔대(53)의 과도한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브러시(55)는 마스카라액으로 제공되는 화장료(C)를 속눈썹에 도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속눈썹을 빗질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솔이 구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브러시(55)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부위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브러시(55)는 스폰지와 같은 다공성 소재로 제공되어, 입술과 같은 부위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본체(10)와 내벽 와이퍼(20)와 조작부(30)와 스토퍼(40)와 어플리케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용기 형상으로 제공되어, 내부에 화장료(C)와 내벽 와이퍼(2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화장료(C)가 수용되는 저장부(11)와, 어플리케이터(50)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131)가 형성되는 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목부(13)는 저장부(11) 및 내벽 와이퍼(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저장부(11)의 내부에 수용된 내벽 와이퍼(20)가 저장부(11)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벽 와이퍼(20)는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있는 화장료(C)를 쓸어낼 수 있는 것으로서, 저장부(11)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내벽 와이퍼(20)는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저장부(11)의 내부에서 성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벽 와이퍼(20)는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의 둘레면(22a)을 갖는 제1 내벽 와이퍼(22)와, 제1 내벽 와이퍼(22)로부터 본체(10) 내측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내벽 와이퍼(24)와, 중앙에 관통되는 중공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벽 와이퍼(22)는 저장부(11)의 내측 벽면과 접촉되는 둘레면(22a)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내벽 와이퍼(2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둘레면의 폭(W)의 작아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내벽 와이퍼(22)의 최하단부는 날카로운 형상을 갖는 바, 내벽 와이퍼(20)의 이동 시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화장료(C)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제2 내벽 와이퍼(24)는 제1 내벽 와이퍼로부터 본체(1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벽 와이퍼(20)의 하방 이동 시 제1 내벽 와이퍼(22)로 인해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화장료(C)가 중공부(21)를 통해 내벽 와이퍼(20)의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분리된 화장료(C)가 모두 저장부(11)의 하측으로 모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내벽 와이퍼(20)의 상하 방향 이동은 조작부(30)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는 저장부(11)의 외측 둘레면에 끼워지는 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0)에 형성되는 돌출부(31)가 저장부(11)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5)에 끼어진 상태로 가이드홈(15)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부(30)가 상하 방향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5)의 일측에 스토퍼(40)가 결합되어, 조작부(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40)는 조작부(30)의 돌출부(31)가 가이드홈(15)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바, 조작부(30)가 본체(10)의 외측 둘레면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한다.
한편, 조작부(30)와 내벽 와이퍼(20)가 자성체로 제공됨으로써, 조작부(30)와 내벽 와이퍼(20) 사이에 인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벽 와이퍼(20)는 조작부(30)를 따라 저장부(11)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0)의 상하 방향 이동은 사용자가 조작부(30)에 가하는 힘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화장료(C)를 일정량 사용 후,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있는 화장료(C)를 저장부(11)의 하측으로 쓸어내리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3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조작부(30)를 하방 이동시킬 수 있으며, 조작부(30)와 내벽 와이퍼(20) 사이의 인력에 의해 내벽 와이퍼(20)가 조작부(30)를 따라 저장부(11)의 내부에서 하방 이동될 수 있다.
내벽 와이퍼(20)가 조작부(30)를 따라 저장부(11)의 내부에서 하방 이동되면, 제1 내벽 와이퍼(22)의 둘레면(22a)이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하방 이동될 수 있고,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있는 화장료(C)를 저장부(11)의 하측으로 쓸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붙어 있던 화장료(C)가 저장부(11)의 하측으로 모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50)를 통해 캡쳐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저장부(11)의 내측 벽면에 점착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화장료(C)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나열이다.
항목 1은, 화장료를 일정량 저장할 수 있고, 일측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일 방향에 대한 이동에 의해 본체의 내측 벽면에 점착된 화장료를 쓸어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벽 와이퍼; 및 내벽 와이퍼를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2는, 내벽 와이퍼의 외측 둘레면은 본체의 내측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제공되고, 내벽 와이퍼의 외경은 본체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항목 1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3은, 내벽 와이퍼는 본체의 내측 둘레면과 대응되는 둘레면을 갖는 제1 내벽 와이퍼; 및 제1 내벽 와이퍼로부터 본체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내벽 와이퍼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4는, 제1 내벽 와이퍼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둘레면의 폭이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3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5는, 조작부는 본체의 외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의 외부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4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6은, 내벽 와이퍼와 조작부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내벽 와이퍼가 조작부를 따라 본체의 내부에서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벽 와이퍼와 조작부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성체로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5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7은, 조작부는 본체의 외측 둘레면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6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8은, 본체의 외측 둘레에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오목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조작부는 가이드홈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조작부가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7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9는, 본체의 일측 단부에는, 조작부의 일 방향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제공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8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0은, 본체는, 화장료가 저장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고,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목부를 포함하되, 목부는 저장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항목 1 내지 항목 9의 화장품 용기이다.
항목 11은, 본체에 수용된 화장료를 캡쳐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10의 화장품 용기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화장품 용기
10: 본체
20: 내벽 와이퍼
30: 조작부
40: 스토퍼
50: 어플리케이터

