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516A - 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 - Google Patents

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516A
KR20210036516A KR1020190118537A KR20190118537A KR20210036516A KR 20210036516 A KR20210036516 A KR 20210036516A KR 1020190118537 A KR1020190118537 A KR 1020190118537A KR 20190118537 A KR20190118537 A KR 20190118537A KR 20210036516 A KR20210036516 A KR 20210036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ood
unit
printing
r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3861B1 (en
Inventor
이산홍
Original Assignee
(주)엘에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에스비 filed Critical (주)엘에스비
Priority to KR102019011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861B1/en
Publication of KR20210036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5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8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23P2020/253Coating food items by printing onto them; Printing layers of food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wr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nsor unit including an ultrasonic sensor for sensing a state of a substance; a he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heat implemen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heat food ingredients embedded in an ingredient tube which i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food ingredients used for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a tube winding unit which is inserted into an end of a tube main body of the ingredient tube and rotates and winds the inserted end of the tube main body; a pair of rollers which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tube winding unit,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a sealing part of the ingredient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direction lower than the tube winding unit, and rotate when the end of the tube main body is wound so as to press a narrow part of the tube main body such that the food ingredients embedded in the ingredient tube can be discharged; a work table which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rollers and of which the food ingredients are discharged on one surface such that the food ingredients are produced into three-dimensional food; a printing unit on which the ingredient tube is mounted; and a processor which controls the printing unit such that the food ingredients embedded in the ingredient tube are discharged and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is performed there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 of the embedded food ingredients can be simply controlled.

Description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3D food printer including tube ringer {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

본 발명은 튜브링거(tube-wringer)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형 카트리지(재료튜브)에 내장되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보관·유통되는 식재료를 원활하게 출력하는 구조를 가지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wringe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having a structure that smoothly outputs food ingredients that are stored and distributed in a tube-type cartridge (material tube) and blocked from the outside.

3차원 프린터는, 잉크 대신 합성수지, 분말, 세포 등을 얇은 두께로 층층이 쌓아 일정한 모양의 입체적인 물품을 만들어내는 일종의 공작기계이다. A 3D printer is a kind of machine tool that creates three-dimensional articles of a certain shape by stacking layers of synthetic resin, powder, cells, etc. in thin thickness instead of ink.

본래는 기업에서 시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플라스틱 소재에 국한되었던 초기 단계에서 발전하여 나일론, 금속 등에서 식재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로 그 범위가 확장되어, 산업용 시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도 상용 단계로 진입하였다. Originally developed to produce prototypes by companies, but recently developed from the initial stage limited to plastic materials, the range has expanded to a variety of materials ranging from nylon, metal, etc. to food materials, and not only industrial prototypes, but also commercially available in various fields. Entered into.

3차원 프린터의 원리는 잉크젯 프린터의 원리와 유사하다. 2차원 프린터인 잉크젯 프린터는 디지털화된 파일을 전송받아 잉크분사 노즐을 X축과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종이에 잉크를 분사하여 활자나 그림 등의 2D 이미지를 인쇄하는데, 3D 프린터는 여기에 Z축 방향의 움직임을 더하여 3차원 입체 형상을 구현한다.The principle of a 3D printer is similar to that of an inkjet printer. Inkjet printers, which are two-dimensional printers, receive digitized files and spray ink on paper while moving the ink jet nozzles in the X-axis and Y-axis to print 2D images such as type and pictures. The three-dimensional shape is realized by adding the movement of

그러나, 시린지(syringe) 방식으로 소재를 토출하는 종래의 3차원 프린터의 경우, 사용성 측면에서는 우수하지만 출력 후 잔여 소재를 재사용함에 있어서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내장되는 내용물에 대한 별도의 청소가 필요한 등 내용물의 보관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3D printer that discharges materials in a syringe method, it is excellent in terms of usability, but hygienic problems may arise in reusing the remaining material after printing, and separate cleaning of the internal contents is required. There is a difficulty in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contents, such as necessary, so a plan to solve this problem is required.

KR 10-2014-0121034 AKR 10-2014-0121034 A

본 발명은, 재료튜브(튜브형 카트리지)에 내장되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보관·유통되는 식재료를 원활하게 출력하는 구조를 가지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having a structure that smoothly outputs food ingredients that are stored and distributed in a material tube (tubular cartridge) and blocked from the outside.

자세히, 본 발명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내장된 식재료를 보관·유통하는 재료튜브가 장착되고, 장착된 재료튜브를 튜브링거를 기반으로 가압하여 해당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를 용이하게 토출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aterial tube for storing and distributing the food material contained in a state tha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stalled material tube is pressurized based on the tube ringer to easily discharge the food material contained in the material tub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3D food printer.

또한, 본 발명은,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의 상태(phase)를 판단하고, 해당 식재료의 상태가 고체일 경우 가열을 수행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에 적합한 점도의 액상형 식재료로 변환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that determines the phase of the food material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and performs heating when the food material is solid, and converts it into a liquid food material with a viscosity suitable for 3D food print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재료튜브의 형태에 관계없이 어떠한 형태의 재료튜브라도 용이하게 장착하고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푸드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that can easily mount and use any type of material tub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material tube.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는, 물질의 상태(phase)를 센싱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소정의 온도로 구현되는 열을 발생시켜 3차원 푸드 프린팅에 사용되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인 재료튜브에 내장된 상기 식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재료튜브의 튜브본체 말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튜브본체 말단을 회전하며 권취하는 튜브권취부; 상기 튜브권취부에 일체되고 상기 튜브권취부보다 하향에서 상기 재료튜브의 실링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튜브본체 말단이 권취될 시 회전하여 상기 튜브본체의 협폭부를 가압해 상기 재료튜브에 내장된 상기 식재료를 토출시키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롤러보다 하향에 배치되며 일면으로 상기 식재료가 토출되어 3차원 입체 식품이 제조되는 작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튜브가 장착되는 프린팅부; 및 상기 프린팅부를 제어하여 상기 재료튜브에 내장된 상기 식재료를 토출해 상기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 3D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including an ultrasonic sensor for sensing a phase of a substanc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food materials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which is a container for receiving food materials used in 3D food printing by generating heat realiz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tube winding part into which the end of the tube body of the material tube is inserted, and rotates and winds the inserted end of the tube body; It is integrated with the tube winding part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ealing part of the material tube interposed between the sealing part of the material tube downward from the tube winding part, and when the end of the tube body is wound, it rotates to pressurize the narrow part of the tube body. A pair of rollers for discharging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tube; And a working table disposed downward from the roller and on which the food material is discharged to one surface to manufacture a three-dimensional food product, comprising: a printing unit on which the material tube is mounted;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the 3D food printing by controlling the printing unit to discharge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material tube.

이때,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프린팅부에 장착된 상기 재료튜브에 내장된 상기 식재료가 고체 상태인지 액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At this time, the ultrasonic sensor determines whether the food material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mounted on the printing unit is in a solid state or a liquid state.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가 상기 식재료를 고체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식재료에 상기 소정의 온도로 구현되는 열을 가한다. In addition, when the ultrasonic sensor determines that the food material is in a solid state, the heating unit applies heat realized a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food material.

또한, 상기 프린팅부는, 상기 튜브권취부와 상기 한 쌍의 롤러가 동일하게 이동하며 상기 재료튜브에 대한 권취를 수행해 상기 식재료를 토출하는 제 1 권취동작이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재료튜브로부터 토출되지 못한 상기 식재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이 상호 이격되며 상기 재료튜브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is a position where the tube winding unit and the pair of rollers move equally and even after the first winding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food material by winding the material tube is completed, it is not pressed by the roller. When there is the food material that is embedded in and cannot be discharged from the material tube, each of the pair of roller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s moved away from the material tube.

또한, 상기 튜브권취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이 이격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을 기반으로 상기 재료튜브를 더 권취하여,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재료튜브로부터 토출되지 못한 상기 식재료에 압력을 가하는 제 2 권취동작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tube winding unit further winds the material tube based on a space formed by spaced apart each of the pair of rollers, and is embedded in a position not pressed by the roller to prevent the material tube from being discharged. Perform a second winding operation to apply pressure.

또한, 상기 튜브권취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푸드 프린터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권취부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재료튜브가 권취됨에 따른 장력에 의해 상기 재료튜브가 권취된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하강한다. In addition, the tube winding unit is fixed to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based on an elastic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the tube winding unit and the pair of rollers are formed by tension due to the material tube being wound. The material tube is lowered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ound length.

또한, 상기 재료튜브가 권취된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하강한 튜브권취부는, 상기 재료튜브가 상기 프린팅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회귀한다. In addition, the tube take-up portion, whose material tube is lowered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wound length,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when the material tube is separated from the printing portion.

