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848A - 제어 입력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제어 입력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848A
KR20210036848A KR1020200124610A KR20200124610A KR20210036848A KR 20210036848 A KR20210036848 A KR 20210036848A KR 1020200124610 A KR1020200124610 A KR 1020200124610A KR 20200124610 A KR20200124610 A KR 20200124610A KR 20210036848 A KR20210036848 A KR 2021003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control input
input device
proximity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스 클라인
브루노 쉴링거
테드 우드
케말 더비시
엘리엇 슈나이더만
피터 그리피스
차이트리카 우르미 수브라만야
바이쉬 사드
제임스 힉스
가브리엘 가버
벤 서퍼
댄 러브
Original Assignee
카노 컴퓨팅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노 컴퓨팅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노 컴퓨팅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2017/9455Proximity switches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연동형 시스템(linked system)용 제어 입력 디바이스는, 근접 센서와 연관된 검출 구역 내의 임의의 물체의 상대적 근접도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동작가능한 복수 개의 근접 센서; 각각의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방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가능한 코어 유닛; 방향 신호를 연동형 시스템으로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유닛; 및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은 연관된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Description

제어 입력 디바이스{CONTROL INPUT DEVICE}
본 발명은 제어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연동형 컴퓨터 또는 다른 시스템용 제어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제어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컴퓨터 등과 같은 연동형 시스템과 상호작용하게 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제어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간단하고 및/또는 직관적인 방식으로 제어 입력을 생성하게 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그러면, 입력이 연동형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전환된다.
특히, 제어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연동형 시스템으로 가는 방향 제어 입력을 쉽고 직관적으로 생성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입력 디바이스의 일 예는 조이스틱, 조이패드 또는 컴퓨터 마우스이다. 조이스틱은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장형 그립을 포함한다. 그립에는, 베이스에 상대적인 그립의 틸트가 조절될 수 있도록 베이스 내의 무지향성 소켓 내에 부착되는 베이스 엔드가 제공된다. 소켓 내에서의 베이스 엔드의 움직임을 검출함으로써, 베이스에 대한 그립의 상대적 틸트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대적 틸트는 방향 제어 입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조이스틱 또는 다른 이러한 디바이스의 등가 컴포넌트의 그립과 베이스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이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인 연결은 디바이스가 잠재적으로 고장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와 같은 다른 제어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기계적인 조인트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디바이스는 균등한 수준의 직관적인 피드백을 제어 입력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안적인 제어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연동형 시스템(linked system)용 제어 입력 디바이스로서, 근접 센서와 연관된 검출 구역 내의 임의의 물체의 상대적 근접도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동작가능한 복수 개의 근접 센서; 각각의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방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가능한 코어 유닛; 상기 방향 신호를 상기 연동형 시스템으로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유닛; 및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은 연관된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기계적인 부착물 및 제어 입력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요구하지 않고, 방향 신호 출력 및 직관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네 개의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 각각은 공통 센서 플랫폼에 제공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센서 플랫폼 상에 형성된 링 주위에 고르게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링의 중앙은 플랫폼의 중앙과 일치할 수 있다. 센서 플랫폼은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능동형 적외선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적외선 빔을 방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발광 요소 및 적외선 빔의 반사를 수광하도록 동작가능한 수광 요소를 포함한다. 발광 요소는 LED일 수 있다. 수광 요소는 포토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적외선 빔의 반사들을 생성하는 임의의 물체의 근접도를 방출 및 검출 사이에 흐른 시간에 기반하여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유닛은 방출 및 검출 사이에 흐른 결정된 시간에 응답하여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근접 센서는 검출 구역을 가질 수 있다. 검출 구역의 측방향 한계는 방출된 빔의 에지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검출 구역의 최대 범위는 미리 설정된 시간 윈도우 밖에서 수광되는 뱀(bam) 반사를 무시함으로써 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근접 센서는 병렬적으로 동작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근접 센서는 연속적인 전용 동작 윈도우 내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반사된 빔이 다른 근접 센서에 의해 검출될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장점을 가진다.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의 출력은 연관된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에 응답하여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출력 변동은 세기, 컬러 또는 조명 기간의 변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유닛에 의해 출력되는 광의 세기는 근접 신호가 검출된 물체의 근접도가 높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에 응답하여 증가될 수 있다. 그러면 방향 신호의 속성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근접 센서와 연관된 각각의 조명 유닛은 동일한 변동을 경험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변동은 근접 센서와 연관된 상이한 조명 유닛에 의해 경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출력 변동은 근접 센서에 가장 가까운 조명 유닛에 대해서 최대일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에게 각각의 근접 센서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조명 유닛은 LED일 수 있다. LED는 소망하거나 요구되는 바에 따라서 흑백 LED 또는 복합적인 백색광 또는 컬러 광 LED일 수 있다.
