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674A -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674A
KR20210036674A KR1020190118992A KR20190118992A KR20210036674A KR 20210036674 A KR20210036674 A KR 20210036674A KR 1020190118992 A KR1020190118992 A KR 1020190118992A KR 20190118992 A KR20190118992 A KR 20190118992A KR 20210036674 A KR20210036674 A KR 20210036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flash lamp
lens
fractional
len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360B1 (ko
Inventor
하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랩
Priority to KR102019011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3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4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5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는, 플래시 램프가 생성한 플래시 빔을 이용하여 상이한 초점을 갖는 복수의 프랙셔널 빔을 생성하는 플래시 빔 프랙셔너, 및 상기 플래시 램프가 상기 플래시 빔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플래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빔 프랙셔너는, 상기 플래시 램프, 및 상기 플래시 램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래시 빔을 복수의 상이한 초점에 각각 집중시켜 상기 복수의 프랙셔널 빔을 생성하는 렌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Fractional treatment device using flash lamp}
본 발명은 프랙셔널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빛을 이용한 피부 치료의 목적으로 LASER, IPL(Intense Pulsed Light)과 같은 기기들을 이용한다. 프랙셔널 레이저는, 하나의 레이저 빔을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회절 패턴 등을 통과시켜 복수의 레이저 빔으로 분할하여 생성된다. 프랙셔널 레이저 치료는, 피부에 미세한 열손상 어레이를 생성시켜 피부가 자연 치유되도록 유도하는 치료방법이다. 레이저를 이용하는 치료 장치들은, 조작에 전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개인용도로 사용하기 어렵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822664
본 발명은 안전한 소출력 프랙셔널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는, 플래시 램프가 생성한 플래시 빔을 이용하여 상이한 초점을 갖는 복수의 프랙셔널 빔을 생성하는 플래시 빔 프랙셔너, 및 상기 플래시 램프가 상기 플래시 빔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플래시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빔 프랙셔너는, 상기 플래시 램프, 및 상기 플래시 램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래시 빔을 복수의 상이한 초점에 각각 집중시켜 상기 복수의 프랙셔널 빔을 생성하는 렌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플래시 빔 프랙셔너는, 상기 플래시 램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래시 빔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해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해 수직으로 입사하도록 상기 플래시 빔을 반사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수직하게 입사한 상기 플래시 빔을 집중시키는 복수의 볼록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볼록 렌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기판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해 경사지게 입사하도록 상기 플래시 빔을 반사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경사지게 입사한 플래시 빔을 평행화하는 복수의 평행화 렌즈, 및 상기 복수의 평행화 렌즈 각각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평행화 렌즈에 의해 수직하게 입사한 상기 플래시 빔을 집중시키는 복수의 볼록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평행화 렌즈는 프레넬 렌즈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평행화 렌즈는 평볼록 렌즈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평행화 렌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에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볼록 렌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플래시 램프는, 상기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논 플래시 램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렌즈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를 수용한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렌즈 배럴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플래시 램프는, 상기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플래시 LE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갖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료 효과을 발휘하는 프랙셔널 치료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특히, 첨부된 도면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부 구성 요소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도 1은 프랙셔널 치료 장치의 치료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프랙셔널 치료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빔 프랙셔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렌즈 모듈의 다양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빔 프랙셔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렌즈 모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빔 프랙셔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기능, 특징,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실시예와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실질적으로”, “거의”, “약” 등과 같은 표현은 실제 구현시 적용되는 마진이나 발생가능한 오차를 고려하기 위한 표현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측면”, 또는 “수평”은 도면의 좌우 방향을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수직”은 도면의 상하 방향을 언급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인용된다.