또한, 상기 프린팅부는, 상기 센서부, 상기 가열부, 상기 튜브권취부 및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내부에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가 상기 작업 테이블 상향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작업 테이블 상에서 상하전후 이동을 수행하여, 지지하고 있는 상기 몸체 또한 동일하게 이동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위치설정부 상에서 좌우 이동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may include a body having one or more of the sensor unit, the heating unit, the tube winding unit, and the roller therein; And a positioning unit supporting the body to be positioned above the work table and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body, wherein the positioning unit performs vertical movement on the work table and supports the body In addition, it operates to move in the same manner, and the body performs horizontal movement on the positioning unit.

또한, 상기 프린팅부는, 상기 튜브본체의 타단이 삽입되며 상기 재료튜브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노즐이 형성된 튜브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홀더는, 상기 튜브본체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다수 개로 서로 교체 가능하고, 상기 노즐은, 서로 다른 사이즈를 또는 형태로 형성 가능하여 상기 식재료의 토출량, 토출 속도 및 토출 모양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further includes a tube holder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is inserted and a nozzl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material tube is formed; wherein the tube holder has an open top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is inserted. It has an internal space and is interchangeable with a plurality of nozzles, and the nozzles can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or shapes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discharge speed, and discharge shape of the food ingredients.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튜브홀더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 테이블과 상기 튜브홀더 사이의 높이를 측정하는 작업 테이블-튜브홀더 간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테이블-튜브홀더 간 거리센서는, 상기 노즐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시 상기 작업 테이블과 상기 튜브홀더 사이의 높이를 제공하여 상기 노즐의 이동을 보조한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further comprises a; work table-tube holder distance sensor disposed on the tube holder to measure a height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tube holder, wherein the work table-tube holder distance sensor, When the nozzl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eight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tube holder is provided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nozz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는, 장착된 재료튜브의 말단 쪽 납작한 실링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롤러가 배치되고, 튜브권취부가 상기 재료튜브의 말단을 권취함에 따라서, 롤러가 재료튜브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재료튜브 내의 식재료를 토출함으로써, 내장된 액상형의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배출해냄과 동시에 잔여 식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ollers are disposed with a flat sealing portion at the end of the mounted material tube therebetween, and the tube winding unit winds up the end of the material tube. Therefore, by easily discharging the food ingredients in the material tube by a roller pressing the material tube, 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discharging the liquid type food material and minimizing the waste of the remaining food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는, 토출구가 형성된 숄더가 튜브형 본체에 배치되고, 그 튜브형 본체 내부에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가 수용되어 해당 식재료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재료튜브를 이용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식재료를 보관·유통·출력 및 폐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토출구에 캡을 사용함으로써, 출력 후의 잔여 식재료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재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ulder with a discharge port is disposed on a tubular body, and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food material is accommodated in the tubular body, so that the corresponding food material is priced from the outside. By performing 3D food printing using a material tube that is blocked, there is an effect that food materials can be stored, distributed, printed, and disposed of hygienically. In particular, by using a cap at the discharge port, residual food ingredients after printing can be safely stored and re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는,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의 상태(phase)를 센서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해당 식재료의 상태가 고체일 경우 가열을 수행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에 적합한 점도의 액상형 식재료로 변환함으로써,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가 고체인 경우에도 튜브링거에 기반한 3차원 푸드 프린팅이 원활히 수행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3D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phase of the food material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based on a sensor, and performs heating when the state of the food material is solid. Thus, by converting into a liquid food material having a viscosity suitable for 3D food printing, even if the food material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is solid, there is an effect that 3D food printing based on Tuberinger can be perform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는, 튜브권취부와 한 쌍의 롤러를 삼각 고정대를 기반으로 연결하고, 해당 삼각 고정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롤러 간 거리 및/또는 튜브권취부와 롤러 간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3차원 푸드 프린터에 장착된 재료튜브가 내장된 식재료의 양, 상태 등에 의해 본래의 형태와 상이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해당 재료튜브를 3차원 푸드 프린터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푸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tube winding unit and a pair of rollers based on a tripod fixer, and adjusts the length of the tripod fixe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rollers Alternatively, by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ube winding unit and the roller, the material tube installed in the 3D food printer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hape depending on the amount and condition of the food material inside, regardless of this, the material tube is transferred to the 3D food prin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는, 센서를 통해 프린팅부와 작업 테이블 간의 위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출력 높이를 보상하여 보다 정밀하게 식재료를 출력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는, 재료튜브의 일단에서 직경이 다양한 노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장된 식재료의 출력을 간단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food that outputs food ingredients more precisely by compensating for an output height by detecting a position change between a printing unit and a work table through a sens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printer. In addition, a 3D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imply control the output of the built-in food ingredients by allowing nozzles of various diameters to be replaced at one end of the material tube. .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 외형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라인에 따른 재료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의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의 프린팅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의 상(phase)을 판단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가 가열부를 통해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를 가열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가 프린팅부를 통해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각 고정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가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를 튜브권취부를 통해 토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가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n example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teria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terial tube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printing unit of the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ultrasonic sensor to determine a phase of a food material embedded in a material tube.
8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s food materials embedded in a material tube through a heating unit.
9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3D food printing through a printing unit.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inting unit that performs 3D foo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tripod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charging the food material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through the tube winding unit by the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3D food printing by using a distance sensor by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rather than a limiting meaning. In addi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vance.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 3차원 푸드 프린터 -3D food printer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내장된 식재료를 보관·유통하는 재료튜브가 장착될 수 있고, 장착된 재료튜브를 튜브링거(tube-wringer)를 기반으로 가압하여 해당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를 토출함으로써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First, the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material tube for storing and distributing the food material inside in a state tha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stalled material tube is connected to a tube-wringer. 3D food printing can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base and discharging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material tube.

또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는,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의 상태(phase)를 센서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식재료의 상태가 고체로 판단된 경우 가열을 수행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에 적합한 점도의 액상형 식재료로 변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food material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based on a sensor, and when the state of the food material is determined to be solid, heating is performed to perform the 3D food. It can be converted into liquid food ingredients with a viscosity suitable for print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 외형의 일례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의 내부 블록도이다. 1 is an example of an external appearance of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세히,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는, 프로세서(930), 메모리(920), 통신부(910) 및 프린팅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S. 1 and 2, a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rocessor 930, a memory 920, a communication unit 910, and a printing unit 800. have.

먼저, 프로세서(930)는,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를 제공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First, the processor 93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provide the 3D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930)는,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프린팅부(800)를 제어하여, 튜브링거(350)를 이용해 3차원 푸드 프린터(90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 내의 식재료를 토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식재료에 기반한 3차원 모델링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930 controls the printing unit 800 that directly performs 3D food printing, and uses the tube ringer 350 to use the material mounted on the 3D food printer 900. The food ingredients in the tube 100 may be discharged, and through this, a three-dimensional modeling based on the food ingredients may be performed.

이러한 프로세서(93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Such processors 930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또한, 메모리(920)는,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 응용 프로그램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920 may store any one or more of various data, application programs, and commands related to the 3D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실시예에서, 메모리(920)는, 3차원 푸드 프린팅을 통해 생성하려는 목표 오브젝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emory 920 may store and manage a 3D drawing representing a shape of a target object to be generated through 3D food printing.

이러한 메모리(92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The memory 920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or may b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the database on the Internet.

다음으로, 통신부(910)는,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Next, the communication unit 910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types of data and/or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3D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through a network.

실시예로, 통신부(910)는, 외부의 서버 및/또는 단말과 통신하여 3차원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910 may obtain a 3D drawing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and/or a terminal.

이러한 통신부(9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910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for exampl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can do.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린팅부(800)는, 프로세서(930)의 제어에 따라서 3차원 푸드 프린터(90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해 3차원 모델링된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Fin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unit 800 performs 3D food printing using the ingredients of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on the 3D food printer 9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930. 3D modeled food can be manufactured.

자세히, 프린팅부(800)는, 3차원 도면에 기초한 목표 오브젝트 형상의 좌표값에 따라서, x, y 좌표를 가지는 작업 테이블(400) 상에 식재료를 토출하여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팅부(800)는, 목표 오브젝트의 z 좌표에 기반하여 3차원 모델링 식품의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inting unit 800 may manufacture food by discharging food ingredients on the work table 400 having x and y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shape of the target object based on the 3D drawing. Here, the printing unit 800 may form the height of the 3D modeled food based on the z-coordinate of the target object.

이때,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부(800)는, 재료튜브(100)를 권취 및 가압하여 식재료를 토출시키는 튜브링거(350)를 포함함으로써,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를 원활하게 출력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린팅부(8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printing unit 8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tube ringer 350 for discharging the food ingredients by winding and pressing the material tube 100, thereby smoothly outputting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material tube 100. Structure can be provid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inting unit 800 will be described later.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들은 3차원 푸드 프린터(900)를 구현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elements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900, so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9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more or fewer elements than the elements listed above. You can have them.