조명 유닛은 센서 플랫폼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조명 유닛은 센서 플랫폼 상에 형성된 링 주위에 고르게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링의 중앙은 플랫폼의 중앙과 일치할 수 있다. 조명 유닛에는 광 확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광 확산기는 조명 유닛 간격을 규정하는 링에 대응하는 링 확산기일 수 있다. 링 확산기 주위에서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더 효과적인 시각적인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코어 유닛은 수신된 코어 신호를 처리하여 방향 신호를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계산은 개별적인 근접 신호의 가중치 합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어 유닛은 각각의 근접 센서로부터의 최근의 근접 신호들을 조합(collating)함으로써 근접 신호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조합된 근접 신호는 이제 연동형 시스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시스템은 비한정적으로 데스크탑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게임 콘솔, 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다른 구현형태에서, 시스템은 비한정적으로 열, 통풍, 공조, 또는 조명 시스템과 같은 환경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른 임의의 적합한 시스템일 수 있다.
통신 유닛은 임의의 적합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에 의해서 시스템과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통신 링크는 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등과 같은 무선 프로토콜을 따른다.
디바이스는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은 하나 이상의 내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소망되거나 요구되는 바에 따라 재충전가능하거나 교체가능할 수 있다. 전원은 외부 파워 연결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파워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파워 연결은 디바이스에 직접적으로 급전하고 및/또는 임의의 내부 전원을 재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장식용 토큰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용 토큰은 광 확산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장식용 토큰에는 장식용 토큰을 조명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토큰 조명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토큰 조명 유닛의 출력은 방향 신호에 응답하여 변동될 수 있다.
디바이스에는 보호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보호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적외선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근접 센서와 정렬될 수 있다. 그러면, 근접 센서에 의해 방출된 빔이 보호 하우징을 떠나게 되고, 물체로부터의 빔 반사가 근접 센서로 귀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제어 입력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입력 디바이스는, 근접 센서와 연관된 검출 구역 내의 임의의 물체의 상대적 근접도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동작가능한 복수 개의 근접 센서, 및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타입이고, 상기 방법은, 각각의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방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향 신호를 연동형 시스템으로 통신하는 단계; 및 연관된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상기 조명 유닛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방법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디바이스의 특징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소망됨에 따라 또는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방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 입력 디바이스의 검출 구역 내의 물체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생성된 방향 신호에 응답하여 스템(stem)의 동작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방법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의 특징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소망됨에 따라 또는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도 있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제 첨부 도면들을 단지 참조하여 예를 들어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입력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입력 디바이스의 제 1 실시형태의 (a) 상면도 (b) 사시도 및 (c) 전개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입력 디바이스의 제 2 실시형태의 (a) 상면도 (b) 사시도 및 (c) 전개도를 보여준다.
도 1 로 돌아가면, 제어 입력 디바이스(10)는 각각의 물체(1)의 상대적 근접도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복수 개의 근접 센서(2)를 포함한다. 물체(1)는 사용자의 손 등일 수 있다. 근접 센서(2)에는 센서 및 피드백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한 연관된 조명 유닛(5), 통상적으로 LED가 각각 제공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러한 어셈블리(A, B, C, D)는 네 개 존재하고, 각각의 어셈블리(A, B, C, D)와 연관된 두 개의 조명 유닛(5)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는 다른 개수의 어셈블리(A, B, C, D_ 및 어셈블리 당 다른 개수의 조명 유닛(5)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각각의 근접 센서는 통상적으로 LED인 적외선 방출기(3) 및 통상적으로 포토다이오드인 적외선 수신기(4)를 포함한다. 방출기(3)는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수신기(4)는 물체(1)로부터의 적외선 빔의 반사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방출과 수광 사이의 시간 간격을 결정함으로써, 근접 센서(2)는 물체(1)의 근접도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2)는 물체(1)의 검출된 근접도에 응답하여 근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코어 유닛(6)은 각각의 근접 센서(2)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근접 신호에 가중치 합산을 수행함으로써, 코어 유닛은 각각의 근접 센서(2)에 대한 물체(1)의 상대적 근접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 근접도는 대응하는 방향 신호로 변환되고 컴퓨터와 같은 연동형 시스템(9)에 통신 유닛(7)을 통해 통신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통신 유닛(7)은 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등과 같은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가능한 무선 통신 유닛이다. 따라서, 방향 신호는 시스템(9)에 대한 제어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신호는 컴퓨터 게임에서의 캐릭터 또는 스프라이트(sprite)의 움직임 또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코어 유닛(6)은 출력된 근접 신호를 단지 조합할 수 있고, 연동형 시스템(9) 이후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된 빔이 인접한 근접 센서들(2)에 의해 검출되는 것에 의한 불일치를 피하기 위하여, 각각의 센서(2)는 순차적인 감지 윈도우에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어셈블리(A, B, C, D)는 순차적인 11ms의 기간 동안에 능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면, 네 개의 어셈블리 각각에 대한 전체 근접도 감지가 44ms 동안 완료될 수 있게 될 것이다.