도 1은 프랙셔널 치료 장치의 치료 원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는, 핸드헬드 타입이다.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는, 복수의 프랙셔널 빔(101)을 생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하우징은, 동작에 필요한 전원, 예를 들어, 충전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는, 복수의 프랙셔널 빔(101)으로 피부(10)를 천공하여 복수의 미세한 홀(11)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를 피부(10)에 밀착시킨 상태로, 예를 들어, 얼굴 윤곽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거나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는, 복수의 프랙셔널 빔(101)을 피부(10)를 향해 조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는 프랙셔널 빔을 조사하도록 조작하는 버튼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복수의 프랙셔널 빔(101)을 피부(10)를 향해 조사할 수도 있다.
복수의 프랙셔널 빔(101)은, 플래시 램프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플래시 램프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전력으로 구동되어, 큰 에너지를 갖는 빛을 순간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플래시 램프는, 예를 들어, 크세논 플래시 램프, 제논 플래시 램프, 플래시 LED 등일 수 있다. 플래시 램프에 의해 생성된 빛은, 광학 요소, 예를 들어, 복수의 렌즈에 의해 집중되어 복수의 프랙셔널 빔(101)이 될 수 있다. 피부(10)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 및 근육층으로 구성된다. 광학 요소의 초점은,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가 피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표피와 근육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프랙셔널 치료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는, 플래시 빔 프랙셔너(110), 플래시 드라이버(120), 컨트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는, 프랙셔널 치료 장치(1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인코더(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 빔 프랙셔너(110)은, 복수의 프랙셔널 빔을 생성한다. 플래시 빔 프랙셔너(110)은, 플래시 빔을 조사하는 플래시 램프 및 플래시 빔을 상이한 복수의 초점에 집중시키는 렌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된 복수의 광학계를 포함하며, 렌즈는 일면으로 입사한 플래시 빔을 굴절시켜 타면을 통해 나가게 한다. 광학계로부터 나온 플래시 빔은 광학계의 초점에 각각 집중된다. 복수의 프렉셔널 빔(101)은, 렌즈 모듈에 의해 상이한 초점에 각각 집중된 복수의 플래시 빔이다. 플래시 빔 프랙셔너(110)의 구조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플래시 드라이버(120)는, 플래시 램프를 구동한다. 플래시 드라이버(120)는, 컨트롤러(130)의 구동 제어에 의해, 플래시 램프가 플래시 빔을 생성하게 한다. 플래시 드라이버(120)는, 예를 들어, 구동 제어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 및 스위치에 연결되며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일시 저장하는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저장된 전력의 적어도 일부는 플래시 램프에 제공될 수 있다. 플래시 램프에 의해 생성된 플래시 빔의 에너지는, 스위치의 온/오프 시간 및 커패시터/인덕터의 용량에 실질적으로 비례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프랙셔널 빔(101)의 생성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30)는, 설정값에 따라 플래시 드라이버(12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값은, 플래시 램프 구동 조건(주기, 이동 거리, 사용자의 조작 등), 플래시 빔의 에너지 크기, 초점 깊이 등일 수 있다. 주기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동 거리는 인코더(14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빔 프랙셔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래시 빔 프랙셔너(110)는, 렌즈 모듈(200) 및 플래시 램프(22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플래시 빔 프랙셔너(110)는, 리플렉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플래시 빔을 상이한 초점을 갖는 복수의 프랙셔널 빔(101)으로 분할한다. 렌즈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201, 202)로 구성된 광학계 및 광학계를 수용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복수의 광학계가 수용되는 복수의 관통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211)은, 플래시 램프(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플래시 램프(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1열로 배치된 4개의 관통홀(211)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201, 202)로 구성된다. 광학계는, 렌즈 모듈(200)로 입사하는 플래시 빔을 집중시켜 피부 내에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높은 에너지를 갖는 플래시 빔은, 광학계에 의해 집중되어 초점에 매우 높은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프랙셔널 빔이 된다. 광학계는, 렌즈 모듈(200)에 입사하는 플래시 빔의 입사각에 따라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시 빔의 입사각이 수직인 경우, 광학계는 하나의 볼록 렌즈(202)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 렌즈(202)는, 프랙셔널 빔(101)을 피부 내에 위치한 초점에 집중시킨다. 다른 예로, 플래시 빔의 입사각이 수직이 아닌 경우, 광학계는 평행화 렌즈(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행화 렌즈(201)는, 예를 들어, 플래시 빔이 입사하는 면은 평면이고, 평행화된 플래시 빔이 출사하는 면은 볼록면인 평볼록 렌즈일 수 있다.