- 재료튜브(튜브형 카트리지) -Material tube (tube type cartridg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튜브(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라인에 따른 재료튜브(100)의 단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terial tub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terial tube 100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료튜브(100)는, 3차원 프린팅을 위한 식재료(1)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3차원 푸드 프린터(900)에 그 식재료(1)를 공급한다. 3 and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tube 100 is a container that accommodates the food material 1 for 3D printing, and the food material 1 is supplied to the 3D food printer 900. Supply.

자세히, 재료튜브(100)는, 일단이 개방된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3차원 프린팅 식재료(1)를 수용하며,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협폭부(11), 및 협폭부(11)로부터 타단까지 납작하게 연장된 실링부(13)를 구비하는 튜브본체(10), 튜브본체(10)의 일단에 배치되고, 3차원 프린팅 식재료(1)가 통과하는 배출홀(21)이 관통된 숄더(20), 및 숄더(20)의 외면으로부터, 배출홀(21)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3차원 프린팅 식재료(1)를 배출하는 토출구(30)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material tube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with one end open, accommodates a three-dimensional printing food material 1 therein, and a narrow width portion 11 gradually narrow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and a narrow A tube body 10 having a sealing portion 13 extending flat from the width 11 to the other end, and a discharge hole 21 disposed at one end of the tube body 10, through which the 3D printing ingredients 1 pass. ), a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20, a discharge port 30 protruding outwar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hole 21, and discharging the three-dimensional printing food material 1.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재료튜브(100)는, 튜브본체(10), 숄더(20), 및 토출구(30)를 포함한다. In other words, the material tube 100 of the 3D food printer 9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body 10, a shoulder 20, and a discharge port 30.

이때, 튜브본체(10)는, 내부에 3차원 프린팅 식재료(1)를 수용하는 부재로서,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된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타단 방향을 따라, 협폭부(11), 및 실링부(13)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데, 협폭부(11)는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부분이고, 실링부(13)는 협폭부(11)의 말단으로부터 튜브본체(10)의 타단까지 납작하게 연장된 부분이다. At this time, the tube body 10 is a member that accommodates the 3D printing food material 1 therein,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having one end open and the other end closed. Here, along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a narrow portion 11 and a sealing portion 13 are sequentially provided, and the narrow portion 11 is a portion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ther end, and the sealing portion 13 is narrower. It is a part extending flat from the end of the width part 11 to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10.

즉, 튜브본체(10)의 타단 쪽 소정의 외주면이 납작하게 밀착되어 실링부(13)를 형성하고, 이로써 중공관 형태의 튜브본체(10)의 타단이 밀폐되며, 이때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가 대부분 수용되는 튜브본체(10)의 중심부와 상기 실링부(13) 사이를 협폭부(11)가 연결한다.That is, a predetermin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1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the sealing portion 13, thereby sealing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10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A narrow portion 11 connec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tube body 10 in which most 1) is accommodated and the sealing portion 13.

이러한 튜브본체(10)에 수용되는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는, 식품 3차원 프린팅에 사용되는 소재로서, 가열 시 액상형으로 변환 가능한 식재료(1) 및/또는 별도의 가열이 없어도 액상형으로 유지되는 식재료(1) 등일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accommodated in the tube body 10 is a material used for food three-dimensional printing, and the food material 1 that can be converted to a liquid form when heated and/or remains in a liquid form without separate heating. It may be a food ingredient (1) and the like.

즉, 재료튜브(100)에 내장되는 식재료(1)는,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를 가압할 시 토출 가능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이 수행될 수 있는 식재료(1)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food ingredients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can be discharged when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is pressurized, so that the food material 1 can be performed for 3D food printing. I can.

예를 들어, 식재료(1)는, 가열 시 액상형으로 변환 가능하거나, 별도의 가열이 없어도 액상형으로 유지될 수 있는 식재료(1)인 초콜릿일 수 있다. 다만,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튜브본체(10)를 가압할 때에 토출될 수 있는 한 모든 공지의 소재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food material 1 may be chocolate, which is a food material 1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liquid form when heated or can be maintained in a liquid form without separate heating. However,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ll known materials as long as it can be discharged when pressing the tube body 10.

다시 돌아와서,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는, 내부에 수용된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를 짜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포장용 소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튜브본체(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압축시키면 내부의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가 튜브본체(10)의 일단 방향으로 토출된다. Returning again,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is made of a packaging material such as soft synthetic resin so that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accommodated therein can be squeezed and used. Accordingly,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body 10 is pressed and compressed, the 3D food printing ingredients 1 inside are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tube body 10.

또한,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는,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도 녹거나 타지 않는 불연성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non-flammable material that does not melt or burn even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이때, 튜브본체(10)의 일단에는 숄더(20)가 배치되어, 토출량과 토출방향을 결정한다.At this time, a shoulder 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tube body 10 to determine a discharge amount and a discharge direction.

자세히, 숄더(20)는, 개방된 튜브본체(10)의 일단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두께 방향을 따라 배출홀(21)이 관통된 것을 제외하고는, 그 개방된 일단을 대체로 폐쇄한다. 따라서, 튜브본체(10)를 가압하면, 내부의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가 숄더(20)의 배출홀(21)로 안내되어 외부로 토출된다. In detail, the shoulder 20 is a memb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open tube body 10, and generally closes its open end, except that the discharge hole 21 penetrate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tube body 10 is pressed,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inside is guided to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shoulder 2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숄더(20)는, 튜브본체(10)의 형태를 유지하며 배출홀(21)과 연통되는 토출구(30)를 지지한다.At this time, the shoulder 20 maintains the shape of the tube body 10 and supports the discharge port 3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21.

여기서, 토출구(30)는, 숄더(20)의 외면에 배치되는데, 숄더(20)의 배출홀(21)을 중심으로 관(pipe)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Here, the discharge port 3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oulder 20, and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form of a pipe around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shoulder 20.

따라서, 토출구(30)는, 배출홀(21)을 통해 튜브본체(10) 내부와 연통되므로 튜브본체(10) 내의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는 배출홀(21)을 통과하여 토출구(30)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Therefore, since the discharge port 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tube body 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in the tube body 1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 ) To the outside.

한편, 재료튜브(100)는, 튜브본체(10) 내부의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를 외부와 차단하여 안전하게 유통·보관하기 위하여, 토출구(30)에 긴밀하게 체결되는 캡(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aterial tube 100 includes a cap 40 that is tightly fastened to the discharge port 30 in order to safely distribute and store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inside the tube body 10 from the outside. It may contain more.

자세히, 재료튜브(100)의 캡(40)은, 용이하게 토출구(30)를 개폐할 수 있으며, 비사용시에는 토출구(30)를 폐쇄하여 외부 오염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In detail, the cap 40 of the material tube 100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30, and when not in use, the discharge port 30 is closed to prevent penetration of external contaminants.

따라서, 캡(40)을 통해 보다 안정되게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를 보관할 수 있고, 나아가 배출되고 남은 잔여의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store the 3D food printing ingredients 1 through the cap 40,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use the remaining 3D food printing ingredients 1 after being discharged.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프린터의 재료튜브(100)에 따르면, 토출구(30)가 형성된 숄더(20)가 튜브본체(10)에 배치되고, 그 튜브본체(10) 내부에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가 수용되어, 그 소재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므로, 위생적으로 소재를 보관·유통 및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구(30)에 캡(40)을 사용함으로써, 출력 후의 잔여분을 안전하게 보관·재사용할 수 있다. In general, according to the material tube 100 of the 3D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ulder 20 on which the discharge port 30 is formed is disposed on the tube body 10, and the 3D food inside the tube body 10 Since the printing ingredients 1 are accommodated and the ingredients are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ingredients can be stored, distributed, and discharged hygienically. In addition, by using the cap 40 for the discharge port 30, the residual after output can be safely stored and reused.

