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958A -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요소 - Google Patents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958A
KR20210036958A KR1020217005777A KR20217005777A KR20210036958A KR 20210036958 A KR20210036958 A KR 20210036958A KR 1020217005777 A KR1020217005777 A KR 1020217005777A KR 20217005777 A KR20217005777 A KR 20217005777A KR 20210036958 A KR20210036958 A KR 20210036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pability
terminal
signaling optimiz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687B1 (ko
Inventor
샤오완 케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개시에서는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요소를 제공하며, 해당 방법은: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요소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8월 1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866294.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요소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에 따라, 단말에서 지원해야 할 능력은 더욱더 많아지고, 동시에 단말에서 네트워크에 보고해야 할 능력도 더욱더 많다. 이로하여,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라디오의 부하는 더욱더 크다.
그러나,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어떻게 감소할지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요소를 제공하여,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어떻게 감소할지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 제1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의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3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코어 네트워크(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2 정보는: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 제1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로서,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1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수행 모듈; 을 포함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1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제3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코어 네트워크(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1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제2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3 획득 모듈; 및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2 정보는: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1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술한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는 단말이거나 또는 네트워크측 요소일 수 있다.
제1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술한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요소로 하여금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도 3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도 4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도 5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흐름도 6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보고 과정의 흐름도 1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보고 과정의 흐름도 2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지 과정의 흐름도 1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지 과정의 흐름도 2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예시도 1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예시도 2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요소의 구조 예시도 1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요소의 구조 예시도 2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예시도 3이다.
도 16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요소의 구조 예시도 3이다.
도 17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예시도 4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요소의 구조 예시도 4이다.
먼저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의 능력은 무선 능력과 코어 네트워크 능력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무선 능력에 있어서, 단말은 네트워크의 요청에 따라 단말의 무선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능력에 있어서, 단말은 등록할 때 단말의 네트워크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 개의 밴드(Band) 및 주파수(frequency)를 지원할 수 있다. CA(Carrier Aggregation 반송파 중합) 및 DC(Dual Connectivity 듀어 접속)등 기술의 도입에 따라, 다양한 가능한 밴드 조합들을 배열하고 조합해야 하는데, 각 단말 업체가 지원하는 대역 조합들은 각각 상이할 수도 있어, 무선 능력이 특별하게 크게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진화에 따라, 더욱더 많은 특성들이 네트워크로 도입되고, 상이한 특성은 통상적으로 상이한 무선 능력 및 네트워크 능력이 필요하다. 관련되는 네트워크 특성에 대해, 단말은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알려야 한다.
통상적으로, 각 업체의 단말은 모두 예하면,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 코드(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IMEI)와 같은 기기 식별자 정보가 있다. IMEI에는 타입 할당 코드(Type Allocation Code,TAC)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TAC는 통상적으로 8자리 숫자로 구성(조기에는 6자리 임)되었으며, 이러한 숫자들은 단말 브랜드 및 모델을 구분하기 위한 코딩이고, 상기 TAC는 GSMA 및 라이선스 메커니즘에 의해 할당된다. 그 중 상기 TAC의 앞 두자리를 할당 메커니즘 식별자(Reporting Body Identifier)으로 칭할 수도 있고, 라이센스 IMEI 할당 메커니즘의 코드이며, 예컨대, 01은 미국 CTIA이고, 35는 영국 BABT이며, 86은 중국 TAF이다. TAC를 통해, 동일한 하나의 단말 모델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하나의 단말 모델의 단말 능력은 통상적으로 동일하다.
IMEI에는 또한 소프트웨어 버전 번호(Software Version Number,SVN)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SVN은 동일한 모델의 단말이 출시할 때 사용한 상이한 소프트웨어 버전을 구분할 수 있다. SVN은 단지 부분 브랜드의 부분 기계에만 존재한다. 상이한 SVN은 상이한 단말 능력을 대응할 수 있다.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하기 위해,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을 지시할 수 있는 식별자 정보를 설치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방법은 단말이 단지 네트워크에 단말 능력을 지시하는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는 단말 능력을 지시 하는 식별자 정보를 통해 매핑하여 단말 능력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단말 능력을 지시하는 능력 식별자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만약 단말은 늘 네트워크를 액세스한 후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보고한다면, 단말은 네트워크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지 못하며, 아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문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RAN) 요소 및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CN) 요소가 모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아닐 수 있고, 단말은 RAN 요소 또는 CN 요소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지 못한다.