Claims (11)

  1.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고, 일측에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일 방향에 대한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측 벽면에 점착된 화장료를 쓸어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내벽 와이퍼; 및
    상기 내벽 와이퍼를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와이퍼의 외측 둘레면은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내벽 와이퍼의 외경은 상기 본체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와이퍼는 상기 본체의 내측 둘레면과 대응되는 둘레면을 갖는 제1 내벽 와이퍼; 및
    상기 제1 내벽 와이퍼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2 내벽 와이퍼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벽 와이퍼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둘레면의 폭이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부 둘레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와이퍼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내벽 와이퍼가 상기 조작부를 따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내벽 와이퍼와 상기 조작부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성체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면을 둘러싸는 링 형태로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오목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이드홈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조작부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상기 일 방향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제공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장료가 저장되고,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통 형상으로 제공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제공되고, 화장료를 토출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하는 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목부는 상기 저장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화장품 용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료를 캡쳐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119481A 2019-09-27 2019-09-27 화장품 용기 KR20210037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481A KR20210037195A (ko) 2019-09-27 2019-09-27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481A KR20210037195A (ko) 2019-09-27 2019-09-27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195A true KR20210037195A (ko) 2021-04-06

Family

ID=7547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481A KR20210037195A (ko) 2019-09-27 2019-09-27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1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605B1 (ko) 2016-03-30 2016-12-28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마스카라 와이퍼 및 이를 구비한 마스카라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605B1 (ko) 2016-03-30 2016-12-28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마스카라 와이퍼 및 이를 구비한 마스카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5818B1 (en) Cosmetic systems
US7309185B2 (en) Twist up pen type dispenser with brush applicator
US10575619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closure
CN104248212A (zh) 具有可调节套箍的化妆工具
CN109068839B (zh) 双重毛刷
JP2015527127A (ja) 化粧品塗布具、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02695439A (zh) 具有可取出、可转动的内置涂抹器的化妆品涂抹器
US8439048B2 (en) Device for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that includes magnetic particles, and an assembly including the device
EP0209846B1 (en) Mascara applicator having retractable brush
US7487784B2 (en) Applicator including a stem connected to a handle member via a hinge
CN107072374A (zh) 带涂抹器的盖子以及装有这种盖子的包装
US20200367631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separately formed surfaces
CN109982603A (zh) 用于将美容产品涂抹到角蛋白材料的涂抹器
CN111050598A (zh) 尖端涂抹器及具备该尖端涂抹器的化妆品涂抹装置
US20130276817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Paddle-Shaped Applicator Tip
RU2454733C2 (ru) Сосуд для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сосуд, и применение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на поверхность содержащегося в сосуде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JP2007000631A (ja) マスカラ容器とアプリケータとの組み立て部品及びこの化粧への適用方法
JP6346996B2 (ja) 美容用、化粧用、またはケア用の製品を塗布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KR102374770B1 (ko) 액체 매체를 도포하는 장치
EP3646754A1 (en) Brush and mascara container including same
US10455928B2 (en) Hair brush element and hair brush configurations
KR20190101499A (ko) 코스메틱 또는 케어 제품을 적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KR20210037195A (ko) 화장품 용기
KR102387351B1 (ko) 칼라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용 물품
KR20200144304A (ko)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