- 3차원 푸드 프린터의 프린팅부 -Printing part of 3D food prin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프린팅부(800)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more detailed view of the printing unit 800 of the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프린팅부(800)는,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의 말단이 삽입되고 튜브본체(10)의 말단을 권취하는 튜브권취부(200), 튜브권취부(200)보다 하향에서 3차원 푸드 프린터(90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 튜브본체(10)의 실링부(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튜브본체(10)의 말단이 권취될 시 회전하면서 튜브본체(10)의 협폭부(11)를 가압하여 튜브본체(10) 내의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를 배출시키는 한 쌍의 롤러(300), 및 롤러(300)보다 하향에 배치되고 일면에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가 출력되어 3차원 입체 식품이 형성되는 작업 테이블(400)을 포함할 수 있다. 5 and 6, the printing unit 800 of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is inserted and the tube body 10 ) Between the tube winding portion 200 for winding the end of the tube winding portion 200 and the sealing portion 13 of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on the 3D food printer 900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ube winding portion 200 Are placed to face each other, and rotated when the end of the tube body 10 is wound, and pressurizes the narrow portion 11 of the tube body 10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ingredients 1 in the tube body 10 are produced. It may include a pair of rollers 300 for discharging, and a work table 400 disposed downward from the roller 300 and on which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is output to form a three-dimensional food product. .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프린팅부(800)는,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를 외부로 출력하여 3차원 입체 식품을 만드는 장치로서,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재료튜브(100), 튜브권취부(200), 한 쌍의 롤러(300), 및 작업 테이블(400)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printing unit 800 of the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roducing 3D food by outputting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material tube of 900, the tube winding portion 200, a pair of rollers 300, and a work table 4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부(800)는, 몸체(810), 위치설정부(820), 가열부(830) 및 센서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dy 810, a positioning unit 820, a heating unit 830, and a sensor unit 840.

자세히, 먼저 몸체(810)는, 작업 테이블(400) 상향에 위치하고 내부에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한 일부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내부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를 감싸는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In detail, first, the body 810 is positioned above the working table 400 and may have some components for performing 3D food printing therein, and is implemented in a form that wraps each component provided inside. Can be protected from

실시예로, 몸체(810)는, 내부에 가열부(830), 센서부(840), 재료튜브(100), 튜브권취부(200) 및 롤러(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장착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body 810 may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of the heating unit 830, the sensor unit 840, the material tube 100,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the roller 300 therein. .

그리고 이러한 몸체(810)는, 구비된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따라서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위한 식재료(1) 토출 동작의 중심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810 may serve as a center point of a food material (1) discharging operation for 3D food prin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provided.

또한, 몸체(810)는, 프로세서(930)의 제어를 받는 위치설정부(820)의 동작에 따라서 작업 테이블(400) 상에서의 위치 이동(좌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810 may perform a position movement (coordinate movement) on the work table 400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positioning unit 820 controlled by the processor 930.

여기서, 위치설정부(820)는, 상술된 몸체(810)가 작업 테이블(400) 상향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positioning unit 820 may be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rod that supports the above-described body 810 to be positioned above the work table 400.

이러한 위치설정부(820)는, 프로세서(930)의 컨트롤에 의해 3차원 푸드 프린터(900) 상에서 상하전후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하고 있는 몸체(810) 또한 작업 테이블(400) 상에서 상하전후 이동하게 할 수 있다. Such a positioning unit 820 can perform vertical movement on the 3D food printer 900 by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930, and the body 810 supported through it can also be moved on the work table 400. You can move it up and down.

이때, 위치설정부(820) 상에 안착되어 지지받는 몸체(810)는, 위치설정부(820)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전후 이동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프로세서(930)의 제어에 따라서 위치설정부(820) 상에서의 좌우 이동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즉, 몸체(810)는, 위치설정부(820)를 기준으로 작업 테이블(400) 상에서 이동하며 내부에 구비된 구성요소의 동작에 따른 식재료(1) 토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dy 810 seated on and supported on the positioning unit 820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ing unit 820, and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930 Left and right movement on the setting unit 820 may also be performed. That is, the body 810 moves on the work table 400 based on the positioning unit 820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food ingredients 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provided therein.

한편, 가열부(830)는, 프린팅부(800)의 몸체(810) 내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몸체(810) 내부에 장착된 재료튜브(100)의 식재료(1)에 소정의 온도로 열을 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unit 830 may be formed in a form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810 of the printing unit 800, the food material (1) of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inside the body 810 Heat can be appli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예를 들어, 가열부(830)는, 전기가열방식(저항가열, 유도가열, 유전가열, 아크가열 또는 적외선 가열 등)으로 소정의 온도로 구현되는 열을 발생시켜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eating unit 830 may perform a heating operation by generating heat realiz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n electric heating method (resistance heating, induction heating, dielectric heating, arc heating, infrared heating, etc.).

즉, 가열부(830)는, 프로세서(93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의 열기를 발생시켜 전달하는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체 형태로 재료튜브(100) 내에 내장되어 있는 식재료(1)를 3차원 푸드 프린팅에 적합한 점도의 액상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heating unit 830 may perform a heating operation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hea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930, and through this, the food ingredients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in a solid form. ) Can be converted into a liquid form with a viscosity suitable for 3D food prin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부(840)는, 물질의 상태(phase)를 측정가능한 초음파 센서(600) 및/또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840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600 capable of measuring a phase of a material and/or a distance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distance.

여기서, 물질의 상태란, 주어진 온도와 압력에서 물질이 가지는 상태로서 고체, 액체 및 기체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state of a substance is a state of a substance at a given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may mean any one of solid, liquid, and gas.

즉, 실시예에서 초음파 센서(600)는, 센싱을 통하여 3차원 푸드 프린터(90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에 내장되어 있는 식재료(1)가 고체인지 액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ultrasonic sensor 600 may determine whether the food material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on the 3D food printer 900 is solid or liquid through sensing.

이러한 초음파 센서(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롤러(300) 상에 배치된다고 설명하나, 장착된 재료튜브(100)를 센싱하기 적합한 위치라면 어디든 배치가 가능하다. Such an ultrasonic sensor 60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 the roller 300 of the 3D food printer 9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disposed anywhere suitable for sensing the mounted material tube 100 Do.

또한, 거리 센서는, 센싱을 통하여 해당 거리 센서와 특정 물체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Also, the distance sensor may determine a distance between a corresponding distance sensor and a specific object through sensing.

이러한 거리 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린팅부(800)의 튜브홀더(500) 상에 배치되어 작업 테이블-튜브홀더 간 거리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작업 테이블(400)과 튜브홀더(500)(즉, 프린팅부(800)) 간의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거리 센서가 튜브홀더(500) 상에 배치된다고 설명하나, 작업 테이블(400)과 프린팅부(800) 간의 거리 판단에 용이한 위치라면 어디든 배치될 수 있다. Such a distance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distance sensor between the working table and the tube holder by being disposed on the tube holder 500 of the printing unit 8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orking table 400 and the tube holder 500 )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unit 800) may b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such a distance sensor is disposed on the tube holder 500, but it may be disposed at any location where it is easy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 table 400 and the printing unit 800.

한편, 여기서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재료튜브(100)는, 협폭부(11) 및 실링부(13)를 구비한 튜브본체(10), 배출홀(21)을 구비한 숄더(20), 및 토출구(30) 등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를 수용하고 배출하는 용기로서, 그 구체적 내용은 상술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하게만 기술한다. 또한, 상기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재료튜브(100)는 캡(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here, the material tube 100 of the 3D food printer 900 is a tube body 10 having a narrow portion 11 and a sealing portion 13, and a shoulder 20 having a discharge hole 21. , And a discharge port 30, and the like, a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nd discharging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therein, and its specific content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material tube 100 of the 3D food printer 900 may further include a cap 4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프린팅부(800)가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the printing unit 800 of the 3D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3D food print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가 초음파 센서(600)를 이용하여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의 상(phase)을 판단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7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phase of the food material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using the ultrasonic sensor 600 .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프린팅부(800)의 초음파 센서(600)는, 한 쌍의 롤러(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프린팅부(80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 내 식재료(1)(예컨대, 초콜릿)의 상태(phase)를 센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first, the ultrasonic sensor 600 of the printing unit 800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a pair of rollers 300, and the ingredients in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on the printing unit 800 (1) It is possible to sense the phase of (eg, chocolate).

다시 말해서, 초음파 센서(600)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에 내장되어 있는 식재료(1)가 고체 상태인지 액체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ultrasonic sensor 600 may determine whether the food material 1 contained in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on the 3D food printer 900 is in a solid state or a liquid state.

이때, 초음파 센서(600)를 통하여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가 고체형이라고 판단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부(800)는, 가열부(830)를 이용하여 해당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ood material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is solid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600, the printing unit 8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heating unit 830. Thus, the food ingredients 1 contained in the material tube 100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가 가열부(830)를 통해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를 가열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8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s the food material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through the heating unit 830.

실시예로, 도 8을 참조하면 프린팅부(800)의 가열부(830)는, 프린팅부(800)의 몸체(810) 내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면에서 몸체(810)의 중앙측으로 발산되는 열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heating unit 830 of the printing unit 800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810 of the printing unit 800 so that the center of the body 810 is formed from the inner surface. It can generate heat radiating to the side.