만약 단말이 매번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때마다 능력 식별자 정보를 보고한다면, 일정한 오버헤드를 초래하며, 이로하여 네트워크에서 요청한 후 보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오버헤드를 감소하고, 더 나아가 능력 시그널링을 최적화한다. 그러나 네트워크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 때,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지 못하기에, 아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문제 1: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예하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라고 칭함)은 하나의 선택가능한 특징이고, 네트워크는 현재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지 못한다.
문제 2: 단말은 예하면 기존 네트워크 테스트할 때와 같은 일부 특수한 시나리오에서, 가능하면 동적으로 일부 단말 능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동적으로 능력 식별자 정보의 변경을 대응한다면, 빈번하게 보고를 변경하여야 하고, 네트워크는 또한 단말을 향해 변경후의 능력 식별자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을 획득하여야 하며, 오히려 대량의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수반된다. 만약 능력 식별자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다면,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와 단말 능력 사이는 일 대 일의 매핑 관계가 아니다. 이로하여, 일부 시나리오에서,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 상기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 능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 능력의 변경을 지원하지 않는다.
문제 3: 소스 기지국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때, 만약 단말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스위칭하면, 타겟 기지국은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모르고, 단말의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지 못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단말 능력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와 단말 능력 정보 사이에는 매핑 관계가 존재하고,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통해 단말 능력을 매핑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한 세트의 단말 능력 또는 완전한 단말 능력을 매핑할 수 있다.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의 크기는 단말 능력보다 작기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감소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단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네트워크는 단말을 위해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고, 운영자의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전용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공중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고, 개인 소유 통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PLMN 또는 기타(예컨대, 개인 소유 통신 네트워크가 셀프로 배치한 식별자)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타입은: 통신 네트워크 타입, 무선 액세스 기술의 타입,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타입 및 네트워크 세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통신 네트워크 타입은: GSM, EDGE, GPRS, GSM-CS, GSM-PS, CS, PS, CDMA, 3GPP2 1xCS, EPS 및 5GS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무선 액세스 기술의 타입은: GERAN, GERAN-CS, GERAN-PS, EDGE, UTRA, TD-SCDMA, WCDMA, HSPA, CDMA, CDMA 2000, 3GPP2 1xCS, cdma2000-1XRTT, EUTRA, LTE FDD, LTE TDD, 3GPP, N3GPP, 3GPP2, WLAN, NB IOT, NG RAN, EUTRA-NR 및 N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타입은: GERAN, GERAN-CS, GERAN-PS, EDGE, UTRAN, TD-SCDMA, WCDMA, HSPA, CDMA, CDMA 2000, 3GPP2 1xCS, cdma2000-1XRTT, EUTRAN, LTE FDD, LTE TDD, 3GPP, N3GPP, 3GPP2, WLAN, NB IOT, NG RAN, EUTRA-NR 및 N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세대는: 2G 네트워크, 3G 네트워크, 4G 네트워크, 5G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능력은: 단말 코어 네트워크 능력 및 단말 무선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코어 네트워크 능력을 단말 네트워크 능력, 비 액세스 네트워크(NAS)능력으로 칭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무선 능력은: 반송파 중합(CA) 능력 및 듀어 접속(DC)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코어 네트워크 능력은: 5G 세션 관리 능력, 5G 이동성 관리 능력, 사용자 단말 네트워크 능력(UE Network capability) 및 이동 스테이션 네트워크 능력(MS Network capability) 등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능력은: 5G 네트워크 능력, 4G 네트워크 능력(예컨대, UE Network capability), 및 3G 네트워크 능력(예컨대, MS Network capability) 등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능력"과 " 단말 능력"은 동일한 뜻을 나타내고,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능력 식별자 정보"와 " 단말 능력의 식별자 정보"은 동일한 뜻을 나타내고,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카드"는: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 eUIC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드는 엔티티 카드일 수 있다. 진일보하여, 제N 번째 카드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카드를 제N 번째 카드 슬롯에 배치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프라이머리 카드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카드를 프라이머리 카드 슬롯에 배치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세컨더리 카드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카드를 프라이머리 카드 슬롯에 배치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카드 위치 정보를 또한 카드 슬롯 정보로 칭할 수 있다.