각각의 근접 센서(2)와 연관된 조명 유닛(5)은 출력된 근접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특히, 근접 센서와 연관된 조명 유닛(5)에 의해 출력되는 광의 세기 또는 컬러는 검출된 물체(1)의 근접 센서(2)에 대한 근접도에 응답하여 변경된다. 일 예에서, 조명 유닛은 물체(1)의 근접 센서에 대한 상대적 근접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강한 광을 방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유닛의 상기 동작은 사용자에게 제어 디바이스(10)의 동작에 대한 용이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도, 이러한 피드백은 디바이스(10)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요구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피드백은 연동형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영역을 반드시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도 2 로 가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의 하나의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어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10) 내에 제공된다. 하우징(110) 내에는 통상적으로 PCB인 센서 플랫폼(108)이 존재하는데, 그 위에는 네 개의 근접 센서(102)가 장착된다. 근접 센서(102)는 감지 플랫폼(108)과 동심인 링을 따라 고르게 이격된다. 통상적으로, 코어 유닛(미도시) 및 통신 유닛(미도시)이 센서 플랫폼(108) 상에 형성되거나 센서 플랫폼에 장착될 것이다.
하우징(110)은 센서 플랫폼(108)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111) 및 베이스(111)와 결속되는 상단부(112)를 포함한다. 링 확산기(113)는 상단부(112) 및 센서 플랫폼(108) 사이에 보유된다. 링 확산기(113)는 각각의 근접 센서(102)와 연관된 조명 유닛(105) 위에 맞춤된다. 이에 상응하여, 조명 유닛(105)의 동작 및 동작의 변동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지각될 수 있다.
추가적인 조명 유닛(109)이 센서 플랫폼(108)의 중앙에 제공된다. 추가적인 조명 유닛(109)은 장식용 토큰(115)에 의해 덮이는데, 이것은 캡(114)에 의해 센서 플랫폼(108)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에 보유된다. 조명 유닛(109)이 동작 중일 때에 장식용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장식용 토큰(115)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109)은 디바이스(100)가 스위치 온 되면 언제나 동작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캡(114) 및 링 확산기(113) 사이에는 개구(107)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107)는 빔이 근접 센서(102)에 의해 방출되게 하고, 반사된 빔이 근접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구(107)는 투명 재료로 덮이거나 채워져서, 근접 센서(102)를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손(101)과 같은 물체의 상대적 근접도가 결정되고 대응하는 방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b 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손(110)의 움직임은 각각의 근접 센서(102)에 의해 검출되는 상대적 근접도, 그리고 따라서 생성된 방향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변경된 방향 신호는 연동형 시스템에 대한 제어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미도시).
도시된 실시형태는 베이스(111) 및 상단부(112) 사이에 보유된 파워 버튼(116)을 더 도시한다. 파워 버튼은 센서 플랫폼(108) 상에 장착된 파워 스위치(117)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100)를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광 파이프(117)도 베이스(111) 및 상단부(112) 사이에 보유된다. 이것은 조명 유닛(105, 109) 중 임의의 것 또는 다른 전용 조명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하우징(110)의 외부로 지향시킬 수 있다. 그러면 디바이스(100)의 파워 상태의 시각적 확인이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111)는 수 개의 파지 요소(119)를 추가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파지 요소(119)는 통상적으로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디바이스(100)가 표면 위에 놓을 때에 제 자리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100)는, 베이스(111) 및 센서 플랫폼(108) 사이에 보유된 배터리 홀더(121), 배터리 홀더(121)에 맞춤된 배터리 콘택(122) 및 배터리(123)를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12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123)는 착탈식이고 및/또는 재충전가능할 수 있다.