즉, 가열부(830)는, 소정의 온도로 구현되는 열을 발생시켜 몸체(810)의 중앙측으로 전달함으로써, 몸체(810)의 중앙측에 장착되어 있는 재료튜브(100) 내 식재료(1)를 가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체형의 식재료(1)를 3차원 푸드 프린팅에 적합한 점도의 액상형 식재료(1)로 변환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heating unit 830 generates heat realiz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ransfers it to the central side of the body 810, so that the ingredients 1 in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body 810 Can be heat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vert a solid food ingredient (1) into a liquid food ingredient (1) having a viscosity suitable for 3D food printing.

예를 들어, 가열부(830)는, 초음파 센서(600)를 통하여 재료튜브(100) 내에 고체형의 초콜릿이 감지된 경우, 해당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고체형 초콜릿에 가열을 수행하여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기 적합한 점도의 액상형 초콜릿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solid chocolate is detected in the material tube 100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600, the heating unit 830 heats the solid chocolate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to perform heating. It can be converted into liquid chocolate with a viscosity suitable for performing 3D modeling.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가 프린팅부(800)를 통해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모습의 일례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부(8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3D food printing through the printing unit 800, and FIG. 10 is an example of a 3D food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ting unit 800 that performs printing.

한편,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보다 자세히 프린팅부(800)의 튜브권취부(200)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재료튜브(100)를 감는 기기로서, 3차원 푸드 프린터(900)의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의 말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면, 회전하면서 그 말단부터 권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tube winding unit 200 of the printing unit 800 in more detail is a device for winding the material tube 100 of the 3D food printer 900, and a 3D food printer 900 When the end of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of) is inserted and fixed, the win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from the end while rotating.

구체적으로, 튜브권취부(2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원통형의 외주연에 삽입구(220)를 구비하여, 튜브본체(10)의 말단이 삽입구(220)에 삽입되면 튜브권취부(200)이 회전하면서 튜브본체(10)를 감는다. Specifically, the tube winding portion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insertion hole 220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when the end of the tub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opening 220, the tube winding portion ( As 200) rotates, the tube body 10 is wound.

이때, 튜브권취부(200)에 삽입되어 고정된 재료튜브(100)의 타단은, 프린팅부(800) 몸체(81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30)와 매칭되는 홀(hole)을 통하여, 몸체(810)의 내부 하단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material tube 100 inserted and fixed in the tube winding part 200 has a hole matching the discharge port 30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body 810 of the printing part 800. Through this, it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body 810.

또한, 튜브권취부(200)의 중심부에는 구동축(250)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튜브권취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e shaft 25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tube take-up unit 200,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ube take-up unit 200.

여기서, 삽입구(220)는 튜브본체(10) 타단이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튜브본체(10)의 타단이 튜브권취부(200)에 삽입 배치되도록 외주연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hole 22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10, or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rec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so that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tube winding unit 200. I can.

또한, 튜브권취부(20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210)를 통하여 프린팅부(800)의 몸체(810) 내부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ube winding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body 810 of the printing unit 800 through an elastic member 210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즉, 튜브권취부(200)는, 탄성부재(210)를 통해 몸체(810) 내부의 상단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가 권취됨에 따른 장력에 의해 프린팅부(800) 몸체(810)의 하단측으로 점차 이동되며 권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tube winding unit 20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810 through the elastic member 210, and then the printing unit by tension due to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being wound. (800) It is gradually mov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body 810 and can perform a winding operation.

이는, 3차원 푸드 프린팅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프린팅부(800)와 작업 테이블(4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바, 이때에는 재료튜브(100)가 권취된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가 이를 보상하여 아래로 이동하기 위함이다. This is, while the 3D food printing process is in progress, there is a case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unit 800 and the work table 400 must be kept constant, in this case, the material tube 100 corresponds to the wound length. As much as the height, the tube winding part 200 and a pair of rollers 300 compensate for this and move downward.

또한, 튜브권취부(200)는, 해당 재료튜브(100)에 대한 권취 동작이 완료된 경우 즉, 재료튜브(100) 내의 식재료(1)에 대한 토출이 완료된 경우, 재료튜브(100)의 교체 또는 해제를 위하여 해당 재료튜브(100)가 몸체(810)로부터 분리되면,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 즉, 몸체(810) 내부의 상단측으로 회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ube winding unit 200, when the winding operation for the material tube 100 is completed, that is, when the discharge of the food material 1 in the material tube 100 is completed, the material tube 100 is replaced or When the material tube 100 is separated from the body 810 for release, it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8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이후, 튜브권취부(200)는,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의 말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재료튜브(100) 장착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tube winding unit 200 may repeatedly perform an operation of attaching the material tube 100 to which the end of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is inserted and fixed.

한편, 프린팅부(800)의 한 쌍의 롤러(300)는, 튜브권취부(200)보다 아래쪽 하향에 배치되어 튜브권취부(2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튜브본체(10)의 실링부(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air of rollers 300 of the printing unit 800 may be disposed in a lower and downward direction than the tube winding unit 200 to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sealing of the tube body 10 It is possible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art 13 interposed therebetween.

여기서, 각각의 롤러(300)는, 실링부(13)의 외면에 접촉하고,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튜브권취부(200)가 작동하여 튜브본체(10)를 권취하며 하향으로 이동하면, 함께 이동하며 회전하면서 튜브본체(10)의 협폭부(11)를 가압할 수 있다. Here, each roller 30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sealing part 13 and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310, so that the tube winding part 200 operates to wind the tube body 10 and move downward. When moved, the narrow portion 11 of the tube body 10 can be pressed while moving and rotating together.

즉, 각각의 롤러(300)는, 튜브권취부(2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튜브권취부(200)가 하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를 가압해 해당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를 배출하게 할 수 있다. That is, each roller 300 is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tube winding unit 200 so that the tube winding unit 200 moves together as the tube winding unit 200 moves downward and presses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ood ingredients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이때, 튜브본체(10) 내의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는, 토출구(30, 도 3 및 도 4 참조)를 통해 작업 테이블(400)의 일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in the tube body 10 may be discharged to one surface of the work table 400 through a discharge port 30 (see FIGS. 3 and 4 ).

여기서, 상술된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는, 함께 동작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튜브링거(350)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above-described tube winding unit 200 and a pair of rollers 300 may be implemented as a tube ringer 350 as one component that operates together.

이때,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를 포함하는 튜브링거(350)는, 튜브권취부(200)의 구동축(250)과 한 쌍의 롤러(300)의 회전축(310)을 상호 연결하는 삼각 고정대(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ube ringer 350 including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a pair of rollers 300 is the drive shaft 250 of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the rotation shaft 310 of the pair of rollers 300 It may further include a tripod fixture 351 for interconnecting.

자세히, 삼각 고정대(351)는, 로프(rope) 형태로 구현되어 튜브링거(350)에서 동일한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축(250)과 한 쌍의 회전축(310)을 서로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In detail, the tripod holder 35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ope to connect and fix the drive shaft 250 and a pair of rotation shafts 310 that perform the same rotation operation in the tube ringer 350 to each other.

그리하여 삼각 고정대(351)는, 연결된 구동축(250)과 회전축(310)이 삼각 고정대(351)에서 회전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튜브링거(350)를 이용하여 재료튜브(100)를 가압하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재료튜브(100)를 가압함에 있어서 보다 안정성 있게 동작하는 튜브링거(350)를 구현할 수 있다. Thus, the tripod fixture 351 can enable the connected drive shaft 250 and the rotation shaft 310 to be rotatable in the tripod fixture 351, through which the tube ringer 350 is used to press the material tube 1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or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ube ringer 350 that operates more stably in pressing the material tube (100).

또한, 삼각 고정대(351)는, 구동축(250) 및 한 쌍의 회전축(3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길이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ipod holder 351 may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into at least one of the drive shaft 250 and the pair of rotation shafts 310 to adjust the length.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각 고정대(35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A and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tripod holder 35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세히,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삼각 고정대(351)는,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과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을 연결하는 밑변 로프(a)와, 구동축(250)과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을 연결하는 좌변 로프(b) 및 구동축(250)과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을 연결하는 우변 로프(c)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in the embodiment, the tripod fixing stand 351 includes a bottom rope (a)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and , Including a left-hand rope (b) connecting the drive shaft 250 and the rotational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 a right-side rope (c) connecting the drive shaft 250 and the rotational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can do.

먼저, 도 11a를 더 참조하면, 삼각 고정대(351)는,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밑변 로프(a)를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해당 밑변 로프(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1A further, the tripod holder 351 inserts or withdraws the base rope a in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or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The length of the bottom rope (a)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삼각 고정대(351)는, 도 11a의 (1)의 상태에서 밑변 로프(a)를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삽입하여, 제 1 롤러와 제 2 롤러 간의 폭이 감소한 도 11a의 (2)의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state of (1) of FIG. 11A, the tripod fixing stand 351 is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or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By inserting, the width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can be changed to the state of (2) in FIG. 11A.