카드는 또한 전자 카드일 수도 있다. 서비스 네트워크는 단말을 위해 복수 개의 카드를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는 무선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및 비 액세스층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또한 optimizations on UE radio capability signaling로 칭하며, RACS로 약칭할 수 있다. 그러나, 설명해야 할 것은, 표준 조직에서는 무선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다른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용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로 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을: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할 수 있고,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고,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부팅으로 칭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할 수 없도록 하고,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지 않고,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디스에이블로 칭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획득을 배치로부터 획득, 수신하여 획득, 요청을 통과한 후 수신하여 획득 또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처리한 후 획득으로 이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수요에 따라 확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요소는: 엔티티 기기, 네트워크 기능 엔티티 및 네트워크 유닛 중 한 항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CN 요소)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 코어 네트워크 노드, 코어 네트워크 기능, 코어 네트워크 요소, 모바일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MME), 액세스 모바일 관리 기능(Access Management Function,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SMF),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UPF),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W, SGW), PDN 게이트웨이(PDN Gate Way,PDN 게이트웨이), 전략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전략과 과금 규칙 기능 유닛(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 GPRS서빙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SGSN),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GGSN)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요소(RAN 요소)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기능,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유닛,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비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앙 유닛(Centralized Unit,CU), 분포식 유닛(Distributed Unit,DU), 기지국,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 B,eNB), 5G 기지국(gN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RNC), 기지국(NodeB), 비 3GPP 인터 작업 기능(Non-3GPP Inter Working Function,N3IWF),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ler,AC) 노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기기 또는 무선 로컬 에어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s,WLAN) 노드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또는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중의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 있고, 또한 WCDMA 중의 기지국(NodeB)일 수 있으며, LTE 중의 진화형 기지국 및 5G 기지국(gNB)일 수도 있는바,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 RAN 요소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단말 기능을 지원하는 중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 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UE)로 칭할 수 있으며,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로 약칭), 모바일 통신망 기기(Mobile Internet Device,MID) 또는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 탑재 기기와 같은 단말측 기기일 수 있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과 기타 단말 능력은 독립적으로 정의된 능력 정보 요소(IE)이다. 단말은 해당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보고하고, 네트워크는 해당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에 따라 능력 식별자 정보를 할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단말을 향해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의 보고 방식에 있어서, 단말은 주동적으로 보고를 진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단말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며; 단말은 또한 네트워크가 요청한 후 보고할 수 있고, 네트워크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을 향해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기능을 디스에이블한후, 네트워크는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단말의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여, 기타 요소를 동기화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에는 단말(단말 능력을 구비한 중계를 포함함)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제1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로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은 제1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제1 정보를 예하면 RAN 요소 및/또는 CN 요소와 같은 네트워크측 요소로 송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측 요소가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단말은 제1 정보를 송신할 때, 주동적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예하면,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때 주동적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요청한 후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101은:
단말이 기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기설정 조건은: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으로부터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변경,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획득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인에이블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디스에이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은 CN 요소, RAN 요소, AMF, MME, 능력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한 항에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측 요소로 하여금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능력을 보고할 때, 상술한 도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주동적으로 보고할 수 있는 외에, 네트워크 요청을 토대로 보고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아래 도 2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단말 능력을 구비한 중계를 포함함)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은 CN 요소, RAN 요소, AMF, MME, 능력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한 항으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02: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 제1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한다.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는: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네트워크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네트워크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 정보는: 카드 슬롯의 식별자 정보, 카드 슬롯의 시퀀스 번호, 제1 카드 슬롯의 정보, 제2 카드 슬롯의 정보, 프라이머리 카드 슬롯 또는 세컨더리 카드 슬롯의 지시 정보, 능력이 모든 카드 슬롯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카드 슬롯을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제1 카드 슬롯은 단말의 프라이머리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일 수 있고, 제2 카드 슬롯은 단말의 세컨더리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방식에서, 단말의 카드 슬롯 정보는 진일보하여 프라이머리 카드의 카드 슬롯 정보 및 세컨더리 카드의 카드 슬롯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능력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를 협조하여 대응되는 카드 슬롯에 대응되는 단말 능력에 단말을 매핑할 수 있음을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진일보하여,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는: 카드 시퀀스 번호, 카드가 위치하는 카드 슬롯 시퀀스 번호, 프라이머리 카드 또는 세컨더리 카드의 지시 정보, 능력이 모든 카드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카드를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를 협조하여 대응되는 카드 슬롯에 대응되는 단말 능력을 단말에 매핑할 수 있음을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진일보하여,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 능력 식별자가 모든 서비스 네트워크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 식별자 정보가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는: 공중 통신 네트워크의 식별자(예컨대, PLMN), 개인 소유 통신 네트워크 식별자(예컨대, TypeA 네트워크 식별자, TypeB 네트워크 식별자)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를 협조하여 상이한 네트워크가 각각 대응하는 단말 능력을 단말에 매핑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하나의 단말에 있어서, 로밍 및 소속지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단말 능력은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모델의 상이한 단말에 있어서, 동일한 하나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하나는 로밍, 하나는 소속지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단말 능력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복수 개의 운영자 네트워크로 공유할 때,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식별자에 따라 단말이 액세스할 네트워크 능력을 알 수 있다. 