플래시 램프(220)는, 렌즈 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플래시 램프(220)는, 렌즈 모듈(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래시 램프(220)는, 제논 플래시 램프 또는 크세논 플래시 램프일 수 있다. 제논/크세논 플래시 램프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튜브, 튜브 내에 배치된 필라멘트, 및 상기 튜브를 밀봉하며 상기 필라멘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230)는, 플래시 램프(220)가 생성한 플래시 빔을 반사하여 렌즈 모듈(200)을 향하게 한다. 리플렉터(230)의 내면은, 빛을 반사하는 물질, 예를 들어, 금속층이 형성된 반사면일 수 있다. 리플렉터(230)는, 플래시 램프(2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플래시 빔의 입사각은, 리플렉터(230) 내부에서의 플래시 램프(220)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렌즈 모듈의 다양한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렌즈 모듈(200)은, 평행화 렌즈(201) 및 볼록 렌즈(202)를 내부에 수용한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평행화 렌즈(201) 및 볼록 렌즈(202)는, 관통홀(211) 내부에 배치된다. 리플렉터(231)는, 렌즈 모듈(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플래시 램프(220)가 배치된다. 플래시 램프(220)는, 무지향성의 플래시 빔을 생성한다. 플래시 램프(220)는, 리플렉터(231)의 반사면에 대해 초점이 맞지 않도록(defocused) 배치되어, 리플렉터(231)에 의해 반사된 플래시 빔은, 렌즈 모듈(200)에 경사지게 입사하게 된다. 한편, 플래시 램프(220)로부터 렌즈 모듈(200)을 향해 직접 입사하는 플래시 빔의 대부분도 경사지게 입사하게 된다. 평행화 렌즈(201)는, 경사지게 입사한 플래시 빔을, 렌즈의 중심축을 향해 굴절시킨다. 평면(플래시 빔의 입사면) 및 볼록면(플래시 빔의 출사면)에서 굴절된 플래시 빔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진행하게 된다. 볼록 렌즈(202)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입사한 플래시 빔을, 렌즈의 중심축을 향해 굴절시켜 초점 F를 향하게 한다.
(b)를 참조하면, 플래시 램프(220)는, 리플렉터(231)의 반사면에 대해 초점이 맞도록(focused) 배치되어, 리플렉터(232)에 의해 반사된 플래시 빔은, 렌즈 모듈(20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 모듈(200)은, 수직으로 입사한 플래시 빔을 초점을 향해 굴절시키는 볼록 렌즈(202)만 포함할 수 있다.