결과적으로, 삼각 고정대(351)는, 좌우에 배치된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튜브링거(35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가 본래의 형태에 비해 좌우부피가 더 크거나 작더라도 튜브링거(350)에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tripod fixture 351 can adjust the width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through which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on the tube ringer 350 is compared with the original shape. Even if the left and right volumes are larger or smaller,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tube ringer 350.

또한, 도 11b를 더 참조하면, 삼각 고정대(351)는, 구동축(250) 및/또는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에 좌변 로프(b)를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해당 좌변 로프(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구동축(250)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우변 로프(c)를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해당 우변 로프(c)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1B further, the tripod holder 351 inserts or withdraws the left-hand rope b into the drive shaft 250 and/or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 the corresponding left-hand rope (b) The length of the right side rope (c) can be adjusted, and at the same time, the length of the right side rope (c)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or drawing out the right side rope (c) in the drive shaft 250 and/or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즉, 삼각 고정대(351)는, 구동축(250),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대한 로프의 삽입 또는 인출 동작을 수행하여,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 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That is, the tripod holder 351 performs an operation of inserting or drawing out a rope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250,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or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The width between the winding part 200 and the pair of rollers 300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삼각 고정대(351)는, 삼각 고정대(351)는, 도 11b의 (1)의 상태에서 좌변 로프(b)를 구동축(250) 및/또는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에 삽입하고, 우변 로프(c)를 구동축(250)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삽입하여,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 간의 폭이 감소한 도 11b의 (2)의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ipod fixture 351, the tripod fixture 351, the left side rope (b) in the state of (1) of Fig. 11B, the drive shaft 250 and/or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 the right side rope (c) is inserted into the drive shaft 250 and/or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so that the width between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the pair of rollers 300 is reduced. It can be converted to the state of (2) in 11b.

이와 같이, 삼각 고정대(351)는, 구동축(250),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대한 로프의 삽입 또는 인출 동작을 수행해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 간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튜브링거(35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의 실링부(13)가 본래의 형태와 상이할 경우(예컨대,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의 양이 많아서 튜브본체(10)의 길이가 증가함으로 인해 실링부(13)의 길이가 감소된 경우 등)에도, 해당 재료튜브(100)를 튜브링거(350)에 편리하게 적용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tripod holder 351 performs an operation of inserting or drawing out a rope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250,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or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When the sealing part 13 of the material tube 100 mounted on the tube ringer 350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hape by adjusting the width between the mounting part 200 and the pair of rollers 300 (for example, the material tube In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tube body 10 de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tube body 10 due to the large amount of the food ingredients 1 contained in the 100), the material tube 100 is replaced with a tube ringer ( 350) can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applied.

또한, 이러한 삼각 구조대는, 아래에서 후술되는 롤러(300)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내장된 식재료(1)를 최대한으로 토출하기 위하여 튜브링거(350) 즉, 튜브권취부(200) 및 한 쌍의 롤러(300)를 각각 별도로 제어하는 실시예에서도, 구동축(250),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대한 로프의 삽입 또는 인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 1 및 2 롤러 간의 이격 또는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is triangular structure is a tube ringer 350, that is, a tube winding unit 200 and a pair of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rollers 300 are separately controlled, the insertion or extraction of the rope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250,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and/or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is perform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enable spacing or acc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또한, 작업 테이블(400)은, 롤러(300)보다 하향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그 일면에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가 출력되어 3차원 입체 식품이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ork table 400, as a member disposed downward than the roller 300,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is output on on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food can be manufactured.

여기서, 작업 테이블(400)은, 3차원 입체 식품을 지지하는 지지대, 또는 지면 등일 수 있는데, 널리 그 위에 3차원 푸드 프린터(900)에 의해 3차원 입체 식품이 만들어지는 모든 곳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ork table 400 may be a support for supporting a three-dimensional food, or a ground, and may widely include all places where a three-dimensional food is made by a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900 on it.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부(800)는, 튜브홀더(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ube holder 500.

여기서, 튜브홀더(500)는, 튜브본체(1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부재로서, 튜브본체(10)의 하부에는 토출구(30)와 연통되는 노즐(510)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tube holder 500 is a member having an inner space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so that one end of the tube body 10 is inserted, and a nozzle 51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3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ube body 10 Can be formed.

따라서, 튜브본체(10) 내의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는, 토출구(30)를 거쳐 노즐(5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in the tube body 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5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0.

여기서, 노즐(510)은, 서로 다른 사이즈 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즐(510)의 횡단면의 크기, 또는 그 모양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510)의 크기, 형태에 따라서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의 토출량이나 토출 속도, 및 출력 모양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nozzles 51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or shapes. That is, the size or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nozzle 5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nozzle 510, the discharge amount, the discharge speed, and the output shape of the 3D food printing food material 1 can be controlled.

이때, 서로 다른 노즐(510) 각각은, 어느 하나의 튜브홀더(500) 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서로 교체되거나, 또는 다수의 튜브홀더(500) 각각에 서로 다른 노즐(510)이 형성되어 튜브홀더(500)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different nozzles 510 is attach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of any one tube holder 500 and replaced with each other, or different nozzles 510 are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tube holders 500 to form a tube The holder 500 can be replaced and used.

또한, 노즐(510)은, 3차원 입체 식품을 형성하기 위해서 XYZ 좌표계의 X축, Y축, 및 Z축으로 움직여야 하는데, 이때에도 튜브권취부(200) 및 한 쌍의 롤러(300)가 함께 움직이면서 노즐(510)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nozzle 510 must be moved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the XYZ coordinate system in order to form a three-dimensional food. Even at this time,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a pair of rollers 300 ar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nozzle 510 while moving.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가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를 튜브권취부(200)를 통해 토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charging the food material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through the tube winding unit 200 by the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로 이루어진 튜브링거(350)를 이용하여 재료튜브(100)를 가압할 때, 도 12의 (1)과 같이 재료튜브(100) 최하단의 중심부에 내장되어 있는 식재료(1)는 롤러(300)의 가압을 받지 못하여, 재료튜브(100) 내에 식재료(1)가 온전하게 토출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2, when pressing the material tube 100 using the tube ringer 350 consisting of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a pair of rollers 300 as described above, ( As shown in 1), the food material 1 built in the center of the lowermost end of the material tube 100 cannot be pressed by the roller 300, so that the food material 1 cannot be completely discharged into the material tube 100. I can.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린팅부(800)는, 롤러(300)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내장된 식재료(1)를 최대한으로 토출하기 위하여, 튜브링거(350) 즉, 튜브권취부(200) 및 한 쌍의 롤러(300)를 각각 별도로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unit 800 is a tube ringer 350, that is, a tube winding unit 200 in order to discharge the food ingredients 1 embedded in a position not pressed from the roller 300 to the maximum. ) And a pair of rollers 300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자세히, 먼저 프린팅부(800)는, 한 쌍의 롤러(300)가 튜브권취부(200)와 함께 하향 이동하다가 몸체(810) 하단에 접촉한 경우, 프린팅부(80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에 대한 제 1 권취동작 즉,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가 동일하게 이동하며 재료튜브(100)에 대한 권취를 수행해 해당 재료튜브에 내장된 식재료를 토출하는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In detail, first, the printing unit 800, when the pair of rollers 300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then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body 810, the material tube mounted on the printing unit 800 ( The first winding operation for 100), that is,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the pair of rollers 300 move equally, and the operation of winding the material tube 100 to discharge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material tube. Can be completed.

그리고 프린팅부(800)는, 한 쌍의 롤러(300)가 몸체(810) 하단에 접촉한 이후 튜브권취부(200)의 권취 동작이 계속될 시, 몸체(810) 중앙측에서 재료튜브(100) 튜브본체(10)의 실링부(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롤러(300) 각각이, 상호 이격되며 몸체(810)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도 12의 (2)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And the printing unit 800, when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tube winding unit 200 continues after the pair of rollers 300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body 810, the material tube 100 at the center of the body 810 ) Each of a pair of rollers 300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with the sealing part 13 of the tube body 10 interposed therebetween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spread out to the outside of the body 810 (2) You can move it like this.

이때, 튜브권취부(200)의 구동축(250)과 한 쌍의 롤러(300)의 회전축(310)을 연결하는 삼각 고정대(351)는, 구동축(250),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대한 로프의 인출 동작을 수행하여, 한 쌍의 롤러(300) 각각이 상호 이격되며 몸체(810)의 외측으로 벌어지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ripod fixture 351 connecting the drive shaft 250 of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the rotation shaft 310 of the pair of rollers 300 is the drive shaft 250 and the rotation shaft 310-1 of the first roller. ) And/or the rop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is performed, so that each of the pair of roller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pen to the outside of the body 810.