또한, 예하면 등가 네트워크일 때, 단말의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예하면, PLMN)가 변경될 때, 상이한 단말 능력을 매핑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는: 네트워크 타입, 능력이 모든 네트워크 타입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네트워크 타입을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그 중, 네트워크 타입 정보는 단말이 현재 지원하는 네트워크 타입의 능력을 지시하거나 또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타입의 능력을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타입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는 단말에 상이한 네트워크 타입의 단말 능력을 매핑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하나의 모델의 상이한 단말에 있어서, 하나의 단말은 데이터가 우선(data centric)이고, 5G 네트워크 능력을 인에이블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의 단말은 보이스가 우선(voice centric)이고, 5G 네트워크가 보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정될 때, 5G 네트워크 능력을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 및 능력 식별자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방식에서,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는 능력 식별자 정보의 적용 범위 정보로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러나,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단말 모델 정보, 능력 지시 보조 정보 및 단말 능력 식별자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단계 202 중의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가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라고 지시할 때,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및/또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가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할 때, 단말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가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하라고 지시할 때,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및/또는 단말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가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하라고 지시할 때, 단말 능력 정보, 및/또는 상기 단말 능력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요청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또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요소로 하여금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계 301: 제1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 RAN 요소, AMF, MME, 능력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2: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제1 타겟단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그 중 상기 제1 타겟단은 단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인, 송신하는 단계;
단말의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단계;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회복하는 단계;
제2 타겟단에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그 중, 상기 제2 타겟단은 이미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네트워크측 요소 또는 단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인, 송신하는 단계; 및
제3 타겟단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그 중, 상기 제3 타겟단은 주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측 요소와는 다른 기타 네트워크측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인,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1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1 타겟단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1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1 타겟단에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2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2 타겟단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2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2 타겟단에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회복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3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회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제3 타겟단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4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3 타겟단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조건은: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고,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고,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며,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하고,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인에이블하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조건은: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지원하는 것으로부터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하고,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디스에이블하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조건은: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하고,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인에이블하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조건은: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고,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고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변경하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요소는 획득된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고, 단말로 하여금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 RAN 요소, AMF, MME, 능력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소스단으로부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일 때, 상기 소스단은: RAN 요소 및 단말 중 적어도 한 항일 수 있다. 네트워크측 요소는 RAN 요소일 때, 상기 소스단은: 단말 및 CN 요소 중 적어도 한 항일 수 있다.
단계 402: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에 따라,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단말 모델 정보, 단말 지시 보조 정보 및 단말 능력 식별자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401 이전에, 상기 방법은: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402 중의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 중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고,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한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 중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때,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고,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방식에서, RAN 요소는 단말을 단말 식별자 ID를 백(back)할 것을 요청한다고 가설하면, 만약 단말이 단말 능력 정보를 백한다면,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만약 단말이 단말 ID를 백한다면,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만약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면, 단말은 요청에 따라 보고를 할 수 있으며; 만약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단말 요청을 무시하고, 직접적으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응답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를 협조하여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식 외에, 단말은 주동적으로 능력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여, 단말 능력의 보고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은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단말 능력을 구비한 중계를 포함함)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 제3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은 CN 요소, RAN 요소, AMF, MME, 능력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한 항으로부터 제3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중, 단계 501 중의 획득을 배치로부터 획득, 수신하여 획득, 요청을 통과한 후 수신하여 획득 또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처리한 후 획득으로 이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수요에 따라 확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것을 지시할 때,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은: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고,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며, 및 RAN 요소와 CN 요소가 모두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중 임의의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2: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은: CN 요소, RAN 요소, AMF, MME, 능력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한 항에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정보에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때, 단말은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보고할 수 이다. 제3 정보에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때, 단말은 수요에 따라, RAN 요소에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제3 정보에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때, 단말은 수요에 따라, CN 요소에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 및 능력 식별자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방식에서,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는 능력 식별자 정보의 적용 범위 정보로 나타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단말 모델 정보, 능력 지시 보조 정보 및 단말 능력 식별자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단말 모델 정보 및 능력 지시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및 능력 지시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능력 지시 보조 정보는 능력 식별자의 적용 범위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모델 정보는: 단말 업체 식별자, 타입 할당 코드(예컨대, TAC) 및 소프트웨어 버전 번호(예컨대, SVN)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능력 지시 보조 정보는: 능력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 정보, 능력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예하면, 엔티티 카드의 카드 정보, 전자 카드의 정보), 능력에 대응되는 서비스 네트워크 정보, 능력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 및 능력 타입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능력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 정보는: 카드 슬롯의 식별자 정보, 카드 슬롯의 시퀀스 번호, 제1 카드 슬롯의 정보, 제2 카드 슬롯의 정보, 프라이머리 카드 슬롯 또는 세컨더리 카드 슬롯에 대응되는 지시 정보, 능력이 모든 카드 슬롯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카드 슬롯을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제1 카드 슬롯은 단말의 프라이머리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일 수 있고, 제2 카드 슬롯은 단말의 세컨더리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일 수 있다.
