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568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568A
KR20210036568A KR1020190118677A KR20190118677A KR20210036568A KR 20210036568 A KR20210036568 A KR 20210036568A KR 1020190118677 A KR1020190118677 A KR 1020190118677A KR 20190118677 A KR20190118677 A KR 20190118677A KR 20210036568 A KR20210036568 A KR 20210036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fingerprint
path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영
길태호
임근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568A/ko
Priority to PCT/KR2020/007751 priority patent/WO20210606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3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68A/ko
Priority to US17/704,975 priority patent/US1193450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8Fingerprint track pad, i.e. fingerprint sensor used as pointing device tracking the fingertip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 및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가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유도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로 터치 패널을 가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입력 방식은 키보드, 마우스 혹은 물리적 버튼 대신 디스플레이 상에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화면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터치하면,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한다. 손가락 지문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은 종래의 비밀 번호 입력 방식에 비하여 간편하고 편리하다는 점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편, 사람의 피부에 포함된 유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지문이 디스플레이 상에 남겨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상의 지문이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제3자 획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한 제3 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으로 하는 전자 장치는 보안상 위험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남겨지는 사용자 지문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유도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을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가 상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외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지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가 상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파지하는 형태에 기초하여 경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C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가로 모드로 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파지하는 형태에 기초하여 경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부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TV, 키이오스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건조기와 같은 전자 장치라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라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한 본 개시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한다(S110). 여기에서, 사용자의 지문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으로 손가락의 전체 지문 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부분 지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상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고, 잠금 화면 상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지문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유도하는 UI(User Interface) 요소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유도하는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UI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면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을 수행함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이 UI 요소가 표시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 일뿐이며, 사용자의 터치를 유도하는 UI가 표시된 영역과 같은 특정 영역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상의 모든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즉, UI가 표시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지문을 확인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감지된 사용자의 지문이 전자 장치에 기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장치에는 기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지문이 기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120-Y),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가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가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의 외곽은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나타낸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복수의 지점 및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점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경로 상에 포함되는 점을 나타내며, 끝점은 경로의 마지막에 위치하는 점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결정된 복수의 지점을 경유하고, 끝점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 내에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인된 사용자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파지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경로가 표시될 영역을 결정하며, 결정된 영역 내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파지 형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파지하거나 그립(grip)하여 터치를 수행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파지(또는 그립)한 손으로 터치를 수행하였는지 여부, 전자 장치를 파지하지 않은 손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중 하나의 기준 모서리와 사용자 지문이 이루는 각도가 수평이거나 기 설정된 범위 미만인 경우, 전자 장치를 파지 하지 않은 다른 손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모서리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면이 사용자와 대향되도록 놓인 상태에서 지면에 수직인 모서리를 나타낸다.
반면, 전자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중 하나의 기준 모서리와 사용자 지문이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를 파지한 손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전자 장치를 파지하고, 전자 장치를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으로 디스플레이 상에서 터치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 표시될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파지한 손으로 디스플레이 상에서 터치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지문을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영역에 표시될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보안 강도에 대응하여 경로에 포함되는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보안 강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결정하고, 결정된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경로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의 터치가 표시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경로에 포함된 복수의 지점을 거쳐 경로의 끝점까지 드래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경로의 끝점까지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이동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터치가 경로를 따라 이동 완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인증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S150). 가령, 잠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고 경로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터치가 경로를 따라 이동 완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어 잠금 화면이 해제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여 사용자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가 표시되고 사용자의 터치가 경로를 따라 이동 완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어 특정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의 사용자 터치로 인하여 사용자 지문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부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까지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가 완료되어 사용자의 지문이 디스플레이에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 및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기 위한 지문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미도시) 및 지문 센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터치 패널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센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가령,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햐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터치 입력에 관한 정보(가령, 위치, 면접,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30)에 제공할 수 있다.