(c)를 참조하면, 플래시 램프(220)가 생성한 플래시 빔의 대부분은 렌즈 모듈(200)을 향해 경사지게 진행할 수 있다. 즉, 플래시 빔의 대부분이 렌즈 모듈(200)의 관통홀(211)을 향하도록, 플래시 램프(220)의 조사각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프레넬 렌즈(203)가 평행화 렌즈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빔 프랙셔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예시된 렌즈 모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6을 함께 참조하면, 프랙셔널 빔의 초점 F은 상하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300)은 액츄에이터(301) 및 렌즈 배럴(30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302)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를 수용하며, 액츄에이터(301)에 의해 액츄에이터 내부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330) 또는 리플렉터는, 렌즈 모듈(300)의 상부에 위치되며, 그 내부에 플래시 램프(320)를 수용한다. 액츄에이터(301)는, 내부에 렌즈 배럴(302)을 수용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기 신호에 의해 렌즈 배럴(30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초점 F1은 피부 아래에 가장 깊게 형성될 수 있는 프랙셔널 빔(101)의 초점이며, 초점 F2는 피부 아래 가장 얕게 형성될 수 있는 프랙셔널 빔(101)의 초점일 수 있다. 초점 F1과 초점 F2 사이 거리 D는, 표피부터 근육층 사이 거리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초점 F의 상하 이동은, 플래시 램프(320)의 작동에 동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301)는, 플래시 램프(320)가 턴온되기 전에 렌즈 배럴(302)을 초점 F2를 형성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며, 플래시 램프(320)가 턴온되는 순간부터 렌즈 배럴(302)을 초점 F1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피부 프랙셔널 빔의 초점 F는, 가장 얕은 지점부터 가장 깊은 지점으로 이동하게 되어, 피부 천공이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렌즈 모듈(300)은 하나의 액츄에이터(301) 또는 복수의 액츄에이터(301a, 301b, 301c, 301d)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액츄에이터(301)를 포함하는 경우, 렌즈 배럴(302)은, 복수의 광학계를 하나의 렌즈 배럴(302)에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액츄에이터(301a, 301b, 301c, 301d)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액츄에이터(301a, 301b, 301c, 301d)는, 어레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플래시 램프(320)는 액츄에이터(301a, 301b, 301c, 301d)마다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래시 램프(320)는, 플래시 LED일 수 있다. 커버(330) 또는 리플렉터는, 각 액츄에이터(301a, 301b, 301c, 301d)마다 구비될 수 있으며, 플래시 램프(320)는, 발광면이 액츄에이터를 향하도록 커버(3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빔 프랙셔너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래시 빔 프랙셔너(110)는, 렌즈 모듈(200) 및 플래시 램프(22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플래시 빔 프랙셔너(110)는, 리플렉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하우징(211) 및 하나 이상의 렌즈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렌즈 기판(201a, 202a)을 포함한다. 렌즈 기판(201a, 202a)은, 복수의 렌즈를 광학적으로 투명한 기판에 배열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기판의 상면 중에서, 렌즈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흡광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하우징(211)은,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 기판(201a, 202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212)는, 하우징(211)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중간 바닥일 수 있으며, 중간 바닥은, 렌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렌즈 기판(201a, 202a)은 중간 바닥을 향해 하우징(211)의 상부와 하부로부터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지 구조는, 하우징(211)의 내측벽으로부터 연장된 걸림턱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특히,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은, 특정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특징에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플래시 램프가 생성한 플래시 빔을 이용하여 상이한 초점을 갖는 복수의 프랙셔널 빔을 생성하는 플래시 빔 프랙셔너; 및
    상기 플래시 램프가 상기 플래시 빔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플래시 드라이버를 포함하되,
    상기 플래시 빔 프랙셔너는,
    상기 플래시 램프, 및
    상기 플래시 램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래시 빔을 복수의 상이한 초점에 각각 집중시켜 상기 복수의 프랙셔널 빔을 생성하는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빔 프랙셔너는,
    상기 플래시 램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래시 빔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해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해 수직으로 입사하도록 상기 플래시 빔을 반사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수직하게 입사한 상기 플래시 빔을 집중시키는 복수의 볼록 렌즈를 포함하는,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 렌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기판에 배열된,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렌즈 모듈을 향해 경사지게 입사하도록 상기 플래시 빔을 반사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며, 경사지게 입사한 플래시 빔을 평행화하는 복수의 평행화 렌즈, 및