계속해서, 한 쌍의 롤러(300) 각각을 이격시켜 몸체(810) 외측으로 이동시킨 프린팅부(800)는, 튜브권취부(200)의 권취 동작을 지속하여, 롤러(300)의 이격으로 형성된 공간에 튜브권취부(200)가 도 12의 (2)와 같이 유입되며 재료튜브(100)를 더 권취하는 제 2 권취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printing unit 800 mov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810 by spaced apart each of the pair of rollers 300 is formed by the separation of the rollers 300 by continuing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tube winding unit 200 The tube winding part 200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as shown in (2) of FIG. 12, and a second winding operation of further winding the material tube 100 may be performed.

이때, 제 2 권취동작을 수행하는 튜브권취부(200)는, 롤러(300)가 제거된 공간에서 재료튜브(100)의 튜브본체(10)에 대한 권취 동작을 더욱 수행함과 동시에, 해당 재료튜브(100) 최하단의 중심부에 내장되어 있는 식재료(1)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ube winding unit 200 performing the second winding operation further performs the winding operation on the tube body 10 of the material tube 100 in the space where the roller 300 is rem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material tube (100)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food ingredients (1) that are built in the center of the bottom.

즉, 프린팅부(800)는, 튜브권취부(200)의 하향에 위치하고 있던 한 쌍의 롤러(300)를 튜브권취부(200)의 하측에서 제거하여, 튜브권취부(200)가 몸체(810) 하단을 향해 보다 많은 권취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롤러(300)로부터 압력을 받지 못하는 위치에 내장된 식재료(1)를 튜브권취부(200)를 이용해 가압함으로써 토출이 완료된 재료튜브(100) 내의 잔여 식재료(1)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the printing unit 800 removes a pair of rollers 300 located downward from the tube winding unit 200 from the lower side of the tube winding unit 200, so that the tube winding unit 200 becomes the body 810 )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winding operation toward the bottom, and through this, the material tube that has been discharged by pressing the food material (1) built in a position that does not receive pressure from the roller 300 using the tube winding unit 200 The remaining food ingredients (1) in (100) can be further minimized.

이후, 프린팅부(800)는, 재료튜브(100) 내의 식재료(1)에 대한 토출이 완료된 경우, 재료튜브(100)의 교체 또는 해제를 위하여 해당 재료튜브(100)가 몸체(810)로부터 분리되면, 튜브권취부(200)를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 즉, 몸체(810) 내부의 상단측으로 회귀시킬 수 있고, 이때 삼각 고정대(351)는, 제 1 롤러의 회전축(310-1) 및/또는 제 2 롤러의 회전축(310-2)에 대한 로프의 삽입 동작을 수행하여, 한 쌍의 롤러(300)가 서로 접근하며 본래의 위치로 회귀하게 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discharge of the food material 1 in the material tube 100 is completed, the printing unit 800 separates the material tube 100 from the body 810 for replacement or release of the material tube 100 Then, the tube winding part 200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body 8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0, and at this time, the tripod holder 351 is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ller ( 310-1) and/or the rotation shaft 310-2 of the second roller is inserted into the rope, so that the pair of rollers 300 approach each other and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푸드 프린터(900)가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3D food printing using a 3D food printer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distance sensor.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부(800)는, 작업 테이블-튜브홀더 간 거리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3, the printing unit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sensor 700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tube holder.

여기서, 작업 테이블-튜브홀더 간 거리센서(700)는, 튜브홀더(500)에 부착될 수 있는 거리센서로서, 노즐(510)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작업 테이블(400)과 튜브홀더(500) 사이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Here, the distance sensor 700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tube holder is a distance senso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tube holder 500, and when the nozzle 51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ork table 400 and the tube holder 500 You can measure the height between them.

이때, 작업 테이블-튜브홀더 간 거리센서(700)는, 측정된 높이가 노즐(510)과 작업 테이블(400) 사이의 거리 정보를 제공하므로, 그 측정된 높이를 반영하여 노즐(5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sensor 700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tube holder, since the measured height provides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nozzle 510 and the work table 400, the movement of the nozzle 510 by reflecting the measured height Can be controll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는, 장착된 재료튜브(100)의 말단 쪽 납작한 실링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롤러(300)가 배치되고, 튜브권취부(200)가 상기 재료튜브(100)의 말단을 권취함에 따라서, 롤러(300)가 재료튜브(100)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재료튜브(100) 내의 식재료(1)를 토출함으로써, 내장된 액상형의 식재료(1)를 효율적으로 배출해냄과 동시에 잔여 식재료(1)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rollers 300 with a flat sealing portion at the end of the mounted material tube 100 interposed therebetween. Is disposed, and as the tube winding unit 200 winds the end of the material tube 100, the roller 300 presses the material tube 100 to facilitate the food material 1 in the material tube 100. By discharging, 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discharging the embedded liquid food ingredients 1 and minimizing waste of the remaining food ingredients 1.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는, 토출구(30)가 형성된 숄더(20)가 튜브형 본체에 배치되고, 그 튜브형 본체 내부에 3차원 푸드 프린팅 식재료(1)가 수용되어 해당 식재료(1)가가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재료튜브(100)를 이용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식재료(1)를 보관·유통·출력 및 폐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토출구(30)에 캡(40)을 사용함으로써, 출력 후의 잔여 식재료(1)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재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ulder 20 on which the discharge port 30 is formed is disposed on a tubular body, and a three-dimensional inside the tubular body Food printing By performing three-dimensional food printing using the material tube 100, where the food material 1 is accommodated and the food material 1 is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food material 1 can be stored, distributed, printed, and disposed of hygienical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 particular, by using the cap 40 for the discharge port 30, the remaining food ingredients 1 after printing can be safely stored and re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는,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의 상태(phase)를 센서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해당 식재료(1)의 상태가 고체일 경우 가열을 수행하여 3차원 푸드 프린팅에 적합한 점도의 액상형 식재료(1)로 변환함으로써, 재료튜브(100)에 내장된 식재료(1)가 고체인 경우에도 튜브링거(350)에 기반한 3차원 푸드 프린팅이 원활히 수행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3D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phase of the food material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based on a sensor, and , When the food material (1) is in a solid state, heating is performed to convert it into a liquid food material (1) with a viscosity suitable for 3D food printing, even if the food material (1)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100) is soli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moothly perform 3D food printing based on the tube ringer 35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800)는, 튜브권취부(200)와 한 쌍의 롤러(300)를 삼각 고정대(351)를 기반으로 연결하고, 해당 삼각 고정대(351)의 길이를 조절하여 롤러(300) 간 거리 및/또는 튜브권취부(200)와 롤러(300) 간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3차원 푸드 프린터(800)에 장착된 재료튜브(100)가 내장된 식재료(10)의 양, 상태 등에 의해 본래의 형태와 상이하더라도, 이에 관계없이 해당 재료튜브(10)를 3차원 푸드 프린터(800)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푸드 프린터(800)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8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tube winding unit 200 and a pair of rollers 300 based on a tripod holder 351 An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ripod holder 351 to control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300 and / or the distance between the tube winding 200 and the roller 300, the material mounted on the 3D food printer 800 Although the tube 100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hape depending on the amount and condition of the food material 10 in which the tube 100 is embedded, the material tube 10 can be easily mounted and used in the 3D food printer 800 regardless of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dimensional food printer 8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는, 센서를 통해 프린팅부(800)와 작업 테이블(400) 간의 위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출력 높이를 보상하여 보다 정밀하게 식재료(1)를 출력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링거(350)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900)는, 재료튜브(100)의 일단에서 직경이 다양한 노즐(510)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장된 식재료(1)의 출력을 간단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3D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hange in the position between the printing unit 800 and the work table 400 through a sensor, thereby increasing the output heigh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3D food printer 900 that outputs the food ingredients 1 more precisely by compensation.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900 including the tube ringer 3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nozzle 510 of various diameters to be replaced at one end of the material tube 100,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control the output of (1).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920)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920,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can be changed 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ari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t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Claims (10)