도 3 으로 돌아가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200)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제어 디바이스(200)는 하우징(210) 내에 제공된다. 하우징(210) 내에는 통상적으로 PCB인 센서 플랫폼(108)이 존재하는데, 그 위에는 네 개의 근접 센서(202)가 장착된다. 근접 센서(202)는 감지 플랫폼(208)과 동심인 링을 따라 고르게 이격된다. 통상적으로, 코어 유닛(미도시) 및 통신 유닛(미도시)이 센서 플랫폼(208) 상에 형성되거나 센서 플랫폼에 장착될 것이다. 추가적인 조명 유닛(209)이 센서 플랫폼(208)의 중앙에 제공된다.
하우징(210)은 센서 플랫폼(208)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211) 및 베이스(211)와 결속되는 상단부(212)를 포함한다. 커버(213)는 상단부(212) 및 센서 플랫폼(208) 사이에 보유된다. 커버(213)는 각각의 근접 센서(202)와 연관된 조명 유닛(205) 위에 맞춤된다. 통상적으로, 커버(213)는 그 에지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이에 상응하여, 조명 유닛(205)의 동작 및 동작의 변동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지각될 수 있다.
조명 유닛(209)이 동작할 때 장식용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커버(213)는 통상적으로 중앙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109)은 디바이스(100)가 스위치 온 되면 언제나 동작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커버(213) 사이에는 개구(207)가 제공된다. 개구(207)는 빔이 근접 센서(202)에 의해 방출되게 하고, 반사된 빔이 근접 센서(202)에 의해 검출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구(207)는 투명 재료로 덮이거나 채워져서, 근접 센서(102)를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손(201)과 같은 물체의 상대적 근접도가 결정되고 대응하는 방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도 3b 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은 손(201)의 움직임은, 각각의 근접 센서(202)에 의해 검출되는 상대적 근접도, 그리고 따라서 생성된 방향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변경된 방향 신호는 연동형 시스템에 대한 제어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미도시).
도시된 실시형태는 베이스(211) 및 상단부(212) 사이에 보유된 파워 버튼(216)을 더 도시한다. 파워 버튼은 센서 플랫폼(208) 상에 장착된 파워 스위치(217)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200)를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광 파이프(217)도 베이스(211) 및 상단부(212) 사이에 보유된다. 이것은 조명 유닛(205, 209) 중 임의의 것 또는 다른 전용 조명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하우징(210)의 외부로 지향시킬 수 있다. 그러면 디바이스(200)의 파워 상태의 시각적 확인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200)는, 베이스(211) 및 센서 플랫폼(208) 사이에 보유된 배터리 홀더(221), 배터리 홀더(221)에 맞춤된 배터리 콘택(222) 및 배터리(223)를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220)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223)는 착탈식이고 및/또는 재충전가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은 오직 예를 들어 전술되었다.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4)

  1. 연동형 시스템(linked system)용 제어 입력 디바이스로서,
    복수 개의 근접 센서로서, 각각의 근접 센서는 근접 센서와 연관된 검출 구역 내의 임의의 물체의 상대적 근접도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동작가능한, 근접 센서;
    각각의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방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가능한 코어 유닛;
    상기 방향 신호를 상기 연동형 시스템으로 통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유닛; 및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은 연관된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공통 센서 플랫폼 상에 각각 제공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센서 플랫폼 상에 형성된 링 주위에 고르게 이격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능동형 적외선 근접 센서인, 제어 입력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근접 센서는 검출 구역을 가지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근접 센서는 연속적인 전용 동작 윈도우 내에서 동작가능한, 제어 입력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의 출력은 연관된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에 응답하여 변동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출력 변동은 세기, 컬러 또는 조명 기간의 변동을 포함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근접 센서와 연관된 각각의 조명 유닛은 동일한 변동을 경험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이한 변동이 근접 센서와 연관된 상이한 조명 유닛에 의해서 경험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센서 플랫폼 상에 제공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센서 플랫폼 상에 형성된 링 주위에 고르게 이격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에는 광 확산기가 제공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닛은 수신된 코어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방향 신호를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입력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은 개별적인 근접 신호들의 가중치 합산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유닛은, 각각의 근접 센서로부터의 가장 최근의 근접 신호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근접 신호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입력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조합된 근접 신호는 이후에 상기 연동형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입력 디바이스는 광 확산기로서 동작가능한 장식용 토큰을 포함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토큰에는 상기 장식용 토큰을 조명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토큰 조명 유닛이 제공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조명 유닛의 출력은 상기 방향 신호에 응답하여 변동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입력 디바이스에는 보호 하우징이 제공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구는 근접 센서와 정렬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23. 제어 입력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입력 디바이스는, 복수 개의 근접 센서로서, 각각의 근접 센서는 근접 센서와 연관된 검출 구역 내의 임의의 물체의 상대적 근접도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각각 동작가능한, 근접 센서, 및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타입이고, 상기 방법은,
    각각의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방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향 신호를 연동형 시스템으로 통신하는 단계; 및
    연관된 근접 센서에 의해 출력된 근접 신호에 응답하여 각각의 근접 센서와 연관된 상기 조명 유닛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입력 디바이스 작동 방법.