지문 센서(미도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지문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지문 센서(미도시)는 사용자의 지문 내에 위치한 골(valley) 및 마루(ridge)의 특징적인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지문의 패턴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지문 센서(미도시)는 지문 내에 위치하는 골, 마루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차이에 기반하는 광학 방식, 지문 내에 위치하는 골, 마루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의 위상 차이에 기반하는 초음파 방식, 또는 지문 내에 위치하는 골, 마루에 의해 야기되는 유전율의 차이에 기반하는 정전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지문 센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 요소이다. 특히,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자 지문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된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놓인 임의의 한 점까지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RT(cathode-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3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면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30)는 잠금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위하여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가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도록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터치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도록 감지 센서(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30)는 잠금 화면 상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사용자 지문이 감지되도록 감지 센서(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지문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감지 센서(미도시)로부터 획득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이 기등록된 지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지문을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지문이 기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20) 상의 사용자 터치가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120)의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에 경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지문이 기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부터 디스플레이(120)의 외곽까지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상의 복수의 지점 및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을 결정하고,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결정된 복수의 지점을 경유하고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는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는 직선 경로일 수 있으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의 외곽까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포함하는 곡선 경로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파지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부터 디스플레이(120)의 외곽까지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보안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부터 디스플레이(120)의 외곽까지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터치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경로를 따라 이동 완료하면 사용자 인증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부터 프로세서(130)에 의해 결정된 복수의 지점을 경유하고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즉, 사용자의 터치가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시작하여 복수의 지점을 경유하고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까지 드래그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터치가 경로를 따라 이동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터치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영역을 판단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영역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로의 영역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경로를 따라 드래그된 것인지 판단하고, 사용자의 터치가 경로를 따라 드래그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인증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상에 잠금 화면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한하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증 완료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 일 뿐이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가 완료된 후에도, 지문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된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지문이 남아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지문이 표시된 영역 및 디스플레이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끝점을 포함하는 경로를 재지정하고, 재지정된 경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처리를 완료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지문이 표시된 영역에서부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영역까지의 경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경로를 따라 터치를 드래그하도록 유도함으로서 디스플레이에 남아있는 사용자 지문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지문이 제3자에게 노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파지하는 형태에 기초하여 경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확인된 사용자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 파지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사용자 파지 형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파지하거나 그립(grip)하여 터치를 수행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파지한 손으로 터치를 수행하는지, 전자 장치를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를 수행하였는지를 나타낸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과 전자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복수의 모서리 중 하나의 기준 모서리와의 각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각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파지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 모서리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모서리 중,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면이 사용자와 대향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지면에 수직인 모서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복수의 모서리(101, 102, 103, 104)를 포함하고,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화면이 사용자와 대향되도록 전자 장치(100)를 파지한 경우, 지면에 수직인 모서리는 모서리(102, 104)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사용자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경로가 표시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역 내에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사용자의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 내에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지문이 모서리(102, 104)와 이루는 예각의 각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파지한 손으로 터치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가령, 도 3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기준 모서리(102)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고, 사용자 지문이 디스플레이(120)의 우측 상단을 향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왼손을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으로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고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왼쪽 영역(316) 내에서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310), 왼쪽 영역(316)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312, 313, 314) 및 모서리(102)에 존재하는 끝점(315)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120)의 왼쪽 영역(316)에 존재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기준 모서리(104)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고, 사용자 지문이 디스플레이(120)의 좌측 상단을 향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오른손을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고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오른쪽 영역(324) 내에서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320), 오른쪽 영역(324)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322, 323) 및 모서리(104)에 존재하는 끝점(324)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120)의 오른쪽 영역(324)에 존재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의 전체 영역에 경로를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기준 모서리(102, 104)와 평행하거나 사용자 지문이 기준 