진일보하여, 능력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는: 카드 시퀀스 번호, 카드가 위치하는 카드 슬롯 시퀀스 번호, 프라이머리 카드 또는 세컨더리 카드의 지시 정보, 능력이 모든 카드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카드를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능력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를 협조하여 대응되는 카드에 대응되는 단말 능력을 단말에 매핑할 수 있음을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진일보하여, 능력에 대응되는 서비스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 능력이 모든 서비스 네트워크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는: 공중 통신 네트워크의 식별자(예컨대, PLMN), 개인 소유 통신 네트워크 식별자(예컨대, TypeA 네트워크 식별자, TypeB 네트워크 식별자)을 포함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능력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는: 네트워크 타입, 능력이 모든 네트워크 타입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네트워크 타입을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그 중, 네트워크 타입 정보는 단말이 현재 지원하는 네트워크 타입의 능력을 지시하거나 또는 단말이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타입의 능력을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단말로 하여금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을 알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을 때, 단말은 능력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을 수 있고, 능력 식별자 정보의 보고 전략을 부팅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단말의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 제2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2 정보는: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 RAN 요소, AMF, MME, 능력 관리 기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소스단으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일 때, 상기 소스단은: RAN 요소 및 단말 중 적어도 한 항일 수 있다. 네트워크측 요소는 RAN 요소일 때, 상기 소스단은: CN 요소 중 적어도 한 항일 수 있다.
해당 단계 중의 획득을 배치로부터 획득, 수신하여 획득, 요청을 통과한 후 수신하여 획득 또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처리한 후 획득으로 이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수요에 따라 확정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602: 제2 정보에 따라, 제3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제2 정보 및 제3 정보는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것을 지시할 때,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은: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고,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며, 및 RAN 요소와 CN 요소가 모두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중 임의의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RAN 요소일 때, 상기 RAN 요소는 방송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RAN 요소일 때, 상기 RAN 요소는 CN 요소로부터 상기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일 때, 상기 CN 요소는 단말이 액세스할 때 상기 단말에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지 CN 요소와 RAN 요소가 모두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CN 요소는 단말에 제3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3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따라, 단말로 하여금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을 알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을 때, 단말은 능력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을 수 있고, 능력 식별자 정보의 보고 전략을 부팅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단말의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다.
이 하, 도 7 내지 도 11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주로 단말이 CN 요소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보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7에서 도시되다 시피, 대응되는 보고 과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1: 단말은 RAN 요소를 통해 CN 요소에 NAS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NAS 메시지에는 제1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도 1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그 중, CN 요소는: AMF, PCF, PCRF, OAM 및 능력 관리 기능 요소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CN 요소는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72: CN 요소는 RAN 요소에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에는 NAS 메시지(예하면 등록 수신 메시지) 및 제1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CN 요소는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2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다. 예컨대,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3: RAN 요소는 단말에 RRC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등록 수신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의 등록 과정을 완료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74: 단말은 RAN 요소를 통해 CN 요소에 등록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주로 단말이 RAN 요소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보고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8에서 도시하다 시피, 대응되는 보고 과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1: 단말은 RAN 요소에 RRC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예하면 등록 요청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 일 수 있고, 상기 RRC 메시지에는 제1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보는 도 1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단계 82: RAN 요소는 CN 요소에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에는 등록 요청 메시지 및 제1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CN 요소는: AMF, PCF, PCRF, OAM 및 능력 관리 기능 요소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CN 요소는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하면,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83: CN 요소는 RAN 요소에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예하면 초기 콘텍스트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에는 등록 수신 메시지 및 제1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84: RAN 요소는 단말에 RRC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등록 수신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의 등록 과정을 완료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85: 단말은 RAN 요소를 통해 CN 요소에 등록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86: 이 후, RAN 요소는 단말에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87: 단말은 RAN 요소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피드백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주로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변경하여 CN 요소에 통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9에서 도시하다 시피, 대응되는 통지 과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1: 단말은 RAN 요소를 통해 CN 요소에 NAS 메시지(예하면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NAS 메시지에는 제1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도 1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다. 그 중, CN 요소는: AMF, PCF, PCRF, OAM 및 능력 관리 기능 요소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CN 요소는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는 지원으로부터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변한다.