  24.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또는 제 23 항의 방법에 따라 동작가능한 제어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방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어 입력 디바이스의 검출 구역 내의 물체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생성된 방향 신호에 응답하여 스템(stem)의 동작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200124610A 2019-09-26 2020-09-25 제어 입력 디바이스 KR20210036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13927.8 2019-09-26
GB1913927.8A GB2587395B (en) 2019-09-26 2019-09-26 Control in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848A true KR20210036848A (ko) 2021-04-05

Family

ID=6853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610A KR20210036848A (ko) 2019-09-26 2020-09-25 제어 입력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96639A1 (ko)
EP (1) EP3798806A1 (ko)
JP (1) JP2021103511A (ko)
KR (1) KR20210036848A (ko)
CN (1) CN112558756A (ko)
AU (1) AU2020239796A1 (ko)
CA (1) CA3094178A1 (ko)
GB (1) GB2587395B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5177A1 (en) * 2001-04-10 2004-08-12 Manfred Schmitt Method for supressing mutual interference of an optical multi-sensor system and corresponding multi-sensor system
GB0311177D0 (en) * 2003-05-15 2003-06-18 Qinetiq Ltd Non contact human-computer interface
WO2015184530A1 (en) * 2014-06-02 2015-12-10 Xyz Interactive Technologies Inc. Touch-less switching
KR101319346B1 (ko) * 2009-09-15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센싱 방식의 터치 패널 내장형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10193818A1 (en) * 2010-02-05 2011-08-11 Edamak Corporation Proximity-sensing panel
US11136000B2 (en) * 2017-11-17 2021-10-05 Magna Closures Inc. Touch and gesture pad for swipe/tap entry ver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94178A1 (en) 2021-03-26
CN112558756A (zh) 2021-03-26
GB2587395A (en) 2021-03-31
EP3798806A1 (en) 2021-03-31
GB201913927D0 (en) 2019-11-13
JP2021103511A (ja) 2021-07-15
AU2020239796A1 (en) 2021-04-15
GB2587395B (en) 2023-05-24
US20210096639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5350A1 (en) Interactive devices
KR101090970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US9569095B2 (en) Removable protective cover with embedded proximity sensors
US7898397B2 (en) Selectively adjustable icons for assisting users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090965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US5469193A (en) Cordless pointing apparatus
JP6877688B2 (ja) プログラミング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プログラミング方法
AU20122031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elding an IR detecting diode
CN103152905A (zh) 照明系统
US10237607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KR20210036848A (ko) 제어 입력 디바이스
WO2020015686A1 (zh) 一种灯具智能控制装置
KR100739380B1 (ko)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제어방법
JP5647139B2 (ja) トーチ
JP2021103511A5 (ko)
KR101388697B1 (ko) 옵티컬 네비게이션 모듈 및 옵티컬 네비게이션 모듈용 렌즈
US8217900B1 (en) Light beam operated peripheral data input device for use in and out of sunlight
US9535540B2 (en) Touching object and optical touching assembly using the same
JP2012083866A (ja) 指取り付け型触覚再現機能付き処理装置
WO2009112822A2 (en) Pointing device
KR101694281B1 (ko) 다방향 입력장치
US6373464B1 (en) Magnifying glass computer input device
KR101337971B1 (ko) 모션 감지 스위치
JP2017084479A (ja) 赤外線通信器、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7084478A (ja) 赤外線通信器、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