모서리(104)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지한 손과 다른 손으로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120)의 전체 영역 내에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점(332, 333, 334)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335)을 선택하여,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330),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점(332, 333, 334) 및 끝점(335)을 포함하는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C에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세로로 파지한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가로로 파지한 경우에도 사용자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 파지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경로가 표시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영역 내에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가로 모드로 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파지하는 형태에 기초하여 경로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가로로 파지하였는지, 세로로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가로로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4A 및 도 4C에서의 설명 중 도 3A 및 도 3C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락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가로로 파지한 경우,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모서리(101, 102, 103, 104) 중 기준 모서리는 모서리(101, 103)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지문이 모서리(101, 103)와 이루는 예각의 각도가 기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파지한 손으로 터치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가령,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기준 모서리(103)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고, 사용자 지문이 디스플레이(120)의 우측 상단을 향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왼손을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으로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고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왼쪽 영역(416) 내에서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410), 왼쪽 영역(416)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412, 413, 414) 및 모서리(103)에 존재하는 끝점(415)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120)의 왼쪽 영역(416)에 존재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기준 모서리(101)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고, 사용자 지문이 디스플레이(120)의 좌측 상단을 향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오른손을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고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오른쪽 영역(416) 내에서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420), 오른쪽 영역(426)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422, 423, 424) 및 모서리(101)에 존재하는 끝점(425)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120)의 오른쪽 영역(426)에 존재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의 전체 영역에 경로를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지문이 기준 모서리(101, 103)와 평행하거나 사용자 지문이 기준 모서리(103)와 이루는 각도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지한 손과 다른 손으로 터치를 수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120)의 전체 영역 내에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점(432, 433, 434, 435)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436)을 선택하여, 사용자 지문이 감지된 영역(330),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점(432, 433, 434, 435) 및 끝점(436)을 포함하는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도3B, 도3C, 도4A, 도4B 및 도 4C에서는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경로가 복수의 변곡점을 가지는 경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경로는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는 직선 경로일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경로의 변곡점의 수 및 경로의 길이는 보안 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는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13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 인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를 확인하거나,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에 대응하여 경로에 포함되는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의 길이를 결정하고, 결정된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강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가령,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메모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증 요청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개수 미만의 변곡점을 포함하거나 기설정된 경로 길이 미만의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의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되거나 시스템에 의해 기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강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가령, 은행 어플리케이션, 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증 요청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변곡점을 포함하거나 기설정된 경로 길이 이상의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보안 강도가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따라 보안 강도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기능에 대응되어 설정된 보안 강도에 기초하여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의 실행에서도 설정된 보안 강도에 따라 다양한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가령,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의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보안 강도에 따라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는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에 높은 보안 강도를 부여한 경우, 사용자 A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를 잠금 해제할 경우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변곡점을 포함하거나 기 설정된 길이 이상의 경로 길이를 포함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B는 전자 장치의 잠금 해제에 낮은 보안 강도를 부여한 경우, 사용자 B의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를 잠금 해제할 경우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의 변곡점을 포함하거나 기 설정된 길이 미만의 경로 길이를 포함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프로세서(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스피커(160), 카메라(170) 및 입력 인터페이스(18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에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 이더넷(Ethernet)과 같이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란 블루투스(Bluetooth, BT),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외부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이란 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미도시) 및 음성 인식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5세대 네트워크(5G Networks)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메모리(12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50), 프로세서(13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50)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지문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에 위치한 골 및 마루의 특징적인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는 사용자의 열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지문 정보로, 복수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메모리(150)에는 복수의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스피커(160)는 오디오 프로세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스피커(160)는 사용자 음성 정보에 대한 응답을 자연어 형태의 음성 메시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은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70)는 디스플레이(120)가 사용자에게 화면을 제공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120)가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 경우, 카메라(170)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카메라(170)는 전면, 후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태도 또는 동작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8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입력 인터페이스(180)는 재생되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입력 받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GUI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81), 사용자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패널(182),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18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입력 인터페이스(180)의 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입력 장치(예로, 키보드, 마우스, 모션 입력부 등)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센서