단계 92: CN 요소는 RAN 요소에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에는 NAS 메시지(예하면 등록 수신 메시지) 및 제1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CN 요소는 제1 정보(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음)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의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한다.
단계 93: RAN 요소는 단말에 RRC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NAS 메시지(예컨대, 등록 수신 메시지),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능력 식별자를 행업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단계 94: 단말은 RAN 요소를 통해 CN 요소에 NAS 메시지(예컨대, 등록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주로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변경하여 RAN 요소에 통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10에서 도시하다 시피, 대응되는 통지 과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 단말은 RAN 요소에 RRC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예하면 등록 요청 메시지일 수 있고, 상기 RRC 메시지에는 제1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도 1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는 지원으로부터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변한다.
단계 12: RAN 요소는 CN 요소에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에는 NAS 메시지(예하면 등록 요청 메시지) 및 제1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CN 요소는: AMF, PCF, PCRF, OAM 및 능력 관리 기능 요소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CN 요소는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하면,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3: 만약 CN 요소 중의 단말의 콘텍스트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을 것을 지시한다면, CN 요소는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예하면 초기 콘텍스트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NG 메시지 또는 S1 메시지에는 NAS 메시지(등록 수신 메시지) 및 제1 정보(예하면,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음)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단계 14: RAN 요소는 단말에 RRC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RRC 메시지는: NAS 메시지(등록 수신 메시지) 및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능력 식별자를 행업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단계 15: 단말은 RAN 요소를 통해 CN 요소에 등록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아래에서는 실시예와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제어 방법에 대응되는 단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11)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11)은: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111)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RACS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송신 모듈(111)은 구체적으로:
기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기설정 조건은: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으로부터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변경,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획득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인에이블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디스에이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측 요소로 하여금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12)를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12)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121);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 제1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122);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RACS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도 2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다.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는 도 2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요청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또는 제1 정보를 송신하고, 네트워크측 요소로 하여금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13)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13)는: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131)로서,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RACS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1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수행 모듈(132);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행 모듈(132)은 구체적으로: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할당하기 위한 것이며;
제1 타겟단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단말의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기 위한 것이며;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며;
제2 타겟단에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및
제3 타겟단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행 모듈(132)의 구체적인 수행 작업은 도 3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요소는 획득된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고, 단말로 하여금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14)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14)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141); 및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RACS를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RACS 능력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142); 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는 도 4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이,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14)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모듈(142)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 중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단말이 RACS를 지원하고, 또는 RACS 능력을 구비한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 중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때, 상기 단말이 RACS를 지원하지 않고, 또는 RACS 능력을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응답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를 협조하여 단말이 RACS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15)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15)은:
제3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151); 및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152);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코어 네트워크(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는 도 5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같으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 및 능력 식별자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단말로 하여금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을 알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을 때, 단말은 능력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을 수 있고, 능력 식별자 정보의 보고 전략을 부팅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단말의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16)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16)는:
제2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3 획득 모듈(161); 및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162);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2 정보는: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것을 지시할 때,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은: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고,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며, 및 RAN 요소와 CN 요소가 모두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중 임의의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RAN 요소일 때, 상기 RAN 요소는 방송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RAN 요소일 때, 상기 RAN 요소는 CN 요소로부터 상기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일 때, 상기 CN 요소는 단말이 액세스할 때 상기 단말에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3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로 하여금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을 알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을 때, 단말은 능력 식별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을 수 있고, 능력 식별자 정보의 보고 전략을 부팅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단말의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다. 단말(1700)은, 무선 주파수 유닛(1701), 네트워크 모듈(1702), 오디오 출력 유닛(1703), 입력 유닛(1704), 센서(1705), 표시 유닛(1706), 사용자 입력 유닛(1707), 인터페이스 유닛(1708), 메모리(1709), 프로세서(1710), 및 전원(17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17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 무선 주파수 유닛(1701)은,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701)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 제1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또는
프로세서(1710)는, 제3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무선 주파수 유닛(1701)은,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코어 네트워크(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로 하여금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때, 보고된 단말 능력 시그널링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한 단말 능력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단말 능력 보고에 수반되는 오버헤드를 감소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7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7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7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17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17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703)은 무선 주파수 유닛(17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7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17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1703)은 또한, 단말(17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7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7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17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7041) 및 마이크(17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7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17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17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7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17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7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17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17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170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17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17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17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17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17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17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1706)은 표시 패널(17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7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7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707)은 터치 패널(17071) 및 기타 입력 기기(17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7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작업(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17071) 상 또는 터치 패널(17071) 부근에서의 작업)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7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작업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1710)로 보내고, 프로세서(17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7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7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1707)은 기타 입력 기기(17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17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17071)은 표시 패널(17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17071)은 터치 패널(17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작업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17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 후, 프로세서(17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7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7에서 터치 패널(17071)과 표시 패널(17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17071)과 표시 패널(170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1708)은 외부 장치가 단말(17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7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17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17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7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17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17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17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17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7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7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17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711)(예컨대,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17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7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오버헤드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7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요소를 더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프로세서,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네트워크측 요소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고,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180)는: 버스(181), 송수신기(182), 안테나(183), 버스 인터페이스(184), 프로세스(185) 및 메모리(186)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180)는: 상기 메모리(186)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185)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185)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85)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85)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중, 상기 제2 정보는: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한다.