물질의 상태(phase)를 센싱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소정의 온도로 구현되는 열을 발생시켜 3차원 푸드 프린팅에 사용되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용기인 재료튜브에 내장된 상기 식재료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재료튜브의 튜브본체 말단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튜브본체 말단을 회전하며 권취하는 튜브권취부;
상기 튜브권취부에 일체되고 상기 튜브권취부보다 하향에서 상기 재료튜브의 실링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튜브본체 말단이 권취될 시 회전하여 상기 튜브본체의 협폭부를 가압해 상기 재료튜브에 내장된 상기 식재료를 토출시키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롤러보다 하향에 배치되며 일면으로 상기 식재료가 토출되어 3차원 입체 식품이 제조되는 작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튜브가 장착되는 프린팅부; 및
상기 프린팅부를 제어하여 상기 재료튜브에 내장된 상기 식재료를 토출해 상기 3차원 푸드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A sensor unit including an ultrasonic sensor for sensing a phase of a substanc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food materials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which is a container for receiving food materials used in 3D food printing by generating heat realiz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tube winding part into which the end of the tube body of the material tube is inserted, and rotates and winds the inserted end of the tube body;
It is integrated with the tube winding unit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from a lower side than the tube winding unit with the sealing portion of the material tub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when the end of the tube body is wound, it rotates to pressurize the narrow width of the tube body to pressurize the material. A pair of rollers for discharging the food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tube; And
A working table disposed downward from the roller and on which the food ingredients are discharged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food product; a printing unit on which the material tube is mounted; And
Including;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printing unit to discharge the food material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to perform the 3D food printing;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프린팅부에 장착된 상기 재료튜브에 내장된 상기 식재료가 고체 상태인지 액체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ultrasonic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food material embedded in the material tube mounted on the printing unit is in a solid state or a liquid stat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가 상기 식재료를 고체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식재료에 상기 소정의 온도로 구현되는 열을 가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ing unit,
When the ultrasonic sensor determines that the food material is in a solid state, applying heat realized at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the food material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부는,
상기 튜브권취부와 상기 한 쌍의 롤러가 동일하게 이동하며 상기 재료튜브에 대한 권취를 수행해 상기 식재료를 토출하는 제 1 권취동작이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재료튜브로부터 토출되지 못한 상기 식재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이 상호 이격되며 상기 재료튜브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nting unit,
The tube winding unit and the pair of rollers move equally, and even after the first winding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food ingredients by performing winding on the material tube is completed, the material tube is embedded in a position not pressed by the roller. When the food material that has not been discharged from is present, each of the pair of roller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oves away from the material tub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권취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이 이격됨으로써 형성된 공간을 기반으로 상기 재료튜브를 더 권취하여, 상기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위치에 내장되어 상기 재료튜브로부터 토출되지 못한 상기 식재료에 압력을 가하는 제 2 권취동작을 수행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4,
The tube winding unit,
A second winding operation in which the material tube is further wound based on the space formed by spaced apart each of the pair of rollers, and applied pressure to the food material that has not been discharged from the material tube by being embedded in a position not pressed by the roller To do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권취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푸드 프린터에 고정되고,
상기 튜브권취부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재료튜브가 권취됨에 따른 장력에 의해 상기 재료튜브가 권취된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하강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tube winding unit,
Based on an elastic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fixed to th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The tube winding unit and the pair of rollers are lowered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ength in which the material tube is wound by tension as the material tube is wound.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튜브가 권취된 길이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하강한 튜브권취부는,
상기 재료튜브가 상기 프린팅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회귀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6,
The tube winding portion lowered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ength in which the material tube is wound,
When the material tube is separated from the printing unit, it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부는,
상기 센서부, 상기 가열부, 상기 튜브권취부 및 상기 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내부에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가 상기 작업 테이블 상향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몸체의 이동을 보조하는 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작업 테이블 상에서 상하전후 이동을 수행하여, 지지하고 있는 상기 몸체 또한 동일하게 이동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위치설정부 상에서 좌우 이동을 수행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nting unit,
A body having one or more of the sensor unit, the heating unit, the tube winding unit, and the roller therein; And
A positioning unit supporting the body to be positioned above the work table and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body; further includes,
The positioning unit performs vertical movement on the work table, and operates to move the supporting body in the same manner,
The body, for performing left and right movement on the positioning unit
3D food printer including tube rin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부는,
상기 튜브본체의 타단이 삽입되며 상기 재료튜브의 토출구와 연통되는 노즐이 형성된 튜브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홀더는,
상기 튜브본체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다수 개로 서로 교체 가능하고,
상기 노즐은,
서로 다른 사이즈를 또는 형태로 형성 가능하여 상기 식재료의 토출량, 토출 속도 및 토출 모양을 제어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nting unit,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is inserted and a tube holder having a nozzl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material tube is formed; further comprising,
The tube holder,
It has an inner space with an open top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tube body is inserted, and can be replac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The nozzle,
Different sizes or shapes can be formed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discharge speed, and discharge shape of the food ingredients.
3D food printer including tube ring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튜브홀더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 테이블과 상기 튜브홀더 사이의 높이를 측정하는 작업 테이블-튜브홀더 간 거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테이블-튜브홀더 간 거리센서는,
상기 노즐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시 상기 작업 테이블과 상기 튜브홀더 사이의 높이를 제공하여 상기 노즐의 이동을 보조하는
튜브링거를 포함하는 3차원 푸드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or unit,
A distance sensor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tube holder, which is disposed on the tube holder and measures a height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tube holder, and further includes,
The distance sensor between the working table and the tube holder,
When the nozzle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height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tube holder is provided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nozzle.
Three-dimensional food printer including a tube ringer.
KR1020190118537A 2019-09-26 2019-09-26 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 KR1023538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37A KR102353861B1 (en) 2019-09-26 2019-09-26 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537A KR102353861B1 (en) 2019-09-26 2019-09-26 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516A true KR20210036516A (en) 2021-04-05
KR102353861B1 KR102353861B1 (en) 2022-01-20

Family

ID=7546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537A KR102353861B1 (en) 2019-09-26 2019-09-26 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8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274A1 (en) * 2022-10-20 2024-04-25 주식회사 포커스비전 3d pri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016B1 (en) 2022-07-28 2023-06-16 주식회사 비페코 Granular syringe filling composition for 3D printing,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and 3D printing ink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034A (en) 2013-04-05 2014-10-15 조경호 3-dimensional print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ilament thereto using flexible shaft
KR101451794B1 (en) * 2014-03-24 2014-10-16 주식회사 쓰리디코리아 Complex 3D printer and its control method
KR20150122504A (en) * 2014-04-23 2015-11-02 주식회사 티피씨애니웍스 Head assembly for 3D printers
KR101862944B1 (en) * 2016-12-21 2018-05-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ube type cartridge and extrusion equipment for 3d printer
KR20190058084A (en)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스페이스디 3D food prin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034A (en) 2013-04-05 2014-10-15 조경호 3-dimensional print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ilament thereto using flexible shaft
KR101451794B1 (en) * 2014-03-24 2014-10-16 주식회사 쓰리디코리아 Complex 3D printer and its control method
KR20150122504A (en) * 2014-04-23 2015-11-02 주식회사 티피씨애니웍스 Head assembly for 3D printers
KR101862944B1 (en) * 2016-12-21 2018-05-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ube type cartridge and extrusion equipment for 3d printer
KR20190058084A (en)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 스페이스디 3D food prin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274A1 (en) * 2022-10-20 2024-04-25 주식회사 포커스비전 3d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861B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6516A (en) 3d food printer with tube wringer
US11179881B2 (en) Cartridge array for a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KR20150094461A (en) Nozzle and Nozzle-Cap of Liquid Material for 3D printer
WO2016162114A3 (e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t least of a least one biologically active fluid and at least one preparatory fluid, and a method therefor
EP2736701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596773B1 (en) Continuous packaging apparatus for skin packing and map packing
CA25409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beled, plastic foam containers, and product of same
CN105711085A (en) Material level detecting mechanism of three-dimensional system
JP6778302B2 (en) Gelatin feeder for soft capsule molding machines
KR101862944B1 (en) Tube type cartridge and extrusion equipment for 3d printer
JP2020503218A (en) Reel holder
WO2020096643A8 (en)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EP3417253A1 (en) Portable device, dispensing method, reservoir, and system including such a device and reservoir
EP3121014A1 (en) Handheld printer
KR20180022252A (en) Apparatus for 3D-Printing Bio-Ink
KR101092868B1 (en) Adhesive apply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umbrella packing vinyl bags
KR20210079554A (en) 3D printer for metallic wire
CN210174201U (en) Heating and heat-preserving device, ink supply system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 device
US6224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sleeves and products comprising such sleeves
US11110722B2 (en) System for directly printing fibrous objects with solid ink images
KR20230115423A (en) a syringe heater for 3D food print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syringe
US20220176629A1 (en) 3d build platform refill opening and cap
JPWO2019069379A1 (en) Nozzle adapter, nozzle adapter set, coating device and coating system
JP6953214B2 (en) How to make cosmetics
KR20160139310A (en) Pouch Manufacturing Device with Shape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