    상기 복수의 평행화 렌즈 각각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평행화 렌즈에 의해 수직하게 입사한 상기 플래시 빔을 집중시키는 복수의 볼록 렌즈를 포함하는,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평행화 렌즈는 프레넬 렌즈인,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평행화 렌즈는 평볼록 렌즈인,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행화 렌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에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볼록 렌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에 배열된,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램프는, 상기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논 플래시 램프인,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를 수용한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렌즈 배럴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램프는, 상기 렌즈 모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플래시 LED인,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KR1020190118992A 2019-09-26 2019-09-26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KR102346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92A KR102346360B1 (ko) 2019-09-26 2019-09-26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992A KR102346360B1 (ko) 2019-09-26 2019-09-26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74A true KR20210036674A (ko) 2021-04-05
KR102346360B1 KR102346360B1 (ko) 2022-01-03

Family

ID=7546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992A KR102346360B1 (ko) 2019-09-26 2019-09-26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567B1 (ko) * 2023-09-14 2024-04-18 주식회사 에이엠아이아이엔씨 편광기능을 활용하여 프랙셔널을 구현한 ipl 도광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567U (ko) * 1996-12-16 1998-09-15 이대원 광원장치의 집광렌즈 파손방지구조
KR100822664B1 (ko) 2008-01-17 2008-04-17 주식회사 루트로닉 프랙셔널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시술시간을 단축시킨 레이저장치
JP2009501039A (ja) * 2005-07-13 2009-01-15 パーキンエルマー・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カーゲー ソケットに対して取り外し可能な接続を行うためのフラッシュランプ・カートリッジ
KR101348426B1 (ko) * 2012-08-21 2014-01-09 주식회사 메드믹스 번 부작용을 감소시킨 솔리드 파이버 글라스를 이용한 프랙셔널 레이저 치료 장치
KR101419482B1 (ko) * 2013-12-24 2014-07-16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프랙셔널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의료용 시스템
WO2018119453A1 (en) * 2016-12-23 2018-06-28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treatment of biological tissu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567U (ko) * 1996-12-16 1998-09-15 이대원 광원장치의 집광렌즈 파손방지구조
JP2009501039A (ja) * 2005-07-13 2009-01-15 パーキンエルマー・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カーゲー ソケットに対して取り外し可能な接続を行うためのフラッシュランプ・カートリッジ
KR100822664B1 (ko) 2008-01-17 2008-04-17 주식회사 루트로닉 프랙셔널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시술시간을 단축시킨 레이저장치
KR101348426B1 (ko) * 2012-08-21 2014-01-09 주식회사 메드믹스 번 부작용을 감소시킨 솔리드 파이버 글라스를 이용한 프랙셔널 레이저 치료 장치
KR101419482B1 (ko) * 2013-12-24 2014-07-16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프랙셔널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의료용 시스템
WO2018119453A1 (en) * 2016-12-23 2018-06-28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treatment of biological tiss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567B1 (ko) * 2023-09-14 2024-04-18 주식회사 에이엠아이아이엔씨 편광기능을 활용하여 프랙셔널을 구현한 ipl 도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360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03108A5 (ko)
RU27207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величения сцепления составляющего слоя с несущим объектом
US11353626B2 (en) Meta illuminator
US8366703B2 (en) Fractional scanner for dermatological treatments
US20110137303A1 (en) Self-contained handpiece and method for optical tissue surface treatment
JP2009245912A (ja) Ledスポットライト
WO2018020911A1 (ja) マイクロニードル製造方法及びマイクロニードル製造装置
KR102346360B1 (ko) 플래시 램프를 이용한 프랙셔널 치료 장치
RU2674061C2 (ru) Лазерны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оптически накачиваемый лазер с протяженным резонатором
KR100933934B1 (ko) 멀티파장 피부재생 레이저장치
JP5785248B2 (ja) レーザスキャニングシステム、ヘアカッティ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CN114428437B (zh) 一种结构光与泛光照明合置的3d投射器及电子设备
JP6548028B2 (ja) 光源装置
ATE441131T1 (de) Optische abtastvorrichtung und bilderzeugungsvorrichtung damit
RU267228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на основе лазерной терапии кожной ткани
JP2006337551A (ja) レーザ直描装置およびその描画方法
JP4419864B2 (ja) 光脱毛装置
JP2014236416A (ja) 線状光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7222790A (ja) 光収束照射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JP6809928B2 (ja) 光照射装置
JP4419895B2 (ja) 光脱毛装置
JP6223467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20150205212A1 (en) Maskless light exposure device
CN115629485B (zh) 散斑投射器和结构光相机
JP2022159770A (ja) 不活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