송수신기(182)는, 프로세서(185)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8에서, 버스 아키텍처(버스(181)로 표시), 버스(181)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181)는 프로세서(185)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86)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181)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184)는 버스(181)와 송수신기(182)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82)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복수 개의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85)를 경유하여 처리된 데이터는 안테나(183)을 통해 무선 매체 상에서 전송을 진행하며, 더 나아가, 안테나(183)는 또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프로세서(185)에 전송한다.
프로세서(185)는 버스(181)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 전압 조정, 전원 관리 및 기타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메모리(186)는 프로세서(185)가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85)는 CPU, ASIC, FPGA 또는 CPLD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요소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 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을 결합으로 실현가능한 것은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 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하드웨어는 전자 회로,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프로세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및 전용 집적 회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서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와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9)

  1.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기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기설정 조건은: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으로부터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변경,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획득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인에이블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디스에이블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3.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 제1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의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는: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네트워크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네트워크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슬롯 정보는: 카드 슬롯의 식별자 정보, 카드 슬롯의 시퀀스 번호, 제1 카드 슬롯의 정보, 제2 카드 슬롯의 정보, 프라이머리 카드 슬롯 또는 세컨더리 카드 슬롯의 지시 정보, 능력이 모든 카드 슬롯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카드 슬롯을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는: 카드 시퀀스 번호, 카드가 위치하는 카드 슬롯 시퀀스 번호, 프라이머리 카드 또는 세컨더리 카드의 지시 정보, 능력이 모든 카드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이 카드를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서비스 네트워크 정보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 능력 식별자가 모든 서비스 네트워크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 식별자 정보가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는: 네트워크 타입, 능력 식별자 정보가 모든 네트워크 타입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능력 식별자 정보가 네트워크 타입을 구분하지 않는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 및 능력 식별자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가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라고 지시할 때,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및/또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가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할 때, 단말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가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하라고 지시할 때,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및/또는 단말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할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가 단말 능력 정보를 획득하라고 지시할 때, 단말 능력 정보, 및/또는 상기 단말 능력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제1 타겟단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인, 송신하는 단계;
    단말의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단계;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회복하는 단계;
    제2 타겟단에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3 타겟단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1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1 타겟단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1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1 타겟단에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2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2 타겟단에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2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2 타겟단에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삭제 또는 행업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단말을 위해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회복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3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를 회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및/또는,
    제3 타겟단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이 제4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제3 타겟단에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조건은: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며,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인에이블하는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조건은: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지원하는 것으로부터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변경,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디스에이블하는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조건은: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인에이블하는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조건은: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 단말은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변경하는 것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15.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및 단말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단말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3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코어 네트워크(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정보, 능력 식별자 정보의 타입 정보 및 능력 식별자 정보에 의해 매핑된 단말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19. 네트워크측 요소에 응용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제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2 정보는: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어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할 것을 지시할 때, 상기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한다는 것은: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고,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며, 및 RAN 요소와 CN 요소가 모두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 중 임의의 한 항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RAN 요소일 때, 상기 RAN 요소는 방송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RAN 요소일 때, 상기 RAN 요소는 CN 요소로부터 상기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CN 요소일 때, 상기 CN 요소는 단말이 액세스할 때 상기 단말에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
    제어 방법.
  22.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
  23.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 및 제1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
  24. 네트워크측 요소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제1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로서, 그 중, 상기 제1 정보는: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단말의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제1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수행 모듈;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요소.
  25. 네트워크측 요소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응답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이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 또는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 능력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요소.