120: 디스플레이 130: 프로세서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을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가 상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지문이 기등록된 지문이고, 상기 사용자 터치가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완료하면 사용자 인증 처리를 완료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잠금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잠금 화면 상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지문이 감지되도록 상기 센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 요소가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경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보안 강도에 대응하여 상기 경로에 포함되는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 파지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가 표시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역 내에 경로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사용자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 내에서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는,
    상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는 직선 경로인,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복수의 지점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을 결정하고, 상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상기 결정된 복수의 지점을 경유하고 상기 끝점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가 상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사용자 지문이 기등록된 지문이고, 상기 사용자 터치가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완료하면 사용자 인증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화면 상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지문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 터치를 요청하는 UI 요소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UI 요소가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강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보안 강도에 대응하여 상기 경로에 포함되는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변곡점의 개수 또는 경로 길이에 기초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사용자 지문에 기초하여 사용자 파지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사용자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가 표시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역 내에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자 파지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 내에서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복수의 지점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끝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상기 결정된 복수의 지점을 경유하고 상기 끝점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지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가 상기 지문이 감지된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0118677A 2019-09-26 2019-09-26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36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77A KR20210036568A (ko) 2019-09-26 2019-09-26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20/007751 WO2021060668A1 (ko) 2019-09-26 2020-06-16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7/704,975 US11934503B2 (en) 2019-09-26 2022-03-25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77A KR20210036568A (ko) 2019-09-26 2019-09-26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68A true KR20210036568A (ko) 2021-04-05

Family

ID=7516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677A KR20210036568A (ko) 2019-09-26 2019-09-26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34503B2 (ko)
KR (1) KR20210036568A (ko)
WO (1) WO202106066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2775B2 (en) 2007-09-24 2014-07-15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976208B1 (ko) 2008-08-29 2010-08-17 (주)혜강씨큐리티 터치스크린 방식 디지털 도어록 인증방법
WO2011055587A1 (ja) * 2009-11-04 2011-05-1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表示方法
KR20110103598A (ko) 2010-03-15 2011-09-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기의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JP5080660B2 (ja) 2011-01-05 2012-11-21 エイエスディ株式会社 指紋読取りセンサ
JP2013016115A (ja) 2011-07-06 2013-01-24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情報処理端末のロック解除方法
US9020567B2 (en) 2013-04-05 2015-04-28 Blackberry Limited Authentication using fingerprint sensor in gesture path
KR101545487B1 (ko) * 2014-04-25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7836A (ko)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제공방법
KR101769562B1 (ko) * 2014-10-28 2017-08-21 (주)드림시큐리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캡차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364600A1 (en) 2015-06-10 2016-12-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iometric Gestures
US10181017B2 (en) * 2015-12-09 2019-01-15 Lenovo (Singapore) Pte. Ltd. Swipe mechanism
KR102020638B1 (ko) 2016-09-20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이드를 통해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93294A (ko) * 2017-02-13 2018-08-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압력 정보를 이용한 패턴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18201300A1 (zh) * 2017-05-02 2018-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通知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90093003A (ko)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88699B1 (ko) 2018-02-27 202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지문 인증 인터페이스 방법
US11216641B2 (en) * 2019-01-22 2022-01-04 Invensense, Inc. Latent fingerprint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668A1 (ko) 2021-04-01
US20220215685A1 (en) 2022-07-07
US11934503B2 (en)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1465B2 (ja) 指紋認識を用いる操作方法、装置、およびモバイル端末
KR10257825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정보 획득 방법
KR102206054B1 (ko) 지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9175B1 (ko) 스크랩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KR10208018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잠금 해제 방법
KR102177150B1 (ko) 지문인식 장치 및 방법
EP2680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inputs
US1094299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user mod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23908B2 (en) Distinguishing between touch gestures and handwriting
WO2017185575A1 (zh) 一种触摸屏轨迹识别方法及装置
EP280189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KR20160032611A (ko)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907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cover of note in electronic device
US20130154947A1 (en) Determining a preferred screen orientation based on known hand positions
KR20180051782A (ko) 사용자 인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TW201339917A (zh) 用於電子裝置中的操控方法及系統
WO2017032026A1 (zh) 一种浏览网页的显示对象控制方法及用户终端
CN111164543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
JP6433923B2 (ja) デバイスへの特定のオブジェクト位置の提供
WO2015131590A1 (zh) 一种控制黑屏手势处理的方法及终端
WO2016197815A2 (zh) 一种使用指纹操作的方法、装置及终端
US9424416B1 (en) Accessing applications from secured states
KR2018005420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제공 방법
KR102096824B1 (ko) 보안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079119B (zh) 验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