  26.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3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제3 정보에 따라, 단말 능력 식별자 관련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코어 네트워크(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
  27. 네트워크측 요소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측 요소는:
    제2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3 획득 모듈; 및
    상기 제2 정보에 따라,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제2 정보는: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네트워크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RA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및 CN 요소가 단말 능력 시그널링 최적화를 지원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한 항을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측 요소.
  28. 통신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기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11 항, 제17 항 및 제18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2 항 내지 제16 항, 제19 항 내지 제21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통신 기기.
  29.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11 항, 제17 항 및 제18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2 항 내지 제16 항, 제19 항 내지 제21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05777A 2018-08-01 2019-07-31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요소 KR102589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66294.4A CN110798883B (zh) 2018-08-01 2018-08-01 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网元
CN201810866294.4 2018-08-01
PCT/CN2019/098551 WO2020024970A1 (zh) 2018-08-01 2019-07-31 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网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958A true KR20210036958A (ko) 2021-04-05
KR102589687B1 KR102589687B1 (ko) 2023-10-13

Family

ID=6923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777A KR102589687B1 (ko) 2018-08-01 2019-07-31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요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153038A1 (ko)
EP (1) EP3833121A4 (ko)
JP (1) JP7317942B2 (ko)
KR (1) KR102589687B1 (ko)
CN (2) CN110798883B (ko)
AU (1) AU2019314923B2 (ko)
CA (1) CA3108122A1 (ko)
RU (1) RU2770441C1 (ko)
SG (1) SG11202101023WA (ko)
WO (1) WO2020024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8203A (zh) * 2021-01-18 2022-07-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6056069A (zh) * 2021-08-12 2023-05-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ue能力更新方法、装置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8756A1 (en) * 2012-10-05 2014-04-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user equipment (ue) capability signaling
WO2017027057A1 (en) * 2015-08-13 2017-02-16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capability reporting
WO2017078580A1 (en) * 2015-11-02 2017-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device capab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4509B2 (en) * 2009-04-03 2014-05-13 Panasoni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apparatus
ES2670579T3 (es) * 2010-08-16 2018-05-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dos y métodos para mejorar el posicionamiento
CN103096355B (zh) * 2011-11-02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随机接入参数的方法及设备
US20130322370A1 (en) * 2012-06-01 2013-12-0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reduced user equipment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3621322B1 (en) * 2013-06-05 2021-12-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information mod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es
CN104883344B (zh) * 2014-02-28 2018-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协商媒体能力的方法和设备
US11350348B2 (en) * 2014-03-13 2022-05-31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the transfer of radio capability information
US10554282B2 (en) * 2015-07-2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ank-related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404717A (zh) * 2016-05-19 2017-11-28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终端设备的能力获取方法、基站、系统及终端设备
CN107708109A (zh) * 2016-08-08 2018-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业务处理方法、装置、系统、基站、终端及核心网网元
US20190230723A1 (en) * 2016-09-05 2019-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request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6454804B (zh) * 2016-11-21 2020-03-2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获取终端能力的方法及装置
CN107980234B (zh) * 2017-07-14 2021-04-02 达闼机器人有限公司 用于终端能力上报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8756A1 (en) * 2012-10-05 2014-04-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user equipment (ue) capability signaling
WO2017027057A1 (en) * 2015-08-13 2017-02-16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capability reporting
WO2017078580A1 (en) * 2015-11-02 2017-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device capabiliti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07822 *
3GPP S2-18315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3121A4 (en) 2021-09-01
AU2019314923A1 (en) 2021-03-18
EP3833121A1 (en) 2021-06-09
JP2021532678A (ja) 2021-11-25
CN110798883A (zh) 2020-02-14
SG11202101023WA (en) 2021-02-25
CN114142981A (zh) 2022-03-04
US20210153038A1 (en) 2021-05-20
AU2019314923B2 (en) 2022-10-13
KR102589687B1 (ko) 2023-10-13
WO2020024970A1 (zh) 2020-02-06
JP7317942B2 (ja) 2023-07-31
RU2770441C1 (ru) 2022-04-18
CA3108122A1 (en) 2020-02-06
CN110798883B (zh)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624B1 (ko) 능력 지시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측 네트워크 엘레먼트
JP7442497B2 (ja) 能力制御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のネットワーク要素
KR20220153077A (ko) Gap 구성 방법, UE 및 네트워크 장치
JP7457703B2 (ja) 測定指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20210153038A1 (en)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etwork-side network element
AU2020214954B2 (en) Terminal Capability Identifier Oper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